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031B1 - 컨테이너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031B1
KR101808031B1 KR1020150188200A KR20150188200A KR101808031B1 KR 101808031 B1 KR101808031 B1 KR 101808031B1 KR 1020150188200 A KR1020150188200 A KR 1020150188200A KR 20150188200 A KR20150188200 A KR 20150188200A KR 101808031 B1 KR101808031 B1 KR 101808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ocker
housing
elastic member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5311A (ko
Inventor
조현일
한광희
조재민
Original Assignee
조현일
한광희
조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일, 한광희, 조재민 filed Critical 조현일
Publication of KR20170035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06Coupling devices between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65D90/0013Twist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Y2900/6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시 자동으로 동작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장치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장착되며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에 수용되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하 이동하는 중공관 형태의 상하작동구; 및 상기 상하작동구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 이동하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회전각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헤드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 일측에서 파지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록커;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잠금장치{Locking apparatus for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시 자동으로 동작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컨테이너의 하부프레임 및 잠금장치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라 함은 운반용기의 일종으로 육로수송 또는 선적수송을 위해 만들어진 대용량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일정 규격의 용기로서, 화물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송하기 위한 적재함을 일컫는다. 또한 대량화물의 규격화된 수용구이다.
이러한 컨테이너를 육상에서는 컨테이너 차량에 탑재하여 운송하고, 해상의 경우에는 컨테이너를 적재하기 위한 대형 컨테이너 선박을 이용하여 대량의 컨테이너를 운송하고 있다.
컨테이너를 육로로 운반하기 위한 운송수단으로 트레일러(Trailer)라는 차량에 이용되는데, 이 트레일러는 일반적으로 주행용 동력장치나 제어장치를 가지지 않고 트랙터에 편성되어 이끌리게 된다.
트레일러는 규격화된 컨테이너를 탑재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의 크기에 알맞게 설계되고, 또한 컨테이너에 화물을 적재한 상태의 중량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이렇게 설계된 트레일러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컨테이너를 탑재하게 되는데, 운송 중에 발생하는 급제동, 곡선도로, 경사도로, 기타 돌발상황에서 컨테이너가 트레일러에서 이탈되는 경우를 방지하고, 또한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트레일러의 상부에 컨테이너를 고정시키는 록킹장치가 설치된다.
도1A 및 도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수동방식의 록킹장치는,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에 구비된 상부프레임(1)의 다수곳에 레버(3)의 회전 및 승강 동작에 의해 잠금 또는 풀림 작용을 하는 록커(2)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의 정해진 위치에 컨테이너(4)를 탑재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상기 록커(2)의 레버(3)를 조작함에 따라, 록커(2)의 상단에 구비된 헤드부(2')가 컨테이너의 저면에 형성된 결속구멍(5)으로 삽입 및 체결된다.
즉, 상기 수동방식의 록킹장치는 트레일러와 이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일체로 결속되게 하여 운송 도중 안정성을 도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운전자는 컨테이너를 적재한 상태에서 록킹장치의 조작이 번거롭다는 이유로 잠금조작을 하지 않은채 운행하는 사례가 보편화 되어 있으며, 특히 노면이 불량한 도로나 급커브에서 컨테이너의 록킹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운행할 경우 트레일러로부터 컨테이너가 이탈 또는 추락되는 등의 대형사고가 유발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6762호와 같은 자동방식의 록킹장치가 제안된 있다.
도2A 및 도2B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방식의 록킹장치는,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장착되는 통체로 된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스프링(22)의 탄력과 외부의 하중에 의해 상향으로 출몰되는 중공부(21)를 가진 작동구(20)와, 상기 작동구(20)의 중공부(21)에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컨테이너에 삽입 체결되는 헤드부(31)를 구비하되 작동구(20)의 몰입동작시 접촉되어 연동되는 걸림턱(32)을 구비한 록커(30)와, 상기 록커(30)의 내부에 그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소정의 깊이 만큼 관형홈(40)이 형성되어 있되 이관형홈(40)에 형성되어 록커(30)가 하강될 때 일정범위로 회전되게 유도하는 곡면을 가진 슬릿홈(41)과, 상기 관형홈(40)의 내부에 탄성스프링(52)을 매개로 자유로이 슬라이딩 되게 하우징(10)의 저면에 결합한 덮개(11)에 고정설치된 지지축(50)과, 상기 지지축(50)의 상단 외주연에 형성되어 슬릿홈(41)에 삽입된 지점을 고정축으로 슬릿홈(41)을 따라 승강되는 록커(30)의 방향을 변위되게 하는 핀(51)을 포함한다.
즉, 상기 자동방식의 록킹장치는 컨테이너를 적재 또는 하역하는 과정에서 그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잠금 및 풀림 작용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중량이 과중한 컨테이너를 안전하게 록킹한 상태에서 운송함은 물론 록커의 조작으로 인한 불편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트레일러의 규격에 따라 상부프레임에는 록킹장치가 일정 간격으로 4개에서 12개까지 설치되며, 6개이상의 록킹장치가 설치된 트레일러의 경우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크기에 따라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록킹장치가 달라지게 된다.
도3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즉, 도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4)의 양측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록커(2)는 헤드부(2')가 컨테이너의 결속구멍(5)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양끝단부에 설치된 잠금장치 외에 중앙부에 설치된 컨테이너의 길이에 따라 사용 또는 미사용될 때가 있는데, 이때 사용되지 않는 록커(2)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헤드부(2')를 하우징(6) 내부로 넣어 컨테이너(4)가 상부프레임(1)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컨테이너(4)를 적재할 때마다 작업자가 일일이 사용되지 않는 록커(2)를 확인하고 사용되지 않는 록커(2)의 헤드부(2')를 수동으로 하우징(6) 내부로 함몰시켜야 하고 사용시에는 미리 상부로 돌출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작업자의 실수로 사용되지 않는 록커(2)의 헤드부(2')가 하우징(6)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컨테이너(4)를 적재하게 되면 컨테이너(4)의 하부프레임은 물론 록커(2)가 파손되어 상당한 수리 비용이 발생함은 물론 록커(2)가 파손되는 과정에서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0-0056538 A KR 10-0182902 B1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되지 않는 록커의 헤드부가 컨테이너 적재 및 하역시 하우징 내부로 자동으로 출몰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적어도 6개 이상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상기 상부프레임 상에 결속시키는 컨테이너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에 장착되며,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에 수용되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하 이동하는 중공관 형태의 상하작동구; 및 상기 상하작동구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 이동하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회전각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헤드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 일측에서 파지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록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잠금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하작동구의 일측에는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상방 이동 거리를 조절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하작동구의 내부 둘레면에는 내주연의 직경이 확장되도록 하방으로 단차진 제1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록커의 몸체부 둘레면에는 외주연의 직경이 축소되도록 하방으로 단차진 제2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단턱과 상기 제2단턱은 동일선상에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록커의 몸체부 일부를 소정 간극 이격되게 감싸는 완충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링은 상기 제2단턱과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하작동구와 상기 록커의 헤드부 사이를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하작동구는, 상기 헤드부에 가해지는 컨테이너의 하중 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이동하며 일측에는 나선형으로 관통된 가이드홀이 형성된 상하이동부와, 상기 록커의 몸체부에 형성된 관통홀 및 상기 가이드홀에 착탈 가능하게 결속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컨테이너의 하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상기 가이드부재를 하방 이동시켜 상기 록커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회전시키는 록커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하이동부는 내통과 외통으로 이루어져 그 사이에는 상기 록커작동부가 상하 이동하는 상하이동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끝단부가 상기 상하이동홈으로 돌출되어 상기 록커작동부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하이동부의 외통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재가 통과 가능한 직경의 착탈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록커의 몸체부에 형성된 관통홀은 길이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테이너의 고정에 사용되지 않는 록커의 헤드부가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시 자동으로 출몰되므로, 즉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헤드부의 함몰 및 돌출 위치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이 간단해지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과정에서 컨테이너의 하부프레임 및 록커가 파손될 우려가 없으며, 이로 인하여 컨테이너 및 잠금장치의 수명이 연장되고 파손으로 인한 대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a 및 도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2a 및 도2b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3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잠금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잠금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6은 도5에서의 상하작동구과 록커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도이고,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잠금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잠금장치는,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 양끝단부에 설치되는 4개의 잠금장치를 포함해서 적어도 6개 이상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상기 상부프레임 상에 결속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잠금장치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에 장착되는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상하작동구(400)과, 상기 상하작동구(4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 이동하는 록커(600)를 포함한다.
상기한 각 구성들은 서로 유기적인 관계에 의해 결합되어 연동 작동하는 것이며, 각각의 구성에서 구체적으로 형성된 상세 구성들은 본 발명이 유기적으로 작동함에 있어 현저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먼저, 하우징(200)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200)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매설 장착되며, 후술할 록커(600)와 상하작동구(400)이 중공부를 통해 상기 상부프레임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상기 하우징(200)의 중공부 형상은 상기 상하작동구(400)의 둘레부 형태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하작동구(400)의 상하 동작이 원활하도록 유도함은 물론 상기 상하작동구가 수평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하작동구(400)은 상기 하우징(200)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탄성부재(520,54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하 이동한다. 이러한 상하작동구(400)은 중공부를 통해 후술할 록커(600)의 헤드부(620)가 돌출되며, 상기 헤드부(620)에 가해지는 컨테이너의 하중과 상기 탄성부재(520,540)에 의해 상하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520,540)는 제1탄성부재(520)와 제2탄성부재(54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탄성부재(520)는 상기 상하작동구(400)의 중앙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2탄성부재(540)는 상기 상하작동구(400)의 둘레부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작동구(400)의 일측에는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돌기(4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연동하여 상기 하우징(200)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돌기(420)의 상방 이동 거리를 조절하는 걸림턱(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200)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턱(22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240)이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걸림턱(22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걸림돌기(420)의 상방 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상하작동구(400)가 하우징(200)의 중공부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부 이동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따른 다양한 대처가 가능해진다.
한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220)과 상기 하우징(200) 상단 사이의 상하 길이(B)는 상기 헤드부(620)의 상하 길이(A)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헤드부(620)가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로 함몰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하작동구(400)는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이격 수용되는 것으로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져 후술할 록커(600)를 이격되게 감싸므로 컨테이너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으로 인해 록커(600)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결합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하여 기능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록커(600)는 상기 상하작동구(4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 이동하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640)와, 상기 몸체부(640)의 상단에 형성되어 회전각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헤드부(620)와, 상기 몸체부(640)의 하단 일측에서 파지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는 파지부(6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에는 상기 파지부(66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부재는 수동 조작 후 상기 파지부(660)가 고정되도록 하여 특히 결속된 상태의 록커(6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잠금장치는,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작동구(400)의 내부 둘레면에는 내주연의 직경이 확장되도록 하방으로 단차진 제1단턱(440)이 형성되어 제1탄성부재(520)가 수용되며, 록커(600)의 몸체부(640) 둘레면에는 외주연의 직경이 축소되도록 하방으로 단차진 제2단턱(65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단턱(440)과 상기 제2단턱(650)은 동일선상에서 상기 제1탄성부재(520)에 의해 지지된다. 즉, 제1단턱(440)과 제2단턱(650)이 제1탄성부재(520)에 의해 동시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록커(600)는 제2단턱(650)을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520)에 의해 탄성지지되므로 헤드부(620)에 순간적인 하중이 발생하여 하강하더라도 제1탄성부재(520)가 이를 완충시켜 상기 헤드부(620)가 상기 상하작동구(400)에 부딪히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록커(600) 회전시 마찰하중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록커(600)의 몸체부(640) 일부를 소정 간극 이격되게 감싸는 완충링(3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완충링(300)은 상기 제2단턱(650)과 상기 제1탄성부재(5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하작동구(400)과 상기 록커(600)의 헤드부(620) 사이를 일정 간격 이격시킨다. 즉, 상기 상하작동구(400)과 상기 헤드부(620)는 항상 이격된 상태로 상하 이동하게 되며, 상기 헤드부(620)가 상기 상하작동구(400)과 부딪히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충격이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록커(400)의 회전시 마찰하중을 줄여 회전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록커(600)의 헤드부(620) 최상단에는 베어링(80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800)은 상기 헤드부(620)가 컨테이너의 하부프레임에 의해 하중이 가해지는 상태에서도 록커(60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베어링(800)은 도4에 예시된 볼 형태 또는 도5에 예시된 볼트 형태일 수 있으며, 이외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잠금장치의 상하작동구(40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620)에 가해지는 컨테이너의 하중 또는 제2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이동하며 일측에는 나선형으로 관통된 가이드홀(412h)이 형성된 상하이동부(410)와, 상기 록커(600)의 몸체부(640)에 형성된 관통홀(642h) 및 상기 가이드홀(412h)에 착탈 가능하게 결속되는 가이드부재(430)와, 상기 컨테이너의 하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상기 가이드부재(430)를 하방 이동시켜 상기 록커(600)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회전시키는 록커작동부(45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상하작동구(400)는 상기 록커(600)의 헤드부(620)가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삽입될 때 컨테이너의 하중에 의해 상기 록커작동부(450)가 하강하면서 상기 가이드부재(430)를 구동시킨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430)가 상기 가이드홀(412h)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록커(600)가 자동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헤드부(620)가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자동으로 체결 또는 체결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하이동부(410)는 내통(412)과 외통(414)으로 이루어져 그 사이에는 상기 록커작동부(450)가 상하 이동하는 상하이동홈(413h)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430)는 끝단부가 상기 상하이동홈(413h)으로 돌출되어 상기 록커작동부(450)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하이동부(410)의 외통(414) 및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재(430)가 통과 가능한 직경의 착탈가이드홀(414h,212h)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하우징(200)을 분리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상기 착탈가이드홀(414h,212h)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재(430)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기능장애가 발생하여 자동방식의 체결 또는 체결해제 작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외부에서 상기 착탈가이드홀(414h,212h)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재(430)를 탈거시켜 손쉽게 수동방식으로 전환함으로써 기능장애에 관계없이 계속해서 잠금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록커(600)의 몸체부(640)에 형성된 관통홀(642h)은 길이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록커(600)의 헤드부(620)에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하중으로 인해 록커(600)가 급격히 하강하더라도 상기 장공의 길이만큼 충격을 받지 않고 그 사이에 충격이 완충되므로 가이드부재(430) 등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테이너의 고정에 사용되지 않는 록커의 헤드부가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시 자동으로 출몰되므로, 즉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헤드부의 함몰 및 돌출 위치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이 간단해지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과정에서 컨테이너의 하부프레임 및 록커가 파손될 우려가 없으며, 이로 인하여 컨테이너 및 잠금장치의 수명이 연장되고 파손으로 인한 대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하우징
220: 걸림턱
240: 결합홈
300: 완충링
400: 상하작동구
410: 상하이동부
412: 내통
412h: 가이드홀
413h: 상하이동홈
414: 외통
414h, 212h: 착탈가이드홀
420: 걸림돌기
430: 가이드부재
440: 제1단턱
450: 록커작동부
520: 제1탄성부재
540: 제2탄성부재
600: 록커
620: 헤드부
640: 몸체부
642h: 관통홀
650: 제2단턱
660: 파지부
680: 록커 하단 걸림돌기
700: 중공부 하단 커버
710: 볼트 체결홈
800: 베어링

Claims (10)

  1.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적어도 6개 이상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상기 상부프레임 상에 결속시키는 컨테이너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에 장착되며,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에 수용되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하 이동하는 중공관 형태의 상하작동구; 및
    상기 상하작동구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 이동하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회전각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헤드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 일측에서 파지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록커;를 포함하되,
    상기 상하작동구의 내부 둘레면에는 내주연의 직경이 확장되도록 하방으로 단차진 제1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고,
    상기 록커의 몸체부 둘레면에는 외주연의 직경이 축소되도록 하방으로 단차진 제2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단턱과 상기 제2단턱은 동일선상에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작동구의 일측에는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잠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상방 이동 거리를 조절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잠금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의 몸체부 일부를 소정 간극 이격되게 감싸는 완충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링은 상기 제2단턱과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하작동구와 상기 록커의 헤드부 사이를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잠금장치.
  7.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적어도 6개 이상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상기 상부프레임 상에 결속시키는 컨테이너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에 장착되며,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에 수용되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하 이동하는 중공관 형태의 상하작동구; 및
    상기 상하작동구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 이동하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회전각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헤드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 일측에서 파지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록커;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작동구는,
    상기 헤드부에 가해지는 컨테이너의 하중 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이동하며 일측에는 나선형으로 관통된 가이드홀이 형성된 상하이동부와,
    상기 록커의 몸체부에 형성된 관통홀 및 상기 가이드홀에 착탈 가능하게 결속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컨테이너의 하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상기 가이드부재를 하방 이동시켜 상기 록커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회전시키는 록커작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하이동부는 내통과 외통으로 이루어져 그 사이에는 상기 록커작동부가 상하 이동하는 상하이동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끝단부가 상기 상하이동홈으로 돌출되어 상기 록커작동부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잠금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의 외통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재가 통과 가능한 직경의 착탈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잠금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의 몸체부에 형성된 관통홀은 길이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잠금장치.
KR1020150188200A 2015-09-21 2015-12-29 컨테이너 잠금장치 KR101808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082 2015-09-21
KR20150133082 2015-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311A KR20170035311A (ko) 2017-03-30
KR101808031B1 true KR101808031B1 (ko) 2017-12-13

Family

ID=58503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200A KR101808031B1 (ko) 2015-09-21 2015-12-29 컨테이너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0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164A (ko) 2021-01-28 2022-08-04 수창티피에스 주식회사 동시 이중잠금형 도어를 갖는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62012A (zh) * 2019-12-10 2020-03-06 中国铁建股份有限公司 一种吊具及吊装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762Y1 (ko) * 2000-01-27 2000-06-15 김용락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자동 록킹장치
KR101313260B1 (ko) * 2013-04-19 2013-09-30 강명구 차량용 컨테이너의 자동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2902B1 (ko) 1996-08-22 1999-04-15 박병재 트레일러용 컨테이너 록킹장치
DE102007039780A1 (de) 2007-08-23 2009-02-26 Gottwald Port Technology Gmbh Vorrichtung zum Sichern eines Containers auf einer Plattform eines Transportfahrzeug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762Y1 (ko) * 2000-01-27 2000-06-15 김용락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자동 록킹장치
KR101313260B1 (ko) * 2013-04-19 2013-09-30 강명구 차량용 컨테이너의 자동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164A (ko) 2021-01-28 2022-08-04 수창티피에스 주식회사 동시 이중잠금형 도어를 갖는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311A (ko) 201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7015B2 (en) Container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CN104684822B (zh) 锁紧装置
MXPA02007316A (es) Cerradura automatica de contenedores para trailers.
KR101808031B1 (ko) 컨테이너 잠금장치
JP6566504B1 (ja) バッテリーキャリア
US11697034B2 (en) Method of using an aircraft emergency slide container as an installation tool for deinstallation and installation of aircraft emergency slides
CN106829807A (zh) 模块化机动移动器附接
JP2007302103A (ja) 産業用無人ヘリコプターの車載固定具
KR20190054029A (ko) 컨테이너 결속장치
US20170158110A1 (en) Locking apparatus of container for trailer
US20070261979A1 (en) Aircraft brake assembly container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8100258B (zh) 用于货运飞行器中的货盘的防振动装置
AU2017202128B2 (en) Shipping container twist-lock
US10486583B2 (en) Multifunctional locking device for container of trailer
KR20220014817A (ko) 컨테이너 잠금장치
KR101630149B1 (ko)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
KR101622144B1 (ko)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
KR100834721B1 (ko) 철도차량용 컨테이너 록킹장치
KR102291850B1 (ko) 컨테이너의 자동 잠금장치
KR101516354B1 (ko) 차량의 적재함 도어 잠금장치
CN100368250C (zh) 用于固定紧凑型备用轮胎和全尺寸轮胎的支架组件
CN106494479B (zh) 一种发动机缸盖线返修车
KR20190054028A (ko) 컨테이너 결속장치
WO2016042212A1 (en) Base frame for supporting and lifting an internal combustion piston engine
KR101820670B1 (ko) 차량중장물 이송용 호이스트에 조립되는 충격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