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615A -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615A
KR20210048615A KR1020190131829A KR20190131829A KR20210048615A KR 20210048615 A KR20210048615 A KR 20210048615A KR 1020190131829 A KR1020190131829 A KR 1020190131829A KR 20190131829 A KR20190131829 A KR 20190131829A KR 20210048615 A KR20210048615 A KR 20210048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curved
thickness
display panel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슬기
황정호
김예진
안철근
장의윤
최원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1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8615A/ko
Priority to US16/986,404 priority patent/US20210127517A1/en
Priority to CN202011100534.3A priority patent/CN112700717A/zh
Publication of KR20210048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6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04M1/0269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mounted in a fixed curved configuration, e.g. display curved around the edges of the telephon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장치는 윈도우, 표시패널 및 접착 수지층을 포함한다. 윈도우는 전면부 및 전면부로부터 연장되고 곡률을 갖고 밴딩되는 곡면부를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윈도우에 결합되고, 전면부에 대응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곡면부에 대응하여 제2 영역을 포함한다. 접착 수지층은 윈도우와 표시패널 사이에 개재되어 표시패널을 윈도우의 후면에 고정시킨다. 접착 수지층은 전면부에 대응하는 제1 접착부 및 곡면부에 대응하는 제2 접착부를 포함하고, 제2 접착부의 두께는 제1 접착부의 제1 두께와 상이하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곡면영역을 갖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내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표시장치들의 입력장치로써 키보드, 마우스 또는 리모컨 등을 포함한다. 또한, 표시장치들은 입력장치로써 터치패널을 구비한다.
최근에는 밴딩형 표시장치, 곡면형 표시장치, 폴더블 표시장치, 및 롤러블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곡면 영역에서의 접착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윈도우, 표시패널 및 접착 수지층을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로부터 연장되고 곡률을 갖고 밴딩되는 곡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윈도우에 결합되고, 상기 전면부에 대응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곡면부에 대응하여 제2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 수지층은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윈도우의 후면에 고정시킨다.
상기 접착 수지층은 상기 전면부에 대응하는 제1 접착부 및 상기 곡면부에 대응하는 제2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착부의 두께는 상기 제1 접착부의 제1 두께와 상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윈도우, 표시패널 및 접착 수지층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윈도우에 결합되고,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 수지층은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윈도우의 후면에 고정시킨다.
상기 접착 수지층은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1 접착부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2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수지층의 상기 제1 접착부와 상기 제2 접착부는 서로 다른 모듈러스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표시패널 상에 접착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로부터 밴딩된 곡면부를 갖는 윈도우를 상기 표시패널과 대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접착 수지층을 통해 상기 윈도우의 후면에 상기 표시패널을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 수지층을 상기 표시패널 상에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접착 수지층은 상기 전면부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패널의 제1 영역 상에 제1 두께로 도포되고, 상기 곡면부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패널의 제2 영역 상에 상기 제1 두께와 다른 두께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접착 수지층은 윈도우의 전면부에 제공되는 제1 접착부와 윈도우의 곡면부에 제공되는 제2 접착부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접착부의 두께를 서로 상이하게 형성함으로써, 윈도우의 곡면부와 결합되는 표시 패널의 밴딩 부분에서 발생하는 본딩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접착부가 제1 접착부보다 큰 모듈러스를 가짐으로써, 표시 패널의 밴딩 부분에서의 밴딩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윈도우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A1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c는 도 1a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1b에 도시된 절단선 I-I'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1b에 도시된 절단선 Ⅱ-Ⅱ'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윈도우와 표시패널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수지 물질의 분사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수지 물질의 분사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폴더블 표시장치의 인-폴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폴더블 표시장치의 아웃-폴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7a에 도시된 절단선 Ⅲ-Ⅲ`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폴더블 표시장치의 아웃-폴딩 상태를 나타내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a에 도시된 접착 수지층의 형성 과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표시장치(DD)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윈도우(WM)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1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2c는 도 1a에 도시된 표시장치(DD)의 측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는 표시장치(DD)가 스마트폰인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표시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휴대 전화, 태블릿, 자동차 내비게이션, 게임기, 또는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은 중소형 전자장치 등 일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표시면(DS)을 통해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윈도우(WM), 표시패널(DP), 접착 수지층(ARL) 및 하우징(HU)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M)는 표시패널(DP)의 상면을 보호한다. 윈도우(WM)는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패널(DP)에 표시된 영상은 윈도우(WM)를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즉, 표시장치(DD)의 표시면(DS)은 윈도우(WM)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윈도우(WM)는 유리, 플라스틱, 또는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b,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윈도우(WM)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면을 포함하는 곡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윈도우(WM)는 전면부(FS), 제1 곡면부(CS1), 제2 곡면부(CS2), 제3 곡면부(CS3) 및 제4 곡면부(CS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면부(FS), 제1 곡면부(CS1), 제2 곡면부(CS2), 제3 곡면부(CS3) 및 제4 곡면부(CS4)는 영상 또는 광을 투과하는 투과부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면부(FS)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서 정의된 평면일 수 있다. 전면부(FS)는 제3 방향(DR3)에 수직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곡면부(CS1~CS4) 각각은 전면부(FS)로부터 절곡된다.
제1 곡면부(CS1) 및 제2 곡면부(CS2) 각각은 전면부(FS)로부터 밴딩된다. 제1 및 제2 곡면부(CS1, CS2)는 전면부(FS)의 제1 및 제2 측으로부터 각각 밴딩될 수 있다. 전면부(FS)의 제1 및 제2 측은 제2 방향(DR2)과 나란할 수 있다. 제1 곡면부(CS1)와 제2 곡면부(CS2)는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곡면부(CS3) 및 제4 곡면부(CS4) 각각은 전면부(FS)로부터 밴딩된다. 특히, 제3 및 제4 곡면부(CS3, CS4)는 전면부(FS)의 제3 및 제4 측으로부터 각각 밴딩될 수 있다. 전면부(FS)의 제3 및 제4 측은 제1 방향(DR1)과 나란할 수 있다. 제3 곡면부(CS3)와 제4 곡면부(CS4)는 제1 방향(DR1)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곡면부(CS1~CS4)는 전면부(FS)로부터 소정의 곡률로 밴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내지 제4 곡면부(CS1~CS4)는 서로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제1 및 제2 곡면부(CS1, CS2)는 서로 동일한 곡률을 갖고, 제3 및 제4 곡면부(CS3, CS4)는 서로 동일한 곡률을 갖되, 제1 및 제2 곡면부(CS1, CS2)는 제3 및 제4 곡면부(CS3, CS4)와 다른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WM)는 적어도 하나의 복곡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윈도우(WM)는 제1 복곡면부(DCS1), 제2 복곡면부(DCS2), 제3 복곡면부(DCS3) 및 제4 복곡면부(DCS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복곡면부(DCS1~DCS4) 각각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복곡면부(DCS1~DCS4) 각각은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곡면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복곡면부(DCS1)는 제1 곡면부(CS1)와 제3 곡면부(CS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및 제3 곡면부(CS1, CS3)를 연결한다. 제2 복곡면부(DCS2)는 제2 곡면부(CS2)과 제3 곡면부(CS3) 사이에 배치되어 제2 곡면부(CS2)와 제3 곡면부(CS3)를 연결한다. 제3 복곡면부(DCS3)는 제1 곡면부(CS1)과 제4 곡면부(CS4)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및 제4 곡면부(CS1, CS4)을 연결한다. 제4 복곡면부(DCS4)은 제2 곡면부(CS2)와 제4 곡면부(CS4) 사이에 배치되어 제2 및 제4 곡면부(CS2, CS4)를 연결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복곡면부(DCS1~DCS4) 각각은 영상 또는 광을 투과하지 않는 비투과부로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WM)는 제1 내지 제4 복곡면부(DCS1~DCS4)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차광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복곡면부(DCS1~DCS4) 각각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2b를 참조하여 제4 복곡면부(DCS4)의 구조를 설명하고, 나머지 복곡면부(DCS1~DCS3)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 복곡면부(DCS4)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대해 45°각도로 기울어지고, 제4 복곡면부(DCS4)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분리되는 제1 서브 복곡면(DCS4-1) 및 제2 서브 복곡면(DCS4-2)을 포함한다. 제1 서브 복곡면(DCS4-1)은 제4 곡면부(CS4)에 연결되고, 제2 서브 복곡면(DCS4-2)은 제2 곡면부(CS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서브 복곡면(DCS4-1)은 중심축(AX)으로부터 제4 곡면부(CS4) 측으로 진행할수록 곡률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서브 복곡면(DCS4-2)은 중심축(AX)으로부터 제2 곡면부(CS2) 측으로 진행할수록 곡률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1b를 참조하면, 표시패널(DP)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표시부는 메인 표시부(MDA), 제1 서브 표시부(SDA1), 제2 서브 표시부(SDA2), 제3 서브 표시부(SDA3) 및 제4 서브 표시부(SDA4)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표시부(MDA)는 윈도우(WM)의 전면부(FS)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전면부(FS)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서브 표시부(SDA1, SDA2)는 메인 표시부(MDA)의 제1 및 제2 측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고, 윈도우(WM)의 제1 및 제2 곡면부(CS1, CS2)와 각각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표시부(MDA)의 제1 및 제2 측은 제2 방향(DR2)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1 및 제2 서브 표시부(SDA1, SDA2)는 메인 표시부(MDA)의 제1 및 제2 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서브 표시부(SDA1, SDA2)는 소정의 곡률을 갖고 메인 표시부(MDA)로부터 휘어질 수 있다.
제3 및 제4 서브 표시부(SDA3, SDA4)는 메인 표시부(MDA)의 제3 및 제4 측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고, 윈도우(WM)의 제3 및 제4 곡면부(CS3, CS4)와 각각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표시부(MDA)의 제3 및 제4 측은 제1 방향(DR1)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3 및 제4 서브 표시부(SDA3, SDA4)는 메인 표시부(MDA)의 제3 및 제4 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제3 및 제4 서브 표시부(SDA3, SDA4)는 소정의 곡률을 갖고 메인 표시부(MDA)로부터 휘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표시부는 하나의 메인 표시부(MDA) 만을 포함하거나, 메인 표시부(MDA) 및 하나 이상의 서브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메인 표시부(MDA)에서 표시되는 제1 이미지와 제1 내지 제4 서브 표시부(SDA1, SDA2, SDA3, SDA4)에서 표시되는 제2 이미지는 서로 종속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의 조합에 의해 하나의 그림, 영화의 한 장면, 또는 UI/UX 디자인이 형성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표시부의 주변에 비표시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영역은 실질적으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비표시영역은 표시부를 에워쌀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제1 코너부(CA1), 제2 코너부(CA2), 제3 코너부(CA3) 및 제4 코너부(CA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너부(CA1)는 제1 및 제3 서브 표시부(SDA1, SDA3)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코너부(CA2)는 제2 및 제3 서브 표시부(SDA2, SDA3)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3 코너부(CA3)는 제1 및 제4 서브 표시부(SDA1, SDA4) 사이에 배치되고, 제4 코너부(CA4)는 제2 및 제4 서브 표시부(SDA2, SDA4)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내지 제4 코너부(CA1~CA4)는 실질적으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다른 일 예로, 제1 내지 제4 코너부(CA1~CA4)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4 코너부(CA1~CA4)는 블랙 영상을 표시하거나, 소정의 패턴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처럼,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휘어진 제1 내지 제4 서브 표시부들(SDA1~SDA4)에 의해 표시장치(DD)의 심미감이 향상되고,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영역의 면적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표시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 전기영동 표시패널, 또는 전기습윤 표시패널 등일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DP)은 윈도우(WM)의 형상을 따라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일 수 있다.
접착 수지층(ARL)은 표시패널(DP)은 윈도우(WM)의 배면에 결합시킨다. 접착 수지층(ARL)은 광학투명접착수지(OCR, Optically Clear Resin)와 같은 투명 접착 수지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접착 수지층(ARL)은 투명 아크릴계 수지 또는 투명 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 수지층(ARL)은 평면 접착부(FAP), 제1 곡면 접착부(CAP1), 제2 곡면 접착부(CAP2), 제3 곡면 접착부(CAP3) 및 제4 곡면 접착부(CAP4)를 포함한다. 평면 접착부(FAP)는 윈도우(WM)의 전면부(FS)와 표시패널(DP)의 메인 표시부(MDA)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들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표시패널(DP)의 메인 표시부(MDA)는 평면 접착부(FAP)에 의해서 윈도우(WM)의 전면부(FS)의 후면에 고정시킨다. 평면 접착부(FAP)는 제1 및 제2 방향(DR1, DR2)에 의해서 정의된 평면 상에서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곡면 접착부(CAP1, CAP2)는 윈도우(WM)의 제1 및 제2 곡면부(CS1, CS2)와 각각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곡면 접착부(CAP1)는 윈도우(WM)의 제1 곡면부(CS1)와 표시패널(DP)의 제1 서브 표시부(SDA1) 사이에 배치되어 표시패널(DP)의 제1 서브 표시부(SDA1)를 윈도우(WM)의 제1 곡면부(CS1)의 후면에 고정시킨다. 제2 곡면 접착부(CAP2)는 윈도우(WM)의 제2 곡면부(CS2)와 표시패널(DP)의 제2 서브 표시부(SDA2) 사이에 배치되어 표시패널(DP)의 제2 서브 표시부(SDA2)를 윈도우(WM)의 제2 곡면부(CS2)의 후면에 고정시킨다. 제1 및 제2 곡면 접착부(CAP1, CAP2)는 평면 접착부(FAP)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1 및 제2 곡면 접착부(CAP1, CAP2) 각각은 평면 접착부(FAP)와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3 및 제4 곡면 접착부(CAP3, CAP4)는 윈도우(WM)의 제3 및 제4 곡면부(CS3, CS4)와 각각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3 곡면 접착부(CAP3)는 윈도우(WM)의 제3 곡면부(CS3)와 표시패널(DP)의 제3 서브 표시부(SDA3) 사이에 배치되어 표시패널(DP)의 제3 서브 표시부(SDA1)를 윈도우(WM)의 제3 곡면부(CS3)의 후면에 고정시킨다. 제4 곡면 접착부(CAP4)는 윈도우(WM)의 제4 곡면부(CS2)와 표시패널(DP)의 제4 서브 표시부(SDA4) 사이에 배치되어 표시패널(DP)의 제4 서브 표시부(SDA4)를 윈도우(WM)의 제4 곡면부(CS4)의 후면에 고정시킨다. 제3 및 제4 곡면 접착부(CAP3, CAP4)는 평면 접착부(FAP)과 일체로 형성되며, 제3 및 제4 곡면 접착부(CAP3, CAP4) 각각은 평면 접착부(FAP)와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접착 수지층(ARL)은 제1 복곡 접착부(DCAP1), 제2 복곡 접착부(DCAP2), 제3 복곡 접착부(DCAP3), 및 제4 복곡 접착부(DCAP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복곡 접착부(DCAP1)는 윈도우(WM)의 제1 복곡면부(DCS1)과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복곡 접착부(DCAP1)는 윈도우(WM)의 제1 복곡면부(DCS1)와 표시패널(DP)의 제1 코너부(CA1) 사이에 배치되어 표시패널(DP)의 제1 코너부(CA1)를 윈도우(WM)의 제1 복곡면부(DCS1)의 후면에 고정시킨다. 제1 복곡 접착부(DCAP1)는 평면 접착부(FAP), 제1 곡면 접착부(CAP1) 및 제3 곡면 접착부(CAP3)와 일체로 형성되며, 평면 접착부(FAP), 제1 곡면 접착부(CAP1) 및 제3 곡면 접착부(CAP3)와 적어도 다른 두께를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복곡 접착부(DCAP2)는 윈도우(WM)의 제2 복곡면부(DCS2)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제2 복곡 접착부(DCAP2)는 윈도우(WM)의 제2 복곡면부(DCS2)와 표시패널(DP)의 제2 코너부(CA2) 사이에 배치되어 표시패널(DP)의 제2 코너 영역(CA2)을 윈도우(WM)의 제2 복곡면부(DCS2)의 후면에 고정시킨다. 제2 복곡 접착부(DCAP2)는 평면 접착부(FAP), 제2 곡면 접착부(CAP2) 및 제3 곡면 접착부(CAP3)와 일체로 형성되며, 평면 접착부(FAP), 제2 곡면 접착부(CAP2) 및 제3 곡면 접착부(CAP3) 적어도 다른 두께를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복곡 접착부(DCAP3)는 윈도우(WM)의 제3 복곡면부(DCS3)과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3 복곡 접착부(DCAP3)는 윈도우(WM)의 제3 복곡면부(DCS3)와 표시패널(DP)의 제3 코너부(CA3) 사이에 배치되어 표시패널(DP)의 제3 코너부(CA3)를 윈도우(WM)의 제3 복곡면부(DCS3)의 후면에 고정시킨다. 제3 복곡 접착부(DCAP3)는 평면 접착부(FAP), 제1 곡면 접착부(CAP1) 및 제4 곡면 접착부(CAP4)과 일체로 형성되며, 평면 접착부(FAP), 제1 곡면 접착부(CAP1) 및 제4 곡면 접착부(CAP4)와 적어도 다른 두께를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복곡 접착부(DCAP4)는 윈도우(WM)의 제4 복곡면부(DCS4)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제4 복곡 접착부(DCAP4)는 윈도우(WM)의 제4 복곡면부(DCS4)와 표시패널(DP)의 제4 코너부(CA4) 사이에 배치되어 표시패널(DP)의 제4 코너부(CA4)를 윈도우(WM)의 제4 복곡면부(DCS4)의 후면에 고정시킨다. 제4 복곡 접착부(DCAP4)는 평면 접착부(FAP), 제2 곡면 접착부(CAP2) 및 제4 곡면 접착부(CAP4)과 일체로 형성되며, 평면 접착부(FAP), 제2 곡면 접착부(CAP2) 및 제4 곡면 접착부(CAP4)와 적어도 다른 두께를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 수지층(ARL)의 구조에 대해서는 이후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1b를 참조하면, 표시패널(DP)은 제4 서브 표시부(SDA4)로부터 연장되는 패드부(P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의 패드부(PP)에는 구동회로(D-IC) 및 패드들이 배치될 수 있다. 구동회로(D-IC)는 표시패널(DP)의 메인 표시영역(MDA) 및 제1 내지 제4 서브 표시부(SDA1~SDA4)에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패드들을 통해 인쇄회로기판(PC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회로(D-IC)는 칩 형태로 이루어져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실장될 수도 있다.
하우징(HU)은 바닥부(BP), 제1 측벽(SW1), 제2 측벽(SW2), 제3 측벽(SW3) 및 제4 측벽(SW4)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측벽(SW1~SW4)은 바닥부(BP)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하우징(HU)은 바닥부(BP) 및 제1 내지 제4 측벽(SW1~SW4)에 의해서 정의된 수용 공간에 표시패널(DP)을 수용할 수 있다. 윈도우(WM)는 하우징(HU)의 제1 내지 제4 측벽(SW1~SW4)과 결합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측벽(SW1~SW4)은 윈도우(WM)의 제1 내지 제4 곡면부(CS1~CS4)를 각각 지지할 수 있다.
도 1b 및 도 2c를 참조하면, 하우징(HU)은 제1 코너 지지부(CSP1), 제2 코너 지지부(CSP2), 제3 코너 지지부(CSP3) 및 제4 코너 지지부(CSP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코너 지지부(CSP1)는 제1 및 제3 측벽(SW1, SW3) 사이에 배치되어 윈도우(WM)의 제1 복곡면부(DCS1)를 지지하고, 제2 코너 지지부(CSP2)는 제2 및 제3 측벽(SW2, SW3) 사이에 배치되어 윈도우(WM)의 제2 복곡면부(DCS2)를 지지할 수 있다. 제3 코너 지지부(CSP3)는 제1 및 제4 측벽(SW1, SW4) 사이에 배치되어 윈도우(WM)의 제3 복곡면부(DCS3)를 지지하고, 제4 코너 지지부(CSP4)는 제2 및 제4 측벽(SW2, SW4) 사이에 배치되어 윈도우(WM)의 제4 복곡면부(DCS4)를 지지할 수 있다.
도 3a는 도 1b에 도시된 절단선 I-I'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a에서는 제1 곡면 접착부(CAP1)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제2 내지 제4 곡면 접착부(CAP2~CAP4)도 제1 곡면 접착부(CAP1)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제1 곡면 접착부(CAP1)에 대한 설명으로 나머지 곡면 접착부(CAP2~CAP4)의 설명을 대신한다.
도 1a, 도 1b 및 도 3a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윈도우(WM)의 전면부(FS)에 대응하는 제1 영역(FA) 및 윈도우(WM)의 제1 곡면부(CS1)에 대응하는 제2 영역(CA)을 포함한다. 제1 영역(FA)은 표시장치(DD)가 평면 구조를 갖는 평면 영역으로 정의되고, 제2 영역(CA)은 표시장치(DD)가 곡면 구조를 갖는 곡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윈도우(WM)의 제1 곡면부(CS1)는 제1 곡률을 갖고 전면부(FS)로부터 밴딩될 수 있다. 제1 곡면부(CS1)와 전면부(FS)의 후면에는 접착 수지층(ARL)이 배치될 수 있다. 접착 수지층(ARL)은 전면부(FS)의 후면에 배치된 평면 접착부(FAP) 및 제1 곡면부(CS1)의 후면에 배치된 제1 곡면 접착부(CAP1)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접착부(FAP)는 제1 두께(d1)를 가질 수 있다. 즉, 접착 수지층(ARL)은 제1 영역(FA)에서 제1 두께(d1)를 가질 수 있다. 제1 곡면 접착부(CAP1)는 제1 두께(d1)와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곡면 접착부(CAP1)는 제2 영역(CA) 내에서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평면 접착부(FAP) 및 제1 곡면 접착부(CAP1) 각각은 10㎛ 내지 3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곡면 접착부(CAP1)는 제2 영역(CA) 중 제1 부분 영역에서 제1 두께(d1)보다 큰 제2 두께(d2)를 가질 수 있고, 제2 영역(CA) 중 제2 부분 영역에서 제1 두께(d1)보다 작은 제3 두께(d3)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부분 영역에서 제1 곡면 접착부(CAP1)의 두께는 제1 영역(CA)과 제2 영역(FA)의 경계로부터 멀어질수록 제1 두께(d1)로부터 제2 두께(d2)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2 부분 영역에서 제1 곡면 접착부(CAP1)의 두께는 제1 부분 영역과의 경계로부터 멀어질수록 제2 두께(d2)로부터 점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접착 수지층(ARL)은 표시패널(DP)과 윈도우(WM)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접착 수지층(ARL)은 표시패널(DP)과 접착되는 하부 접착면(LAS) 및 윈도우(WM)와 접착되는 상부 접착면(UAS)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접착면(UAS)은 제1 곡면 접착부(CAP1)에서 제1 곡률을 갖고, 하부 접착면(LAS)은 제1 곡면 접착부(CAP1)에서 제1 곡률보다 작은 제2 곡률을 갖는다.
표시패널(DP)의 메인 표시부(MDA)는 평면 접착부(FAP)의 하부 접착면(LAS)에 부착되고, 표시패널(DP)의 제1 서브 표시부(SDA1)는 제1 곡면 접착부(CAP1)의 하부 접착면(LAS)에 부착된다.
여기서, 접착 수지층(ARL)의 제1 곡면 접착부(CAP1)가 영역에 따라 다른 두께를 갖기 때문에, 표시패널(DP)의 제1 서브 표시부(SDA1)는 윈도우(WM)의 제1 곡면부(CS1)보다 작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서브 표시부(SDA1)의 밴딩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고, 표시패널(DP)의 제1 서브 표시부(SDA1)와 윈도우(WM)의 제1 곡면부(CS1)의 접착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3b는 도 1b에 도시된 절단선 Ⅱ-Ⅱ'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b,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윈도우(WM)의 제3 복곡면부(DCS3)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곡률을 갖고 전면부(FS)로부터 밴딩될 수 있다. 제3 복곡면부(DCS3)와 전면부(FS)의 후면에는 접착 수지층(ARL)이 배치될 수 있다. 접착 수지층(ARL)은 전면부(FS)의 후면에 배치된 평면 접착부(FAP) 및 제3 복곡면부(DCS3)의 후면에 배치된 제3 복곡 접착부(DCAP3)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 수지층(ARL)의 제3 복곡 접착부(DCAP3)는 윈도우(WM)의 제3 복곡면부(DCS3)과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3 복곡 접착부(DCAP3)는 윈도우(WM)의 제3 복곡면부(DCS3)와 표시패널(DP)의 제3 코너부(CA3) 사이에 배치되어 표시패널(DP)의 제3 코너부(CA3)를 윈도우(WM)의 제3 복곡면부(DCS3)의 후면에 고정시킨다. 제3 복곡 접착부(DCAP3)는 평면 접착부(FAP), 제1 곡면 접착부(CAP1) 및 제4 곡면 접착부(CAP4)과 일체로 형성되며, 제1 곡면 접착부(CAP1)와 제4 곡면 접착부(CAP4)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복곡 접착부(DCAP3)는 제1 및 제4 곡면 접착부(CAP1, CAP4)보다 작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곡면 접착부(CAP1)로부터 제3 복곡 접착부(DCAP3)의 중심으로 갈수록 곡률이 작아질 수 있고, 제2 곡면 접착부(CAP2)로부터 제3 복곡 접착부(DCAP3)의 중심으로 갈수록 곡률이 감소할 수 있다.
평면 접착부(FAP)는 제1 두께(d1)를 가질 수 있다. 즉, 접착 수지층(ARL)은 제1 영역(FA)에서 제1 두께(d1)를 가질 수 있다. 제3 복곡 접착부(DCAP3)는 곡률에 따라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즉, 제3 복곡 접착부(DCAP3)는 제1 두께(d1)와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3 복곡 접착부(DCAP1)는 제3 영역(DCA) 내에서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3 영역(DCA)은 윈도우(WM)가 두 개 이상의 곡률을 갖고 밴딩되는 복곡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복곡 접착부(DCAP3)는 제3 영역(DCA) 중 제1 부분 영역에서 제1 두께(d1)보다 큰 제4 두께(d4)를 가질 수 있고, 제3 영역(DCA) 중 제2 부분 영역에서 제1 두께(d1)보다 작은 제5 두께(d5)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부분 영역에서 제3 복고 접착부(DCAP3)의 두께는 제1 영역(FA)과 제2 영역(DCA)의 경계로부터 멀어질수록 제1 두께(d1)로부터 제4 두께(d4)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2 부분 영역에서 제3 복곡 접착부(DCAP3)의 두께는 제1 부분 영역과의 경계로부터 멀어질수록 제4 두께(d4)로부터 점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접착 수지층(ARL)의 제3 복곡 접착부(DCAP3)에서 상부 접착면(UAS)의 곡률은 제3 복곡 접착부(DCAP3)의 중심(AX)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하부 접착면(LAS)의 곡률은 상부 접착면(UAS)의 곡률보다 작고, 제3 복곡 접착부(DCAP3)의 중심(AX)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의 제3 코너부(CA3)는 윈도우(WM)의 제3 복곡면부(DCS3)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제3 복곡 접착부(DCAP3)에 의해 제3 코너부(CA3)는 제3 복곡면부(DCS3)에 부착된다. 표시패널(DP)의 제3 코너부(CA3)는 윈도우(WM)의 제3 복곡면부(DCS3)보다 작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접착 수지층(ARL)의 제3 복곡 접착부(DCAP3)가 영역에 따라 다른 두께를 갖기 때문에, 표시패널(DP)의 제3 코너부(CA1)는 윈도우(WM)의 제1 복곡면부(DCS1)보다 작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코너부(CA1)의 밴딩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고, 표시패널(DP)의 제1 코너부(CA1)와 윈도우(WM)의 제1 복곡면부(DCS1)의 접착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WM)의 제1 곡면부(CS1)의 끝단과 윈도우(WM)의 전면부(FS) 사이의 단차를 "L1"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곡면부(CA1)의 끝단과 전면부(FS) 사이의 단차(L1)는 대략 10㎛ 내지 500㎛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윈도우(WM)의 제3 복곡면부(DCS3)의 끝단과 윈도우(WM)의 전면부(FS) 사이의 단차를 "L2"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3 복곡면부(DCS3)의 끝단과 전면부(FS) 사이의 단차(L2)는 제1 곡면부(CS1)의 끝단과 전면부(FS) 사이의 단차(L1)보다 작을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윈도우와 표시패널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들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수지 물질의 분사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메인 표시부(MDA) 및 제1 서브 표시부(SDA1)를 포함하는 표시패널(DP) 상에 접착 수지층(ARL)을 도포한다. 접착 수지층(ARL)은 메인 표시부(MDA)에 대응하는 평면 접착부(FAP) 및 제1 서브 표시부(SDA1)에 대응하는 제1 곡면 접착부(CAP1)를 포함한다.
평면 접착부(FAP)는 제1 두께(d1)를 갖고, 제1 곡면 접착부(CAP1)는 제1 두께(d1)와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곡면 접착부(CAP1)는 일부 영역에서 제1 두께보다 큰 제2 두께(d2)를 가질 수 있고, 다른 일부 영역에서 제1 두께(d1)보다 작은 제3 두께(d3)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일부 영역에서 제1 곡면 접착부(CAP1)의 두께는 평면 접착부(FAP)로부터 멀어질수록 제1 두께(d1)로부터 제2 두께(d2)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부 영역에서 제1 곡면 접착부(CAP1)의 두께는 평면 접착부(FAP)로부터 멀어질수록 제2 두께(d2)로부터 점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윈도우(WM)를 표시패널(DP)과 대향시킬 수 있다. 윈도우(WM)는 접착 수지층(ARL)을 사이에 두고 표시패널(DP)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WM)의 전면부(FS)는 표시패널(DP)의 메인 표시부(MDA)와 마주하고, 윈도우(WM)의 제1 곡면부(CS1)는 표시패널(DP)의 제1 서브 표시부(SDA1)와 마주할 수 있다.
이때, 표시패널(DP)의 제1 서브 표시부(SDA1)와 접착 수지층(ARL)의 제1 곡면 접착부(CAP1)는 각각 표시패널(DP)의 메인 표시부(MDA) 및 접착 수지층(ARL)의 평면 접착부(FAP)로부터 밴딩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수지층(ARL)에 의해 윈도우(WM)와 표시패널(DP)이 결합될 수 있다. 접착 수지층(ARL)은 윈도우(WM)와 표시패널(D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 수지층(ARL)의 상부 접착면(UAS)은 윈도우(WM)의 후면에 부착되고, 접착 수지층(ARL)의 하부 접착면(LAS)은 표시패널(DP)의 상면에 부착된다.
표시패널(DP)의 메인 표시부(MDA)는 접착 수지층(ARL)의 평면 접착부(FAP)에 의해 윈도우(WM)의 전면부(FS)의 후면에 부착되고, 표시패널(DP)의 제1 서브 표시부(SDA1)는 접착 수지층(ARL)의 제1 곡면 접착부(CAP1)에 의해 윈도우(WM)의 제1 곡면부(CS1)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로 접착 수지층(ARL)을 표시패널(DP)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잉크젯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표시패널(DP) 상에 잉크젯 헤드(IHD)가 배치될 수 있다. 잉크젯 헤드(IHD)에는 접착 수지 물질(ARM)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접착 수지 물질(ARM)은 투명 아크릴계 수지 물질 또는 투명 우레탄계 수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잉크젯 헤드(IHD)는 접착 수지 물질(ARM)이 분사되는 분사 노즐(NZ)을 구비할 수 있다. 공정이 시작되면, 분사 노즐(NZ)을 통해 접착 수지 물질(ARM)이 표시패널(DP) 상으로 분사될 수 있다.
분사 공정 시, 잉크젯 헤드(IHD)로부터 분사되는 접착 수지 물질(ARM)의 분사량을 위치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패널(DP)의 메인 표시부(MDA)에 대응하는 제1 영역(FA)에서 접착 수지 물질(ARM)이 제1 분사량으로 분사되는 반면, 표시패널(DP)의 제1 서브 표시부(SDA1)에 대응하는 제2 영역(CA)에서 접착 수지 물질(ARM)은 제1 분사량과 다른 분사량으로 분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영역(CA)은 제1 분사 영역(SPA1) 및 제2 분사 영역(SP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의 노즐을 기준으로 봤을 때, 제1 분사 영역(SPA1)에서 접착 수지 물질(ARM)은 제1 분사량보다 많은 제2 분사량으로 분사되고, 제2 분사 영역(SPA2)에서 접착 수지 물질(ARM)은 제1 분사량보다 적은 제3 분사량으로 분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분사 영역(SPA1)에서 제2 분사량은 제1 영역(FA)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2 분사 영역(SPA2)에서 제3 분사량은 제1 영역(FA)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분사 공정이 종료되면, 표시패널(DP) 상에 분사된 접착 수지 물질(ARM)이 경화되어 접착 수지층(ARL)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분사 공정에 의해서, 접착 수지층(ARL)의 평면 접착부(FAP)는 제1 두께(d1)를 갖고, 제1 곡면 접착부(CAP1)는 제1 두께(d1)와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제1 곡면 접착부(CAP1)는 제1 분사 영역(SPA1)에서 제1 두께(d1)보다 큰 제2 두께(d2)를 가질 수 있고, 제2 분사 영역(SPA2)에서 제1 두께(d1)보다 작은 제3 두께(d3)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수지 물질의 분사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패널(DP) 상에 제1 잉크젯 헤드(IHD1) 및 제2 잉크젯 헤드(IHD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잉크젯 헤드(IHD1)에는 제1 접착 수지 물질(ARM1)이 저장되고, 제2 잉크젯 헤드(IHD2)에는 제2 접착 수지 물질(ARM2)이 저장될 수 있다. 제2 접착 수지 물질(ARM2)은 제1 접착 수지 물질(ARM1)과 다른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2 접착 수지 물질(ARM2)은 제1 접착 수지 물질(ARM1)보다 높은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제1 잉크젯 헤드(IHD1)는 표시패널(DP)의 메인 표시부(MDA)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제2 잉크젯 헤드(IHD2)는 표시패널(DP)의 제1 서브 표시부(SDA1)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잉크젯 헤드(IHD1)는 제1 접착 수지 물질(ARM1)이 분사되는 제1 분사 노즐(NZ1)을 구비할 수 있다. 공정이 시작되면, 제1 분사 노즐(NZ1)을 통해 제1 접착 수지 물질(ARM1)이 표시패널(DP) 상으로 분사될 수 있다. 제1 잉크젯 헤드(IHD1)에서 제1 접착 수지 물질(ARM1)은 제1 분사량으로 분사될 수 있다. 제2 잉크젯 헤드(IHD2)는 제2 접착 수지 물질(ARM2)이 분사되는 제2 분사 노즐(NZ2)을 구비할 수 있다. 공정이 시작되면, 제2 분사 노즐(NZ2)을 통해 제2 접착 수지 물질(ARM2)이 표시패널(DP) 상으로 분사될 수 있다. 제2 잉크젯 헤드(IHD2)에서 제2 접착 수지 물질(ARM2)은 제1 분사량과 다른 분사량으로 분사될 수 있다. 공정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제1 잉크젯 헤드(IHD1)를 이용한 분사 공정과 제2 잉크젯 헤드(IHD2)를 이용한 분사 공정은 동시에 실시될 수 있다.
분사 공정 시, 제2 잉크젯 헤드(IHD2)로부터 분사되는 제2 접착 수지 물질(ARM2)의 분사량을 위치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잉크젯 헤드(IHD2)는 제1 분사 영역(SPA1) 및 제2 분사 영역(SP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의 노즐을 기준으로 봤을 때, 제1 분사 영역(SPA1)에서 제2 접착 수지 물질(ARM2)은 제1 분사량보다 많은 제2 분사량으로 분사되고, 제2 분사 영역(SPA2)에서 제2 접착 수지 물질(ARM2)은 제1 분사량보다 적은 제3 분사량으로 분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분사 영역(SPA1)에서 제2 분사량은 제1 잉크젯 헤드(IHD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2 분사 영역(SPA2)에서 제3 분사량은 제1 잉크젯 헤드(IHD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DP) 상에는 제1 모듈러스를 갖는 제1 접착 수지층(ARL1) 및 제2 모듈러스를 갖는 제2 접착 수지층(ARL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착 수지층(ARL1)은 표시패널(DP)의 메인 표시부(MDA) 상에 형성되고, 제2 접착 수지층(ARL2)은 표시패널(DP)의 제1 서브 표시부(SDA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2 접착 수지층(ARL2)의 제2 모듈러스는 제1 접착 수지층(ARL1)의 제1 모듈러스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모듈러스는 0.01MPa 내지 10MPa일 수 있고, 제2 모듈러스는 1MPa 내지 200MPa일 수 있다.
도 1b 및 도 6을 참조하면, 윈도우(WM)의 전면부(FS)보다 곡률이 큰 제1 곡면부(CS1)에 모듈러스가 큰 제2 접착 수지층(ARL2)을 배치함으로써, 제1 곡면부(CS1)에 결합되는 표시패널(DP)의 제1 서브 표시부(SDA1)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 수지층(ARL1)은 제1 두께(d1)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며, 제2 접착 수지층(ARL2)은 불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접착 수지층(ARL2)은 제1 접착 수지층(ARL1)과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제2 접착 수지층(ARL2)은 제1 분사 영역(SPA1)에서 제1 두께(d1)보다 큰 제2 두께(d2)를 가질 수 있고, 제2 분사 영역(SPA2)에서 제1 두께(d1)보다 작은 제3 두께(d3)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접착 수지층(ARL2)의 구조로 인해 윈도우(WM)의 제1 곡면부(CS1)에 표시패널(DP)의 제1 서브 표시부(SDA1)가 결합되더라도, 표시패널(DP)의 제1 서브 표시부(SDA1)는 윈도우(WM)의 제1 곡면부(CS1)보다 작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DP)의 제1 서브 표시부(SDA1)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폴더블 표시장치의 인-폴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폴더블 표시장치의 아웃-폴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폴더블 표시장치(FDD)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영역은 복수의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영역은 폴딩 영역(FD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1, NFA2) 사이에 폴딩 영역(FDA)이 배치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폴더블 표시장치(FDD)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폴더블 표시장치는 2개 이상의 폴딩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영역(FDA)에는 폴딩축(FX)이 정의된다. 폴딩축(FX)은 폴더블 표시장치(FDD)가 폴딩될 때 발생하는 회전축으로써 폴더블 표시장치(FDD)의 기구 구조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폴더블 표시장치(FDD)는 이미지(IM)를 표시하는 표시면(DS)을 포함한다. 표시면(DS)은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표시면,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표시면, 및 폴딩영역(FDA)의 표시면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은 펼쳐진 상태의 표시면(DS)을 정의한다. 제3 방향(DR3)은 폴더블 표시장치(FDD)의 두께 방향을 지시한다. 또한, 제1 방향(DR1)은 폴딩축(FX)의 연장방향을 지시한다.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폴더블 표시장치(FDD)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표시면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표시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폴딩축(FX)을 따라서 폴딩된다. 이하, 서로 다른 비폴딩 영역의 표시면들이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것을 인-폴딩(in-folding)이라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비폴딩 영역(NFA1)이 폴딩축(FX)을 따라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폴더블 표시장치(FDD)가 인-폴딩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이 정렬되도록 폴더블 표시장치(FDD)를 인-폴딩하기 위해서, 폴딩축(FX)은 제2 방향(DR2)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FDD)의 중심에 정의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폴더블 표시장치(FDD)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표시면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표시면이 외부를 향하도록 폴딩축(FX)을 따라서 폴딩될 수도 있다. 이하, 서로 다른 비폴딩 영역(NFA1, NFA2)의 표시면들이 외부를 향하도록 폴딩되는 것을 아웃-폴딩(out-folding)이라 정의한다.
폴더블 표시장치(FDD)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표시면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표시면이 외부에 노출될 때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외부에 노출된 폴딩 영역(FDA)의 표시면도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폴더블 표시장치(FDD)는 펼쳐진 상태에서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 제2 비폴딩 영역(NFA2), 및 폴딩 영역(FDA)은 서로 독립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이미지들을 각각 표시하거나, 하나의 정보를 제공하는 하나의 이미지의 부분들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도 8a는 도 7a에 도시된 절단선 Ⅲ-Ⅲ`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폴더블 표시장치의 아웃-폴딩 상태를 나타내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폴더블 표시장치(FDD)는 윈도우(WM), 표시패널(DP), 및 접착 수지층(ARL)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M)는 표시패널(DP)의 상면을 보호한다. 윈도우(WM)는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윈도우(WM)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윈도우(WM)는 폴딩축(FX)을 중심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M)는 플라스틱 플레이트 또는 유기물을 포함하는 수지 필름일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윈도우(WM)의 후면에 배치되고, 표시패널(DP))과 윈도우(WM)는 접착 수지층(ARL)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접착 수지층(ARL)은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접착부(AP1, AP2), 폴딩 영역(FDA)에 대응하는 폴딩 접착부(FDAP)를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접착부(FDAP)는 제1 및 제2 접착부(AP1, AP2)와 다른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접착부(AP1, AP2)는 제1 모듈러스를 갖고, 폴딩 접착부(FDAP)는 제2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폴딩 접착부(FDAP)의 제2 모듈러스는 제1 및 제2 접착부(AP1, AP2)의 제1 모듈러스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모듈러스는 0.01MPa 내지 10MPa일 수 있고, 제2 모듈러스는 1MPa 내지 200MPa일 수 있다.
도 9는 도 8a에 도시된 접착 수지층의 형성 과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패널(DP) 상에 제3 잉크젯 헤드(IHD3), 제4 잉크젯 헤드(IHD4) 및 제5 잉크젯 헤드(IHD5)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및 제4 잉크젯 헤드(IHD3, IHD4)에는 제1 접착 수지 물질(ARM1)이 저장되고, 제5 잉크젯 헤드(IHD5)에는 제2 접착 수지 물질(ARM2)이 저장될 수 있다. 제2 접착 수지 물질(ARM2)은 제1 접착 수지 물질(ARM1)과 다른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2 접착 수지 물질(ARM2)은 제1 접착 수지 물질(ARM1)보다 높은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제3 및 제4 잉크젯 헤드(IHD3, IHD4)는 각각 표시패널(DP)의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제5 잉크젯 헤드(IHD5)는 표시패널(DP)의 폴딩 영역(FDA)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공정이 시작되면, 제3 및 제4 잉크젯 헤드(IHD3, IHD4)는 제1 접착 수지 물질(ARM1)을 표시패널(DP)의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1, NFA2) 상으로 분사할 수 있다. 제5 잉크젯 헤드(IHD5)는 제2 접착 수지 물질(ARM2)을 표시패널(DP)의 폴딩 영역(FDA) 상으로 분사할 수 있다. 공정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제3 및 제4 잉크젯 헤드(IHD3, IHD4)를 이용한 분사 공정과 제5 잉크젯 헤드(IHD5)를 이용한 분사 공정은 동시에 실시될 수 있다.
분사 공정이 종료되면, 표시패널(DP) 상에 분사된 제1 및 제2 접착 수지 물질(ARM1, ARM2)이 경화되어 접착 수지층(ARL)이 형성될 수 있다.
접착 수지층(ARL)은 제1 모듈러스를 갖는 제1 및 제2 접착부(AP1, AP2) 및 제2 모듈러스를 갖는 폴딩 접착부(FDAP)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착부(AP1, AP2)는 표시패널(DP)의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1, NFA2) 상에 형성되고, 폴딩 접착부(FDAP)는 표시패널(DP)의 폴딩 영역(FD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폴딩 접착부(FDAP)의 제2 모듈러스는 제1 및 제2 접착부(AP1, AP2)의 제1 모듈러스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모듈러스는 0.01MPa 내지 10MPa일 수 있고, 제2 모듈러스는 1MPa 내지 200MPa일 수 있다.
이처럼, 폴딩 영역(FDA)에 모듈러스가 큰 폴딩 접착부(FDAP)를 배치함으로써, 폴더블 표시장치(FDD)의 폴딩 시 표시패널(DP)의 폴딩 영역(FDA)에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표시장치 WM: 윈도우
DP: 표시패널 ARL: 접착 수지층
FS: 전면부 CS1~CS4: 곡면부
DCS1~DCS4: 복곡면부 FAP: 평면 접착부
CAP1~CAP4: 곡면 접착부 DCAP1~DCAP4: 복곡 접착부
MDA: 메인 표시부 SDA1~SDA4: 서브 표시부
CA1~CA4: 코너부 HU: 하우징

Claims (20)

  1.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로부터 연장되고 곡률을 갖고 밴딩되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에 결합되고, 전면부에 대응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곡면부에 대응하여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윈도우의 후면에 고정시키는 접착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 수지층은 상기 전면부에 대응하는 제1 접착부 및 상기 곡면부에 대응하는 제2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착부의 두께는 상기 제1 접착부의 제1 두께와 상이한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부는 상기 윈도우의 상기 곡면부 중 제1 접착 영역에서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고, 상기 곡면부 중 상기 제1 접착 영역과 다른 제2 접착 영역에서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영역에서 상기 제2 접착부의 두께는 상기 제1 접착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1 두께로부터 제2 두께까지 증가하고,
    상기 제2 접착 영역에서 상기 제2 접착부의 두께는 상기 제2 두께로부터 점차적으로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두께까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고,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표시부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고 영상을 표시하는 서브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전면부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곡률을 갖고 상기 전면부로부터 밴딩되는 복곡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 수지층은 상기 복곡면부에 대응하는 제3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상기 복곡면부는 서로 인접하는 제1 및 제2 곡면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곡면부를 연결하고,
    상기 복곡면부는,
    상기 복곡면부의 중심에 위치하는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제1 곡면부로 갈수록 곡률이 증가하는 제1 서브 복곡면; 및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제2 곡면부로 갈수록 곡률이 증가하는 제2 서브 복곡면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지층의 상기 제3 접착부는,
    곡률에 따라 다른 두께를 갖고,
    일부 영역에서 상기 제1 접착부의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 표시장치.
  8. 윈도우;
    상기 윈도우에 결합되고,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윈도우의 후면에 고정시키는 접착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 수지층은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1 접착부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2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수지층의 상기 제1 접착부와 상기 제2 접착부는 서로 다른 모듈러스를 갖는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지층의 상기 제1 접착부는 제1 모듈러스를 갖고, 상기 제2 접착부는 제2 모듈러스를 가지며,
    상기 제2 모듈러스는 상기 제1 모듈러스보다 큰 표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지층의 상기 제2 접착부의 두께는 상기 제1 접착부의 제1 두께와 상이한 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로부터 연장되고 곡률을 갖고 밴딩되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착부는 상기 윈도우의 상기 곡면부 중 제1 접착 영역에서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고, 상기 곡면부 중 상기 제1 접착 영역과 다른 제2 접착 영역에서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접착부의 두께는 상기 제1 접착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1 두께로부터 제2 두께까지 증가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2 접착부의 두께는 상기 제2 두께로부터 점차적으로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두께까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표시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전면부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곡률을 갖고 상기 전면부로부터 밴딩되는 복곡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 수지층은 상기 복곡면부에 대응하는 제3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지층의 상기 제3 접착부는,
    상기 접착 수지층의 상기 제2 접착부와 동일한 모듈러스를 갖는 표시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고,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표시부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고 영상을 표시하는 서브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되고,
    상기 제1 영역은 비폴딩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폴딩 영역인 표시장치.
  17. 표시패널 상에 접착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로부터 밴딩된 곡면부를 갖는 윈도우를 상기 표시패널과 대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접착 수지층을 통해 상기 윈도우의 후면에 상기 표시패널을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수지층을 상기 표시패널 상에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접착 수지층은 상기 전면부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패널의 제1 영역 상에 제1 두께로 도포되고, 상기 곡면부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패널의 제2 영역 상에 상기 제1 두께와 다른 두께로 형성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지층을 상기 표시패널 상에 형성하는 단계는,
    잉크젯 방식을 이용하여 접착 수지 물질을 상기 표시패널 상에 분사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분사된 상기 접착 수지 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방식을 이용하여 접착 수지 물질을 상기 표시패널 상에 분사하는 단계는,
    잉크젯 헤드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접착 수지 물질의 분사량을 제어하여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제1 영역 상에 제1 분사량으로 상기 접착 수지 물질을 분사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제2 영역 상에 제2 분사량으로 상기 접착 수지 물질을 분사하는 것을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방식을 이용하여 접착 수지 물질을 상기 표시패널 상에 분사하는 단계는,
    제1 모듈러스를 갖는 제1 접착 수지 물질을 상기 제1 영역에 분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듈러스보다 큰 제2 모듈러스를 갖는 제2 접착 수지 물질을 상기 제2 영역에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90131829A 2019-10-23 2019-10-23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861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829A KR20210048615A (ko) 2019-10-23 2019-10-23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6/986,404 US20210127517A1 (en) 2019-10-23 2020-08-06 Display device having a curved portion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202011100534.3A CN112700717A (zh) 2019-10-23 2020-10-15 具有弯曲部分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829A KR20210048615A (ko) 2019-10-23 2019-10-23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615A true KR20210048615A (ko) 2021-05-04

Family

ID=75505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829A KR20210048615A (ko) 2019-10-23 2019-10-23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127517A1 (ko)
KR (1) KR20210048615A (ko)
CN (1) CN11270071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3633B (zh) * 2020-09-16 2022-07-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20220073234A (ko) * 2020-11-26 2022-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214897341U (zh) * 2021-03-02 2021-1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5116335B (zh) * 2022-07-19 2024-05-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5627B2 (ja) * 2001-06-15 2010-03-03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フロントガラス用の成形された中間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296749B1 (ko) * 2015-04-03 2021-09-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51081B1 (ko) * 2016-02-05 2022-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양한 점착제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67971B1 (ko) * 2017-06-16 2022-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700717A (zh) 2021-04-23
US20210127517A1 (en)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8615A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56866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251173B2 (en) Display device with a chip on film
US1115075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8762562B (zh) 一种显示基板、显示面板、触控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TWI715552B (zh) 顯示裝置及可攜式終端機
US11289686B2 (en) Bonding apparatus and method of bonding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210124423A1 (en) Display device
US10181576B2 (en) Display device
US8319709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73615B1 (ko)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윈도우 부재의 제조방법
KR102246292B1 (ko) 휴대용 전자장치
KR102232424B1 (ko)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및 표시모듈 조립 방법
US11342539B2 (en) Display panel aligned with window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21001344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083686A (ko) 표시장치
TWM474189U (zh) 觸控顯示裝置
US11615742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n adhesive member overlapped by a sensor unit and another adhesive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017568A (ko) 표시 장치용 보호창 및 이를 사용하는 표시 장치
US2021006644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89902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12786651A (zh) 覆盖窗、制造覆盖窗的方法及包括覆盖窗的显示装置
KR20210036446A (ko) 디스플레이 패널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20240134420A1 (en) Display module
US20220225509A1 (en) Supporter for electronic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