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258B1 -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 Google Patents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258B1
KR101667258B1 KR1020150062046A KR20150062046A KR101667258B1 KR 101667258 B1 KR101667258 B1 KR 101667258B1 KR 1020150062046 A KR1020150062046 A KR 1020150062046A KR 20150062046 A KR20150062046 A KR 20150062046A KR 101667258 B1 KR101667258 B1 KR 101667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
bar
circuit breaker
rail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성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2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2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4Interlock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4Interlocking mechanisms
    • H01H31/06Interlock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cover, or protective shutt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4Interlocking mechanisms
    • H01H31/08Interlock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parts of the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Landscapes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수납된 차단기본체를 인출입 핸들을 사용하여 인출입시키는 인출입형 회로차단기에서 차단기본체의 인출입을 제한하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는 이송스크류의 연결단을 덮도록 구비되되 인출입핸들의 결속시 후퇴되는 차단플레이트; 상기 차단플레이트에 거동이 일치되도록 연결되고, 구속홈을 구비하는 인터록 아웃레일;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상방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단부가 상기 구속홈에 수용되어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후퇴동작을 제한하는 인터록 바; 상기 인터록 바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인터록 바의 승강동작에 따라 상하로 회전 가능한 인터록 레버; 구동샤프트에 거동이 일치되도록 결합되어, 차단기의 투입상태에서 끝단이 하향 배치되어 상기 인터록 레버의 상승을 제한하고, 차단기의 트립상태에서 끝단이 상기 인터록 레버에서 이격되는 인터록 암;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록 바는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 후퇴동작에 연동하여 상승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INTERLOCK DEVICE OF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수납된 차단기본체를 인출입 핸들을 사용하여 인출입시키는 인출입형 회로차단기에서 차단기본체의 인출입을 제한하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차단기(vacuum circuit braker, VCB)는 선로 상에서 정상 전류의 개폐 및 사고 전류 발생시 계전기 등의 신호에 의해 그 사고 전류를 차단하는 전기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차단기는, 차단시 발생 되는 아크(Arc)를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upter, VI)라고 하는 고진공의 밀폐용기 내에서 소호시켜 신속하게 회로를 분리시킴으로써, 회로 및 기기를 보호하게 된다. 그에 따라 개폐수명이 길고 소형경향이 가능하고 소호성능이 우수하여 고압계통에서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진공차단기는 설치형태에 따라 고정 배치되는 고정형과,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수납되어 인출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인출입형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인출입형 진공차단기는 시스템 운전자의 착오로 차단기가 투입된 상태에서 차단기본체의 인출입이 시도되는 경우에 인출입이 불가하게 하고, 차단기가 트립(Trip)된 상태에서만 차단기본체의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의 기술에 의한 진공차단기는 투입상태에서 표시부를 통해 시스템 운전자에게 인출입이 불가하다는 것을 표시하거나 차단기본체가 이송되지 않도록 차단기본체를 록킹하는 인터록 장치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진공차단기는 인터록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록킹상태에서 인출입 핸들의 결속이 가능하므로, 시스템 운전자가 실수로 인출입 핸들을 결속하고 인터록 장치가 고장난 경우에 차단기의 투입상태에서 인출입이 수행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8845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차단기의 투입상태에서 인출입핸들의 결속이 불가하고, 차단기의 트립상태에서만 인출입핸들의 결속이 가능한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수납되는 차단기본체와, 인출입핸들이 결속되는 이송스크류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입핸들을 통해 작동되어 상기 차단기본체를 인출입시키는 인출입유닛과, 가동접촉자를 구동시키는 구동샤프트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의 연결단을 덮도록 구비되되 상기 인출입핸들의 결속시 후퇴되는 차단플레이트; 상기 차단플레이트에 거동이 일치되도록 연결되고, 구속홈을 구비하는 인터록 아웃레일;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상방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단부가 상기 구속홈에 수용되어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후퇴동작을 제한하는 인터록 바; 상기 인터록 바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인터록 바의 승강동작에 따라 상하로 회전 가능한 인터록 레버; 상기 구동샤프트에 거동이 일치되도록 결합되어, 차단기의 투입상태에서 끝단이 하향 배치되어 상기 인터록 레버의 상승을 제한하고, 차단기의 트립상태에서 끝단이 상기 인터록 레버에서 이격되는 인터록 암;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록 바는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 후퇴동작에 연동하여 상승되도록 구성되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속홈은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후퇴동작시에 상기 인터록 바의 하단부를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상기 차단플레이트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록 바의 하단부에는 상기 구속홈에 수용되고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상단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봉 형태의 인터록 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록 바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에 상기 인터록 바를 하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복귀 스프링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후퇴동작시에 위치가 고정되는 인터록 이너레일이 포함되고,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은 상단이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상단에 일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에는 상기 구속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인터록 바의 하단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이 후퇴된 경우에, 상기 구속홈과 상기 수용홈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속홈과 상기 수용홈은 상기 차단기본체의 인출위치 및 인입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록 암은 차단기의 투입상태에서 상기 구동샤프트와 상기 인터록 레버 사이에 수직으로 직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록 레버는 일단이 상기 차단기본체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인터록 바의 상단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단기의 투입상태에서는 인출입핸들의 결속이 제한되고, 차단기의 트립상태에서만 인출입핸들의 결속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차단기의 운전시 안정성과 신뢰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로차단기의 인입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가 차단기본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인출입유닛에 설치된 인터록 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인터록 아웃레일, 인터록 이너레일 및 인터록 바가 조립된 조립체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인터록 아웃레일, 인터록 이너레일 및 인터록 바가 분해된 측면도.
도 8은 인터록 아웃레일이 전진 배치된 상태의 인터록 아웃레일, 인터록 이너레일 및 인터록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인터록 아웃레일이 후퇴된 상태의 인터록 아웃레일, 인터록 이너레일 및 인터록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인출입핸들이 이송스크류에 결속되지 않은 상태의 차단플레이트, 인터록 아웃레일 및 인터록 이너레일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인출입핸들이 이송스크류에 결속된 상태의 차단플레이트, 인터록 아웃레일 및 인터록 이너레일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의 록킹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의 록킹 해제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인출입핸들이 이송스크류에 결속될 때의 인터록 레버 및 인터록 바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200)는 차단기본체(110), 인출입유닛(120) 및 가동샤프트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100)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기본체(110)는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수납된 상태로 후술할 인출입유닛(120)에 구비되는 이송스크류(122)에 연결되어, 이송스크류(122)의 회전에 의해 전진 및 후퇴되어 인출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입유닛(120)은 인출입핸들(130)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동작을 통해 차단기본체(110)를 인입 및 인출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스크류(12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송스크류(122)는 전단에 후술할 인출입핸들(130)에 결속되는 연결단(12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단(123)은 후술할 차단플레이트(210)의 후방에 위치하며, 차단플레이트(210)가 후퇴되는 경우에 차단플레이트(21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구동샤프트는 차단기본체(110)에 구비되는 메커니즘(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며 가동접촉자(미도시)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가 연결된 상태가 차단기의 투입상태이며,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회로가 끊어진 상태가 차단기의 트립상태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본체(110)가 인출입유닛(120)에서 전진 배치된 상태는 차단기가 인출된 상태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본체(110)가 인출입유닛(120)에서 후퇴된 상태는 차단기가 인입된 상태이다.
한편, 도 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200)는 차단플레이트(210), 인터록 아웃레일(220), 인터록 이너레일(230), 인터록 바(240), 지지브라켓(250), 복귀 스프링(260), 인터록 레버(270) 및 인터록 암(2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플레이트(21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입유닛(120)에 구비되는 이송스크류(122)의 연결단(123)을 덮도록 구비되되 인출입핸들(130)의 결속시 인출입핸들(130)에 의해 밀려서 후퇴되어 이송스크류(122)의 연결단(123)이 차단플레이트(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스크류(122)의 연결단(123)은 이송스크류(122)의 전단에 형성되며, 인출입핸들(130)에 결속되어 인출입핸들(13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부위이다.
일 실시예에서, 차단플레이트(210)는 이송스크류(122)의 연결단(123)의 전방에 배치되며, 연결단(123)은 관통할 수 있고 인출입핸들(130)은 관통할 수 없는 관통구멍(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인출입핸들(130)은 차단플레이트(210)를 후퇴시켜서 관통구멍을 통해 돌출되는 이송스크류(122)의 연결단(123)에 결속될 수 있다.
이때, 차단플레이트(210)가 충분한 거리만큼 후퇴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송스크류(122)의 연결단(123)에 인출입핸들(130)이 결속되지 않게 되어 인출입핸들(130)의 회전력이 이송스크류(122)에 전달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인출입유닛(120)에는 차단플레이트(2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된 경우에 차단플레이트(2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2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220)은 차단플레이트(210)에 거동이 일치되도록 결합되며, 차단기본체(110)의 인입 방향으로 연장된 레일 형태의 부재이다.
인터록 아웃레일(220)은 전단에 차단플레이트(210)에 체결되는 연결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록 아웃레일(220)은 인출입유닛(120)에 구비되며, 차단기본체(110)의 인출입 동작에 대해 독립적으로 거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인터록 아웃레일(220)은 상면이 개방된 각관형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아웃레일(220)은 구속홈(22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속홈(224)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상단부에 상단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속홈(224)은 후술할 인터록 핀(242)이 수용 및 탈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구속홈(224)은 차단기본체(110)의 인출위치 및 인입위치에 각각 1개소씩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차단기본체(110)의 인출위치는 차단기본체(110)의 인출상태에서 후술할 인터록 핀(242)이 위치하는 부위에 해당하고, 차단기본체(110)의 인입위치는 차단기본체(110)의 인입상태에서 후술할 인터록 핀(242)이 위치하는 부위에 해당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구속홈(224)은 경사부(224S)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224S)는 차단플레이트(21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부(224S)는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후퇴동작시에 후술할 인터록 핀(242)을 밀어 올릴 수 있다. 다시 말해, 인터록 아웃레일(220)이 후퇴되는 경우에 구속홈(224)에 수용된 인터록 핀(242)은 경사부(224S)를 따라 슬라이드되어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230)은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내측에 구비되며,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후퇴동작시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록 이너레일(230)은 상단이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상단에 일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술할 인터록 핀(242)은 인터록 아웃레일(220) 및 인터록 이너레일(230)의 상단을 동시에 타고 슬라이드될 수 있다.
일 예로, 인터록 이너레일(230)은 인터록 아웃레일(220)과 마찬가지로 상면이 개방된 각관형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러한 인터록 이너레일(230)에는 구속홈(224)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용홈(2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234)에는 후술할 인터록 핀(242)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홈(224)의 위치에 대응하여, 수용홈(234)은 차단기본체(110)의 인출위치 및 인입위치 각각에 1개소씩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수용홈(234)은 구속홈(224)과 같이 경사부(224S)를 구비하지 않고 전단과 후단이 모두 수직하게 형성되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터록 바(240)는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상방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향 연장된 바 형태의 부재이다.
인터록 바(240)는 하단부가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구속홈(224)에 수용되어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후퇴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터록 바(240)의 상승이 제한되는 경우에 인터록 바(240)의 하단부가 구속홈(224)에 수용되어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몸체에 걸리게 되므로 인터록 아웃레일(220)이 후퇴되지 못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바(240)의 하단부에는 구속홈(224)에 수용되고 인터록 아웃레일(220) 및 인터록 이너레일(230)의 상단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봉 형태의 인터록 핀(24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록 핀(242)은 단면이 원형인 봉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구속홈(224)의 경사부(224S)를 수월하게 타고 올라갈 수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250)은 인터록 바(240) 및 인터록 핀(242)이 조립된 조립체를 차단기본체(110)에 승강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브라켓(2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상단을 덮고 인터록 바(240)가 관통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복귀 스프링(260)은 인터록 바(240)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에 인터록 바(240)를 하방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복귀 스프링(260)은 인터록 바(240)가 구속홈(224) 및 수용홈(234)의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인터록 핀(242)이 구속홈(224) 및 수용홈(234)에 수용되도록 인터록 바(240)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일 예로, 복귀 스프링(260)은 일단이 인터록 핀(242)에 지지되고 타단이 지지브라켓(250)에 지지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터록 레버(270)는 인터록 바(240)의 상단에 연결되며, 인터록 바(240)의 승강동작에 따라 상하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레버(270)는 도 4 및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차단기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프레임(112)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인터록 바(240)의 상단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바 형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레버(27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록 바(240)가 하강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인터록 레버(270)는 후술할 인터록 암(280)이 인터록 바(240)를 구속하는 구속력을 인터록 바(240)에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터록 레버(270)를 통해 인터록 암(280)과 인터록 바(240)를 서로 지지시키는 구조는 인터록 암(280)과 인터록 바(240)가 직접 접촉되는 구조보다 강성이 높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해, 인터록 레버(270)는 일단이 프레임(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측이 인터록 바(240)에 결합되어 인터록 암(280)의 거동되는 궤적에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인터록 바(240)의 상단에 직접 인터록 암(280)이 접촉되는 구조의 경우에는 인터록 바(240)의 상단이 측방으로 지지되는 구조 없이 자유단 형태가 되게 되므로, 인터록 암(280) 방향으로 강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몸체가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뒤틀리거나 비뚤어지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터록 암(280)은 구동샤프트에 거동이 일치되도록 결합되어, 차단기의 투입상태에서 끝단이 하향 배치되어 인터록 레버(270)의 상승을 제한하고, 차단기의 트립상태에서 끝단이 인터록 레버(270)에서 이격되어 인터록 바(240)가 상승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암(280)은 일단이 구동샤프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인터록 바(240)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암(28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의 투입상태에서 구동샤프트와 인터록 레버(270) 사이에 수직으로 직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터록 암(280)이 구동샤프트와 인터록 레버(270) 사이에 수직으로 직립 가능한 구조는 인터록 바(240)에 상향으로 강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인터록 암(280)이 높은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2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차단기의 투입상태인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홈(224)과 수용홈(234)이 일치되고 이러한 구속홈(224)과 수용홈(234)에 인터록 핀(242)이 수용되어 인터록 바(240)는 하강 배치된 상태가 된다.
또한, 차단기의 투입상태에서, 인터록 암(28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하방으로 직립하게 배치된다.
이때, 시스템 운전자가 인출입핸들(130)을 결속시키기 위해 차단플레이트(210)를 후퇴시키려고 하면, 인터록 암(280)에 의해 인터록 바(240)의 상승이 제한되고, 인터록 바(240)의 상승이 제한되므로 인터록 아웃레일(220)이 인터록 핀(242)에 걸려서 후퇴되지 않게 된다.
이를 통해, 차단기의 투입상태에서는 인출입핸들(130)의 결속이 불가하게 된다.
한편, 차단기의 트립상태인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록 암(280)이 일방으로 회전되어 인터록 암(280)의 끝단이 인터록 레버(270)에서 이격되게 된다.
이를 통해, 인터록 바(240)는 상승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시스템 운전자가 인출입핸들(130)을 결속시키기 위해 차단플레이트(210)를 후퇴시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플레이트(210)에 결합된 인터록 아웃레일(220)이 후퇴하게 된다.
인터록 아웃레일(220)이 후퇴될 때, 구속홈(224)의 경사부(224S)는 인터록 핀(242)을 밀어 올리게 되고, 상승 가능한 상태인 인터록 바(240)는 상승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출입핸들(130)은 이송스크류(122)의 연결단(123)에 결속될 수 있게 되고, 시스템 운전자는 인출입핸들(130)을 사용하여 이송스크류(122)를 회전시켜서 차단기본체(110)를 인입시킬 수 있다.
차단기 본체가 인입되는 동안, 인출입핸들(130)이 이송스크류(122)에 결속된 상태이기 때문에, 인터록 아웃레일(2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퇴된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아웃레일(220)이 후퇴된 경우에, 구속홈(224)과 수용홈(23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속홈(224)과 수용홈(234)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경우에 인터록 아웃레일(220)과 인터록 이너레일(230)이 조립된 레일 조립체의 상단에는 홈이 형성되지 않고 연속된 모서리 또는 면이 조성된다.
이를 통해, 인터록 핀(242)은 인터록 아웃레일(220)과 인터록 이너레일(230)이 조립된 레일 조립체의 상단을 따라 슬라이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인터록 핀(242)이 아웃레일과 인터록 이너레일(230)이 조립된 레일 조립체의 상단에 지지되므로 인터록 바(240)의 하강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를 통해, 인터록 암(280)이 인터록 바(240)의 상승을 제한하는 위치로 회전될 수 없게 되므로, 차단기를 투입시킬 수 없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200)는 차단기본체(110)의 인출입 과정에서 차단기의 투입이 불가능하게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차단기본체(110)의 인입이 완료된 경우, 시스템 운전자가 인출입핸들(130)의 결속을 해제하면, 인터록 아웃레일(220)이 다시 전진 배치되게 된다.
이때, 차단기본체(110)의 인입위치에 형성된 구속홈(224)과 수용홈(234)은 서로 일치되게 되고, 이로 인해 구속홈(224)과 수용홈(234)에 인터록 핀(242)이 수용되어 인터록 바(240)가 하강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인터록 암(280)이 인터록 바(240)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위치로 회전 배치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차단기의 투입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회로차단기 110: 차단기본체
112: 프레임 120: 인출입유닛
122: 이송스크류 123: 연결단
130: 인출입핸들
200: 인출입 인터록 장치 210: 차단플레이트
212: 탄성부재 220: 인터록 아웃레일
222: 연결부 224: 구속홈
224S: 경사부 230: 인터록 이너레일
234: 수용홈 240: 인터록 바
242: 인터록 핀 250: 지지브라켓
260: 복귀 스프링 270: 인터록 레버
280: 인터록 암

Claims (9)

  1.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수납되는 차단기본체와, 인출입핸들이 결속되는 이송스크류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입핸들을 통해 작동되어 상기 차단기본체를 인출입시키는 인출입유닛과, 가동접촉자를 구동시키는 구동샤프트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의 연결단을 덮도록 구비되되 상기 인출입핸들의 결속시 후퇴되는 차단플레이트;
    상기 차단플레이트에 거동이 일치되도록 연결되고, 구속홈을 구비하는 인터록 아웃레일;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상방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단부가 상기 구속홈에 수용되어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후퇴동작을 제한하는 인터록 바;
    상기 인터록 바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인터록 바의 승강동작에 따라 상하로 회전 가능한 인터록 레버;
    상기 구동샤프트에 거동이 일치되도록 결합되어, 차단기의 투입상태에서 끝단이 하향 배치되어 상기 인터록 레버의 상승을 제한하고, 차단기의 트립상태에서 끝단이 상기 인터록 레버에서 이격되는 인터록 암;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록 바는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 후퇴동작에 연동하여 상승되도록 구성되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홈은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후퇴동작시에 상기 인터록 바의 하단부를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상기 차단플레이트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부를 구비하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바의 하단부에는 상기 구속홈에 수용되고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상단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봉 형태의 인터록 핀이 구비된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바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에 상기 인터록 바를 하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후퇴동작시에 위치가 고정되는 인터록 이너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은 상단이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상단에 일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에는 상기 구속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인터록 바의 하단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이 후퇴된 경우에, 상기 구속홈과 상기 수용홈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홈과 상기 수용홈은 상기 차단기본체의 인출위치 및 인입위치에 형성되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암은 차단기의 투입상태에서 상기 구동샤프트와 상기 인터록 레버 사이에 수직으로 직립하도록 구성되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레버는 일단이 상기 차단기본체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인터록 바의 상단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KR1020150062046A 2015-04-30 2015-04-30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KR101667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046A KR101667258B1 (ko) 2015-04-30 2015-04-30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046A KR101667258B1 (ko) 2015-04-30 2015-04-30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7258B1 true KR101667258B1 (ko) 2016-10-19

Family

ID=57250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046A KR101667258B1 (ko) 2015-04-30 2015-04-30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2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5457A1 (ko) * 2019-12-17 2021-06-24 엘에스일렉트릭(주) 진공 차단기용 인입출 방지 기구와 이를 포함하는 진공 차단기
WO2022211360A1 (ko) * 2021-03-29 2022-10-06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기중차단기
WO2023013831A1 (ko) * 2021-08-06 2023-02-09 엘에스일렉트릭 (주) 인터록 모듈, 차단기 이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490A (ko) * 2009-03-11 2010-09-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대차 인입출 방지장치
KR20140088451A (ko) 2013-01-02 2014-07-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490A (ko) * 2009-03-11 2010-09-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대차 인입출 방지장치
KR20140088451A (ko) 2013-01-02 2014-07-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5457A1 (ko) * 2019-12-17 2021-06-24 엘에스일렉트릭(주) 진공 차단기용 인입출 방지 기구와 이를 포함하는 진공 차단기
WO2022211360A1 (ko) * 2021-03-29 2022-10-06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기중차단기
WO2023013831A1 (ko) * 2021-08-06 2023-02-09 엘에스일렉트릭 (주) 인터록 모듈, 차단기 이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20230021976A (ko) * 2021-08-06 2023-02-14 엘에스일렉트릭(주) 인터록 모듈, 차단기 이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102633156B1 (ko) * 2021-08-06 2024-02-05 엘에스일렉트릭(주) 인터록 모듈, 차단기 이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10545B (zh) 用于真空断路器的接地开关的联锁装置
US9685282B2 (en) Door interlock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US8198557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withdrawing or inserting of carriage in circuit breaker
CN107872027B (zh) 用于防止在配电盘中的断路器插入或取回过程中闭合的互锁装置
US8294051B2 (en) Device for preventing withdrawing and inserting of a circuit breaker
KR101667258B1 (ko)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US8288669B2 (en) Electric switchgear
US8283585B2 (en) Electric switchgear
JPS6323504A (ja) 主および補助回路を有する電気的遮断器の引入れおよび引出し機構
CN103187201B (zh) 具有互锁装置的真空断路器
KR20110085234A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101604280B1 (ko) 배전반
KR101883574B1 (ko)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장치
KR20160063560A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101701816B1 (ko)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KR20180005486A (ko)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200489519Y1 (ko) 진공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KR101793549B1 (ko) 진공 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CN214477047U (zh) 固体绝缘开关用操作装置及固体绝缘开关
KR100954558B1 (ko) 이단 인입/인출 구조를 갖는 배전반
CN116250056A (zh) 断路器及包括其的断路器组装体
KR20100019044A (ko) 이단 인입/인출 구조를 갖는 멀티 배전반
KR20210112025A (ko)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
CN202585187U (zh) 高压开关设备联锁装置
KR20110090124A (ko) 진공차단기 인출입 중 접지개폐기의 구동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