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007Y1 - 대차의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대차의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007Y1
KR200478007Y1 KR2020140000328U KR20140000328U KR200478007Y1 KR 200478007 Y1 KR200478007 Y1 KR 200478007Y1 KR 2020140000328 U KR2020140000328 U KR 2020140000328U KR 20140000328 U KR20140000328 U KR 20140000328U KR 200478007 Y1 KR200478007 Y1 KR 2004780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gie
fixing
lever
support portion
exter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883U (ko
Inventor
유영철
Original Assignee
유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철 filed Critical 유영철
Priority to KR2020140000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007Y1/ko
Publication of KR201500028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8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0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대차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대차의 고정 장치에 있어서, 바디부; 상기 바디부를 상기 대차에 체결시키는 체결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를 압축 또는 이완시키는 관통축과 상기 관통축이 관통하는 장공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부; 및 외력을 가해 상기 지지부를 하강시키는 고정레버와 상기 지지부를 상승시키는 해지레버를 구비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레버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제1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레버 및 상기 해지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관통축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차의 고정 장치{The fixing apparatus for a cart}
본 고안은 대차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반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대차를 발로 외력을 가해 바닥면에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대차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화물 등을 적재하여 일정한 장소로 운반하는 경우에 적재함의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고 적재함의 일측에 핸들이 설치되어 적재 및 이동이 용이한 대차(臺車)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대차는 대개 공장이나 매장 등의 건물내와 같은 한정된 구역에서 수화물을 필요한 장소로 이동시킬 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대차는 적재함에 바퀴를 설치하여 이동 가능하게 제작되는 아주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작업시 작업자가 대차가 유동되지 않도록 잡고 있어야 한다든가 별도의 쐐기형상의 버팀목을 구비하여 대차의 바퀴측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대차를 이용한 적재 및 운반작업시 정지된 대차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작업자가 필요로 하게 되는 것은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폐단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폐단을 해소하기 위하여 작업자 혼자 대차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특히 경사진 곳에서 대차의 정지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방편이 충분하지 못하여 치명적인 안전사고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정지된 대차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대차의 고정 장치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KR 10-0990132 (2010. 10. 20)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지된 대차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대차의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경사진 곳에서도 대차의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대차의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고정 장치는 대차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대차의 고정 장치에 있어서, 바디부; 상기 바디부를 상기 대차에 체결시키는 체결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를 압축 또는 이완시키는 관통축과 상기 관통축이 관통하는 장공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부; 및 외력을 가해 상기 지지부를 하강시키는 고정레버와 상기 지지부를 상승시키는 해지레버를 구비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레버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제1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레버 및 상기 해지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관통축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외력을 가해 상기 고정레버를 누르면 상기 해지레버가 상승하고, 외력을 가해 상기 해지레버를 누르면 상기 고정레버가 상승한다.
상기 바디부, 상기 체결부, 상기 지지부, 상기 받침부 및 상기 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는, 마모방지를 위해 나일론 부싱처리된다.
상기 받침부는 높이 조절을 위한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대차의 고정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발로 외력을 가해 대차를 바닥에 고정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받침부가 유동 가능하여 경사진 곳에서도 대차의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고정 장치가 대차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고정 장치의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고정 장치와 대차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고정 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3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고정 장치(10)는, 대차(1)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대차의 고정 장치(10)에 있어서, 바디부(200), 바디부(200)를 대차(1)에 체결시키는 체결부(100), 바디부(200)의 내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320)를 압축 또는 이완시키는 관통축(340)과 관통축(340)이 관통하는 장공(310)을 포함하는 지지부(300), 지지부(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부(400) 및 외력을 가해 지지부(300)를 하강시키는 고정레버(500)와 지지부(300)를 상승시키는 해지레버(600)를 구비하는 구동부(500, 600)를 포함한다. 이 때, 바디부(200)의 외측에 연결되어 고정레버(500)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제1 링크부재(230)를 포함하고, 고정레버(500) 및 해지레버(600)와 연결되어 관통축(34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2 링크부재(330)를 포함한다.
체결부(100)의 일측은 바디부(200)와 용접 등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합 할 수 있는 방법에 의해 결합되고, 체결부(100)의 타측은 대차(1)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이 때, 체결부(100)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여, 상기 대차(1)의 일측면에 복수의 볼팅(bolting)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결합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 고정 장치(10)는 대차(1)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체결부(100)는 바디부(200)와 대차(1)를 체결 할 수 있다면 그 결합 위치와 방법, 개수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바디부(200)는 상하면이 뚫려 있는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 지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바디부(200)의 단면 형상은 원뿐만 아니라 타원, 다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300)의 내부에는 탄성부재(320)가 위치하여 일정한 힘이 가해지면 지지부(300)를 바디부(200)의 하부로 밀거나 바디부(200)의 내부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 때, 탄성부재(320)는 외력에 의해 압축과 이완가능한 스프링 등 통상의 기술자가 채용할 수 있는 모든 소재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부(300)는 탄성부재(320)를 압축 또는 이완시키는 관통축(340)과 관통축(340)이 관통하는 장공(310)을 포함한다. 관통축(340)은 외력에 의해 장공(310)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탄성부재(320)를 이완 시키고, 장공(310)의 상부로 이동하면 탄성부재(320)를 압축시킨다. 여기에서 장공(310)은 지지부(300)의 양측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나, 관통축(34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 장공(310)의 형상, 크기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받침부(400)는 지지부(300)의 하부에 형성되며 고정레버(500)에 의해 지지부(300)가 하강했을 때 바닥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 때, 받침부(400)는 높이 조절을 위한 높이조절부재(410)를 포함하여, 체결부(100)에 의해 대차의 고정 장치(10)가 대차(1)의 측면에 결합되었을 때, 대차의 고정 장치(10)의 전체 높이를 소정 길이 조절 가능하여 대차(1)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대차의 고정 장치(10)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대차의 고정 장치(10)를 대차(1)의 측면에 설치 후 별도로 정밀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높이조절부재(410)는 볼트 형식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대차의 고정 장치(10)의 전체 높이를 소정 길이 조절 가능하다면 통상의 기술자가 채용가능한 높이 조절 방법, 소재 등을 포함한다.
또한, 받침부(400)는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여, 대차(1)가 경사진 곳에 정지해야 할 때 받침부(400)가 일정 각도를 이루며 지면에 고정되었을 때보다 받침부(400)의 하면 모두가 지면과 맞닿아 대차(1)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받침부(400)가 지면과 맞닿는 표면적이 넓어져 받침부(400)의 하단과 지면간의 마찰력이 높아지므로 대차(1)를 경사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경사진 곳에서 대차(1)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면 받침부(400)의 회동 가능한 소정 각도는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받침부(400)의 하부에는 마찰력이 높은 받침판(420)을 포함하여 대차(1)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대차(1)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면 받침판(420)의 소재, 형상, 크기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구동부(500, 600)는 작업자가 발로 외력을 가해 지지부(300)를 하강시킬 수 있는 고정레버(500)와 지지부(300)를 상승시킬 수 잇는 해지레버(600)로 이루어진다. 구동부(500, 600)가 2개로 이루어져 대차(1)의 고정 또는 해지를 함에 있어 작업자의 오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차의 고정 장치(10)는 바디부(200)의 외측에 연결되어 고정레버(500)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제1 링크부재(230)와 고정레버(500) 및 해지레버(600)와 연결되어 관통축(34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2 링크부재(330)를 포함한다.
도 3a을 참조하면, 고정레버(500)의 일부는 제1 링크부재(230)에 의해 고정되고, 다른 일부는 작업자가 발로 외력을 가해 하강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일부는 상기 외력이 가해져 하강시 제2 링크부재(330)를 통해 관통축(340)을 하강시켜 지지부(300)를 하강시킨다. 이 때, 관통축(340)은 지지부(300)의 내부에 위치하는 걸림턱(미도시)에 걸릴때까지 하강하게 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고정레버(500)와 지지부(300)가 하강하여 해지레버(600)와 연결된 제2 링크부재(330)의 일측이 지지부(300)와 가깝게 위치하게 되면서 제2 링크부재(330)와 연결되지 않은 해지레버(600)의 일측이 상승하게 된다. 이 때, 작업자가 발로 외력을 가해 제2 링크부재(330)와 연결되지 않은 해지레버(600)의 일측을 누르면 상기 걸림턱에 걸린 관통축(340)이 아래로 이동하면서 걸림이 해지되어 탄성부재(320)의 탄성력에 의해 관통축(340)과 지지부(300)는 상승하게 된다. 이 경우, 관통축(340)과 지지부(300)가 상승하면서, 도 3a에 위치한 것과 같이 제1 링크부재(230), 제2 링크부재(330), 고정레버(500) 및 해지레버(600)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발로 외력을 가해 고정레버(500)를 누르면 해지레버(600)가 상승하고, 외력을 가해 해지레버(600)를 누르면 고정레버(500)가 상승하여, 작업자가 대차(1)를 고정하는데 소비하는 힘을 줄일 수 있다. 다만, 외력을 가해 고정레버(500)를 누르면 해지레버(600)가 상승하고, 외력을 가해 해지레버(600)를 누르면 고정레버(500)가 상승하는 구조 및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가 채용가능한 모든 구조 및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바디부(200)의 내면과 지지부(300)의 외면은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나일론 표면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대차(1)를 고정 또는 해지하기 위해 바디부(200)의 내부에 위치한 지지부(300)가 상승 또는 하강운동을 하는 경우 바디부(200)와 지지부(300)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 소음을 줄이고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바디부(200)와 지지부(300)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 소음을 줄이고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면, 상기 표면 처리되는 소재는 나일론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고정 장치(10)에 따르면, 구동부(500, 600)를 통해 작업자의 간단한 동작으로 대차(1)를 고정 할 수 있으며, 심지어 경사진 곳에서도 대차(1)를 고정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대차의 고정 장치
100: 체결부
200: 바디부
300: 지지부
400: 받침부
500: 고정레버
600: 해지레버

Claims (4)

  1. 대차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대차의 고정 장치에 있어서,
    바디부;
    상기 바디부를 상기 대차의 일측면에 체결시키는 체결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를 압축 또는 이완시키는 관통축과 상기 관통축이 관통하는 장공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부;
    외력을 가해 상기 지지부를 하강시키는 고정레버와 상기 지지부를 상승시키는 해지레버를 구비하는 구동부;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레버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제1 링크부재; 및
    상기 고정레버 및 상기 해지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관통축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높이 조절을 위한 높이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며,
    상기 바디부의 내면과 상기 지지부의 외면은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나일론 표면 처리되는, 대차의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외력을 가해 상기 고정레버를 누르면 상기 해지레버가 상승하고,
    외력을 가해 상기 해지레버를 누르면 상기 고정레버가 상승하는, 대차의 고정 장치.
  3. 삭제
  4. 삭제
KR2020140000328U 2014-01-15 2014-01-15 대차의 고정 장치 KR2004780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328U KR200478007Y1 (ko) 2014-01-15 2014-01-15 대차의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328U KR200478007Y1 (ko) 2014-01-15 2014-01-15 대차의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883U KR20150002883U (ko) 2015-07-23
KR200478007Y1 true KR200478007Y1 (ko) 2015-08-18

Family

ID=53872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328U KR200478007Y1 (ko) 2014-01-15 2014-01-15 대차의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00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079B1 (ko) * 2019-10-08 2021-05-07 김성은 자동 지면 지지 고소작업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3902A (ja) 2006-04-17 2007-11-01 Sip Co Ltd 台車のロック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3902A (ja) 2006-04-17 2007-11-01 Sip Co Ltd 台車のロック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883U (ko) 2015-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720B1 (ko) 화물 적재 시스템
KR100675908B1 (ko) 자동 승강식 적재대를 가진 운반 대차의 적재대 고정장치
KR101760923B1 (ko)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
KR200478007Y1 (ko) 대차의 고정 장치
KR101635367B1 (ko) 운반장치
KR200429036Y1 (ko) 슬라이드 적재프레임 구조
KR101394444B1 (ko) 코일고정장치
CN101883643A (zh) 清洁机
US20140248114A1 (en) Lifting device for conveyor equipped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100790321B1 (ko) 슬라이드 적재프레임 구조
KR20150009213A (ko)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
KR200478006Y1 (ko) 대차의 고정 장치
KR20180007882A (ko) 다용도의 이동 구조물용 래치타입의 착지장치
KR101324543B1 (ko) 하역기의 주행 제동장치
US9527711B2 (en) Lift frame for an industrial truck
KR101323758B1 (ko) 중량장비용 구름방지 스토퍼
JP5940889B2 (ja) 落下防止装置
CN106494479A (zh) 一种发动机缸盖线返修车
KR100932287B1 (ko) 작업대차 장치
KR101456535B1 (ko) 프레스 시스템의 슬라이더 제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동방법
US20160362032A1 (en) Container receiving device for a vehicle interior
KR102406040B1 (ko) 적재함 프론트 가드 일체형 캐리어 장치
KR101576191B1 (ko) 캐빈 승강장치
KR200245448Y1 (ko) 컨테이너 지지대의 안전장치
KR102506946B1 (ko) 대차용 레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