KR101099420B1 - 도어 인터록 유닛을 구비한 배전반 - Google Patents

도어 인터록 유닛을 구비한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420B1
KR101099420B1 KR1020100001966A KR20100001966A KR101099420B1 KR 101099420 B1 KR101099420 B1 KR 101099420B1 KR 1020100001966 A KR1020100001966 A KR 1020100001966A KR 20100001966 A KR20100001966 A KR 20100001966A KR 101099420 B1 KR101099420 B1 KR 101099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lever
breaker
doo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1687A (ko
Inventor
예세명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1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420B1/ko
Publication of KR20110081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1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인터록 유닛을 구비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외함; 상기 외함의 내부에 배치되는 크래들; 상기 크래들의 내부에 접속위치 및 분리위치를 가지고 삽입되는 차단기; 상기 외함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차단기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도어를 잠금 및 해제하는 도어 인터록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도어 인터록 유닛은, 상기 크래들에 상기 차단기와 연동하여 승강가능하게 배치되는 레버;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와 맞물림되는 레버걸림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구성이 간단하고 동작의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는 도어 인터록 유닛을 구비한 배전반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도어 인터록 유닛을 구비한 배전반{CUBICLE WITH INTERLOCK UNIT FOR DOOR}
본 발명은,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도어 인터록 유닛을 구비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배전반(DISTRIBUTED BOARD)은, 발전소,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스위치, 계기, 릴레이(계전기) 등을 일정하게 넣어 관리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배전반은 전기배선이나 스위치의 단자 등이 노출되어 보이는 소위 개방형 배전반과, 도장(塗裝)한 철판 상자 속에 구성요소가 모두 넣어져 있는 소위 폐쇄형 배전반(또는 큐비클(CUBICLE))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이러한 폐쇄형 배전반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외함을 구비하며, 외함의 전면은 개방되어 있고, 이 외함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배전반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폐쇄형 배전반의 외함의 내부에는 차단기가 구비될 수 있으며, 그 밖에 차단기의 조작기구, 외부로부터 인입(引入)되는 케이블이나 모선 등의 단자(端子), 이들을 지지하는 애자(碍子) 등도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폐쇄형 배전반 중 일부는 감시용의 계기 또는 기구 등이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폐쇄형 배전반에는 상기 크래들의 모선과 상기 차단기가 접속된 상태에서 배전반 점검자 또는 작업자의 부주의로 상기 배전반 도어를 개방할 경우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전반에는 상기 배전반의 주회로 접속시 상기 배전반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인터록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배전반에 있어서는, 도어 인터록 유닛은 차단기의 위치 이동과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많은 구성부품으로 구성되므로,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 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많은 구성부품의 연계 동작에 기인하여 동작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동작의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는 도어 인터록 유닛을 구비한 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외함; 상기 외함의 내부에 배치되는 크래들; 상기 크래들의 내부에 접속위치 및 분리위치에 위치 가능하게 삽입되는 차단기; 상기 외함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차단기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도어를 잠금 및 해제하는 도어 인터록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도어 인터록 유닛은, 상기 크래들에 상기 차단기와 연동하여 승강가능하게 배치되는 레버;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와 맞물림되는 레버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크래들에는, 상기 차단기에 접속되어 상기 차단기의 제어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전원공급부와, 상기 차단기와 연동하여 상기 제어전원공급부를 상기 차단기와 연결 및 분리하는 구동링크가 구비되며, 상기 레버는 상기 구동링크에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링크는 상기 크래들의 측판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크래들의 측판의 외부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링크와 상기 레버 사이에는 상기 구동링크와 상기 레버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의 측판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궤적을 따라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판상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레버걸림부와 걸림유지되는 절곡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크래들과 상기 외함의 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절곡단부는 하향 절곡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에는, 상기 차단기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인입출장치와, 상기 인입출장치를 조작하는 핸들이 삽입되는 핸들삽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에는 상기 핸들이 삽입될 수 있게 핸들삽입공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크래들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 맞물림되어 상기 레버를 고정하는 레버걸림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으며 특히 동작의 신뢰도가 제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인터록 유닛을 구비한 배전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전반의 크래들 및 차단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크래들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크래들 및 차단기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차단기의 인입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2의 크래들의 외부 및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6의 요부확대도,
도 9는 도 6의 레버의 잠금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레버의 잠금해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인터록 유닛을 구비한 배전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전반의 크래들 및 차단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크래들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크래들 및 차단기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차단기의 인입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2의 크래들의 외부 및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요부확대도이고, 도 9는 도 6의 레버의 잠금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레버의 잠금해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도어 인터록 유닛을 구비한 배전반은, 외함(110); 상기 외함(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크래들(120); 상기 크래들(120)의 내부에 접속위치 및 분리위치에 위치가능하게 삽입되는 차단기(130); 상기 외함(110)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115); 및 상기 차단기(130)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도어(115)를 잠금 및 해제하는 도어 인터록 유닛(170);을 포함하되, 상기 도어 인터록 유닛(170)은, 상기 크래들(120)에 상기 차단기(130)와 연동하여 승강가능하게 배치되는 레버(171); 및 상기 도어(115)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171)와 맞물림되는 레버걸림부(191);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함(1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대략 직육면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함(110)의 내부 수용공간을 복수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외함(110)의 복수의 수용공간들의 각 전면에는 해당 개구를 개폐할 수 있게 배전반 도어(115)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배전반 도어(115)는 상기 외함(1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 배전반 도어(115)에는 해당 배전반 도어(115)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손잡이(117)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함(110)의 내부에는 모선과 부하를 연결할 수 있게 복수의 단자(125)가 구비된 크래들(1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12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120)의 내부에는 차단기(130)가 수납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120)의 전면은 상기 차단기(130)가 출입할 수 있게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120)의 내부에는 상기 차단기(130)를 인출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게 레일(12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120)의 후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선 및 부하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125)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13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31)와, 상기 크래들(120)의 모선측 단자 및 부하측 단자와 각각 접속 및 분리되게 동일한 숫자를 가지는 복수의 단자접속부(미도시)와, 상기 단자접속부에 전원의 각 상별로 각각 연결되는 가동접촉자 및 고정접촉자(미도시)와, 상기 가동접촉자가 상기 고정접촉자에 접촉 및 분리되게 하는 구동기구부(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기(130)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차단기(130)의 케이스(131)의 양 측에는 상기 크래들(120)의 레일(127)에 접속될 수 있게 레일결합부(13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레일결합부(133)가 상기 레일(127)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차단기(130)는 상기 레일(127)에 얹혀진 상태로 상기 레일(127)과 함께 상기 크래들(120)의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래들(120)의 내부에는 상기 차단기(130)를 인입 및 인출시키기 위한 차단기 인입출 장치(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 인입출장치(150)는, 상기 크래들(120)의 저부에 상기 차단기(130)의 출입방향(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스핀들(151)과, 상기 크래들(120)의 저부에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메인샤프트(153)와, 상기 스핀들(151)에 스크류 결합되어 스핀들(151)의 회전에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랙플레이트(155)와, 일 측은 상기 메인샤프트(153)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랙플레이트(155)에 치형 결합되는 전동기어(15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핀들(151)에는 수나사부가 구비되며, 상기 랙플레이트(155)에는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스핀들(151)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랙플레이트(155)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120)의 전면 하부영역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핀들(151)을 회전시키는 핸들(124)이 삽입될 수 있게 핸들삽입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동조작시 상기 핸들삽입부(122)에 핸들(124)을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핀들(151)은 정, 역전될 수 있다.
상기 랙플레이트(155)에는 랙치형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랙치형부에는 상기 샤프트(153)에 결합된 전동기어(157)가 맞물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랙치형부의 전후이동시 상기 랙치형부에 맞물림된 전동기어(157)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샤프트(153)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120)의 상부영역에는 상기 차단기(130)에 제어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제어전원공급부(126)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차단기(130)의 상부영역에는 상기 제어전원공급부(126)에 접속되어 제어 전원을 공급받는 제어전원접속부(13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전원공급부(126) 및 제어전원접속부(135)는 서로 접속 및 분리가 가능한 암,수 형태의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전원접속부(135)는 수형태(플러그형태)의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차단기(130)는 암형태(소켓형태)의 커넥터를 구비하여, 상기 수형태의 커넥터가 하강하여 상기 암형태의 커넥터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단기(130)는 상기 크래들(120)의 레일(127)에 결합되어 상기 크래들(120)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크래들(120)의 전면으로 상기 레일(127)이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결합부(133)를 상기 레일(127)에 결합한다. 다음, 상기 차단기(130)를 상기 크래들(120)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상기 레일(127)이 상기 크래들(120)의 내부로 수납되면서 상기 차단기(130)도 상기 크래들(120)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차단기(130)는 상기 크래들(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3위치 간을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차단기(130)는 상기 크래들(12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분리위치(disconnected position)와, 시험위치(test position) 및 접속위치(connected position)간을 이동 및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위치는 상기 크래들(120)의 레일(127)과 상기 차단기(130)의 레일결합부(133)가 결합되어 상기 차단기(130)가 상기 크래들(12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서, 상기 차단기(130)는 상기 크래들(120)과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시험위치는 상기 크래들(120)의 단자(125)와 상기 차단기(130)의 단자접속부는 서로 접속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전원공급부(126)와 상기 제어전원접속부(135)가 상호 접속됨으로써, 상기 차단기(130)에 제어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위치는 상기 크래들(120)의 단자(125)와 상기 차단기(130)의 단자접속부가 서로 접속되고, 상기 제어전원공급부(126)와 상기 제어전원접속부(135)가 서로 접속된 상태를 의미한다. 즉, 상기 크래들(120)의 입구측에서 내측을 향해서 상기 분리위치, 시험위치 및 접속위치가 차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전원공급부(126)는 상기 차단기(130)의 위치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상기 제어전원접속부(135)에 접속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크래들(120)에는 상기 제어전원공급부(126)를 승강 구동시키는 구동장치(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160)는, 상기 차단기(130)의 인입출장치(150)와 연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160)는, 상기 인입출장치(150)의 메인샤프트(153)에 구비되는 제1전동아암(161), 상기 제1전동아암(161)에 연결되는 전동링크(163), 상기 전동링크(163)에 연결되는 제2전동아암(165), 상기 제2전동아암(165)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아암(166), 상기 구동아암(166)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제어전원공급부(126)를 승강구동시키는 구동링크(16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링크(167)는 상기 크래들(120)의 측판에 상하로 배치되어 승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링크(167)는 상기 크래들(120)의 측판 양 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차단기(130)와 연동하여 승강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유닛(170)은, 상기 크래들(120)에 상기 차단기(130)와 연동하여 승강가능하게 배치되는 레버(171); 및 상기 도어(115)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171)와 맞물림되는 레버걸림부(19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레버(171)는 상기 구동링크(167)에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171)는 판상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171)는 금속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171)는 상기 크래들(120)의 측판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버(171)는 상기 크래들(120)의 측판과 상기 외함(110)의 측판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링크(167)와 상기 레버(171)는 연결부재(18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120)의 측판에는 상기 연결부재(181)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상하로 긴 길이를 가지는 슬롯(11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81)는, 상기 구동링크(167)와 상기 레버(171)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부(183)와, 상기 레버(171), 스페이서부(183) 및 상기 구동링크(167)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18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185)는, 예를 들면 고정볼트(186) 및 너트(18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부(183)에는 상기 체결부재(185),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볼트(186)가 통과할 수 있게 볼트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171)는 상기 레버걸림부(191)와 수평방향으로 맞물림될 수 있게 절곡된 절곡단부(17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레버(171)의 절곡단부(172)는 하향 절곡될 수 있다.
상기 레버(171)에는 상기 체결부재(185)가 통과할 수 있게 통과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171)는 상기 구동링크(167)에 결합되는 결합부(175)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레버(171)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면서 상기 레버(171)가 상기 고정볼트(186)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75)는 상기 볼트공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75)는 상기 레버(171)와 동일 평면상에서 상기 레버(171)의 길이방향에 연장된 후 상기 상기 구동링크(167)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걸림부(191)는 상기 레버(171)의 절곡단부(172)와 맞물림될 수 있게 상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걸림부(191)는 얇은 판상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레버걸림부(191)는, 상기 배전반 도어(115)에 결합되는 바디(192)와, 상기 바디(192)로부터 상향 절곡된 절곡부(193)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걸림부(191)는 상기 절곡부(193)의 상단이 상기 차단기(130)의 분리위치시 상기 레버(171)의 절곡단부(172)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게 상기 배전반 도어(115)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걸림부(191)의 절곡부 및 상기 레버(171)의 절곡단부(172)는 상기 구동링크(167)의 승강 높이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버(171)의 절곡단부(172) 및 레버걸림부(191)의 절곡부(193)의 높이는 상기 구동링크(167)의 하강 높이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차단기(130)를 상기 크래들(120)에 결합하고자 할 때는, 상기 크래들(120)의 전면으로 상기 레일(127)이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차단기(130)의 레일결합부(133)가 상기 레일(127)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차단기(130)를 상기 크래들(120)의 내부로 가압하면 상기 차단기(130)는 상기 레일(127)과 함께 상기 크래들(120)의 내부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고, 상기 인입출장치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차단기(130)는 분리위치(disconnected position)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130)가 분리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크래들(120)의 핸들삽입부(122)에 핸들(124)을 삽입하여 상기 차단기(130)가 상기 크래들(120)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차단기(130)는 상기 분리위치에서 상기 크래들(120)의 내부로 더 이동된 위치, 즉 시험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153)에 연결된 상기 구동장치(160)에 의해 상기 제어전원공급부(126)가 하강하여 상기 제어전원접속부(135)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상기 차단기(130)는 제어전원이 인가된 상태가 된다.
상기 핸들(124)을 더욱 회전시키면 상기 차단기(130)는 상기 크래들(120)의 내부로 더 이동된 위치, 즉 접속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차단기(130)의 단자접속부가 상기 크래들(120)의 모선단자 및 부하단자에 각각 접속된다.
한편, 상기 차단기(130)가 상기 시험위치에서 상기 접속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상기 핸들(124)의 회전시, 상기 스핀들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샤프트(153)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53)가 회전을 개시하면 상기 제1전동아암(161), 전동링크(163), 제2전동아암(165), 구동아암(166)이 연동하여 회전된다.
상기 구동아암(166)이 회전되면 상기 구동링크(167)가 하강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링크(167)에 결합된 상기 레버(171)가 하강하여 상기 배전반 도어(115)의 레버걸림부(191)와 맞물림된다. 이에 의해, 상기 차단기(130)의 투입위치시 상기 배전반 도어(115)가 불시에 개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외함 115 : 배전반 도어
120 : 크래들 130 : 차단기
150 : 차단기 인입출장치 151 : 스핀들
153 : 메인샤프트 155 : 랙플레이트
157 : 전동기어 160 ; 구동장치
161 : 제1전동아암 163 : 전동링크
165 : 제2전동아암 166 : 구동아암
167 : 구동링크 168 : 결합부삽입공
170 : 도어 인터록 유닛 171 : 레버
172 : 절곡단부 175 : 결합부
181 : 연결부재 183 : 스페이서부
185 : 체결부재 186 : 고정볼트
187 : 너트 191 : 레버걸림부
192 : 바디 193 : 절곡부

Claims (4)

  1. 외함;
    상기 외함의 내부에 배치되는 크래들;
    상기 크래들의 내부에 접속위치 및 분리위치에 위치 가능하게 삽입되는 차단기;
    상기 크래들에 구비되고, 상기 차단기에 접속되어 상기 차단기의 제어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전원공급부;
    상기 제어전원공급부를 승강 구동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외함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차단기를 인입 및 인출시키는 인입출장치; 및
    상기 차단기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도어를 잠금 및 해제하는 도어 인터록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도어 인터록 유닛은, 상기 크래들에 상기 차단기의 인입 및 인출과 연동하여 승강가능하게 배치되는 레버;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와 맞물림되는 레버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인입출장치의 메인샤프트에 연결되는 제1전동아암, 상기 제1전동아암에 연결되는 전동링크, 상기 전동링크에 연결되는 제2전동아암, 상기 제2전동아암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아암, 상기 구동아암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제어전원공급부를 승강구동시키는 구동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구동링크에 연결되어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링크는 상기 크래들의 측판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크래들의 측판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인터록 유닛을 구비한 배전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링크와 상기 레버 사이에는 상기 구동링크와 상기 레버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인터록 유닛을 구비한 배전반.
KR1020100001966A 2010-01-08 2010-01-08 도어 인터록 유닛을 구비한 배전반 KR101099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966A KR101099420B1 (ko) 2010-01-08 2010-01-08 도어 인터록 유닛을 구비한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966A KR101099420B1 (ko) 2010-01-08 2010-01-08 도어 인터록 유닛을 구비한 배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687A KR20110081687A (ko) 2011-07-14
KR101099420B1 true KR101099420B1 (ko) 2011-12-28

Family

ID=4492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966A KR101099420B1 (ko) 2010-01-08 2010-01-08 도어 인터록 유닛을 구비한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4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103B1 (ko) * 2013-06-26 2013-09-12 주식회사 광명전기 배전반의 차단기, 변압기 또는 계기용 변압변류기와 도어 인터록장치
KR20160082316A (ko) * 2015-02-23 2016-07-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위치표시 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US9843172B2 (en) 2014-12-31 2017-12-12 Lsis Co., Ltd. Switchboard with position-indicating apparatus
KR20180101779A (ko) 2017-03-06 2018-09-14 천호산업주식회사 배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481B1 (ko) * 2013-07-08 2013-08-06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차단기와 단로기/접지개폐기 간의 인터록 연동장치
KR200479895Y1 (ko) * 2014-07-21 2016-03-2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전기차단기 안전잠금장치
KR101667636B1 (ko) * 2014-09-29 2016-10-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101650698B1 (ko) * 2014-10-13 2016-08-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102150426B1 (ko) * 2016-09-05 2020-09-01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차단기의 도어 인터록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578Y1 (ko) 2003-10-24 2004-02-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전반용 진공차단기의 잠금해제장치
KR100852436B1 (ko) 2004-12-23 2008-08-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도어 및 투입 인터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578Y1 (ko) 2003-10-24 2004-02-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전반용 진공차단기의 잠금해제장치
KR100852436B1 (ko) 2004-12-23 2008-08-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도어 및 투입 인터록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103B1 (ko) * 2013-06-26 2013-09-12 주식회사 광명전기 배전반의 차단기, 변압기 또는 계기용 변압변류기와 도어 인터록장치
US9843172B2 (en) 2014-12-31 2017-12-12 Lsis Co., Ltd. Switchboard with position-indicating apparatus
KR20160082316A (ko) * 2015-02-23 2016-07-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위치표시 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KR101717659B1 (ko) 2015-02-23 2017-03-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위치표시 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KR20180101779A (ko) 2017-03-06 2018-09-14 천호산업주식회사 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687A (ko) 201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420B1 (ko) 도어 인터록 유닛을 구비한 배전반
JP2730890B2 (ja) 主および補助回路を有する電気的遮断器の引入れおよび引出し機構
JP5237407B2 (ja) 回路遮断器のプラグインターロック装置
US4090230A (en) High voltage motor starter enclosure
KR101150330B1 (ko)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KR101068757B1 (ko)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KR101291835B1 (ko) 인출형 회로 차단기의 인터로크 장치 및 인출형 회로 차단기 및 배전반
JP4848018B2 (ja) 電力用閉鎖配電盤
KR102163626B1 (ko) Mcsg 용 인출 모듈
JP4387577B2 (ja) スイッチギヤ
KR101708020B1 (ko) 조작이 쉬운 인터록 장치를 갖춘 전동기 제어반
KR101126941B1 (ko)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
JP2011078273A (ja) 配電盤の作業台車および配電盤
CN103378426B (zh) 安装导轨适配器
KR101082328B1 (ko)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CN104466774B (zh) 具有1/2抽出式功能单元的低压开关柜
KR20170003662U (ko) 배전반의 핸들 인터록 장치
CN106451185B (zh) 具有1/4抽出式功能单元的低压开关柜
JP6632402B2 (ja) スイッチギヤ
KR100555634B1 (ko) 전동기 제어반
KR102208664B1 (ko) 포지션 잠금 장치를 갖는 배전반
JP4661432B2 (ja) 引出形回路遮断器
EP3627640B1 (en) Drawer-type circuit breaker
KR100954557B1 (ko) 이단 인입/인출 구조를 갖는 멀티 배전반
KR20170106085A (ko) 아크 제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