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760B1 -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760B1
KR102160760B1 KR1020170105227A KR20170105227A KR102160760B1 KR 102160760 B1 KR102160760 B1 KR 102160760B1 KR 1020170105227 A KR1020170105227 A KR 1020170105227A KR 20170105227 A KR20170105227 A KR 20170105227A KR 102160760 B1 KR102160760 B1 KR 102160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sin
layer
plastic cove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0371A (ko
Inventor
장동식
박종성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70105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760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 G02B6/32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comprising a transparent member, e.g. window, protective pl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발명은, 투광영역과 상기 투광영역에 비해 평균 헤이즈 값이 낮으며, 상기 투광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차광영역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의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는, 수지 성형품과 상기 수지 성형품에 인서트된 수지필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PLASTIC COVER WINDOW}
발명은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각적이면서 입체적인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 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박막 액정 디스플레이(TFT-LCD) 등이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텔레비전, 컴퓨터용 모니터, 노트북, 휴대단말기, 냉장고의 표시부, 카메라의 표시부 등 다양한 전자 기기들에 사용되어 왔다.
최근, 자동차는 IT 기술의 융합으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장착하는 경향을 가진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필요하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간 주행 중 태양광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간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를 제공하고자 한다.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간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광영역에서 고광택의 심미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를 제공하고자 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는, 투광영역과 상기 투광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차광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는, 수지 성형품과 상기 수지 성형품 상에 인서트된 수지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차광영역은 상기 투광영역에 비해 평균 헤이즈 값이 낮다. 상기 투광영역은, 상기 평균 헤이즈 값이 1% 이상이고 3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차광영역은, 상기 평균 헤이즈 값이 0% 이상이고 1% 미만일 수 있다.
상기 투광영역은, 상기 차광영역에 비해 요철패턴의 밀도가 높을 수 있다. 상기 투광영역과 상기 차광영역 중, 상기 투광영역에만 상기 요철패턴이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차광영역은, 상기 요철패턴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투광영역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에 비해 상기 평균 헤이즈 값이 높을 수 있다. 상기 투광영역은, 상기 평균 헤이즈 값이 제1 방향을 따라 감소되는 헤이즈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예를 들어, 중력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에 비해 상기 요철패턴의 밀도가 높을 수 있다. 상기 투광영역은, 요철의 밀도가 제1 방향을 따라 감소되는 밀도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예를 들어, 중력 방향일 수 있다.
상기 투광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평균 헤이즈 값이 1% 이상이고 30% 이하일 수 있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평균 헤이즈 값이 0% 이상이고 1% 미만일 수 있다.
상기 투광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평균 헤이즈 값이 1% 이상이고 30% 이하일 수 있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평균 헤이즈 값이 0% 이상이고 1% 미만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평균 헤이즈 값이 제1 방향을 따라 감소되는 헤이즈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예를 들어, 상기 중력 방향일 수 있다.
상기 투광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에만 상기 요철패턴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투광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에만 상기 요철패턴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요철패턴이 제1 방향을 따라 감소되는 밀도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예를 들어, 상기 중력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수지필름은, 상기 투광영역에 대응되는 제1 파트와 상기 차광영역에 대응되는 제2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트는, 베이스 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직접 배치된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제1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직접 배치된 차광층을 포함하는 제2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지 성형품은, 제1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일 수 있다.
상기 수지필름은, 상기 제1 수지로 구성된 제1 층과 제2 수지로 구성된 제2 층으로 구성된 공압출 복층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층은 상기 수지 성형품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층은 상기 제1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지필름은, 상기 제1 수지로 구성된 제1 층과 제2 수지로 구성된 제2 층으로 구성된 공압출 복층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층은 상기 수지 성형품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층은 상기 제1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파트에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상기 제2 층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파트에서, 상기 차광층은 상기 제2 층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파트에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상기 차광층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수지필름은, 상기 제1 수지로 구성된 제1 층과 제2 수지로 구성된 제2 층으로 구성된 공압출 복층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층은 상기 수지 성형품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층은 상기 제1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파트에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상기 제2 층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파트에서, 상기 차광층은 상기 제1 층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파트에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상기 제2 층 상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필름은, 상기 제1 수지로 구성된 제1 층과 제2 수지로 구성된 제2 층으로 구성된 공압출 복층필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층은 상기 제1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지는, 상기 제1 수지에 비해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제1 층은,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층은,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광층은, 제3 수지와 차광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수지는,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등일 수 있다. 상기 제3 수지는, 상기 제2 수지와 동종의 것일 수도 있고, 이종의 것일 수도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은, 제4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수지는,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수지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간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간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광영역에서 고광택의 심미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 영역의 모식적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II 영역의 모식적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I 영역의 모식적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3의 II 영역의 모식적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10은 도 8의 B-B'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11은 도 8의 C-C'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12는 도 8의 D-D'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A'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15는 도 13의 B-B'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16은 도 13의 C-C'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17은 도 13의 D-D'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A-A'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20는 도 18의 B-B'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21은 도 18의 C-C'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22는 도 18의 D-D'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A-A'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25는 도 23의 B-B'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26은 도 23의 C-C'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27은 도 23의 D-D'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2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5)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A-A'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30은 도 29의 B-B'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형태들과 실험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게시되는 내용은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하는(including)", "가진(having)" 이라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0)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0)는 투광영역(DR)과 차광영역(NDR)을 포함한다. 차광영역(NDR)은 투광영역(DR)을 둘러싸고 있는 영역이다. 투광영역(DR)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곳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만들어지는 영상이 보여지는 투명한 영역이다.
차광영역(NDR)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소위 베젤영역이라 부르는 비표시영역에 대응되는 곳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만들어지는 영상이 보여지지 않는 영역이다. 차광영역(NDR)은, 색상 및/또는 무늬를 가진 곳이다. 예를 들어, 차광영역(NDR)은 흑색으로 보여질 수 있다.
투광영역(DR)은, 태양광 등과 같은 외부광의 난반사를 유도함으로써, 외부광의 표면 반사율을 감소시키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만들어지는 영상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투광영역(DR)은, 차광영역(NDR)에 비해 높은 평균 헤이즈 값을 가진다. 다시 말하면, 차광영역(NDR)은 투광영역(DR)에 비해 평균 헤이즈 값이 낮다.
투광영역(DR)의 평균 헤이즈 값은, 1% 내지 30%, 3% 내지 20%, 또는, 5% 내지 10% 일 수 있다. 차광영역(NDR)의 평균 헤이즈 값은, 0% 이상이고 1% 미만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투광영역(DR)은 요철패턴(E)을 포함할 수 있고, 차광영역(NDR)은, 요철패턴(E)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차광영역(NDR)의 전부가 요철패턴(E)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 만으로,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으며, 투광영역(DR)이, 차광영역(NDR)에 비해 높은 평균 헤이즈 값을 가지는 이상, 차광영역(NDR)의 일부에 요철패턴(E)이 포함되는 경우, 또는 차광영역(NDR)이 투광영역(DR)과의 경계부분에서 요철패턴(E)을 포함하는 경우도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0)는, 투광영역(DR)의 전부에 요철패턴(E)이 구비된다. 반면에, 후술하는 변형례에서는, 투광영역(DR)의 일부에만 요철패턴(E)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변형례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0)는, 수지 성형품(10)과 수지 성형품(10)에 인서트된 수지필름(IF)을 포함한다. 수지필름(IF)은, 베이스 필름(20), 차광층(30) 및 하드코팅층(40)을 포함한다.
차광층(30)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베이스 필름(2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드코팅층(40)은, 베이스 필름(20)의 일부와 차광층(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차광층(30)이 배치되지 않은 베이스 필름(20)의 중앙 영역에서는, 하드코팅층(40)이 베이스 필름(20)의 중앙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차광층(30)이 배치된 베이스 필름(20)의 중앙 영역의 외곽 영역 상에는, 하드코팅층(40)이 차광층(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차광층(30)은, 베이스 필름(20)과 하드코팅층(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0)는, 수지필름(IF)을 금형 내에 배치시키고, 사출수지를 주입하여 인서트 사출성형하는 것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인서트 사출성형법은, 당해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지 성형품(10)은, 투명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지 성형품(10)은, 제1 수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polyolefin, PO),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아미드(polyamide, PA) 중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수지 성형품(10)은,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지필름(IF)은, 투광영역(DR)에 대응되는 제1 파트와 차광영역(NDR)에 대응되는 제2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는, 태양광 등과 같은 외부광의 난반사를 유도함으로써, 외부광에 의한 표면 반사율을 낮추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만들어지는 영상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제1 파트는, 제2 파트에 비해 높은 평균 헤이즈 값을 가진다. 다시 말하면, 제2 파트는 제1 파트에 비해 평균 헤이즈 값이 낮다.
제1 파트의 평균 헤이즈 값은, 1% 내지 30%, 3% 내지 20%, 또는 5% 내지 10% 일 수 있다. 제2 파트의 평균 헤이즈 값은, 0% 이상이고 1% 미만일 수 있다.
제1 파트는, 베이스 필름(20)과, 베이스 필름(20) 상에 직접 배치된 하드코팅층(40)을 포함하는 제1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파트는, 베이스 필름(20)과 하드코팅층(40)을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 필름(20)과 하드코팅층(40)의 사이에 배치된 차광층(30)을 더 포함하는, 제2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수지필름(IF)과 수지 성형품(10)과의 계면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베이스 필름(20)은, 수지 성형품(10)을 구성하는 성분과 동일 또는 동종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필름(20)은, 단층 필름일 수도 있고, 복층 필름일 수도 있다. 베이스 필름(20)이 단층 필름인 경우, 수지 성형품(10)을 구성하는 제1 수지와 동종의 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경우, 베이스 필름(20)은, 제1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지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일 수 있다.
한편, 베이스 필름(20)이 복층 필름인 경우, 베이스 필름(20)은, 제1 수지로 구성된 제1 층(21)과 제1 수지에 비해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제2 수지로 구성된 제2 층(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수지는, 제1 수지에 비해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일 수 있다. 제2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제1 파트는, 제2 층(22) 상에 직접 배치된 하드코팅층(40)을 포함하는 제1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파트는, 제2 층(22) 상에 직접 배치된 차광층(30)을 포함하는 제2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파트는, 제2 층(22) 상에 직접 배치된 차광층(30)과 차광층(30) 상에 직접 배치된 하드코팅층(40)을 포함하는 제2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복층 필름은, 예를 들어, 제1 수지와 제2 수지를 공압출하는 것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필름(20)은, 폴리카보네이트(PC)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의 공압출 복층 필름일 수 있다. 이 때, 제1 층(21)은,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층(22)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차광층(30)은, 제3 수지와 차광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3 수지는, 제2 수지와 동종의 것이거나 이종의 것일 수 있다. 제3 수지는,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일 수 있다. 차광재는, 색소로, 예를 들어, 흑색 안료, 흑색 염료, 또는 흑색 이외의 유색 안료 등일 수 있다.
하드코팅층(40)은,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0)의 최외표면을 구성할 수 있고, 수지 성형품(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0)를 구성하는 각 층들 중에서, 하드코팅층(40)이 사용자로부터 가장 가깝게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드코팅층(40)은, 제1 파트에서 요철패턴(E)을 가지며, 제2 파트에서 요철패턴(E)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도시된 바에 따라, 제2 파트의 전부가 요철패턴(E)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으며, 제1 파트가, 제2 파트에 비해 높은 평균 헤이즈 값을 가지는 이상, 제2 파트의 일부가 요철패턴(E)을 가지는 경우, 또는 제2 파트가 제1 파트와의 경계부분에서 요철패턴(E)을 포함하는 경우도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드코팅층(40)은, 부식가공법 등을 통해 금형에 균일한 전사패턴을 형성한 뒤, 프리-하드코팅층이 반경화된 상태에서 프리-수지필름을 금형 내에 배치시키고, 진공 성형 등의 방법을 통해, 프리-하드코팅층에 요철패턴(E)을 전사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드코팅층(40)은, 제4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제4 수지는,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수지일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I 영역의 모식적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II 영역의 모식적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I 영역의 모식적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3의 II 영역의 모식적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I 영역은, 요철패턴(E)을 가지고, II 영역은, 요철패턴(E)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요철패턴(E)은, 복수개의 홈부들과 복수개의 돌기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홈부들은, 소정의 폭(WD1)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개의 돌기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돌기들은, 소정의 폭(WD2)과 소정의 높이(H1)를 가질 수 있다. 복수개의 돌기들은, 복수개의 홈부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0)에서, 요철패턴(E)은, 각 홈부의 간격, 각 홈부의 깊이, 각 돌기의 간격, 각 돌기의 폭, 각 돌기의 높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복수개의 홈부들은, 10㎛ 내지 100㎛ 의 범위 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WD1)을 가질 수 있으며, 200 nm 내지 1000 nm 의 범위 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복수개의 돌기들은, 10㎛ 내지 100㎛ 의 범위 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WD2)을 가질 수 있으며, 200 nm 내지 1000 nm 의 범위 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H1)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1)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10은 도 8의 B-B'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11은 도 8의 C-C'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12는 도 8의 D-D'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이하에서는,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0)와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1)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고, 동일한 구성요소 및 동일한 구조 등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을 참조하면,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1)는, 평균 헤이즈 값이 높은 제1 영역(DR1)과 제1 영역(DR1)에 비해 평균 헤이즈 값이 낮은 제2 영역(DR2)으로 투광영역(DR)이 분할되는 점에서,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0)와 차이가 있다.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0)는, 투광영역(DR)의 전부가 균일한 평균 헤이즈 값을 가진다.
제1 영역(DR1)은, 평균 헤이즈 값이 1% 내지 30%, 3% 내지 20%, 또는 5% 내지 10% 일 수 있고, 제2 영역(DR2)은, 평균 헤이즈 값이 0% 이상이고 1% 미만일 수 있다.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0)의 하드코팅층(41)은 제1 영역(DR1)에서는 요철패턴(E)의 밀도가 높고, 제2 영역(DR2)에서는 요철패턴(E)의 밀도가 낮다. 반면에,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0)의 하드코팅층(40)은 투광영역(DR)의 전부가 균일한 요철패턴(E)의 밀도를 가진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영역(DR1)은 요철패턴(E)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영역(DR2)은 요철패턴(E)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영역(DR1)은 요철패턴(E)을 가진 요철부일 수 있고, 제2 영역(DR2)은 요철패턴(E)을 가지지 않는 비요철부일 수 있다.
도 10 및 도 12에서, 제2 영역(DR2)이 요철패턴(E)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것 만으로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영역(DR1)이 제2 영역(DR2)에 비해 평균 헤이즈 값이 높은 이상, 제2 영역(DR2)의 일부가 요철패턴(E)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며, 이와 관련하여, 도 23 내지 도 27를 참조할 수 있다.
관련하여,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0)는, 투광영역(DR)의 전부가 균일한 밀도로 요철패턴(E)을 구비한다.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1)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특히 적합하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간 주행 시에, 태양광 반사로 인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영역은, 차량의 전면 유리에 가깝게 배치되어, 태양광의 유입량이 하부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부영역에 비해, 상부영역에서 태양광 반사로 인한 시인성 저하가 두드러진다.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1)에서, 제1 영역(DR1)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영역에 대응되는 곳이고, 제2 영역(DR2)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부 영역에 대응되는 곳이다. 제1 영역(DR1)이 제2 영역(DR2)에 비해 높은 요철패턴의 밀도 또는 높은 평균 헤이즈 값을 가지므로,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1)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특히 적합하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2)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A'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15는 도 13의 B-B'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16은 도 13의 C-C'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17은 도 13의 D-D'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이하에서는,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2)와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1)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고, 동일한 구성요소 및 동일한 구조 등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2)의 하드코팅층(42)은, 요철의 밀도가 제1 방향을 따라 감소되는 밀도 기울기를 갖는 점에서,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1)와 차이가 있다.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1)의 하드코팅층(41)은, 제1 영역(DR1)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요철의 밀도가 균일한 요철패턴을 가진다. 이 때, 제1 방향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들(101, 102)이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때, 중력방향에 해당될 수 있다.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2)는, 평균 헤이즈 값이 제1 방향을 따라 감소되는 헤이즈 기울기를 갖는 점에서,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1)와 차이가 있다.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1)는, 제1 영역(DR1)이 제1 방향을 따라 균일한 평균 헤이즈 값을 가진다. 이 때, 제1 방향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들(101, 102)이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때, 중력방향에 해당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2)의 하드코팅층(42)은, 상부 요철패턴(EU)이 중부 요철패턴(EC)에 비해 홈부들의 간격이 촘촘하며, 중부 요철패턴(EC)이 상부 요철패턴(EU)에 비해 홈부들의 간격이 넓다. 또한, 중부 요철패턴(EC) 이후에는, 요철패턴이 구비되지 않는다.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2)의 하드코팅층(42)은, 제1 방향을 따라, 홈부들의 간격이 점차 커지게 되어, 요철의 밀도가 점차 감소되는 밀도 기울기를 가진다. 요철의 밀도의 감소는, 연속적일 수도 있고, 단계적일 수도 있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3)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A-A'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20는 도 18의 B-B'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21은 도 18의 C-C'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22는 도 18의 D-D'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이하에서는,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3)와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0)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고, 동일한 구성요소 및 동일한 구조 등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3)의 하드코팅층(43)은, 요철패턴(E2)이 불균일하게 형성되는 점에서,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0)의 하드코팅층(40)과 차이가 있다.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0)의 하드코팅층(40)은 요철패턴(E)이 균일하게 형성된다.
하드코팅층(43)의 불균일 요철패턴(E2)은, 블라스팅법을 통해 불균일한 전사패턴을 가진 금형 내에 반경화 상태의 프리-하드코팅층을 가진 피전사 필름, 즉, 프리-수지필름을 배치시키고, 진공 성형 등의 방법을 통해, 불균일 전사패턴을 하드코팅층에 전사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4)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A-A'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25는 도 23의 B-B'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26은 도 23의 C-C'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27은 도 23의 D-D'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이하에서는,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4)와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2)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고, 동일한 구성요소 및 동일한 구조 등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3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4)의 하드코팅층(44)은, 중부 요철패턴(EC) 이후에, 중부 요철패턴(EC)에 비해 홈부들의 간격이 더 넓은 하부 요철패턴(EL)이 구비된 점에서,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2)의 하드코팅층(42)과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요철패턴(EU)이 중부 요철패턴(EC)에 비해 홈부들의 간격이 촘촘하며, 중부 요철패턴(EC)이 하부 요철패턴(EL)에 비해 홈부들의 간격이 촘촘하다.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4)는, 투광영역(DR) 전부가, 제1 방향을 따라 요철의 밀도가 점차 감소되는 밀도 기울기를 가진다. 요철의 밀도의 감소는, 연속적일 수도 있고, 단계적일 수도 있다.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4)는, 투광영역(DR) 전부가, 제1 방향을 따라 평균 헤이즈 값이 감소되는 헤이즈 기울기를 가진다. 평균 헤이즈 값의 감소는, 연속적일 수도 있고, 단계적일 수도 있다.
도 2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5)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A-A'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30은 도 29의 B-B'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다.
이하에서는,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0)와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5)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고, 동일한 구성요소 및 동일한 구조 등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05)는, 수지 성형품(10)과 수지 성형품(10)에 인서트된 수지필름(IF)을 포함한다. 수지필름(IF)은, 베이스 필름(20), 차광층(30) 및 하드코팅층(40)을 포함한다.
차광층(30)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베이스 필름(2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드코팅층(40)은, 베이스 필름(20)의 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타면은 일면의 반대면으로, 도면 상, 베이스 필름(20)의 일면은 베이스 필름(20)의 상부면에 해당되고, 베이스 필름(20)의 타면은 베이스 필름(20)의 하부면에 해당된다. 차광층(30)이 배치되지 않은 베이스 필름(20)의 중앙 영역에서는, 베이스 필름(20) 상에 수지 성형품(10)이 직접 배치될 수 있으며, 차광층(30)이 배치된 베이스 필름(20)의 중앙 영역의 외곽 영역 상에는, 차광층(30)이, 베이스 필름(20)과 수지 성형품(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수지필름(IF)은, 투광영역(DR)에 대응되는 제1 파트와 차광영역(NDR)에 대응되는 제2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는, 베이스 필름(20)과, 베이스 필름(20) 상에 직접 배치된 하드코팅층(40)을 포함하는 제1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파트는, 베이스 필름(20)이 차광층(30)과 하드코팅층(40)의 사이에 배치된, 제2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베이스 필름(20)이 복층 필름인 경우, 베이스 필름(20)은, 제1 수지로 구성된 제1 층(21)과 제1 수지에 비해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제2 수지로 구성된 제2 층(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층(22)은 제1 층(21)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트는, 제2 층(22)의 일면 상에 직접 배치된 하드코팅층(40)을 포함하는 제1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파트는, 제1 층(21)의 타면 상에 직접 배치된 차광층(30)을 포함하는 제2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파트는, 제1 층(21)의 타면 상에 직접 배치된 차광층(30)과 제2 층(22)의 일면 상에 직접 배치된 하드코팅층(40)을 포함하는 제2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면 상, 제1 층(21)의 일면은 제1 층(21)의 상부면에 해당되고, 제1 층(21)의 타면은 제1 층(21)의 하부면에 해당된다. 제2 층(22)의 일면은 제2 층(22)의 상부면에 해당되고, 제2 층(22)의 타면은 제2 층(22)의 하부면에 해당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실시예에 게시된 내용들을 조합하여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101, 102, 103, 104, 105: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DR: 투광영역
NDR: 차광영역
E : 요철패턴
10: 수지 성형품
IF: 수지필름
20: 베이스 필름
30: 차광층
40, 41, 42, 43, 44: 하드코팅층

Claims (12)

  1. 투광영역; 및
    상기 투광영역에 비해 평균 헤이즈 값이 낮으며, 상기 투광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차광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이며,
    상기 커버 윈도우는, 수지 성형품과 상기 수지 성형품에 인서트된 수지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투광영역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에 비해 상기 평균 헤이즈 값이 높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평균 헤이즈 값이 제1 방향을 따라 감소되는 헤이즈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제1 방향이, 중력 방향인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영역과 상기 차광영역 중, 상기 투광영역에만 요철패턴이 포함된,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에만 요철패턴이 포함된,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패턴은, 요철의 밀도가 중력방향을 따라 감소되는 밀도 기울기를 가진,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영역은, 상기 평균 헤이즈 값이 1% 이상이고 30% 이하이고,
    상기 차광영역은, 상기 평균 헤이즈 값이 0% 이상이고 1% 미만인,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성형품은, 제1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수지필름은, 상기 수지 성형품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수지로 구성된 제1 층과, 상기 제1 수지에 비해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제2 수지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층 상에 배치된 제2 층의 공압출 복층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이고,
    상기 제2 수지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인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필름은, 상기 투광영역에 대응되는 제1 파트와 상기 차광영역에 대응되는 제2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파트는, 하드코팅층이 상기 제2 층 상에 직접 배치되며,
    상기 제2 파트는, 차광층이 상기 제2 층 상에 직접 배치된,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수지로 구성되며,
    상기 차광층은,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차광재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KR1020170105227A 2017-08-21 2017-08-21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KR102160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227A KR102160760B1 (ko) 2017-08-21 2017-08-21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227A KR102160760B1 (ko) 2017-08-21 2017-08-21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371A KR20190020371A (ko) 2019-03-04
KR102160760B1 true KR102160760B1 (ko) 2020-09-28

Family

ID=6576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227A KR102160760B1 (ko) 2017-08-21 2017-08-21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7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519B1 (ko) * 2019-09-24 2021-08-18 주식회사 서연이화 윈도우용 플라스틱 글라스의 제조방법
KR102363856B1 (ko) * 2019-09-24 2022-02-17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6832A (ja) * 2001-07-17 2003-01-29 Lintec Corp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1871A (ko) * 2011-02-10 2012-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6832A (ja) * 2001-07-17 2003-01-29 Lintec Corp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371A (ko) 201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842B1 (ko)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10139545B2 (en) Front light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thereof
US20090256993A1 (en) Light diffuser plate with light-collecting layer
US8837046B2 (en) Projection screen and projection system thereof
KR102309921B1 (ko) 표시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광학 필름
KR102160760B1 (ko)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US11360336B2 (en) Privacy protection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3203949A (zh) 一种显示器及其贴合方法
KR102404740B1 (ko)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2379475A (zh) 显示增效膜和显示装置
CN112820200A (zh) 盖板及显示装置
CN103192583A (zh) 一种显示器及其贴合方法
KR102067160B1 (ko) 색 개선 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996478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structure
US20090180053A1 (en) Optical plate, display device having the optical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ptical plate
US10754083B2 (en) Optical sheet for backlight unit and backlight unit
WO2018145031A1 (en) Lateral migration mitigation in tir-based image displays
US9612388B2 (en) Front light guide module and electrophoresis display having the same
JP6669542B2 (ja) 積層フロント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04505A (ko) 광 제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표시 장치
CN213780418U (zh) 显示增效膜和显示装置
KR102160762B1 (ko)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44296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판상 광학 부재
KR102355828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102140488B1 (ko) 기능성 광학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