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971B1 - 커버 윈도우 및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커버 윈도우 및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971B1
KR102367971B1 KR1020170076866A KR20170076866A KR102367971B1 KR 102367971 B1 KR102367971 B1 KR 102367971B1 KR 1020170076866 A KR1020170076866 A KR 1020170076866A KR 20170076866 A KR20170076866 A KR 20170076866A KR 102367971 B1 KR102367971 B1 KR 102367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surface
curved
corner
display area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7644A (ko
Inventor
서현승
조종환
조우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6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971B1/ko
Priority to US15/937,252 priority patent/US10638619B2/en
Priority to CN201810600541.6A priority patent/CN109148512B/zh
Publication of KR20180137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1L51/00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H01L27/32
    • H01L51/009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측 및 상기 제1측과 접하며,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측을 포함하는 평탄면, 상기 제1측과 접하는 상측 곡면, 상기 제2측과 접하는 좌측 곡면, 상기 상측 곡면과 상기 좌측 곡면을 잇는 제1모서리 곡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은 외측면, 내측면 및 상기 외측면과 상기 내측면을 잇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은 제1 너비를 갖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너비보다 작은 제2 너비를 갖는 주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버 윈도우 및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COVER WINDOW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버 윈도우 및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는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차세대 표시 소자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중 일부는 휘어지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가요성 표시 장치는 평면 표시 영역과 곡면 표시 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될 수 있도록 곡면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디스플레이 제조 시 모서리 곡면 부분에서 합지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윈도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커버 윈도우와 표시 패널이 안정적으로 합지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측 및 상기 제1측과 접하며,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측을 포함하는 평탄면, 상기 제1측과 접하는 상측 곡면, 상기 제2측과 접하는 좌측 곡면, 상기 상측 곡면과 상기 좌측 곡면을 잇는 제1모서리 곡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은 외측면, 내측면 및 상기 외측면과 상기 내측면을 잇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은 제1 너비를 갖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너비보다 작은 제2 너비를 갖는 주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의 내측면은 제1 곡률 반지름을 갖고, 외측면은 제2 곡률 반지름을 갖되,
상기 제1 곡률 반지름은 상기 제2 곡률 반지름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면의 너비는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탄면과 상기 상측 곡면 및 상기 좌측 곡면은 동일한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탄면의 연장선과 상기 좌측 곡면 단부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은 90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탄면의 연장선과 상기 좌측 곡면 단부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은 120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탄면의 연장선과 상기 좌측 곡면 단부의 연장선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곡면 또는 상기 상측 곡면의 내측면은 제3 곡률 반지름을 갖고, 상기 좌측 곡면의 외측면은 제4 곡률 반지름을 갖되,
상기 제3 곡률 반지름은 상기 제4 곡률 반지름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곡면 및 상기 제1 모서리 곡면과 중첩하는 착색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 착색 필름은 상기 평탄면 및 상기 좌측 곡면과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의 내측면과 상기 바닥면이 만나는 제1 경계가 정의되고, 상기 제1 경계는 상기 외측면을 향해 볼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의 내측면과 상기 바닥면이 만나는 제1 경계가 정의되고, 상기 제1 경계는 직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의 내측면과 상기 바닥면이 만나는 제1 경계가 정의되고, 상기 제1 경계는 상기 평탄면의 중심을 향해 볼록한 포물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 윈도우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측 및 상기 제1측과 접하며,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측을 포함하는 평탄면, 상기 제1측과 접하는 상측 곡면, 상기 제2측과 접하는 좌측 곡면, 상기 상측 곡면과 상기 좌측 곡면을 잇는 제1모서리 곡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은 외측면, 내측면 및 상기 외측면과 상기 내측면을 잇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은 제1 너비를 갖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너비보다 작은 제2 너비를 갖는 주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은 평면 표시 영역 및 상기 평면 표시 영역의 제1측에 배치되는 좌측 곡면 표시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평면 표시 영역으로부터 제공되는 화상은 상기 평탄면을 통해 표시되고, 상기 좌측 곡면 표시 영역으로부터 제공되는 화상은 상기 좌측 곡면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 표시 영역의 제2측에 배치되는 상측 곡면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측 곡면 표시 영역으로부터 제공되는 화상은 상기 상측 곡면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곡면 표시 영역 및 상기 상측 곡면 표시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모서리 곡면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모서리 곡면 표시 영역으로부터 제공되는 화상은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윈도우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의 내측면은 제1 곡률 반지름을 갖고, 외측면은 제2 곡률 반지름을 갖되, 상기 제1 곡률 반지름은 상기 제2 곡률 반지름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면의 너비는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커버 윈도우의 모서리 부분에 합지 불량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Ⅰ-Ⅰ'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Ⅱ-Ⅱ'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Ⅲ-Ⅲ'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000)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측(11) 및 제1측(11)과 접하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측(12)을 포함하는 평탄면(FS), 제1측(11)과 접하는 상측 곡면(TC), 제2측(12)과 접하는 좌측 곡면(LC), 상측 곡면(TC)과 좌측 곡면(LC)을 연결하는 제1 모서리 곡면(CC1)을 포함하되, 제1 모서리 곡면(CC1)은 외측면(OS), 내측면(IS) 및 외측면(OS)과 내측면(IS)를 잇는 바닥면(BS)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000)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투명한 소재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000)를 형성하는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 윈도우(1000)는 플라스틱을 사출 성형 방식을 이용하여 가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다차원 형상을 갖는 커버 윈도우(1000)를 손쉽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의해 커버 윈도우(1000)가 단일층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시하지만, 커버 윈도우(1000)의 적층 구조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 윈도우(1000)는 복수개의 기능층이 적층된 적층체일 수 있다.
평탄면(FS)은 평평한 면으로서,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투명하게 형성된 평탄면(FS)은 후술하는 표시 패널(500)이 제공하는 화상을 투과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시인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평탄면(FS)은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평탄면(FS)은 제1측(11), 제2측(12), 제3측(13) 및 제4측(14)을 네 개의 변으로 하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제1측(11)과 제3측(13)과, 제2측(12)과 제4측(14)은 서로 대향하며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측(12)과 제4측(14)은 서로 마주보는 제1측(11)과 제3측(13)의 양단을 잇는 선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측(11)의 길이는 제2측(12)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즉, 평탄면(FS)은 제1측(11)을 단변으로 하고, 제2측(12)을 장변으로 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평탄면(FS)의 제1측(11), 제2측(12), 제3측(13) 및 제4측(14)으로부터 연장된 네 개의 곡면이 배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제1측(11), 제2측(12), 제3측(13) 및 제4측(14)에 대응되는 각 곡면을 상측 곡면(TC), 좌측 곡면(LC), 하측 곡면(BC) 및 우측 곡면(RC)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상측 곡면(TC), 좌측 곡면(LC), 하측 곡면(BC) 및 우측 곡면(RC)은 평탄면(FS)의 제1측(11), 제2측(12), 제3측(13) 및 제4측(14)과 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측(11), 제2측(12), 제3측(13) 및 제4측(14)과 상측 곡면(TC), 좌측 곡면(LC), 하측 곡면(BC) 및 우측 곡면(RC)은 동일한 재료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측(11), 제2측(12), 제3측(13) 및 제4측(14)과 상측 곡면(TC), 좌측 곡면(LC), 하측 곡면(BC) 및 우측 곡면(RC) 간의 경계는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상측 곡면(TC), 좌측 곡면(LC), 하측 곡면(BC) 및 우측 곡면(RC)은 평탄면(FS)의 내측을 향해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상측 곡면(TC), 좌측 곡면(LC), 하측 곡면(BC) 및 우측 곡면(RC)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벤딩된 벤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 곡면(TC)과 좌측 곡면(LC) 사이에는 제1 모서리 곡면(CC1)이 배치되고, 상측 곡면(TC)과 우측 곡면(RC) 사이에는 제2 모서리 곡면(CC2)이 배치되고, 우측 곡면(RC)과 하측 곡면(BC) 사이에는 제3 모서리 곡면(CC3)이 배치되고, 하측 곡면(BC)과 좌측 곡면(LC) 사이에는 제4 모서리 곡면(CC4)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모서리 곡면(CC1)은 상측 곡면(TC)과 좌측 곡면(LC)을 연결하고, 제2 모서리 곡면(CC2)은 상측 곡면(TC)과 우측 곡면(RC)을 연결하고, 제3 모서리 곡면(CC3)은 우측 곡면(RC)과 하측 곡면(BC)을 연결하고, 제4 모서리 곡면(CC4)은 하측 곡면(BC)과 좌측 곡면(LC)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모서리 곡면(CC1), 제2 모서리 곡면(CC2), 제3 모서리 곡면(CC3) 및 제4 모서리 곡면(CC4)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모서리 곡면(CC1)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모서리 곡면(CC2)에 대한 설명은 모두 제2 모서리 곡면(CC2), 제3 모서리 곡면(CC3) 및 제4 모서리 곡면(CC4)에 대한 설명을 대체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제1 모서리 곡면(CC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제1 모서리 곡면(CC1)의 일측은 상측 곡면(TC)과 접하고, 타측은 좌측 곡면(LC)과 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모서리 곡면(CC1)은 상측 곡면(TC) 및 좌측 곡면(LC)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모서리 곡면(CC1)과 상측 곡면(TC)의 경계 및 제1 모서리 곡면(CC1)과 좌측 곡면(LC)의 경계는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모서리 곡면(CC1)은 도 1 및 도 2의 각도에서 보이는 외측면(OS), 외측면(OS)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내측면(IS) 및 외측면(OS)과 내측면(IS)을 잇는 바닥면(BS)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0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Ⅰ-Ⅰ'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Ⅱ-Ⅱ'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Ⅲ-Ⅲ'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커버 윈도우(1000) 제1 모서리 곡면(CC1)의 바닥면(BS)을 도시한다.
바닥면(BS)은 제1 모서리 곡면(CC1)의 외측면(OS)과 내측면(IS)을 이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서리 곡면(CC1)의 바닥면(BS)과 내측면(IS)의 경계인 제1 경계(21)가 정의되고, 바닥면(BS)과 외측면(OS)의 경계인 제2 경계(22)가 정의될 수 있다. 즉, 바닥면(BS)은 제1 경계(21)와 제2 경계(22) 사이에 배치되는 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경계(21)는 외측면(OS)을 향해 볼록한 포물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면(BS)은 상대적으로 큰 너비를 갖는 중앙부(CP)와 상대적으로 작은 너비를 갖는 주변부(PP)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CP)는 바닥면(BS)의 중심부에 배치되며 제1 너비(t1)를 가질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몇몇 용어를 정의하기로 한다. 제1 너비(t1)를 정의하기 위해 기준선(RL) 개념을 먼저 정의하기로 한다.
기준선(RL)은 좌측 곡면(LC) 일변의 길이 방향 연장선인 제1 연장선(LL)과 상측 곡면(TC) 일변의 길이 방향 연장선인 제2 연장선(TL)이 만나는 점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준선(RL)은 제1 연장선(LL)과 제1각(θ1)을 이루며 연장되고, 제2 연장선(TL)과 제2각(θ2)을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각(θ1)과 제2각(θ2)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연장선(LL)과 제2 연장선(TL)은 서로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제1각(θ1)과 제2각(θ2)은 모두 45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너비(t1)는 기준선(RL)과 제1 경계(21)가 만나는 점과 기준선(RL)과 제2 경계(22)가 만나는 점을 이은 선분의 거리일 수 있다.
바닥면(BS)의 중앙부(CP)는 제1 너비(t1)가 정의되는 부분일 수 있으며, 주변부(PP)는 중앙부(CP)의 양측에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닥면(BS)의 너비는 중앙부(CP)에서 가장 두껍고, 주변부(PP)의 최외곽에서 가장 얇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중앙부(CP)는 제1 너비(t1)를 갖고, 주변부(PP)의 최외곽은 제2 너비(t2)를 가질 수 있다.
즉 바닥면(BS)의 너비는 중앙부(CP)에서 주변부(PP)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닥면(BS)의 너비가 중앙부(CP)에서 주변부(PP)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면, 제1 모서리 곡면(CC1)의 내측면(IS)의 면적은 너비가 일정한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000)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착색 필름을 비롯한 필름 형상의 여러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들은 커버 윈도우(1000)와 합착될 수 있다. 평평한 필름 형상의 구성과 커버 윈도우(1000)를 합착하려하면, 커버 윈도우(1000)의 곡면 부분에서 필름 등이 구겨지고, 이것이 외부에 시인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채택하여 제1 모서리 곡면(CC1) 내측면(IS)의 면적을 감소시키면, 부착 부분의 면적이 작아지며 이에 따라 합착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겨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 단면상에서 외측면(OS)의 곡률과 내측면(IS)의 곡률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Ⅰ-Ⅰ'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Ⅰ-Ⅰ' 라인은 도 4의 기준선(RL)과 중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바닥면(BS)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너비(t1)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모서리 곡면(CC1)의 내측면(IS)과 외측면(OS)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측면(IS)은 제1 곡률 반지름(R1)을 갖는 곡면을 포함하고, 외측면(OS)은 제2 곡률 반지름(R2)을 갖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곡률 반지름(R1)은 제2 곡률 반지름(R2)보다 클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내측면(IS)의 곡률이 외측면(OS)의 곡률보다 작을 수 있다.
내측면(IS)의 곡률이 작다는 것은 내측면(IS)이 외측면(OS)에 비해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절곡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000)는 필름 형상의 구성과 합착될 수 있다. 내측면(IS)이 외측면(OS)에 비해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절곡되는 경우, 필름 형상을 갖는 구성이 점진적으로 부착되며 이에 따라 제1 모서리 곡면(CC1)에서 발생하는 필름의 구겨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은 평탄면(FS)과 상측 곡면(TC)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평탄면(FS)의 외측면과 내측면 사이의 너비와 상측 곡면(TC)의 외측면과 내측면 사이의 너비는 동일할 수 있다.
도 6은 상측 곡면(TC)의 경우만을 예시하였지만, 하측 곡면(BC)의 경우에도 외측면과 내측면 사이의 너비는 평탄면(FS)의 외측면과 내측면 사이의 너비와 동일할 수 있다.
도 7은 평탄면(FS)과 좌측 곡면(LC)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평탄면(FS)의 외측면과 내측면 사이의 너비와 좌측 곡면(LC)의 외측면과 내측면 사이의 너비는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평탄면(FS)의 연장선과 좌측 곡면(LC) 단부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은 90도일 수 있다.
도 7은 좌측 곡면(LC)의 경우만을 예시하였지만, 우측 곡면(RC)의 외측면과 내측면 사이의 너비는 평탄면(FS)의 외측면과 내측면 사이의 너비와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의 일부는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000)에서 설명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일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일 실시예에서 평탄면(FS)의 연장선과 좌측 곡면(LC1) 단부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는 120도일 수 있다.
도 8은 좌측 곡면(LC1)의 경우만을 도시하였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우측 곡면의 경우도 이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일 실시예에서 평탄면(FS)의 연장선과 좌측 곡면(LC2) 단부의 연장선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즉 평탄면(FS)의 연장선과 좌측 곡면(LC2) 단부의 연장선은 서로 이격되며 만나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좌측 곡면(LC2)의 경우만을 도시하였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우측 곡면의 경우도 이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커버 윈도우(1000) 좌측 곡면(LC3)의 외측벽(15)과 내측벽(16)은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 곡면(LC3)의 내측벽(16)은 제3 곡률 반지름(R3)을 갖는 곡면을 포함하고, 외측벽(15)은 제4 곡률 반지름(R4)을 갖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곡률 반지름(R3)은 제4 곡률 반지름(R4)보다 클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내측벽(16)이 포함하는 곡면의 곡률이 외측벽(15)이 포함하는 곡면의 곡률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이는 내측벽(16)이 외측벽(15)에 비해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절곡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000)는 필름 형상의 구성과 합착될 수 있다. 내측벽(16)이 외측벽(15)에 비해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절곡되는 경우, 필름 형상을 갖는 구성이 점진적으로 부착되며 이에 따라 곡면에서 발생하는 필름의 구겨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0은 좌측 곡면(LC3)에 대한 경우를 도시하나, 우측 곡면도 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0의 실시예는 상측 곡면(TC)이나 하측 곡면(BC)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일 실시예에서 상측 곡면(TC) 또는 하측 곡면(BC)의 내측벽(도시하지 않음)과 외측벽(도시하지 않음)은 도 10과 같이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즉, 내측면의 곡률이 외측면에 비해 작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바닥면(BS1)과 내측면(IS)의 제1 경계(23)는 직선인 점이 도 4와 다른 점이다.
일 실시예에서 바닥면(BS1)과 내측면(IS)의 제1 경계(23)는 직선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바닥면(BS1)의 중앙부는 제1 너비(t1)를 가지며 주변부는 제2 너비(t2)를 가질 수 있다. 즉,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닥면(BS1)의 너비는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바닥면(BS2)과 내측면(IS)의 제1 경계(24)가 커버 윈도우(1000) 평탄면(FS)의 중심부를 향해 볼록한 곡선인 점이 도 4의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일 실시예에서 바닥면(BS2)과 내측면(IS)의 제1 경계(24)는 커버 윈도우(1000)의 중심부를 향해 볼록한 포물선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바닥면(BS2)의 중앙부는 제1 너비(t1)를 가지며 주변부는 제2 너비(t2)를 가질 수 있다. 즉,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닥면(BS2)의 너비는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001)의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001)는 착색 필름(CL1, CL2)을 더 포함하는 점이 도 1의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 윈도우(1001)에는 제1 착색 필름(CL1) 및 제2 착색 필름(CL2)이 부착될 수 있다.
제1 착색 필름(CL1) 및 제2 착색 필름(CL2)은 빛을 차단하며, 이에 따라 제1 착색 필름(CL1) 및 제2 착색 필름(CL2)이 부착된 영역은 화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착색 필름(CL1) 및 제2 착색 필름(CL2)은 검정색으로 이루어지거나, 빛을 흡수하는 색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착색 필름(CL1) 및 제2 착색 필름(CL2)은 PET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1 착색 필름(CL1) 및 제2 착색 필름(CL2)의 소재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착색 필름(CL1)은 상측 곡면(TC), 제1 모서리 곡면(CC1) 및 제2 모서리 곡면(CC2)과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측 곡면(TC), 제1 모서리 곡면(CC1) 및 제2 모서리 곡면(CC2)은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착색 필름(CL2)은 하측 곡면(BC), 제3 모서리 곡면(CC3), 및 제4 모서리 곡면(CC4)과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측 곡면(BC), 제3 모서리 곡면(CC3), 및 제4 모서리 곡면(CC4)은 화상을 표시 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착색 필름(CL1) 및 제2 착색 필름(CL2)은 평탄면(FS), 좌측 곡면(LC) 및 우측 곡면(RC)의 일부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평탄면(FS), 좌측 곡면(LC) 및 우측 곡면(RC) 중 제1 착색 필름(CL1) 및 제2 착색 필름(CL2)과 중첩되는 부분은 화상을 표시 하지 않고, 평탄면(FS), 좌측 곡면(LC) 및 우측 곡면(RC) 중 제1 착색 필름(CL1) 및 제2 착색 필름(CL2)과 중첩되지 않은 부분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착색 필름(CL1) 및 제2 착색 필름(CL2)은 커버 윈도우(1001)와 합착될 수 있다. 제1 착색 필름(CL1) 및 제2 착색 필름(CL2)과 커버 윈도우(1001)는 그 형상의 차이가 있으며, 그 차이는 합착 과정에서 제1 착색 필름(CL1) 및 제2 착색 필름(CL2)의 구겨짐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구겨짐은 특히 모서리 부분에서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채택하는 경우, 부착 면적을 최소화하거나 부착을 점진적으로 실시함으로써, 모서리 부분에서 발생하는 제1 착색 필름(CL1) 및 제2 착색 필름(CL2)의 구겨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500) 및 표시 패널(500) 상에 배치되는 커버 윈도우(1000)를 포함한다.
커버 윈도우(1000)는 앞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0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표시 패널(500)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500)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표시 패널(500)은 현존하거나 향후 기술의 발전에 따라 등장하게 되는 여러 종류의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500)은 벤딩되거나, 접히거나 말리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500)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은 평탄한 평면 표시 영역(FDA)과 평면 표시 영역(FDA)의 양측에 배치되는 좌측 곡면 표시 영역(BDA_L) 및 우측 곡면 표시 영역(BDA_R)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곡면 표시 영역(BDA_L) 및 우측 곡면 표시 영역(BDA_R)은 서로 대향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곡면 표시 영역(BDA_L) 및 우측 곡면 표시 영역(BDA_R)은 커버 윈도우(1000)의 좌측 곡면(LC) 및 우측 곡면(RC)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좌측 곡면 표시 영역(BDA_L) 및 우측 곡면 표시 영역(BDA_R)은 커버 윈도우(1000)의 좌측 곡면(LC) 및 우측 곡면(RC)과 중첩할 수 있다.
이 경우, 좌측 곡면 표시 영역(BDA_L)으로부터 제공되는 화상은 좌측 곡면(LC)을 통해 표시되고, 우측 곡면 표시 영역(BDA_R)으로부터 제공되는 화상은 우측 곡면(RC)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평면 표시 영역(FDA)은 커버 윈도우(1000)의 평탄면(FS)과 대응될 수 있다. 즉 표시 영역(FDA)은 커버 윈도우(1000)의 평탄면(FS)과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평면 표시 영역(FDA)에서 제공되는 화상은 평탄면(FS)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도 14는 표시 장치의 구성으로서, 커버 윈도우(1000)와 표시 패널(500)을 도시하고 있지만, 표시 장치의 구성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커버 윈도우(1000)와 표시 패널(500) 사이에는 복수의 기능층, 예컨대, 편광층, 점착층, 입력 감지 유닛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기능층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더라도 공지된 표시 장치에서 표시 패널과 커버 윈도우(10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구성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도 배치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표시 패널(501)을 예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501)은 평면 표시 영역(FDA) 및 평면 표시 영역(FDA)을 둘러싸는 네 개의 표시 영역 즉 좌측 곡면 표시 영역(BDA_L), 우측 곡면 표시 영역(BDA_R), 상측 곡면 표시 영역(BDA_T) 및 하측 곡면 표시 영역 (BDA_B)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표시 영역(FDA)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000)의 평탄면(FS)과 대응될 수 있다. 즉, 평면 표시 영역(FDA)에서 제공되는 화상은 평탄면(FS)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좌측 곡면 표시 영역(BDA_L), 우측 곡면 표시 영역(BDA_R), 상측 곡면 표시 영역(BDA_T) 및 하측 곡면 표시 영역 (BDA_B)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000)의 좌측 곡면(LC), 우측 곡면(RC), 상측 곡면(TC) 및 하측 곡면(BC)와 대응될 수 있다.
즉 좌측 곡면 표시 영역(BDA_L)에서 제공되는 화상은 좌측 곡면(LC)을 통해, 우측 곡면 표시 영역(BDA_R)에서 표시되는 화상은 우측 곡면(RC)을 통해, 상측 곡면 표시 영역(BDA_T)에서 표시되는 화상은 상측 곡면(TC)을 통해, 하측 곡면 표시 영역(BDA_B)에서 표시되는 화상은 하측 곡면(BC)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은 제1 모서리 표시 영역(BDA_C1), 제2 모서리 표시 영역(BDA_C2), 제3 모서리 표시 영역(BDA_C3) 및 제4 모서리 표시 영역(BDA_C4)을 더 포함하는 점이 도 15의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평면 표시 영역(FDA) 및 평면 표시 영역(FDA)을 둘러싸는 네 개의 표시 영역 즉 좌측 곡면 표시 영역(BDA_L), 우측 곡면 표시 영역(BDA_R), 상측 곡면 표시 영역(BDA_T) 및 하측 곡면 표시 영역 (BDA_B)에 대한 것은 앞서 도 15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모서리 표시 영역(BDA_C1), 제2 모서리 표시 영역(BDA_C2), 제3 모서리 표시 영역(BDA_C3) 및 제4 모서리 표시 영역(BDA_C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서리 표시 영역(BDA_C1), 제2 모서리 표시 영역(BDA_C2), 제3 모서리 표시 영역(BDA_C3) 및 제4 모서리 표시 영역(BDA_C4)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서리 표시 영역(BDA_C1)은 상측 곡면 표시 영역(BDA_T)과 좌측 곡면 표시 영역(BDA_L)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모서리 표시 영역(BDA_C2)은 상측 곡면 표시 영역(BDA_T)과 우측 곡면 표시 영역(BDA_R) 사이에 배치되고, 제3 모서리 표시 영역(BDA_C3)은 우측 곡면 표시 영역(BDA_R)과 하측 곡면 표시 영역(BDA_B) 사이에 배치되고, 제4 모서리 표시 영역(BDA_C4)는 하측 곡면 표시 영역(BDA_B)과 좌측 곡면 표시 영역(BDA_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모서리 표시 영역(BDA_C1)은 제1 모서리 곡면(CC1)과 대응되고, 제2 모서리 표시 영역(BDA_C2)은 제2 모서리 곡면(CC2)과 대응되고, 제3 모서리 표시 영역(BDA_C3)은 제3 모서리 곡면(CC3)과 대응되고, 제4 모서리 표시 영역(BDA_C4)은 제4 모서리 곡면(CC4)과 대응될 수 있다.
즉 제1 모서리 표시 영역(BDA_C1)에서 제공되는 화상은 제1 모서리 곡면(CC1)을 통해 표시되고, 제2 모서리 표시 영역(BDA_C2)에서 제공되는 화상은 제2 모서리 곡면(CC2)을 통해 표시되고,, 제3 모서리 표시 영역(BDA_C3)에서 제공되는 화상은 제3 모서리 곡면(CC3)을 통해 표시되고, 제4 모서리 표시 영역(BDA_C4)에서 제공되는 화상은 제4 모서리 곡면(CC4)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 패널이 복수의 곡면 표시 영역을 구비하는 경우, 곡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에서 화상이 표시되는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을 크게 하여 다양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000: 커버 윈도우
FS: 평탄면
TC: 상측 곡면
LC: 좌측 곡면
RC: 우측 곡면
BC: 하측 곡면
CC1: 제1 모서리 곡면
CC2: 제2 모서리 곡면
CC3: 제3 모서리 곡면
CC4: 제4 모서리 곡면
500: 표시 패널
IS: 내측면
OS: 외측면
BS: 바닥면

Claims (20)

  1.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측 및 상기 제1측과 접하며,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측을 포함하는 평탄면;
    상기 제1측과 접하는 상측 곡면;
    상기 제2측과 접하는 좌측 곡면;
    상기 상측 곡면과 상기 좌측 곡면을 잇는 제1모서리 곡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은
    외측면, 내측면 및 상기 외측면과 상기 내측면을 잇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의 상기 바닥면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의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의 상기 외측면까지 측정한 제1 너비를 갖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의 상기 바닥면의 상기 제1 너비는 상기 바닥면의 중앙부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커버 윈도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의 상기 내측면은 제1 곡률 반지름을 갖고,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의 상기 외측면은 제2 곡률 반지름을 갖되,
    상기 제1 곡률 반지름은 상기 제2 곡률 반지름보다 큰 커버 윈도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의 외측면과 내측면 사이의 너비, 상기 상측 곡면의 외측면과 내측면 사이의 너비 및 상기 좌측 곡면의 외측면과 내측면 사이의 너비는 서로 동일한 커버 윈도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의 연장선과 상기 좌측 곡면 단부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은 90도인 커버 윈도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의 연장선과 상기 좌측 곡면 단부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은 120도인 커버 윈도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의 연장선과 상기 좌측 곡면 단부의 연장선은 서로 평행한 커버 윈도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곡면 또는 상기 상측 곡면의 내측벽은 제3 곡률 반지름을 갖고, 상기 좌측 곡면의 외측벽은 제4 곡률 반지름을 갖되,
    상기 제3 곡률 반지름은 상기 제4 곡률 반지름보다 큰 커버 윈도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곡면 및 상기 제1 모서리 곡면과 중첩하는 착색 필름을 더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필름은 상기 평탄면 및 상기 좌측 곡면과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커버 윈도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의 상기 내측면과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의 상기 바닥면이 만나는 제1 경계가 정의되고, 상기 제1 경계는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의 상기 외측면을 향해 볼록한 포물선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의 상기 내측면과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의 상기 바닥면이 만나는 제1 경계가 정의되고, 상기 제1 경계는 직선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의 상기 내측면과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의 상기 바닥면이 만나는 제1 경계가 정의되고, 상기 제1 경계는 상기 평탄면의 중심을 향해 볼록한 포물선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14.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 윈도우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측 및 상기 제1측과 접하며,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측을 포함하는 평탄면;
    상기 제1측과 접하는 상측 곡면;
    상기 제2측과 접하는 좌측 곡면;
    상기 상측 곡면과 상기 좌측 곡면을 잇는 제1모서리 곡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은
    외측면, 내측면 및 상기 외측면과 상기 내측면을 잇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의 상기 바닥면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의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의 상기 외측면까지 측정한 제1 너비를 갖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의 상기 바닥면의 상기 제1 너비는 상기 바닥면의 중앙부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은 평면 표시 영역 및 상기 평면 표시 영역의 제1측에 배치되는 좌측 곡면 표시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평면 표시 영역으로부터 제공되는 화상은 상기 평탄면을 통해 표시되고, 상기 좌측 곡면 표시 영역으로부터 제공되는 화상은 상기 좌측 곡면을 통해 표시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표시 영역의 제2측에 배치되는 상측 곡면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측 곡면 표시 영역으로부터 제공되는 화상은 상기 상측 곡면을 통해 표시되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곡면 표시 영역 및 상기 상측 곡면 표시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모서리 곡면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모서리 곡면 표시 영역으로부터 제공되는 화상은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을 통해 표시되는 표시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서리 곡면의 상기 내측면은 제1 곡률 반지름을 갖고, 외측면은 제2 곡률 반지름을 갖되,
    상기 제1 곡률 반지름은 상기 제2 곡률 반지름보다 큰 표시 장치.
  20. 삭제
KR1020170076866A 2017-06-16 2017-06-16 커버 윈도우 및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67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866A KR102367971B1 (ko) 2017-06-16 2017-06-16 커버 윈도우 및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5/937,252 US10638619B2 (en) 2017-06-16 2018-03-27 Cover window having curved corner portio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810600541.6A CN109148512B (zh) 2017-06-16 2018-06-12 具有弯曲拐角部分的盖窗和包括该盖窗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866A KR102367971B1 (ko) 2017-06-16 2017-06-16 커버 윈도우 및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644A KR20180137644A (ko) 2018-12-28
KR102367971B1 true KR102367971B1 (ko) 2022-02-25

Family

ID=64658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866A KR102367971B1 (ko) 2017-06-16 2017-06-16 커버 윈도우 및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38619B2 (ko)
KR (1) KR102367971B1 (ko)
CN (1) CN1091485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902B1 (ko) * 2017-05-26 2022-04-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364165B1 (ko) * 2017-06-30 2022-0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JP6917806B2 (ja) * 2017-06-30 2021-08-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207473963U (zh) * 2017-10-31 2018-06-08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有效显示区具有倒角区域的显示屏及显示装置
KR102610245B1 (ko) * 2018-01-10 2023-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1737307B1 (en) * 2018-06-05 2023-08-22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curved displays with supporting frames
KR20200078243A (ko) * 2018-12-21 2020-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장치, 및 구조물
KR102630632B1 (ko) 2019-02-19 2024-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경 정보 획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210137340U (zh) * 2019-03-19 2020-03-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盖板、显示屏和电子设备
EP3723073A1 (en) 2019-03-21 2020-10-1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formation display device
KR20200116583A (ko) * 2019-04-01 2020-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628165B1 (ko) * 2019-04-23 2024-0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26467A (ko) * 2019-04-29 2020-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2445275A (zh) * 2019-08-30 2021-03-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显示屏组件、显示屏盖板以及贴合方法
CN112445274A (zh) * 2019-08-30 2021-03-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显示屏组件及显示屏盖板
CN112447097A (zh) * 2019-09-02 2021-03-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模组及其制作方法、电子设备
KR20210048615A (ko) * 2019-10-23 2021-05-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2909040B (zh) * 2019-11-19 2023-07-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模组及其制作方法、显示屏组件、电子设备
EP3828872B1 (en) 2019-11-28 2023-11-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formation display device
CN111145647A (zh) * 2019-12-23 2020-05-1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盖板和显示装置
CN111243436A (zh) * 2020-01-20 2020-06-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1179777B (zh) * 2020-02-24 2022-02-22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衬底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和显示终端
EP4123415B1 (en) * 2020-03-20 2024-05-01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1825684B2 (en) 2020-06-04 2023-11-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CN113936563A (zh) * 2020-06-29 2022-01-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曲面显示模块、曲面显示模块的制造方法及电子设备
US11754779B1 (en) * 2020-07-30 2023-09-12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oherent fiber bundles
KR20220028696A (ko) * 2020-08-31 202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레이트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73234A (ko) * 2020-11-26 2022-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2447110B (zh) * 2020-11-30 2022-04-2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214897341U (zh) * 2021-03-02 2021-1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5118A (ja) * 2011-12-14 2013-06-24 Konica Minolta Advanced Layers Inc ディスプレイ用カバーガラス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9291B2 (en) * 2003-01-17 2008-01-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lasma display panel having dielectric layer with curved corner
US20120075823A1 (en) * 2010-09-28 2012-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20288661A1 (en) * 2011-05-10 2012-11-15 Weis Limited Solid structure glas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10061356B2 (en) * 2011-06-30 2018-08-2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WO2013088989A1 (ja) * 2011-12-14 2013-06-2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カバー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439315B2 (en) * 2012-06-29 2016-09-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046839A (ko) * 2012-10-11 2014-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1452288B1 (ko) * 2012-11-19 2014-10-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73779B1 (ko) * 2012-11-19 2019-04-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991839B1 (ko) 2013-01-15 2019-06-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US9059119B2 (en) * 2013-01-15 2015-06-16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KR101975490B1 (ko) 2013-02-18 2019-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018741B1 (ko) * 2013-06-03 2019-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20140142562A (ko) * 2013-06-04 2014-1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6607666B2 (ja) * 2013-10-10 2019-11-20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曲面型表示装置のウインドウ部材、曲面型表示装置のウインドウ部材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備えた曲面型表示装置
KR101669026B1 (ko) * 2013-10-10 2016-10-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형 표시 장치의 윈도우 부재, 곡면형 표시 장치의 윈도우 부재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곡면형 표시 장치
KR101710188B1 (ko) * 2013-11-26 2017-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17527852A (ja) * 2014-09-02 2017-09-21 シェンジェン ロイオル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及びこの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を備える電子装置
KR102384279B1 (ko) * 2015-02-27 2022-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358641B1 (ko) * 2015-07-20 2022-0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표시 장치
KR102192181B1 (ko) * 2015-08-11 2020-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외관 하우징, 이의 제작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CN108475489B (zh) * 2015-12-22 2021-08-03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KR102512756B1 (ko) * 2016-05-04 2023-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I722048B (zh) * 2016-06-10 2021-03-2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電子裝置
KR101706559B1 (ko) 2016-06-21 2017-02-28 주식회사 씨아이씨티 디스플레이 기기의 다수 곡면을 갖는 입체 글라스 컬러 형성방법 및 그 형성구조
US10185064B2 (en) * 2016-10-26 2019-01-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urved edge display with controlled luminance
US10048532B2 (en) * 2016-11-08 2018-08-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edge emission compens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5118A (ja) * 2011-12-14 2013-06-24 Konica Minolta Advanced Layers Inc ディスプレイ用カバー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48512A (zh) 2019-01-04
KR20180137644A (ko) 2018-12-28
US10638619B2 (en) 2020-04-28
US20180368270A1 (en) 2018-12-20
CN109148512B (zh) 202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7971B1 (ko) 커버 윈도우 및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620668B2 (en) Display device
KR102535208B1 (ko) 표시 장치
US9575241B2 (en) Tiled display
KR20230096937A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348956B1 (ko)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이용한 멀티비젼 표시장치
US9516771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lm part which covers a display module
US8934077B2 (en) Cholesteri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641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30141347A1 (en) Laminated structure, a touch display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and a laminating method thereof
KR102511474B1 (ko) 표시 장치
WO2019047591A1 (zh) 可折弯盖板、可折弯显示模组及可折弯终端设备
US10863632B2 (en) Display device
US20170269295A1 (en) Apparatus for compensating displayed image and display assembly
KR10229364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4865741A (zh) 一种液晶面板
TW201321858A (zh) 光學膜片組及應用此光學膜片組的背光模組
KR20240000441A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11042071B2 (en) Waterproof display apparatus and forming method thereof
TW201818212A (zh) 三維曲面面板及應用其的三維曲面觸控面板以及三維曲面觸控顯示面板
US2023000828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20220208898A1 (en) Display device
CN207337020U (zh) 防漏光背光模组及液晶显示模组
KR102330084B1 (ko) 표시장치
TWI490603B (zh) 顯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