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430B1 -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430B1
KR102148430B1 KR1020200021768A KR20200021768A KR102148430B1 KR 102148430 B1 KR102148430 B1 KR 102148430B1 KR 1020200021768 A KR1020200021768 A KR 1020200021768A KR 20200021768 A KR20200021768 A KR 20200021768A KR 102148430 B1 KR102148430 B1 KR 102148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cover window
panel member
display devic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4181A (ko
Inventor
이경수
김영식
손양한
황대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1465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002470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24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1L51/5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04M1/0269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mounted in a fixed curved configuration, e.g. display curved around the edges of the telephon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27/32
    • H01L51/009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2Feeding of components with orientation of the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44Means bringing discrete articles into assembled relationship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일부분이 굴곡지게 형성되는 커버윈도우와, 상기 커버윈도우의 외면에 굴곡지게 설치되는 패널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곡면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성을 기반으로하는 전자 기기가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동용 전자 기기로는 모바일 폰과 같은 소형 전자 기기 이외에도 최근 들어 태블릿 PC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형 전자 기기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미지 또는 영상과 같은 시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기타 부품들이 소형화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자 기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근래에는 전자 기기의 디자인이 다양해짐에 따라 플랙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양산성 및 신뢰성 품질 확보가 가능한 곡면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일부가 굴곡지게 형성된 제 1 지그에 적어도 일부가 굴곡지게 형성되는 커버윈도우를 안착하는 단계와, 패널부재의 양단을 클램프로 지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지그의 일면과 형합하도록 형성되는 제 2 지그 상에 상기 패널부재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지그 및 상기 제 2 지그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하여 상기 제 1 지그와 상기 제 2 지그를 압착하여 상기 커버윈도우와 상기 패널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윈도우 및 상기 제 1 지그의 외면은 일정한 곡률반경의 곡면이거나, 상기 커버윈도우의 일부분의 곡률반경은 상기 커버윈도우의 다른 부분의 곡률반경과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 1 지그 외면의 일부분의 곡률반경은 상기 제 1 지그 외면의 다른 부분의 곡률반경과 상이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 2 지그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 2 지그의 외면을 따라 구부러지도록 상기 제 2 지그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의 길이는 상기 커버윈도우의 길이와 상이하게 형성 또는 상기 패널부재의 폭은 상기 커버윈도우의 폭과 상이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패널부재의 길이 및 폭은 상기 커버윈도우의 길이 및 폭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는 평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지그와 상기 제 2 지그가 압착한 후 상기 패널부재의 일부는 굴곡되어 상기 커버윈도우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그 또는 상기 제 2 지그 중 하나는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지그 또는 상기 제 2 지그 중 다른 하나는 하측에 배치되어 서로 압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그 또는 상기 제 2 지그 중 하나는 상기 제 1 지그 또는 상기 제 2 지그 중 다른 하나 측으로 돌출되거나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그 또는 상기 제 2 지그 중 하나는 상기 제 1 지그 또는 상기 제 2 지그 중 다른 하나 측으로 인입되거나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를 안착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지그에 상기 패널부재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는 플랙서블(Flexible)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는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커버윈도우의 외면 또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커버윈도우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패널(TSP, Touch screen panel)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일부가 굴곡지게 형성된 제 1 지그에 적어도 일부가 굴곡지게 형성되는 커버윈도우를 안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지그의 일면과 형합하도록 형성되는 제 2 지그 상에 패널부재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지그 및 상기 제 2 지그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하여 상기 제 1 지그와 상기 제 2 지그를 압착하여 상기 커버윈도우와 상기 패널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윈도우 및 상기 제 1 지그의 외면은 일정한 곡률반경의 곡면이거나, 상기 커버윈도우의 일부분의 곡률반경은 상기 커버윈도우의 다른 부분의 곡률반경과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 1 지그 외면의 일부분의 곡률반경은 상기 제 1 지그 외면의 다른 부분의 곡률반경과 상이하며, 상기 제 1 지그 및 상기 제 2 지그 중 적어도 하나 상에는 쿠션부가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 2 지그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 2 지그의 외면을 따라 구부러지도록 상기 제 2 지그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의 길이는 상기 커버윈도우의 길이와 상이하게 형성 또는 상기 패널부재의 폭은 상기 커버윈도우의 폭과 상이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패널부재의 길이 및 폭은 상기 커버윈도우의 길이 및 폭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는 평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지그와 상기 제 2 지그가 압착한 후 상기 패널부재의 일부는 굴곡되어 상기 커버윈도우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그 또는 상기 제 2 지그 중 하나는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지그 또는 상기 제 2 지그 중 다른 하나는 하측에 배치되어 서로 압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그 또는 상기 제 2 지그 중 하나는 상기 제 1 지그 또는 상기 제 2 지그 중 다른 하나 측으로 돌출되거나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그 또는 상기 제 2 지그 중 하나는 상기 제 1 지그 또는 상기 제 2 지그 중 다른 하나 측으로 인입되거나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를 안착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지그에 상기 패널부재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는 플랙서블(Flexible)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는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커버윈도우의 외면 또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커버윈도우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패널(TSP, Touch screen panel)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커버윈도우와 패널부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부착시킴으로써 양산성 및 신뢰성 품질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확하고 신속하게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작 가능하므로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 4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 5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 4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2는 도 1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3은 도 1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 4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5은 도 2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6은 도 2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7은 도 2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8은 도 2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 4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1은 도 2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2는 도 2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3은 도 2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 4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개면도이다.
도 35는 도 3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6은 도 3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7은 도 3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8은 도 3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 4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버윈도우(110), 패널부재(미표기) 및 접착층(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110)는 일부가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윈도우(110)는 평탄한 면이 형성되고, 평탄한 면의 적어도 일단이 굴곡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평탄한 면의 양단은 굴곡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윈도우(110)는 평평하게 형성되는 평탄부(111)와, 평탄부(11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굴곡지게 형성되는 굴곡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굴곡부(112)는 평탄부(111)의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널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130) 및 터치패널(TSP, Touch screen panel, 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널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130)만을 구비하여 커버윈도우(11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부재는 터치패널만 구비하여 커버윈도우(110)에 부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패널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터치패널을 구비하여 커버윈도우(110)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패널부재가 디스플레이 패널(130)만 구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플랙서블(Flexible)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크기는 커버윈도우(110)의 크기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크기는 커버윈도우(11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길이는 커버윈도우(11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폭은 커버윈도우(11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길이 및 폭은 커버윈도우(110)의 길이 및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폭이 커버윈도우(110)의 폭보가 작게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제 1 기판(S) 및 발광부(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상기 발광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봉지부(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봉지부(B)는 박막 봉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봉지부(B)는 박막 봉지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이외에도 제 2 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봉지부(B)가 박막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기판(S) 상에 상기 발광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부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이 구비되고, 이들을 덮도록 패시베이션막(131)이 형성되며, 이 패시베이션막(131) 상에 유기 발광 소자(13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기판(S)은 유리 재질을 사용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플라스틱재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SUS, Ti과 같은 금속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기판(S)는 폴리이미드(PI, Polyimide)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기판(S)이 폴리이미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기판(S)의 상면에는 유기화합물 및/또는 무기화합물로 이루어진 버퍼층(132)이 더 형성되는 데, SiOx(x≥1), SiNx(x≥1)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버퍼층(132)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된 활성층(133)이 형성된 후, 활성층(133)이 게이트 절연층(134)에 의해 매립된다. 활성층(133)은 소스 영역(133a)과 드레인 영역(133c)을 갖고, 그 사이에 채널 영역(133b)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활성층(133)은 버퍼층(132) 상에 비정질 실리콘막을 형성한 후, 이를 결정화하여 다결정질 실리콘막으로 형성하고, 이 다결정질 실리콘막을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활성층(133)은 구동 TFT(미도시), 스위칭 TFT(미도시) 등 TFT 종류에 따라, 그 소스 및 드레인 영역(133a)(133c)이 불순물에 의해 도핑된다.
게이트 절연층(134)의 상면에는 활성층(133)과 대응되는 게이트 전극(135)과 이를 매립하는 층간 절연층(1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층간 절연층(136)과 게이트 절연층(134)에 콘택홀을 형성한 후, 층간 절연층(136) 상에 소스 전극(137a) 및 드레인 전극(137b)을 각각 소스 영역(133a) 및 드레인 영역(133c)에 콘택되도록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부로는 패시베이션막(131)이 형성되고, 이 패시베이션막(131) 상부에 유기 발광 소자(OLED)의 화소 전극(138a)이 형성된다. 이 화소 전극(138a)은 패시베이션막(131)에 형성된 비아 홀(H2)에 의해 TFT의 드레인 전극(137b)에 콘택된다. 상기 패시베이션막(131)은 무기물 및/또는 유기물, 단층 또는 2개층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하부 막의 굴곡에 관계없이 상면이 평탄하게 되도록 평탄화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반면, 하부에 위치한 막의 굴곡을 따라 굴곡이 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패시베이션막(131)은, 공진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투명 절연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시베이션막(131) 상에 화소 전극(138a)을 형성한 후에는 이 화소 전극(138a) 및 패시베이션막(131)을 덮도록 화소 정의막(139)이 유기물 및/또는 무기물에 의해 형성되고, 화소 전극(138a)이 노출되도록 개구된다.
그리고, 적어도 상기 화소 전극(138a) 상에 유기 발광층(138b) 및 대향 전극(138c)이 형성된다.
화소 전극(138a)은 애노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대향 전극(138c)은 캐소오드 전극의 기능을 하는 데, 물론, 이들 화소 전극(138a)과 대향 전극(138c)의 극성은 반대로 되어도 무방하다.
화소 전극(138a)은 일함수가 높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 데, ITO, IZO, In2O3, 및 ZnO 등의 투명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다.
대향 전극(138c)은 일함수가 낮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및 이들의 화합물 등의 금속재로 구비될 수 있는 데, Mg, Ag, Al 등으로 반투과 반사막이 되도록 얇게 형성해, 광학적 공진 후에 광 투과되도록 한다.
화소 전극(138a)과 대향 전극(138c)은 상기 유기 발광층(138b)에 의해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유기 발광층(138b)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가해 유기 발광층(138b)에서 발광이 이뤄지도록 한다.
유기 발광층(138b)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막이 사용될 수 있다. 저분자 유기막을 사용할 경우,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유기 재료도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들 저분자 유기막은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된다. 이 때, 홀 주입층, 홀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등은 공통층으로서, 적, 녹, 청색의 픽셀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와는 달리, 이들 공통층들은 대향 전극(138c)과 같이, 전체 픽셀들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분자 유기막의 경우에는 대개 홀 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으로 구비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홀 수송층으로 PEDOT를 사용하고, 발광층으로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유기물질을 사용하며, 이를 스크린 인쇄나 잉크젯 인쇄방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기층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봉지부(B)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박막봉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봉지부(B)는 하나 이상의 유기층과 하나 이상의 무기층이 상호 교번하여 적층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무기층 또는 상기 유기층은 각각 복수 개일 수 있다.
상기 유기층은 고분자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라카보네이트, 에폭시, 폴리에틸렌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층은 폴리아크릴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디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트리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조성물이 고분자화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모노머 조성물에 모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머 조성물에 TPO와 같은 공지의 광개시제가 더욱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무기층은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을 포함하는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층은 SiNx, Al2O3, SiO2, TiO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봉지부(B) 중 외부로 노출된 최상층은 유기발광소자에 대한 투습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기층으로 형성될 수 잇다.
봉지부(B)는 적어도 2개의 무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봉지부(B)는 적어도 2개의 유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봉지부(B)는 상기 발광부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무기층, 제 1 유기층, 제 2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봉지부(B)는 상기 발광부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무기층, 제 1 유기층, 제 2 무기층, 제 2 유기층, 제 3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봉지부(B)는 상기 발광부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무기층, 제 1 유기층, 제 2 무기층, 제 2 유기층, 제 3 무기층, 제 3 유기층, 제 4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와 상기 제 1 무기층 사이에 LiF를 포함하는 할로겐화 금속층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할로겐화 금속층은 상기 제 1 무기층을 스퍼터링 방식 또는 플라즈마 증착 방식으로 형성할 때 상기 발광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기층은 상기 제 2 무기층 보다 면적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2 유기층도 상기 제 3 무기층 보다 면적이 좁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유기층은 상기 제 2 무기층에 의해 완전히 뒤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2 유기층도 상기 제 3 무기층에 의해 완전히 뒤덮일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봉지부(B)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기판은 제 1 기판(S)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기판은 제 1 기판(S)과 유사한 재질인 유리 재질을 사용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플라스틱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형성되는 상기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후술할 접착층(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은 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3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패턴 형태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패널은 봉지부(B)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은 커버윈도우(110)에 상기와 같이 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되거나 패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패널을 형성하는 것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터치패널이 디스플레이 패널(130) 상에 형성되지 않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커버윈도우(110)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접착층(12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층(120)은 접착필름(OCA film, Optical clear adhesive film) 또는 접착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크기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접착층(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일면 상에 안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커버윈도우(110)를 부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층(120)은 봉지부(B) 상에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일부가 곡면 형상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전자기기에 부착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영상의 구현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200)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200)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3 및 도 4c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200)는 일부가 굴곡지게 형성되고, 커버윈도우(110)의 일면과 형합하는 안착면(211)이 형성되는 제 1 지그(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210)는 커버윈도우(110)와 형상이 유사할 수 있다. 특히 제 1 지그(210)의 안착면(211)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지그(210)는 평탄부(111)가 안착하도록 일부가 평평하고, 굴곡부(112)가 안착하도록 다른 일부는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안착면(211)은 제 1 지그(210)의 일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200)는 제 1 지그(210)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 2 지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지그(220)의 일면은 안착면(211)에 형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지그(220)의 일면은 안착면(211)의 곡면과 일치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 2 지그(220)의 곡면은 제 1 지그(21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지그(220)의 곡면 일부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30)이 안착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210) 및 제 2 지그(220)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지그(210) 및 제 2 지그(220) 중 적어도 하나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탄성 재질은 실리콘, 고무, 유연한 합성 수지 등과 같은 유연하면서 탄성력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단한 재질은 강화 플라스틱, 금속 등과 같은 경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210)와 제 2 지그(220)의 재질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지그(210)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지그(220)는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지그(210)는 고무로 형성되고, 제 2 지그(220)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지그(210) 및 제 2 지그(220)가 모두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200)는 제 1 지그(210) 및 제 2 지그(22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제 1 지그(210) 및 제 2 지그(220)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는 제 1 지그(210)를 이동시키는 제 1 구동부(미도시)와, 제 2 지그(220)를 이동시키는 제 2 구동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부와 제 2 구동부(225)는 서로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2 구동부(225)가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구동부(225)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구동부(225)는 공압이나 유압 등으로 작동하여 제 2 지그(220)를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구동부(225)는 전기에너지로 작동하여 제 2 지그(220)를 이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2 구동부(225)가 실린더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200)는 제 1 지그(210)에 안착된 커버윈도우(110)가 이동하거나 제 2 지그(220)에 안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30) 및 접착층(120)이 제 2 지그(2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제 1 지그(210) 및 제 2 지그(22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흡입부(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흡입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펌프(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흡입펌프는 후술할 챔버(C)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는 제 1 지그(210) 또는 제 2 지그(220)에 형성되는 별도의 프레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접착력이 있는 접착부재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제 1 지그(210)에 설치되는 제 1 고정부(미도시)와, 제 2 지그(220)에 설치되는 제 2 고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240)는 서로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240)는 공기를 통하여 커버윈도우(110) 및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240)는 별도의 프레임을 통하여 커버윈도우(110) 및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2 고정부(240)만 사용하는 경우와 공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고정시키는 방법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200)는 간편한 구성을 통하여 곡면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는 곡면 형상의 커버윈도우(110)와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정확하게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20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조하는 방법은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조하기 위하여 커버윈도우(110)를 가공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110)는 다양한 형태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윈도우(110)는 글라스재 또는 플라스틱재일 수 있다. 특히 커버윈도우(110)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를 굴곡지게 형성할 수 있는 모든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110)를 가공한 후 커버윈도우(110)의 양단을 절곡하여 굴곡부(112)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굴곡부(112)는 평탄부(111)로부터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굴곡부(112)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탄부(11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일정 반지름의 원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굴곡부(112)는 원호 형태가 아닌 타원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110)의 제조가 진행되는 동안 또는 완료된 후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제조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락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준비가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일측에 접착층(120)을 안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봉지부 상에 접착층(120)을 안착할 수 있다.
이때, 접착층(120)은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봉지부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봉지부 상에 도포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접착층(120)이 필름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접착층(120)을 부착한 후 제 1 지그(210)와 제 2 지그(220) 상에 각각 커버윈도우(110)와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안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지그(210) 상에는 커버윈도우(110)를 안착하고, 제 2 지그(220) 상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210)는 하측에 배치되고, 제 2 지그(220)는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도 4a 및 도 4c 참고)
한편, 상기와 같은 경우 제 1 지그(210) 및 제 2 지그(220)가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지그(210)가 제 2 지그(220) 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 2 지그(220)가 제 1 지그(21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1 지그(210) 및 제 2 지그(220)가 모두 서로 가까워지도록 작동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2 지그(220)가 작동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지그(210)의 일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커버윈도우(110)의 일면이 완전히 밀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 1 지그(210)의 일면은 일측으로 인입된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도 4a 참고)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제 2 지그(220)의 평평한 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제 2 고정부(240)는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제 2 지그(220)의 일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30)가 제 2 지그(220) 상에 안착하는 경우, 제 2 흡입부(241)는 일부가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제 2 흡입부(241)는 제 2 지그(220)의 돌출된 면에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30)이 배치되는 경우 제 2 흡입펌프(242)가 작동하여 제 2 흡입부(24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30)이 제 2 흡입부(241)의 일부를 폐쇄하게 되고, 제 2 흡입부(241)의 내부의 공기가 계속해서 흡입됨으로써 제 2 흡입부(241) 내부는 진공 상태에 가까워 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 흡입펌프(242)가 작동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제 2 지그(220)의 일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하중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경우 제 2 흡입부(241)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 2 흡입부(241)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부가 제 2 지그(220)의 외면으로 노출되어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110), 접착층(120),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준비가 완료되면, 제 2 구동부(225)를 구동시켜 제 2 지그(220)를 제 1 지그(21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 2 구동부(225)는 일정 시간 작동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2 구동부(225)가 작동하는 경우 제 2 지그(220)는 제 1 지그(210)와 근접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 2 지그(220)가 제 1 지그(210)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접착층(120)은 커버윈도우(110)와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접착층(120)과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크기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탄부(111)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작게 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폭은 커버윈도우(11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층(120)의 폭은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폭보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경우 접착층(120)은 평탄부(111)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제 2 구동부(225)가 계속해서 작동하면, 접착층(120)은 평탄부(111)와 접촉하여 압축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커버윈도우(110)는 라미네이션(Ramination)에 의하여 서로 부착될 수 있다.(도 4c 참고)
특히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110)와 디스플레이 패널(130)이 접착되는 경우, 제 1 지그(210) 및 제 2 지그(220)가 커버윈도우(110)와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압착하는 하중범위는 0.3MPa 이상 0.5MPa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범위가 0.3MPa 미만인 경우에는 커버윈도우(110)와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합착력이 저하되어 라미네이션 후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범위가 0.5MPa을 초과하는 경우 커버윈도우(110)와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합착 시 커버윈도우(110) 내지 디스플레이 패널(130)이 파손됨으로써 품질 불량 내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은 대기 상태 또는 진공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200)는 제 1 지그(210), 제 2 지그(220)가 내부에 배치되는 챔버(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200)는 챔버(C)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챔버(C) 내부의 압력이 진공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커버윈도우(110)와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라미네이션 시 커버윈도우(110)와 디스플레이 패널(130) 사이에 형성되는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곡면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곡면 형상의 커버윈도우(110)와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정확하게 부착시킴으로써 불량률을 최소화하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커버윈도우(310), 패널부재(390) 및 접착층(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윈도우(310)는 평탄부(311)와 굴곡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 및 접착층(320)은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커버윈도우(310) 및 접착층(320)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패널부재(390)는 평탄부(311)에 안착하는 제 1 패널부재(39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널부재(390)는 적어도 일부분이 굴곡부(312)에 안착하는 제 2 패널부재(39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패널부재(39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30) 및 터치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패널부재(390)가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은 평탄부(311)에 안착하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330)은 제 1 디스플레이 패널부(331)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 2 디스플레이 패널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디스플레이 패널부(332)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부(331)로부터 굴곡지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 2 디스플레이 패널부(332)는 적어도 일부가 굴곡부(312)에 안착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굴곡된 커버윈도우(310)를 포함하고, 평탄한 부분 뿐만 아니라 곡면으로 형성된 부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액티브 에어리어(Active area)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일부가 곡면 형상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전자기기에 부착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영상의 구현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6 및 도 7c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는 제 1 지그(410), 제 2 지그(420), 구동부(미표기) 및 고정부(F)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410), 제 2 지그(420), 상기 구동부 및 고정부(F)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제 1 구동부(415) 및 제 2 구동부(미표기)를 포함하고, 고정부(F)는 제 1 고정부(430) 및 제 2 고정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부(415), 상기 제 2 구동부, 상기 제 1 고정부 및 제 2 고정부(44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제 1 구동부(415)만을 구비하여 작동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는 제 1 지그(410) 및 제 2 지그(42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쿠션부(4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쿠션부(490)는 두께가 0.5mm 이상 3mm이하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쿠션부(490)가 제 2 지그(420)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쿠션부(490)는 복수개 구비되어 제 2 지그(420)의 끝단 부분에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쿠션부(490)는 제 1 쿠션부(491)와 제 1 쿠션부(491)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 2 지그(420)에 설치되는 제 2 쿠션부(492)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 1 쿠션부(491)와 제 2 쿠션부(492) 사이의 거리(S1)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폭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길이 이하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쿠션부(491)와 제 2 쿠션부(492) 사이의 거리(S1)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폭 이하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개의 쿠션부(490)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지지하고, 제 2 지그(420)와 제 1 지그(410)가 서로 압착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330)과 굴곡부(3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버블(Buble)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는 간편한 구성을 통하여 곡면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는 곡면 형상의 커버윈도우(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정확하게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는 쿠션부(490)를 구비함으로써 굴곡부(312) 부분에서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패널(330)과 커버윈도우(310)의 라미네이션 시 발생할 수 있는 불량률을 저감시킬 수 있다.(도 7b 참고)
한편,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윈도우(310)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조하여 각각 제 1 지그(410) 및 제 2 지그(420) 상에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제 1 고정부(430)와 제 2 고정부(440)가 작동하여 커버윈도우(310)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각각 제 1 지그(410) 및 제 2 지그(4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흡입펌프(432)가 작동하면, 제 1 흡입부(431) 내부가 진공 상태로 유지되고, 제 2 흡입펌프(442)가 작동하면, 제 2 흡입부(441) 내부가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윈도우(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은 각각 제 1 지그(410) 및 제 2 지그(420)에 고정될 수 있다.(도 7a 참고)
한편, 제 1 지그(410)는 상측에 배치되고, 제 2 지그(420)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410) 및 제 2 지그(420) 중 적어도 하나는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지그(410)는 제 2 지그(420) 측으로 이동하거나 제 2 지그(420)가 제 1 지그(41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1 지그(410) 및 제 2 지그(420)가 동시에 서로 근접하도록 이동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지그(410)가 제 2 지그(420)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 1 지그(410)가 제 2 지그(420)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 1 구동부(415)가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부(415)가 계속해서 작동하면, 커버윈도우(310)의 곡률진 일면이 접착층(320)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330) 및 접착층(320)은 제 2 지그(420) 상에서 평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상기와 같이 접착층(320)과 커버윈도우(310)가 접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330) 및 접착층(320)은 양단이 굴곡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330)은 상기와 같은 작업 후 평평한 제 1 디스플레이 패널부(331)와 굴곡진 제 2 디스플레이 패널부(3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패널부(331)와 제 2 디스플레이 패널부(332)는 상기와 같은 작업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평탄부(311)와 굴곡부(312)에 접착되면서 제 2 디스플레이 패널부(332)가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도 5 및 도 7c 참고)
한편, 커버윈도우(310)는 제 1 구동부(415)의 작동에 따라 접착층(320)과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라미네이션에 의하여 서로 부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접착되는 경우, 제 1 지그(410) 및 제 2 지그(420)가 커버윈도우(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압착하는 하중범위는 0.3MPa 이상 0.5MPa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범위가 0.3MPa 미만인 경우에는 커버윈도우(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합착력이 저하되어 라미네이션 후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범위가 0.5MPa을 초과하는 경우 커버윈도우(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합착 시 커버윈도우(310) 내지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파손됨으로써 품질 불량 내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곡면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곡면 형상의 커버윈도우(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정확하게 부착시킴으로써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330)과 굴곡부(312)가 압착 후 발생할 수 있는 공기 버블(Buble)을 제거함으로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의 제 3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8 및 도 9c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는 제 1 지그(510), 제 2 지그(520), 구동부(M) 및 고정부(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510), 제 2 지그(520), 구동부(M) 및 상기 고정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동부(M)는 제 1 구동부(515) 및 제 2 구동부(525)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제 1 고정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부(515), 제 2 구동부(525) 및 제 1 고정부(53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는 제 1 지그(510) 및 제 2 지그(5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접착층(320)이 도포된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지지하는 클램핑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클램핑부(550)가 제 2 지그(52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클램핑부(550)는 디스플레이 패널(330) 및 접착층(320)의 일단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클램핑부(550)는 복수개 구비되어, 복수개의 클램핑부(550) 사이의 거리는 패널부재(미도시)의 폭 또는 길이 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널부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30) 및 터치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클램핑부(550) 사이의 거리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폭 이하이고, 상기 패널부재가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복수개의 클램핑부(550)는 제 2 지그(520)의 측면에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330)과 접착층(320)의 양단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클램핑부(550)는 제 1 클램핑부(551)와, 제 1 클램핑부(551)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2 클램핑부(55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는 간편한 구성을 통하여 곡면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는 곡면 형상의 커버윈도우(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정확하게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는 클램핑부(550)를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330)과 커버윈도우(310)의 위치 정렬을 정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를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제조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윈도우(310)를 형성하고,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형성한 후 접착층(320)을 안착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지그(510)에 장착할 수 있다.(도 9a 참고)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접착층(320)이 안착된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양단을 각각 제 1 클램핑부(551)와 제 2 클램핑부(55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클램핑부(551)와 제 2 클램핑부(552)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에 양단을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30) 및 접착층(320)이 고정되면, 디스플레이 패널(330) 및 접착층(320)은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클램핑부(551)와 제 2 클램핑부(552) 사이의 간격(S2)이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폭 또는 길이보다 작으므로 가운데 부분이 제 1 지그(510) 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b 참고)
한편,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30) 및 접착층(320)이 고정되면, 제 1 지그(510) 및 제 2 지그(520)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패널(330), 접착층(320) 및 커버윈도우(310)를 서로 압착시킬 수 있다. 이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지그(510) 및 제 2 지그(520)가 같이 이동하여 압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지그(510) 및 제 2 지그(520)가 이동하는 경우 제 1 구동부(515) 및 제 2 구동부(525)가 작동하여 제 1 지그(510)와 제 2 지그(520)가 서로 인접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330)과 접착층(320)의 볼록한 부분이 먼저 커버윈도우(310)에 접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30)과 접착층(320)의 볼록한 부분은 평탄부(311)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 1 지그(510)와 제 2 지그(520)가 이동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330)과 접착층(320)은 처음으로 평탄부(311)에 접촉한 부분으로부터 굴곡부(312) 측으로 이동하면서 평탄부(311)에 접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330), 접착층(320) 및 커버윈도우(310)가 부착되는 순서는 평탄부(311)로부터 굴곡부(312)까지 진행될 수 있다.(도 9c 참고)
특히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접착되는 경우, 제 1 지그(510) 및 제 2 지그(520)가 커버윈도우(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압착하는 하중범위는 0.3MPa 이상 0.5MPa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범위가 0.3MPa 미만인 경우에는 커버윈도우(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합착력이 저하되어 라미네이션 후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범위가 0.5MPa을 초과하는 경우 커버윈도우(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합착 시 커버윈도우(310) 내지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파손됨으로써 품질 불량 내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곡면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곡면 형상의 커버윈도우(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정확하게 부착시킴으로써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330)과 굴곡부(312)가 압착 후 발생할 수 있는 공기 버블(Buble)을 제거함으로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의 제 4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는 제 1 지그(610), 제 2 지그(620), 구동부(M), 클램핑부(650) 및 고정부(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610) 및 제 2 지그(62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동부(M)는 제 1 구동부(615) 및 제 2 구동부(625)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제 1 고정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부(615), 제 2 구동부(625) 및 제 1 고정부(63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제 1 고정부(630)는 제 1 흡입펌프(632)와 제 1 흡입부(63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클램핑부(650)는 제 1 클램핑부(651)와 제 2 클램핑부(6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클램핑부(651)와 제 2 클램핑부(652)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는 제 1 클램핑부(651) 및 제 2 클램핑부(652)를 각각 상하 운동시키는 제 1 선형구동부(660) 및 제 2 선형구동부(6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선형구동부(660) 및 제 2 선형구동부(670)는 서로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제 1 선형구동부(660)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선형구동부(660)는 제 1 클램핑부(651)와 연결되어 선형 운동하는 제 1 샤프트(66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선형구동부(660)는 제 1 샤프트(661)를 구동시키는 제 1 구동모듈(66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모듈(665)은 실린더 또는 모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구동모듈(665)이 모터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 1 샤프트(661)는 제 1 구동모듈(665)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하는 볼 스크류 형태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선형구동부(660)는 제 1 샤프트(661)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 1 탄성부(6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탄성부(663)는 압축스프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탄성부(663)가 압축스프링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탄성부(663)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샤프트(661)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제 1 클램핑부(651)의 운동 시 제 1 클램핑부(651)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를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커버윈도우(310)와 패널부재(미도시)를 형성한 후 접착층(320)을 상기 패널부재 상에 형성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널부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30) 및 터치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패널부재가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접착층(320)이 도포된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양단을 제 1 클램핑부(651)와 제 2 클램핑부(65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클램핑부(651)와 제 2 클램핑부(652)에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고정되면, 디스플레이 패널(330) 및 접착층(320)은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클램핑부(651)와 제 2 클램핑부(652) 사이의 간격이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폭 또는 길이보다 작으므로 가운데 부분이 제 1 지그(610) 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클램핑부(651)와 제 2 클램핑부(652) 사이의 간격(S3)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폭 이하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330) 및 접착층(320)이 상기와 같이 배치되면, 제 1 지그(610) 및 제 2 지그(620)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패널(330), 접착층(320) 및 커버윈도우(310)를 서로 압착시킬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지그(610)와 제 2 지그(620)가 동시에 이동하여 압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 1 지그(610) 및 제 2 지그(620)가 이동할 때, 제 1 선형구동부(660) 및 제 2 선형구동부(670)가 작동하여 제 1 클램핑부(651) 및 제 2 클램핑부(652)를 각각 상하 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제 1 클램핑부(651) 및 제 2 클램핑부(652)는 제 2 지그(620)의 이동 속도와 유사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 지그(620), 제 1 클램핑부(651) 및 제 2 클램핑부(652)가 상승하면 디스플레이 패널(330) 및 접착층(320)은 곡률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610) 및 제 2 지그(620) 사이의 거리가 일정 거리에 도달하면, 제 1 클램핑부(651) 및 제 2 클램핑부(652)는 디스플레이 패널(330) 및 접착층(320)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제 1 클램핑부(651) 및 제 2 클램핑부(652)가 작동한 후 제 1 선형구동부(660) 및 제 2 선형구동부(670)가 작동하여 제 1 클램핑부(651)와 제 2 클램핑부(652)를 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한 후 제 1 구동부(615) 및 제 2 구동부(625)는 계속해서 작동하여 제 1 지그(610)와 제 2 지그(620)를 서로 인접시킬 수 있다. 특히 제 1 지그(610)와 제 2 지그(620)는 상기와 같이 서로 가까워지면서 디스플레이 패널(330), 접착층(320) 및 커버윈도우(310)를 압착할 수 있다. 이때, 압착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접착되는 경우, 제 1 지그(610) 및 제 2 지그(620)가 커버윈도우(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압착하는 하중범위는 0.3MPa 이상 0.5MPa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범위가 0.3MPa 미만인 경우에는 커버윈도우(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합착력이 저하되어 라미네이션 후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범위가 0.5MPa을 초과하는 경우 커버윈도우(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합착 시 커버윈도우(310) 내지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파손됨으로써 품질 불량 내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곡면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곡면 형상의 커버윈도우(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정확하게 부착시킴으로써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330)과 굴곡부(312)가 압착 후 발생할 수 있는 공기 버블(Buble)을 제거함으로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의 제 5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는 제 1 지그(710), 제 2 지그(720), 구동부(M), 클램핑부(750), 고정부(미표기), 제 1 선형구동부(760), 제 2 선형구동부(770) 및 쿠션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710) 및 제 2 지그(72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동부(M)는 제 1 구동부(715) 및 제 2 구동부(725)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제 1 고정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부(715), 제 2 구동부(725) 및 제 1 고정부(73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클램핑부(750)는 제 1 클램핑부(751) 및 제 2 클램핑부(7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클램핑부(751) 및 제 2 클램핑부(752)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 1 선형구동부(760) 및 제 2 선형구동부(770)는 제 1 클램핑부(751)와 제 2 클램핑부(752)를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제 1 선형구동부(760) 및 제 2 선형구동부(770)는 각각 제 1 클램핑부(751)와 제 2 클램핑부(752)를 사선 방향으로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 2 선형구동부(770)의 경우에도 제 1 선형구동부(760)와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이하에서는 제 1 선형구동부(760)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선형구동부(760)는 제 1 샤프트(761), 제 1 구동모듈(765) 및 제 1 탄성부(76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 1 샤프트(761), 제 1 구동모듈(765) 및 제 1 탄성부(763)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 1 샤프트(761)의 경우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 1 클램핑부(751)를 사선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제 1 선형구동부(760)가 작동하는 경우 제 1 구동모듈(765)은 제 1 샤프트(761)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모듈(765) 및 제 1 샤프트(761)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지그(720)를 중심으로 사선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제 1 샤프트(761) 운동을 가변시킴으로써 제 1 클램핑부(751)를 사선방향으로 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구동모듈(765)이 작동하여 제 1 샤프트(761)를 제 2 지그(720)의 하측 사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 1 클램핑부(751)는 제 1 샤프트(761)의 운동에 따라 제 2 지그(720)의 하측 사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면, 제 1 구동모듈(765)이 상기와 반대로 작동하여 제 1 샤프트(761)를 제 2 지그(720)의 상측 사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 1 클램핑부(751)는 제 1 샤프트(761)의 운동에 따라 제 2 지그(720)의 상측 사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 1 샤프트(761)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볼 스크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 1 구동모듈(765)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운동할 수 있다. 특히 제 1 샤프트(761)는 제 1 구동모듈(765)의 작동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제 2 지그(720)의 하측 사선방향 또는 상측 사선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한편, 쿠션부(79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쿠션부(790)는 제 1 지그(710) 및 제 2 지그(720)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쿠션부(790)는 제 1 지그(710) 및 제 2 지그(720)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 일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쿠션부(790)가 제 2 지그(720)의 외면 전체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널부재(미도시) 및 커버윈도우(310)를 준비한 후 상기 패널부재 상에 접착층(320)을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널부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30) 및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패널부재가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접착층(320)이 도포된 디스플레이 패널(330)은 제 1 클램핑부(751)와 제 2 클램핑부(752)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완료되면, 제 1 지그(710) 및 제 2 지그(720)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 접착층(320) 및 커버윈도우(310)를 압착할 수 있다. 이때, 압착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지그(710)와 제 2 지그(720)가 이동하는 경우 제 1 클램핑부(751)와 제 2 클램핑부(752)도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제 1 클램핑부(751)와 제 2 클램핑부(752)는 제 1 선형구동부(760)와 제 2 선형구동부(770)에 의하여 사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 1 클램핑부(751)와 제 2 클램핑부(752)는 사선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클램핑부(751)와 제 2 클램핑부(752)가 상승한 후 제 1 지그(710)와 제 2 지그(720)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간격에 도달하면,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양단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330)은 중앙 부분부터 접착층(320)에 의하여 커버윈도우(310)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클램핑부(751)와 제 2 클램핑부(752)가 작동한 후 제 1 선형구동부(760) 및 제 2 선형구동부(770)가 작동하여 제 1 클램핑부(751)와 제 2 클램핑부(752)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클램핑부(751)와 제 2 클램핑부(752)는 사선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클램핑부(751)와 제 2 클램핑부(752)가 하강하는 동안 제 1 지그(710)와 제 2 지그(720)는 서로 근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 접착층(320) 및 커버윈도우(310)를 압착할 수 있다. 이때, 압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과 커버윈도우(310)가 접착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지그(710) 및 제 2 지그(7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과 커버윈도우(310)를 압착하는 경우, 쿠션부(790)는 디스플레이 패널(330)과 커버윈도우(310)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쿠션부(790)는 디스플레이 패널(330)과 커버윈도우(310)에 가해지는 힘의 일부를 흡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330) 또는 커버윈도우(3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접착되는 경우, 제 1 지그(710) 및 제 2 지그(720)가 커버윈도우(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압착하는 하중범위는 0.3MPa 이상 0.5MPa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범위가 0.3MPa 미만인 경우에는 커버윈도우(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합착력이 저하되어 라미네이션 후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범위가 0.5MPa을 초과하는 경우 커버윈도우(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합착 시 커버윈도우(310) 내지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파손됨으로써 품질 불량 내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곡면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곡면 형상의 커버윈도우(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정확하게 부착시킴으로써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330)과 굴곡부(312)가 압착 후 발생할 수 있는 공기 버블(Buble)을 제거함으로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a)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0a)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300a)는 패널부재(390a)와 커버윈도우(310a)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접착층(320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패널부재(390a)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아 디스플레이 패널(330a)과 터치패널(340a)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330a)과 터치패널(340a) 사이에는 제 2 접착층(350a)이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330a)과 터치패널(340a)을 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커버윈도우(310a)는 적어도 일부분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커버윈도우(310a)는 곡률반경이 R인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a)는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의 일정한 곡률반경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윈도우(310a)는 패널부재(390a)가 부착된 후 이미지 또는 글자 등이 디스플레이되는 면이 볼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윈도우(310a)는 일정한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곡면은 커버윈도우(310a)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 1 접착층(320a)과 제 2 접착층(350a)은 서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접착층(320a)과 제 2 접착층(350a)은 접착력을 가지면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접착층(320a)과 제 2 접착층(350a)은 접착필름(OCA film, Optical clear adhesive film) 또는 접착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300a)는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부재에 설치가 가능하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0a)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a)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a)는 제 1 지그(410a), 제 2 지그(420a), 구동부(M), 고정부(미표기) 및 쿠션부(49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410a)의 적어도 일부분은 커버윈도우(310a)의 외면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지그(410a)는 일정한 곡률반경의 곡면을 갖는 커버윈도우(310a)안착하도록 곡면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제 1 지그(410a)는 제 2 지그(420a)의 반대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지그(420a)의 외면은 제 1 지그(410a)의 인입된 부분과 대응 또는 맞물릴 수 있도록 제 1 지그(410a)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지그(420a)의 외면은 일정한 곡률반경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M)는 제 1 구동부(415a)와 제 2 구동부(425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부(415a)는 제 1 지그(410a)를 제 2 지그(420a) 측으로 선형 운동시키며, 제 2 구동부(425a)는 제 2 지그(420a)를 제 1 지그(410a) 측으로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구동부(415a) 및 제 2 구동부(425a)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제 1 지그(410a)에 설치되는 제 1 고정부(430a)와 제 2 지그(420a) 측에 설치되는 제 2 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고정부가 제 1 고정부(430a)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 1 고정부(430a)와 상기 제 2 고정부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제 1 고정부(430a)를 중심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고정부(430a)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고정부(430a)는 접착부재나 점착척, 정전척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부(430a)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흡입부(431a)와, 제 1 흡입부(431a)와 연결되는 제 1 흡입펌프(432a)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 1 고정부(430a)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지그(410a)에 설치되어 기계적으로 커버윈도우(310a)를 구속하는 클램프, 돌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고정부(430a)가 제 1 흡입부(431a)와 제 1 흡입펌프(432a)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쿠션부(490a)는 제 1 지그(410a) 및 제 2 지그(420a)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쿠션부(490a)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쿠션부(490a)가 제 2 지그(420a)에만 설치되고, 제 2 지그(420a)의 외면에 일체로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a)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a)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커버윈도우(310a) 및 패널부재(390a)를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a)의 제조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터치패널(340a)과 디스플레이 패널(330a)은 제 2 접착층(350a)으로 접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a) 및 패널부재(390a)를 제조하여 준비한 후 커버윈도우(310a)를 제 1 지그(410a)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a)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일정한 곡률반경 R인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 1 지그(410a)의 외면상에 안착할 수 있다. 이때, 제 1 흡입펌프(432a)가 작동하여 제 1 흡입부(431a)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커버윈도우(310a)를 제 1 지그(410a)의 외면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와 같이 제 2 접착층(350a)으로 접착된 터치패널(340a)과 디스플레이 패널(330a)을 제 2 지그(420a)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330a)은 제 2 지그(420a)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터치패널(340a)은 제 1 지그(410a)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터치패널(340a)과 디스플레이 패널(330a)을 배치한 후 터치패널(340a) 상에 제 1 접착층(320a)을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접착층(320a)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 2 접착층(350a)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a), 터치패널(340a)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a)의 배치가 완료되면, 제 1 구동부(415a) 및 제 2 구동부(425a)를 구동시켜 제 1 지그(410a) 및 제 2 지그(420a)를 서로 압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 2 지그(420a)의 돌출된 부분이 디스플레이 패널(330a)에 먼저 접촉하게 되고, 제 1 접착층(320a)과 커버윈도우(310a)는 중앙부분으로부터 양단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라미네이션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가 접착되는 경우, 제 1 지그(410a) 및 제 2 지그(420a)가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를 압착하는 하중범위는 0.3MPa 이상 0.5MPa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범위가 0.3MPa 미만인 경우에는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의 합착력이 저하되어 라미네이션 후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범위가 0.5MPa을 초과하는 경우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의 합착 시 커버윈도우(310a) 내지 패널부재(390a)가 파손됨으로써 품질 불량 내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쿠션부(490a)는 커버윈도우(310a), 터치패널(340a)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a)에 가해지는 힘이 균일하도록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제 1 구동부(415a) 및 제 2 구동부(425a)가 작동하여 제 1 지그(410a)와 제 2 지그(420a)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완성된 디스플레이 장치(300a)를 제 1 지그(410a) 또는 제 2 지그(420a)로부터 인출하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은 진공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a)는 제 1 지그(410a), 제 2 지그(420a), 상기 고정부, 구동부(M) 등이 내부에 배치되는 챔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a)는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가 라미네이션이 진행될 때,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라미네이션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a)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300a)를 제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a)는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의 라미네이션 시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0a)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a)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a)는 제 1 지그(510a), 제 2 지그(520a), 구동부(M), 고정부(미표기), 쿠션부(590a) 및 클램핑부(55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510a), 제 2 지그(520a), 구동부(M), 상기 고정부 및 쿠션부(590a)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클램핑부(550a)는 제 1 클램핑부(551a)와 제 2 클램핑부(55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클램핑부(551a)와 제 2 클램핑부(552a)는 제 1 지그(510a) 또는 제 2 지그(520a)의 측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클램핑부(551a)와 제 2 클램핑부(552a)가 제 2 지그(520a)의 측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 1 클램핑부(551a)와 제 2 클램핑부(552a)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a)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a)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커버윈도우(310a) 및 패널부재(390a)를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a)의 제조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터치패널(340a)과 디스플레이 패널(330a)은 제 2 접착층(350a)으로 접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a) 및 패널부재(390a)를 제조하여 준비한 후 커버윈도우(310a)를 제 1 지그(510a)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a)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일정한 곡률반경 R인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 1 지그(510a)의 외면상에 안착할 수 있다. 이때, 제 1 흡입펌프(532a)가 작동하여 제 1 흡입부(531a)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커버윈도우(310a)를 제 1 지그(510a)의 외면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와 같이 제 2 접착층(350a)으로 접착된 터치패널(340a)과 디스플레이 패널(330a)을 제 2 지그(520a)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330a)은 제 2 지그(520a)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터치패널(340a)은 제 1 지그(510a)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330a) 및 터치패널(340a)는 적층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330a)의 끝단 및 터치패널(340a)의 끝단은 제 1 클램핑부(551a)와 제 2 클램핑부(552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터치패널(340a)과 디스플레이 패널(330a)을 배치한 후 터치패널(340a) 상에 제 1 접착층(320a)을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접착층(320a)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 2 접착층(350a)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a), 터치패널(340a)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a)의 배치가 완료되면, 제 1 구동부(515a) 및 제 2 구동부(525a)를 구동시켜 제 1 지그(510a) 및 제 2 지그(520a)를 서로 압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 2 지그(520a)의 돌출된 부분이 디스플레이 패널(330a)에 먼저 접촉하게 되고, 제 1 접착층(320a)과 커버윈도우(310a)는 중앙부분으로부터 양단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라미네이션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가 접착되는 경우, 제 1 지그(510a) 및 제 2 지그(520a)가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를 압착하는 하중범위는 0.3MPa 이상 0.5MPa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범위가 0.3MPa 미만인 경우에는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의 합착력이 저하되어 라미네이션 후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범위가 0.5MPa을 초과하는 경우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의 합착 시 커버윈도우(310a) 내지 패널부재(390a)가 파손됨으로써 품질 불량 내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 1 지그(510a)와 제 2 지그(520a)가 운동하는 경우 제 1 클램핑부(551a)와 제 2 클램핑부(552a)는 움직이지 않으면서 터치패널(340a)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a)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쿠션부(590a)는 커버윈도우(310a), 터치패널(340a)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a)에 가해지는 힘이 균일하도록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제 1 구동부(515a) 및 제 2 구동부(525a)가 작동하여 제 1 지그(510a)와 제 2 지그(520a)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완성된 디스플레이 장치(300a)를 제 1 지그(510a) 또는 제 2 지그(520a)로부터 인출하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은 진공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a)는 제 1 지그(510a), 제 2 지그(520a), 상기 고정부, 상기 구동부 등이 내부에 배치되는 챔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a)는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가 라미네이션이 진행될 때,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a)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300a)를 제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a)는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의 라미네이션 시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0a)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a)의 제 3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a)는 제 1 지그(610a), 제 2 지그(620a), 구동부(M), 고정부(미표기), 쿠션부(690a), 클램핑부(650a) 및 선형구동부(L)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610a), 제 2 지그(620a), 구동부(M), 상기 고정부, 쿠션부(690a) 및 클램핑부(650a)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선형구동부(L)는 제 1 클램핑부(651a)에 설치되어 제 1 클램핑부(651a)를 선형 운동시키는 제 1 선형구동부(660a)와, 제 2 클램핑부(652a)에 설치되어 제 2 클램핑부(652a)를 선형 운동시키는 제 2 선형구동부(670a)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 1 선형구동부(660a)와 제 2 선형구동부(670a)는 각각 제 1 클램핑부(651a)와 제 2 클램핑부(652a)를 제 1 지그(610a)의 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선형구동부(660a) 및 제 2 선형구동부(670a)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선형구동부(660a)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선형구동부(660a)는 제 1 클램핑부(651a)와 연결되어 선형 운동하는 제 1 샤프트(661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선형구동부(660a)는 제 1 샤프트(661a)를 구동시키는 제 1 구동모듈(665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모듈(665a)은 실린더 또는 모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구동모듈(665a)이 모터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 1 샤프트(661a)는 제 1 구동모듈(665a)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하는 볼 스크류 형태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선형구동부(660a)는 제 1 샤프트(661a)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 1 탄성부(66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탄성부(663a)는 압축스프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탄성부(663a)가 압축스프링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탄성부(663a)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샤프트(661a)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제 1 클램핑부(651a)의 운동 시 제 1 클램핑부(651a)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a)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a)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커버윈도우(310a) 및 패널부재(390a)를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a)의 제조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터치패널(340a)과 디스플레이 패널(330a)은 제 2 접착층(350a)으로 접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a) 및 패널부재(390a)를 제조하여 준비한 후 커버윈도우(310a)를 제 1 지그(610a)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a)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일정한 곡률반경 R인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 1 지그(610a)의 외면상에 안착할 수 있다. 이때, 제 1 흡입펌프(632a)가 작동하여 제 1 흡입부(631a)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커버윈도우(310a)를 제 1 지그(610a)의 외면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와 같이 제 2 접착층(350a)으로 접착된 터치패널(340a)과 디스플레이 패널(330a)을 제 2 지그(620a)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330a)은 제 2 지그(620a)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터치패널(340a)은 제 1 지그(610a)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330a) 및 터치패널(340a)는 적층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330a)의 끝단 및 터치패널(340a)의 끝단은 제 1 클램핑부(651a)와 제 2 클램핑부(652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터치패널(340a)과 디스플레이 패널(330a)을 배치한 후 터치패널(340a) 상에 제 1 접착층(320a)을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접착층(320a)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 2 접착층(350a)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a), 터치패널(340a)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a)의 배치가 완료되면, 제 1 구동부(615a) 및 제 2 구동부(625a)를 구동시켜 제 1 지그(610a) 및 제 2 지그(620a)를 서로 압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 2 지그(620a)의 돌출된 부분이 디스플레이 패널(330a)에 먼저 접촉하게 되고, 제 1 접착층(320a)과 커버윈도우(310a)는 중앙부분으로부터 양단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라미네이션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가 접착되는 경우, 제 1 지그(610a) 및 제 2 지그(620a)가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를 압착하는 하중범위는 0.3MPa 이상 0.5MPa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범위가 0.3MPa 미만인 경우에는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의 합착력이 저하되어 라미네이션 후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범위가 0.5MPa을 초과하는 경우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의 합착 시 커버윈도우(310a) 내지 패널부재(390a)가 파손됨으로써 품질 불량 내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 1 지그(610a)와 제 2 지그(620a)가 운동하는 경우 제 1 클램핑부(651a)와 제 2 클램핑부(652a)는 제 1 지그(610a)와 제 2 지그(620a)의 운동에 따라 선형운동하면서 터치패널(340a)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a)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선형구동부(660a)와 제 2 선형구동부(670a)는 제 1 지그(610a) 및 제 2 지그(620a) 중 적어도 하나의 선형 운동에 근거하여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쿠션부(690a)는 커버윈도우(310a), 터치패널(340a)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a)에 가해지는 힘이 균일하도록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제 1 구동부(615a) 및 제 2 구동부(625a)가 작동하여 제 1 지그(610a)와 제 2 지그(620a)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완성된 디스플레이 장치(300a)를 제 1 지그(610a) 또는 제 2 지그(620a)로부터 인출하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은 진공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a)는 제 1 지그(610a), 제 2 지그(620a), 상기 고정부, 구동부(M) 등이 내부에 배치되는 챔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a)는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가 라미네이션이 진행될 때,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a)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300a)를 제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a)는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의 라미네이션 시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0a)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a)의 제 4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a)는 제 1 지그(710a), 제 2 지그(720a), 구동부(M), 고정부(미표기), 쿠션부(790a), 클램핑부(750a) 및 선형구동부(L)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710a), 제 2 지그(720a), 구동부(M), 상기 고정부, 쿠션부(790a), 클램핑부(750a) 및 선형구동부(L)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선형구동부(L)는 제 1 클램핑부(751a)에 설치되어 제 1 클램핑부(751a)를 선형 운동시키는 제 1 선형구동부(760a)와, 제 2 클램핑부(752a)에 설치되어 제 2 클램핑부(752a)를 선형 운동시키는 제 2 선형구동부(77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선형구동부(760a) 및 제 2 선형구동부(770a)는 각각 제 1 클램핑부(751a)와 제 2 클램핑부(752a)를 사선방향으로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제 1 선형구동부(760a) 및 제 2 선형구동부(770a)는 제 1 클램핑부(751a)와 제 2 클램핑부(752a)의 이동방향이 제 1 지그(710a)의 이동 방향과 각도를 형성하도록 제 1 클램핑부(751a)와 제 2 클램핑부(752a)를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a)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a)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커버윈도우(310a) 및 패널부재(390a)를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a)의 제조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터치패널(340a)과 디스플레이 패널(330a)은 제 2 접착층(350a)으로 접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a) 및 패널부재(390a)를 제조하여 준비한 후 커버윈도우(310a)를 제 1 지그(710a)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a)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일정한 곡률반경 R인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 1 지그(710a)의 외면상에 안착할 수 있다. 이때, 제 1 흡입펌프(732a)가 작동하여 제 1 흡입부(731a)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커버윈도우(310a)를 제 1 지그(710a)의 외면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와 같이 제 2 접착층(350a)으로 접착된 터치패널(340a)과 디스플레이 패널(330a)을 제 2 지그(720a)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330a)은 제 2 지그(720a)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터치패널(340a)은 제 1 지그(710a)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330a) 및 터치패널(340a)는 적층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330a)의 끝단 및 터치패널(340a)의 끝단은 제 1 클램핑부(751a)와 제 2 클램핑부(752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330a) 및 터치패널(340a)은 제 1 클램핑부(751a)와 제 2 클램핑부(752a)에 의하여 중앙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높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터치패널(340a)과 디스플레이 패널(330a)을 배치한 후 터치패널(340a) 상에 제 1 접착층(320a)을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접착층(320a)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 2 접착층(350a)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a), 터치패널(340a)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a)의 배치가 완료되면, 제 1 구동부(715a) 및 제 2 구동부(725a)를 구동시켜 제 1 지그(710a) 및 제 2 지그(720a)를 서로 압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 2 지그(720a)의 돌출된 부분이 디스플레이 패널(330a)에 먼저 접촉하게 되고, 제 1 접착층(320a)과 커버윈도우(310a)는 중앙부분으로부터 양단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라미네이션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가 접착되는 경우, 제 1 지그(710a) 및 제 2 지그(720a)가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를 압착하는 하중범위는 0.3MPa 이상 0.5MPa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범위가 0.3MPa 미만인 경우에는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의 합착력이 저하되어 라미네이션 후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범위가 0.5MPa을 초과하는 경우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의 합착 시 커버윈도우(310a) 내지 패널부재(390a)가 파손됨으로써 품질 불량 내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 1 지그(710a)와 제 2 지그(720a)가 운동하는 경우 제 1 클램핑부(751a)와 제 2 클램핑부(752a)는 제 1 지그(710a)와 제 2 지그(720a)의 운동에 따라 선형운동하면서 터치패널(340a)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a)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선형구동부(760a)와 제 2 선형구동부(770a)는 제 1 지그(710a) 및 제 2 지그(720a) 중 적어도 하나의 선형 운동에 근거하여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쿠션부(790a)는 커버윈도우(310a), 터치패널(340a)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a)에 가해지는 힘이 균일하도록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제 1 구동부(715a) 및 제 2 구동부(725a)가 작동하여 제 1 지그(710a)와 제 2 지그(720a)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완성된 디스플레이 장치(300a)를 제 1 지그(710a) 또는 제 2 지그(720a)로부터 인출하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은 진공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a)는 제 1 지그(710a), 제 2 지그(720a), 상기 고정부, 구동부(M) 등이 내부에 배치되는 챔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a)는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가 라미네이션이 진행될 때,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a)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300a)를 제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a)는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의 라미네이션 시 커버윈도우(310a)와 패널부재(390a)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b)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9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0b)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윈도우(310b)와 패널부재(39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300b)는 패널부재(390b)와 커버윈도우(310b)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접착층(32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패널부재(390b)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아 디스플레이 패널(330b)과 터치패널(340b)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330b)과 터치패널(340b) 사이에는 제 2 접착층(350b)이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330b)과 터치패널(340b)을 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b)는 적어도 일부분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b)는 패널부재(390b)가 부착된 후 이미지 또는 글자 등이 디스플레이되는 면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커버윈도우(310b)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윈도우(310b)는 길이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곡률반경이 R1인 제 1 곡면, 곡률반경이 R2인 제 2 곡면 및 곡률반경이 R3인 제 3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b)는 곡률반경이 R1,R2,R3인 곡면 이외에도 곡률반경이 R4,R5………RN(여기서 N은 자연수)인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윈도우(310b)가 폭 방향으로 곡률반경이 R1인 제 1 곡면, R2인 제 2 곡면, R3인 제 3 곡면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 1 접착층(320b)과 제 2 접착층(350b)은 서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접착층(320b)과 제 2 접착층(350b)은 접착력을 가지면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접착층(320b)과 제 2 접착층(350b)은 접착필름(OCA film, Optical clear adhesive film) 또는 접착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300b)는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부재에 설치가 가능하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0b)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b)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0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b)는 제 1 지그(410b), 제 2 지그(420b), 구동부(M), 고정부(미표기) 및 쿠션부(49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b)가 안착하는 제 1 지그(410b)의 외면은 제 1 지그(410b)의 외면에 접촉하는 커버윈도우(310b)의 외면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지그(410b)는 커버윈도우(310b)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어도 2개 이상의 곡률반경(R1',R2',R3')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 1 지그(410b)는 제 2 지그(420b)의 반대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지그(420b)의 외면은 제 1 지그(410b)의 인입된 부분에 대응 또는 맞물리도록 제 1 지그(410b)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지그(420b)의 외면은 적어도 2개 이상의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M)는 제 1 구동부(415b)와 제 2 구동부(425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부(415b)는 제 1 지그(410b)를 제 2 지그(420b) 측으로 선형 운동시키며, 제 2 구동부(425b)는 제 2 지그(420b)를 제 1 지그(410b) 측으로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구동부(415b) 및 제 2 구동부(425b)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제 1 지그(410b)에 설치되는 제 1 고정부(430b)와 제 2 지그(420b) 측에 설치되는 제 2 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고정부가 제 1 고정부(430b)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 1 고정부(430b)와 상기 제 2 고정부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제 1 고정부(430b)를 중심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고정부(430b)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고정부(430b)는 접착부재나 점착척, 정전척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부(430b)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흡입부(431b)와, 제 1 흡입부(431b)와 연결되는 제 1 흡입펌프(432b)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 1 고정부(430b)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지그(410b)에 설치되어 기계적으로 커버윈도우(310b)를 구속하는 클램프, 돌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고정부(430b)가 제 1 흡입부(431b)와 제 1 흡입펌프(432b)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쿠션부(490b)는 제 1 지그(410b) 및 제 2 지그(420b)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쿠션부(490b)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쿠션부(490b)가 제 2 지그(420b)에만 설치되고, 제 2 지그(420b)의 외면에 일체로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b)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b)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커버윈도우(310b) 및 패널부재(390b)를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b)의 제조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패널부재(390b)는 터치패널(340b)과 디스플레이 패널(330b)을 제 2 접착층(350b)으로 접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b) 및 패널부재(390b)를 제조하여 준비한 후 커버윈도우(310b)를 제 1 지그(410b)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b)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 1 지그(410b)의 외면상에 안착할 수 있다. 이때, 제 1 흡입펌프(432b)가 작동하여 제 1 흡입부(431b)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커버윈도우(310b)를 제 1 지그(410b)의 외면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와 같이 제 2 접착층(350b)으로 접착된 터치패널(340b)과 디스플레이 패널(330b)을 제 2 지그(420b)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330b)은 제 2 지그(420b)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터치패널(340b)은 제 1 지그(410b)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터치패널(340b)과 디스플레이 패널(330b)을 배치한 후 터치패널(340b) 상에 제 1 접착층(320b)을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접착층(320b)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 2 접착층(350b)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b), 터치패널(340b)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b)의 배치가 완료되면, 제 1 구동부(415b) 및 제 2 구동부(425b)를 구동시켜 제 1 지그(410b) 및 제 2 지그(420b)를 서로 압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 2 지그(420b)의 돌출된 부분이 디스플레이 패널(330b)에 먼저 접촉하게 되고, 제 1 접착층(320b)과 커버윈도우(310b)는 제 2 지그(420b)의 돌출된 부분으로부터 양단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라미네이션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b)와 패널부재(390b)가 접착되는 경우, 제 1 지그(410b) 및 제 2 지그(420b)가 커버윈도우(310b)와 패널부재(390b)를 압착하는 하중범위는 0.3MPa 이상 0.5MPa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범위가 0.3MPa 미만인 경우에는 커버윈도우(310b)와 패널부재(390b)의 합착력이 저하되어 라미네이션 후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범위가 0.5MPa을 초과하는 경우 커버윈도우(310b)와 패널부재(390b)의 합착 시 커버윈도우(310b) 내지 패널부재(390b)가 파손됨으로써 품질 불량 내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쿠션부(490b)는 패널부재(390b) 및 커버윈도우(310b)에 가해지는 힘이 균일하도록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제 1 구동부(415b) 및 제 2 구동부(425b)가 작동하여 제 1 지그(410b)와 제 2 지그(420b)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완성된 디스플레이 장치(300b)를 제 1 지그(410b) 또는 제 2 지그(420b)로부터 인출하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은 진공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b)는 제 1 지그(410b), 제 2 지그(420b), 상기 고정부, 구동부(M) 등이 내부에 배치되는 챔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b)는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커버윈도우(310b)와 패널부재(390b)가 라미네이션이 진행될 때,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b)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300b)를 제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b)는 커버윈도우(310b)와 패널부재(390b)의 라미네이션 시 커버윈도우(310b)와 패널부재(390b)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0b)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b)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1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b)는 제 1 지그(510b), 제 2 지그(520b), 구동부(M), 고정부(미표기) 및 쿠션부(59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510b), 제 2 지그(520b), 구동부(M), 상기 고정부 및 쿠션부(590b)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동부(M)는 제 1 구동부(515b) 및 제 2 구동부(525b)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제 1 고정부(53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부(515b), 제 2 구동부(525b) 및 제 1 고정부(530b)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b)는 제 1 지그(510b) 및 제 2 지그(520b)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패널부재(390b)를 지지하는 클램핑부(550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클램핑부(550b)가 제 2 지그(520b)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클램핑부(550b)는 패널부재(390b)의 일단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클램핑부(550b)는 복수개 구비되어, 복수개의 클램핑부(550b) 사이의 거리(S4)는 패널부재(390b)의 폭 또는 길이 이하일 수 있다. 이때, 패널부재(390b)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30b) 및 터치패널(340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클램핑부(550b) 사이의 거리(S4)는 패널부재(390b)의 폭 이하이고, 패널부재(390b)가 디스플레이 패널(330b) 및 터치패널(340b)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복수개의 클램핑부(550b)는 제 2 지그(520b)의 측면에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330b), 제 2 접착층(350b), 터치패널(340b) 및 제 1 접착층(320b)의 양단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클램핑부(550b)는 제 1 클램핑부(551b)와, 제 1 클램핑부(551b)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2 클램핑부(552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b)는 간편한 구성을 통하여 곡면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300b)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b)는 곡면 형상의 커버윈도우(310b)와 패널부재(390b) 정확하게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b)는 클램핑부(550b)를 구비함으로써 패널부재(390b)와 커버윈도우(310b)의 위치 정렬을 정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b)를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b)를 제조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윈도우(310b)를 형성하고, 디스플레이 패널(330b)을 형성하여 터치패널(340b)과 제 2 접착층(350b)으로 부착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b)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지그(510b)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터치패널(340b)에 제 1 접착층(320b)을 형성한 후 각각 제 1 클램핑부(551b)와 제 2 클램핑부(552b)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클램핑부(551b)와 제 2 클램핑부(552b)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에 양단을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30b), 제 2 접착층(350b), 터치패널(340b) 및 제 1 접착층(320b)이 고정되면, 디스플레이 패널(330b), 제 2 접착층(350b), 터치패널(340b) 및 제 1 접착층(320b)의 일부분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클램핑부(551b)와 제 2 클램핑부(552b) 사이의 간격(S4)이 디스플레이 패널(330b) 및 터치패널(340b) 중 적어도 하나의 폭 또는 길이보다 작으므로 일부분이 제 1 지그(510b) 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30b), 제 2 접착층(350b), 터치패널(340b) 및 제 1 접착층(320b)이 고정되면, 제 1 지그(510b) 및 제 2 지그(520b)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제 1 접착층(320b) 및 커버윈도우(310b)를 서로 압착시킬 수 있다. 이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지그(510b) 및 제 2 지그(520b)가 같이 이동하여 압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지그(510b) 및 제 2 지그(520b)가 이동하는 경우 제 1 구동부(515b) 및 제 2 구동부(525b)가 작동하여 제 1 지그(510b)와 제 2 지그(520b)가 서로 인접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330b), 제 2 접착층(350b), 터치패널(340b) 및 제 1 접착층(320b)의 볼록한 부분이 먼저 커버윈도우(310b)에 접촉하게 된다. 계속해서 제 1 지그(510b)와 제 2 지그(520b)가 이동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330b), 제 2 접착층(350b), 터치패널(340b) 및 제 1 접착층(320b)은 처음으로 커버윈도우(310b)와 접촉한 부분으로부터 양단 측으로 이동하면서 커버윈도우(310b)와 라미네이션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b)와 패널부재(390b)가 접착되는 경우, 제 1 지그(510b) 및 제 2 지그(520b)가 커버윈도우(310b)와 패널부재(390b)를 압착하는 하중범위는 0.3MPa 이상 0.5MPa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범위가 0.3MPa 미만인 경우에는 커버윈도우(310b)와 패널부재(390b)의 합착력이 저하되어 라미네이션 후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범위가 0.5MPa을 초과하는 경우 커버윈도우(310b)와 패널부재(390b)의 합착 시 커버윈도우(310b) 내지 패널부재(390b)가 파손됨으로써 품질 불량 내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패널부재(390b)와 커버윈도우(310b)가 압착되어 라미네이션되는 경우 쿠션부(590b)는 패널부재(390b)와 커버윈도우(310b)에 가해지는 힘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은 진공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b)는 제 1 지그(510b), 제 2 지그(520b), 상기 고정부, 구동부(M) 등이 내부에 배치되는 챔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b)는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커버윈도우(310b)와 패널부재(390b)가 라미네이션이 진행될 때,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곡면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300b)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곡면 형상의 커버윈도우(310b)와 디스플레이 패널(330b)을 정확하게 부착시킴으로써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330b)과 굴곡부(312b)가 압착 후 발생할 수 있는 공기 버블(Bubleb)을 제거함으로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2는 도 1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0b)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b)의 제 3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2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b)는 제 1 지그(610b), 제 2 지그(620b), 구동부(M), 클램핑부(650b), 고정부(미표기) 및 쿠션부(69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610b) 및 제 2 지그(620b), 상기 구동부, 클램핑부(650b), 상기 고정부 및 쿠션부(690b)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제 1 구동부(615b) 및 제 2 구동부(625b)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제 1 고정부(63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부(615b), 제 2 구동부(625b) 및 제 1 고정부(630b)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제 1 고정부(630b)는 제 1 흡입펌프(632b)와 제 1 흡입부(632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클램핑부(650b)는 제 1 클램핑부(651b)와 제 2 클램핑부(652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클램핑부(651b)와 제 2 클램핑부(652b)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b)는 제 1 클램핑부(651b) 및 제 2 클램핑부(652b)를 각각 상하 운동시키는 제 1 선형구동부(660b) 및 제 2 선형구동부(67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선형구동부(660b) 및 제 2 선형구동부(670b)는 서로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제 1 선형구동부(660b)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선형구동부(660b)는 제 1 클램핑부(651b)와 연결되어 선형 운동하는 제 1 샤프트(66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선형구동부(660b)는 제 1 샤프트(661b)를 구동시키는 제 1 구동모듈(665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모듈(665b)은 실린더 또는 모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구동모듈(665b)이 모터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 1 샤프트(661b)는 제 1 구동모듈(665b)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하는 볼 스크류 형태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선형구동부(660b)는 제 1 샤프트(661b)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 1 탄성부(66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탄성부(663b)는 압축스프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탄성부(663b)가 압축스프링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탄성부(663b)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샤프트(661b)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제 1 클램핑부(651b)의 운동 시 제 1 클램핑부(651b)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b)를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b)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커버윈도우(310b)와 패널부재(390b)를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때, 패널부재(390b)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30b) 및 터치패널(340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패널부재(390b)가 디스플레이 패널(330b) 및 패널부재(390b)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디스플레이 패널(330b)과 터치패널(340b)은 제 2 접착층(350b)으로 부착한 후 터치패널(340b) 상에 제 1 접착층(320b)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접착층(320b)이 형성된 터치패널(340b)과 디스플레이 패널(330b)의 양단을 제 1 클램핑부(651b)와 제 2 클램핑부(652b)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클램핑부(651b)와 제 2 클램핑부(652b)에 패널부재(390b)가 고정되면, 패널부재(390b)의 일부분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클램핑부(651b)와 제 2 클램핑부(652b) 사이의 간격(S5)이 패널부재(390b)의 폭 또는 길이보다 작으므로 일부분이 제 1 지그(610b) 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클램핑부(651b)와 제 2 클램핑부(652b) 사이의 간격(S5)은 패널부재(390b)의 폭 이하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패널부재(390b)가 상기와 같이 배치되면, 제 1 지그(610b) 및 제 2 지그(620b)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패널부재(390b) 및 커버윈도우(310b)를 서로 압착시킬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지그(610b)와 제 2 지그(620b)가 동시에 이동하여 압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 1 지그(610b) 및 제 2 지그(620b)가 이동할 때, 제 1 선형구동부(660b) 및 제 2 선형구동부(670b)가 작동하여 제 1 클램핑부(651b) 및 제 2 클램핑부(652b)를 각각 상하 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제 1 클램핑부(651b) 및 제 2 클램핑부(652b)는 제 2 지그(620b)의 이동 속도와 유사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 지그(620b), 제 1 클램핑부(651b) 및 제 2 클램핑부(652b)가 상승하면 패널부재(390b)는 곡률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610b) 및 제 2 지그(620b) 사이의 거리가 일정 거리에 도달하면, 제 1 클램핑부(651b) 및 제 2 클램핑부(652b)는 패널부재(390b)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제 1 클램핑부(651b) 및 제 2 클램핑부(652b)가 작동한 후 제 1 선형구동부(660b) 및 제 2 선형구동부(670b)가 작동하여 제 1 클램핑부(651b)와 제 2 클램핑부(652b)를 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한 후 제 1 구동부(615b) 및 제 2 구동부(625b)는 계속해서 작동하여 제 1 지그(610b)와 제 2 지그(620b)를 서로 인접시킬 수 있다. 특히 제 1 지그(610b)와 제 2 지그(620b)는 상기와 같이 서로 가까워지면서 패널부재(390b) 및 커버윈도우(310b)를 압착할 수 있다. 이때, 압착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b)와 패널부재(390b)가 접착되는 경우, 제 1 지그(610b) 및 제 2 지그(620b)가 커버윈도우(310b)와 패널부재(390b)를 압착하는 하중범위는 0.3MPa 이상 0.5MPa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범위가 0.3MPa 미만인 경우에는 커버윈도우(310b)와 패널부재(390b)의 합착력이 저하되어 라미네이션 후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범위가 0.5MPa을 초과하는 경우 커버윈도우(310b)와 패널부재(390b)의 합착 시 커버윈도우(310b) 내지 패널부재(390b)가 파손됨으로써 품질 불량 내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쿠션부(690b)는 커버윈도우(310b)와 패널부재(390b)의 압착으로 인한 라미네이션 시 커버윈도우(310b) 및 패널부재(390b)에 가해지는 힘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은 진공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b)는 제 1 지그(610b), 제 2 지그(620b), 상기 고정부, 구동부(M) 등이 내부에 배치되는 챔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b)는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커버윈도우(310b)와 패널부재(390b)가 라미네이션이 진행될 때,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곡면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300b)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곡면 형상의 커버윈도우(310b)와 패널부재(390b)를 정확하게 부착시킴으로써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패널부재(390b)와 커버윈도우(310b)의 압착 시 발생하는 공기 버블(Bubleb)을 제거함으로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3은 도 1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0b)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b)의 제 4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3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b)는 제 1 지그(710b), 제 2 지그(720b), 구동부(M), 클램핑부(750b), 고정부(미표기), 선형구동부(L) 및 쿠션부(79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710b) 및 제 2 지그(720b)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동부(M)는 제 1 구동부(715b) 및 제 2 구동부(725b)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제 1 고정부(73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부(715b), 제 2 구동부(725b) 및 제 1 고정부(730b)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클램핑부(750b)는 제 1 클램핑부(751b) 및 제 2 클램핑부(75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클램핑부(751b) 및 제 2 클램핑부(752b)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선형구동부(L)은 제 1 선형구동부(760b) 및 제 2 선형구동부(77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선형구동부(760b) 및 제 2 선형구동부(770b)는 제 1 클램핑부(751b)와 제 2 클램핑부(752b)를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제 1 선형구동부(760b) 및 제 2 선형구동부(770b)는 각각 제 1 클램핑부(751b)와 제 2 클램핑부(752b)를 사선 방향으로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 2 선형구동부(770b)의 경우에도 제 1 선형구동부(760b)와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이하에서는 제 1 선형구동부(760b)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선형구동부(760b)는 제 1 샤프트(761b), 제 1 구동모듈(765b) 및 제 1 탄성부(763b)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 1 샤프트(761b), 제 1 구동모듈(765b) 및 제 1 탄성부(763b)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 1 샤프트(761b)의 경우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 1 클램핑부(751b)를 사선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제 1 선형구동부(760b)가 작동하는 경우 제 1 구동모듈(765b)은 제 1 샤프트(761b)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모듈(765b) 및 제 1 샤프트(761b)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지그(720b)를 중심으로 사선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제 1 샤프트(761b) 운동을 가변시킴으로써 제 1 클램핑부(751b)를 사선방향으로 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구동모듈(765b)이 작동하여 제 1 샤프트(761b)를 제 2 지그(720b)의 하측 사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 1 클램핑부(751b)는 제 1 샤프트(761b)의 운동에 따라 제 2 지그(720b)의 하측 사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면, 제 1 구동모듈(765b)이 상기와 반대로 작동하여 제 1 샤프트(761b)를 제 2 지그(720b)의 상측 사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 1 클램핑부(751b)는 제 1 샤프트(761b)의 운동에 따라 제 2 지그(720b)의 상측 사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 1 샤프트(761b)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볼 스크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 1 구동모듈(765b)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운동할 수 있다. 특히 제 1 샤프트(761b)는 제 1 구동모듈(765b)의 작동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제 2 지그(720b)의 하측 사선방향 또는 상측 사선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한편, 쿠션부(790b)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쿠션부(790b)는 제 1 지그(710b) 및 제 2 지그(720b)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쿠션부(790b)는 제 1 지그(710b) 및 제 2 지그(720b)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 일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쿠션부(790b)가 제 2 지그(720b)의 외면 전체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300b)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널부재(390b) 및 커버윈도우(310b)를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때, 패널부재(390b)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30b) 및 터치패널(340b)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패널부재(390b)가 디스플레이 패널(330b) 및 터치패널(340b)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30b) 및 터치패널(340b)의 제조가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패널(330b)과 터치패널(340b)을 제 2 접착층(350b)으로 접착시킨 후 터치패널(340b) 상에 제 1 접착층(320b)을 도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패널부재(390b)는 제 1 클램핑부(751b)와 제 2 클램핑부(752b)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완료되면, 제 1 지그(710b) 및 제 2 지그(720b)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여 패널부재(390b) 및 커버윈도우(310b)를 압착할 수 있다. 이때, 압착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지그(710b)와 제 2 지그(720b)가 이동하는 경우 제 1 클램핑부(751b)와 제 2 클램핑부(752b)도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제 1 클램핑부(751b)와 제 2 클램핑부(752b)는 제 1 선형구동부(760b)와 제 2 선형구동부(770b)에 의하여 사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 1 클램핑부(751b)와 제 2 클램핑부(752b)는 사선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클램핑부(751b)와 제 2 클램핑부(752b)가 상승한 후 제 1 지그(710b)와 제 2 지그(720b) 사이의 간격(S6)이 설정된 간격에 도달하면, 패널부재(390b) 양단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패널부재(390b)는 돌출된 부분으로부터 양단부분으로 순차적으로 커버윈도우(310b)와 접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클램핑부(751b)와 제 2 클램핑부(752b)가 작동한 후 제 1 선형구동부(760b) 및 제 2 선형구동부(770b)가 작동하여 제 1 클램핑부(751b)와 제 2 클램핑부(752b)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클램핑부(751b)와 제 2 클램핑부(752b)는 사선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클램핑부(751b)와 제 2 클램핑부(752b)가 하강하는 동안 제 1 지그(710b)와 제 2 지그(720b)는 서로 근접하여 패널부재(390b) 및 커버윈도우(310b)를 압착할 수 있다. 이때, 압착하여 패널부재(390b)와 커버윈도우(310b)가 접착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지그(710b) 및 제 2 지그(720b)를 통하여 패널부재(390b)와 커버윈도우(310b)를 압착하는 경우, 쿠션부(790b)는 패널부재(390b)와 커버윈도우(310b)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쿠션부(790b)는 패널부재(390b)와 커버윈도우(310b)에 가해지는 힘의 일부를 흡수함으로써 패널부재(390b) 또는 커버윈도우(310b)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b)와 디스플레이 패널(330b)이 접착되는 경우, 제 1 지그(710b) 및 제 2 지그(720b)가 커버윈도우(310b)와 패널부재(390b)을 압착하는 하중범위는 0.3MPa 이상 0.5MPa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범위가 0.3MPa 미만인 경우에는 커버윈도우(310b)와 패널부재(390b)의 합착력이 저하되어 라미네이션 후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범위가 0.5MPa을 초과하는 경우 커버윈도우(310b)와 패널부재(390b)의 합착 시 커버윈도우(310b) 내지 패널부재(390b)이 파손됨으로써 품질 불량 내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은 진공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b)는 제 1 지그(710b), 제 2 지그(720b), 상기 고정부, 구동부(M) 등이 내부에 배치되는 챔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b)는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커버윈도우(310b)와 패널부재(390b)가 라미네이션이 진행될 때,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곡면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300b)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곡면 형상의 커버윈도우(310b)와 디스플레이 패널(330b)을 정확하게 부착시킴으로써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330b)과 굴곡부(312b)가 압착 후 발생할 수 있는 공기 버블(Bubleb)을 제거함으로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c)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4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0c)는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패널부재(390c)는 터치패널(340c)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패널부재(390c)가 터치패널(340c)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c)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패널부재(390c)는 제 1 접착층(320c), 터치패널(340c), 제 2 접착층(350c)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c)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제 1 접착층(320c), 터치패널(340c), 제 2 접착층(350c)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c)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커버윈도우(310c)는 적어도 일부분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윈도우(310c)는 가운데 부분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평평한 가운데 부분의 양단이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c)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유리 재질 또는 플락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커버윈도우(310c)는 후술할 디스플레이 패널(330c)이 부착되어 이미지나 글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300c)는 커버윈도우(310c), 터치패널(340c)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c)이 각각 제 1 접착층(320c)과 제 2 접착층(350c)에 의하여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터치패널(340c)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c)은 커버윈도우(310c)의 돌출된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패널(340c)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c)은 절곡된 커버윈도우(310c)의 인입된 공간이 아닌 돌출된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300c)는 상기와 같은 형상을 통하여 다양한 부재에 설치가 가능하다.
도 25은 도 2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0c)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c)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5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c)는 제 1 지그(410c), 제 2 지그(420c), 구동부(M), 고정부(미표기) 및 쿠션부(49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410c)의 적어도 일부분은 커버윈도우(310c)의 외면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윈도우(310c)가 안착하는 제 1 지그(410c)의 외면 형상은 제 1 지그(410c)의 외면에 안착하는 커버윈도우(310c)의 외면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 1 지그(410c)는 제 2 지그(420c)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지그(420c)의 외면은 제 1 지그(410c)의 돌출된 부분과 대응 또는 맞물릴 수 있도록 제 1 지그(410c)의 반대 방향으로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M)는 제 1 구동부(415c)와 제 2 구동부(425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부(415c)는 제 1 지그(410c)를 제 2 지그(420c) 측으로 선형 운동시키며, 제 2 구동부(425c)는 제 2 지그(420c)를 제 1 지그(410c) 측으로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구동부(415c) 및 제 2 구동부(425c)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제 1 지그(410c)에 설치되는 제 1 고정부(430c)와 제 2 지그(420c) 측에 설치되는 제 2 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고정부가 제 1 고정부(430c)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 1 고정부(430c)와 상기 제 2 고정부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제 1 고정부(430c)를 중심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고정부(430c)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고정부(430c)는 접착부재나 점착척, 정전척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부(430c)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흡입부(미도시)와, 상기 제 1 흡입부와 연결되는 제 1 흡입펌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 1 고정부(430c)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지그(410c)에 설치되어 기계적으로 커버윈도우(310c)를 구속하는 클램프, 돌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고정부(430c)가 접착부재로 형성되어 후술할 제 1 쿠션부(493c)의 외면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쿠션부(490c)는 제 1 지그(410c) 및 제 2 지그(420c)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쿠션부(490c)의 크기는 커버윈도우(310c) 및 패널부재(390c)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쿠션부(490c)는 커버윈도우(310c) 및 패널부재(390c)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는 부분에만 배치될 수 있으며, 커버윈도우(310c) 및 패널부재(390c)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는 부분과 접촉하는 부분 이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쿠션부(490c)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쿠션부(490c)는 제 1 지그(410c)의 표면에 설치되는 제 1 쿠션부(493c)와, 제 2 지그(420c)의 표면에 설치되는 제 2 쿠션부(491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쿠션부(493c) 및 제 2 쿠션부(491c)는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제 1 지그(410c) 및 제 2 지그(420c)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쿠션부(493c) 및 제 2 쿠션부(491c)는 각각 복수개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제 1 쿠션부(493c) 및 복수개의 제 2 쿠션부(491c)는 각각 제 1 지그(410c)의 외면 및 제 2 지그(420c)의 외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쿠션부(493c) 및 제 2 쿠션부(491c)가 제 1 지그(410c) 및 제 2 지그(420c)에 각각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c)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c)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커버윈도우(310c) 및 패널부재(390c)를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c)의 제조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터치패널(340c)과 디스플레이 패널(330c)는 제 2 접착층(350c)으로 접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c) 및 패널부재(390c)를 제조하여 준비한 후 커버윈도우(310c)를 제 1 지그(410c)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c)는 제 1 고정부(430c)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제 1 고정부(430c)의 크기는 커버윈도우(310c)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와 같이 제 2 접착층(350c)으로 접착된 터치패널(340c)과 디스플레이 패널(330c)을 제 2 지그(420c)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330c)은 제 2 지그(420c)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터치패널(340c)은 제 1 지그(410c)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터치패널(340c)과 디스플레이 패널(330c)을 배치한 후 터치패널(340c) 상에 제 1 접착층(320c)을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접착층(320c)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 2 접착층(350c)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패널부재(390c)의 배치가 완료되면, 제 1 구동부(415c) 및 제 2 구동부(425c)를 구동시켜 제 1 지그(410c) 및 제 2 지그(420c)를 서로 압착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가 접착되는 경우, 제 1 지그(410c) 및 제 2 지그(420c)가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를 압착하는 하중범위는 0.3MPa 이상 0.5MPa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범위가 0.3MPa 미만인 경우에는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의 합착력이 저하되어 라미네이션 후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범위가 0.5MPa을 초과하는 경우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의 합착 시 커버윈도우(310c) 내지 패널부재(390c)가 파손됨으로써 품질 불량 내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 1 쿠션부(493c) 및 제 2 쿠션부(491c)는 커버윈도우(310c), 터치패널(340c)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c)에 가해지는 힘이 균일하도록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제 1 구동부(415c) 및 제 2 구동부(425c)가 작동하여 제 1 지그(410c)와 제 2 지그(420c)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완성된 디스플레이 장치(300c)를 제 1 지그(410c) 또는 제 2 지그(420c)로부터 인출하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은 진공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c)는 제 1 지그(410c), 제 2 지그(420c), 상기 고정부, 구동부(M) 등이 내부에 배치되는 챔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c)는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의 라미네이션 진행 시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c)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300c)를 제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c)는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의 라미네이션 시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6은 도 2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0c)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c)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6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c)는 제 1 지그(510c), 제 2 지그(520c), 구동부(M), 고정부(미표시), 쿠션부(590c) 및 클램핑부(55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510c), 제 2 지그(520c), 상기 구동부(M), 상기 고정부 및 쿠션부(490c)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클램핑부(550c)는 제 1 클램핑부(551c)와 제 2 클램핑부(55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클램핑부(551c)와 제 2 클램핑부(552c)는 제 1 지그(510c) 또는 제 2 지그(520c)의 측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클램핑부(551c)와 제 2 클램핑부(552c)가 제 2 지그(520c)의 측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 1 클램핑부(551c)와 제 2 클램핑부(552c)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c)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c)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커버윈도우(310c) 및 패널부재(390c)를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c)의 제조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터치패널(340c)과 디스플레이 패널(330c)은 제 2 접착층(350c)으로 접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c) 및 패널부재(390c)를 제조하여 준비한 후 커버윈도우(310c)를 제 1 지그(510c)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c)는 제 1 고정부(530c)에 의하여 접착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와 같이 제 2 접착층(350c)으로 접착된 터치패널(340c)과 디스플레이 패널(330c)을 제 2 지그(520c)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330c)은 제 2 지그(520c)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터치패널(340c)은 제 1 지그(510c)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330c) 및 터치패널(340c)은 적층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330c)의 끝단 및 터치패널(340c)의 끝단은 제 1 클램핑부(551c)와 제 2 클램핑부(552c)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터치패널(340c)과 디스플레이 패널(330c)을 배치한 후 터치패널(340c) 상에 제 1 접착층(320c)을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접착층(320c)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 2 접착층(350c)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c), 터치패널(340c)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c)의 배치가 완료되면, 제 1 구동부(515c) 및 제 2 구동부(525c)를 구동시켜 제 1 지그(510c) 및 제 2 지그(520c)를 서로 압착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c)의 평평한 부분이 제 1 접착층(320c)에 우선 접촉하고, 커버윈도우(310c)의 굴곡진 양단이 제 1 접착층(320c)에 순차적으로 접촉하여 라미네이션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가 접착되는 경우, 제 1 지그(510c) 및 제 2 지그(520c)가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를 압착하는 하중범위는 0.3MPa 이상 0.5MPa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범위가 0.3MPa 미만인 경우에는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의 합착력이 저하되어 라미네이션 후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범위가 0.5MPa을 초과하는 경우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의 합착 시 커버윈도우(310c) 내지 패널부재(390c)가 파손됨으로써 품질 불량 내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 1 지그(510c)와 제 2 지그(520c)가 운동하는 경우 제 1 클램핑부(551c)와 제 2 클램핑부(552c)는 움직이지 않으면서 터치패널(340c)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c)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 1 쿠션부(593c) 및 제 2 쿠션부(593c)는 커버윈도우(310c), 터치패널(340c)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c)에 가해지는 힘이 균일하도록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제 1 구동부(515c) 및 제 2 구동부(525c)가 작동하여 제 1 지그(510c)와 제 2 지그(520c)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완성된 디스플레이 장치(300c)를 제 1 지그(510c) 또는 제 2 지그(520c)로부터 인출하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은 진공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c)는 제 1 지그(510c), 제 2 지그(520c), 상기 고정부, 구동부(M) 등이 내부에 배치되는 챔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c)는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의 라미네이션 진행 시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c)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300c)를 제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c)는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의 라미네이션 시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7은 도 2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0c)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c)의 제 3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7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c)는 제 1 지그(610c), 제 2 지그(620c), 구동부(M), 고정부(미표기), 쿠션부(690c), 클램핑부(650c) 및 선형구동부(L)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610c), 제 2 지그(620c), 구동부(M), 상기 고정부, 쿠션부(690c) 및 클램핑부(650c)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선형구동부(L)는 제 1 클램핑부(651c)에 설치되어 제 1 클램핑부(651c)를 선형 운동시키는 제 1 선형구동부(660c)와, 제 2 클램핑부(652c)에 설치되어 제 2 클램핑부(652c)를 선형 운동시키는 제 2 선형구동부(670c)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 1 선형구동부(660c)와 제 2 선형구동부(670c)는 각각 제 1 클램핑부(651c)와 제 2 클램핑부(652c)를 제 1 지그(610c)의 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선형구동부(660c) 및 제 2 선형구동부(670c)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선형구동부(660c)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선형구동부(660c)는 제 1 클램핑부(651c)와 연결되어 선형 운동하는 제 1 샤프트(661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선형구동부(660c)는 제 1 샤프트(661c)를 구동시키는 제 1 구동모듈(665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모듈(665c)은 실린더 또는 모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구동모듈(665c)이 모터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 1 샤프트(661c)는 제 1 구동모듈(665c)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하는 볼 스크류 형태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선형구동부(660c)는 제 1 샤프트(661c)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 1 탄성부(663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탄성부(663c)는 압축스프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탄성부(663c)가 압축스프링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탄성부(663c)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샤프트(661c)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제 1 클램핑부(651c)의 운동 시 제 1 클램핑부(651c)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c)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c)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커버윈도우(310c) 및 패널부재(390c)를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c)의 제조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터치패널(340c)과 디스플레이 패널(330c)은 제 2 접착층(350c)으로 접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c) 및 패널부재(390c)를 제조하여 준비한 후 커버윈도우(310c)를 제 1 지그(610c)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c)는 제 1 고정부(630c)에 의하여 접착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커버윈도우(310c)는 돌출된 부분이 제 2 지그(620c)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와 같이 제 2 접착층(350c)으로 접착된 터치패널(340c)과 디스플레이 패널(330c)을 제 2 지그(620c)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330c)은 제 2 지그(620c)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터치패널(340c)은 제 1 지그(610c)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330c) 및 터치패널(340c)은 적층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330c)의 끝단 및 터치패널(340c)의 끝단은 제 1 클램핑부(651c)와 제 2 클램핑부(652c)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330c)의 중앙부분 및 터치패널(340c)의 중앙부분은 제 2 지그(620c)의 인입된 부분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거나 커버윈도우(310c)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c)의 중앙부분 및 터치패널(340c)의 중앙부분은 제 2 지그(620c)의 인입된 부분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터치패널(340c)과 디스플레이 패널(330c)을 배치한 후 터치패널(340c) 상에 제 1 접착층(320c)을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접착층(320c)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 2 접착층(350c)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일 수 있다. 특히 제 1 접착층(320c)은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제 1 클램핑부(651c)와 제 2 클램핑부(652c)에 디스플레이 패널(330c) 및 터치패널(340c)을 배치하기 전에 터치패널(340c) 상에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c), 터치패널(340c)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c)의 배치가 완료되면, 제 1 구동부(615c) 및 제 2 구동부(625c)를 구동시켜 제 1 지그(610c) 및 제 2 지그(620c)를 서로 압착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는 커버윈도우(310c)의 평평한 부분에서 패널부재(390c)의 양단으로 순차적으로 접촉하여 라미네이션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가 접착되는 경우, 제 1 지그(610c) 및 제 2 지그(620c)가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를 압착하는 하중범위는 0.3MPa 이상 0.5MPa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범위가 0.3MPa 미만인 경우에는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의 합착력이 저하되어 라미네이션 후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범위가 0.5MPa을 초과하는 경우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의 합착 시 커버윈도우(310c) 내지 패널부재(390c)가 파손됨으로써 품질 불량 내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 1 지그(610c)와 제 2 지그(620c)가 운동하는 경우 제 1 클램핑부(651c)와 제 2 클램핑부(652c)는 제 1 지그(610c)와 제 2 지그(620c)의 운동에 따라 선형운동하면서 터치패널(340c)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c)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선형구동부(660c)와 제 2 선형구동부(670c)는 제 1 지그(610c) 및 제 2 지그(620c) 중 적어도 하나의 선형 운동에 근거하여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 1 쿠션부(693c) 및 제 2 쿠션부(691c)는 커버윈도우(310c), 터치패널(340c)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c)에 가해지는 힘이 균일하도록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제 1 구동부(615c) 및 제 2 구동부(625c)가 작동하여 제 1 지그(610c)와 제 2 지그(620c)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완성된 디스플레이 장치(300c)를 제 1 지그(610c) 또는 제 2 지그(620c)로부터 인출하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은 진공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c)는 제 1 지그(610c), 제 2 지그(620c), 상기 고정부, 구동부(M) 등이 내부에 배치되는 챔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c)는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의 라미네이션 시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c)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300c)를 제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c)는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의 라미네이션 시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8은 도 2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0c)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c)의 제 4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8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c)는 제 1 지그(710c), 제 2 지그(720c), 구동부(M), 고정부(미표기), 쿠션부(790c), 클램핑부(7c50) 및 선형구동부(L)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710c), 제 2 지그(720c), 구동부(M), 상기 고정부, 상기 쿠션부, 클램핑부(750c) 및 선형구동부(L)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선형구동부(L)는 제 1 클램핑부(751c)에 설치되어 제 1 클램핑부(751c)를 선형 운동시키는 제 1 선형구동부(760c)와, 제 2 클램핑부(752c)에 설치되어 제 2 클램핑부(752c)를 선형 운동시키는 제 2 선형구동부(77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선형구동부(760c) 및 제 2 선형구동부(770c)는 각각 제 1 클램핑부(751c)와 제 2 클램핑부(752c)를 사선방향으로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제 1 선형구동부(760c) 및 제 2 선형구동부(770c)는 제 1 클램핑부(751c)와 제 2 클램핑부(752c)의 이동방향이 제 1 지그(710c)의 이동 방향과 각도를 형성하도록 제 1 클램핑부(751c)와 제 2 클램핑부(752c)를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c)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c)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커버윈도우(310c) 및 패널부재(390c)를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c)의 제조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터치패널(340c)과 디스플레이 패널(330c)은 제 2 접착층(350c)으로 접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c) 및 패널부재(390c)를 제조하여 준비한 후 커버윈도우(310c)를 제 1 지그(710c)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c)는 제 1 접착층(320c)으로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와 같이 제 2 접착층(350c)으로 접착된 터치패널(340c)과 디스플레이 패널(330c)을 제 2 지그(720c)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330c)은 제 2 지그(720c)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터치패널(340c)은 제 1 지그(710c)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330c) 및 터치패널(340c)는 적층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330c)의 끝단 및 터치패널(340c)의 끝단은 제 1 클램핑부(751c)와 제 2 클램핑부(752c)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330c) 및 터치패널(340c)은 제 1 클램핑부(751c)와 제 2 클램핑부(752c)에 의하여 중앙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330c) 및 터치패널(340c)은 중앙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높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c) 및 터치패널(340c)의 중앙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낮도록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터치패널(340c)과 디스플레이 패널(330c)을 배치한 후 터치패널(340c) 상에 제 1 접착층(320c)을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접착층(320c)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 2 접착층(350c)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일 수 있다. 특히 제 1 접착층(320c)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 1 클램핑부(751c) 및 제 2 클램핑부(752c)에 디스플레이 패널(330c) 및 터치패널(340c)을 배치하기 전에 터치패널(340c) 상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c), 터치패널(340c)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c)의 배치가 완료되면, 제 1 구동부(715c) 및 제 2 구동부(725c)를 구동시켜 제 1 지그(710c) 및 제 2 지그(720c)를 서로 압착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c)의 평평한 부분이 제 1 접착층(320c)에 먼저 접촉하게 되고, 커버윈도우(310c)의 양단부분이 제 1 접착층(320c)에 순차적으로 접촉되어 라미네이션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가 접착되는 경우, 제 1 지그(710c) 및 제 2 지그(720c)가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를 압착하는 하중범위는 0.3MPa 이상 0.5MPa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범위가 0.3MPa 미만인 경우에는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의 합착력이 저하되어 라미네이션 후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범위가 0.5MPa을 초과하는 경우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의 합착 시 커버윈도우(310c) 내지 패널부재(390c)가 파손됨으로써 품질 불량 내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 1 지그(710c)와 제 2 지그(720c)가 운동하는 경우 제 1 클램핑부(751c)와 제 2 클램핑부(752c)는 제 1 지그(710c)와 제 2 지그(720c)의 운동에 따라 선형운동하면서 터치패널(340c)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c)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선형구동부(760c)와 제 2 선형구동부(770c)는 제 1 지그(710c) 및 제 2 지그(720c) 중 적어도 하나의 선형 운동에 근거하여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 1 쿠션부(793c) 및 제 2 쿠션부(791c)는 커버윈도우(310c), 터치패널(340c)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c)에 가해지는 힘이 균일하도록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제 1 구동부(715c) 및 제 2 구동부(725c)가 작동하여 제 1 지그(710c)와 제 2 지그(720c)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완성된 디스플레이 장치(300c)를 제 1 지그(710c) 또는 제 2 지그(720c)로부터 인출하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은 진공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c)는 제 1 지그(710c), 제 2 지그(720c), 상기 고정부, 구동부(M) 등이 내부에 배치되는 챔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c)는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의 라미네이션이 진행 시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c)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300c)를 제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c)는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의 라미네이션 시 커버윈도우(310c)와 패널부재(390c)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d)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9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0d)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300d)는 패널부재(390d)와 커버윈도우(310d)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접착층(320d)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패널부재(390d)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아 디스플레이 패널(330d)과 터치패널(340d)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330d)과 터치패널(340d) 사이에는 제 2 접착층(350d)이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330d)과 터치패널(340d)을 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커버윈도우(310d)는 적어도 일부분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커버윈도우(310d)는 패널부재(390d)가 부착되어 이미지나 글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커버윈도우(310d)는 곡률반경이 R인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d)는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의 일정한 곡률반경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윈도우(310d)가 일정한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폭 방향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커버윈도우(310d)는 볼록한 부분이 제 1 접착층(320d)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d)의 볼록한 외면에는 제 1 접착층(320d)에 의하여 터치패널(340d), 제 2 접착층(350d)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d)이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300d)는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부재에 설치가 가능하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0d)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d)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0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d)는 제 1 지그(410d), 제 2 지그(420d), 구동부(M), 고정부(미표기) 및 쿠션부(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d)가 안착하는 제 1 지그(410d)외면은 제 1 지그(410d)에 접촉하는 커버윈도우(310d)의 외면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지그(410d)는 커버윈도우(310d)와 대응되도록 일정한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 1 지그(410d)는 제 2 지그(420d)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지그(420d)의 외면은 제 1 지그(410d)의 돌출된 부분과 대응 또는 맞물릴 수 있도록 제 1 지그(410d)의 반대 방향으로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지그(420d)의 외면은 일정한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M)는 제 1 구동부(415d)와 제 2 구동부(425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부(415d)는 제 1 지그(410d)를 제 2 지그(420d) 측으로 선형 운동시키며, 제 2 구동부(425d)는 제 2 지그(420d)를 제 1 지그(410d) 측으로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구동부(415d) 및 제 2 구동부(425d)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제 1 지그(410d)에 설치되는 제 1 고정부(430d)와 제 2 지그(420d) 측에 설치되는 제 2 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고정부가 제 1 고정부(430d)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 1 고정부(430d)와 상기 제 2 고정부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제 1 고정부(430d)를 중심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고정부(430d)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고정부(430d)는 접착부재나 점착척, 정전척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부(430d)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흡입부(미도시)와, 상기 제 1 흡입부와 연결되는 제 1 흡입펌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 1 고정부(430d)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지그(410d)에 설치되어 기계적으로 커버윈도우(310d)를 구속하는 클램프, 돌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고정부(430d)가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d)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d)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커버윈도우(310d) 및 패널부재(390d)를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d)의 제조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터치패널(340d)과 디스플레이 패널(330d)은 제 2 접착층(350d)으로 접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d) 및 패널부재(390d)를 제조하여 준비한 후 커버윈도우(310d)를 제 1 지그(410d)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d)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일정한 곡률반경 R인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 1 지그(410d)의 외면상에 안착할 수 있다. 이때, 제 1 고정부(430d)는 커버윈도우(310d)를 접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와 같이 제 2 접착층(350d)으로 접착된 터치패널(340d)과 디스플레이 패널(330d)을 제 2 지그(420d)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330d)은 제 2 지그(420d)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터치패널(340d)은 제 1 지그(410d)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터치패널(340d)과 디스플레이 패널(330d)을 배치한 후 터치패널(340d) 상에 제 1 접착층(320d)을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접착층(320d)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 2 접착층(350d)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d), 터치패널(340d)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d)의 배치가 완료되면, 제 1 구동부(415d) 및 제 2 구동부(425d)를 구동시켜 제 1 지그(410d) 및 제 2 지그(420d)를 서로 압착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d)의 돌출된 부분이 제 1 접착층(320d)에 먼저 접촉하게 되고, 제 1 접착층(320d)과 커버윈도우(310d)는 중앙부분으로부터 양단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라미네이션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가 접착되는 경우, 제 1 지그(410d) 및 제 2 지그(420d)가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를 압착하는 하중범위는 0.3MPa 이상 0.5MPa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범위가 0.3MPa 미만인 경우에는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의 합착력이 저하되어 라미네이션 후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범위가 0.5MPa을 초과하는 경우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의 합착 시 커버윈도우(310d) 내지 패널부재(390d)가 파손됨으로써 품질 불량 내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 1 쿠션부(493d) 및 제 2 쿠션부(491d)는 커버윈도우(310d), 터치패널(340d)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d)에 가해지는 힘이 균일하도록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제 1 구동부(415d) 및 제 2 구동부(425d)가 작동하여 제 1 지그(410d)와 제 2 지그(420d)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완성된 디스플레이 장치(300d)를 제 1 지그(410d) 또는 제 2 지그(420d)로부터 인출하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은 진공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d)는 제 1 지그(410d), 제 2 지그(420d), 상기 고정부, 구동부(M) 등이 내부에 배치되는 챔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d)는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의 라미네이션 진행 시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d)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300d)를 제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d)는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의 라미네이션 시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1은 도 2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0d)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d)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1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d)는 제 1 지그(510d), 제 2 지그(520d), 구동부(M), 고정부(미표기), 쿠션부(590d) 및 클램핑부(550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510d), 제 2 지그(520d), 구동부(M), 상기 고정부 및 쿠션부(590d)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클램핑부(550d)는 제 1 클램핑부(551d)와 제 2 클램핑부(552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클램핑부(551d)와 제 2 클램핑부(552d)는 제 1 지그(510d) 또는 제 2 지그(520d)의 측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클램핑부(551d)와 제 2 클램핑부(552d)가 제 2 지그(520d)의 측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 1 클램핑부(551d)와 제 2 클램핑부(552d)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d)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d)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커버윈도우(310d) 및 패널부재(390d)를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d)의 제조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터치패널(340d)과 디스플레이 패널(330d)은 제 2 접착층(350d)으로 접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d) 및 패널부재(390d)를 제조하여 준비한 후 커버윈도우(310d)를 제 1 지그(510d)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d)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일정한 곡률반경 R인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 1 지그(510d)의 외면상에 안착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d)는 제 1 고정부(530d)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와 같이 제 2 접착층(350d)으로 접착된 터치패널(340d)과 디스플레이 패널(330d)을 제 2 지그(520d)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330d)은 제 2 지그(520d)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터치패널(340d)은 제 1 지그(510d)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330d) 및 터치패널(340d)는 적층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330d)의 끝단 및 터치패널(340d)의 끝단은 제 1 클램핑부(551d)와 제 2 클램핑부(552d)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터치패널(340d)과 디스플레이 패널(330d)을 배치한 후 터치패널(340d) 상에 제 1 접착층(320d)을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접착층(320d)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 2 접착층(350d)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d), 터치패널(340d)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d)의 배치가 완료되면, 제 1 구동부(515d) 및 제 2 구동부(525d)를 구동시켜 제 1 지그(510d) 및 제 2 지그(520d)를 서로 압착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d)의 돌출된 부분이 제 1 접착층(320d)에 먼저 접촉하게 되고, 제 1 접착층(320d)과 커버윈도우(310d)는 중앙부분으로부터 양단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라미네이션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가 접착되는 경우, 제 1 지그(510d) 및 제 2 지그(520d)가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를 압착하는 하중범위는 0.3MPa 이상 0.5MPa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범위가 0.3MPa 미만인 경우에는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의 합착력이 저하되어 라미네이션 후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범위가 0.5MPa을 초과하는 경우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의 합착 시 커버윈도우(310d) 내지 패널부재(390d)가 파손됨으로써 품질 불량 내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 1 지그(510d)와 제 2 지그(520d)가 운동하는 경우 제 1 클램핑부(551d)와 제 2 클램핑부(552d)는 움직이지 않으면서 터치패널(340d)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d)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 1 쿠션부(593d) 및 제 2 쿠션부(591d)는 커버윈도우(310d), 터치패널(340d)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d)에 가해지는 힘이 균일하도록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제 1 구동부(515d) 및 제 2 구동부(525d)가 작동하여 제 1 지그(510d)와 제 2 지그(520d)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완성된 디스플레이 장치(300d)를 제 1 지그(510d) 또는 제 2 지그(520d)로부터 인출하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은 진공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d)는 제 1 지그(510d), 제 2 지그(520d), 상기 고정부, 구동부(M) 등이 내부에 배치되는 챔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d)는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의 라미네이션 진행 시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d)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300d)를 제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d)는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의 라미네이션 시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2는 도 2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0d)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d)의 제 3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2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d)는 제 1 지그(610d), 제 2 지그(620d), 구동부(M), 고정부(미표기), 쿠션부(690d), 클램핑부(650d) 및 선형구동부(L)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610d), 제 2 지그(620d), 구동부(M), 상기 고정부, 쿠션부(690d) 및 클램핑부(650d)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선형구동부(L)는 제 1 클램핑부(651d)에 설치되어 제 1 클램핑부(651d)를 선형 운동시키는 제 1 선형구동부(660d)와, 제 2 클램핑부(652d)에 설치되어 제 2 클램핑부(652d)를 선형 운동시키는 제 2 선형구동부(670d)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 1 선형구동부(660d)와 제 2 선형구동부(670d)는 각각 제 1 클램핑부(651d)와 제 2 클램핑부(652d)를 제 1 지그(610d)의 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선형구동부(660d) 및 제 2 선형구동부(670d)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선형구동부(660d)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선형구동부(660d)는 제 1 클램핑부(651d)와 연결되어 선형 운동하는 제 1 샤프트(661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선형구동부(660d)는 제 1 샤프트(661d)를 구동시키는 제 1 구동모듈(665d)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모듈(665d)은 실린더 또는 모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구동모듈(665d)이 모터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 1 샤프트(661d)는 제 1 구동모듈(665d)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하는 볼 스크류 형태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선형구동부(660d)는 제 1 샤프트(661d)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 1 탄성부(663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탄성부(663d)는 압축스프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탄성부(663d)가 압축스프링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탄성부(663d)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샤프트(661d)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제 1 클램핑부(651d)의 운동 시 제 1 클램핑부(651d)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d)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d)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커버윈도우(310d) 및 패널부재(390d)를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d)의 제조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터치패널(340d)과 디스플레이 패널(330d)은 제 2 접착층(350d)으로 접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d) 및 패널부재(390d)를 제조하여 준비한 후 커버윈도우(310d)를 제 1 지그(610d)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d)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일정한 곡률반경 R인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 1 지그(610d)의 외면상에 안착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d)는 제 1 고정부(630d)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와 같이 제 2 접착층(350d)으로 접착된 터치패널(340d)과 디스플레이 패널(330d)을 제 2 지그(620d)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330d)은 제 2 지그(620d)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터치패널(340d)은 제 1 지그(610d)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330d) 및 터치패널(340d)은 적층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330d)의 끝단 및 터치패널(340d)의 끝단은 제 1 클램핑부(651d)와 제 2 클램핑부(652d)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330d) 및 터치패널(340d)은 적어도 일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커버윈도우(310d) 측으로 돌출되거나 제 2 지그(620d) 측으로 인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d) 및 터치패널(340d)은 적어도 일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제 2 지그(620d) 측으로 인입되도록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터치패널(340d)과 디스플레이 패널(330d)을 배치한 후 터치패널(340d) 상에 제 1 접착층(320d)을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접착층(320d)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 2 접착층(350d)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d), 터치패널(340d)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d)의 배치가 완료되면, 제 1 구동부(615d) 및 제 2 구동부(625d)를 구동시켜 제 1 지그(610d) 및 제 2 지그(620d)를 서로 압착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d)의 돌출된 부분이 제 1 접착층(320d)에 먼저 접촉하게 되고, 제 1 접착층(320d)과 커버윈도우(310d)는 중앙부분으로부터 양단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라미네이션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가 접착되는 경우, 제 1 지그(610d) 및 제 2 지그(620d)가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를 압착하는 하중범위는 0.3MPa 이상 0.5MPa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범위가 0.3MPa 미만인 경우에는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의 합착력이 저하되어 라미네이션 후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범위가 0.5MPa을 초과하는 경우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의 합착 시 커버윈도우(310d) 내지 패널부재(390d)가 파손됨으로써 품질 불량 내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 1 지그(610d)와 제 2 지그(620d)가 운동하는 경우 제 1 클램핑부(651d)와 제 2 클램핑부(652d)는 제 1 지그(610d)와 제 2 지그(620d)의 운동에 따라 선형운동하면서 터치패널(340d)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d)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선형구동부(660d)와 제 2 선형구동부(670d)는 제 1 지그(610d) 및 제 2 지그(620d) 중 적어도 하나의 선형 운동에 근거하여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 1 쿠션부(693d) 및 제 2 쿠션부(691d)는 커버윈도우(310d), 터치패널(340d)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d)에 가해지는 힘이 균일하도록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제 1 구동부(615d) 및 제 2 구동부(625d)가 작동하여 제 1 지그(610d)와 제 2 지그(620d)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완성된 디스플레이 장치(300d)를 제 1 지그(610d) 또는 제 2 지그(620d)로부터 인출하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은 진공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d)는 제 1 지그(610d), 제 2 지그(620d), 상기 고정부, 구동부(M) 등이 내부에 배치되는 챔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d)는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의 라미네이션 진행 시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d)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300d)를 제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d)는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의 라미네이션 시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3은 도 2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0d)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d)의 제 4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3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d)는 제 1 지그(710d), 제 2 지그(720d), 구동부(M), 고정부(미표기), 쿠션부(790d), 클램핑부(750d) 및 선형구동부(L)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710d), 제 2 지그(720d), 구동부(M), 상기 고정부, 쿠션부(790d), 클램핑부(750d) 및 선형구동부(L)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선형구동부(L)는 제 1 클램핑부(751d)에 설치되어 제 1 클램핑부(751d)를 선형 운동시키는 제 1 선형구동부(760d)와, 제 2 클램핑부(752d)에 설치되어 제 2 클램핑부(752d)를 선형 운동시키는 제 2 선형구동부(770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선형구동부(760d) 및 제 2 선형구동부(770d)는 각각 제 1 클램핑부(751d)와 제 2 클램핑부(752d)를 사선방향으로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제 1 선형구동부(760d) 및 제 2 선형구동부(770d)는 제 1 클램핑부(751d)와 제 2 클램핑부(752d)의 이동방향이 제 1 지그(710d)의 이동 방향과 각도를 형성하도록 제 1 클램핑부(751d)와 제 2 클램핑부(752d)를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d)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d)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커버윈도우(310d) 및 패널부재(390d)를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d)의 제조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터치패널(340d)과 디스플레이 패널(330d)은 제 2 접착층(350d)으로 접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d) 및 패널부재(390d)를 제조하여 준비한 후 커버윈도우(310d)를 제 1 지그(710d)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d)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일정한 곡률반경 R인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 1 지그(710d)의 외면상에 안착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d)는 제 1 고정부(730d)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와 같이 제 2 접착층(350d)으로 접착된 터치패널(340d)과 디스플레이 패널(330d)을 제 2 지그(720d)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330d)은 제 2 지그(720d)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터치패널(340d)은 제 1 지그(710d)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330d) 및 터치패널(340d)은 적층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330d)의 끝단 및 터치패널(340d)의 끝단은 제 1 클램핑부(751d)와 제 2 클램핑부(752d)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330d) 및 터치패널(340d)은 중앙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330d) 및 터치패널(340d)은 중앙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높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d) 및 터치패널(340d)은 중앙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낮도록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터치패널(340d)과 디스플레이 패널(330d)을 배치한 후 터치패널(340d) 상에 제 1 접착층(320d)을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접착층(320d)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 2 접착층(350d)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d), 터치패널(340d)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d)의 배치가 완료되면, 제 1 구동부(715d) 및 제 2 구동부(725d)를 구동시켜 제 1 지그(710d) 및 제 2 지그(720d)를 서로 압착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d)의 돌출된 부분이 제 1 접착층(320d)에 먼저 접촉하게 되고, 제 1 접착층(320d)과 커버윈도우(310d)는 중앙부분으로부터 양단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라미네이션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가 접착되는 경우, 제 1 지그(710d) 및 제 2 지그(720d)가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를 압착하는 하중범위는 0.3MPa 이상 0.5MPa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범위가 0.3MPa 미만인 경우에는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의 합착력이 저하되어 라미네이션 후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범위가 0.5MPa을 초과하는 경우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의 합착 시 커버윈도우(310d) 내지 패널부재(390d)가 파손됨으로써 품질 불량 내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 1 지그(710d)와 제 2 지그(720d)가 운동하는 경우 제 1 클램핑부(751d)와 제 2 클램핑부(752d)는 제 1 지그(710d)와 제 2 지그(720d)의 운동에 따라 선형운동하면서 터치패널(340d)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d)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선형구동부(760d)와 제 2 선형구동부(770d)는 제 1 지그(710d) 및 제 2 지그(720d) 중 적어도 하나의 선형 운동에 근거하여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 1 쿠션부(793d) 및 제 2 쿠션부(791d)는 커버윈도우(310d), 터치패널(340d)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d)에 가해지는 힘이 균일하도록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제 1 구동부(715d) 및 제 2 구동부(725d)가 작동하여 제 1 지그(710d)와 제 2 지그(720d)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완성된 디스플레이 장치(300d)를 제 1 지그(710d) 또는 제 2 지그(720d)로부터 인출하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은 진공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d)는 제 1 지그(710d), 제 2 지그(720d), 상기 고정부, 구동부(M) 등이 내부에 배치되는 챔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d)는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가 라미네이션이 진행될 때,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d)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300d)를 제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d)는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의 라미네이션 시 커버윈도우(310d)와 패널부재(390d)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300e)를 보여주는 개면도이다.
도 34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0e)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300e)는 패널부재(390e)와 커버윈도우(310e)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접착층(320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패널부재(390e)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아 디스플레이 패널(330e)과 터치패널(340e)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330e)과 터치패널(340e) 사이에는 제 2 접착층(350e)이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330e)과 터치패널(340e)을 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e)는 적어도 일부분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커버윈도우(310e)는 패널부재(390e)가 부착되어 이미지나 글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윈도우(310e)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윈도우(310e)는 길이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곡률반경이 R1인 제 1 곡면, 곡률반경이 R2인 제 2 곡면 및 곡률반경이 R3인 제 3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e)는 곡률반경이 R1,R2,R3인 곡면 이외에도 곡률반경이 R4,R5………RN(여기서 N은 자연수e)인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윈도우(310e)가 곡률반경이 R1인 제 1 곡면, R2인 제 2 곡면, R3인 제 3 곡면으로 형성되며, 폭 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커버윈도우(310e)는 제 1 접착층(320e)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e)의 돌출된 외면에는 제 1 접착층(320e)에 의하여 터치패널(340e), 제 2 접착층(350e)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e)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300e)는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부재에 설치가 가능하다.
도 35는 도 3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0e)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e)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5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e)는 제 1 지그(410e), 제 2 지그(420e), 구동부(M), 고정부(미표기) 및 쿠션부(490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e)가 안착하는 제 1 지그(410e)의 외면은 제 1 지그(410e)에 접촉하는 커버윈도우(310e)의 외면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지그(410e)는 커버윈도우(310e)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어도 2개 이상의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R1",R2",R3")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 1 지그(410e)는 제 2 지그(420e)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지그(420e)의 외면은 제 1 지그(410e)의 인입된 부분과 대응 또는 맞물리도록 제 1 지그(410e)의 반대방향으로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지그(420e)의 외면은 적어도 2개 이상의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M)는 제 1 구동부(415e)와 제 2 구동부(425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부(415e)는 제 1 지그(410e)를 제 2 지그(420e) 측으로 선형 운동시키며, 제 2 구동부(425e)는 제 2 지그(420e)를 제 1 지그(410e) 측으로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구동부(415e) 및 제 2 구동부(425e)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제 1 지그(410e)에 설치되는 제 1 고정부(430e)와 제 2 지그(420e) 측에 설치되는 제 2 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고정부가 제 1 고정부(430e)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 1 고정부(430e)와 상기 제 2 고정부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제 1 고정부(430e)를 중심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고정부(430e)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고정부(430e)는 접착부재나 점착척, 정전척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부(430e)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흡입부(미도시)와, 상기 제 1 흡입부와 연결되는 제 1 흡입펌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 1 고정부(430e)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지그(410e)에 설치되어 기계적으로 커버윈도우(310e)를 구속하는 클램프, 돌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고정부(430e)가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쿠션부(490e)는 제 1 지그(410e) 및 제 2 지그(420e)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쿠션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쿠션부가 제 1 지그(410e) 및 제 2 지그(420e)에 각각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e)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e)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커버윈도우(310e) 및 패널부재(390e)를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e)의 제조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터치패널(340e)과 디스플레이 패널(330e)은 제 2 접착층(350e)으로 접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e) 및 패널부재(390e)를 제조하여 준비한 후 커버윈도우(310e)를 제 1 지그(410e)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e)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 1 지그(410e)의 외면상에 안착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e)는 제 1 고정부(430e)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와 같이 제 2 접착층(350e)으로 접착된 터치패널(340e)과 디스플레이 패널(330e)을 제 2 지그(420e)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330e)은 제 2 지그(420e)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터치패널(340e)은 제 1 지그(410e)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터치패널(340e)과 디스플레이 패널(330e)을 배치한 후 터치패널(340e) 상에 제 1 접착층(320e)을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접착층(320e)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 2 접착층(350e)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e), 터치패널(340e)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e)의 배치가 완료되면, 제 1 구동부(415e) 및 제 2 구동부(425e)를 구동시켜 제 1 지그(410e) 및 제 2 지그(420e)를 서로 압착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e)의 돌출된 부분은 제 1 접착층(320e)에 먼저 접촉하게 되고, 제 1 접착층(320e)과 커버윈도우(310e)는 제 2 지그(420e)의 돌출된 부분으로부터 양단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라미네이션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가 접착되는 경우, 제 1 지그(410e) 및 제 2 지그(420e)가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를 압착하는 하중범위는 0.3MPa 이상 0.5MPa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범위가 0.3MPa 미만인 경우에는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의 합착력이 저하되어 라미네이션 후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범위가 0.5MPa을 초과하는 경우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의 합착 시 커버윈도우(310e) 내지 패널부재(390e)가 파손됨으로써 품질 불량 내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 1 쿠션부(493e) 및 제 2 쿠션부(491e)는 패널부재(390e) 및 커버윈도우(310e)에 가해지는 힘이 균일하도록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제 1 구동부(415e) 및 제 2 구동부(425e)가 작동하여 제 1 지그(410e)와 제 2 지그(420e)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완성된 디스플레이 장치(300e)를 제 1 지그(410e) 또는 제 2 지그(420e)로부터 인출하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은 진공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e)는 제 1 지그(410e), 제 2 지그(420e), 상기 고정부, 구동부(M) 등이 내부에 배치되는 챔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e)는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가 라미네이션이 진행될 때,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e)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300e)를 제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400e)는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의 라미네이션 시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6은 도 3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0e)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e)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6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e)는 제 1 지그(510e), 제 2 지그(520e), 구동부(M), 고정부(미표기) 및 쿠션부(590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510e), 제 2 지그(520e), 구동부(M), 상기 고정부 및 쿠션부(590e)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동부(M)는 제 1 구동부(515e) 및 제 2 구동부(525e)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제 1 고정부(530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부(515e), 제 2 구동부(525e) 및 제 1 고정부(530e)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e)는 제 1 지그(510e) 및 제 2 지그(520e)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패널부재(390e)를 지지하는 클램핑부(550e)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클램핑부(550e)가 제 2 지그(520e)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클램핑부(550e)는 패널부재(390e)의 일단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클램핑부(550e)는 복수개 구비되어, 복수개의 클램핑부(550e) 사이의 거리(S7)는 패널부재(390e)의 폭 또는 길이 이하일 수 있다. 이때, 패널부재(390e)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30e) 및 터치패널(340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클램핑부(550e) 사이의 거리(S7)는 패널부재(390e)의 폭 이하이고, 패널부재(390e)가 디스플레이 패널(330e) 및 터치패널(340e)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복수개의 클램핑부(550e)는 제 2 지그(520e)의 측면에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330e)과 접착층(320e)의 양단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클램핑부(550e)는 제 1 클램핑부(551e)와, 제 1 클램핑부(551e)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2 클램핑부(552e)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e)는 간편한 구성을 통하여 곡면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300e)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e)는 곡면 형상의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 정확하게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e)는 클램핑부(550e)를 구비함으로써 패널부재(390e)와 커버윈도우(310e)의 위치 정렬을 정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500e)를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e)를 제조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윈도우(310e)를 형성하고, 디스플레이 패널(330e)을 형성하여 터치패널(340e)과 제 2 접착층(350e)으로 부착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e)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지그(510e)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터치패널(340e)에 제 1 접착층(320e)을 형성한 후 각각 제 1 클램핑부(551e)와 제 2 클램핑부(552e)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클램핑부(551e)와 제 2 클램핑부(552e)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에 양단을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30e), 제 2 접착층(350e), 터치패널(340e) 및 제 1 접착층(320e)이 고정되면, 디스플레이 패널(330e), 제 2 접착층(350e), 터치패널(340e) 및 제 1 접착층(320e)의 일부분이 인입되거나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클램핑부(551e)와 제 2 클램핑부(552e) 사이의 간격(S7)이 디스플레이 패널(330e) 및 터치패널(340e) 중 적어도 하나의 폭 또는 길이보다 작으므로 패널부재(390e)의 일부분이 제 2 지그(520e) 측으로 인입되거나 제 1 지그(510e) 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패널부재(390e)의 일부분이 제 2 지그(520e) 측으로 인입되도록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30e), 제 2 접착층(350e), 터치패널(340e) 및 제 1 접착층(320e)이 고정되면, 제 1 지그(510e) 및 제 2 지그(520e)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제 1 접착층(320e) 및 커버윈도우(310e)를 서로 압착시킬 수 있다. 이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지그(510e) 및 제 2 지그(520e)가 같이 이동하여 압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지그(510e) 및 제 2 지그(520e)가 이동하는 경우 제 1 구동부(515e) 및 제 2 구동부(525e)가 작동하여 제 1 지그(510e)와 제 2 지그(520e)가 서로 인접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310e)의 돌출된 부분은 제 1 접착층(320e)에 접촉하게 된다. 계속해서 제 1 지그(510e)와 제 2 지그(520e)가 이동하는 경우 커버윈도우(310e)와 제 1 접착층(320e)은 처음으로 커버윈도우(310e)와 제 1 접착층(320e)이 접촉한 부분으로부터 양단 측으로 이동하면서 라미네이션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가 접착되는 경우, 제 1 지그(510e) 및 제 2 지그(520e)가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를 압착하는 하중범위는 0.3MPa 이상 0.5MPa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범위가 0.3MPa 미만인 경우에는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의 합착력이 저하되어 라미네이션 후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범위가 0.5MPa을 초과하는 경우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의 합착 시 커버윈도우(310e) 내지 패널부재(390e)가 파손됨으로써 품질 불량 내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패널부재(390e)와 커버윈도우(310e)가 압착되어 라미네이션되는 경우 제 1 쿠션부(593e) 및 제 2 쿠션부(591e)는 패널부재(390e)와 커버윈도우(310e)에 가해지는 힘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곡면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300e)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곡면 형상의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을 정확하게 부착시킴으로써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를 압착 시 발생할 수 있는 공기 버블(Buble)을 제거함으로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7은 도 3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0e)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e)의 제 3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7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e)는 제 1 지그(610e), 제 2 지그(620e), 구동부(M), 클램핑부(650e), 고정부(미표기), 쿠션부(690e) 및 선형운동부(L)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610e) 및 제 2 지그(620e), 구동부(M), 클램핑부(650e), 상기 고정부 및 쿠션부(690e)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동부(M)는 제 1 구동부(615e) 및 제 2 구동부(625e)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제 1 고정부(630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부(615e), 제 2 구동부(625e) 및 제 1 고정부(630e)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클램핑부(650e)는 제 1 클램핑부(651e)와 제 2 클램핑부(652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클램핑부(651e)와 제 2 클램핑부(652e)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선형운동부(L)는 제 1 클램핑부(651e) 및 제 2 클램핑부(652e)를 각각 상하 운동시키는 제 1 선형구동부(660e) 및 제 2 선형구동부(670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선형구동부(660e) 및 제 2 선형구동부(670e)는 서로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제 1 선형구동부(660e)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선형구동부(660e)는 제 1 클램핑부(651e)와 연결되어 선형 운동하는 제 1 샤프트(661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선형구동부(660e)는 제 1 샤프트(661e)를 구동시키는 제 1 구동모듈(665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모듈(665e)은 실린더 또는 모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구동모듈(665e)이 모터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 1 샤프트(661e)는 제 1 구동모듈(665e)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하는 볼 스크류 형태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선형구동부(660e)는 제 1 샤프트(661e)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 1 탄성부(663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탄성부(663e)는 압축스프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탄성부(663e)가 압축스프링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탄성부(663e)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샤프트(661e)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제 1 클램핑부(651e)의 운동 시 제 1 클램핑부(651e)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600e)를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e)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를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때, 패널부재(390e)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30e) 및 터치패널(340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패널부재(390e)가 디스플레이 패널(330e) 및 패널부재(390e)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디스플레이 패널(330e)과 터치패널(340e)은 제 2 접착층(350e)으로 부착한 후 터치패널(340e) 상에 제 1 접착층(320e)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접착층(320e)이 형성된 터치패널(340e)과 디스플레이 패널(330e)의 양단을 제 1 클램핑부(651e)와 제 2 클램핑부(652e)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클램핑부(651e)와 제 2 클램핑부(652e)에 패널부재(390e)가 고정되면, 패널부재(390e)의 일부분이 제 2 지그(620e) 측으로 인입되거나 제 1 지그(610e) 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클램핑부(651e)와 제 2 클램핑부(652e) 사이의 간격(S8)이 패널부재(390e)의 폭 또는 길이보다 작으므로 패널부재(390e)의 일부분이 제 2 지그(620e) 측으로 인입되거나 제 1 지그(610e) 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클램핑부(651e)와 제 2 클램핑부(652e) 사이의 간격(S8)은 패널부재(390e)의 폭 이하인 경우 및 패널부재(390e)의 일부분이 제 2 지그(620e) 측으로 인입되어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패널부재(390e)가 상기와 같이 배치되면, 제 1 지그(610e) 및 제 2 지그(620e)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패널부재(390e) 및 커버윈도우(310e)를 서로 압착시킬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지그(610e)와 제 2 지그(620e)가 동시에 이동하여 압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 1 지그(610e) 및 제 2 지그(620e)가 이동할 때, 제 1 선형구동부(660e) 및 제 2 선형구동부(670e)가 작동하여 제 1 클램핑부(651e) 및 제 2 클램핑부(652e)를 각각 상하 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제 1 클램핑부(651e) 및 제 2 클램핑부(652e)는 제 2 지그(620e)의 이동 속도와 유사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 지그(620e), 제 1 클램핑부(651e) 및 제 2 클램핑부(652e)가 상승하면 패널부재(390e)는 곡률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610e) 및 제 2 지그(620e) 사이의 거리가 일정 거리에 도달하면, 제 1 클램핑부(651e) 및 제 2 클램핑부(652e)는 패널부재(390e)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제 1 클램핑부(651e) 및 제 2 클램핑부(652e)가 작동한 후 제 1 선형구동부(660e) 및 제 2 선형구동부(670e)가 작동하여 제 1 클램핑부(651e)와 제 2 클램핑부(652e)를 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한 후 제 1 구동부(615e) 및 제 2 구동부(625e)는 계속해서 작동하여 제 1 지그(610e)와 제 2 지그(620e)를 서로 인접시킬 수 있다. 특히 제 1 지그(610e)와 제 2 지그(620e)는 상기와 같이 서로 가까워지면서 패널부재(390e) 및 커버윈도우(310e)를 압착할 수 있다. 이때, 압착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가 접착되는 경우, 제 1 지그(610e) 및 제 2 지그(620e)가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를 압착하는 하중범위는 0.3MPa 이상 0.5MPa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범위가 0.3MPa 미만인 경우에는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의 합착력이 저하되어 라미네이션 후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범위가 0.5MPa을 초과하는 경우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의 합착 시 커버윈도우(310e) 내지 패널부재(390e)가 파손됨으로써 품질 불량 내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제 1 쿠션부(693e) 및 제 2 쿠션부(691e)는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의 압착으로 인한 라미네이션 시 커버윈도우(310e) 및 패널부재(390e)에 가해지는 힘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곡면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300e)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곡면 형상의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를 정확하게 부착시킴으로써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패널부재(390e)와 커버윈도우(310e)의 압착 시 발생하는 공기 버블(Buble)을 제거함으로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8은 도 3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0e)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e)의 제 4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8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700e)는 제 1 지그(710e), 제 2 지그(720e), 구동부(M), 클램핑부(750e), 고정부(미표기), 선형구동부(L), 쿠션부(790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그(710e) 및 제 2 지그(720e)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동부(M)는 제 1 구동부(715e) 및 제 2 구동부(725e)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제 1 고정부(730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부(715e), 제 2 구동부(725e) 및 제 1 고정부(730e)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클램핑부(750e)는 제 1 클램핑부(751e) 및 제 2 클램핑부(752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클램핑부(751e) 및 제 2 클램핑부(752e)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선형구동부(L)는 제 1 선형구동부(760e)와 제 2 선형구동부(770e)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 1 선형구동부(760e) 및 제 2 선형구동부(770e)는 제 1 클램핑부(751e)와 제 2 클램핑부(752e)를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제 1 선형구동부(760e) 및 제 2 선형구동부(770e)는 각각 제 1 클램핑부(751e)와 제 2 클램핑부(752e)를 사선 방향으로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 2 선형구동부(770e)의 경우에도 제 1 선형구동부(760e)와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이하에서는 제 1 선형구동부(760e)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선형구동부(760e)는 제 1 샤프트(761e), 제 1 구동모듈(765e) 및 제 1 탄성부(763e)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 1 샤프트(761e), 제 1 구동모듈(765e) 및 제 1 탄성부(763e)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 1 샤프트(761e)의 경우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 1 클램핑부(751e)를 사선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제 1 선형구동부(760e)가 작동하는 경우 제 1 구동모듈(765e)은 제 1 샤프트(761e)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모듈(765e) 및 제 1 샤프트(761e)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지그(720e)를 중심으로 사선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제 1 샤프트(761e) 운동을 가변시킴으로써 제 1 클램핑부(751e)를 사선방향으로 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구동모듈(765e)이 작동하여 제 1 샤프트(761e)를 제 2 지그(720e)의 하측 사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 1 클램핑부(751e)는 제 1 샤프트(761e)의 운동에 따라 제 2 지그(720e)의 하측 사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면, 제 1 구동모듈(765e)이 상기와 반대로 작동하여 제 1 샤프트(761e)를 제 2 지그(720e)의 상측 사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 1 클램핑부(751e)는 제 1 샤프트(761e)의 운동에 따라 제 2 지그(720e)의 상측 사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 1 샤프트(761e)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볼 스크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 1 구동모듈(765e)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운동할 수 있다. 특히 제 1 샤프트(761e)는 제 1 구동모듈(765e)의 작동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제 2 지그(720e)의 하측 사선방향 또는 상측 사선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300e)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널부재(390e) 및 커버윈도우(310e)를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때, 패널부재(390e)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30e) 및 터치패널(340e)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패널부재(390e)가 디스플레이 패널(330e) 및 터치패널(340e)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30e) 및 터치패널(340e)의 제조가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패널(330e)과 터치패널(340e)을 제 2 접착층(350e)으로 접착시킨 후 터치패널(340e) 상에 제 1 접착층(320e)을 도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패널부재(390e)는 제 1 클램핑부(751e)와 제 2 클램핑부(752e)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완료되면, 제 1 지그(710e) 및 제 2 지그(720e)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여 패널부재(390e) 및 커버윈도우(310e)를 압착할 수 있다. 이때, 압착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지그(710e)와 제 2 지그(720e)가 이동하는 경우 제 1 클램핑부(751e)와 제 2 클램핑부(752e)도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제 1 클램핑부(751e)와 제 2 클램핑부(752e)는 제 1 선형구동부(760e)와 제 2 선형구동부(770e)에 의하여 사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 1 클램핑부(751e)와 제 2 클램핑부(752e)는 사선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클램핑부(751e)와 제 2 클램핑부(752e)가 상승한 후 제 1 지그(710e)와 제 2 지그(720e)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간격에 도달하면, 패널부재(390e) 양단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클램핑부(751e)와 제 2 클램핑부(752e)가 작동한 후 제 1 선형구동부(760e) 및 제 2 선형구동부(770e)가 작동하여 제 1 클램핑부(751e)와 제 2 클램핑부(752e)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클램핑부(751e)와 제 2 클램핑부(752e)는 사선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클램핑부(751e)와 제 2 클램핑부(752e)가 하강하는 동안 제 1 지그(710e)와 제 2 지그(720e)는 서로 근접하여 패널부재(390e) 및 커버윈도우(310e)를 압착할 수 있다. 이때, 압착하여 패널부재(390e)와 커버윈도우(310e)가 접착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지그(710e) 및 제 2 지그(720e)를 통하여 패널부재(390e)와 커버윈도우(310e)를 압착하는 경우, 제 1 쿠션부(793e) 및 제 2 쿠션부(791e)는 패널부재(390e)와 커버윈도우(310e)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 1 쿠션부(793e) 및 제 2 쿠션부(791e)는 패널부재(390e)와 커버윈도우(310e)에 가해지는 힘의 일부를 흡수함으로써 패널부재(390e) 또는 커버윈도우(310e)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가 접착되는 경우, 제 1 지그(710e) 및 제 2 지그(720e)가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를 압착하는 하중범위는 0.3MPa 이상 0.5MPa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범위가 0.3MPa 미만인 경우에는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의 합착력이 저하되어 라미네이션 후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범위가 0.5MPa을 초과하는 경우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의 합착 시 커버윈도우(310e) 내지 패널부재(390e)이 파손됨으로써 품질 불량 내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곡면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300e)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곡면 형상의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을 정확하게 부착시킴으로써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커버윈도우(310e)와 패널부재(390e)를 압착 시 발생할 수 있는 공기 버블(Buble)을 제거함으로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3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310 : 커버윈도우
120, 320 : 접착층
130, 330 : 디스플레이 패널
200, 400, 500, 600, 700 :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
210, 410, 510, 610, 710 : 제 1 지그
220, 420, 520, 620, 720 : 제 2 지그
550, 650, 750 : 클램핑부
490, 790 : 쿠션부

Claims (24)

  1. 적어도 일부가 굴곡지게 형성된 제 1 지그에 적어도 일부가 굴곡지게 형성되는 커버윈도우를 안착하는 단계;
    패널부재의 양단을 클램프로 지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지그의 일면과 형합하도록 형성되는 제 2 지그 상에 상기 패널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지그 및 상기 제 2 지그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하여 상기 제 1 지그와 상기 제 2 지그를 압착하여 상기 커버윈도우와 상기 패널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윈도우 및 상기 제 1 지그의 외면은 일정한 곡률반경의 곡면이거나, 상기 커버윈도우의 일부분의 곡률반경은 상기 커버윈도우의 다른 부분의 곡률반경과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 1 지그 외면의 일부분의 곡률반경은 상기 제 1 지그 외면의 다른 부분의 곡률반경과 상이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 2 지그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 2 지그의 외면을 따라 구부러지도록 상기 제 2 지그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의 길이는 상기 커버윈도우의 길이와 상이하게 형성 또는 상기 패널부재의 폭은 상기 커버윈도우의 폭과 상이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패널부재의 길이 및 폭은 상기 커버윈도우의 길이 및 폭과 상이하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는 평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지그와 상기 제 2 지그가 압착한 후 상기 패널부재의 일부는 굴곡되어 상기 커버윈도우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그 또는 상기 제 2 지그 중 하나는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지그 또는 상기 제 2 지그 중 다른 하나는 하측에 배치되어 서로 압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그 또는 상기 제 2 지그 중 하나는 상기 제 1 지그 또는 상기 제 2 지그 중 다른 하나 측으로 돌출되거나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그 또는 상기 제 2 지그 중 하나는 상기 제 1 지그 또는 상기 제 2 지그 중 다른 하나 측으로 인입되거나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를 안착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지그에 상기 패널부재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는 플랙서블(Flexible)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는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커버윈도우의 외면 또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커버윈도우의 외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패널(TSP, Touch screen panel)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3. 적어도 일부가 굴곡지게 형성된 제 1 지그에 적어도 일부가 굴곡지게 형성되는 커버윈도우를 안착하는 단계;
    상기 제 1 지그의 일면과 형합하도록 형성되는 제 2 지그 상에 패널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지그 및 상기 제 2 지그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하여 상기 제 1 지그와 상기 제 2 지그를 압착하여 상기 커버윈도우와 상기 패널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윈도우 및 상기 제 1 지그의 외면은 일정한 곡률반경의 곡면이거나, 상기 커버윈도우의 일부분의 곡률반경은 상기 커버윈도우의 다른 부분의 곡률반경과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 1 지그 외면의 일부분의 곡률반경은 상기 제 1 지그 외면의 다른 부분의 곡률반경과 상이하며,
    상기 제 1 지그 및 상기 제 2 지그 중 적어도 하나 상에는 쿠션부가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 2 지그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 2 지그의 외면을 따라 구부러지도록 상기 제 2 지그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의 길이는 상기 커버윈도우의 길이와 상이하게 형성 또는 상기 패널부재의 폭은 상기 커버윈도우의 폭과 상이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패널부재의 길이 및 폭은 상기 커버윈도우의 길이 및 폭과 상이하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는 평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지그와 상기 제 2 지그가 압착한 후 상기 패널부재의 일부는 굴곡되어 상기 커버윈도우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그 또는 상기 제 2 지그 중 하나는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지그 또는 상기 제 2 지그 중 다른 하나는 하측에 배치되어 서로 압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그 또는 상기 제 2 지그 중 하나는 상기 제 1 지그 또는 상기 제 2 지그 중 다른 하나 측으로 돌출되거나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그 또는 상기 제 2 지그 중 하나는 상기 제 1 지그 또는 상기 제 2 지그 중 다른 하나 측으로 인입되거나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를 안착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지그에 상기 패널부재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는 플랙서블(Flexible)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23. 제 13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는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커버윈도우의 외면 또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커버윈도우의 외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24. 제 13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패널(TSP, Touch screen panel)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200021768A 2012-06-29 2020-02-2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1021484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71375 2012-06-29
KR1020120071375 2012-06-29
KR1020130014650 2013-02-08
KR1020130014650A KR20140002470A (ko) 2012-06-29 2013-02-08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2110A Division KR102147842B1 (ko) 2012-06-29 2013-05-30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181A KR20200024181A (ko) 2020-03-06
KR102148430B1 true KR102148430B1 (ko) 2020-08-28

Family

ID=497779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685A KR102194826B1 (ko) 2012-06-29 2019-11-25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021768A KR102148430B1 (ko) 2012-06-29 2020-02-2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685A KR102194826B1 (ko) 2012-06-29 2019-11-25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4) US9439315B2 (ko)
KR (2) KR1021948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9315B2 (en) * 2012-06-29 2016-09-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002470A (ko) 2012-06-29 2014-0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
KR20140063228A (ko) * 2012-11-16 2014-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73779B1 (ko) * 2012-11-19 2019-04-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118578B1 (ko) * 2013-10-17 2020-06-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363342B2 (en) * 2014-03-05 2016-06-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arrangement to generate a bending force on a display
KR102187473B1 (ko) 2014-03-17 2020-1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
KR101746650B1 (ko) * 2014-09-02 2017-06-14 주식회사 토비스 곡면형 디스플레이 제조장치 및 곡면형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KR102352284B1 (ko) * 2015-02-02 2022-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74644B1 (ko) * 2015-03-24 2022-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12783B1 (ko) 2015-04-06 2021-10-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56026B1 (ko) * 2015-10-26 2023-07-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1796011B1 (ko) * 2015-11-30 2017-11-09 주식회사 트레이스 반구형 터치센서 판넬의 열성형 장치
US10490770B2 (en) * 2016-09-09 2019-11-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7038477B2 (ja) * 2017-02-27 2022-03-18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195792B (zh) * 2017-05-08 2018-11-27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曲面显示面板的制造装置及方法
KR102367971B1 (ko) * 2017-06-16 2022-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461275B2 (en) 2017-07-25 2019-10-29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Flexible display component and display screen
CN107221256B (zh) * 2017-07-25 2019-04-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组件及显示屏
KR102418434B1 (ko) * 2017-09-29 2022-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
KR102471022B1 (ko) * 2018-01-25 2022-1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필름의 접착 방법
KR102537591B1 (ko) 2018-04-25 2023-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US11243624B2 (en) * 2018-09-12 2022-02-08 Samsung Display Co., Ltd. Input sensing unit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9345960B (zh) * 2018-12-12 2020-07-1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有机发光显示器及弹簧组件
KR20200078243A (ko) * 2018-12-21 2020-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장치, 및 구조물
KR20200128259A (ko) * 2019-05-02 2020-1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10225160A (zh) * 2019-06-10 2019-09-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组件以及移动终端
KR20200143561A (ko) 2019-06-13 2020-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US20220317505A1 (en) * 2019-07-29 2022-10-06 Lg Electronics Inc. Curve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CN111105715B (zh) 2020-01-03 2022-04-1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治具
US11485123B2 (en) * 2020-07-07 2022-11-01 Samsung Display Co., Ltd. Lamination apparatus
US11796847B2 (en) * 2021-07-22 2023-10-24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Array substrate comprising a first metal layer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doped area through a bridge layer and display panel
KR20230040432A (ko) * 2021-09-15 2023-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미네이션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CN114284449B (zh) * 2021-12-02 2023-11-2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装置
CN114255662B (zh) * 2022-02-11 2023-05-1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贴合治具及柔性显示面板的贴合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84132A1 (en) * 2009-05-08 2010-11-11 Taiwan Green Point Enterprises Co., Ltd. Touch panel modu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11055504A1 (ja) * 2009-11-04 2011-05-12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駆動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US20120111479A1 (en) * 2010-11-05 2012-05-10 Kuo-Hua Sung Curved touch panel

Family Cites Families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1968A (en) * 1990-07-31 1992-07-21 Motorola, Inc. Gradient chuck method for wafer bonding employing a convex pressure
JPH07114347A (ja) 1993-10-14 1995-05-02 Alps Electric Co Ltd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432246B (en) 1996-06-11 2001-05-01 Seiko Epson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JP4304852B2 (ja) * 2000-09-04 2009-07-29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非平面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EP1326161B1 (en) * 2000-10-13 2006-12-13 Denso Corporation Touch panel for an automobi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7351300B2 (en) * 2001-08-22 2008-04-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eeling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6953735B2 (en) * 2001-12-28 2005-10-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by transferring a layer to a support with curvature
JP4567941B2 (ja) 2001-12-28 2010-10-2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及び表示装置の作製方法
KR100860522B1 (ko) 2002-03-23 2008-09-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패널의 이송장치
TWI362128B (en) 2002-03-26 2012-04-11 Semiconductor Energy Lab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884351B2 (ja) * 2002-08-26 2007-02-21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40135160A1 (en) 2003-01-10 2004-07-15 Eastman Kodak Company OLED device
JP2005161528A (ja) 2003-11-28 2005-06-23 Ricoh Co Ltd プラスチック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7278760B2 (en) 2004-05-24 2007-10-09 Osram Opto Semiconductor Gmbh Light-emitting electronic component
TWI261287B (en) * 2004-06-01 2006-09-01 Advanced Display Proc Eng Co Flat fluorescent lam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596340B1 (ko) 2004-06-01 2006-07-06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면발광 램프 및 그 제조방법
JP3815687B1 (ja) 2005-03-09 2006-08-30 株式会社 シーズ 基板搬送用クランプユニット
US7368307B2 (en) 2005-06-07 2008-05-06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an OLED device with a curved light emitting surface
KR20060129848A (ko) 2005-06-13 2006-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와 그의 커버부재 및 이 커버부재의제조방법
JP5217170B2 (ja) 2006-02-14 2013-06-19 Dic株式会社 遮光性粘着テ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lcdモジュール
JP4837471B2 (ja) * 2006-02-20 2011-12-14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84012B1 (ko) 2006-02-20 2007-1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7326259A (ja) 2006-06-07 2007-12-20 Yoshida Industry Co Ltd 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
KR101232157B1 (ko) 2006-06-09 2013-0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cd 검사 장비
FR2902105B1 (fr) 2006-06-13 2008-09-12 Essilor Int Procede de collage d'un film sur un substrat courbe
TWI421607B (zh) * 2006-08-24 2014-01-01 Creator Technology Bv 可撓性裝置上的滲透阻障
JP2008060376A (ja) 2006-08-31 2008-03-13 Optrex Corp Cof基板作製用治具
KR100769425B1 (ko) 2006-09-21 2007-10-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EP2066162B1 (en) 2006-09-22 2012-02-22 Nissha Printing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 housing case and glass insert molding die used in the method
KR100872095B1 (ko) 2006-12-19 2008-1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자동화장비 탈부착용 장치
KR101310757B1 (ko) 2007-03-16 2013-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1498309B1 (ko) * 2007-04-09 2015-03-03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화상 표시 장치
JP2009186957A (ja) 2007-04-09 2009-08-20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 樹脂組成物及び表示装置
JP4997594B2 (ja) 2007-05-17 2012-08-08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471022B2 (ja) 2007-06-27 2010-06-02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用基板、及び電子機器
US7760289B2 (en) 2007-06-27 2010-07-20 Epson Imaging Devices Corporation Electro-optic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5094250B2 (ja) 2007-07-10 2012-12-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
US20090088041A1 (en) * 2007-09-25 2009-04-02 Canon Anelva Corporation Displ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and vacuum processing apparatus
JP4469006B2 (ja) 2007-09-25 2010-05-26 キヤノンアネルバ株式会社 表示用基板の製造方法
JP5213407B2 (ja) 2007-10-10 2013-06-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CN101306620B (zh) 2008-01-02 2012-01-18 苏州康威机电有限公司 一种贴面板贴面对花调整设备
KR100864407B1 (ko) 2008-01-09 2008-10-20 (주)에이엠피테크놀로지 사출 구조물에 결합된 저항막 방식 터치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US8123894B2 (en) 2008-05-07 2012-02-28 Apple Inc. 3-dimensional curved substrate lamination
WO2010018628A1 (ja) 2008-08-13 2010-02-18 富士通株式会社 フィルム貼着装置及びフィルム貼着方法及び電子ペーパの製造方法
JP2010072502A (ja) * 2008-09-22 2010-04-02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KR20100041450A (ko) 2008-10-14 2010-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판넬 및 그 제작 방법
WO2010044291A1 (ja) * 2008-10-17 2010-04-2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017499A (en) 2008-10-27 2010-05-01 Tpk Touch Solutions Inc Manufacturing method and structure of curved-surface capacitive touch panel
CN102388003B (zh) 2009-03-02 2014-11-19 苹果公司 用于强化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玻璃盖的技术
US20100253902A1 (en) 2009-04-07 2010-10-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84152B1 (ko) 2009-07-23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US8593061B2 (en) * 2009-08-25 2013-11-26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TWI433071B (zh) * 2009-09-22 2014-04-01 Ind Tech Res Inst 三維曲面顯示裝置、其製造方法及可塑性顯示面板
CN201811892U (zh) 2009-12-10 2011-04-27 深圳市欧帝光学有限公司 一种TiNi形状记忆合金眼镜鼻梁配件的测试装置
US20110261002A1 (en) 2010-04-27 2011-10-27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ing images on solid surfaces
CN102905886B (zh) * 2010-05-26 2015-04-22 旭硝子株式会社 带粘附层的透明面材、显示装置及它们的制造方法
KR101694886B1 (ko) 2010-06-16 2017-0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시프트 부재를 구비한 영상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120051067A1 (en) * 2010-08-24 2012-03-01 Key Plastics L.L.C. Lighting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886801B1 (ko) 2010-09-14 2018-08-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KR101211371B1 (ko) 2010-09-16 2012-12-13 주식회사 토비스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
TWI457880B (zh) * 2010-09-30 2014-10-21 E Ink Holdings Inc 曲面顯示模組與顯示裝置
KR101319409B1 (ko) 2010-10-20 2013-10-18 이기홍 곡률형 터치 스크린 글라스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120044501A (ko) 2010-10-28 2012-05-0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I408445B (zh) 2010-11-17 2013-09-11 Hannstar Display Corp 觸控顯示裝置及其防護鏡片與組裝方法
US10781135B2 (en) * 2011-03-16 2020-09-22 Apple Inc. Strengthening variable thickness glass
US9866660B2 (en) 2011-03-21 2018-01-09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oncave displays
US20120275024A1 (en) 2011-04-27 2012-11-01 Rockwell Collins, Inc. Polarizer assembly with adhesive layers
US10061356B2 (en) * 2011-06-30 2018-08-2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1320384B1 (ko)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30015230A (ko) 2011-08-02 2013-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929085B2 (en) 2011-09-30 2015-01-06 Apple Inc. Flexible electronic devices
US8773848B2 (en) * 2012-01-25 2014-07-08 Apple Inc. Fused glass device housings
US9439315B2 (en) * 2012-06-29 2016-09-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002470A (ko) 2012-06-29 2014-0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
KR20140046839A (ko) * 2012-10-11 2014-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JP6136527B2 (ja) * 2012-10-29 2017-05-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インセルタッチパネル液晶素子の前面用の光学積層体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セルタッチパネル型液晶表示装置
KR101973778B1 (ko) * 2012-11-16 2019-04-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
KR101975490B1 (ko) * 2013-02-18 2019-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84132A1 (en) * 2009-05-08 2010-11-11 Taiwan Green Point Enterprises Co., Ltd. Touch panel modu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11055504A1 (ja) * 2009-11-04 2011-05-12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駆動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US20120111479A1 (en) * 2010-11-05 2012-05-10 Kuo-Hua Sung Curved touch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181A (ko) 2020-03-06
US11032918B2 (en) 2021-06-08
US20210298185A1 (en) 2021-09-23
US11564321B2 (en) 2023-01-24
KR20190134990A (ko) 2019-12-05
US20140002973A1 (en) 2014-01-02
US9439315B2 (en) 2016-09-06
US11032924B2 (en) 2021-06-08
US20200229313A1 (en) 2020-07-16
KR102194826B1 (ko) 2020-12-24
US20170042046A1 (en)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430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10214784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
KR102223675B1 (ko) 라미네이션 장치 및 라미네이션 방법
JP4870046B2 (ja) 板ガラスの貼合方法およびその装置
TWI695807B (zh) 積層體之剝離裝置及剝離方法與電子裝置之製造方法
KR102356595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447152A (zh) 液晶显示板的制造装置和方法
KR102026822B1 (ko) 표시 장치 셀 절단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TW201607764A (zh) 積層體之剝離裝置及剝離方法、與電子裝置之製造方法
US103433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performing delamination and adhesion processes
KR101969555B1 (ko) 반도체 칩 분리 장치 및 반도체 칩 분리 방법
US20080251557A1 (en) Scribing unit and apparatus for scribing panel with the scribing unit, and scribing method and method for manufacutring substrate
JP2008233207A (ja) 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6269954B2 (ja) 積層体の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並びに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CN1846241A (zh) 制造显示设备的方法
JP2022132971A (ja) ワークとシート材の一体化方法、ワークとシート材の一体化装置、および半導体製品の製造方法
CN115775757A (zh) 基板封装产品切割方法
KR20210029414A (ko) 다이 픽업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 본딩 장치
KR20040069675A (ko) 평판디스플레이의 이방전도성필름 및 회로기판 본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