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090B1 - 컨테이너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090B1
KR102140090B1 KR1020180101114A KR20180101114A KR102140090B1 KR 102140090 B1 KR102140090 B1 KR 102140090B1 KR 1020180101114 A KR1020180101114 A KR 1020180101114A KR 20180101114 A KR20180101114 A KR 20180101114A KR 102140090 B1 KR102140090 B1 KR 102140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frame
container
assembly
semi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4028A (ko
Inventor
조현일
한광희
조재민
Original Assignee
한광희
조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광희, 조재민 filed Critical 한광희
Priority to US17/272,15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10188152A1/en
Priority to CN201880096983.XA priority patent/CN112672919A/zh
Priority to JP2021535478A priority patent/JP2022510490A/ja
Priority to PCT/KR2018/012749 priority patent/WO2020045736A1/ko
Priority to EP18931937.9A priority patent/EP3845416A4/en
Publication of KR20190054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 B60P7/132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twist-locks for container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적재 또는 하역시 잠금 또는 풀림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운전자의 불편을 해소하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4개가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되어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록킹어셈블리; 상기 록킹어셈블리와 연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록킹어셈블리의 체결 또는 체결해제 작동을 유도하는 가이드어셈블리; 및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어셈블리를 구동시키는 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결속장치{Container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컨테이너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의 적재 또는 하역시 잠금 또는 풀림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운전자의 불편을 해소하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라 함은 운반용기의 일종으로 육로수송 또는 선적수송을 위해 만들어진 대용량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일정 규격의 용기로서, 화물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송하기 위한 적재함을 일컫는다. 또한 대량화물의 규격화된 수용구이다.
이러한 컨테이너를 육상에서는 컨테이너 차량에 탑재하여 운송하고, 해상의 경우에는 컨테이너를 적재하기 위한 대형 컨테이너 선박을 이용하여 대량의 컨테이너를 운송하고 있다.
컨테이너를 육로로 운반하기 위한 운송수단으로 트레일러(Trailer)라는 차량에 이용되는데, 이 트레일러는 일반적으로 주행용 동력장치나 제어장치를 가지지 않고 트랙터에 편성되어 이끌리게 된다.
트레일러는 규격화된 컨테이너를 탑재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의 크기에 알맞게 설계되고, 또한 컨테이너에 화물을 적재한 상태의 중량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이렇게 설계된 트레일러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컨테이너를 탑재하게 되는데, 운송 중에 발생하는 급제동, 곡선도로, 경사도로, 기타 돌발상황에서 컨테이너가 트레일러에서 이탈되는 경우를 방지하고, 또한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트레일러의 상부에 컨테이너를 고정시키는 록킹장치가 설치된다.
도1a 및 도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수동방식의 록킹장치는,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에 구비된 상부프레임(1)의 다수곳에 레버(3)의 회전 및 승강 동작에 의해 잠금 또는 풀림 작용을 하는 록커(2)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의 정해진 위치에 컨테이너(4)를 탑재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상기 록커(2)의 레버(3)를 조작함에 따라, 록커(2)의 상단에 구비된 헤드부(2')가 컨테이너의 저면에 형성된 결속구멍(5)으로 삽입 및 체결된다.
즉, 상기 수동방식의 록킹장치는 트레일러와 이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일체로 결속되게 하여 운송 도중 안정성을 도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운전자는 컨테이너를 적재한 상태에서 록킹장치의 조작이 번거롭다는 이유로 잠금조작을 하지 않은 채 운행하는 사례가 보편화 되어 있으며, 특히 노면이 불량한 도로나 급커브에서 컨테이너의 록킹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운행할 경우 트레일러로부터 컨테이너가 이탈 또는 추락되는 등의 대형사고가 유발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6762호와 같은 자동방식의 록킹장치가 제안된 있다.
도2a 및 도2b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방식의 록킹장치는,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장착되는 통체로 된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스프링(22)의 탄력과 외부의 하중에 의해 상향으로 출몰되는 중공부(21)를 가진 작동구(20)와, 상기 작동구(20)의 중공부(21)에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컨테이너에 삽입 체결되는 헤드부(31)를 구비하되 작동구(20)의 몰입동작시 접촉되어 연동되는 걸림턱(32)을 구비한 록커(30)와, 상기 록커(30)의 내부에 그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소정의 깊이 만큼 관형홈(40)이 형성되어 있되 이관형홈(40)에 형성되어 록커(30)가 하강될 때 일정범위로 회전되게 유도하는 곡면을 가진 슬릿홈(41)과, 상기 관형홈(40)의 내부에 탄성스프링(52)을 매개로 자유로이 슬라이딩 되게 하우징(10)의 저면에 결합한 덮개(11)에 고정설치된 지지축(50)과, 상기 지지축(50)의 상단 외주연에 형성되어 슬릿홈(41)에 삽입된 지점을 고정축으로 슬릿홈(41)을 따라 승강되는 록커(30)의 방향을 변위되게 하는 핀(51)을 포함한다.
즉, 상기 자동방식의 록킹장치는 컨테이너를 적재 또는 하역하는 과정에서 그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잠금 및 풀림 작용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중량이 과중한 컨테이너를 안전하게 록킹한 상태에서 운송함은 물론 록커의 조작으로 인한 불편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트레일러의 규격에 따라 상부프레임에는 록킹장치가 일정 간격으로 4개에서 12개까지 설치되며, 6개이상의 록킹장치가 설치된 트레일러의 경우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크기에 따라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록킹장치가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다수개의 록킹장치를 잠금 및 풀림 작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길어져 작업 능률이 저하되고, 특히 작업이 번거로운 이유로 인해 잠금조작을 제대로 하지 않은 채 운행하여 대형사고가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자동방식의 록킹장치로 대체한다 하더라도 기존의 수동방식의 록킹장치를 모두 제거하고 자동방식의 록킹장치를 재설치해야 하므로 상당한 교체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덧붙여, 자동방식의 록킹장치는 잦은 고장으로 인해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여 상당한 영업 손실을 초래함은 물론 수리 비용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트레일러와 컨테이너 간의 단차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의 전방에 형성된 코너캐스팅에는 수평 방향으로 수평체결장치가 결속되는데, 종래의 경우 수평 방향으로 결속되는 수평체결장치를 잠금 및 풀림 작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길어져 작업 능률이 저하되고, 작업이 번거로운 이유로 인해 잠금조작을 제대로 하지 않은 채 운행하여 대형사고가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0-0056538 A KR 10-0182902 B1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다수개의 록킹장치가 컨테이너의 적재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잠금 및 풀림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자동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편리하게 사용 가능함은 물론 컨테이너가 록킹유닛에 결속 또는 분리되는 시간을 절약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자동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기설치된 수동방식의 록킹장치를 자동화함으로써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자동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방식의 록킹장치가 고장이나 파손 등으로 작동 불가 상태가 되더라도 해당 록킹장치를 수동방식으로 용이하게 전환함으로써 작동 불가로 인한 영업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자동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결속되는 수평체결장치가 자동으로 잠금 또는 풀림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자동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4개가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되어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록킹어셈블리; 상기 록킹어셈블리와 연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록킹어셈블리의 체결 또는 체결해제 작동을 유도하는 가이드어셈블리; 및 상기 2열로 배치된 록킹어셈블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어셈블리를 구동시키는 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록킹어셈블리는, 상하 이동하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회전각에 따라 컨테이너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헤드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 일측에서 파지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회전레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록킹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록킹어셈블리는, 컨테이너의 코너캐스팅에 형성된 관통공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핀 형태의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록킹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레버부의 단부에는 결속핀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어셈블리의 일단부에 형성된 결속홀에 삽입 및 삽입해제되며, 상기 결속홀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결속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록킹유닛은, 상기 몸체부 일부를 소정 간극 이격되게 감싸는 수평밀림방지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와 상기 헤드부의 인접부위에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밀림방지블록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대응 삽입되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어셈블리에 결속되는 구동 와이어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두께부를 관통하여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며, 하단부는 상기 구동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링크부재의 길이만큼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어셈블리를 구동시키되,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록킹어셈블리와의 거리가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 길이의 1/2 이상이 되도록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어셈블리에 결속되는 한 쌍의 반자동 와이어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두께부를 관통하여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며, 하단부는 상기 반자동 와이어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 중앙부에 마련되어 회전하며, 둘레부에는 한 쌍의 와이어 고정수단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반자동 와이어를 각각 고정시키는 반자동 제어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반자동 제어롤러 사이에 위치하는 반자동 와이어는 분리된 제1 반자동 와이어와 제2 반자동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반자동 와이어와 상기 제2 반자동 와이어 사이에는 길이 가변 가능한 텐션조절수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어셈블리와 상기 반자동 제어롤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반자동 와이어를 지지 및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롤러는 상기 반자동 와이어가 당김 및 당김해제 되는 방향을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어셈블리에 결속되는 자동 와이어와, 상기 자동 와이어와 직교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자동 와이어의 중앙부를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수단이 형성된 구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를 상기 상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상기 자동 와이어가 당김 또는 당김해제 되도록 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어셈블리와 상기 구동링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 와이어를 지지 및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이드롤러는 상기 자동 와이어가 당김 및 당김해제 되는 방향을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어셈블리는, 일단부는 상기 제1록킹유닛의 회전레버부와 결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작동부재와,(여기서, '와이어'는 상기 구동 와이어, 상기 반자동 와이어 또는 상기 자동 와이어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하고, 이하에서 언급되는 '와이어'도 동일한 의미로 해석됨) 상기 작동부재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부재의 타단부 또는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여 슬라이딩되는 홀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어셈블리는, 일단부는 상기 제1록킹유닛의 회전레버부와 결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와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일정 반경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회전축부재와, 상기 회전축부재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여 슬라이딩되는 홀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동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어셈블리는, 일단부는 상기 제2록킹유닛의 체결부재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도록 결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누름부재와, 상기 누름부재가 상기 와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일정 반경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누름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회전축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지지블록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체결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름부재의 타단부에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동레버가 형성되며, 상기 수동레버의 끝단부에는 파지 가능한 형태의 손잡이가 마련되어 상기 누름부재를 수동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동레버와 근접한 상기 와이어의 일측은 수동전환유닛에 의해 연결 또는 분리되며,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수동전환유닛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분리되면 수동 회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다수개의 록킹어셈블리가 자동으로 잠금 및 풀림 작동되므로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록킹어셈블리의 잠금 및 풀림이 자동 방식으로 구현되므로 운전자가 편리하게 사용 가능함은 물론 컨테이너가 상부프레임에 결속되는 시간을 절약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기존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기설치된 수동방식의 록킹어셈블리를 재활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교체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교체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고장이나 파손 등으로 작동 불가 상태가 되더라도 수동방식으로 용이하게 전환함으로써 작동 불가로 인한 영업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수직방향으로 결속되는 제1록킹유닛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 결속되는 제2록킹유닛도 자동화를 구현함으로써 컨테이너가 상부프레임에 견고히 고정됨은 물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a 및 도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2a 및 도2b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결속장치를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4는 도3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결속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5는 도4의 실시예에서 부가 한정될 수 있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6은 도3의 실시예에서 부가 한정될 수 있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결속장치를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8은 도7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결속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결속장치를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제1록킹유닛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제1록킹유닛에서 더 부가될 수 있는 일례를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12는 본 발명의 가이드어셈블리에 대한 일례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13은 본 발명의 가이드어셈블리에 대한 다른 일례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14는 본 발명의 가이드어셈블리에 대한 또 다른 일례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결속장치는, 도3, 도7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록킹어셈블리(100)와 가이드어셈블리(300) 및 구동어셈블리(500a,500b,500c)를 포함한다.
먼저, 록킹어셈블리(100)는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마련되어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것으로 적어도 4개가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되며, 가이드어셈블리(300)와 구동어셈블리(500a,500b,500c)는 록킹어셈블리(100)를 개별 또는 동시에 구동시켜 잠금 동작과 풀림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록킹어셈블리(100)는 컨테이너에 수직방향으로 결속되는 제1록킹유닛(120)과, 컨테이너에 수평방향으로 결속되는 제2록킹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록킹유닛(120)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이동하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122)와, 상기 몸체부(122)의 상단에 형성되어 회전각에 따라 컨테이너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헤드부(124)와, 상기 몸체부(122)의 하단 일측에서 파지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124)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회전레버부(12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록킹유닛(120)을 이루는 몸체부(122)와 헤드부(124) 및 회전레버부(126)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함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함체에는 컨테이너(C)를 완충 지지하는 완충유닛(190)이 마련되어 컨테이너(C)가 적재 또는 하역될 때 좌우 밸런스가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컨테이너(C)의 적재 또는 하역시 좌우 밸런스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록킹유닛(120)의 헤드부(124) 회전에 의한 간섭이 사전에 예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완충유닛(190)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 내부에 마련되어 컨테이너(C)를 완충 지지하는 지지부재(192)와, 상기 지지부재(192)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함체 하부에 관통 결합되는 결합부재(196)와, 상기 지지부재(192)의 하단과 상기 함체의 하부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지지부재(192)를 탄성지지하는 고압축 스프링(19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유닛(190)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형 가능한 다른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2록킹유닛(140)은, 도9 및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C)의 코너캐스팅이 위치하는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 모퉁이에 마련되어 컨테이너(C)가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2록킹유닛(140)은 컨테이너(C)의 코너캐스팅 측면에 형성된 관통공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핀 형태의 체결부재(142)와, 상기 체결부재(142)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블록(144)을 포함하는 것으로, 체결부재(142)의 단부가 코너캐스팅의 관통공 내부에 삽입되면 컨테이너(C)가 체결 고정되고 반대로 체결부재(142)의 단부가 코너캐스팅의 관통공 외부로 이탈되면 컨테이너(C)가 체결해제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가이드어셈블리(300)는 상기 록킹어셈블리(100)와 연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록킹어셈블리(100)의 체결 또는 체결해제 작동을 유도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구동어셈블리(500a,500b,500c)를 설명한 이후에 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구동어셈블리(500a,500b.500c)는 상기 가이드어셈블리(300)를 구동시켜 상기 록킹어셈블리(100)가 컨테이너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어셈블리(50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10)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어셈블리(300)에 결속되는 구동 와이어(580)와, 상기 상부프레임(10)의 두께부를 관통하여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며 하단부는 상기 구동 와이어(580)와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상부로 돌출되는 구동부재(5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재(590)는 베어링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기 상부프레임(10)에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베어링에 의해 축 부분이 견고히 지지되도록 하고 축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어셈블리(500a)는, 도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컨테이너가 상부프레임(10)에 적재될 때에는 상부로 돌출된 구동부재(590)의 상단부가 눌러져 구동부재(590)가 회동하게 되고, 컨테이너가 상부프레임(10)에서 하역될 때에는 눌러져 있던 구동부재(590)가 가이드어셈블리(300)의 탄성부재(370a)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 와이어(580)는 구동부재(590)가 회동함에 따라 상부프레임(10)의 폭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어셈블리(300)를 구동시켜 록킹어셈블리(100)가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체결 또는 결속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록킹유닛(120)과 상기 가이드어셈블리(300) 간의 연결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회전레버부(126)와 작동부재(310)가 서로 결속됨으로써 제1록킹유닛(120)과 가이드어셈블리(300)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작동부재(310)의 일단부에는 결속홀(312)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레버부(126)의 단부에 형성된 결속핀(127)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결속홀(312)은 상기 결속핀(127)과 마주하는 면이 테이퍼(taper)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결속핀(127)이 상기 결속홀(312)에 탈거된 상태에서 다시 결속될 때 정확한 위치가 아니더라도 테이퍼진 빗면을 통해 슬라이딩되어 결속홀(31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여기에 덧붙여, 상기 제1록킹유닛(120)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22) 일부를 소정 간극 이격되게 감싸는 수평밀림방지블록(128)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몸체부(122)와 헤드부(124)의 인접부위에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돌기(124a)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밀림방지블록(128)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방지돌기(124a)가 대응 삽입되는 회전방지홈(128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되지 않는 제1록킹유닛(120)이 컨테이너에 의해 눌러져 있게 되면 상술한 회전레버부(126)의 결속핀(127)이 결속홀(312)로부터 탈거되는데, 이때 상기 제1록킹유닛(120)의 헤드부(124)와 몸체부(122)가 컨테이너(C)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으로 인해 회전하게 되면 회전레버부(126)도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결속핀(127)과 결속홀(312) 간의 위치가 어긋나게 되고, 이로 인해 탈거된 결속핀(127)이 결속홀(312)에 재삽입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수평밀림방지블록(128)은 제1록킹유닛(120)이 컨테이너에 의해 눌러져 있는 상태에서 헤드부(124)와 몸체부(122)가 수평하중으로 인해 회전하거나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결속핀(127)과 결속홀(312) 간의 위치가 어긋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평밀림방지블록(128)은 함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록킹유닛(120)의 몸체부(122)를 이격되게 감싸므로 컨테이너(C)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결합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하여 기능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도5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상기 회전레버부(126)는 볼팅부재(125)에 의해 몸체부(122)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상기 회전레버부(126)와 상기 작동부재(310) 간의 결속을 해제시켜 제1록킹유닛(120)과 가이드어셈블리(300)가 서로 연동하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 제1록킹유닛(120)의 동작을 자동에서 수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제1록킹유닛(120)을 사용하지 않거나 고장으로 인해 작동이 불가능해져 수동 전환이 필요할 때 볼팅부재(125)를 해제함으로써 수동 작동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록킹유닛(120)의 수동 전환을 위한 구조는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가지는 구조로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회전레버부(126)에 형성된 결속핀(127)이 볼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레버부(126)의 단부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590)는 상기 구동 와이어(580)의 길이만큼 상기 상부프레임(10)의 폭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어셈블리(100)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도3 및 도6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상기 구동부재(590)와 상기 록킹어셈블리(100)와의 거리가 상기 상부프레임(10)의 폭 길이의 1/2 이상이 되도록 이격 배치되며, 특히 상기 록킹어셈블리(100)와 대향하는 다른 록킹어셈블리(100)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테이너가 적재된 상태의 트레일러는 코너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컨테이너가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부프레임(10)의 폭방향으로 대향하는 바깥쪽 부분이 작은 간극을 두고 들려지게 된다.
따라서 구동부재(590)가 연동하는 록킹어셈블리(100)에 인접하여 있을 경우 컨테이너가 들려지면서 눌러져 있던 구동부재(590)가 잠금해제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는 록킹어셈블리(100) 또한 풀림 동작하게 된다.
이에, 서로 연동하는 구동부재(590)와 록킹어셈블리(100)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게 함으로써 컨테이너의 한쪽 부분이 원심력에 의해 들려지더라도 록킹어셈블리(100)가 풀림 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서로 대향하는 록킹어셈블리(100)와의 거리를 W라고 하고, 서로 연동하는 구동부재(590)와 록킹어셈블리(100)와의 거리를 L이라고 할 때, L은 적어도 W/4 이상이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L은 W/2 이상이어야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L은 W와 같아질수록 적재된 컨테이너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구동어셈블리(50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어셈블리(300)에 결속되는 한 쌍의 반자동 와이어(585)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두께부를 관통하여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며, 하단부는 상기 반자동 와이어(585)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는 구동부재(595)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 중앙부에 마련되어 회전하며, 둘레부에는 한 쌍의 와이어 고정수단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반자동 와이어(585)를 각각 고정시키는 반자동 제어롤러(5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어셈블리(500b)는, 도8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컨테이너가 상부프레임에 적재될 때에는 상부로 돌출된 구동부재(595)의 상단부가 눌러져 구동부재(595)가 회동하게 되고, 컨테이너가 상부프레임에서 하역될 때에는 눌러져 있던 구동부재(595)가 가이드어셈블리(300)의 탄성부재(370a)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반자동 와이어(585)는 구동부재(595)가 회동함에 따라 상부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반자동 와이어(585)와 연결된 반자동 제어롤러(545)가 회전하면서 서로 대향하게 연결된 한 쌍의 반자동 와이어(585)가 동시에 구동하게 된다.
즉, 도8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어셈블리(500b)는 한 쌍의 반자동 와이어(585)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구동부재(595) 중 어느 하나만 눌러진 상태에서도 상기 반자동 제어롤러(545)에 의해 한 쌍의 반자동 와이어(585)가 동시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운행 중 코너 회전이나 진동으로 인해 컨테이너의 어느 한쪽이 들려져 해당 위치의 구동부재(595)가 눌림해제 되더라도 다른 한쪽의 구동부재(595)는 눌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부프레임의 양쪽에 2열로 배치된 록킹어셈블리(100)가 풀림 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만, 컨테이너 하역 작업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595)의 누름 상태가 동시에 해제되는 경우에는 상기 반자동 제어롤러(545)가 원위치로 회전하게 되어 한 쌍의 반자동 와이어(585)를 동시에 원위치로 전환되어 록킹어셈블리(100)가 정상적으로 풀림 동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재(595)와 상기 반자동 제어롤러(545) 사이에 위치하는 반자동 와이어(585)는 분리된 제1 반자동 와이어(585a)와 제2 반자동 와이어(585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반자동 와이어(585a)와 상기 제2 반자동 와이어(585b) 사이에는 길이 가변 가능한 텐션조절수단(555)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텐션조절수단(555)을 통해 상기 구동부재(595)와 반자동 와이어(585) 및 반자동 제어롤러(545) 간에 유기적으로 연결된 작동 타이밍 등을 조절함으로써 록킹어셈블리(100)의 잠금 및 풀림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텐션조절수단(555)으로는 죔기구 중의 하나인 턴버클(turnbuckle)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턴버클은 좌우에 나사막대가 있고 나사부가 공통 너트로 연결된 것으로 한쪽의 수나사는 오른나사이고 다른 수나사는 왼나사로 이루어져, 공통너트를 회전하면 2개의 수나사는 서로 접근하고 회전을 반대로 하면 멀어진다.
덧붙여, 상기 가이드어셈블리(300)와 상기 반자동 제어롤러(54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반자동 와이어(585)를 지지 및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롤러(53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가이드롤러(535)는 상기 반자동 와이어(585)가 당김 및 당김해제 되는 방향을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어셈블리(500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어셈블리(300)에 결속되는 자동 와이어(520)와, 상기 자동 와이어(520)와 직교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기 자동 와이어(520)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구동링크(540)와, 상기 구동링크(540)를 상기 상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상기 자동 와이어(520)가 당김 또는 당김해제 되도록 하는 구동모터(56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구동어셈블리(500c)는 하나의 구동링크(540)의 왕복 이동에 연동하여 복수의 자동 와이어(520)가 동시에 동작하게 됨으로써 자동 와이어(520)와 연결된 가이드어셈블리(300)가 일괄적으로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링크(540)는 도9에서 금속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 재질의 와이어 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구동모터(560)는 제어모듈(미도시)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자동으로 구동하는 구동어셈블리(500c)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패널(미도시) 등이 트레일러의 외측이나 차량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상술한 구성들의 구동을 전기적으로 감지하여 연동하는 센서와 제어모듈 및 경고램프 등이 더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구동어셈블리(500c)의 구동모터(560)와 인접한 위치에는 센서가 구비되어 동작 여부를 감지하여 작동 중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록킹어셈블리(100)와 인접한 위치에도 센서가 구비되어 잠금 또는 풀림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모듈로 전송되어 보다 확장된 신호 처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고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경고램프는 구동모터가 동작할 때 주의를 표시하는 색상이 점멸되고, 록킹어셈블리(100)의 잠금 또는 풀림 여부를 표시하는 색상이 서로 다르게 표시된다. 따라서 운전자나 작업자들이 록킹어셈블리(100)의 작동 상태는 물론 컨테이너의 고정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전한 작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구동모터가 동작할 때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스피커가 상기 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구동어셈블리(500c)는, 상기 구동링크(540)가 관통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지지브래킷(550)과, 상기 구동링크(540)의 일단부와 상기 지지브래킷(55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링크(540)를 탄성지지하는 복귀부재(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구동링크(540)가 구동모터(560)에 의해 급격하게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고 구동링크(540)가 보다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복귀부재(570)의 탄성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한 구동링크(540)가 원위치로 이동할 때 구동모터(560)의 구동력 없이도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구동링크(540)가 지지브래킷(550)에 의해 원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보다 정확하게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자동 와이어(520)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가이드어셈블리(300)와 상기 구동링크(5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 와이어(520)를 지지 및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롤러(5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 가이드롤러(530)는 상기 자동 와이어(520)가 당김 및 당김해제 되는 방향을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동어셈블리(500c)에 의해 작동하는 가이드어셈블리(300a)는, 도12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라, 일단부는 상기 제1록킹유닛(120)의 회전레버부(126)와 결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자동 와이어(520)와 연결되는 작동부재(310)와, 상기 작동부재(310)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부재(310)의 타단부 또는 상기 자동 와이어(520)가 관통하여 슬라이딩되는 홀이 형성된 고정부재(350a)와, 상기 작동부재(310)와 상기 고정부재(350a)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작동부재(31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7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어셈블리(300a)는 도12를 참조하면 그 작동 원리를 이해 가능한 것으로, 구동링크(540)의 왕복 이동에 따라 자동 와이어(520)가 당김 및 당김해제됨에 따라 상기 자동 와이어(520)와 연결된 작동부재(310)가 왕복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작동부재(310)의 일단부에 결속된 제1록킹유닛(120)의 회전레버부(126)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이와 연동하는 제1록킹유닛(120)의 몸체부(122)와 헤드부(124)가 잠금 동작과 풀림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어셈블리(300b)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는 상기 제1록킹유닛(120)의 회전레버부(126)와 결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자동 와이어(520)와 연결되는 회동부재(320)와, 상기 회동부재(320)가 상기 자동 와이어(520)의 움직임에 따라 일정 반경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부재(320)의 일측을 지지하는 회전축부재(360b)와, 상기 회전축부재(360b)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자동 와이어(520)가 관통하여 슬라이딩되는 홀이 형성된 고정부재(350b)와, 상기 회동부재(320)의 타단부와 상기 고정부재(350b)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동부재(32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7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어셈블리(300b)는 도1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구동링크(540)의 왕복 이동에 따라 자동 와이어(520)가 당김 및 당김해제됨에 따라 상기 자동 와이어(520)와 연결된 회동부재(320)가 일정 반경 회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회동부재(320)의 일단부에 결속된 제1록킹유닛(120)의 회전레버부(126)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이와 연동하는 제1록킹유닛(120)의 몸체부(122)와 헤드부(124)가 잠금 동작과 풀림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어셈블리(300c)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는 상기 제2록킹유닛(140)의 체결부재(142)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도록 결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자동 와이어(520)와 연결되는 누름부재(330)와, 상기 누름부재(330)가 상기 자동 와이어(520)의 움직임에 따라 일정 반경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누름부재(330)의 일측을 지지하는 회전축부재(360c)와, 상기 체결부재(142)와 상기 지지블록(14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체결부재(142)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7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3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어셈블리(300c)는 도1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구동링크의 왕복 이동에 따라 와이어(520a,520b)가 당김 및 당김해제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520a,520b)와 연결된 누름부재(330)가 일정 반경 회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누름부재(330)의 일단부가 상기 제2록킹유닛(140)의 체결부재(142)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게 됨으로써 체결부재(142)의 단부가 코너캐스팅 내부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누름부재(330)와 상기 체결부재(142)가 연결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체결부재(142)의 머리부에는 일정 길이의 연결부재(15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150)는 상기 누름부재(330)가 상기 체결부재(14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1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부재(330)의 타단부에는 상기 연결부재(15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홈(33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누름부재가 원활하게 회동하면서 상기 체결부재(142)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14에 예시된 상기 탄성부재(370c)는 체결부재(142)와 상기 지지블록(144)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어셈블리(300c)의 범주에 포함되는 위치에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4에 도시된 누름부재(330)와 체결부재(142) 사이에 개재되거나 후술할 수동레버(340)의 손잡이(342)와 상부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동일한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덧붙여, 앞선 제3실시예에서 더 부가될 수 있는 일례에 따르면, 상기 누름부재(330)의 타단부에는 상부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동레버(3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동레버(340)의 끝단부에는 파지 가능한 형태의 손잡이(342)가 마련되어 상기 누름부재(330)를 수동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동레버(340)와 근접한 상기 와이어(520a,520b)의 일측은 수동전환유닛(400)에 의해 연결 또는 분리되며, 상기 누름부재(330)는 상기 수동전환유닛(400)에 의해 상기 와이어(520a,520b)가 분리되면 수동 회동이 가능해진다.
즉, 상기 수동전환유닛(400)에 의해 상기 와이어(520a,520b)가 분리됨으로써 상기 누름부재(330)가 구동어셈블리(500c)로부터 완전히 독립되어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수동레버(340)를 조작하여 상기 누름부재(330)를 수동 조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동전환유닛(400)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와이어(520a) 중 하나와 연결되는 제1연결구(460)와, 분리된 다른 와이어(520b)와 연결되는 제2연결구(420)와, 상기 제1연결구(460)와 상기 제2연결구(4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트너트부재(440,4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볼트너트부재(440,450)를 나사결합 또는 나사결합해제함에 따라 상기 제1연결구(460)와 상기 제2연결구(420)가 서로 연결 또는 분리되므로 상기 누름부재(330)의 수동 전환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다수개의 록킹어셈블리가 자동으로 잠금 및 풀림 작동되므로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록킹어셈블리의 잠금 및 풀림이 자동 방식으로 구현되므로 운전자가 편리하게 사용 가능함은 물론 컨테이너가 상부프레임에 결속되는 시간을 절약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기존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기설치된 수동방식의 록킹어셈블리를 재활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교체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교체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자동방식을 구현하는 부품이 고장이나 파손 등으로 작동 불가 상태가 되더라도 수동방식으로 용이하게 전환함으로써 작동 불가로 인한 영업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수직방향으로 결속되는 제1록킹유닛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 결속되는 제2록킹유닛도 자동화를 구현함으로써 컨테이너가 상부프레임에 견고히 고정됨은 물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 컨테이너
10: 상부프레임
100: 록킹어셈블리
120: 제1록킹유닛
122: 몸체부
124: 헤드부
124a: 회전방지돌기
125: 볼팅부재
126: 회전레버부
127: 결속핀
128: 수평밀림방지블록
128a: 회전방지홈
140: 제2록킹유닛
142: 체결부재
144: 지지블록
150: 연결부재
190: 완충유닛
192: 지지부재
194: 고압축 스프링
196: 결합부재
300, 300a, 300b, 300c: 가이드어셈블리
310: 작동부재
312: 결속홀
320: 회동부재
330: 누름부재
332: 슬라이딩홈
340: 수동레버
342: 손잡이
350a, 350b: 고정부재
360b, 360c: 회전축부재
370a, 370b, 370c: 탄성부재
400: 수동전환유닛
420: 제2연결구
440, 450: 볼트너트부재
460: 제1연결구
500a, 500b, 500c: 구동어셈블리
510: 가이드방향 변환롤러
520: 자동 와이어
530: 제2 가이드롤러
535: 제1 가이드롤러
540: 구동링크
545: 반자동 제어롤러
550: 지지브래킷
555: 텐션조절수단
560: 구동모터
570: 복귀부재
580: 구동 와이어
585: 반자동 와이어
585a: 제1 반자동 와이어
585b: 제2 반자동 와이어
590, 595: 구동부재

Claims (17)

  1. 적어도 4개가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되어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것으로, 상하 이동하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회전각에 따라 컨테이너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헤드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 일측에서 파지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회전레버부와, 상기 몸체부와 상기 헤드부의 인접부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돌기와, 상기 몸체부 일부를 소정 간극 이격되게 감싸며 상부에는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대응 삽입되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된 수평밀림방지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록킹유닛을 포함하는 록킹어셈블리;
    상기 록킹어셈블리와 연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록킹어셈블리의 체결 또는 체결해제 작동을 유도하는 가이드어셈블리; 및
    상기 2열로 배치된 록킹어셈블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어셈블리를 구동시키는 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레버부의 단부에는 결속핀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어셈블리의 일단부에 형성된 결속홀에 삽입 및 삽입해제되고, 상기 결속홀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결속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어셈블리는,
    컨테이너의 코너캐스팅에 형성된 관통공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핀 형태의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록킹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어셈블리에 결속되는 구동 와이어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두께부를 관통하여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며, 하단부는 상기 구동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구동 와이어의 길이만큼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어셈블리를 구동시키되,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록킹어셈블리와의 거리가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 길이의 1/2 이상이 되도록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어셈블리에 결속되는 한 쌍의 반자동 와이어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두께부를 관통하여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며, 하단부는 상기 반자동 와이어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 중앙부에 마련되어 회전하며, 둘레부에는 한 쌍의 와이어 고정수단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반자동 와이어를 각각 고정시키는 반자동 제어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반자동 제어롤러 사이에 위치하는 반자동 와이어는 분리된 제1 반자동 와이어와 제2 반자동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반자동 와이어와 상기 제2 반자동 와이어 사이에는 길이 가변 가능한 텐션조절수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어셈블리와 상기 반자동 제어롤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반자동 와이어를 지지 및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롤러는 상기 반자동 와이어가 당김 및 당김해제 되는 방향을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어셈블리에 결속되는 자동 와이어와,
    상기 자동 와이어와 직교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자동 와이어의 중앙부를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수단이 형성된 구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를 상기 상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상기 자동 와이어가 당김 또는 당김해제 되도록 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어셈블리와 상기 구동링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 와이어를 지지 및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이드롤러는 상기 자동 와이어가 당김 및 당김해제 되는 방향을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80101114A 2017-11-10 2018-08-28 컨테이너 결속장치 KR102140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272,157 US20210188152A1 (en) 2017-11-10 2018-10-25 Container binding device
CN201880096983.XA CN112672919A (zh) 2017-11-10 2018-10-25 集装箱锁定装置
JP2021535478A JP2022510490A (ja) 2017-11-10 2018-10-25 コンテナ結束装置
PCT/KR2018/012749 WO2020045736A1 (ko) 2017-11-10 2018-10-25 컨테이너 결속장치
EP18931937.9A EP3845416A4 (en) 2017-11-10 2018-10-25 CONTAINER FIX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49145 2017-11-10
KR1020170149145 2017-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028A KR20190054028A (ko) 2019-05-21
KR102140090B1 true KR102140090B1 (ko) 2020-08-03

Family

ID=66676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114A KR102140090B1 (ko) 2017-11-10 2018-08-28 컨테이너 결속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188152A1 (ko)
EP (1) EP3845416A4 (ko)
JP (1) JP2022510490A (ko)
KR (1) KR102140090B1 (ko)
CN (1) CN112672919A (ko)
WO (1) WO20200457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239B1 (ko) * 2020-07-27 2023-05-12 한광희 컨테이너 잠금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167B1 (ko) * 2015-10-28 2016-11-22 조현일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1341A (en) * 1962-04-02 1963-11-19 Fruehauf Corp Automatic locking system for coupling a shipping container to a vehicle frame or the like
JPS4627761Y1 (ko) * 1968-01-31 1971-09-25
DE2312402C2 (de) * 1973-03-13 1975-03-13 Graubremse Gmbh, 6900 Heidelberg Vorrichtung zum Verriegeln eines Frachtbehälters auf einem Untersatz, insbesondere einem Fahrgestell
AT333607B (de) * 1973-03-13 1976-12-10 Graubremse Gmbh Vorrichtung zum verriegeln eines frachtbehalters auf einem untersatz, insbesondere einem fahrgestell
DE2539081B2 (de) * 1975-09-03 1979-07-05 Graubremse Gmbh, 6900 Heidelberg Vorrichtung zum Verriegeln eines Frachtbehälters auf einem Untersatz, insbesondere einem Fahrgestell
US4266820A (en) * 1979-05-14 1981-05-12 Pullman Incorporated Variance compensating coupler for container-carrying trailer chassis
GB8507101D0 (en) * 1985-03-19 1985-04-24 Politz R E Locking apparatus
DD246951A1 (de) * 1986-03-04 1987-06-24 Grube Veb Kraftfahrzeug Verriegelung, insbesondere fuer container
JP3044968B2 (ja) * 1993-04-20 2000-05-22 神鋼電機株式会社 荷役作業車輌における積荷プラットフォームのストッパ兼ガイドレール装置
JPH06344823A (ja) * 1993-06-10 1994-12-20 Shinko Electric Co Ltd 貨物運搬用車両
US5575599A (en) * 1994-04-15 1996-11-19 Penz Products, Inc. Container lock pin system
US5564725A (en) * 1995-10-17 1996-10-15 Hutchens Industries, Inc. Pneumatically operated slider locking mechanism
DE19603817A1 (de) * 1996-02-02 1997-10-09 Gerd Schulz Vorrichtung zur Verriegelung eines Containers an einem Fahrzeugchassis
JPH09267681A (ja) * 1996-04-03 1997-10-14 Power Reactor & Nuclear Fuel Dev Corp 輸送容器の緊締装置
DE19734813A1 (de) * 1997-08-12 1999-02-18 Juergen Gloystein Staustück
GB9723565D0 (en) * 1997-11-08 1998-01-07 Cornwell Dennis Iso multi-lock
KR100351793B1 (ko) * 2000-01-27 2002-09-11 금명정밀공업 주식회사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자동 록킹장치
CA2365983C (en) * 2001-12-20 2003-10-28 Moody Industries Inc. Cargo retaining apparatus
ES1053467Y (es) * 2002-11-15 2003-08-01 Labraca Carlos Manuel Panos Dispositivo de fijacion para contenedores de transporte.
JP2007152966A (ja) * 2005-11-09 2007-06-21 Takao Fukuda ごみ用コンテナ固定装置
US7637704B2 (en) * 2007-01-11 2009-12-29 Portec Rail Products Inc. Railcar container lock providing automatic locking and unlocking
DE102007039780A1 (de) 2007-08-23 2009-02-26 Gottwald Port Technology Gmbh Vorrichtung zum Sichern eines Containers auf einer Plattform eines Transportfahrzeugs
CN201457214U (zh) * 2009-08-06 2010-05-12 上海世龙运输设备部件有限公司 自动扭锁装置
JP5468335B2 (ja) * 2009-09-04 2014-04-09 日本トレクス株式会社 コンテナ積載用セミトレーラ
KR101016138B1 (ko) * 2009-11-20 2011-02-17 조영래 컨테이너의 자동 잠금장치
DE202010005717U1 (de) * 2010-06-25 2011-09-30 Rmm Metternich Mechatronik Gmbh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Container
JP2014129019A (ja) * 2012-12-28 2014-07-10 Nippon Fruehauf Co Ltd コンテナの緊締装置
US9011055B1 (en) * 2013-08-05 2015-04-21 Peck & Hale, L.L.C. Automatic lock for cargo container
US9387792B2 (en) * 2014-02-19 2016-07-12 Mi-Jack Products, Inc. Latching system for automatic securement of a container to a container chassis
KR102531239B1 (ko) * 2020-07-27 2023-05-12 한광희 컨테이너 잠금장치
US11752924B2 (en) * 2021-01-05 2023-09-12 Mi-Jack Products, Inc. Latching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 securement of a container to a container chassis
US11685353B2 (en) * 2021-01-05 2023-06-27 Mi-Jack Products, Inc. Systems and method for securement of a container to a vehicle having a brake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167B1 (ko) * 2015-10-28 2016-11-22 조현일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88152A1 (en) 2021-06-24
KR20190054028A (ko) 2019-05-21
JP2022510490A (ja) 2022-01-26
EP3845416A4 (en) 2022-06-08
WO2020045736A1 (ko) 2020-03-05
CN112672919A (zh) 2021-04-16
EP3845416A1 (en)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093B1 (ko) 컨테이너 결속장치
JP6275407B2 (ja) コンテナロック
US7448640B2 (en) Pin-engaging drawbar and lock plate wedges
US5971434A (en) Latch mechanism for a protective structure of a skid steer loader
KR102140090B1 (ko) 컨테이너 결속장치
KR102531239B1 (ko) 컨테이너 잠금장치
DK2694407T3 (en) A lifting device for a container
KR101678167B1 (ko)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
KR101016138B1 (ko) 컨테이너의 자동 잠금장치
US10486583B2 (en) Multifunctional locking device for container of trailer
DE202005013599U1 (de) Ladegutsicherung für Absetzbehälter auf Transportfahrzeugen
EP1355837B1 (de) Behälter mit pneumatisch angetriebenem verriegelungsmechanismus
US8465236B2 (en) Tie-down assembly
DE3147602A1 (de) "verriegelungssystem fuer den drehzapfen von containerhandhabern"
DE202019100020U1 (de) Ladungssicherungssystem für Heckklappe
US3591200A (en) Compensator head for logging trailers
DE202018105111U1 (de) Boxlink einer vertikalen Schiene
KR101808031B1 (ko) 컨테이너 잠금장치
US11358535B2 (en) Attachment system
KR102419040B1 (ko) 사이드 가드의 탈착 구조
CN211764747U (zh) 一种重型车辆牵引杆固定装置
CN213706143U (zh) 一种乏燃料货包运输的适配加固装置
KR101622144B1 (ko)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
DE4319979C2 (de)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Container auf Fahrzeugen, insbesondere Schienenfahrzeugen
KR200478007Y1 (ko) 대차의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