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013A -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 - Google Patents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013A
KR20220135013A KR1020210040461A KR20210040461A KR20220135013A KR 20220135013 A KR20220135013 A KR 20220135013A KR 1020210040461 A KR1020210040461 A KR 1020210040461A KR 20210040461 A KR20210040461 A KR 20210040461A KR 20220135013 A KR20220135013 A KR 20220135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
circuit breaker
plate
key
air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3186B1 (ko
Inventor
이규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10040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186B1/ko
Priority to PCT/KR2022/004102 priority patent/WO2022211360A1/ko
Publication of KR20220135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4Interlocking mechanisms
    • H01H31/08Interlock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parts of the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4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parts of the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투입 동작 및 각 포지션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속하는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 차단기는 크래들과 상기 크래들에 인입출되는 차단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 본체의 오프 버튼에 연결되어 수직 운동하는 인터록 레버; 상기 크래들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송장치부에 수평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인터록 레버의 위치에 따라 이동이 제한 또는 허용되는 셔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부에는 수평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잠금 상태)에서는 상기 인터록 레버 및 셔터 플레이트의 운동을 제한하고, 타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해제 상태)에서는 상기 인터록 레버 및 셔터 플레이트의 운동을 허용하는 키 인터록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 {Air Circuit Breaker having Interlock Device}
본 발명은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투입 동작 및 각 포지션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속하는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 차단기는 송,변전이나 전기회로 등에서 부하를 개폐하거나 접지 혹은 단락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회로를 차단시키는 전기기기이다. 이러한 차단기 중에서 기중차단기는 공기를 소호 매질로 사용하는 차단기로서 주로 저압기기용으로 사용된다.
기중차단기는 배전반이나 기타 장소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고정형과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출형이 있다. 인출형의 경우 차단기 본체의 유지보수에 유리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인출형 차단기의 경우,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 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디스커넥트 포지션(위치, 상태)(Disconnect Position), 테스트 포지션(위치, 상태)(Test Position), 커넥트 포지션(위치, 상태)(Connect Position)의 3가지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디스커넥트 포지션은 크래들로부터 차단기 본체가 인출되어 제어 전원 단자가 분리된 상태이고, 테스트 포지션은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소정거리 인입하여 제어 전원 단자가 접속되어 차단기의 접속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상태이고, 커넥트 포지션(운전 위치, 서비스 위치라고도 한다)은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완전히 인입되어 본체 터미널이 크래들 터미널에 접속되어 주회로가 통전될 수 있는 상태이다.
기중차단기에는 운전 상태 또는 비운전 상태를 유지하거나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목적 등으로 인터록 장치들이 사용된다. 즉, 기중 차단기는 사용자 안전 및 계통의 건정성을 위해 허가되지 않은 주회로의 통전을 방지하고, 임의로 서비스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인터락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인터록 기능은 본체에 적용하여 임의적 투입이 방지되도록 구현하거나, 크래들에 적용하여 임의로 또는 부주의로 위치 이동을 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보통이다. 다시 말하면, 본체 또는 크래들에 각각 분리되는 두가지 인터록으로 구현된다.
한편, 배전 계통에서 차단기는 독자적으로 사용되기도 하비만, 보통은 여러 대의 차단기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상위 또는 하위에 놓인 차단기들을 함께 관리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에 있어서도 일반 전원에 더하여 비상 전원이 설비된 경우, 복수의 전원이 연결되는 차단기는 이중적으로 인터락 장치를 구비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복합적인 상황에서 차단기의 인터록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고 단순화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단기 본체의 투입 동작을 구속하는 기능 및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 내의 각 포지션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속하는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도록 하는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 차단기는 크래들과 상기 크래들에 인입출되는 차단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 본체의 오프 버튼에 연결되어 수직 운동하는 인터록 레버; 상기 크래들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송장치부에 수평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인터록 레버의 위치에 따라 이동이 제한 또는 허용되는 셔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부에는 수평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잠금 상태)에서는 상기 인터록 레버 및 셔터 플레이트의 운동을 제한하고, 타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해제 상태)에서는 상기 인터록 레버 및 셔터 플레이트의 운동을 허용하는 키 인터록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장치부에는 수평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인터록 레버의 위치에 따라 이동이 제한 또는 허용되는 셔터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키 인터록 어셈블리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잠금 상태)에서는 상기 셔터 플레이트의 운동을 제한하고, 타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해제 상태)에서는 상기 셔터 플레이트의 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 인터록 어셈블리는, 상기 이송장치부에 고정되는 하우징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에 수평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터록 플레이트; 및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를 움직이는 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상기 키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키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를 상기 이송장치부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는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가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에는 플레이트 복귀 스프링을 설치할 수 있는 스프링 삽입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에서 상기 스프링 삽입부의 일측에는 스톱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에는 상기 키 어셈블리의 힘을 받는 접촉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에는 상기 인터록 레버의 운동을 제한 또는 허용하는 구속부가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인터록 레버가 상승 하강 운동하는 간격 사이의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 어셈블리는 키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통을 포함하고, 상기 키 어셈블리의 후방부에는 상기 회전통과 함께 회전하는 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에는 상기 접촉부에 힘을 가하는 가압부가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키 어셈블리는 2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 차단기에 의하면 하나의 인터록 장치인 키 인터록 어셈블리에 의해 차단기 본체의 투입 동작을 구속하는 기능 및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 내의 각 포지션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속하는 기능이 동시에 구현된다.
키를 잠금 상태로 돌린 경우 오프 버튼을 누른 상태가 유지되므로 차단기 본체의 투입 제한 기능 및 차단기 본체의 위치 이동을 제한 기능은 계속 유지된다. 이에 따라, 본 차단기의 구속 상태에서 키를 뽑아 다른 차단기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고 투입 작동을 할 수 있다.
키 인터록 어셈블리를 동작시키는 키 어셈블리는 2개조로 구비되어 다른 2개 이상의 차단기와 병행하여 사용 가능하다.
이하 도면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기중 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은 차단기 본체와 크래들이 분리된 상태이고, 도 2는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인입된 상태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필요한 구성들 위주로 도시하고, 기타 구성들은 생략한 채 도시하였다.
도 3은 크래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크래들 하부의 이송장치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셔터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의 이송장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송부 커버 플레이트가 제거된 상태이다.
도 6은 기중 차단기에 적용되는 키 인터록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인입된 상태에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키 인터록 어셈블리 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상세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기중차단기의 전면도로서 도 10은 키 인터록 해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키 인터록 잠금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 내지 도 15는 내부에서 전방을 향해 바라본 상태로서,
도 12는 제1, 제2 키 어셈블리가 모두 해제 상태,
도 13은 제1 키 어셈블리는 잠금 상태, 제2 키 어셈블리는 해제 상태,
도 14는 제1 키 어셈블리는 해제 상태, 제2 키 어셈블리는 잠금 상태,
도 15는 제1, 제2 키 어셈블리가 모두 잠금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기중 차단기의 사시도로서, 도 1은 차단기 본체와 크래들이 분리된 상태이고, 도 2는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인입된 상태이다. 도 3은 크래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크래들 하부의 이송장치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셔터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의 이송장치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송부 커버 플레이트가 제거된 상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는 크래들(200)과 상기 크래들(200)에 인입출되는 차단기 본체(100)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 본체(100)의 오프 버튼(120)에 연결되어 수직 운동하는 인터록 레버(235); 상기 크래들(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송장치부(210)에 수평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인터록 레버(235)의 위치에 따라 이동이 제한 또는 허용되는 셔터 플레이트(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부(210)에는, 수평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잠금 상태)에서는 상기 인터록 레버(235) 및 셔터 플레이트(240)의 운동을 제한하고, 타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해제 상태)에서는 상기 인터록 레버(235) 및 셔터 플레이트(240)의 운동을 허용하는 키 인터록 어셈블리(2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키 인터록 어셈블리(250)는 상기 이송장치부(210)에 고정되는 하우징 플레이트(251);와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51)에 직선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인터록 레버(235)의 하강 및 상기 셔터 플레이트(240)의 이동을 제한하는 인터록 플레이트(27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차단기 본체(100)와 크래들(200)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차단기 본체(100)와 크래들(200)은 내부 구성이 보이도록 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이해하기 쉽도록 주요 부품만 도시되고 기타 부품은 생략되었다.
차단기 본체(100)는 접점부(미도시), 접점부의 개폐가 일어나도록 기계적 힘을 제공하는 개폐기구부(110), 트립부, 아크 소호부(150) 등을 포함한다.
개폐기구부(110)에는 접점부를 개폐 동작하기 위한 온 버튼(128)과 오프 버튼(120)이 마련된다. 온 버튼(128) 또는 오프 버튼(120)이 눌러지면 개폐기구부(110)의 동력에 의해 주축(115)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점부를 개폐한다. 즉, 주회로는 차단되거나 통전된다.
도 8에 오프 버튼(120)이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오프 버튼(120)은 회전축(12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사용자가 오프 버튼(120)을 누르면 버튼이 뒤로 눕는 방식으로 움직이며 (도 8의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 회전축(122)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오프 버튼(120)은 토션 스프링이 구비되어 외력이 제거되면 원위치로 복귀한다.
오프 버튼(120)의 하단부에는 걸림부(124)가 돌출 형성된다. 걸림부(124)는 개폐기구부(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돌출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개폐기구부(110)의 일측면에는 오프 버튼 작용홀(112)이 형성되어, 걸림부(124)가 오프 버튼 작용홀(112)을 관통하여 개폐기구부(110)의 외부로 연장된다. 걸림부(124)는 인터록 연결 부재(130,140)를 동작시킨다.
인터록 연결 부재(130,140)가 개폐기구부(110)의 일측에 마련된다. 인터록 연결 부재(130,140)는 개폐기구부(110)의 측면판(114)에 설치될 수 있다.
전환부재(130)가 마련된다. 전환부재(130)는 오프 버튼(120)의 동작을 승강부재(140)에 전달한다. 전환부재(130)는 회전운동을 하면서 오프 버튼(120)의 걸림부(124)의 회전 운동을 승강부재(140)의 승강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환부재(130)는 중간부에 마련되는 전환부재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적절한 각도로 벌어지도록 연장되는 2개의 팔(arm)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환부재(130)의 일단부에는 걸림홀(134)이 형성된다. 걸림홀(134)에는 오프 버튼(120)의 걸림부(124)가 삽입되어 오프 버튼(120)의 운동이 전환부재(130)에 전달된다. 걸림부(124)는 걸림홀(134) 내에서 소정의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전환부재(130)를 동작시킨다.
전환부재(130)의 타단부에는 후크(136)가 형성된다. 전환부재(130)의 운동은 후크(136)를 통해 승강부재(140)에 전달된다. 전환부재(130)의 타단부가 있는 팔은 활 형태로 휘어져서 후크(136)는 상하 직선 운동에 가깝게 움직인다.
승강부재(140)는 상하운동하도록 마련된다. 승강부재(140)는 개폐기구부(110)의 측면부 하단에 형성되는 홈에 끼워져 승강운동 할 수 있다.
승강부재(140)의 일단부(상단부)에는 전환부재(130)의 후크(136)가 삽입되는 후크홀(142)이 형성된다. 후크홀(142)에 끼워진 후크(136)의 힘을 받아 승강부재(140)는 승강운동한다.
승강부재(140)의 타단부(하단부)에는 작용부(144)가 형성된다. 작용부(144)는 개폐기구부(110)의 측면부 하단에 형성되는 홈에 끼워져 승강운동 할 수 있다.
작용부(144)에는 작용판(146)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작용부(144)는 개폐기구부(110) 측면판(114)의 외부에 배치되고, 작용판(146)은 개폐기구부(110) 측면판(114)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작용판(146)은 인터록 레버(235)를 운동시킨다 (도 9 참조).
오프 버튼(120)이 눌러지면, 오프 버튼(12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전환부재(13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승강부재(140)는 상승 운동한다.
오프 버튼(120)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오프 버튼(120)은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오도록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전환부재(13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승강부재(140)는 하강 운동한다.
온 버튼(128)은 오프 버튼(12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온 버튼(128)는 개폐기구부(110)를 동작시켜 투입 작동이 일어나도록 한다. 이 경우 주회로는 통전된다. 개폐기구부(110)가 투입 작동이 일어나면 접점부의 가동접촉자는 고정접촉자에 접촉하여 주회로는 통전된다.
온 버튼(128)은 오프 버튼(120)이 눌러진 상태에서는 동작하지 않는다. 즉, 온 버튼(128)은 오프 버튼(120)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만 동작한다.
크래들(200)은 전면이 개방된 상자 형태로 형성되어 차단기 본체(100)가 인입출된다. 크래들(200)은 차단기 본체(100)를 지지하고, 차단기 본체(100)가 디스커넥트 위치(disconnected position), 테스트 위치(test position), 운전 위치(service position, connected position)로 이동하고 각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크래들(200)은 주회로에 연결되어 차단기 본체(100)와 주회로의 연결을 매개한다.
크래들(200)의 후면부(후면판)에는 크래들 터미널(205)이 마련된다. 크래들 터미널(205)은 전원측 터미널 및 부하측 터미널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측 터미널 및 부하측 터미널은 각 상별로 마련된다. 예를 들어, 3상 차단기의 경우 전원측 터미널 및 부하측 터미널이 각각 3개씩 구비된다.
크래들(200)의 상면부에는 아크 박스(미도시)가 구비된다. 차단기 본체(100)의 소호부(150)에서 흘러나오는 아크 가스는 아크 박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크래들(200)의 상면부(상면판)에는 제어전원부(206)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전원부(206)는 크래들(200)과 차단기 본체(100)가 주회로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단 동작을 시험하거나 잔류 전류를 제거하는 등 유지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크래들(200)의 측면부에는 차단기 본체(100)의 인입출을 보조하는 기구들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크래들(200)의 측면부 내측에는 가이드(208)가 마련될 수 있다.
크래들(200)의 하면부에는 차단기 본체(100)를 지지하는 동시에 차단기 본체(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장치부(210)가 마련된다.
이송장치부(210)는 베이스 플레이트(212), 전면 조작부(215), 이송부 커버 플레이트(230) 등을 포함한다.
이송장치부(210)에 대해 먼저 개괄적으로 설명하면, 베이스 플레이트(212)는 이송장치부(210)의 하면을 이룬다. 전면 조작부(215)는 핸들(180)을 삽입하여 차단기 본체(100)를 이동시키고, 차단기 본체(100)의 위치를 표시하고, 차단기 본체(1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송부 커버 플레이트(230)는 스크류 등 인입출 장치를 보호한다.
도 3에 크래들(200)이 도시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는 이송장치부(2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전면 조작부(215)의 전면 커버 플레이트(220)가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이송부 커버 플레이트(230)가 제거되고, 셔터 플레이트(240)가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12)는 크래들(200)의 하면을 이루는 동시에 이송장치부(210)의 하면을 이룬다. 베이스 플레이트(212)의 상면에 인입출 장치가 설치되고, 전면에는 전면 조작부(215)가 구비된다.
인입출 조작 어셈블리가 베이스 플레이트(212)의 중간부에 설치된다. 인입출 조작 어셈블리는 인입출 스크류(217)와 위치 표시 스크류(218)를 포함한다.
핸들(180)의 힘을 받아 차단기 본체(100)가 전,후진 이동 운동을 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인입출 스크류(217)가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인입출 스크류(217)의 옆에는 위치 표시 스크류(218)가 나란히 배치된다.
인입출 스크류(217)의 전단부에는 각형(예를 들면 6각형)으로 형성되는 삽입홈(216)이 형성되어 핸들(180)을 끼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12)의 전면부(214)는 하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전면을 형성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12)의 전면부(214)에는 전면 커버 플레이트(220)가 결합된다.
베이스 플레이트(212)의 전면부(214)에는 인입출 스크류(217)나 위치 표시 스크류(218) 등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각종 홈이 형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212)에는 인터록 레버(235)가 설치된다. 인터록 레버(235)는 도 9에 잘 나타나 있다. 인터록 레버(235)는 상하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인터록 레버(235)는 레버 복귀 스프링(237)에 의해 상승하는 힘을 받는다. 따라서, 외력을 받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 인터록 레버(235)는 상승한 위치에 있다.
정상 상태에서 인터록 레버(235)의 머리부(236)는 이송부 커버 플레이트(230)의 레버 동작홀(232)을 통해 이송부 커버 플레이트(230)의 위로 돌출된다 (도 4 참조). 인터록 레버(235)의 머리부(236)는 승강부재(140)의 작용판(146)에 접한다 (도 8,9 참조). 따라서, 오프 버튼(120)이 눌러지면 승강부재(140)가 상승함에 따라 인터록 레버(235)가 상승하고, 오프 버튼(120)이 원위치로 복귀하면 승강부재(140)가 하강함에 따라 인터록 레버(235)가 하강한다.
인터록 레버(235)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터록 레버(235)의 일부가 베이스 플레이트(212)의 전면부(214) 전방으로 돌출된다. 인터록 레버(235)가 하강한 상태에 있는 경우, 셔터 플레이트(240)의 운동을 방해한다. 즉, 오프 버튼(120)이 눌러지지 않아 인터록 레버(235)가 하강한 상태에 있어서는 셔터 플레이트(240)가 인터록 레버(235)에 걸려 좌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뒤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이와 같이 셔터 플레이트(240)의 좌측 이동이 제한되는 경우, 핸들(180)을 삽입할 수 없어 차단기 본체(100)의 이동은 불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오프 버튼(120)을 눌러 인터록 레버(235)가 상승한 상태에 있어서만 셔터 플레이트(240)의 좌측 이동이 가능하고 이때서야 차단기 본체(100)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전면 커버 플레이트(220)에는 전면 조작부(215)의 구성들이 노출될 수 있는 관통홀들이 형성된다(도 3 참조). 예를 들면, 전면 커버 플레이트(220)에는 제1 키 어셈블리 삽입홀(222), 제2 키 어셈블리 삽입홀(224), 핸들 삽입홀(226), 핸들 보관홀(228), 위치 표시 스크류 홀(229) 등이 형성된다.
전면 조작부(215)에는 셔터 플레이트(240)가 구비된다. 셔터 플레이트(240)는 베이스 플레이트(212)의 전면부(214) 앞에 배치되고, 전면 커버 플레이트(220)의 내부에 좌우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셔터 플레이트(240)의 좌측단 하단부에는 이동 제한부(242)가 마련된다. 이동 제한부(242)는 셔터 플레이트(240)의 좌측단 하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인터록 레버(235)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셔터 플레이트(240)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어 셔터 플레이트(240)는 좌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인터록 레버(235)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이동 제한부(242)가 인터록 레버(235)에 걸려 셔터 플레이트(240)의 좌측 이동은 제한된다.
셔터 플레이트(240)에는 핸들(180)이 삽입될 수 있는 셔터부 핸들 삽입홀(243)이 형성된다. 여기서, 셔터부 핸들 삽입홀(243)은 외력을 받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 인입출 스크류(217)의 삽입홈(216)이 일부만 노출되도록 형성된다(도 4,5 참조). 즉, 셔터 플레이트(240)에는 셔터부 핸들 삽입홀(243)에 인접한 부분(도면에서 좌측 부분)에 삽입 방지부(244)가 형성된다. 삽입 방지부(244)에 의해 핸들(180)의 삽입이 제한된다.
오프 버튼(120)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 인터록 레버(235)는 하강한 상태에 있으므로 셔터 플레이트(240)의 이동은 제한되고 따라서 삽입 방지부(244)에 의해 핸들(180)의 삽입은 제한된다. 즉, 핸들(180)을 인입출 스크류(217)의 삽입홈(216)에 끼울 수 없으므로 차단기 본체(100)에 대한 이동은 제한된다.
오프 버튼(120)이 눌러진 경우 인터록 레버(235)는 상승한 상태에 있으므로 셔터 플레이트(240)의 이동은 허용되어 핸들(180)은 셔터부 핸들 삽입홀(243)을 통해 인입출 스크류(217)의 삽입홈(216)에 끼울 수 있다. 따라서, 차단기 본체(100)에 대한 이동이 가능하다.
셔터 플레이트(240)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기 위해 셔터 복귀 스프링(248)이 마련된다. 셔터 플레이트(240)에는 셔터 복귀 스프링(248)을 설치할 수 있도록 스프링 고정부(245,246)가 마련된다. 셔터 복귀 스프링(248)의 일부는 전면 커버 플레이트(220)의 일부에 고정된다.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 셔터 플레이트(240)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삽입홈(216)을 일부 가린 상태에 있다. 인터록 레버(235)에 의한 구속이 해제된 상태에서, 핸들(180)을 핸들 삽입홀(226)에 넣으면 삽입 방지부(244)가 핸들(180)에 밀려 셔터 플레이트(240)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사용자는 핸들(180)을 인입출 스크류(217)의 삽입홈(216)에 끼워 인입출 스크류(217)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핸들(180)이 제거되면 셔터 플레이트(240)는 셔터 복귀 스프링(248)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키 인터록 어셈블리(250)가 마련된다. 도 6에는 키 인터록 어셈블리(25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인터록 레버(235)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키 인터록 어셈블리(250)는 본체의 투입을 방지하는 기능 및 차단기 본체(100)의 각 포지션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키 인터록 어셈블리(250)는 하우징 플레이트(251), 제1 키 어셈블리(260), 제2 키 어셈블리(265), 인터록 플레이트(270)를 포함한다.
하우징 플레이트(251)는 상자 형태 또는 상,하(저),좌,우,전,후면의 6면을 갖는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플레이트(251)의 좌우 양측면에는 각각 관통홀이 형성된다. 즉, 하우징 플레이트(251)의 제1측면에는 제1측면 관통홀(252)이 형성되고, 하우징 플레이트(251)의 제2측면에는 제2측면 관통홀(253)이 형성된다. 하우징 플레이트(251)의 관통홀(252,253)을 통해 인터록 플레이트(270)가 이동할 수 있다.
하우징 플레이트(251)의 전면에는 제1 키 어셈블리(260)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제1 키홀(255) 및 제2 키 어셈블리(265)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제2 키홀(256)이 형성된다.
하우징 플레이트(251)의 저면에는 하우징 플레이트(251)를 베이스 플레이트(212)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고정홀(258)이 형성된다.
제1 키 어셈블리(260)와 제2 키 어셈블리(265)가 마련된다. 제1 키 어셈블리(260)는 제1 키(261)로 회전시킬 수 있고(즉, 해제 상태나 잠금 상태로 전환), 제2 키 어셈블리(265)는 제2 키(266)로 회전시킬 수 있다(즉, 해제 상태나 잠금 상태로 전환). 여기서, 각 키(261,266)는 각 키 어셈블리(260,265)가 잠금 상태에서만 인출이 가능하다. 즉, 각 키(261,266)는 각 키 어셈블리(260,265)가 해제 상태에서는 뽑을 수 없다.
제1 키 어셈블리(260)의 후방에는 키 어셈블리의 제1 회전통(264)과 함께 회전하는 제1 키 레버(262)가 구비되고, 제2 키 어셈블리(265)의 후방에는 키 어셈블리의 제2 회전통(269)과 함께 회전하는 제2 키 레버(267)가 구비된다.
각 키 레버(262,267)에는 인터록 플레이트(270)를 움직일 수 있는 가압부(263,268)가 각각 절곡 형성된다.
인터록 플레이트(270)는 하우징 플레이트(251)에 좌우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인터록 플레이트(270)는 하우징 플레이트(251)의 관통홀(252,253)을 통해 슬라이딩 운동한다.
인터록 플레이트(270)에는 플레이트 복귀 스프링(279)을 설치할 수 있는 스프링 삽입부(271)가 마련된다.
인터록 플레이트(270)에서 스프링 삽입부(271)의 일측에는 스톱핀(272)이 마련된다. 인터록 플레이트(270)는 하우징 플레이트(251)에 설치된 상태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1측면에 스톱핀(272)에 걸려 이탈하지 않는다.
플레이트 복귀 스프링(279)이 스프링 삽입부(271)에 삽입된다. 플레이트 복귀 스프링(279)은 하우징 플레이트(251)의 제2측면과 인터록 플레이트(270)의 스프링 삽입부(271)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 인터록 플레이트(270)는 좌측(인터록 레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다. 외력의 작용(키의 잠금 작용)에 의해 인터록 플레이트(270)가 우측(인터록 레버로 가까와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플레이트 복귀 스프링(279)에 탄성력이 저장되어,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인터록 플레이트(270)는 플레이트 복귀 스프링(279)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좌측으로 이동)한다.
인터록 플레이트(270)에는 제1 접촉부(273)와 제2 접촉부(274)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제1 접촉부(273)는 제1 키 어셈블리(260)의 제1 가압부(263)가 접촉하여 힘을 받는 부분이고, 제2 접촉부(274)는 제2 키 어셈블리(265)의 제2 가압부(268)가 접촉하여 힘을 받는 부분이다.
인터록 플레이트(270)에는 지지부(275)가 마련된다. 인터록 플레이트(270)가 잠금 상태에 놓일때 지지부(275)는 인터록 레버(235)의 홈(238)에 삽입되어 인터록 레버(235)를 지지한다.
인터록 플레이트(270)에는 구속부(276)가 절곡 형성된다. 인터록 플레이트(270)가 수직판으로 구성되고, 구속부(276)는 수평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속부(276)는 정상상태 인터록 레버(235)의 하단부 높이에 배치된다. 즉, 구속부(276)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는 인터록 레버(235)에 걸려 인터록 플레이트(270)의 우측 이동을 방해한다. 즉, 오프 버튼(120)이 눌러져 인터록 레버(235)가 상승한 상태에서만 인터록 플레이트(270)의 우측 이동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키 인터록 어셈블리(250)에 의한 잠금은 오프 버튼(120)을 누른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오프 버튼(120)이 눌러져서 인터록 레버(235)가 상승한 경우, 구속부(276)는 인터록 레버(235)의 하부로 진입할 수 있다.
오프 버튼(120)이 눌러진 상태에서, 제1 키 어셈블리(260) 또는 제2 키 어셈블리(265)가 잠금 상태로 회전하여 인터록 플레이트(270)가 우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구속부(276)에 의해 인터록 레버(235)의 하강이 제한되므로 오프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구속부(276)에 의해 셔터 플레이트(240)의 이동도 제한되므로 핸들(180)을 삽입할 수 없어 차단기 본체(100)의 이동도 제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의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은 기중차단기의 전면도로서 도 10은 키 인터록 해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키 인터록 잠금 상태를 나타낸다.
차단기 본체(100)가 운전 위치에 있을 때, 도 10과 같이 오프 버튼(120)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온 버튼(128)을 눌러 주회로 통전이 가능하다.
인터록 레버(235)는 하강한 상태에 있으므로, 셔터 플레이트(240)의 이동은 제한되어 차단기 본체(100)의 이동은 제한된다.
도 11과 같이 오프 버튼(120)이 눌러진 상태에서는 이에 연동하는 전환부재(130) 및 승강부재(140)에 의해 인터록 레버(235)를 구속하던 힘이 제거되어 인터록 레버(235)는 인터록 복귀 스프링(237)의 힘을 받아 상승한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이 인터록 레버(235)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셔터 플레이트(240)의 좌측 이동이 가능하므로 핸들(180)을 인입출 스크류(217)의 삽입홈(216)에 끼워넣어 차단기 본체(100)를 전,후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런데, 오프 버튼(120)이 눌러진 상태에서 만일 키 인터록 어셈블리(250)의 제1 키 어셈블리(260) 또는 제2 키 어셈블리(265)가 잠금 상태에 놓이는 경우, 인터록 플레이트(27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인터록 레버(235)의 하강이 방지되므로 오프 버튼(120)이 눌러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온 버튼(128)을 누를 수 없으므로 투입 동작이 제한되고, 셔터 플레이트(240)가 구속부(276)에 걸려 이동하지 못하므로 차단기 본체(100)의 이동이 제한된다.
도 12 내지 도 15에는 키 인터록 어셈블리(250)의 작용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5는 내부에서 전방을 향해 바라본 상태로서, 도 12는 제1, 제2 키 어셈블리가 모두 해제 상태, 도 13은 제1 키 어셈블리는 잠금 상태, 제2 키 어셈블리는 해제 상태, 도 14는 제1 키 어셈블리는 해제 상태, 제2 키 어셈블리는 잠금 상태, 도 15는 제1, 제2 키 어셈블리가 모두 잠금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는 키 인터록 어셈블리(250)의 해제 상태로서 제1 키 어셈블리(260)와 제2 키 어셈블리(265)는 모두 해제 상태에 있다. 각 키 어셈블리의 가압부(263,268)는 인터록 플레이트(270)의 접촉부(273,274)로부터 분리된 상태(해제 상태)이다.
도 13은 제1 키 어셈블리는 잠금 상태, 제2 키 어셈블리는 해제 상태이다. 제1 키(261)를 돌려 제1 키 어셈블리(260)의 제1 가압부(263)가 제1 접촉부(273)를 밀어내면 인터록 플레이트(270)는 인터록 레버(235) 방향으로 이동한다(제1 키 어셈블리가 잠금 상태로 전환).
도 14는 제1 키 어셈블리는 해제 상태, 제2 키 어셈블리는 잠금 상태이다. 제2 키(266)를 돌려 제2 키 어셈블리(265)의 제2 가압부(268)가 제2 접촉부(274)를 밀어내면 인터록 플레이트(270)는 인터록 레버(235) 방향으로 이동한다(제2 키 어셈블리가 잠금 상태로 전환).
도 15는 제1, 제2 키 어셈블리가 모두 잠금 상태를 나타낸다. 제1 가압부(263)가 제1 접촉부(273)를 밀어내고, 제2 가압부(268)가 제2 접촉부(274)를 밀어낸 상태이다(제1 키 어셈블리 및 제2 키 어셈블리가 모두 잠금 상태로 전환).
도 12와 같이 키 인터록 어셈블리(250)가 해제된 경우를 제외하고, 도 13 내지 도 15와 같이 키 인터록 어셈블리(250)의 어느 하나 이상의 키 어셈블리가 잠금 상태에 놓이는 경우 크래들(200) 및 차단기 본체(100)에 미치는 작용은 같다. 즉, 어느 하나 이상의 키 어셈블리가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 인터록 레버(235)의 하강이 제한되어 오프 버튼(120)은 누름 상태에 놓이므로 투입 작용이 방지되고, 셔터 플레이트(240)의 이동이 구속부(276)에 의해 제한되므로 차단기 본체(100)의 이동이 방지된다.
제1 키 어셈블리(260)와 제2 키 어셈블리(265)는 적절한 용도와 방식으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1 키 어셈블리(260)와 제2 키 어셈블리(265)는 독자적으로도 사용 가능하고 병행 사용도 가능하다.
차단기가 하나만 사용되는 경우, 제1 키 어셈블리(260) 또는 제2 키 어셈블리(265) 중에서 어느 하나만 사용하여 키 인터록 잠금 상태 또는 키 인터록 해제 상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단독으로 사용되는 차단기에서는 어느 하나의 키 어셈블리만 사용하여 투입 방지 기능 및 차단기 본체의 이동 방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키 어셈블리(260)와 제2 키 어셈블리(265)가 병행 사용되는 경우는, 예를 들면, 하나의 키 어셈블리는 상위 또는 하위의 차단기와 함께 사용하고, 다른 하나의 키 어셈블리는 동위의 차단기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키 어셈블리(260)는 상위(하위) 차단기와 연동하여 키 인터록 기능을 적용(2대의 차단기 중에서 한대만 배타적으로 투입 작동)하고, 제2 키 어셈블리(265)는 비상 전원에 연동하여 키 인터록 기능을 적용(본 전원과 비상 전원에 연결된 2대의 차단기 중에서 한대만 배타적으로 투입 작동)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용도에 맞도록 적절하게 조합하여 키 인터록 어셈블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 차단기에 의하면 하나의 인터록 장치인 키 인터록 어셈블리에 의해 차단기 본체의 투입 동작을 구속하는 기능 및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 내의 각 포지션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속하는 기능이 동시에 구현된다.
키를 잠금 상태로 돌린 경우 오프 버튼을 누른 상태가 유지되므로 차단기 본체의 투입 제한 기능 및 차단기 본체의 위치 이동을 제한 기능은 계속 유지된다. 이에 따라, 본 차단기의 구속 상태에서 키를 뽑아 다른 차단기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고 투입 작동을 할 수 있다.
키 인터록 어셈블리를 동작시키는 키 어셈블리는 2개조로 구비되어 다른 2개 이상의 차단기와 병행하여 사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차단기 본체
110 개폐기구부
112 오프 버튼 작용홀
120 오프 버튼
122 회전축
124 걸림부
128 온 버튼
130 전환부재
132 전환부재 회전축
134 걸림홀
136 후크
140 승강부재
142 후크홀
144 작용부
146 접촉부
150 소호부
180 핸들
200 크래들
210 이송장치부
212 베이스 플레이트
214 전면부
215 전면 조작부
220 전면 커버 플레이트
222 제1 키 삽입홀
224 제2 키 삽입홀
226 핸들 삽입홀
228 핸들 보관홀
230 이송부 커버 플레이트
232 레버 동작홀
235 인터록 레버
237 레버 복귀 스프링
240 셔터 플레이트
242 이동 제한부
243 셔터부 핸들 삽입홀
244 삽입 방지부
245 스프링 고정부
248 셔터 복귀 스프링
250 키 인터록 어셈블리
251 하우징 플레이트
252 제1측면 관통홀
253 제2측면 관통홀
255 제1 키홀
256 제2 키홀
258 고정홀
260 제1 키 어셈블리
262 제1 키 레버
265 제2 키 어셈블리
267 제2 키 레버
270 인터록 플레이트
271 스프링 삽입부
272 고정핀
273 제1 접촉부
274 제2 접촉부
275 지지부
276 구속부
279 플레이트 복귀 스프링

Claims (14)

  1. 크래들과 상기 크래들에 인입출되는 차단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 본체의 오프 버튼에 연결되어 수직 운동하는 인터록 레버;
    상기 크래들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송장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부에는 수평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잠금 상태)에서는 상기 인터록 레버의 운동을 제한하고, 타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해제 상태)에서는 상기 인터록 레버의 운동을 허용하는 키 인터록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부에는,
    수평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인터록 레버의 위치에 따라 이동이 제한 또는 허용되는 셔터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키 인터록 어셈블리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잠금 상태)에서는 상기 셔터 플레이트의 운동을 제한하고, 타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해제 상태)에서는 상기 셔터 플레이트의 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 인터록 어셈블리는,
    상기 이송장치부에 고정되는 하우징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에 수평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터록 플레이트; 및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를 움직이는 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상기 키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키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를 상기 이송장치부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는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가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에는 플레이트 복귀 스프링을 설치할 수 있는 스프링 삽입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에서 상기 스프링 삽입부의 일측에는 스톱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에는 상기 키 어셈블리의 힘을 받는 접촉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에는 상기 인터록 레버의 운동을 제한 또는 허용하는 구속부가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인터록 레버가 상승 하강 운동하는 간격 사이의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키 어셈블리는 키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통을 포함하고, 상기 키 어셈블리의 후방부에는 상기 회전통과 함께 회전하는 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는 상기 접촉부에 힘을 가하는 가압부가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 어셈블리는 2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
KR1020210040461A 2021-03-29 2021-03-29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 KR102553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461A KR102553186B1 (ko) 2021-03-29 2021-03-29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
PCT/KR2022/004102 WO2022211360A1 (ko) 2021-03-29 2022-03-24 기중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461A KR102553186B1 (ko) 2021-03-29 2021-03-29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013A true KR20220135013A (ko) 2022-10-06
KR102553186B1 KR102553186B1 (ko) 2023-07-07

Family

ID=83597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461A KR102553186B1 (ko) 2021-03-29 2021-03-29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1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382B1 (ko) * 2007-03-08 2008-08-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382B1 (ko) * 2007-03-08 2008-08-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186B1 (ko)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6223B1 (en) Cradle with a door interlock device for a withdrawable vacuum circuit breaker
US6545234B1 (en) Circuit breaker with mechanical interlock
US6066814A (en) Interlock for switchgear
US8389880B2 (en) Key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KR101191159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JPS6339405A (ja) 閉鎖配電盤
US7943873B2 (en) Circuit breaker with locking mechanism
US6388868B1 (en) Automatically operating interlock assembly requiring an electrical cabinet to be closed before connection of the equipment therein
CN101562099B (zh) 用于电气保护装置的机电式联锁装置
KR101993450B1 (ko)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CN109716606B (zh) 用于抽出式断路器的推压互锁系统
CN111383864B (zh) 断路器
US6445570B1 (en) Automatically operating interlock assembly requiring an electrical cabinet to be closed before connection of the equipment
JPH0244619A (ja) バイパス断路器付き電源切り替え開閉装置
CN108074774B (zh) 用于接地开关的凸轮选择器
KR20220135013A (ko)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
US10008355B2 (en) Control system for a breaker pole with forcing, and breaker gear
CN111403207A (zh) 一种开关装置
JPS5932871B2 (ja) 引出形電気機器の制御回路用手動プラグのインタロツク機構
CN219873228U (zh) 联锁机构及充气柜
CN116997985A (zh) 空气断路器
KR102208664B1 (ko) 포지션 잠금 장치를 갖는 배전반
CN115966420A (zh) 用于开关柜的锁定装置和开关柜
CN116580984A (zh) 联锁机构及充气柜
KR102237722B1 (ko) 차단기의 위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