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756B1 -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756B1
KR102512756B1 KR1020160055573A KR20160055573A KR102512756B1 KR 102512756 B1 KR102512756 B1 KR 102512756B1 KR 1020160055573 A KR1020160055573 A KR 1020160055573A KR 20160055573 A KR20160055573 A KR 20160055573A KR 102512756 B1 KR102512756 B1 KR 102512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layer
disposed
window member
connection surfac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6067A (ko
Inventor
김영관
김정환
문상은
박미소
홍정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5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756B1/ko
Priority to US15/358,165 priority patent/US10854840B2/en
Priority to CN201710070839.6A priority patent/CN107346638B/zh
Publication of KR20170126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Holding-devices for protective discs or for picture mas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윈도우 부재는 바닥면, 상부면 및 바닥면과 상부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 및 연결면 상에 배치된 차단층을 포함한다. 윈도우 부재의 차단층은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여 표시 장치 제조에 있어서 접착 부재의 넘침을 제어하고 부분적인 접착 부재의 선경화를 차단하여 균일한 접착 부재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WINDOW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차단층을 갖는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스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전계 효과 표시 장치(Field Effect Display device: FED),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 등을 보호하는 윈도우를 포함한다. 윈도우는 투명 광학 접착 부재 등에 의하여 표시 패널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엣지 부분을 투과하여 접착 부재로 제공되는 자외선 광을 차단하는 윈도우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패널과 윈도우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접착부재에 직접 조사되는 자외선 광을 차단하여 개선된 접착 물성을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에서 윈도우 부재를 통하여 미경화된 접착 레진으로 공급되는 자외선 광을 차단하여 접착 부재의 부분적인 선경화를 방지하여 외관 품질이 개선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과 대향하는 상부면, 및 상기 바닥면과 상기 상부면 사이에 배치된 연결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 및 상기 연결면 상에 배치된 차단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차단층은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 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살리실산계, 살리실레이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시너메이트계, 옥사닐라이드계, 폴리스틸렌계, 아조메틴계, 트리아진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차단층은 300nm 이상 400nm 이하 파장 영역의 광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연결면은 적어도 하나의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면은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고 제1 곡률을 갖는 제1 서브 연결면; 및 상기 제1 서브 연결면과 상기 상부면 사이에 배치되고, 제2 곡률을 갖는 제2 서브 연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층은 상기 제1 서브 연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곡률과 상기 제2 곡률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2 곡률이 상기 제1 곡률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상기 연결면은 상기 제1 서브 연결면과 상기 제2 서브 연결면 사이에 제3 서브 연결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층은 실리카 및 이산화티타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 영역 상에 배치되는 차광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층은 상기 차광층의 일측면과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층은 상기 상부면 및 상기 바닥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상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윈도우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윈도우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과 대향하는 상부면 및 상기 바닥면과 상기 상부면 사이에 배치된 연결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 및 상기 연결면 상에 배치된 차단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층은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 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살리실산계, 살리실레이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시너메이트계, 옥사닐라이드계, 폴리스틸렌계, 아조메틴계, 트리아진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층은 300nm 이상 400nm 이하 파장 영역의 광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차단층은 실리카 및 이산화티타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 영역 상에 배치되는 차광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층은 상기 차광층의 일측면에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접착 부재 사이에 광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광학 부재의 측면을 감싸고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부재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차단층을 포함하여, 윈도우 엣지 부분으로 투과되는 자외선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차단층을 갖는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여, 윈도우 엣지 부분으로 투과되어 접착 부재로 전달되는 자외선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한 차단층을 포함하여 자외선 광이 미경화된 접착 부재의 일 부분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접착 부재의 선경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차단층을 갖는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여, 표시 패널 측면으로의 접착 부재의 넘침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에 대응하는 윈도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윈도우 부재 중 베이스 기판의 일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2의 윈도우 부재의 일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부재의 일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a, 도 6a, 도 7a 및 도 8a는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b, 도 6b, 도 7b 및 도 8b는 각각 도 5a, 도 6a, 도 7a 및 도 8a의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부재의 일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의 자외선 광의 진행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b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에서의 자외선 광의 진행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접착 레진의 넘침 현상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상에" 배치된다고 하는 것은 상부뿐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의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윈도우 부재(WP) 및 표시 패널(DP)과 윈도우 부재(WP)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AP)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DP)은 이미지를 생성하며, 윈도우 부재(WP)가 배치되는 전면으로 생성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생성된 이미지를 제1 방향축(DR1) 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DP)은 이미지가 표시되는 표시 영역(DA)과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표시 영역(DA)을 감싸고 표시 영역(DA)의 외곽에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NDA)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비표시 영역(NDA)이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DP)은 예를 들어,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MEMS 표시 패널(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display panel) 또는 일렉트로웨팅 표시 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등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플렉서블(flexible)한 것일 수 있다. “플렉서블”이란 휘어질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하며, 완전히 접히는 구조에서부터 수 나노미터 수준으로 휠 수 있는 구조까지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커브드(curved) 표시 패널 또는 폴더블(foldable)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DP)은 리지드(rigid)한 것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2 방향축(DR2) 및 제3 방향축(DR3)으로 정의되는 평면과 평행한 표시 패널(DP)의 평면이 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표시 패널(DP)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의 상부면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또는 표시 패널(DP)은 일 부분에서만 곡선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패널(DP)은 평면 영역과 곡면 영역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영역은 제2 방향축(DR2) 및 제3 방향축(DR3)으로 정의되는 평면과 평행한 평탄부이고, 곡면 영역은 평탄부로부터 벤딩된 벤딩부일 수 있다. 즉, 곡면 영역은 평면 영역의 엣지로부터 벤딩된 부분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평면 영역의 일측에서 벤딩된 하나의 곡면 영역을 가지거나 또는 평면 영역의 엣지에서 벤딩된 2개의 곡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곡면 영역은 평면 영역의 가장자리에 모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DP) 상에는 접착 부재(AP)가 배치될 수 있다. 접착 부재(AP)는 표시 패널(DP)과 윈도우 부재(WP)를 결합시키는 것일 수 있다. 접착 부재(AP)는 광학 투명 접착층일 수 있다.
광학 투명 접착층인 접착 부재(AP)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또는 OCR(optical clear resin)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CA인 광학 투명 접착층은 양면 테이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OCR은 액상의 접착 레진 형태로 표시 패널(DP)과 윈도우 부재(WP) 사이에 제공되고 이후 추가되는 자외선 경화 공정을 통하여 고정된 접착 부재(AP)의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접착 부재(AP)는 아크릴 점착제, 실리콘 접착제, 우레탄 접착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접착 부재(AP)는 액상의 접착 레진이 열경화 또는 광경화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AP)를 이루는 접착 레진은 미경화된 가교 반응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접착 레진은 자외선 광에 의하여 사후 경화될 수 있는 물질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레진은 미경화된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미경화된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는 가교반응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미반응된 가교반응기는 이후 가교 반응을 일으켜 접착 레진의 가교도를 높일 수 있다. 가교반응기는 열경화 또는 광경화될 수 있는 반응기일 수 있다. 또한, 접착 레진은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개시제는 열 개시제 또는 광개시제일 수 있다. 개시제는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의 추가 중합반응을 유도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접착 부재(AP)를 표시 패널(DP) 및 윈도우 부재(WP)와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에서 접착 부재(AP)는 윈도우 부재(WP) 및 표시 패널(DP)과 결합된 상태로 배치된다. 즉, 표시 장치(DD)에서 윈도우 부재(WP)와 표시 패널(DP)은 접착 부재(AP)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배치되어 접착 부재(AP)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분리된 접착 부재(AP)가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착 레진은 액상 형태로 서로 마주하는 표시 패널(DP)과 윈도우 부재(WP) 사이에 제공될 수 있으므로 접착 레진이 경화되어 형성된 접착 부재(AP)는 마주하는 표시 패널(DP) 또는 윈도우 부재(WP)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접착 부재(AP)는 서로 마주하는 표시 패널(DP) 및 윈도우 부재(WP) 평면의 굴곡 형상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접착 부재(AP)는 표시 패널(DP)과 윈도우 부재(WP)가 중첩하는 부분을 벗어나 외곽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 부재(AP)의 측면은 평면이 아닌 곡면일 수 있다. 또한, 접착 부재(AP)는 표시 패널(DP)에 인접한 접착 부재(AP)의 하부면에서 윈도우 부재(WP)에 인접한 접착 부재(AP)의 상부면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접착 부재(AP)의 측면은 랜덤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 부재(WP)는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P)는 베이스기판(WB)과 차단층(BL)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층(BL)은 베이스 기판(WB)의 엣지 부분에 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단층(BL)은 베이스 기판(WB)의 측면을 감싸고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P)는 표시 패널(DP)의 전면을 커버하고 배치되어 표시 패널(DP)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으로 노출되는 윈도우 부재(WP)의 면적은 윈도우 부재(WP)와 마주하는 표시 패널(DP)의 상부면의 면적보다 넓은 것일 수 있다.
윈도우 부재(WP)의 베이스 기판(WB)은 유리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기판(WB)은 강화 유리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베이스 기판(WB)은 가요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의 베이스 기판(WB)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naphthalate), 폴리염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polyvinylidene difluoride), 폴리스티렌(polystyrene),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thylene vinylalcohol copolymer)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윈도우 부재(WP)의 베이스 기판(WB)으로 알려진 일반적인 형태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윈도우 부재(WP)는 베이스 기판(WB) 상에 제공되는 기능성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성층(미도시)은 하드코팅층, 지문 방지 코팅층 등일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윈도우 부재(WP)는 베이스 기판(WB)의 외곽을 감싸고 배치되는 프레임(미도시)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프레임(미도시)은 베이스 기판(WB)의 측면을 에워싸고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미도시)은 차단층(BL)을 감싸고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을 수납하는 하우징(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미도시)은 표시 패널(DP)을 수납하며, 윈도우 부재(WP)는 표시 패널(DP)의 전면을 커버하면서 하우징(미도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미도시)은 표시 패널(DP)과 윈도우 부재(WP)를 모두 수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부재(WP)에 대하여는 이하 도 2 내지 도 4b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Ⅰ-Ⅰ`에 대응하는 윈도우 부재(WP)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윈도우 부재(WP)에서 베이스 기판(WB)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부재(WP)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a는 도 2의 "DA"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일 수 있다.
윈도우 부재(WP)는 베이스 기판(WB) 및 차단층(BL)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WB)은 바닥면(BS), 바닥면(BS)과 대향하는 상부면(TS), 및 바닥면(BS)과 상부면(TS) 사이에 배치된 연결면(CS)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면(CS)은 바닥면(BS)과 상부면(TS)을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바닥면(BS)과 상부면(TS)은 서로 평행한 것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WB)의 연결면(CS)은 곡면일 수 있다. 연결면(CS)은 적어도 하나의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면(CS)은 곡면부와 평면부 모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면(CS)은 복수의 평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WB)의 연결면(CS)은 바닥면(BS)에서 연장되는 제1 서브 연결면(CS-1)과 상부면(TS) 및 제1 서브 연결면(CS-1)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서브 연결면(C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연결면(CS-1)은 제1 곡률을 갖는 곡면이고, 제2 서브 연결면(CS-2)은 제2 곡률을 갖는 곡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면(BS)에 수직한 베이스 기판(WB)의 단면에서 제1 서브 연결면(CS-1)은 제1 곡률 반지름(R1)을 갖는 원주의 일부일 수 있으며, 제2 서브 연결면(CS-2)은 제2 곡률 반지름(R2)을 갖는 원주의 일부일 수 있다. 이때, 제1 곡률 반지름(R1) 및 제2 곡률 반지름(R2)을 갖는 원주들의 곡률 중심들은 모두 베이스 기판(WB)의 내부에 있을 수 있다.
제1 곡률과 제2 곡률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제2 곡률은 제1 곡률 보다 클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곡률이 제2 곡률 보다 클 수 있다. 또는 도 3의 도시와 달리 일 실시예에서 제1 곡률과 제2 곡률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서브 연결면(CS-1)과 제2 서브 연결면(CS-2) 중 적어도 하나는 타원주의 일부분일 수 있다.
윈도우 부재(WP)는 베이스 기판(WB)의 바닥면(BS) 상에 배치된 차광층(BM)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층(BM)은 베이스 기판(WB)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차광층(BM)은 베이스 기판(WB) 바닥면(BS)의 외곽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차광층(BM)은 블랙인쇄층 또는 화이트인쇄층일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단층(BL)은 연결면(C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층(BL)은 연결면(CS)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차단층(BL)은 연결면(CS)과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4a의 일 실시예에서 차단층(BL)은 연결면(CS) 전체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윈도우 부재(WP)에서 차단층(BL)은 베이스 기판의 연결면(CS)인 베이스 기판(WB)의 엣지 부분을 감싸고 배치될 수 있다.
도 4b의 일 실시예에서 차단층(BL)은 연결면(CS)의 일부분과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4b에서 차단층(BL)은 제1 곡률을 갖는 제1 서브 연결면(CS-1) 상에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차단층(BL)은 제2 서브 연결면(CS-2)의 일부 및 제1 서브 연결면(C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차단층(BL)은 바닥면(BS)에 배치된 차광층(BM)과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차단층(BL)의 일측면은 차광층(BM)의 일측면과 맞닿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차광층(BM)으로 커버되지 않은 베이스 기판(WB)의 연결면(CS)은 차단층(BL)을 포함하여 외부에서 베이스 기판(WB) 내부로 제공되는 자외선 광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b에서는 차광층(BM)과 차단층(BL)이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차단층(BL)의 두께는 차광층(BM) 두께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부재(WP)에서 차단층(BL)은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차단층(BL)은 자외선 흡수제로 벤조트리아졸계(benzotriazol), 벤조페논계(benzophenone), 살리실산계(salicylic acid), 살리실레이트계(salicylate),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cyanoacrylate), 시너메이트계(cinnamate), 옥사닐라이드계(oxanilide), 폴리스틸렌계(polystyrene), 아조메틴계(azomethine), 트리아진계(triazine)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자외선 흡수제에서 ~계 화합물은 예시된 화합물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은 벤조트리아졸 또는 벤조트리아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차단층(BL)은 자외선 흡수제를 이용하여 연결면(CS)으로 입사되는 자외선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차단층(BL)의 자외선 흡수제는 차단층(BL)의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연결면(CS)을 통하여 입사되는 자외선 광을 흡수할 수 있다. 즉, 윈도우 부재(WP)의 외부에서 입사되는 자외선 광은 차단층(BL)의 자외선 흡수제에 흡수되어 차단될 수 있다.
차단층(BL)은 200nm 이상 420nm 이하 파장 영역의 자외선 광을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층(BL)은 300nm 이상 400nm 이하 파장 영역의 자외선 광을 흡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 부재(WP)의 차단층(BL)은 200nm 이상 420nm 이하 파장 영역의 자외선 광을 95% 이상 흡수할 수 있다.
흡수되는 자외선 광의 파장 영역은 차단층(BL)에 포함되는 자외선 흡수제의 종류 및 자외선 흡수제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는 300nm 이상 385nm 이하의 자외선 광을 흡수할 수 있다.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는 300nm 이상 380nm 이하의 자외선 광을 흡수하고,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는 260nm 이상 340nm 이하의 자외선 광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층(BL)은 차단하고자 하는 자외선 광의 파장 영역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자외선 흡수제를 혼합하여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단층(BL)은 1㎛ 이상 20㎛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차단층(BL)의 두께가 1㎛ 보다 작은 경우 자외선 차단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차단층(BL)의 두께가 20㎛ 보다 두꺼울 경우 차단층(BL)의 투명도가 저하될 수 있다.
차단층(BL)은 무기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기 입자는 차단층(BL)의 투과율을 조절하기 위한 첨가제일 수 있다. 무기 입자는 무정형 나노 입자일 수 있으며, 무기 입자의 평균 직경은 5nm 이상 50nm 이하일 수 있다. 무기 입자는 실리카(silica) 또는 이산화티타늄(TiO2)일 수 있다. 차단층(BL)은 실리카 및 이산화티타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층(BL)은 무기 입자로 퓸드 실리카(fumed silica)의 종류인 에어로실(Aerosil)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 입자는 차단층(BL)으로 입사되는 빛의 투과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무기 입자는 차단층(BL)을 이루는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로 인하여 차단층(BL)으로 입사되는 광을 산란시켜 차단층(BL)의 투과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무기 입자를 포함하는 차단층(BL)의 광 투과율은 0% 초과 80%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차단층(BL)은 자외선 흡수제가 자외선 광을 흡수하며 무기 입자에 의하여 광 투과율이 저하되도록 하여 베이스 기판(WB)의 내부로 전달되는 자외선 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차단층(BL)은 베이스 수지,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 입자는 베이스 수지에 분산되어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 수지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자외선 흡수제와 무기 입자를 분산시킬 수 있는 베이스 수지는 제한 없이 차단층(BL)에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 수지,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 입자가 혼합된 액상 레진은 베이스 기판(WB)에 코팅하여 제공되고, 이후 별도의 경화 공정에 의하여 고상으로 변형되어 차단층(BL)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차단층(BL)은 액상의 레진을 이용하여 필름 형태로 미리 제조한 후 베이스 기판(WB)에 합착 공정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차단층(BL)을 형성하는 레진은 베이스 수지, 자외선 흡수제, 무기 입자, 개시제 및 아로마틱 계열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수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이고,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트리아졸 및 벤조페논일 수 있다. 또한, 무기 입자는 에어로실과 이산화티타늄일 수 있다. 또한, 개시제는 광 개시제이고 모노머는 PHEA(2-phenoxy ethyl acrylate) 또는 스타이렌(styrene)일 수 있다.
차단층(BL)을 형성하는 레진은 베이스 수지 100을 기준으로 중량비로 자외선 흡수제를 0phr 초과 0.5phr(parts per hundred resin) 이하로 포함하고, 무기 입자는 4phr 이상 5phr 이하, 광 개시제는 2phr 이상 2.5phr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로마틱계열의 모노머는 0phr 초과 0.5phr 이하의 함량으로 차단층(BL)을 형성하는 레진에 포함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 입자를 포함하여 형성된 차단층(BL)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부재(WP)는 외부에서 윈도우 부재(WP) 측으로 제공되는 자외선 광을 흡수 또는 반사하여 베이스 기판(WB)을 통하여 유입되는 자외선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도 5a 내지 도 8b에 도시된 윈도우 부재에 대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4b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5a, 도 6a, 도 7a 및 도 8a는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부재(WP)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 도 6b, 도 7b 및 도 8b는 각각 도 5a, 도 6a, 도 7a 및 도 8a의 윈도우 부재(WP)의 일부분인 "DA"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부재(WP)에서 베이스 기판(WB)은 바닥면(BS)과 상부면(TS) 및 연결면(CS)을 포함한다. 도 5a는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으로 정의되는 평면과 평행한 윈도우 부재(WP)읠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부재(WP)에서 베이스 기판(WB)의 폭은 바닥면(BS)에서 상부면(TS)으로 갈수록 감소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도 5a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기판(WB)의 바닥면(BS)의 폭이 상부면(TS)의 폭 보다 넓은 것일 수 있다. 바닥면(BS)과 상부면(TS) 사이에 배치되어 바닥면(BS)과 상부면(TS)을 연결하는 연결면(CS)은 곡면일 수 있다. 도 5a로 표시되는 단면 상에서 곡면인 연결면(CS)은 원주의 일부 또는 타원주의 일부와 일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부재(WP)는 연결면(CS) 상에 배치된 차단층(BL)을 포함한다. 또한, 차단층(BL)은 바닥면(BS) 상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차단층(BL)은 베이스 기판(WB)의 연결면(CS)을 감싸고 바닥면(BS)의 일부분까지 배치될 수 있다. 차단층(BL)은 연결면(CS) 상에 배치된 측면 차단층(BL-C)과 바닥면(BS) 상에 배치된 바닥 차단층(BL-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면 차단층(BL-C)과 바닥 차단층(BL-B)은 구분되지 않고 일체로 연결면(CS) 및 바닥면(BS)의 일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바닥 차단층(BL-B)은 바닥면(BS)에 배치된 차광층(BM)의 일측면에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부재(WP)에서 베이스 기판(WB)은 바닥면(BS), 상부면(TS) 및 연결면(CS)을 포함한다. 또한, 윈도우 부재(WP)는 연결면(CS) 상에 배치된 차단층(BL)을 포함하다. 차단층(BL)은 연결면(CS) 상에 배치되며 또한 베이스 기판(WB)의 바닥면(BS)과 상부면(TS) 상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에서 베이스 기판(WB)은 바닥면(BS)과 상부면(TS) 및 연결면(CS)을 포함하고, 연결면(CS)은 적어도 하나의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연결면(CS)은 바닥면(BS)에 연결되는 제1 서브 연결면(CS-1), 상부면(TS)에서 연결되는 제2 서브 연결면(CS-2) 및 제1 서브 연결면(CS-1)과 제2 서브 연결면(CS-2)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서브 연결면(CS-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브 연결면(CS-1)과 제2 서브 연결면(CS-2)은 곡면일 수 있다. 제3 서브 연결면(CS-3)은 평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서브 연결면(CS-3)은 바닥면(BS) 또는 상부면(TS)에 수직하는 면일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서브 연결면(CS-1)과 제2 서브 연결면(CS-2)은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일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부재(WP)에서 차단층(BL)은 베이스 기판(WB)의 연결면(CS) 상에 배치되며, 연결면(CS)을 감싸고 바닥면(BS)과 상부면(TS) 상에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차단층(BL)은 바닥면(BS)의 가장자리 영역과 상부면(TS)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차단층(BL)은 상부면(TS)을 제외한 바닥면(BS)의 가장자리 영역과 연결면(C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층(BL)은 제1 서브 연결면(CS-1), 제2 서브 연결면(CS-2) 및 제3 서브 연결면(CS-3) 상에 각각 배치된 제1 차단층(BL-1), 제2 차단층(BL-2) 및 제3 차단층(BL-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단층(BL)은 바닥면(BS) 상에 배치된 바닥 차단층(BL-B) 및 상부면(TS) 상에 배치된 상부 차단층(BL-T)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연결면(CS) 상에 배치된 제1, 제2 및 제3 차단층(BL-1, BL-2, BL-3)과 바닥 차단층(BL-B) 및 상부 차단층(BL-T)은 서로 구분되지 않고 일체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바닥 차단층(BL-B)은 바닥면(BS)에 배치된 차광층(BM)의 일측면에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부재(WP)에서 베이스 기판(WB)은 바닥면(BS)과 상부면(TS) 및 연결면(CS)을 포함한다. 또한, 윈도우 부재(WP)는 연결면(CS) 상에 배치된 차단층(BL)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부재(WP)의 베이스 기판(WB)에서 바닥면(BS)과 상부면(TS)은 서로 평행하고, 연결면(CS)은 바닥면(BS) 또는 상부면(TS)에 수직한 평면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면(CS)은 바닥면(BS)에 대하여 경사를 갖는 경사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부재(WP)에서 차단층(BL)은 베이스 기판(WB)의 연결면(CS) 상에 배치되며, 연결면(CS)을 감싸고 바닥면(BS)과 상부면(TS) 상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차단층(BL)은 바닥면(BS)의 가장자리 영역과 상부면(TS)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차단층(BL)은 연결면(CS) 상에 배치된 측면 차단층(BL-C), 바닥면(BS) 상에 배치된 바닥 차단층(BL-B) 및 상부면(TS) 상에 배치된 상부 차단층(BL-T)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차단층(BL)은 상부면(TS)을 제외한 바닥면(BS)의 가장자리 영역과 연결면(C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바닥 차단층(BL-B)은 바닥면(BS)에 배치된 차광층(BM)의 일측면에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b에서 윈도우 부재(WP)는 베이스 기판(WB), 차단층(BL) 및 차광층(BM)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WB)은 바닥면(BS), 바닥면(BS)과 마주하는 상부면(TS) 및 바닥면(BS)과 상부면(TS)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면(CS)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부재(WP)에서 베이스 기판(WB)은 가장자리 부분이 벤딩된 기판일 수 있다. 즉, 베이스 기판(WB)의 상부면(TS)은 상부 평탄면(TS-F)과 상부 벤딩면(TS-C)을 포함하고, 바닥면(BS)은 바닥 평탄면(BS-F)과 바닥 벤딩면(BS-C)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벤딩면(TS-C)은 상부 평탄면(TS-F)의 엣지에서 벤딩된 것이고, 바닥 벤딩면(BS-C)은 바닥 평탄면(BS-F)의 엣지에서 벤딩된 것일 수 있다. 즉, 베이스 기판(WB)은 평탄부와 평탄부의 엣지 부분에서 벤딩된 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차단층(BL)은 연결면(C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차단층(BL)은 베이스 기판(WB)의 상부면(TS) 상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8a 내지 8b를 참조하면, 차단층(BL)은 연결면(CS)과 상부 벤딩면(TS-C)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b에서는 상부 차단층(BL-T)이 상부 벤딩면(TS-C) 전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차단층(BL-T)은 상부 벤딩면(TS-C)의 일부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8a 내지 도 8b의 도시에서 차단층(BL)은 바닥면(BS)에 배치된 차광층(BL)과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부재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차단층을 베이스 기판 상에 포함하여 외부에서 제공되는 자외선 광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부재를 표시 장치에 사용하여 표시 패널과 윈도우 부재의 합착 공정에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차단층은 윈도우 부재와 표시 패널의 합착 공정에서 외곽으로 노출된 접착 레진을 측면 경화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자외선 광이 윈도우 부재를 통하여 표시 패널과 윈도우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 광이 윈도우 부재를 통하여 부분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접착 부재의 경화 균일도를 높이고, 선경화에 의한 접착 부재의 불균일한 분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DD)의 단면을 나타낸 것일 수 있다. 이하 도 9의 표시 장치에 대한 설명에 대하여는 상술한 도 1의 표시 장치 및 도 2 내지 도 4b에서 설명한 윈도우 부재에 대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접착 부재(AP) 및 접착 부재(AP) 상에 배치된 윈도우 부재(WP)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부재(AP)는 표시 패널(DP)과 윈도우 부재(WP) 사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DP)과 윈도우 부재(WP)를 서로 결합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착 부재(AP)는 서로 마주하는 베이스 기판(WB)과 표시 패널(DP)의 봉지층(ECL) 사이에 배치되며 차광층(BM)의 일부를 감싸고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베이스 부재(SUB), 소자층(OEL) 및 봉지층(ECL)을 포함할 수 있다. 소자층(OEL)은 베이스 부재(SUB) 상에 배치되고, 봉지층(ECL)은 소자층(OEL)을 감싸고 베이스 부재(SUB) 및 소자층(OE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패널(DP)은 봉지층(ECL) 상에 배치된 광학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재(미도시)는 위상지연판 또는 편광판 등일 수 있다.
베이스 부재(SUB)는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기판인 베이스 부재(SUB)는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 FRP)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베이스 부재(SUB)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SUB) 상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licone nitride)층 또는 실리콘 옥사이드(silicone oxide)층이 제공될 수 있다.
소자층(OEL)은 표시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들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봉지층(ECL)은 소자층(OEL)을 보호하는 것일 수 있다. 봉지층(ECL)은 소자층(OEL)을 감싸고 배치되어 소자층(OEL)을 밀봉하는 것일 수 있다. 봉지층(ECL)은 예를 들어 박막 봉지층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봉지층(ECL)은 봉지기판으로 대체될 수 있다. 봉지기판은 소자층(OEL)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 부재(SUB)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봉지기판과 베이스 부재(SUB)의 테두리를 따라 실링제가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상에 터치 센싱 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싱 유닛(미도시)은 표시 패널(DP)과 윈도우 부재(W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센싱 유닛(미도시)과 표시 패널(DP) 사이에는 접착층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접착층에 의하여 터치 센싱 유닛(미도시)과 표시 패널(DP)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싱 유닛(미도시)은 별도의 접착층 없이, 표시 패널(DP)의 일부 구성 요소, 예를 들어, 봉지층(ECL) 상에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접착 부재를 사이에 두고 윈도우 부재와 표시 패널을 합착하는 공정이 제공될 수 있다. 접착 부재는 액상의 접착 레진으로 윈도우 부재의 바닥면에 제공되고, 접착 레진이 제공된 이후에 표시 패널이 접착 레진 상에 제공되어 합착될 수 있다. 소정의 압력이 합착된 윈도우 부재와 표시 패널에 제공되면 접착 레진은 표시 패널과 윈도우 부재 사이에서 확산되어 표시 패널과 윈도우 부재 사이의 갭을 채우게 된다. 이때, 윈도우 부재와 표시 패널 사이의 갭을 채우고 외부로 노출된 접착 레진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의 자외선 광이 제공된다. 제공된 자외선 광은 노출된 접착 레진을 경화시켜 레진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액상의 접착 레진은 별도의 공정을 이용하여 경화되며 경화 이후에 접착 부재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노출된 접착 레진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외선 광을 제공하여 노출된 접착 레진을 경화하는 공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a는 종래의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10b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광원(LD)은 표시 장치(DD´, DD)의 외부에서 표시 장치(DD´, DD) 측으로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것일 수 있다. 광원(LD)은 자외선 광을 제공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광원(LD)은 윈도우 부재(WP´)의 엣지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 내지 도 10b의 도시에서 광원(LD)은 표시 장치(DD', DD)의 하부에 배치되어 노출된 접착 부재(AP-O´, AP-O)에 자외선 광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광원(LD)은 350nm 이상 400nm 이하 파장 영역의 자외선 광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LD)의 중심 파장은 355nm 또는 385nm 일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종래의 표시 장치(DD´)는 자외선 광을 차단하는 차단층을 포함하지 않아, 차광층(BM´)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베이스 기판(WB)의 엣지 부분으로 외부 광원(LD)에서 공급되는 자외선 광이 투과될 수 있다. 도 10a에서는 광원(LD)에서 공급되는 자외선 광의 경로를 화살표로 도시하였다. 제공된 자외선 광의 일부는 노출된 접착 부재(AP-O´)를 경화하는 광원이 되며, 자외선 광의 일부는 베이스 기판(WB´)을 투과하여 베이스 기판(WB´)의 내부에서 반사된 이후에 베이스 기판(WB´)과 표시 패널(DP´)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AP´)로 제공되게 된다. 이때, 접착 부재(AP´)는 미경화된 상태의 접착 레진일 수 있다. 미경화된 접착 레진은 베이스 기판(WB´)의 내면에서 반사되어 공급된 자외선 광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경화되게 된다. 따라서, 부분적으로 경화된 접착 레진으로 인하여 최종적으로 경화된 접착 부재(AP´)의 경화도가 부분적으로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경화도의 차이에 따른 접착 부재(AP´)의 경화 얼룩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접착 레진이 충분히 확산되지 못한 상태에서 접착 레진의 경화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져 접착 부재가 윈도우 부재(WP´)와 표시 패널(DP´) 사이에서 균일하게 배치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비교하여 도 10b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에서 노출된 접착 레진을 경화하는 공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b에서 외부 광원(LD)에서 제공되는 자외선 광의 경로를 화살표로 나타내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윈도우 부재(WP)에 차단층(BL)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b의 도시를 참조하면, 차단층(BL)은 차광층(BL)과 이웃하여 배치되며, 베이스 기판(WB)의 측면을 감싸고 배치될 수 있다. 외부 광원(LD)에서 제공되는 자외선 광은 노출된 접착 부재(AP-O)에 일부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도 10a에서와 달리 도 10b의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에서는 자외선 광은 표시 패널(DP)과 윈도우 부재(WP) 사이에 제공되는 미경화된 접착 레진에 제공되지 않는다. 즉, 차단층(BL)은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여, 광원(LD)에서 제공되는 자외선 광을 흡수하거나 반사하여 베이스 기판(WB)을 통하여 접착 부재(AP) 측으로 제공되는 자외선 광을 차단함으로써 접착 레진이 선경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차단층(BL)은 300nm 이상 400nm 이하의 자외선 광을 흡수하여 중심 파장이 355nm 또는 385nm인 광원(LD)의 자외선 광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차단층(BL)을 포함하여, 접착 부재(AP)의 경화도를 균일하게 되고, 접착 레진의 충분한 도포 전에 선경화를 방지하여 접착 부재(AP)가 표시 패널(DP)과 윈도우 부재(WP) 사이에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차단층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와 차단층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의 표시 장치에서의 접착 부재를 구성하는 레진의 넘침 정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1에서 비교예 1과 비교예 2는 차단층을 포함하지 않는 표시 장치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는 차단층을 포함하는 경우의 표시 장치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의 그래프에서 "Gap"은 표시 패널과 윈도우 부재 사이의 간격을 나타니며, "Resin Overflow Level"은 미경화된 접착 레진의 넘침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비교예 1과 실시예 1은 노출된 레진을 경화하기 위한 광원에서 제공되는 자외선 광의 세기(intensity)가 200mW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비교예 2와 실시예 2는 자외선 광의 세기가 1500mW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를 비교하면 제공되는 자외선 광의 세기가 커질수록 레진 넘침 량(resin overflow level)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강도가 높은 자외선 광을 노출된 접착 레진에 제공하는 경우 접착 레진의 경화가 짧은 시간에 이루어져서 노출되는 접착 레진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것을 확인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과 실시예 1을 비교하면,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1에 비하여 레진 넘침 량이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서와 같이 윈도우 부재에 차단층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노출된 접착 레진을 경화하는 효율이 저하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와 실시예 2는 자외선 광의 세기가 비교예 1 및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커진 경우이다. 비교예 2의 경우 강한 세기의 자외선 광으로 인하여 윈도우 부재를 투과한 자외선 광이 접착 부재로 제공되어 선경화된 부분이 나타날 수 있다. 도 11의 그래프에서 "NA"로 표시된 부분은 선경화된 부분이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비교하여, 실시예 2는 동일한 간격(gap)에서도 선경사된 부분이 없이 레진 넘침 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의 결과를 참조할 때,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윈도우 부재의 베이스 기판의 연결면 상에 차단층을 포함하여, 베이스 기판을 투과하여 접착 부재로 제공되는 자외선 광을 차단함으로써 공정 조건 선택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레진 넘침 제어를 위하여 제공하는 자외선 광의 세기를 크게 하여도 표시 패널과 윈도우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가 선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자외선 광의 세기를 크게 하여 단시간에 레진 넘침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 레진의 흐름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윈도우 부재에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차단층을 포함하여 외부에서 윈도우 부재로 공급되는 자외선 광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제조 공정에서 윈도우 부재를 통하여 미경화된 접착 레진으로 공급되는 자외선 광을 차단하여 접착 부재의 부분적인 선경화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윈도우 부재 사이에 균일하게 배치되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여 표시 장치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 표시 장치 DP : 표시 패널
AP : 접착 부재 WP : 윈도우 부재
BL : 차단층 BM : 차광층

Claims (20)

  1. 바닥면, 상기 바닥면과 대향하는 상부면, 및 상기 바닥면과 상기 상부면 사이에 배치된 연결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
    상기 연결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상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며, 연장되어 배치된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상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차단층;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차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층은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층의 투광율은 상기 차광층의 투광율보다 큰 윈도우 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 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살리실산계, 살리실레이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시너메이트계, 옥사닐라이드계, 폴리스틸렌계, 아조메틴계, 트리아진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윈도우 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300nm 이상 400nm 이하 파장 영역의 광을 흡수하는 윈도우 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은 적어도 하나의 곡면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은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고 제1 곡률을 갖는 제1 서브 연결면; 및
    상기 제1 서브 연결면과 상기 상부면 사이에 배치되고, 제2 곡률을 갖는 제2 서브 연결면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상기 제1 서브 연결면 상에 배치된 윈도우 부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률과 상기 제2 곡률은 서로 다른 윈도우 부재.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곡률이 상기 제1 곡률보다 큰 윈도우 부재.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은 상기 제1 서브 연결면과 상기 제2 서브 연결면 사이에 제3 서브 연결면을 더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실리카(Silica) 및 이산화티타늄(TiO2)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인 윈도우 부재.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상기 차광층의 일측면과 이웃하여 배치되는 윈도우 부재.
  13. 삭제
  14.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윈도우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과 대향하는 상부면 및 상기 바닥면과 상기 상부면 사이에 배치된 연결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 및
    상기 연결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상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며, 연장되어 배치된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상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차단층;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차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층은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층의 투광율은 상기 차광층의 투광율보다 큰 표시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 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살리실산계, 살리실레이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시너메이트계, 옥사닐라이드계, 폴리스틸렌계, 아조메틴계, 트리아진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표시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300nm 이상 400nm 이하 파장 영역의 광을 흡수하는 표시 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실리카(Silica) 및 이산화티타늄(TiO2)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인 표시 장치.
  18. 삭제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상기 차광층의 일측면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표시 장치.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접착 부재 사이에 광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광학 부재의 측면을 감싸고 배치되는 표시 장치.
KR1020160055573A 2016-05-04 2016-05-04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12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573A KR102512756B1 (ko) 2016-05-04 2016-05-04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5/358,165 US10854840B2 (en) 2016-05-04 2016-11-22 Window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710070839.6A CN107346638B (zh) 2016-05-04 2017-02-09 窗构件和包括该窗构件的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573A KR102512756B1 (ko) 2016-05-04 2016-05-04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067A KR20170126067A (ko) 2017-11-16
KR102512756B1 true KR102512756B1 (ko) 2023-03-23

Family

ID=6024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573A KR102512756B1 (ko) 2016-05-04 2016-05-04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54840B2 (ko)
KR (1) KR102512756B1 (ko)
CN (1) CN1073466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72477A4 (en) * 2017-01-17 2020-10-07 Sekisui Chemical Co., Ltd. FILLING-BONDING MATERIAL, FILLING-BONDING MATERIAL EQUIPPED WITH A PROTECTIVE SHEET, LAMINATE BODY, OPTICAL DEVICE AND PROTECTIVE PANEL FOR OPTICAL DEVICE
KR102367971B1 (ko) * 2017-06-16 2022-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37591B1 (ko) 2018-04-25 2023-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N109920938B (zh) * 2019-03-26 2021-03-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oled显示装置
KR102635565B1 (ko) 2019-04-22 2024-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윈도우 부재 제조 방법, 및 상기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CN110144180B (zh) * 2019-04-29 2021-06-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面板黏合结构及面板黏合方法
KR20200133099A (ko) * 2019-05-17 2020-1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모듈,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00144172A (ko) * 2019-06-17 2020-12-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10025754A (ko) 2019-08-27 2021-03-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049326A (ko) * 2019-10-25 2021-05-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124991B1 (ko) * 2020-01-21 2020-06-19 주식회사 에스지글로벌 디스플레이패널용 시트
CN114188469B (zh) * 2021-12-03 2023-12-29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模组的制备方法和显示面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7976A (ja) * 2009-08-25 2011-03-10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2157A (ja) 2000-10-19 2002-05-09 Toshio Yokota 紫外線発光ステッカー
KR100446622B1 (ko) * 2002-01-10 2004-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리콘 광소자 및 이를 적용한 발광 디바이스 장치
US7036946B1 (en) * 2002-09-13 2006-05-02 Rockwell Collins, Inc. LCD backlight with UV light-emitting diodes and planar reactive element
KR100615998B1 (ko) 2003-11-05 2006-08-28 주식회사 효성 유브이 차단성 투명 폴리에스테르 용기의 제조방법 및 이방법으로 제조된 용기
JP2005181543A (ja) 2003-12-17 2005-07-07 Bridgestone Corp 反射防止フィルム
KR100745751B1 (ko) * 2005-04-20 2007-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발광 lcd
KR101023129B1 (ko) * 2008-07-25 2011-03-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258685B2 (en) * 2009-06-26 2012-09-04 Prysm, Inc. Multi-panel display screen having a supporting film layer
CN101996535A (zh) * 2009-08-25 2011-03-3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光学装置和电子设备
JP5647872B2 (ja) 2010-01-19 2015-01-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CN103748507B (zh) * 2011-08-25 2016-08-24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的制造方法
KR101880114B1 (ko) * 2012-02-08 2018-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903348B1 (ko) 2012-05-09 2018-10-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973779B1 (ko) 2012-11-19 2019-04-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975867B1 (ko) 2012-12-14 2019-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40090366A (ko) * 2013-01-08 2014-07-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1975490B1 (ko) 2013-02-18 2019-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093335B1 (ko) * 2013-03-12 2020-03-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포 장치, 이를 이용한 표시 기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표시 기판
KR102080132B1 (ko) 2013-03-20 2020-0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KR20140141924A (ko) * 2013-06-03 2014-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구조물 및 윈도우 구조물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50017819A (ko) 2013-08-07 2015-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174761B1 (ko) 2013-08-14 2020-1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69026B1 (ko) 2013-10-10 2016-10-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형 표시 장치의 윈도우 부재, 곡면형 표시 장치의 윈도우 부재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곡면형 표시 장치
KR101697487B1 (ko) 2013-11-26 2017-02-01 안성룡 글래스 합착장치
KR102207842B1 (ko) 2014-01-07 2021-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81910B1 (ko) 2014-06-26 2021-07-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7976A (ja) * 2009-08-25 2011-03-10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54840B2 (en) 2020-12-01
CN107346638A (zh) 2017-11-14
US20170324060A1 (en) 2017-11-09
CN107346638B (zh) 2022-04-29
KR20170126067A (ko) 201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2756B1 (ko)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016237B2 (en) Optical film for improving contrast ratio, polarizing plate including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US1026806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with lenticular lens pattern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US1000713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KR102512758B1 (ko) 표시 장치
KR101871573B1 (ko) 명암비 개선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640718B1 (ko) 액정표시장치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665263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TWI663065B (zh) 偏光板與包含其的液晶顯示器
TWI777073B (zh) 偏光板和包括偏光板的光學顯示器
KR101963006B1 (ko) 명암비 개선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11126031B2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US20190086729A1 (en) Light guide member,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665239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822701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63201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640715B1 (ko) 액정표시장치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11604308B2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JP6933005B2 (ja) 光学シート、映像源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KR102063203B1 (ko) 명암비 개선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TWI842058B (zh) 偏光板和包括偏光板的光學顯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