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816B1 -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 Google Patents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816B1
KR101701816B1 KR1020150062116A KR20150062116A KR101701816B1 KR 101701816 B1 KR101701816 B1 KR 101701816B1 KR 1020150062116 A KR1020150062116 A KR 1020150062116A KR 20150062116 A KR20150062116 A KR 20150062116A KR 101701816 B1 KR101701816 B1 KR 101701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
circuit breaker
handle
draw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0087A (ko
Inventor
박현성
김현재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2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816B1/ko
Publication of KR20160130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4Interlock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4Interlocking mechanisms
    • H01H31/06Interlock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cover, or protective shutt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4Interlocking mechanisms
    • H01H31/08Interlock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parts of the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Landscapes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수납된 차단기본체를 인출입 핸들을 사용하여 인출입시키는 인출입형 회로차단기에서 차단기본체의 인출입을 제한하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는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수납되며 컨트롤 커넥터를 구비하는 차단기본체와, 인출입핸들이 결속되는 핸들결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입핸들을 통해 작동되어 상기 차단기본체를 인출입시키는 인출입유닛과, 상기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 커넥터에 접속 가능한 컨트롤 잭을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 잭의 접속동작에 연동하여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되는 인터록 프레임; 및 상기 핸들결속부에 연동하고, 상기 인터록 프레임이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핸들결속부에 대한 상기 인출입핸들의 결속을 제한하는 록킹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INTERLOCK DEVICE OF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수납된 차단기본체를 인출입 핸들을 사용하여 인출입시키는 인출입형 회로차단기에서 차단기본체의 인출입을 제한하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차단기(vacuum circuit braker, VCB)는 선로 상에서 정상 전류의 개폐 및 사고 전류 발생시 계전기 등의 신호에 의해 그 사고 전류를 차단하는 전기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차단기는, 차단시 발생 되는 아크(Arc)를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upter, VI)라고 하는 고진공의 밀폐용기 내에서 소호시켜 신속하게 회로를 분리시킴으로써, 회로 및 기기를 보호하게 된다. 그에 따라 개폐수명이 길고 소형경향이 가능하고 소호성능이 우수하여 고압계통에서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진공차단기는 설치형태에 따라 고정 배치되는 고정형과,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수납되어 인출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인출입형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인출입형 진공차단기는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서 인출되는 컨트롤 라인에 연결되는 컨트롤 잭을 차단기본체의 컨트롤 커넥터에 접속하여 차단기본체의 전원 및 제어회로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인출입형 진공차단기는 차단기본체의 모선터미널과 부하터미널이 배전반 또는 크래들의 모선단자와 부하단자에 접속되어 전압과 전류가 공급되는 운전(Run)위치와, 차단기본체의 모선터미널과 부하터미널이 배전반 또는 크래들의 단자들로부터 분리되어 차단기의 동작 테스트만 할 수 있는 테스트(Test) 위치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차단기본체의 운전 위치 또는 테스트 위치에서 진공차단기가 온/오프 동작을 할 수 있도록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는 컨트롤 잭이 설치되고, 차단기본체에는 컨트롤 잭이 접속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컨트롤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 잭이 컨트롤 커넥터에 꽂혀 있지 않은 상태에서 차단기본체를 인입출하거나 또는 운전위치에서 컨트롤 잭이 컨트롤 커넥터로부터 뽑혀져 있는 경우에는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차단기가 동작하지 않게 되므로 사고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진공차단기는 차단기본체를 인입출할 때나 운전위치일 때에는 컨트롤 잭이 컨트롤 커넥터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서 인출되는 컨트롤 잭이 차단기본체의 컨트롤 커넥터에 접속하지 않으면, 차단기본체의 인출입을 불가하게 하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수납되며 컨트롤 커넥터를 구비하는 차단기본체와, 인출입핸들이 결속되는 핸들결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입핸들을 통해 작동되어 상기 차단기본체를 인출입시키는 인출입유닛과, 상기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 커넥터에 접속 가능한 컨트롤 잭을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 잭의 접속동작에 연동하여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되는 인터록 프레임; 및 상기 핸들결속부에 연동하고, 상기 인터록 프레임이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핸들결속부에 대한 상기 인출입핸들의 결속을 제한하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인출입유닛에 구비되는 이송스크류의 연결단을 덮도록 구비되되 상기 인출입핸들의 결속시 후퇴되는 차단플레이트; 및 상기 차단플레이트에 거동이 일치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인터록 프레임이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후퇴동작이 제한되고, 상기 인터록 프레임이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후퇴 가능하도록 구성된 인터록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록 프레임은 끝단에 걸림부가 형성된 인터록 핀을 구비하고, 상기 인터록 레일은 상기 인터록 핀이 삽입되며 상기 걸림부의 직경보다 폭이 좁은 레일홈을 구비하고, 상기 레일홈에는 전단에 상기 걸림부의 직경보다 폭이 큰 해제홈부와, 상기 해제홈부의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걸림부의 직경보다 폭이 좁은 록킹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록 핀은 상기 인터록 프레임이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걸림부가 상기 레일홈에 배치되고, 상기 인터록 프레임이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걸림부가 상기 레일홈에서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인터록 프레임이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레일홈에 걸려서 상기 인터록 프레임이 제1 위치로 복귀되는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해제홈부는 상기 차단기본체가 점검위치(TEST)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인터록 핀이 위치하는 부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홈은 상기 차단기본체의 인입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록 프레임에는 체결홈이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 잭에 구비되며 상기 체결홈에 체결 가능하도록 돌출된 인터록 바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록 바는 상기 컨트롤 잭의 양측에 대칭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트롤 잭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 커넥터의 접속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컨트롤 커넥터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접속유지 가이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컨트롤 잭이 컨트롤 커넥터에 접속된 상태에서만 차단기본체의 인출입이 가능하고, 차단기의 운전위치 및 인출입 동작 중에는 컨트롤 잭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구성되어, 차단기의 운전시 안정성과 신뢰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가 채용된 회로차단기의 차단기본체와 인출입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가 회로차단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인출입 인터록 장치의 록킹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인출입 인터록 장치의 록킹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컨트롤 잭의 사시도.
도 7은 컨트롤 잭과 컨트롤 커넥터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인터록 바와 인터록 프레임의 체결구조 및 접속유지 가이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차단플레이트, 인터록 레일 및 인터록 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인터록 핀의 측면도.
도 11은 차단플레이트, 인터록 레일 및 인터록 핀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인출입핸들이 핸들결속부에 결속된 상태의 차단플레이트, 인터록 레일 및 인터록 핀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가 채용된 회로차단기의 차단기본체가 인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차단기본체가 인입된 상태의 인터록 레일 및 인터록 핀을 나타내는 평면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200)는 차단기본체(110), 인출입유닛(130) 및 컨트롤 잭(150)을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기본체(110)는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수납된 상태로 후술할 인출입유닛(130)에 구비되는 이송스크류(136)에 연결되어 이송스크류(136)의 회전에 의해 전진 및 후퇴되어 인출입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기본체(110)에는 후술할 컨트롤 잭(150)이 접속되는 컨트롤 커넥터(120)가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 커넥터(120)는 차단기본체(110)에 공급되는 전원 및 제어신호를 컨트롤 잭(150)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수신단자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인출입유닛(130)은 인출입핸들(140)이 결속될 수 있는 핸들결속부(132)와, 인출입핸들(140)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136)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인출입유닛(130)은 인출입핸들(140)을 통해 이송스크류(136)가 작동되어 차단기본체(110)를 인출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잭(150)은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구비되며, 컨트롤 커넥터(120)에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 잭(150)은 차단기 본체로 전원 및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송전라인에 해당한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200)는 인터록 프레임(210), 복귀 스프링(214), 인터록 핀(220), 록킹부(230), 레일 가이드(240), 인터록 바(250) 및 접속유지 가이드(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록 프레임(210)은 차단기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 잭(150)의 접속동작에 연동하여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위치는 컨트롤 잭(150)이 컨트롤 커넥터(120)에 접속되지 않아서 인터록 프레임(21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의 위치를 의미하며, 상기 제2 위치는 컨트롤 잭(150)이 컨트롤 커넥터(120)에 접속되어 인터록 프레임(210)이 컨트롤 잭(150)에 의해 눌려서 하강한 상태의 위치를 의미한다.
도 4에는 인터록 프레임(210)이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인터록 프레임(210)이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프레임(210)은 상단부가 컨트롤 커넥터(12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차단기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프레임(210)의 상단부에는 체결홈(2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홈(212)은 후술할 컨트롤 잭(150)에 구비되는 인터록 바(250)가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복귀 스프링(214)은 인터록 프레임(2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된 경우에 인터록 프레임(210)이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인터록 프레임(210)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복귀 스프링(214)은 일단이 차단기본체(110)에의 내부구조물에 연결되고, 타단이 인터록 프레임(210)에 연결되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터록 핀(220)은 인터록 프레임(210)의 하단에 인터록 프레임(210)과 거동이 일치되도록 구비되며, 하방으로 연장된 바 형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록 핀(220)은 후술할 인터록 레일(234)에 형성된 레일홈(235)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인터록 핀(220)은 끝단에 걸림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22)는 후술할 인터록 레일(234)에 형성된 레일홈(235)의 폭보다 직경이 넓은 형태로 구성되어, 레일홈(235)을 통과하여 인터록 레일(234)의 내측에 배치되는 레일홈(235)에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록킹부(230)는 인출입유닛(130)의 핸들결속부(132)에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인터록 프레임(210)이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핸들결속부(132)에 인출입핸들(140)이 결속되지 않도록 인출입핸들(140)의 결속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록킹부(230)는 차단플레이트(232) 및 인터록 레일(2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플레이트(232)는 인출입유닛(130)에 구비되는 이송스크류(136)의 연결단(137)을 덮도록 구비되되 인출입핸들(140)의 결속시 인출입핸들(140)에 의해 밀려서 후퇴되어 이송스크류(136)의 연결단(137)이 차단플레이트(23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스크류(136)의 연결단(137)은 이송스크류(136)의 전단에 형성되며, 인출입핸들(140)에 결속되어 인출입핸들(14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부위이다.
일 실시예에서, 차단플레이트(232)는 이송스크류(136)의 연결단(137)의 전방에 배치되며, 연결단(137)은 관통할 수 있고 인출입핸들(140)은 관통할 수 없는 관통구멍(23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인출입핸들(140)은 차단플레이트(232)를 후퇴시켜서 관통구멍(233)을 통해 돌출되는 이송스크류(136)의 연결단(137)에 결속될 수 있다.
이때, 차단플레이트(232)가 충분한 거리만큼 후퇴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송스크류(136)의 연결단(137)에 인출입핸들(140)이 결속되지 않게 되어 인출입핸들(140)의 회전력이 이송스크류(136)에 전달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핸들결속부(132)에는 차단플레이트(232)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된 경우에 차단플레이트(232)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1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 레일(234)은 차단플레이트(232)에 거동이 일치되도록 결합되며, 인터록 프레임(210)이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후퇴동작이 제한되고, 인터록 프레임(210)이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후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레일(234)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본체(110)의 인입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록 레일(234)은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고정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레일(234)의 상단에는 레일홈(235)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홈(235)은 인터록 핀(220)이 삽입될수 있으며 걸림부(222)의 직경보다 폭이 좁은 개구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레일홈(235)은 차단기본체(110)의 인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인터록 레일(234)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형태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레일홈(235)에는 해제홈부(235a)와 록킹홈부(235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해제홈부(235a)는 레일홈(235)의 전단에 구비되며 인터록 핀(220)의 걸림부(222)의 직경보다 폭이 큰 형태의 구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홈부(235b)는 해제홈부(235a)의 전방으로 연장되고 인터록 핀(220)의 걸림부(222)의 직경보다 좁고 인터록 핀(220)이 관통될 수 없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인터록 핀(220)은 인터록 프레임(210)이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걸림부(222)가 레일홈(235)에 배치되고, 인터록 프레임(210)이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걸림부(222)가 레일홈(235)에서 벗어나는 위치 즉, 인터록 레일(234)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록 핀(220)의 걸림부(222)는 인터록 프레임(210)이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레일홈(235)의 하방 즉, 인터록 레일(234)의 내측에 배치되어 레일홈(235)에 걸려서 인터록 프레임(210)이 제1 위치로 상승되는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단, 인터록 핀(220)의 걸림부(222)가 해제홈부(235a)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걸림부(222)가 해제홈부(235a)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인터록 프레임(210)이 제1 위치로 상승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레일 가이드(24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본체(110)의 내부에 고정되며, 인터록 레일(234)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 형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 가이드(240)는 차단기본체(110)가 인터록 레일(23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차단기본체(11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터록 바(25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잭(150)에 구비되며, 인터록 프레임(210)의 상단에 형성된 체결홈(212)에 삽입 체결 가능하도록 컨트롤 잭(15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록 바(25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잭(150)이 컨트롤 커넥터(120)에 접속될 때 인터록 프레임(210)의 체결홈(212)에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인터록 바(250)를 먼저 체결홈(212)에 삽입시킨 후 컨트롤 잭(150)을 하방으로 눌러서 컨트롤 커넥터(120)에 접속시킬 수 있다.
이때, 컨트롤 잭(150)의 접속동작에 따라 인터록 바(250)는 인터록 프레임(210)을 하방으로 눌러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인터록 바(250)는 컨트롤 잭(150)이 컨트롤 커넥터(120)에서 분리될 때 인터록 프레임(210)을 상방으로 당겨서 제1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바(250)는 컨트롤 잭(150)의 양측에 대칭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바(250)는 컨트롤 잭(150)의 전면과 후면에 대칭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컨트롤 잭(150)의 좌측과 우측에 대칭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인터록 바(250)가 컨트롤 잭(150)의 양측에 대칭형태로 구비되는 구조는 컨트롤 잭(150)에 연결되고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서 인출되는 케이블이 배전반 또는 크래들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디에서 인출되더라도 유동적으로 적응하여 컨트롤 커넥터(120)에 접속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접속유지 가이드(260)는 컨트롤 잭(150)에 구비되며, 컨트롤 커넥터(120)의 접속방향으로 연장되어 컨트롤 커넥터(120)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는 부분이다.
접속유지 가이드(260)는 컨트롤 잭(150)이 컨트롤 커넥터(120)에 접속된 경우에 컨트롤 잭(150)이 컨트롤 커넥터(120)에서 좌우나 전후 방향으로 비틀리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컨트롤 잭(150)을 컨트롤 커넥터(120)에 견고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접속유지 가이드(260)는 컨트롤 잭(150)이 경사지게 분리되거나 비틀어져서 분리되어 인터록 바(250)가 체결홈(212)에서 탈거된 상태로 컨트롤 잭(150)이 컨트롤 커넥터(1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접속유지 가이드(260)는 인터록 프레임(210)이 제1 위치로 이동되지 않는 상태로 컨트롤 잭(15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200)의 록킹 및 록킹해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록킹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컨트롤 잭(150)이 컨트롤 커넥터(120)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인터록 프레임(210)이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인터록 핀(220)의 걸림부(222)가 해제홈부(235a) 위치한다.
이때, 인출입핸들(140)과 이송스크류(136)의 결속을 위해 차단플레이트(232)에 후방으로 미는 힘을 가하여도 걸림부(222)의 직경이 록킹홈부(235b)의 폭보다 크므로 걸림부(222)가 록킹홈부(235b)에 수용되지 못하고 인터록 레일(234)의 몸체가 걸림부(222)에 걸리게 되어 차단플레이트(232)의 후퇴 동작이 제한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200)는 컨트롤 잭(150)이 컨트롤 커넥터(120)에 접속되지 않는 상태에서 인출입핸들(140)이 핸들결속부(132)에 결속되지 못하므로, 차단기본체(110)의 인출입이 불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록킹해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컨트롤 잭(150)이 컨트롤 커넥터(120)에 접속되는 경우, 인터록 프레임(210)이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인터록 핀(220)의 걸림부(222)가 하강하여 레일홈(235)의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입핸들(140)과 이송스크류(136)의 결속을 위해 차단플레이트(232)에 후방으로 미는 힘이 가해지면 차단플레이트(232) 및 인터록 레일(234)이 후퇴되어 인터록 핀(220)이 록킹홈부(235b)에 위치하게 되고, 인출입핸들(140)과 이송스크류(136)가 결속될 수 있게 된다.
이후, 인출입핸들(140)을 사용하여 이송스크류(136)를 일방으로 회전시키면 차단기본체(110)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될 수 있다.
차단기본체(110)가 인입된 상태(차단기 운전위치)에서, 인터록 핀(22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홈(235)의 후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레일홈(235)은 폭이 인터록 핀(220)의 걸림부(222)의 직경보다 좁게 구성되므로, 걸림부(222)가 레일홈(235)을 빠져나올 수 없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200)는 차단기본체(110)가 인입된 상태에서 컨트롤 잭(150)이 분리될 수 없도록 컨트롤 잭(150)을 잠그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차단기본체(110)가 전방으로 이송되어 인터록 핀(220)이 해제홈부(235a)에 위치하는 경우에 걸림부(222)가 해제홈부(235a)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록 프레임(210)의 상승을 제한하는 동작이 해제되어, 컨트롤 잭(150)은 컨트롤 커넥터(120)에서 분리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해제홈부(235a)는 차단기본체(110)가 점검위치(TEST)에 위치한 경우에 인터록 핀(220)이 위치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200)는 차단기본체(110)가 점검위치에 있는 경우에 컨트롤 잭(150)이 분리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10: 차단기본체 120: 컨트롤 커넥터
130: 인출입유닛 132: 핸들결속부
134: 탄성부재 136: 이송스크류
137: 연결단 140: 인출입핸들
150: 컨트롤 잭
200: 인터록 장치 210: 인터록 프레임
212: 체결홈 214: 복귀 스프링
220: 인터록 핀 222: 걸림부
230: 록킹부 232: 차단플레이트
233: 관통구멍 234: 인터록 레일
235: 레일홈 235a: 해제홈부
235b: 록킹홈부 240: 레일 가이드
250: 인터록 바 260: 접속유지 가이드

Claims (10)

  1.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수납되며 컨트롤 커넥터를 구비하는 차단기본체와, 인출입핸들이 결속되는 핸들결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입핸들을 통해 작동되어 상기 차단기본체를 인출입시키는 인출입유닛과, 상기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 커넥터에 접속 가능한 컨트롤 잭을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 잭의 접속동작에 연동하여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되는 인터록 프레임; 및
    상기 핸들결속부에 연동하고, 상기 인터록 프레임이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핸들결속부에 대한 상기 인출입핸들의 결속을 제한하는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록 프레임에는 체결홈이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 잭에 구비되며 상기 체결홈에 체결 가능하도록 돌출된 인터록 바를 더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인출입유닛에 구비되는 이송스크류의 연결단을 덮도록 구비되되 상기 인출입핸들의 결속시 후퇴되는 차단플레이트; 및
    상기 차단플레이트에 거동이 일치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인터록 프레임이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후퇴동작이 제한되고, 상기 인터록 프레임이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후퇴 가능하도록 구성된 인터록 레일;
    을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프레임은 끝단에 걸림부가 형성된 인터록 핀을 구비하고,
    상기 인터록 레일은 상기 인터록 핀이 삽입되며 상기 걸림부의 직경보다 폭이 좁은 레일홈을 구비하고,
    상기 레일홈에는 전단에 상기 걸림부의 직경보다 폭이 큰 해제홈부와, 상기 해제홈부의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걸림부의 직경보다 폭이 좁은 록킹홈부가 형성된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핀은 상기 인터록 프레임이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걸림부가 상기 레일홈에 배치되고, 상기 인터록 프레임이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걸림부가 상기 레일홈에서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인터록 프레임이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레일홈에 걸려서 상기 인터록 프레임이 제1 위치로 복귀되는 동작을 제한하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홈부는 상기 차단기본체가 점검위치(TEST)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인터록 핀이 위치하는 부위에 형성된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홈은 상기 차단기본체의 인입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바는 상기 컨트롤 잭의 양측에 대칭형태로 구비되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잭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 커넥터의 접속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컨트롤 커넥터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접속유지 가이드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KR1020150062116A 2015-04-30 2015-04-30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KR101701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116A KR101701816B1 (ko) 2015-04-30 2015-04-30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116A KR101701816B1 (ko) 2015-04-30 2015-04-30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087A KR20160130087A (ko) 2016-11-10
KR101701816B1 true KR101701816B1 (ko) 2017-02-03

Family

ID=57484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116A KR101701816B1 (ko) 2015-04-30 2015-04-30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8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954B1 (ko) * 2019-12-17 2021-07-26 엘에스일렉트릭(주)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636B1 (ko) * 2009-03-11 2011-07-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대차 인입출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087A (ko) 201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9702B1 (en) Plug interlock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CN101937799B (zh) 用于防止断路器抽出和插入的装置
US9685282B2 (en) Door interlock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CN107872027B (zh) 用于防止在配电盘中的断路器插入或取回过程中闭合的互锁装置
CN102035148A (zh) 用于具有测试位置的低压面板的功能单元
KR101701816B1 (ko)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KR101667258B1 (ko)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JPH0587929B2 (ko)
KR101883574B1 (ko)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장치
CN210723923U (zh) 一种带有程序锁的底盘车及开关柜
KR100954559B1 (ko) 이단 인입/인출 구조를 갖는 동작표시형 배전반
KR100954557B1 (ko) 이단 인입/인출 구조를 갖는 멀티 배전반
KR200489519Y1 (ko) 진공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KR100954558B1 (ko) 이단 인입/인출 구조를 갖는 배전반
KR100364827B1 (ko) 진공 차단기의 자동연결장치
CN212587962U (zh) 一种手车二次插头联锁装置
CN110235324B (zh) 断路器
CN219073101U (zh) 一种碎煤系统的高效安全的开关闭锁装置
JPH07274324A (ja) 引出し型機器における制御回路コネクタのインタロック機構
KR20110090124A (ko) 진공차단기 인출입 중 접지개폐기의 구동방지 장치
KR20180005486A (ko)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20210112025A (ko)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
CN202585187U (zh) 高压开关设备联锁装置
JPH03173305A (ja) 引出形遮断器
JPH0723510A (ja) 配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