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589B1 - 상부 및 하부 가변 공구를 정렬하는 방법 및 가공물 시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 - Google Patents

상부 및 하부 가변 공구를 정렬하는 방법 및 가공물 시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589B1
KR102147589B1 KR1020187035152A KR20187035152A KR102147589B1 KR 102147589 B1 KR102147589 B1 KR 102147589B1 KR 1020187035152 A KR1020187035152 A KR 1020187035152A KR 20187035152 A KR20187035152 A KR 20187035152A KR 102147589 B1 KR102147589 B1 KR 102147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tool
tool
machine
digital camera
lower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745A (ko
Inventor
올리비에 포꼬노
Original Assignee
봅스트 맥스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봅스트 맥스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봅스트 맥스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90003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06Controlling; Regulating; Measuring; Improving safe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07Control means comprising cameras, vision or image process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44Feeding sheets or blanks involving alig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142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using press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20Cutting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88Printing; 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26F2001/4463Methods and devices for rule setting, fixation, preparing cutt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0/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7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corrugated or pleate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Pile Receiver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예컨대 종이 시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에서 상부 및 하부 가변 공구 (2, 10, 18) 를 정렬하는 방법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 (50, 51) 의 보조로, 상부 가변 공구 (2) 가 내부로 이동한 시트와 정렬되고, 시트가 외부로 이동한 후 하부 가변 공구 (18) 가 상부 가변 공구 (2) 에 대해 정렬되도록 제공된다.

Description

상부 및 하부 가변 공구를 정렬하는 방법 및 가공물 시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
본 발명은 특히 패키징을 위한 종이, 판지 또는 플라스틱의 가공물 시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에서 상부 및 하부 가변 공구를 정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가공물 시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이, 판지 (골판지 포함) 또는 플라스틱의 이러한 시트들은 또한 특히 패키징을 위해 여러 단계들로 프로세싱된다. 예를 들어, 동일한 시트에서 복수의 블랭크들이 다이-커팅되고 추후에 인접한 플랫 베드 스트리핑 기기를 구비한 플랫 베드 다이-커팅 프레스에서 분리된다. 스트리핑 기기는, 소위 "폐기물" 이 시트로부터 분리되는 스테이션, 및 개별 블랭크들이 시트에서 밀려나와 파일 (pile) 로 배치되는, 블랭크 분리 스테이션으로 지칭되는 후속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폴더-글루어 (folder-gluer) 로 지칭되는 추가 기기에서, 견고한 박스를 제조하기 위해서 블랭크들은 섹션들로 접어 접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본 발명에 따른 기기는 상기 플랫 베드 다이-커팅 프레스들 및 플랫 베드 스트리핑 또는 블랭킹 기기들 뿐만 아니라, 종이, 판지 또는 플라스틱의 시트들을 인쇄 또는 라미네이팅하는 인쇄 기계 뿐만 아니라, 주름 생성 프로세스를 위해 이후 블랭크들에 주름을 생성하도록 시트들을 엠보싱하는 기기들에 관한 것이다.
이 기기들은 공통적으로, 각 종류의 패키징을 위해, 아래에서 "가변 공구" 로 지칭되는, 전용 공구가 제조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플랫 베드 다이-커팅 기기들에 대해, 이 공구들은 커팅 나이프들 또는 압력 패드들이 부착된 플레이트들이고; 플랫 베드 스트리핑 기기들에 대해, 이것들은 폐기물 또는 블랭크를 시트로부터 분리하는 핀들 및 압력 패드들이다. 이것은, 이러한 기기들이 프로세싱될 시트에 동시에 작용하는 상부 및 하부 가변 공구를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플랫 베드 스트리핑 기기에서, 예를 들어, 상부 및 하부 가변 공구들을 정렬하기 위해 다음 단계들이 실시된다. 먼저, 하부 가변 공구가 기기로 삽입된 후, 기기를 통과하며 선행하는 다이-커팅 스테이션에서 커팅된 시트는 스트리핑 스테이션으로 운반되어 거기에서 멈춘다. 그 후, 커팅된 섹션들은, 커팅 에지들에 대해, 컷아웃 부분들이 후에 이동되어야 하는 하부 가변 공구에서 개구들의 위치들을 세팅하도록 시트로부터 분리된다. 끝으로, 상부 공구는 하부 공구에 대응하도록 삽입 및 정렬된다. 이 정렬 프로세스를 위해, 조작자는 어떤 경우에 부분적으로 위와 아래에서, 서로에 대한 부품들의 상이한 위치들을 검사하기 위해 기기로 들어갈 필요가 있다. 이것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힘이 많이 든다.
특히 스트리핑 및 분리를 위한 가변 공구들은 항상 인가된 압력에 정확하게 맞추어지고 선행하는 스테이션에서 컷 에지들과 정렬되어야 한다. 상부 및 하부 가변 공구들이 예를 들어 다이-커팅 또는 스트리핑 프로세스들의 경우에서처럼 제공된다면, 이 공구들은 또한 서로 정확하게 정렬될 필요가 있다. 스핀들, 기어휠들 및 수동으로 구동 가능한 휠들에 의하여, 공급된 시트들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X- 및 Y-방향들로 그리고 또한 회전 방향으로 가변 공구들에 대해 기기 측에 위치한 홀더들을 조절함으로써 정렬이 수동으로 이루어진다. 조절 수단들 또는 홀더들의 부분들의 위치들이 세팅 프로세스 중 확인되고 영구적으로 측정되므로 홀더들의 개별 위치들이 확인된다. 이 목적으로, 홀더들 또는 그것들에 결합된 조절 수단들의 조절 가능한 부분들의 위치들을 검출 및 표시하는, 기계적 또는 기계적 디지털 위치 표시기들이 이용된다. 조작자는 먼저 세팅시 기기의 시험 운전을 수행한 후 제조 결과를 기초로 기기를 직관에 의해 재조정해야 한다. 이 프로세스는 숙련된 조작자에게 대략 20 분 걸릴 수도 있다. 여러 다른 시트들이 1 일 동안 프로세싱되므로, 기기는 매일 여러 번 셋 업되어야 하는데, 이것은 상당한 제조 손실을 유발한다. 이러한 제조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최적의 세팅 파라미터들이 공구들에 기록되고, 공구들은 각각의 점착성 라벨들을 구비하고 그 라벨들과 함께 보관된다. 재설치하는 경우에, 홀더는 그 후 좌표계에서처럼 이전에 결정된 위치들로 단지 세팅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시간에서 상당한 이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패키징을 위한 종이, 판지 또는 플라스틱의 가공물 시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에서 상부 및 하부 가변 공구를 정렬하는 개선된 방법과, 또한 가변 공구들을 상호 간에 더 빠르고 더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는 가공물 시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음 단계들: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를 제공하는 단계,
하부 가변 공구를 기기 측의 홀더로 삽입하는 단계,
시트가 상기 하부 가변 공구 위에 놓일 때까지 시트를 상기 기기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부 가변 공구를 기기 측의 홀더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보조로 상기 시트에 대해 상기 상부 가변 공구를 정렬하는 단계,
상기 시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보조로 상기 상부 가변 공구에 대해 상기 하부 가변 공구를 정렬하는 단계로 특징짓는다.
먼저, 비록 전술한 순서가 유리하지만, 상기 단계들이 반드시 이 순서로 실시될 필요가 없다는 점이 강조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시트를 기기 내부로 이동시키기 전 상부 및 하부 가변 공구들 양자의 삽입이 완료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서로에 대한 그리고 시트에 대한 가변 공구들의 위치들을 검출하여 그 위치들을 그 후 재조절하기 위해서 기계로 들어갈 필요가 없게 만든다. 모든 세팅 작업은 외부에서 수행될 수 있고, 이것은 상당히 더 빠르고, 게다가, 조작자에게 육체적으로 덜 힘이 든다. 서로 정렬될 부품들의 위치들은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어서, 더욱이, 정렬될 부품들을 보기 위해서, 또한 접근하기에 어려운 기기의 그 섹션들을 더 이상 비출 필요가 없다. 디지털 카메라들은 우수한 광도를 가져서, 이전에 수반된 이런 노력을 또한 불필요하게 만든다.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는 바람직하게 정렬을 위해 일시적으로 기기로 도입되고 정렬 후 기기로부터 다시 제거된다. 이것은, 제조 프로세스 중 방출되는 어떠한 먼지도 카메라를 더럽히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카메라들은 이동 부분들에 수용될 수도 있는데, 이것은 결국 카메라들의 케이블들에 너무 큰 부담을 줄 수도 있다. 그러나, 물론, 전술한 단점들을 극복하도록 예를 들어 비이동 부분들에 기기의 카메라들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체결할 수 있다.
시트에 대한 상부 가변 공구의 위치 및 하부 가변 공구에 대한 상부 가변 공구의 위치를 검출하는데 단 하나의 카메라이면 충분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시트에 평행한 평면 내 정렬은 회전 방향을 포함한 모든 방향들로 이루어져서, 증가된 정확성을 위해, 위치들을 검출하는데 사용된 기준점들은 가능한 한 서로 멀리 이격되게 위치하는 가변 공구들 및 시트의 점들이어야 한다는 점을 확실히 해야 한다. 정렬 정확성은, 예를 들어, 서로 멀리 떨어진 두 점들의 측방향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개선된다.
접근 가능성 또는 카메라의 검출 범위가 충분하지 않다면, 복수의 카메라들을 이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여기에서, 하나의 카메라는, 예를 들어, 시트의 공급 방향으로 하부 가변 공구의 전방 에지 영역을 커버할 수도 있고 추가 카메라는 가변 공구의 후방 영역을 커버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위치에 관한 한, 테스트들은 추가 위치들이 또한 유리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카메라는, 상부 가변 공구를 커버하고 검출하기 위해서 공간적으로 고정되며 가변 공구들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도록 기기에 부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카메라가 그것의 관찰 범위에서 전체 가변 공구를 가질 필요가 없고; 관련 부분은 충분하다. 카메라는 프로세싱 기기 내에서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또는 단지 정렬 프로세스를 위해 기기에 장착될 수 있고 정렬 후 제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는, 상부 가변 공구에 대해 카메라의 변위 및 정렬을 허용하는 리테이너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는 상부 가변 공구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상부 가변 공구의 개구를 감지할 수도 있고 서로에 대해 상부 및 하부 가변 공구들을 정렬하기 위해 상기 개구를 통하여 하부 가변 공구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것의 대안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는 심지어 상부 가변 공구 그 자체에 체결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그것은 특정 카메라를 위한 형태 맞춤 착좌부에 해제 가능하게 삽입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그것은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는 상부 가변 공구가 아니라, 오히려, 상부 가변 공구는 카메라를 위한 좌표 기준을 구성한다. 카메라는 보통 정렬 프로세스 후 제거된다.
하부 가변 공구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검출되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1 개의 마크, 특히 서로 멀리 떨어져 있고 1 개 또는 2 개의 카메라들에 의해 검출되도록 되어 있는 2 개의 마크들을 갖는다면 정렬 프로세스는 다시 한번 가속화될 수도 있다. 마크 또는 마크들은 상부 가변 공구와 정렬된 하부 가변 공구의 타겟 위치를 상징한다. 예를 들어, 가변 공구들은 이미 기기 외부에서 서로 완벽하게 정렬되어 있다. 이런 완벽한 정렬 위치 (타겟 위치) 에서, 마크는 그 후 하부 가변 공구에 영구적으로 적용되고, 예컨대 정렬 크로스가 번 인 (burnt in) 된다. 또한 상부 가변 공구에 동일하게 수행될 수도 있다. 기기에서 완벽한 정렬을 위해, 마크가 미리 규정된 초점으로 이동하도록 각각의 정렬 공구는 그 후 카메라의 보조로 정확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상부 가변 공구는 보통 시트에 제공된 마크들 또는 시트에 제조된 에지들, 특히 컷 에지들의 보조로 시트에 대해 정렬된다. 이 컷 에지들은, 예를 들어, 다이-커팅 스테이션에서 생성되고 후속 스트리핑 스테이션에서 대응하는 상부 및 하부 가변 공구들은 이전에 제조된 컷 에지들과 정확하게 정렬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것에 대해 대안적으로, 정렬을 위한 역할을 하는 시트 상의 마크들을 제공하면 충분하다. 이것은 거기에서 공구에 대해 선행하는 프로세싱 스테이션에서 시트의 위치를 알면 충분하다. 더욱이, 예를 들어 시트가 인쇄될 때, 인쇄된 영역들에 대한 마크의 위치는 인쇄 중 적용된 마크로 인해 미리 규정되고 항상 고정되어서, 마크는 후속 다이-커팅 또는 스트리핑을 위한 정렬을 위해 기준점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포착된 이미지를 재현하는 스크린 형태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보조로 정렬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카메라 이미지에 부가된 전자 마크가 스크린에 로딩될 수도 있고 현재 카메라 배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정렬 크로스는 여기에서 카메라 이미지의 중심에 로딩되고, 정렬 크로스는 카메라 이미지의 중심과 카메라의 배향을 정확하게 나타낸다. 그러면, 시트 또는 하부 가변 공구 상의 마크로서 크로스는 완벽한 위치결정을 실현하기 위해서 상기 삽입된 크로스와 정렬되어야 한다.
정렬은 전적으로 스크린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즉 조작자는 스크린을 보면서 홀더들을 위한 조절 수단들을 사용하며 그것들을 수동으로 변화시킨다. 대안적으로, 이런 수동 정렬은, 부가적으로, 기기의 제어 유닛에 전자적으로 결합되고 연관된 가변 공구의 세팅 중 이동하는 부분들의 위치들을 결정하는 디지털 센서 유닛들이 이용된다는 점에서 또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런 이동 부분들은 홀더의 부분들 또는 조절 수단들의 부분들일 수도 있다. 제어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정렬 오류를 식별한다. 현재 오정렬 및/또는 타겟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센서 유닛들에 일체화된 디스플레이들 형태의 디스플레이 기기들이 제어 유닛에 의해 구동된다. 이것은, 조작자가 수동으로 조절 수단들에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는, 정렬 프로세스 중 중앙 스크린 앞에 조작자가 서 있을 필요가 절대적으로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보통 조절 수단들에 직접 장착되는 센서 유닛들 상의 디스플레이들 때문에, 조작자는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었고 제어 유닛에 의해 프로세싱된 모든 현재 데이터를 즉시 보아서, 미세 조정이 즉시 수행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타겟 위치 또는 실제 위치를 나타내고, 또는 조절 수단들이 어느 방향으로 작동되어야 하는지 나타내고, 또는 타겟 위치로부터 거리를 나타낸다.
이것에 대한 대안예로서, 정렬은 완전히 자동으로 진행할 수도 있고, 제어 유닛은 가변 공구들을 타겟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가변 공구들을 조절하기 위한 모터들을 활성화시킨다. 제어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제어 유닛에 이용 가능한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산출한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 기기들을 제공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는 않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플랫 베드 다이-커팅 기기들, 플랫 베드 스트리핑 또는 블랭킹 기기들, 엠보싱 기기들 또는 시트 인쇄 기기들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 목적은 또한 가공물 시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특히 패키징을 위한 종이, 판지 또는 플라스틱의 시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는:
상기 가공물 시트들이 연속적으로 운반되는 프로세싱 스테이션,
상기 시트들의 프로세싱에 특정한 각각의 상부 및 하부 가변 공구들로서, 상기 가변 공구들은 기기 측의 홀더들에 체결되도록 되어 있고 서로 정렬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상부 및 하부 가변 공구들,
상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전자 제어 유닛,
상기 제어 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시트가 내부로 이동했을 때, 카메라가 상기 시트를 광학적으로 검출할 수 있고 상기 시트가 외부로 이동했을 때, 카메라가 하부 가변 공구를 광학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로세싱 스테이션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가변 공구들을 서로 독립적으로 정렬하기 위한 조절 수단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설명한 방법을 참조하여 위에서 검토한 대로, 조절 수단들은 수동 또는 모터 구동식 조절 수단들일 수도 있다. 모터 구동식 조절 수단들은 제어 유닛에 결합되고, 오정렬을 검출한 후, 연관된 가변 공구를 타겟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부 가변 공구에 대해, 내부로 이동한 시트의 현재 정렬을 재현하고, 시트가 외부로 이동했을 때, 상부 가변 공구에 대한 하부 가변 공구의 정렬을 재현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기기가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기기는 카메라 이미지(들)를 재현하기 위한 스크린 및/또는 조절 수단들의 센서 유닛들에 제공된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어 유닛은 현재 위치 및/또는 현재 위치와 타겟 위치 사이 관계에 대한 정보를 재현하도록 구성된다.
상부 가변 공구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대해, 연관된 카메라의 일시적 삽입을 위한 착좌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하부 가변 공구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검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마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마크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참조하여 전술한 대로, 상부 가변 공구에 대해 정렬된 하부 가변 공구의 완벽한 타겟 위치를 상징한다.
수동 정렬에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완전히 자율적인 자기 정렬이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홀더들을 자동으로 정렬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들 및 장점들은, 참조되는 첨부 도면들과 하기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 도 1 은 여러 스테이션들의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기기들을 포함하는 플랫 베드 다이-커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 도 2 는 스트리핑 스테이션의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기기의 변형예의 단순화된 측면도를 도시한다.
- 도 3 은 도 2 에 따른 기기를 위한 슬라이딩 프레임의 형태의 홀더를 도시하고, 다양한 가변 공구들이 홀더 안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 도 4 는 카메라의 위치결정을 위한 변형예와 상부 가변 공구의 구역에서 홀더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 도 5 는 종방향 단부 구역에서, 내부로 이동한 시트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1 은 종이, 골판지를 포함한 판지 및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가공물 시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플랫 베드 다이-커팅 프레스를 도시한다.
플랫 베드 다이-커팅 프레스는, 내부에 공급된 시트들이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스테이션들로도 지칭되는, 복수의 기기들을 갖는다.
플랫 베드 다이-커팅 프레스는, 서로 적층된 시트들이 도입되는 소위 공급기 (100), 시트들이 차례로 플랫 베드 다이-커팅 프레스의 후속 스테이션들로 공급되는 인접한 분리기 (102), 커팅 또는 엠보싱 기기 (104), 폐기물이 시트로부터 분리되는 스트리핑 기기 (106), 및 블랭크들이 시트로부터 분리되는 블랭크 분리 기기 (108) 를 포함한다. 기기들 (104 - 108) 각각은, 폐쇄될 때 그 사이에 위치된 시트들 (122) 을 프로세싱하도록 쌍을 이루며 서로 정렬되는, 내부에 제공된 소위 상부 및 하부 가변 공구들 (110 - 114 및 116 - 120) 을 각각 갖는다.
예로서, 도 2 는 스트리핑 기기 (106) 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이것은 아래로 튀어나온 스트리핑 핀들 (4) 이 부착된 소위 스트리핑 보드 (3) 를 구비한 상부 가변 공구 (2) 를 갖는다.
상부 가변 공구 (2) 는 프로세싱될 배치 (batch) 를 위한 홀더 (5) 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홀더는 기기 측에 있고 단순화된 방식으로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홀더는 스트리핑 보드 (3) 가 체결되는 측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캐리지 또는 슬라이딩 프레임의 형태로 설계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2 개의 하부 가변 공구들, 보다 구체적으로 위로 튀어나와 있고 스트리핑 핀들 (4) 과 정렬되는 텔테스코픽 핀들 (17) 이 돌출한 보드 형태의 가변 공구 (10) 가 도시되어 있다.
가변 공구 (10) 의 제공이 절대적으로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스트리핑 플레이트 형태의 가변 공구 (18) 는 단지 하부 가변 공구일 수도 있다. 이 스트리핑 플레이트는, 크기 및 기하학적 구조 면에서 다이-커팅 폐기물들에 맞추어지고 위에 놓여있는 가공물 시트로부터 분리되도록 다이-커팅 폐기물들 바로 아래에 위치결정되는 개구들을 갖는다. 분리하는 동안, 공구는 폐쇄되어서, 상부 가변 공구 (2) 는 아래로 이동하고 스트리핑 핀들 (4) 및 텔테스코픽 핀들 (17) 은 선택적으로 다이-커팅 폐기물들을 클램핑하고 그 폐기물들을 스트리핑 플레이트의 개구들을 통하여 아래로 토출한다.
다른 포맷들의 또는 다른 블랭크들을 가지는 시트들은 항상 분리된 특정 가변 공구들 (2, 10, 18) 을 요구한다.
가변 공구들 (2, 10, 18) 은 프레임-유형 캐리지들로 삽입되고, 기기로 도입되고 거기에서 서로에 대해 그리고 시트에 대해 정확하게 정렬될 필요가 있다.
도 3 에 도시된 홀더 (5) 는 단지 예로서 보여주고; 그것은 또한 구성이 더 단순할 수도 있다. 게다가, 그것은 유사한 설계로 가변 공구들 (10, 18) 에 또한 이용될 수도 있다.
홀더 (5) 는, 캐리어 구조를 형성하는, 한 쌍의 캐리어들 (20, 21) 및 횡방향 캐리어들 (22, 23) 을 포함한다. 전방 가이드 (24) 및 약간 가려져 도시된 후방 가이드 (25) 가 조절 가능하게 이 캐리어 구조에 부착된다. 전방 가이드 (24) 는 가이드 (24) 의 본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수용 홈 (26) 을 갖는다. 후방 가이드 (25) 는, 홈 (26) 과 대면하고 보이지 않는 대응하는 홈을 갖는다. 가이드들 (24, 25) 은 그 아래에 놓여 있는 시트 (122) 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즉 X-방향 (이동 시트의 방향) 으로, Y-방향으로, 즉 X-방향을 가로질러, 그리고 회전 방향 (R) 으로, 치형 랙들, 링키지들 및 스핀들에 의하여 원하는 대로 조절될 수 있다. 게다가, 가이드들 (24, 25) 사이 거리는 수동 조절 수단 (27) 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조절 수단들 (28, 29, 30) 은 X-, Y- 및 회전 R 방향들로 가이드들 (24, 25) 을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조절 수단들 (27 - 30) 은 수동형 또는 모터 구동형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센서 유닛들 (31 - 34) 은 조절 수단들 (27 - 30) 에 결합될 수도 있고 대응하는 조절 수단들 (27 - 30) 의 각각의 위치들 및, 이렇게 하여, 가이드 (24, 25) 또는 그것에 연결되어 함께 움직이는 부분들의 위치를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내부에 수용된 센서 (36) 를 가지고 디스플레이 기기 (38), 여기에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는, 센서 유닛들 (31 - 34) 중 하나가 상징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센서 유닛들 (31 - 34) 은 기기 또는 전체 플랫 베드 다이-커팅 프레스의 제어 유닛 (37) 에 전자적으로 결합된다. 작동 유닛은 도면 부호 39 로 나타낸다.
상부 가변 공구 (2) 와 하부 가변 공구, 이 경우에 가변 공구 (18) 와 정렬하기 위해, 1 개 또는 2 개의 디지털 카메라들 (50, 51) 이 제공된다 (도 2 참조).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카메라 (50) 는 시트 (122) 의 공급 방향 (A) 으로 전방 에지 영역에 제공되고 카메라 (51) 는 가변 공구 (2) 의 후방 에지 영역에 제공된다 (도 5 참조).
카메라들 (50, 51) 은 제어 유닛 (37) 에 결합되고 단지 가변 공구들 (2, 18) 을 정렬하기 위해 기기로 삽입될 수도 있다. 스트리핑 보드 (3) 는, 예를 들어, 카메라들 (50, 51) 을 빠르게, 단단히 그리고 유극 없이 위치결정하기 위한 적절한 착좌부들 또는 장착 수단들을 가질 수도 있다. 예로서, 상부 가변 공구 (2) 는, 카메라 (50 또는 51) 를 삽입하기 위한 착좌부로서 사용될 수 있는 스트리핑 보드 (3) 내 개구 (61) 를 갖는다 (도 4 참조). 대안예에서, 도 4 에 도시된 대로, 카메라는 별개의 리테이너 (60) 에 의해 고정된다. 리테이너 (60) 는 일시적으로 (정렬 프로세스를 위해) 또는 영구적으로 (심지어 프로세싱 중에도) 기기 (여기에서: 다이-커팅 프레스) 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 (60) 는, 스테이션 내 시트 (122) 에 평행하거나 스트리핑 보드 (3) 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 모터 구동부들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카메라를 변위시키도록 허용할 수도 있다.
시트 (122) 가 기기 (106) 내부로 이동했을 때, 카메라들은 이 시트를 검출할 수 있고, 시트의 부재시, 카메라들은 하부 가변 공구 (18) 를 광학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카메라들 (50, 51) 이 위치결정된다.
도 5 는 카메라 (50) 에 의해 광학적으로 포착될 수 있는 섹션의 영역에서 상부 가변 공구 (2) 를 세팅하기 위한 시트 (122) 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예를 들어, 크로스 형태의 마크 (53) 가 시트의 상단 측에 영구적으로 적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마크 (53) 는 또한 상부 및 하부 가변 공구들 (2, 10) 을 서로 최적으로 정렬한 후 기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하부 가변 공구 (18) 에 적용되었고, 예컨대 레이저를 사용해 번 인된다. 예를 들어, 마크는 상부 가변 공구 (2) 에서 카메라 (50) 를 위한 착좌부와 정확하게 정렬된다.
상부 및 하부 가변 공구들 (2, 10, 18) 을 정렬하는 방법이 이제 후술될 것이다.
먼저, 하부 가변 공구 (18), 가능하다면 또한 가변 공구 (10) 가 필요하다면 설치된다. 추후에, 상부 가변 공구 (2) 가 설치되고, 선행하는 스테이션에서 이전에 다이-커팅된 시트 (122) 는 플랫 베드 다이-커팅 프레스에 의해 기기 (106) 로 이동된다.
시트 (122) 는, 예를 들어, 테스트 시트일 수도 있고, 이 테스트 시트는 2 개의 마크들 (53), 즉, 마크 (53) 에 대응하는 하나의 마크 및 카메라 (51) 하부 영역의 제 2 마크를 갖는다. 이 마크들은 선행하는 스테이션에서 생성된 시트 (122) 에서 컷 에지들에 대한 미리 정해진, 고정된 배치로 위치결정된다.
시트들은 체인들 (126)에 의해 플랫 베드 다이-커팅 프레스를 통하여 가이드된 그리퍼들 (124) 에 의해 (도 1 참조) 그리고 스톱들에 의해 기기 (106) 에 정확하게 반복적으로 위치결정될 수 있으므로, 상부 가변 공구 (2) 및 그 후 하부 가변 공구 (18) 만 시트 (122) 와 정렬되어야 한다.
이런 정렬은 카메라들 (50, 51) 및 제어 유닛 (37) 에 결합되고 카메라들 (50, 51) 에 의해 포착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스크린 (55)) 에 의해 이루어진다. 부가적으로, 카메라 (50) 를 위한 마크 (57) 및 카메라 (51) 를 위한 마크 (59) 는 전자적으로 삽입되어 스크린 (55) 에 나타내고, 이 스크린은 현재 카메라 배향, 즉 카메라 (50, 51) 의 정확한 중심 및 그것의 회전 배향을 나타낸다.
이와 관련하여, 카메라들 (50, 51) 이 반경 방향 뿐만 아니라 회전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정확하게 리테이너들에 착좌되는 것이 중요하다. 도 4 에 도시된 대로, 이를 위하여 카메라들 (50, 51) 은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편심 연장부들 (58) 을 가질 수도 있다.
마크들 (57, 59) 아래에서, 스크린 (55) 은 카메라들 (50, 51) 의 이미지들 내에 있는 마크들, 즉 하부 가변 공구 (18) 상의 마크들을 표시한다.
여기에 오정렬이 존재하여서, 카메라 (51) 의 영역에서의 2 개의 수직선들과 같은 2 개의 크로스들은 서로 정합하도록 만들어져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일단 상부 가변 공구 (2) 가 시트 또는 내부로 이동한 기준 시트와 정렬되면, 시트가 제거되고 카메라들 (50, 51) 은 아래 가변 공구 (18) 를 관찰하여서, 하부 가변 공구 (18) 상의 대응하는 마크들이 이제 스크린 (55) 에 표시된다.
이제 하부 가변 공구 (18) 는 이전에 최적의 방식으로 정렬된 상부 가변 공구 (2) 와 정렬되어야 한다. 기준 시트는 그 자신의 마크를 반드시 구비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 또한, 선행하는 다이-커팅 스테이션에서 시트에 생성된 컷 에지들에 의하여 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마크들이 정확히 스크린 (55) 에 겹쳐질 때까지 도 3 에 도시된 대로 휠들 형태의 조절 수단들 (28 - 30) 을 회전시킴으로써 가변 공구들 (2, 10, 18) 은 순전히 수동으로 정렬된다.
대안적으로, 스크린 (55) 이 너무 멀리 떨어져 있을 때, 센서 유닛들 (32 - 34) 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기기들 (38) 을 사용해 수동 정렬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 참조).
제어 유닛 (37) 은 그것이 카메라들 (50, 51) 로부터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해 정렬 오류들을 검출하고, 대응하는 유도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기기들 (38) 로 전송하고, 여기에서 실제 오정렬 및/또는 타겟 위치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정보가 재현된다. 예를 들어, 타겟 위치는 디스플레이에 나타낼 수 있고 (도 3 에서 디스플레이 기기 (38) 에서 상부 라인) 실제 위치는 그 아래에 나타낼 수도 있다. 그 후, 하부 값이 상부 값에 도달할 때까지 조작자는 조절 수단들 (28) 을 그에 따라 회전시킨다. 이것에 대한 대안예로서, 디스플레이 기기 (38) 는 예를 들어 명령으로서 우측으로 또는 좌측으로 조절 수단들 (28) 의 회전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단지 보여줄 수도 있다. 타겟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예를 들어, 스톱 사인이 표시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하지만, 기기는 또한 하부 가변 공구 (18) 에 대해 상부 가변 공구 (2) 를 완전히 자동으로 정렬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부 가변 공구 (2), 그 후 하부 가변 공구 (18) 를 각각 정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센서 유닛들 (32 - 34) 뿐만 아니라, 모터 구동식 조절 수단들 (28 - 30), 예컨대, 스테퍼 모터들 또는 서보모터들이 제공된다. 이 모터들은, 센서 유닛들 (32 - 34) 처럼, 제어 유닛 (37) 에 결합된다.
카메라들 (50, 51) 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정보를 사용해, 정렬이 완료될 때까지 제어 유닛 (37) 은 각각의 모터들을 구동한다. 순간 모터 위치는 센서 유닛들 (32 - 34) 에 의해 검출된다.
가변 공구들 (2, 10, 18) 이 정렬된 후, 카메라들 (50, 51) 은 다시 제거되고, 플랫 베드 다이-커팅 프레스가 작동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카메라들 (50, 51) 은 정렬을 위해 일시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들은 또한 홀더 (5) 의 구역에 또는 도 4 에 나타낸 것처럼 기계 프레임에 고정되는 리테이너 (60) 에서 영구적으로 기기에 수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부 가변 공구 (2) 는 스트리핑 보드 (3) 에 개구 (61) 를 가지고, 이 개구를 통하여 카메라 (50, 51) 는 시트 (122) 또는 하부 가변 공구 (18) 를 관찰할 수 있다. 서로 중심에 놓이도록 개구 (61) 는, 예를 들어, 하부 가변 공구 (18) 상의 마크에 대해 위치 배향된다. 더욱이, 카메라 (50, 51) 는, 예를 들어, 개구 (61) 의 에지 (62) 를 포착하여서, 카메라는 또한 에지 (62) 에 의해 상부 가변 공구 (2) 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그러면, 예를 들어, 에지 (62) 의 원형 윤곽이 스크린에 재현된다.
부가적 공구, 예컨대 공구 (10) 가 정렬된다면, 공구 (10) 가 기기로 도입되기 전 공구 (18) 는 정렬될 수도 있다. 공구 (10) 는 또한 카메라들에 의해 정렬될 것이다. 공구 (18) 는, 카메라에 의해 감지하고, 위치결정하고 정렬하기 위해 개구 에지를 제공하도록 개구 (61) 와 같은 개구를 구비할 수도 있고 또는 마크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하지만, 개구는 상부 공구, 즉 가변 공구 (3) 의 개구보다 작은 개방 영역을 가져서 카메라 (50 또는 51) 가 양 개구 에지들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
2 개의 카메라들 (50, 51) 보다는, 또한 하나의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고, 이것은 그러면 서로 이격된 마크들을 검출하도록 더 큰 화각 (angle of view) 을 가져야 한다.
수동 정렬에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완전히 자율적인 자기 정렬이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홀더들을 자동으로 정렬하도록 구성된다. 조작자는 또한 정렬을 수동으로 실시할지 또는 자동으로 실시할지에 대해 그 자신이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기가 단지 자동으로만 정렬을 한다면, 디스플레이 기기들은 또한 생략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Claims (20)

  1. 가공물 시트들 (122) 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에서 상부 가변 공구 (2) 및 하부 가변 공구 (10, 18) 를 정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 (50, 51) 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하부 가변 공구 (10, 18) 를 상기 기기 측의 홀더 (11) 로 삽입하는 단계,
    가공물 시트가 상기 하부 가변 공구 (10, 18) 위에 놓일 때까지 가공물 시트 (122) 를 상기 기기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상부 가변 공구 (2) 를 상기 기기 측의 홀더 (11) 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 (50, 51) 의 보조로 상기 가공물 시트 (122) 에 대해 상기 상부 가변 공구 (2) 를 정렬하는 단계,
    상기 가공물 시트 (122) 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 (50, 51) 의 보조로 상기 상부 가변 공구 (2) 에 대해 상기 하부 가변 공구 (10, 18) 를 정렬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시트들 (122) 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에서 상부 가변 공구 (2) 및 하부 가변 공구 (10, 18) 를 정렬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 (50, 51) 는 정렬을 위해 일시적으로 상기 기기로 도입되고 정렬 후 상기 기기로부터 다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시트들 (122) 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에서 상부 가변 공구 (2) 및 하부 가변 공구 (10, 18) 를 정렬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디지털 카메라들 (50, 51) 이 사용되고,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 (50) 는 상기 가공물 시트 (122) 의 공급 방향으로 하부 가변 공구 (10, 18) 의 전방 에지 영역인 영역을 커버하고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 (51) 는 상기 공구의 후방 에지 영역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시트들 (122) 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에서 상부 가변 공구 (2) 및 하부 가변 공구 (10, 18) 를 정렬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 (50, 51) 가 상기 상부 가변 공구 (2) 를 커버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 (50, 51) 는 가변 공구들 (2, 10, 18) 로부터 거리를 두고 상기 기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시트들 (122) 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에서 상부 가변 공구 (2) 및 하부 가변 공구 (10, 18) 를 정렬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 (50, 51) 는 상기 상부 가변 공구 (2) 에 대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 (50, 51) 의 변위 및 정렬을 허용하는 리테이너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시트들 (122) 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에서 상부 가변 공구 (2) 및 하부 가변 공구 (10, 18) 를 정렬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 (50, 51) 는 상기 상부 가변 공구 (3) 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상기 상부 가변 공구 (3) 에서 개구 (61) 를 감지하고 상기 상부 가변 공구 및 하부 가변 공구를 서로에 대해 정렬하기 위해 상기 개구 (61) 를 통하여 상기 하부 가변 공구 (10, 18) 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시트들 (122) 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에서 상부 가변 공구 (2) 및 하부 가변 공구 (10, 18) 를 정렬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변 공구 (2) 는, 내부에 해제 가능하게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 (50, 51) 를 위한 형태 맞춤 착좌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시트들 (122) 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에서 상부 가변 공구 (2) 및 하부 가변 공구 (10, 18) 를 정렬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변 공구 (10, 18) 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디지털 카메라 (50, 51) 에 의해 검출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부 가변 공구 (2) 와 정렬된 상기 하부 가변 공구 (18) 의 타겟 위치를 상징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크 (53)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시트들 (122) 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에서 상부 가변 공구 (2) 및 하부 가변 공구 (10, 18) 를 정렬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변 공구 (2) 는, 상기 가공물 시트 (122) 에 제공된 마크들 또는 상기 가공물 시트 (122) 에 생성된 에지들, 또는 컷 에지들의 보조로 상기 가공물 시트 (122) 에 대해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시트들 (122) 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에서 상부 가변 공구 (2) 및 하부 가변 공구 (10, 18) 를 정렬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디지털 카메라 (50, 51) 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디지털 카메라 (50, 51) 에 의해 포착된 이미지를 재현하는 스크린 (55) 의 형태인 디스플레이 기기의 보조로 정렬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시트들 (122) 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에서 상부 가변 공구 (2) 및 하부 가변 공구 (10, 18) 를 정렬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 이미지에 부가된 전자 마크 (57, 59) 는 상기 스크린 (55) 으로 로딩되고 현재 디지털 카메라 배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시트들 (122) 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에서 상부 가변 공구 (2) 및 하부 가변 공구 (10, 18) 를 정렬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은 전적으로 스크린 (55) 에 의해 또는 상기 기기의 제어 유닛 (37) 에 전자적으로 결합되고 연관된 가변 공구 (2, 10, 18) 의 세팅 중 이동하는 부분들의 위치들을 결정하는 디지털 센서 유닛들 (32 - 34) 을 부가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수동으로 수행되고, 상기 제어 유닛 (37) 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디지털 카메라 (50, 51) 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정렬 오류들을 식별하고 상기 센서 유닛들 (32 - 34) 에 일체화되는 디스플레이들의 형태인 디스플레이 기기들 (38) 에 현재 오정렬 및/또는 타겟 위치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시트들 (122) 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에서 상부 가변 공구 (2) 및 하부 가변 공구 (10, 18) 를 정렬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은 완전히 자동으로 진행되고, 제어 유닛 (37) 은 상기 상부 가변 공구 (2) 및 상기 하부 가변 공구들 (10, 18) 을 타겟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상부 가변 공구 (2) 및 상기 하부 가변 공구들 (10, 18) 을 조절하기 위한 모터들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시트들 (122) 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에서 상부 가변 공구 (2) 및 하부 가변 공구 (10, 18) 를 정렬하는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플랫 베드 다이-커팅 기기, 플랫 베드 스트리핑 기기, 엠보싱 기기 또는 시트 인쇄 기기 형태의 기기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시트들 (122) 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에서 상부 가변 공구 (2) 및 하부 가변 공구 (10, 18) 를 정렬하는 방법.
  15. 가공물 시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로서,
    상기 가공물 시트들 (122) 이 연속적으로 운반되는 프로세싱 스테이션,
    상기 가공물 시트들 (122) 의 프로세싱에 특정한 각각의 상부 가변 공구 (2) 및 하부 가변 공구들 (10, 18) 로서, 상기 상부 가변 공구 (2) 및 상기 하부 가변 공구들 (10, 18) 은 기기 측의 홀더들 (5, 11) 에 체결되도록 되어 있고 서로 정렬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상부 가변 공구 (2) 및 상기 하부 가변 공구들 (10, 18),
    상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 (37),
    상기 제어 유닛 (37) 에 결합되고 상기 가공물 시트 (122) 가 내부로 이동했을 때, 디지털 카메라가 상기 가공물 시트 (122) 를 광학적으로 검출할 수 있고 상기 가공물 시트 (122) 가 외부로 이동했을 때, 디지털 카메라가 하부 가변 공구 (10, 18) 를 광학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로세싱 스테이션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 (50, 51), 및
    상기 상부 가변 공구 (2) 및 상기 하부 가변 공구들 (10, 18) 을 서로 독립적으로 정렬하기 위한 조절 수단들 (28 - 30) 을 포함하는, 가공물 시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변 공구 (2) 에 대해, 내부로 이동된 상기 가공물 시트 (122) 의 현재 정렬을 재현하고, 상기 가공물 시트가 외부로 이동했을 때, 상기 상부 가변 공구 (2) 에 대해 상기 하부 가변 공구 (10, 18) 의 정렬을 재현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기기 (38) 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시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들 (28 - 30) 이 수동 조절 수단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시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가공물 시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
  18.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들 (28 - 30) 은, 상기 제어 유닛 (37) 에 결합되고 오정렬을 검출한 후 연관된 가변 공구 (2, 10, 18) 를 타겟 위치로 이동시키는 모터 구동식 조절 수단들이고, 상기 제어 유닛 (37) 은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 (50, 51) 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홀더들 (5, 11) 을 자동으로 정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시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지털 카메라 이미지(들)를 재현하기 위한 스크린 (55), 및/또는 상기 조절 수단들 (28 - 30) 의 센서 유닛들 (32 - 34) 에 제공된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 (37) 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현재 위치 및/또는 상기 상부 가변 공구 (2) 및 상기 하부 가변 공구들 (10, 18) 의 현재 위치와 타겟 위치 사이 관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시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
  20.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변 공구 (2) 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 (50, 51) 를 위해, 연관된 디지털 카메라 (50, 51) 의 일시적 삽입을 위한 착좌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가변 공구 (18) 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 (50, 51) 에 의해 검출 가능하고 상기 상부 가변 공구 (2) 에 대해 정렬된 하부 가변 공구 (18) 의 타겟 위치를 상징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크 (5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시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
KR1020187035152A 2016-05-13 2017-05-03 상부 및 하부 가변 공구를 정렬하는 방법 및 가공물 시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 KR102147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08968 2016-05-13
DE102016108968.0 2016-05-13
PCT/EP2017/025103 WO2017194197A1 (en) 2016-05-13 2017-05-03 Method of aligning an upper and a lower changeable tool, and device for processing workpiece shee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745A KR20190003745A (ko) 2019-01-09
KR102147589B1 true KR102147589B1 (ko) 2020-08-25

Family

ID=58669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152A KR102147589B1 (ko) 2016-05-13 2017-05-03 상부 및 하부 가변 공구를 정렬하는 방법 및 가공물 시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203172B2 (ko)
EP (1) EP3455040B1 (ko)
JP (1) JP6703137B2 (ko)
KR (1) KR102147589B1 (ko)
CN (1) CN109476034B (ko)
AU (1) AU2017264304B2 (ko)
BR (1) BR112018072240B1 (ko)
CA (1) CA3021469C (ko)
ES (1) ES2843544T3 (ko)
PL (1) PL3455040T3 (ko)
PT (1) PT3455040T (ko)
WO (1) WO20171941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9836B (zh) * 2018-09-18 2020-07-28 山东和兴包装有限公司 一种纸箱裁剪机
TWI832091B (zh) * 2020-10-09 2024-02-11 瑞士商巴柏斯特麥克斯合資公司 板材處理單元和用於評估對齊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2698A (en) * 1993-04-15 1995-04-04 Die-X Tooling Systems Method for sychronizing tooling in a die-cutting machine for generating die-cut blanks
US5822208A (en) * 1994-04-12 1998-10-13 Bay Instrumentation & Technology Co.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errors in a manufacturing process
CH689971A5 (fr) * 1994-05-04 2000-02-29 Bobst Sa Dispositif de centrage et de verrouillage d'un cadre porte-outils dans une presse de découpage.
JPH11188500A (ja) * 1997-12-26 1999-07-13 Yoshiki Kogyo Kk プレスシステム
CA2259785C (en) * 1999-01-19 2008-07-29 Peter E. Sandford Jogger member,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jogger members and female and male blanking dies provided therewith
CH694086A5 (fr) * 2000-05-16 2004-07-15 Bobst Sa Presse de façonnage.
JP2004268175A (ja) * 2003-03-06 2004-09-30 Sony Chem Corp プレス装置
US8910689B2 (en) * 2005-03-15 2014-12-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reducing downtime in web processes
DE202007012349U1 (de) * 2006-07-26 2007-12-13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Bogenstanz- und -prägemaschine mit Passerausrichtung
US7955245B2 (en) * 2007-09-24 2011-06-07 Ranpak Corp. Dunnage conversion machine and method
US8073239B1 (en) * 2008-09-24 2011-12-06 Valco Cincinnati, Inc. Error detection system for verifying the construction of paper boxes
US9603752B2 (en) * 2010-08-05 2017-03-28 Curt G. Jo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izing waste and improving quality and production in web processing operations by automatic cuff defect correction
EP2422969B1 (de) * 2010-08-31 2013-09-11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Falzschachtelklebemaschine
DE102010036015A1 (de) * 2010-08-31 2012-03-01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Faltschachtelklebemaschine
EP2422971B1 (de) * 2010-08-31 2014-03-26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Werkzeugaufnahmevorrichtung
DE102011112116A1 (de) * 2011-09-02 2013-03-0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Einstellen der Bearbeitungslage wenigstens einer eine zu bearbeitende Warenbahn nicht einklemmenden Bearbeitungseinrichtung
EP2610201B1 (de) * 2011-12-27 2014-04-23 Multigraf AG Vorrichtung zur Bearbeitung eines flachen Prozessguts
US9296170B2 (en) * 2012-10-31 2016-03-29 Eastman Kodak Company Three-dimensional-structure former
JP2015178164A (ja) * 2014-02-26 2015-10-08 松本 清 穿孔装置
US10579049B2 (en) * 2014-09-08 2020-03-03 The Boeing Company Automatic material cut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55040A1 (en) 2019-03-20
KR20190003745A (ko) 2019-01-09
CN109476034B (zh) 2020-11-10
ES2843544T3 (es) 2021-07-19
US20190143626A1 (en) 2019-05-16
WO2017194197A1 (en) 2017-11-16
CA3021469A1 (en) 2017-11-16
AU2017264304B2 (en) 2020-04-09
CN109476034A (zh) 2019-03-15
US11203172B2 (en) 2021-12-21
BR112018072240A2 (pt) 2019-02-12
CA3021469C (en) 2020-07-28
JP6703137B2 (ja) 2020-06-03
EP3455040B1 (en) 2020-12-09
AU2017264304A1 (en) 2018-11-29
JP2019517926A (ja) 2019-06-27
PL3455040T3 (pl) 2021-04-19
PT3455040T (pt) 2021-01-13
BR112018072240B1 (pt) 202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3369A (en) Flexographic printing plate moun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231811B1 (ko) 가공물 시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가변 공구를 갖는 기기
EP2300233B1 (en) Pad printing machine and method
KR102147589B1 (ko) 상부 및 하부 가변 공구를 정렬하는 방법 및 가공물 시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기
US11712815B2 (en) Cutting machine with overview camera
US4833985A (en) Apparatus for matching register marks and punching U-holes for press plate
JPH1177983A (ja) 印刷版取り付け方法および装置
CN108029231A (zh) 对基板作业机及识别方法
KR20100054814A (ko) 평편한 섹션을 기계 가공하기 위한 툴 캐리어 장치
JPS6321183B2 (ko)
JPH0271269A (ja) 原板フィルム貼り込み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に用いるフィルムパンチ・カット装置
KR20120058495A (ko) 신용카드 펀칭기의 시트 조절장치
US6902520B2 (en) Folding machine having at least one pair of knife shafts
US8833764B2 (en) Sheet feeding machine
JP2000190288A (ja) 積み重ねたシ―ト状の素材を切断する装置
EP1685973A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covers of a book or similar
JPH04309951A (ja) フィルム貼り込み装置
BR112018072470B1 (pt) Estação de controle de qualidade e sistema de controle de qualid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