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698B1 -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 Google Patents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698B1
KR101650698B1 KR1020140137702A KR20140137702A KR101650698B1 KR 101650698 B1 KR101650698 B1 KR 101650698B1 KR 1020140137702 A KR1020140137702 A KR 1020140137702A KR 20140137702 A KR20140137702 A KR 20140137702A KR 101650698 B1 KR101650698 B1 KR 101650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astening
wire member
switchboard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7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3591A (ko
Inventor
김민형
신량범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7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698B1/ko
Publication of KR20160043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6Earth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배전반의 회로기기가 차단 또는 접지상태인 경우에만 배전반의 도어가 열릴 수 있도록 구성된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인터록 장치는 배전반에 구비되는 회로기기의 차단, 투입 및 접지상태를 구현하는 구동부에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로기기가 투입상태인 경우 상기 구동부 방향으로 당겨지고 상기 회로기기가 차단 또는 접지상태인 경우 당김이 해제되는 와이어부재; 배전반의 본체프레임에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와이어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부재가 당겨지면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와이어부재의 당김이 해제되면 이동 가능한 록킹프레임; 상기 록킹프레임의 타단에 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외측으로 갈수록 몸체의 폭이 넓어지도록 일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걸림부; 및 배전반의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가 관통체결되는 체결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의 외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체결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부재가 당겨지면 상기 체결프레임이 상기 경사면에 걸려서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와이어부재의 당김이 해제되면 상기 체결프레임이 상기 걸림부에서 탈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INTERLOCK DEVICE OF DOOR AND SWITCH-GEA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반의 회로기기가 차단 또는 접지상태인 경우에만 배전반의 도어가 열릴 수 있도록 구성된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산업용 전력을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공급해주는 전기용 설비로서, 배전반 내에는 차단기를 포함하는 각종 전기기가 안전하게 절연처리된 상태로 수납되어 있고, 전면에는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배전반 내부의 도체에는 높은 전압 및 전류가 통전되고 있기 때문에 조작자 및 사용자는 특별히 안전에 주의해야 하며, 배전반의 이상 및 내부 기기를 점검할 필요가 있을시에는 도어를 개방하여 유지보수 작업을해야 하고, 이 때 조작자는 위험요소에 노출되기 때문에 반드시 배전반 내부의 계통을 개로(Open)시켜 안전한 위치(Isolated)로 이동시켜야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배전반의 도어를 열어야 하는 경우에는 부하측의 회로가 열린 상태이거나 접지된 상태여야 한다.
따라서, 부하측의 회로가 열린 상태이거나 접지상태인 경우에만 배전반의 도어가 열릴 수 있고, 부하측의 회로가 닫혀 있거나 접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배전반의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잠금장치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12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배전반 내부의 회로기기가 차단 또는 접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어가 열리지 않는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배전반에 구비되는 회로기기의 차단, 투입 및 접지상태를 구현하는 구동부에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로기기가 투입상태인 경우 상기 구동부 방향으로 당겨지고 상기 회로기기가 차단 또는 접지상태인 경우 당김이 해제되는 와이어부재; 배전반의 본체프레임에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와이어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부재가 당겨지면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와이어부재의 당김이 해제되면 이동 가능한 록킹프레임; 상기 록킹프레임의 타단에 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외측으로 갈수록 몸체의 폭이 넓어지도록 일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걸림부; 및 배전반의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가 관통체결되는 체결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의 외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체결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부재가 당겨지면 상기 체결프레임이 상기 경사면에 걸려서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와이어부재의 당김이 해제되면 상기 체결프레임이 상기 걸림부에서 탈거 가능하도록 구성된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부재의 당김이 해제된 경우, 상기 체결프레임은 외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상기 록킹프레임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록킹프레임은 상기 체결프레임이 상기 록킹프레임에서 탈거된 경우에 상기 와이어부재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록킹프레임에 돌출형성되는 단턱부; 상기 록킹프레임이 타방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하면 상기 단턱부의 일단에 걸리도록 작동되는 스토퍼; 및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스토퍼가 작동되도록 상기 스토퍼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체결구멍에 상기 걸림부가 체결되는 동작에 따라 상기 체결프레임에 의해 눌려서 원위치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배전반의 본체프레임에 상기 록킹프레임을 왕복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브라켓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일측면으로서, 회로기기가 내장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회로기기의 차단, 투입 및 접지상태를 구현하는 구동부; 일단이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로기기가 투입상태인 경우 상기 구동부 방향으로 당겨지고 상기 회로기기가 차단 또는 접지상태인 경우 당김이 해제되는 와이어부재; 배전반의 본체프레임에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와이어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부재가 당겨지면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와이어부재의 당김이 해제되면 이동 가능한 록킹프레임; 상기 록킹프레임의 타단에 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외측으로 갈수록 몸체의 폭이 두꺼워지도록 일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걸림부; 및 배전반의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가 관통체결되는 체결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의 외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체결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부재가 당겨지면 상기 체결프레임이 상기 경사면에 걸려서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와이어부재의 당김이 해제되면 상기 체결프레임이 상기 걸림부에서 탈거 가능하도록 구성된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를 포함하는 배전반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배전반 내부의 회로기기가 차단 또는 접지상태인 경우에만 도어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고,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구동부의 작동이 제한되므로, 안전사고가 방지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터록 장치이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인터록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인터록 장치의 체결프레임이 록킹프레임에서 탈거되는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인터록 장치의 체결프레임이 록킹프레임에서 탈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인터록 장치의 체결프레임이 록킹프레임에 체결되는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100)은 본체프레임(110), 구동부(120), 도어(130) 및 인터록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프레임(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100)의 외관을 구성하며, 후술할 구동부(120)를 포함하여 차단기, 단로기, 접지개폐기, 부하개폐기 등 각종 회로기기들이 내장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구동부(120)는 본체프레임(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차단기, 단로기, 접지개폐기, 부하개폐기 등에 구비되는 가동접점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가동접점을 동작시켜 고정접점과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20)는 특별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단기, 단로기, 접지개폐기 및 부하개폐기 등의 가동접점을 동작시킬 수 있는 어떠한 기계적 구성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구동부(120)는 본체프레임(110)에 내장된 차단기 및 접지개폐기가 작동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100)의 회로기기가 투입상태인 경우에 후술할 와이어부재(210)를 구동부(120) 측으로 당길 수 있는 기계적 구성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구동부(120)에는 차단기 및 접지개폐기의 가동접점을 동작시키는 회전축 또는 레버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후술할 와이어부재(210)는 상기 회전축 또는 레버에 직접 연결되어 회전축 또는 레버가 회전하거나 이동하면 당겨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130)는 본체프레임(110)의 정면에 여닫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1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100) 내부의 기기를 점검, 조작 및 유지보수 하기 위해 배전반(100) 내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인터록 장치(200)는 와이어부재(210), 록킹프레임(220), 걸림부(240), 체결프레임(250), 스토퍼(260), 탄성부재(280), 브라켓(230) 및 지지플레이트(2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록 장치(200)는 구동부(120)의 구동에 의해 회로기기가 차단 또는 접지상태인 경우에만 도어(130)가 열릴 수 있고, 회로기기의 투입 상태에서는 도어(130)가 잠겨서 열리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인터록 장치(200)는 도어(130)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회로기기가 투입 상태로 되지 않도록 구동부(120)의 구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100)은 인터록 장치(200)를 통해, 계통이 차단 또는 접지된 상태에서만 도어(130)가 열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100)에 포함되는 인터록 장치(200)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장치(200)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장치(200)는 와이어부재(210), 록킹프레임(220), 브라켓(230), 걸림부(240), 체결프레임(250), 스토퍼(260), 탄성부재(280) 및 지지플레이트(2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부재(210)는 배전반(100)에 구비되는 구동부(120)에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배전반(100)의 회로기기가 투입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120) 방향으로 당겨지고, 배전반(100)이 회로기기가 차단 또는 접지상태인 경우에는 당김이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전반(100) 및 구동부(120)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100) 및 이에 포함되는 구동부(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와이어부재(210)는 구동부(120)의 동작에 따라 당겨질 수 있도록 일단이 구동부(120)에 연결되고, 타단이 후술할 록킹프레임(2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와이어부재(210)는 구동부(120)에 의해 당겨지는 힘을 후술할 록킹프레임(220)에 전달하여 록킹프레임(2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부재(21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구동부(120)에 의해 당겨지는 힘을 안정적으로 록킹프레임(220)에 전달할 수 있도록 신축성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록킹프레임(220)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100)의 본체프레임(110)에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와이어부재(210)로 인해 이동이 통제될 수 있는 부재이다.
이러한 록킹프레임(220)은 일단이 와이어부재(210)에 연결되어, 와이어부재(210)가 당겨지면 이동이 제한되고 와이어부재(210)의 당김이 해제되면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록킹프레임(220)의 일단에는 상기 와이어부재(210)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록킹프레임(220)에는 일측으로 돌출형성된 단턱부(2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턱부(224)는 후술할 스토퍼(260)에 걸려서 록킹프레임(2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매개체에 해당한다.
상기 브라켓(230)은 배전반(100)의 본체프레임(110)에 록킹프레임(220)을 왕복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브라켓(2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판상부(232)를 구비하고, 서로 대향하는 판상부(232) 각각에 록킹프레임(220)의 몸체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234)이 형성된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걸림부(240)는 록킹프레임(220)의 타단에 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외측으로 갈수록 몸체의 폭이 넓어지도록 일단에 경사면(244)이 형성된 부분이다.
일 실시예에서, 걸림부(240)는 록킹프레임(220)의 타단에서 횡방향으로 일정한 폭으로 연장된 목부(24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목부(242)에서 연장되는 부분에는 상기 경사면(24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244)은 걸림부(240)의 일단에 형성되어, 록킹프레임(220)의 와이어 연결부(222)를 향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걸림부(240)는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의 일단이 두꺼워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240)는 후술할 체결프레임(250)의 체결구멍(252)에 관통체결되며, 경사면(244)을 통해 체결프레임(25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체결프레임(250)은 배전반(100)의 도어(130)에 구비되며, 걸림부(240)가 관통체결되는 체결구멍(252)을 구비하고, 걸림부(24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프레임(250)은 사용자가 도어(130)를 여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걸림부(24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장치(200)는 체결프레임(250)이 사용자에 의해 걸림부(24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되어 걸림부(240)에서 탈거된 후에 도어(130)가 열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구멍(252)은 걸림부(24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걸림부(240)의 최대 폭보다 넓은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60)는 록킹프레임(220)이 타방 즉, 와이어부재(210)의 반대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하면 단턱부(224)를 벗어나서 단턱부(224)의 일단에 걸리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스토퍼(260)는 록킹프레임(220)이 관통배치될 수 있는 관통구멍(262)을 구비하는 블록형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구멍(26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부(224)와 록킹프레임(220)의 몸체가 수용될 수 있는 길이의 장공으로 형성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스토퍼(260)를 왕복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2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27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판상부(272)를 구비하고, 서로 대향하는 판상부(272) 각각에 스토퍼(260)의 몸체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274)이 형성된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탄성부재(280)는 스토퍼(260)에 연결되어, 외력이 제거되면 스토퍼(260)가 작동되도록 스토퍼(260)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탄성부재(280)는 스토퍼(260)를 록킹프레임(220)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록킹프레임(220)이 이동하여 스토퍼(260)가 단턱부(224)를 벗어나면 탄성력을 이용하여 스토퍼(260)를 이동시켜 스토퍼(260)의 몸체가 단턱부(224)의 일단에 걸리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부재(280)는 스토퍼(260)를 록킹프레임(220) 방향으로 미는힘을 가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탄성부재(28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지지브라켓(270)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스토퍼(260)에 지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9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230)과 지지브라켓(270)을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290)의 형상 및 구성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장치(200)의 도어(130) 잠금 및 잠금해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체결프레임(250)이 록킹프레임(220)에서 탈거되는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100)의 회로기기가 차단 또는 접지상태로 구성되어 와이어부재(210)의 당김이 해제된 경우, 록킹프레임(220)은 도면상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어(130)를 열기 위해 사용자가 체결프레임(250)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체결프레임(250)의 몸체가 걸림부(240)의 경사면(244)을 눌러서 경사면(244)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때, 배전반(100)의 본체프레임(110)에 고정된 록킹프레임(220)은 체결프레임(250)이 경사면(244)을 누르는 힘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때, 스토퍼(260)는 단턱부(224)를 아직 벗어나지 않은 상태이므로 몸체가 단턱부(224)의 끝단에 걸려서 하강한 위치가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도 6은 체결프레임(250)이 록킹프레임(220)에서 탈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체결프레임(250)이 걸림부(240)에서 탈거되면 체결프레임(250)과 록킹프레임(220) 간의 체결이 해제되었으므로, 사용자는 배전반(100)의 도어(130)를 열수 있게 된다.
이때, 록킹프레임(2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부재(21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하게 된다.
도한, 단턱부(224)가 스토퍼(260)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스토퍼(260)는 탄성부재(280)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상승 배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단턱부(224)가 스토퍼(260)에 걸리게 되므로, 록킹프레임(220)은 와이어부재(210)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와이어부재(210)는 구동부(120) 측으로 당겨지지 않게 되므로, 구동부(120)의 구동이 제한되게 된다.
이를 통해, 록킹프레임(220)은 도어(130)가 열린 상태에서는 구동부(120)가 작동되지 않도록 구동부(120)를 잠그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장치(200)는 도어(130)가 열린 경우에 록킹프레임(220)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어, 도어(130)가 열린 상태로 배전반(100)의 회로기기가 투입상태가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체결프레임(250)이 록킹프레임(220)에 체결되는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배전반(100)의 도어(130)를 닫고 체결프레임(250)의 체결구멍(252)에 걸림부(240)를 삽입시킨 후 체결프레임(250)을 하강시키면, 체결프레임(250)의 몸체가 스토퍼(260)를 눌러서 원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280)는 압축되고, 스토퍼(260)의 관통구멍(262)은 록킹프레임(220)의 단턱부(224)가 통과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여기서, 록킹프레임(220)은 와이어부재(210)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구동부(120)를 구동시켜 배전반(100) 내부의 회로기기를 투입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한편, 배전반(100) 내부의 회로기기가 투입상태인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와이어부재(210)가 구동부(120)에 의해 당겨진 상태이므로, 록킹프레임(220)이 도면상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체결프레임(250)은 몸체가 걸림부(240)의 경사면(244)에 걸려서 상승할 수 없게 된다.
결과적으로, 체결프레임(250)이 걸림부(240)에서 탈거되지 못하므로, 도어(130)는 잠긴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장치(200)는 배전반(100) 내부의 회로기기가 차단 또는 접지상태인 경우에만 도어(130)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고, 도어(130)가 열린 상태에서는 구동부(120)의 작동이 제한되므로, 안전사고가 방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배전반 110: 본체프레임
120: 구동부 130: 도어
200: 인터록 장치 210: 와이어부재
220: 록킹프레임 222: 와이어 연결부
224: 단턱부 230: 브라켓
240: 걸림부 242: 목부
244: 경사면 250: 체결프레임
252: 체결구멍 260: 스토퍼
262: 관통구멍 270: 지지브라켓
280: 탄성부재 290: 지지플레이트

Claims (7)

  1. 배전반에 구비되는 회로기기의 차단, 투입 및 접지상태를 구현하는 구동부에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로기기가 투입상태인 경우 상기 구동부 방향으로 당겨지고 상기 회로기기가 차단 또는 접지상태인 경우 당김이 해제되는 와이어부재;
    배전반의 본체프레임에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와이어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부재가 당겨지면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와이어부재의 당김이 해제되면 이동 가능한 록킹프레임;
    상기 록킹프레임의 타단에 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외측으로 갈수록 몸체의 폭이 넓어지도록 일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걸림부; 및
    배전반의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가 관통체결되는 체결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의 외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체결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부재가 당겨지면 상기 체결프레임이 상기 경사면에 걸려서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와이어부재의 당김이 해제되면 상기 체결프레임이 상기 걸림부에서 탈거 가능하도록 구성된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재의 당김이 해제된 경우, 상기 체결프레임은 외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상기 록킹프레임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프레임은 상기 체결프레임이 상기 록킹프레임에서 탈거된 경우에 상기 와이어부재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된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프레임에 돌출형성되는 단턱부;
    상기 록킹프레임이 타방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하면 상기 단턱부의 일단에 걸리도록 작동되는 스토퍼; 및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스토퍼가 작동되도록 상기 스토퍼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체결구멍에 상기 걸림부가 체결되는 동작에 따라 상기 체결프레임에 의해 눌려서 원위치 되도록 구성된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배전반의 본체프레임에 상기 록킹프레임을 왕복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7. 회로기기가 내장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회로기기의 차단, 투입 및 접지상태를 구현하는 구동부;
    일단이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로기기가 투입상태인 경우 상기 구동부 방향으로 당겨지고 상기 회로기기가 차단 또는 접지상태인 경우 당김이 해제되는 와이어부재;
    배전반의 본체프레임에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와이어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부재가 당겨지면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와이어부재의 당김이 해제되면 이동 가능한 록킹프레임; 상기 록킹프레임의 타단에 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외측으로 갈수록 몸체의 폭이 두꺼워지도록 일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걸림부; 및 배전반의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가 관통체결되는 체결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의 외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체결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부재가 당겨지면 상기 체결프레임이 상기 경사면에 걸려서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와이어부재의 당김이 해제되면 상기 체결프레임이 상기 걸림부에서 탈거 가능하도록 구성된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를 포함하는 배전반.
KR1020140137702A 2014-10-13 2014-10-13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101650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702A KR101650698B1 (ko) 2014-10-13 2014-10-13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702A KR101650698B1 (ko) 2014-10-13 2014-10-13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591A KR20160043591A (ko) 2016-04-22
KR101650698B1 true KR101650698B1 (ko) 2016-08-25

Family

ID=55918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7702A KR101650698B1 (ko) 2014-10-13 2014-10-13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6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5593B (zh) * 2018-12-04 2023-08-22 上海电器科学研究所(集团)有限公司 一种开关电器省力传动联锁机构
KR20200107149A (ko) * 2019-03-06 2020-09-16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
WO2022120719A1 (en) * 2020-12-10 2022-06-16 Abb Schweiz Ag Locking device and switchgea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1267A (ja) 2004-09-08 2006-03-23 Mitsubishi Electric Corp 閉鎖配電盤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3667U (ko) * 1985-04-18 1986-10-29
KR101099420B1 (ko) * 2010-01-08 2011-12-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도어 인터록 유닛을 구비한 배전반
KR101126941B1 (ko) 2010-02-05 2012-03-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1267A (ja) 2004-09-08 2006-03-23 Mitsubishi Electric Corp 閉鎖配電盤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591A (ko) 2016-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541B1 (ko) 진공 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KR101643589B1 (ko) 진공차단기의 도어 인터록 장치
KR101191159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CN107872027B (zh) 用于防止在配电盘中的断路器插入或取回过程中闭合的互锁装置
KR101650698B1 (ko)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20030090765A (ko) 전기 기구 모듈용 로킹 장치를 구비한 저전압 스위치 기어
KR102517740B1 (ko) 배전반의 도어 잠금 장치
KR101993450B1 (ko)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KR101126941B1 (ko)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
EP3594986B1 (en) Switching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KR101604280B1 (ko) 배전반
KR101690133B1 (ko) 링메인유닛(rmu)의 인터록 장치
KR101168083B1 (ko) 도어 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KR101704430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101650697B1 (ko)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101640712B1 (ko) 진공차단기
KR101669907B1 (ko) 진공차단기 인입출 인터록 장치
JP5338961B2 (ja) 配電盤
KR101883574B1 (ko)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장치
EP2482399B1 (en) Interlocks for withdrawable circuit breakers
CN209860466U (zh) 配电开关设备及其航空插联锁装置
KR20180073311A (ko) 모터 컨트롤 센터용 흔들림 방지장치
KR101658540B1 (ko) 가스절연 부하개폐기용 케이블 커버 인터록 장치
KR101698815B1 (ko) 회로 차단기
JP5338122B2 (ja) 配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