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025A -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 - Google Patents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025A
KR20210112025A KR1020200027065A KR20200027065A KR20210112025A KR 20210112025 A KR20210112025 A KR 20210112025A KR 1020200027065 A KR1020200027065 A KR 1020200027065A KR 20200027065 A KR20200027065 A KR 20200027065A KR 20210112025 A KR20210112025 A KR 20210112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ircuit breaker
handle
mounting bracket
distribu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철
김성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00027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2025A/ko
Publication of KR20210112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0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01H33/66207Specific housing details, e.g. sealing, soldering or brazing

Landscapes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는: 배전함 내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력기기에 있어서, 회로차단기를 이송시키는 스크류바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스크류바에 결합되는 핸들의 투입구가 내측에 형성되는 장착브라켓부와, 장착브라켓부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안전형브라켓 및 안전형브라켓을 장착브라켓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VACUUM CIRCUIT BREAKER FOR HANDLE MISINSERTION PREVENTION}
본 발명은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차단기의 회로차단기를 이송시키기 위한 핸들의 투입구에 별도의 브라켓을 설치하여 핸들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차단기는 진공의 절연 내력을 이용해 전기회로에서 발생하는 단락이나 지락 등의 사고 발생시 사고전류로부터 부하기기 및 선로를 보호하는 전기 보호기이다.
진공차단기는 전력 수송제어 및 전력계통의 보호 역할을 하며, 차단용량이 크고 신뢰성 및 안전성이 높다. 그리고 진공차단기는 작은 설치 공간에도 거치할 수 있어서 중전압에서부터 고전압에 이르기까지 그 적용범위가 비교적 넓다.
이러한 진공차단기는 전류를 차단하는 핵심부품인 진공 인터럽터와, 진공 인터럽터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와, 동력전달장치에 의해 상하 왕복운동을 하며 진공 인터럽터 내의 접점을 투입 또는 차단하는 푸시로드 및 진공 인터럽터를 포함한 회로차단기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종래의 진공 인터럽터는 절연용기와, 고정전극과, 가동전극 및 아킹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전극과 가동전극은 각각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을 구비한다. 가동전극의 상하이동에 따라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접촉하거나 분리된다.
그리고 주회로부가 들어 있는 배전반을 운송할 경우, 주회로부가 이동됨을 구속하기 위한 고정브라켓이 설치된다. 고정브라켓은 배전함과 회로차단기에 양측이 각각 고정되며, 운송 중 발생하는 진동 및 흔들림으로 부터 회로차단기가 파손되거나 변형됨을 방지한다.
배전함과 회로차단기는 고정브라켓으로 체결한 후 이동을 하게 되며, 이동이 완료되어 회로차단기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전에 고정브라켓을 제거한다. 고정브라켓을 제거한 후 삽입 인출용 핸들을 투입구에 삽입하여 스크류바를 회전시킨다.
종래에는 운송된 배전함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고정형브라켓을 제거하지 않고, 회로차단기에 삽입 입출용 핸들을 삽입하는 경우, 인터록 구조가 없기 때문에 삽입 인출용 핸들이 삽입되어 스크류바에 연결되는 동작 및 스크류바를 회전시키는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오사용 조건에서 고정형브라켓이 배전함과 회로차단기를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배전함과 회로차단기의 변형 및 파손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오사용 조건에서 핸들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05052호(2005.07.22 등록, 발명의 명칭: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인입출 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차단기의 회로차단기를 이송시키기 위한 핸들의 투입구에 별도의 브라켓을 설치하여 핸들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는: 배전함 내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력기기에 있어서, 회로차단기를 이송시키는 스크류바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스크류바에 결합되는 핸들의 투입구가 내측에 형성되는 장착브라켓부와, 장착브라켓부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안전형브라켓 및 안전형브라켓을 장착브라켓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로차단기의 상부와 배전함을 연결하며, 회로차단기의 이동을 구속하는 고정브라켓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브라켓부는, 회로차단기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배전함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 및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장착브라켓부는, 회로차단기의 전면으로 돌출되며, 회로차단기의 전방에 위치하는 도어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전형브라켓은, 장착브라켓부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1브라켓과, 제1브라켓의 상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브라켓 및 제1브라켓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3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체결부재는, 제1브라켓을 통과하여 장착브라켓부에 고정되는 제1체결부재 및 제3브라켓을 통과하여 배전함에 고정되는 제2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체결부재는 도어부의 개방 시에만 체결 및 제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는, 핸들의 투입구가 구비된 장착브라켓부의 외측에 차단기를 개폐하는 장착브라켓부를 추가 설치하므로, 핸들의 오삽입에 의한 회로차단기와 배전함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브라켓에 막혀 핸들의 이동이 구속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브라켓이 제거된 상태에서 핸들이 장착브라켓부의 전면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브라켓부를 통과한 핸들이 스크류바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브라켓부를 통과한 핸들이 스크류바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의 외측에 핸들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브라켓에 막혀 핸들의 이동이 구속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1)는, 배전함(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로차단기(20)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에 있어서, 회로차단기(20)를 이송시키는 스크류바(3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스크류바(30)에 결합되는 핸들(40)의 투입구가 내측에 형성되는 장착브라켓부(60)와, 장착브라켓부(60)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안전형브라켓(70) 및 안전형브라켓(70)을 장착브라켓부(60)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로차단기(20)에 구비된 가동전극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고정전극에 접하거나 고정전극에서 이격되므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진공차단기에 구비된 회로차단기(20)의 구성과 동작상태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회로차단기(20)를 감싸는 형상으로 배전함(10)이 설치되며, 회로차단기(20)와 마주하는 배전함(10)의 하측에는 스크류바(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크류바(30)는 회로차단기(20)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대차에 연결되므로, 스크류바(30)의 회전에 의해 회로차단기(20)는 전방을 향하여 이동하거나 후방을 향하여 이동된다.
배전함(10)의 전방에는 도어부(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회로차단기(20)의 전방을 개폐한다. 핸들(40)은 도어부(50)와 회로차단기(20)의 전방에 구비되는 장착브라켓부(60)의 투입구를 통해 배전함(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스크류바(30)의 선단에 연결된다. 핸들(40)을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스크류바(30)의 회전 방향도 바뀌며, 이에 따라 회로차단기(20)의 이동방향도 바뀐다.
장착브라켓부(60)는 회로차단기(20)를 이송시키는 스크류바(3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스크류바(30)에 결합되는 핸들(40)의 투입구가 내측에 형성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브라켓부(60)는, 회로차단기(20)의 전면으로 돌출되며, 핸들(40)이 이동되기 위한 투입구가 전방에 구비된다.
장착브라켓부(60)는 회로차단기(20)의 하부 전방에 위치하며,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장착브라켓부(60)에 구비된 투입구는 스크류바(30)의 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안전형브라켓(70)은 장착브라켓부(60)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브라켓(70)은 제1브라켓(72)과 제2브라켓(74)과 제3브라켓(76)을 포함한다.
제1브라켓(72)은 장착브라켓부(60)의 전면에 위치하며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판 형상이다. 제2브라켓(74)은 제1브라켓(72)의 상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장착브라켓부(60)의 상측에 접하는 판 형상이다. 제3브라켓(76)은 제1브라켓(72)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며, 배전함(10) 또는 회로차단기(20)에 접한다.
안전형브라켓(70)은 프레스 작업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의 부재가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체결부재(80)는 안전형브라켓(70)을 장착브라켓부(60)에 고정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80)는, 제1브라켓(72)을 통과하여 장착브라켓부(60)에 고정되는 제1체결부재(82) 및 제3브라켓(76)을 통과하여 배전함(10)에 고정되는 제2체결부재(8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체결부재(80)는 도어부(50)의 개방 시에만 체결 및 제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체결부재(82)와 제2체결부재(84)는 볼트나 나사 같은 체결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클립이나 후크 같은 체결요소도 사용이 가능하다.
고정브라켓부(90)는 회로차단기(20)의 상부와 배전함(10)을 연결하며, 회로차단기(20)의 이동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부(90)는, 회로차단기(20)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92)와, 배전함(10)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94) 및 제1고정부(92)와 제2고정부(94)를 연결하는 연결부(96)를 포함한다.
제1고정부(92)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며, 제2고정부(94)는 배전함(10)에 고정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다. 그리고 연결부(96)는 제1고정부(92)와 제2고정부(94)를 연결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다. 제1고정부(92)는 볼트에 의해 회로차단기(20)의 상부에 고정되며, 제2고정부(94)도 볼트에 의해 배전함(10)의 내측에 고정된다.
한편 장착브라켓부(60)와 마주하는 스크류바(30)의 단부에는 이동플레이트(1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동플레이트(100)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장착브라켓부(6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핸들(40)에 밀려서 이동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핸들(40)을 장착브라켓부(60)의 내측으로 이동시킬 때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이동플레이트(100)의 이동에 의해 조작감을 느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브라켓부(60)에 구비된 투입구의 전면을 커버하며 안전형브라켓(70)이 설치된다. 그리고 회로차단기(20)의 상부도 고정브라켓부(90)를 이용해 배전함(10)에 고정시킨다.
안전형브라켓(70)과 고정브라켓부(90)에 의해 회로차단기(20)의 이동이 구속된 상태에서, 배전함(10)을 이송시킨다. 배전함(10)의 이송이 완료된 후 도어부(50)를 열고 고정브라켓부(90)와 안전형브라켓(70)을 제거한다.
만약 안전형브라켓(70)을 제거하지 않고 핸들(40)을 스크류바(30)에 연결시키는 경우, 핸들(40)의 단부가 안전형브라켓(70)에 걸려서 핸들(40)이 스크류바(30)에 연결됨이 방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브라켓이 제거된 상태에서 핸들이 장착브라켓부의 전면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브라켓부를 통과한 핸들이 스크류바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브라켓부(60)의 외측에 설치된 안전형브라켓(70)이 제거된 상태에서 핸들(40)이 도어부(50)를 통과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40)이 수평방향으로 추가 이동되어 장착브라켓부(60)의 내측으로 이동된 후 스크류바(30)에 연결된다.
장착브라켓부(6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핸들(40)의 단부는 이동플레이트(100)를 밀어 스프링을 압축시키며 스크류바(30)에 연결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브라켓부를 통과한 핸들이 스크류바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의 외측에 핸들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50)를 개방시킨 후 핸들(40)을 장착브라켓부(60)를 통과하여 스크류바(30)에 연결시킬 수 있다.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50)를 닫은 상태에서, 도어부(50)를 관통한 핸들(40)은 장착브라켓부(60)를 통과한 후 스크류바(30)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핸들(40)을 돌리는 동작에 의해 스크류바(30)가 회전되며, 스크류바(30)에 연결된 대차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며 회로차단기(20)도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40)의 투입구가 구비된 장착브라켓부(60)의 외측에 차단기를 개폐하는 장착브라켓부(60)를 추가 설치하므로, 핸들(40)의 오삽입에 의한 회로차단기(20)와 배전함(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
10: 배전함 20: 회로차단기
30: 스크류바 40: 핸들
50: 도어부 60: 장착브라켓부
70: 안전형브라켓 72: 제1브라켓
74: 제2브라켓 76: 제3브라켓
80: 체결부재 82: 제1체결부재
84: 제2체결부재 90: 고정브라켓부
92: 제1고정부 94: 제2고정부
96: 연결부 100: 이동플레이트

Claims (6)

  1. 배전함 내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력기기에 있어서,
    회로차단기를 이송시키는 스크류바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바에 결합되는 핸들의 투입구가 내측에 형성되는 장착브라켓부;
    상기 장착브라켓부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안전형브라켓; 및
    상기 안전형브라켓을 상기 장착브라켓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차단기의 상부와 상기 배전함을 연결하며, 상기 회로차단기의 이동을 구속하는 고정브라켓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부는, 상기 회로차단기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
    상기 배전함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라켓부는, 상기 회로차단기의 전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회로차단기의 전방에 위치하는 도어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형브라켓은, 상기 장착브라켓부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의 상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3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브라켓을 통과하여 상기 장착브라켓부에 고정되는 제1체결부재; 및
    상기 제3브라켓을 통과하여 상기 배전함에 고정되는 제2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도어부의 개방 시에만 체결 및 제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
KR1020200027065A 2020-03-04 2020-03-04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 KR202101120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065A KR20210112025A (ko) 2020-03-04 2020-03-04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065A KR20210112025A (ko) 2020-03-04 2020-03-04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025A true KR20210112025A (ko) 2021-09-14

Family

ID=77774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065A KR20210112025A (ko) 2020-03-04 2020-03-04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20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28878B1 (en) Circuit breaker with apparatus for preventing withdrawing or inserting of carriage of circuit breaker
KR101363762B1 (ko) 차량용 회로차단기
CN101937799B (zh) 用于防止断路器抽出和插入的装置
CN107872027B (zh) 用于防止在配电盘中的断路器插入或取回过程中闭合的互锁装置
EP3016223B1 (en) Cradle with a door interlock device for a withdrawable vacuum circuit breaker
CN102110545A (zh) 用于真空断路器的接地开关的联锁装置
US4489362A (en) Electric switchboard apparatus with a breaker-fuse interlock
EP3227896B1 (en) Low profile fusible disconnect switch device
US6025983A (en) Switchgear
US10460898B2 (en) Circuit breakers
KR20210112025A (ko) 핸들 오삽입 방지형 진공차단기
EP3086423B1 (en) Vacuum circuit breaker
KR101667258B1 (ko)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KR101922156B1 (ko)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US4827374A (en) Flip out fuse assembly
KR102039044B1 (ko) 링 메인 유닛
KR101793549B1 (ko) 진공 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200156756Y1 (ko) 차단기의 인출장치
CN214477047U (zh) 固体绝缘开关用操作装置及固体绝缘开关
CN215955213U (zh) 一种断路器
CN218826823U (zh) 一种真空负荷开关
US20230420923A1 (en) Grounding device for circuit breaker
CN215815643U (zh) 一种高压电抗式起动器电气与机械联动闭锁机构
KR200183885Y1 (ko) 고압전류 차단기의 인출 장치
KR200208224Y1 (ko) 진공차단기의 2차 플러그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