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4827B1 - 진공 차단기의 자동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차단기의 자동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4827B1
KR100364827B1 KR1020000008031A KR20000008031A KR100364827B1 KR 100364827 B1 KR100364827 B1 KR 100364827B1 KR 1020000008031 A KR1020000008031 A KR 1020000008031A KR 20000008031 A KR20000008031 A KR 20000008031A KR 100364827 B1 KR100364827 B1 KR 100364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connector
guide
pin
circuit break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8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6636A (ko
Inventor
윤선기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08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4827B1/ko
Publication of KR20010086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marble or other natural st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상기 진공차단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를 자동으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소비자의 안전을 배가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배전반에 장착된 크레들과, 상기 배전반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대차부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크레들에 구비되어 상기 대차부의 상단측으로 연장된 가이드수단과; 상기 가이드수단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일측에 핀홈이 형성된 피메일 커넥터와; 상기 대차부에 구비되어 상기 대차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피메일 커넥터에 핀결합되도록 일측에 핀이 형성된 메일 커넥터가 포함되어 구성된 진공차단기의 자동연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진공 차단기의 자동연결장치{auto connector of a vacuum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진공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진공차단기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차단기는 정상부하시의 개폐 및 사고전류 차단시에 발생되는 아크(Arc)를 진공 용기 내에서 소호시켜 신속하게 회로를 분리시키는 회로 및 기기보호용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차단기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있다.
모선(2)과 연결되어 고압의 전류를 인가받는 크레들(3)과, 동작시 상기 크레들과 연결되는 주회로부(4)와, 동작시 상기 주회로부를 상기 크레들에 연결시키는 등 다양한 기능을 보유한 대차부(5)로 대별되고, 상기 모든 부품들은 뼈대역할을 하는 배전반(1)에 안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진공차단기는 다음과 같은 동작 및 역할을 수행한다.
첫째, 상기 주회로부(4)에는 전류차단부(도시생략), 절연부(도시생략), 소호장치(도시생략)가 구비되어있고, 상기 전류차단부는 접점을 구성하는 주변요소로서, 접점은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접점은 진공차단기의 기계가동부와 연동되어 진공차단기가 '투입'상태인 경우에는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접촉되어있고, 접촉저항에 의해 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방해받지 않도록 상기 가동접점면에 충분한 압력이 걸리도록 장착되며, 차단시에는 상기 가동접점이 소정의 속도로 소정거리까지 이동되어 분리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절연부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절연부는 에폭시 몰드 또는 비엠시(BMC)수지물로 이루어져있다.
그리고, 소호장치는 진공차단기의 접점개폐 및 사고전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하도록 한 것이다.
둘째, 상기 대차부(5)는 진공차단기의 접점을 개폐하는 기계적인 메카니즘을 말하는 것으로, 진공차단기의 전면에 구성되어있는 모든 작동장치가 이에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장치는 보조장치(도시생략)를 갖는데, 보조장치는 진공차단기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부속장치로서, 제어장치, 인터록 장치, 인입출장치 및 안전장치가 이에 해당된다.
한편,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상기 진공차단기는 소비자의 안전에 중요한 대상물임은 당연하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든 장치가 원활한 동작을 수행하는지를 체크하기 위해, 별도의 전원을 이용한 검사장치가 더 부가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검사장치는 상기 모든 장치들과 함께 폐회로를 구성하며,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소비자가 체크된 사항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진공차단측에 설치되거나 다른 곳에 따로 설치된 인식기(6)와; 일단이 상기 대차부의 상면(5a)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진공차단기의 여러 장치들과 연결되고, 타단에 핀홈이 형성된 피메일 커넥터(8)와; 일단에 상기 피메일 커넥터의 핀홈에 연결되도록 핀이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인식기와 연결된 메일 커넥터(7)로 구성되어 소비자가 직접 상기 메일 커넥터를 잡고 상기 피메일 커넥터에 핀결합시키도록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검사장치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작동시 상기 장치들이 오작동되는 것을 미연에 막기 위해, 장치의 회로부가 단락 또는 단선이 되었는지를 체크하거나, 작동되어도 소비자에게 안전한가를 체크하게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검사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안전을 체크하기 위해 상기 메일 커넥터(7)을 상기 피메일 커넥터(8)에 수동결합시키는 과정에서 기기의 오작동으로 고압의 전류가 흘러 소비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 상기 피메일 커넥터(8)가 상기 대차부의 상면(5a)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어, 연결하기에 불편함과 분리함에 있어서도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셋째, 상기 검사장치의 피메일 커넥터(8)와 메일 커넥터(7)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통전되는 것을 막기 위해 별도의 분리용 도구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상기 진공차단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를 자동으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소비자의 안전을 배가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차단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연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연결장치가 장착된 진공차단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테스트 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연결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b는 테스트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연결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c는 크레들에 주회로부가 연결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연결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연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 3의 "A"부 상세도.
도 6a는 핀결합 전 본 발명에 따른 잠금수단의 상태를 나타낸 요부 상세도.
도 6b는 핀결합시 본 발명에 따른 잠금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요부 상세도.
도 6c는 핀결합 후 본 발명에 따른 잠금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요부 상세도.
도 6d는 핀해체시 본 발명에 따른 잠금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요부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배전반 3: 크레들
5: 대차부 10: 가이드수단
11: 수평가이드앵글 12: 수직가이드앵글
13: 가이드판 13a: 걸림돌기
14: 지지판 14a: 구멍
15: 레일 20: 피메일 커넥터
21: 핀홈 22: 안내구멍
23: 연장부 23a, 23b: 절곡부
23c: 통과공 23d: 걸이
30: 메일 커넥터 31: 핀
32: 걸림홈 41: 스프링
51: 록킹레버 51a: 록킹레버의 한 끝단부
51b: 록킹레버의 다른 끝단부 52: 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배전반에 장착된 크레들과, 상기 배전반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대차부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크레들에 구비되어 상기 대차부의 상단측으로 연장된 가이드수단과; 상기 가이드수단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일측에 핀홈이 형성된 피메일 커넥터와; 상기 대차부에 구비되어 상기 대차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피메일 커넥터에 핀결합되도록 일측에 핀이 형성된 메일 커넥터가 포함되어 구성된 진공차단기의 자동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내용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연결장치가 장착된 진공차단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a는 테스트 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연결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b는 테스트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연결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4c는 크레들에 주회로부가 연결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연결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와 함께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연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 3의 "A"부 상세도이다.
그리고 도 6a는 핀결합 전 본 발명에 따른 잠금수단의 상태를 나타낸 요부 상세도이고, 도 6b는 핀결합시 본 발명에 따른 잠금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요부 상세도이며, 도 6c는 핀결합 후 본 발명에 따른 잠금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요부 상세도이고, 도 6d는 핀해체시 본 발명에 따른 잠금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낸요부 상세도이다.
도 3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있다.
상기 크레들(3)에 구비되어 상기 대차부(5)의 상단측으로 연장된 가이드수단(10)과; 상기 가이드수단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일측에 핀홈(21)이 형성된 피메일 커넥터(20)와; 상기 대차부에 구비되어 상기 대차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피메일 커넥터에 핀결합되도록 일측에 핀(31)이 형성된 메일 커넥터(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역할 및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본 발명은 상기 대차부(5)에 구비된 상기 메일 커넥터(30)가 상기 대차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수단(10)에 설치된 상기 피메일 커넥터(20)에 자동으로 핀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소비자의 안정에 중점을 둔 것으로서, 종래기술에서 언급된바 있듯이 상기 대차부(5)의 이동에 따라 주회로부(4)가 상기 크레들(3)과 전기적으로 온/오프 되도록 하여 모선의 고압의 전류를 인가받게된다.
따라서 상기 주회로부(4)와 상기 크레들(3)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전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메일 커넥터(20)에 상기 메일 커넥터(30)를 핀결합시켜 장치의 안전진단을 미리 수행하는 테스트과정을 거치게된다.
그 후 테스트 결과가 양호하면 상기 대차부(5)는 계속이동하여,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회로부(4)와 상기 크레들(3)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수단(1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피메일 커넥터(20)와 상기 대차부(5)에 구비된 메일 커넥터(30)도 핀결합된 상태로 함께 이동하게된다.
그 후 상기 이동이 끝나면 종래기술에서 언급된바와 같이 모선의 고압 전류가 진공차단기를 거쳐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곳에 인가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인 가이드수단(10)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있다.
상기 크레들(3)의 상단부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대차부(5)측으로 소정거리 연장된 수평가이드앵글(11)과, 상기 수평가이드앵글과 수직되게 상기 수평가이드 앵글의 끝단부에 일측이 각각 결합됨과 동시에 타측이 상기 크레들의 하단부 양측면에 각각 구비된 수직가이드앵글(12)과, 상기 수평가이드앵글의 두 끝단부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결합된 가이드판(13)과, 상기 가이드판에 구비되어 상기 피메일 커넥터(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가이드수단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대차부(5)의 이동에 따라 상기 메일 커넥터(30)는 상기 피메일커넥터(20)에 자동으로 핀결합되도록 한 것이므로, 상기 피메일 커넥터의 위치가 가변되면 상기 메일 커넥터가 상기 피메일 커넥터에 정확한 핀결합을 수행 할 수 없게되어, 본 발명의 목적인 자동연결이 불가능하게된다.
따라서 상기 피메일 커넥터(20)의 위치가 가변되지 못하도록 상기와 같은 수평가이드앵글(11), 수직가이드앵글(12), 가이드판(13) 그리고 가이드레일 부재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가이드앵글(11)의 길이인 소정거리 연장시킨 길이의 의미는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상기 대차부(5) 이동량에 따른 핀결합시기와, 상기 대차부의 이동량에 따른 상기 주회로부(4)와 상기 크레들(3)과의 연결관계에서 발생되는 행정거리를 의미한다.
즉, 상기 행정거리는 진공차단기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수단(10)은 상기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상기 피메일 커넥터(20)가 상기 메일커넥터(30)에 정확한 핀결합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물을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수단의 구성인 가이드레일 부재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있다.
가이드판(13)의 저면에 고정된 지지판(14)과, 상기 지지판에 설치된 레일(15)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피메일 커넥터(20)에 안내구멍(22)(또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커넥터의 후면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23)와, 상기 연장부가 상기 지지판를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지지판의 일측에 구멍(14a)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레일 부재의 역할은 상기 구성요소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이동하는 물체를 원활하게 안내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 부재의 구성인 연장부(23)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메일 커넥터의 핀홈(21)과 연결되는 다수개의 전선들이 좌/우 이동없이 안착되도록 양측에 절곡부(23a)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상기 절곡부의 높이 보다 큰 절곡부(23b)가 형성됨과 함께 그 절곡부에 상기 전선들이 통과되도록 통과공(23c)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도 4a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하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 탄성수단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가이드판(13)에 형성된 걸림돌기(13a)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의 연장부(23)에 돌출형성된 걸이(23d)와, 일단은 상기 걸림돌기에 안착되고 타단은 상기 걸이에 안착된 스프링(41)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탄성수단은 다음과 같은 역할 및 동작을 수행한다.
핀결합시 결합력을 부가시켜 주도록 상기 피메일 커넥터(20)에 탄성력을 인가시킴과 동시에 핀해체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피메일 커넥터에 복원력을 인가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동작수행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첫째,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도 4a의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대차부(5)가 전진하여, 도 4b와 같이 상기 메일 커넥터(30)가 상기 피메일 커넥터(20)에 핀결합될 때, 상기 스프링(41)이 보유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피메일 커넥터가 정지하려는 힘을 받기 때문에 앞으로 전진하지 않게 되어 원활한 핀결합이 이루어진다.
둘째, 테스트 결과가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도 4c와 같이 상기 대차부(5)의 전진에 의해 상기 주회로부(4)가 상기 크레들(3)에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스프링(41)의 탄성력은 상기 대차부가 이동되는 힘보다 작게되어 상기 스프링이 늘어나면서 핀결합된 상기 피메일 커넥터(20)와 상기 메일 커넥터(30)는 앞으로 전진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은 원위치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을 가지게된다.
셋째, 상기 크레들(3)과 상기 주회로부(4)를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대차부(5)를 뒤로 후퇴시키면, 상기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핀결합된 상기 피메일 커넥터(20)와 상기 메일 커넥터(30)가 뒤로 후퇴되도록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도 5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하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 잠금수단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피메일 커넥터(20)의 양측면에 각각 힌지결합된 록킹레버(51)와, 일단은 상기 각 록킹레버의 한끝단부(51a)에 걸리고 타단은 상기 피메일 커네터의 연장부(22)에 걸려 장착된 스프링(52)과, 핀결합시 상기 록킹레버의 다른 끝단부(51b)가 안착되어 록킹되도록 상기 메일 커넥터(30)의 양측면에 걸림홈(3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 잠금수단은 다음과 같은 역할 및 동작을 수행한다.
핀결합 후 상기 메일 커넥터(30)가 상기 피메일 커넥터(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동작수행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첫째,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핀결합될 때, 상기 메일 커넥터(30)는 상기 록킹레버(51)로 이동되고(도6a의 화살표 참조), 상기 메일 커넥터가 전지함에 따라록킹레버의 스프링측에 위치한 끝단부(51a)를 밀게되어(도6b의 화살표 참조), 힌지결합된 록킹레버의 타단부(51b)는 상기 메일 커넥터의 걸림홈부(32)에 안착됨과 동시에 록킹되는데(도6c 참조), 이때 상기 스프링(52)은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을 가지게된다.
둘째, 테스트 결과가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대차부(5)가 이동되어 상기 주회로부(4)가 상기 크레들(3)에 연결되는데(도4c 참조), 상기 잠금수단은 록킹된 상태를 유지하게되고 상기 스프링은 계속 복원력을 보유하게된다.
셋째, 진공차단기를 점검하기 위해 상기 대차부(5)를 뒤로 완전히 후퇴시키면, 핀결합된 상기 피메일 커넥터(20)와 상기 메일 커넥터(30)가 뒤로 후퇴되는데, 상기 피메일 커넥터는 소정거리인 테스트시 필요한 행정거리에서 정지하게되고 상기 메일 커넥터는 계속 후퇴하게된다.
이때, 도 6d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록킹레버의 스프링측에 위치한 끝단부(51a)를 누르고 있었던 상기 메일 커넥터(30)는 핀해체되면서 뒤로 후퇴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52)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메일 커넥터의 걸림홈부(32)에 안착되었던 상기 록킹레버의 타단부(51b)가 원위치되어 상기 메일 커넥터는 완전히 핀해체되도록 동작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를 자동으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게됨에 따라 소비자의 안전을 배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텍터를 자동으로 결합 및 분리시킬 수있게됨에 따라 소비자의 편리함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핀결합된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통전되는 것을 막기 위해 별도의 분리용 도구할 필요가 없게됨에 따라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Claims (8)

  1. 배전반에 장착된 크레들과, 상기 배전반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대차부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크레들의 상단부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대차부측으로 소정거리 연장된 수평가이드앵글과, 상기 수평가이드앵글과 수직되게 상기 수평가이드 앵글의 끝단부에 일측이 각각 결합됨과 동시에 타측이 상기 크레들의 하단부 양측면에 각각 구비된 수직가이드앵글과, 상기 수평가이드앵글의 두 끝단부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결합된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에 구비되어 상기 피메일 커넥터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부재가 포함된 가이드수단;
    상기 가이드수단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일측에 핀홈이 형성된 피메일 커넥터;
    상기 대차부에 구비되어 상기 대차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피메일 커넥터에 핀결합되도록 일측에 핀이 형성된 메일 커넥터;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자동연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레일 부재는;
    가이드판의 저면에 고정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설치된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피메일 커넥터에 안내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커넥터의 후면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가 상기 지지판를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지지판의 일측에 구멍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자동연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피메일 커넥터의 핀홈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전선들이 좌/우 이동없이 안착되도록 양측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그 끝단에 상기 절곡부의 높이 보다 큰 절곡부가 형성됨과 함께 그 절곡부에 상기 전선들이 통과되도록 통과공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자동연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과 상기 피메일 커넥터 사이에 장착되어, 핀결합시 결합력을 부가시켜 주도록 상기 피메일 커넥터에 탄성력을 인가시킴과 동시에 핀해체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피메일 커넥터에 복원력을 인가시켜주는 탄성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자동연결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탄성수단은;
    상기 가이드판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 절곡부에 형성된 걸이와,
    일단은 상기 걸림돌기에 안착되고 타단은 상기 걸이에 안착된 스프링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자동연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커넥터상에 구비되어 핀결합 후 상기 메일 커넥터가 상기 피메일 커넥터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잠금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자동연결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커넥터의 양측면에 각각 힌지결합된 록킹레버와,
    일단은 상기 각 록킹레버의 한끝단부에 걸리고 타단은 상기 피메일 커네터의 연장부에 걸려 장착된 스프링과,
    핀결합시 상기 록킹레버의 다른 끝단부가 안착되어 록킹되도록 상기 메일 커넥터의 양측면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자동연결장치.
KR1020000008031A 2000-02-19 2000-02-19 진공 차단기의 자동연결장치 KR100364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031A KR100364827B1 (ko) 2000-02-19 2000-02-19 진공 차단기의 자동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031A KR100364827B1 (ko) 2000-02-19 2000-02-19 진공 차단기의 자동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636A KR20010086636A (ko) 2001-09-15
KR100364827B1 true KR100364827B1 (ko) 2002-12-16

Family

ID=1964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031A KR100364827B1 (ko) 2000-02-19 2000-02-19 진공 차단기의 자동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48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55545A1 (en) * 2009-12-31 2011-06-30 Ls Industrial Systems Co., Ltd Plug inter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and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KR101078955B1 (ko) * 2010-03-23 2011-11-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367B1 (ko) * 2002-03-15 2005-02-02 엘지산전 주식회사 인출형 기중차단기의 안전장치
KR101415776B1 (ko) * 2010-05-31 2014-07-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55545A1 (en) * 2009-12-31 2011-06-30 Ls Industrial Systems Co., Ltd Plug inter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and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CN102117719A (zh) * 2009-12-31 2011-07-06 Ls产电株式会社 用于断路器的插头联锁装置和具有该装置的断路器
KR101068757B1 (ko) 2009-12-31 2011-09-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US8575502B2 (en) * 2009-12-31 2013-11-05 Ls Industrial Systems Co., Ltd. Plug inter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and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KR101078955B1 (ko) * 2010-03-23 2011-11-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US8481875B2 (en) 2010-03-23 2013-07-09 Ls Industrial Systems Co., Ltd. Plug interlock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636A (ko) 200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4287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deadfront visible loadbreak
EP2369702B1 (en) Plug interlock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KR101860349B1 (ko) 인출형 차단기의 제어단자 접속장치
US6746250B2 (en) Connection for a distribution network
US10580597B2 (en) High current, compact fusible disconnect switch with dual slider bar actuator assembly
CN107872027B (zh) 用于防止在配电盘中的断路器插入或取回过程中闭合的互锁装置
US11189994B2 (en) Circuit breaker
KR100364827B1 (ko) 진공 차단기의 자동연결장치
EP3594986B1 (en) Switching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JPH0244619A (ja) バイパス断路器付き電源切り替え開閉装置
KR101470048B1 (ko) 2중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진공차단기의 인출입 장치
KR101704430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JP4908118B2 (ja) 回路遮断器
US10438763B2 (en) Magnetic trip device of air circuit breaker
KR20110015920A (ko)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JP3811934B2 (ja) コントロールセンタの母線接地装置ユニット
JP4908121B2 (ja) 回路遮断器
JPH03198311A (ja) 計器用変成器
KR0172808B1 (ko) 배선용차단기의 트립장치
JPH0632731Y2 (ja) 引出形しゃ断器
KR20220135013A (ko)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
KR101026579B1 (ko) 회로 차단기
EP1220258A2 (en) Accessory device for a low-voltage circuit breaker
KR101131673B1 (ko) 회로차단기
GB2330246A (en) Conduit coupl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