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149B1 -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0149B1 KR101630149B1 KR1020150073052A KR20150073052A KR101630149B1 KR 101630149 B1 KR101630149 B1 KR 101630149B1 KR 1020150073052 A KR1020150073052 A KR 1020150073052A KR 20150073052 A KR20150073052 A KR 20150073052A KR 101630149 B1 KR101630149 B1 KR 1016301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er
- container
- automatic operation
- guide
- inner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자중에 의해 록커를 동작하도록 하여 트레일러에 컨테이너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동시에 트레일러의 운행 중 컨테이너의 고정력 증대로 인한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외부하우징;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이격 수용되는 중공관 형태의 내부하우징; 상기 내부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제1탄성부재와 상기 컨테이너의 하중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자동작동구; 상기 자동작동구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삽입되는 헤드부와, 상기 몸체부의 둘레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자동작동구의 상하 이동시 연동하는 제1걸림돌기와, 상기 몸체부의 둘레면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자동작동구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몸체부의 회전을 유도하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록커; 끝단부가 상기 유도부에 결속되도록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자동작동구의 내측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어 상기 자동작동구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록커를 회전시키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록커의 몸체부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내부하우징의 중공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록커연장부와, 상기 록커연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위치에 가변적으로 결합되는 길이조절부와, 상기 길이조절부의 일측에서 파지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수동작동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의 자중에 의해 록커를 동작하도록 하여 트레일러에 컨테이너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동시에 트레일러의 운행 중 컨테이너의 고정력 증대로 인한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라 함은 운반용기의 일종으로 육로수송 또는 선적수송을 위해 만들어진 대용량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일정 규격의 용기로서, 화물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송하기 위한 적재함을 일컫는다. 또한 대량화물의 규격화된 수용구이다.
이러한 컨테이너를 육상에서는 컨테이너 차량에 탑재하여 운송하고, 해상의 경우에는 컨테이너를 적재하기 위한 대형 컨테이너 선을 이용하여 대량의 컨테이너를 운송하고 있다.
컨테이너를 육로로 운반하기 위한 운송수단으로 트레일러(Trailer)라는 차량에 이용되는데, 이 트레일러는 일반적으로 주행용 동력장치나 제어장치를 가지지 않고 트랙터에 편성되어 이끌리게 된다.
트레일러는 규격화된 컨테이너를 탑재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의 크기에 알맞게 설계되고, 또한 컨테이너에 화물을 적재한 상태의 중량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이렇게 설계된 트레일러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컨테이너를 탑재하게 되는데, 운송 중에 발생하는 급제동, 곡선도로, 경사도로, 기타 돌발상황에서 컨테이너가 트레일러에서 이탈되는 경우를 방지하고, 또한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트레일러의 상부에 컨테이너를 고정시키는 록킹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록킹장치의 사용은 제도적으로 의무화되어 있으며, 수동방식 또는 자동방식의 선행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도1A 및 도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수동방식의 록킹장치는,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에 구비된 상부프레임(1)의 다수곳에 레버(3)의 회전 및 승강 동작에 의해 잠금 또는 풀림 작용을 하는 록커(2)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의 정해진 위치에 컨테이너(4)를 탑재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상기 록커(2)의 레버(3)를 조작함에 따라, 록커(2)의 상단에 구비된 헤드부(2')가 컨테이너의 저면에 형성된 결속구멍(5)으로 삽입 및 체결된다.
즉, 상기 수동방식의 록킹장치는 트레일러와 이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일체로 결속되게 하여 운송 도중 안정성을 도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운전자는 컨테이너를 적재한 상태에서 록킹장치의 조작이 번거롭다는 이유로 잠금조작을 하지 않은채 운행하는 사례가 보편화 되어 있으며, 특히 노면이 불량한 도로나 급커브에서 컨테이너의 록킹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운행할 경우 트레일러로부터 컨테이너가 이탈 또는 추락되는 등의 대형사고가 유발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6762호와 같은 자동방식의 록킹장치가 제안된 있다.
도2A 및 도2B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방식의 록킹장치는,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장착되는 통체로 된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스프링(22)의 탄력과 외부의 하중에 의해 상향으로 출몰되는 중공부(21)를 가진 작동구(20)와, 상기 작동구(20)의 중공부(21)에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컨테이너에 삽입 체결되는 헤드부(31)를 구비하되 작동구(20)의 몰입동작시 접촉되어 연동되는 걸림턱(32)을 구비한 록커(30)와, 상기 록커(30)의 내부에 그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소정의 깊이 만큼 관형홈(40)이 형성되어 있되 이관형홈(40)에 형성되어 록커(30)가 하강될 때 일정범위로 회전되게 유도하는 곡면을 가진 슬릿홈(41)과, 상기 관형홈(40)의 내부에 탄성스프링(52)을 매개로 자유로이 슬라이딩 되게 하우징(10)의 저면에 결합한 덮개(11)에 고정설치된 지지축(50)과, 상기 지지축(50)의 상단 외주연에 형성되어 슬릿홈(41)에 삽입된 지점을 고정축으로 슬릿홈(41)을 따라 승강되는 록커(30)의 방향을 변위되게 하는 핀(51)을 포함한다.
즉, 상기 자동방식의 록킹장치는 컨테이너를 적재 또는 하역하는 과정에서 그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잠금 및 풀림 작용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중량이 과중한 컨테이너를 안전하게 록킹한 상태에서 운송함은 물론 록커의 조작으로 인한 불편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방식의 록킹장치는 내장된 부품의 기능 장애시 잠금 및 풀림 작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데, 이 경우 록킹장치를 분해해여 트레일러로부터 탈거한 후 새로운 록킹장치로 교체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트레일러의 급출발, 급제동, 급커브 등의 운행으로 인해 컨테이너에 수평충격하중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컨테이너에 결속된 록커 및 중공부와 작동구에 직접 충격이 가해져 상기 록커와 결합된 부품이 손상되는 등 내구성이 저하되어 기능 장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컨테이너는 전용장치나 지게차 등을 통해 트레일러에 적재 또는 하역되는데, 이때 록커의 헤드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못하고 어긋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컨테이너의 하중이 작동구가 아닌 상기 록커의 헤드부에 그대로 전달되어 록커가 정상적으로 삽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수직 하강만 하게 되므로 상기 록커와 결합된 부품이 파손될 수 있으며, 결속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 장애가 발생하여 자동방식의 잠금 및 풀림 작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손쉽게 수동방식으로 전환하여 잠금 및 풀림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컨테이너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으로 인해 록커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기능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록커의 헤드부가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못하고 어긋나더라도 상기 록커와 결합된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원활한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복수개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상기 상부프레임 상에 결속시키는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에 장착되며, 적어도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외부하우징;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이격 수용되는 중공관 형태의 내부하우징; 상기 내부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제1탄성부재와 상기 컨테이너의 하중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자동작동구; 상기 자동작동구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삽입되는 헤드부와, 상기 몸체부의 둘레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자동작동구의 상하 이동시 연동하는 제1걸림돌기와, 상기 몸체부의 둘레면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자동작동구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몸체부의 회전을 유도하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록커; 끝단부가 상기 유도부에 결속되도록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자동작동구의 내측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어 상기 자동작동구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록커를 회전시키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록커의 몸체부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내부하우징의 중공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록커연장부와, 상기 록커연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위치에 가변적으로 결합되는 길이조절부와, 상기 길이조절부의 일측에서 파지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수동작동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록커의 몸체부 일부를 소정 간극 이격되게 감싸는 수평밀림 방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동작동구는, 상기 컨테이너와 이격 또는 접촉됨에 따라 상기 외부하우징 및 내부하우징의 중공부 위로 출몰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를 밀착 하강시키는 제1걸림부 및 상기 제1걸림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를 밀착 상승시키는 제2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제1걸림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그 사이의 공간부에 상기 제1걸림돌기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제1걸림돌기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2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상기 록커의 몸체부에는 상기 유도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걸림돌기와 이격하는 제2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록커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걸림부와 상기 제1걸림돌기가 결합하는 대향면 중 어느 한 면에는 엠보싱 형상의 완충돌기가 형성되어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록커의 유도부는 상기 몸체부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 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부재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록커의 유도부는 상기 몸체부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 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한 쌍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그 사이의 공간부에 상기 나선형 돌기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록커의 유도부는 상기 몸체부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나선형 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나선형 돌기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그 사이의 공간부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끝단부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록커의 유도부는 상기 몸체부에 관통 형성된 나선형 홀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도부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복수개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상기 상부프레임 상에 결속시키는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에 장착되며, 적어도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외부하우징;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이격 수용되는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나선형으로 관통된 유도홈이 형성되는 내부하우징; 상기 내부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제1탄성부재와 상기 컨테이너의 하중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자동작동구; 상기 자동작동구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삽입되는 헤드부와, 상기 몸체부의 둘레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자동작동구의 상하 이동시 연동하는 제1걸림돌기를 포함하는 록커; 상기 록커의 몸체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결속되도록 상기 내부하우징의 유도홈을 통과해 상기 자동작동구구의 내측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어 상기 자동작동구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록커를 회전시키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록커의 몸체부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내부하우징의 중공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록커연장부와, 상기 록커연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위치에 가변적으로 결합되는 길이조절부와, 상기 길이조절부의 일측에서 파지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수동작동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기능 장애가 발생하여 자동방식의 잠금 및 풀림 작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손쉽게 수동방식으로 전환하여 잠금 및 풀림 기능을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컨테이너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으로 인해 록커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결합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하여 기능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록커의 헤드부가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못하고 어긋난 상태로 하강하더라도 상기 록커와 결합된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원활한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자동 잠금 기능을 유발함으로써 컨테이너 상하차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컨테이너 이동 운송시 항시 결속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자동 및 수동 방식을 겸용함으로써 운전자의 편리함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A 및 도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2A 및 도2A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A 및 도2A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복수개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상기 상부프레임 상에 결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3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에 장착되는 외부하우징(100)과,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내부에 이격 수용되는 내부하우징(200)과, 상기 내부하우징(200) 내부에 수용되는 자동작동구(300)와, 상기 자동작동구(300)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록커(400)와, 상기 자동작동구(3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록커(400)를 회전시키는 가이드부재(500)와, 상기 가이드부재(500)가 탈거되면 상기 록커(400)를 수동 회전시키는 수동작동구(600)를 포함한다.
상기한 각 구성들은 서로 유기적인 관계에 의해 결합되어 연동 작동하는 것이며, 각각의 구성에서 구체적으로 형성된 상세 구성들은 본 발명이 유기적으로 작동함에 있어 현저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외부하우징(100)은 상기 상부프레임(9)에 장착되는 것으로 적어도 일면에 개구부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는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외부에서 보았을 때 후술할 내부의 가이드부재(500)가 보이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하우징(100)은 자동작동구(300)의 누름부(310)와 록커(400)의 헤드부(430)가 상부프레임(9) 위로 돌출된다. 여기서,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중공부 형상은 상기 누름부(310)의 둘레부 형태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310)의 상하 동작이 원활하도록 유도함은 물론 상기 누름부(310)가 수평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하우징(200)은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내부에 이격 수용되는 것으로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내부하우징(200)에는 후술할 가이드부재(500)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의 내부 둘레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500)의 결합이 용이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하우징(200)은 하부에 형성된 지지부재(70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하우징(100)에 수용되며, 상기 지지부재(700)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후술할 수동작동구(600)가 출몰될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지지부재(700)는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하우징(200)은 물론 제1탄성부재(470)가 함께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자동작동구(300)는 상기 내부하우징(200)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상기 제1탄성부재(470)와 상기 컨테이너(C)의 하중에 의해 상하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자동작동구(300)는 상기 컨테이너와 이격 또는 접촉됨에 따라 상기 외부하우징(100) 및 내부하우징(200)의 중공부 위로 출몰하는 누름부(310)와, 상기 누름부(31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450)를 밀착 하강시키는 제1걸림부(330)와, 상기 제1걸림부(3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450)를 밀착 상승시키는 제2걸림부(350)를 포함한다. 이러한 자동작동구(300)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는 후술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록커(400)는 상기 자동작동구(300)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410)와, 상기 몸체부(4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삽입되는 헤드부(430)와, 상기 몸체부(410)의 둘레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자동작동구(300)의 상하 이동시 연동하는 제1걸림돌기(450)와, 상기 몸체부(410)의 둘레면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자동작동구(300)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몸체부(410)의 회전을 유도하는 유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도부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는 후술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록커(400)의 몸체부(410) 일부를 소정 간극 이격되게 감싸는 수평밀림 방지턱(49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평밀림 방지턱(490)은 상기 외부하우징(100)에 고정되어 내부의 록커(400)를 보호한다.
즉, 상기 수평밀림 방지턱(490)은 상기 외부하우징(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록커(400)를 이격되게 감싸므로 컨테이너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으로 인해 록커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결합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하여 기능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부재(500)는 끝단부(520)가 상기 유도부에 결속되도록 상기 내부하우징(200)의 외측에서 상기 자동작동구(300)의 내측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자동작동구(3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록커(400)가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500)의 외주면에서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술한 내부하우징(200)의 결합공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상기 내부하우징(200)의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재(500)의 적어도 일부분과 밀착하여 고정되는 가이드 고정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5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동작동구(600)는 상기 록커(400)의 몸체부(410)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또는 일체형으로) 결합되거나 상기 내부하우징(200)의 중공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록커연장부(610)와, 상기 록커연장부(6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위치에 가변적으로 결합되는 길이조절부(630)와, 상기 길이조절부(630)의 일측에서 파지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레버(65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수동작동구(600)는 가이드부재(500)가 록커(400)의 유도부에 결속된 상태에서는 상기 자동작동구(300)와 연동하여 회전 동작하지만, 상기 가이드부재(500)가 록커(400)의 유도부로부터 결속해제되면 상기 유도부와는 상관없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레버(650)를 수동 조작하여 상기 록커(40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록커(400)의 헤드부(430)가 컨테이너(C)의 결속구에 결속 또는 결속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기능 장애가 발생하여 자동방식의 잠금 및 풀림 작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손쉽게 수동방식으로 전환하여 잠금 및 풀림 기능을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지지부재(700)에는 상기 레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레버 고정부재(7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레버 고정부재(710)는 수동 조작 후 상기 레버(650)가 고정되도록 하여 특히 결속된 상태의 록커(4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도3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앞서 설명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해당 실시예에서 특징적으로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A는 작동 전의 상태로서 헤드부(430)가 결속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3B는 작동 후의 상태로서 자동작동구(300)가 하강함으로 인해 헤드부(430)가 회전하여 컨테이너(C)의 결속구에 결속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3A 및 도3B를 참조하면, 자동작동구(300)의 제2걸림부(350a)는 제1걸림부(330)에 결합되어 제1탄성부재(470)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상기 제1걸림부(330)와 상기 제2걸림부(350a)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그 사이의 공간부에 상기 제1걸림돌기(450)의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자동작동구(300)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걸림부(330)가 상기 제1걸림돌기(450)를 밀착 하강시키고, 상기 자동작동구(30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걸림부(350a)가 상기 제1걸림돌기(450)를 밀착 상승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록커(400)의 유도부(411)는 몸체부(410)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 홈(411)으로 이루어져 가이드부재(500)의 끝단부(5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해당 실시예에서는 유도부(411)와 가이드부재(500)가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단일의 유도부(411)와 가이드부재(500)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500)가 관통되기 위해 형성되는 자동작동구(300)의 관통홀(322)은 길이방향으로 긴 장공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부재(700)의 중공부를 이루는 내측 둘레부는 상방으로 절곡되어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렇게 형성된 수용공간은 제1탄성부재(47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탄성부재(470)의 이탈을 방지한다.
<제2실시예>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A는 작동 전의 상태로서 헤드부(430)가 결속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4B는 작동 후의 상태로서 자동작동구(300)가 하강함으로 인해 헤드부(430)가 회전하여 컨테이너(C)의 결속구에 결속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4A 및 도4B를 참조하면, 자동작동구(300)의 제2걸림부(350b)는 상기 제1걸림돌기(45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2탄성부재(370)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자동작동구(300)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걸림부(330)가 상기 제1걸림돌기(450)를 밀착 하강시키고, 상기 자동작동구(30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걸림부(350b)가 상기 제1걸림돌기(450)를 밀착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탄성부재(370)는 상기 자동작동구(300) 및 록커(400)의 상승 작용이 원활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록커(400)의 유도부(412)는 앞선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몸체부(410)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 홈(412)으로 이루어져 가이드부재(500)의 끝단부(5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500)가 관통되기 위해 형성되는 내부하우징(200)의 관통홀(210)은 길이방향으로 긴 장공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걸림부(350b)와 상기 제1걸림돌기(450)가 결합하는 대향면 중 어느 한 면에는 엠보싱 형상의 완충돌기(356b)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완충돌기(356b)는 충격 하중을 분산시키고 록커(400) 회전시 제1걸림돌기(450)와 제2걸림부(350b) 간의 마찰을 저감시킨다.
그리고, 내부하우징(200)의 하단 경계면과 지지부재(700)의 내측단 사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된 단턱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단턱을 기준으로 상기 내부하우징(200)에 인접한 공간에는 제1탄성부재(47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지부재(700)의 내측단에 인접한 공간에는 제2탄성부재(37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3실시예>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A는 작동 전의 상태로서 헤드부(430)가 결속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5B는 작동 후의 상태로서 자동작동구(300)가 하강함으로 인해 헤드부(430)가 회전하여 컨테이너(C)의 결속구에 결속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5A 및 도5B를 참조하면, 록커(400)의 유도부(414)는 몸체부(410)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 돌기(414)로 이루어지며, 가이드부재(500)는 한 쌍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그 사이의 공간부에 상기 나선형 돌기(414)의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500)가 관통되기 위해 형성되는 내부하우징(200)의 관통홀(230a,230b)은 길이방향으로 긴 장공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실시예>
도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6은 록킹장치의 작동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작동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는 생략하였다.
도6을 참조하면, 록커(400)의 유도부(416)는 몸체부(410)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나선형 돌기(416a,416b)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나선형 돌기(416a,416b)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그 사이의 공간부에 상기 가이드부재(500)의 끝단부(5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500)가 관통되기 위해 형성되는 내부하우징(200)의 관통홀(210)은 길이방향으로 긴 장공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실시예>
도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7은 록킹장치의 작동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작동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는 생략하였다.
도7을 참조하면, 상기 록커(400)의 유도부(418)는 상기 몸체부(410)에 관통 형성된 나선형 홀(418)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500)가 관통되기 위해 형성되는 자동작동구(300)의 관통홀(322)은 길이방향으로 긴 장공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4A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예시된 유도부(412,414,416,418)들의 양측 단부는 적어도 하나가 상기 몸체부(410)의 축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앞서 배경기술란과 해결과제란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록커(400)의 헤드부(430)가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못하고 어긋나더라도 상기 록커와 결합된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원활한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자동작동구(300) 또는 록커(400)가 순간적인 외력에 의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더라도 축방향으로 절곡된 단부에 의해 상기 록커(400)는 상승 또는 하강을 시작하는 일정 구간 동안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순간적인 충격이나 외력에 의해 상기 유도부(412,414,416)에 결속된 가이드부재(5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도부(412,414,416)의 절곡된 단부의 길이(B)는 록킹장치가 작동 전 상태일 때 헤드부(430) 하단과 수평밀림 방지턱(490) 상단 사이의 길이(A)와 동일한 것이, 상기 유도부(412,414,416)와 상기 가이드부재(500) 간의 원활한 결속을 유지토록 하는데에 바람직하다.
<제6실시예>
도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8은 록킹장치의 작동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작동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는 생략하였다.
앞선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해당 실시예에서 변경 실시된 내부하우징(200)과 록커(400)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8을 참조하면, 내부하우징(200)의 일측에는 나선형으로 관통된 유도홈(220)이 형성되고, 가이드부재(500)가 상기 록커(400)의 몸체부(410)에 형성된 관통홀(419)에 결속되도록 상기 내부하우징(200)의 유도홈을 통과해 상기 자동작동구(300)구의 내측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자동작동구(300)가 상하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부재(500)가 상기 유도홈(220)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록커(40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도홈(220)은 한 쌍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록커(400)의 회전을 원활히 하는데에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500)가 관통되기 위해 형성되는 록커(400)의 관통홀(419)은 길이방향으로 긴 장공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4A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커(400)의 몸체부(410)에는 유도부(412,414,416) 또는 관통홀(419)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걸림돌기(450)와 이격하는 제2걸림돌기(460)가 형성되어 상기 록커(400)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록커(400)의 상방 이동이 일정 위치에서 제한되면 자동작동구(300)의 제1걸림부(330)와 상기 제1걸림돌기(450)가 서로 맞닿지 않고 일정 간격(C) 이격되게 되는데, 이는 상기 록커(400)의 헤드부(430)가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하여 결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간격 C는 컨테이너 결속구에 록커(400)의 헤드부(430)가 삽입되는 유도 구간이 되는 것으로, 상기 록커(400)의 헤드부(430)가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강할 때 상기 헤드부(430)의 밑면이 수평밀림 방지턱(490)에 닿아 컨테이너 결속구가 미끌리면서 정상 삽입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내부 부품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록커(400)의 회전이 완료되어 헤드부(430)가 잠금 방향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상기 제1걸림부(330)가 상기 제1걸림돌기(450)를 아래로 밀어 상기 록커(400)를 하강시킴으로써 컨테이너의 결속이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걸림부(330)와 상기 제1걸림돌기(450)가 이격된 간격(C)은 상기한 유도부(412,414,416,418) 또는 유도홈(220)의 곡선 구간의 높이(C')와 동일한 것이, 컨테이너의 결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에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기능 장애가 발생하여 자동방식의 잠금 및 풀림 작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손쉽게 수동방식으로 전환하여 잠금 및 풀림 기능을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컨테이너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으로 인해 록커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결합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하여 기능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록커의 헤드부가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못하고 어긋난 상태로 하강하더라도 상기 록커와 결합된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원활한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자동 잠금 기능을 유발함으로써 컨테이너 상하차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컨테이너 이동 운송시 항시 결속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자동 및 수동 방식을 겸용함으로써 운전자의 편리함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 컨테이너
9: 상부프레임
100: 외부하우징
200: 내부하우징
210,230: 관통홀
220: 유도홈
300: 자동작동구
310: 누름부
322: 관통홀
330: 제1걸림부
350a,b: 제2걸림부
356b: 완충돌기
370: 제2탄성부재
400: 록커
410: 몸체부
411,412,414,416,418: 유도부
419: 관통홀
430: 헤드부
450: 제1걸림돌기
460: 제2걸림돌기
470: 제1탄성부재
490: 수평밀림 방지턱
500: 가이드부재
520: 가이드부재 끝단부
600: 수동작동구
610: 록커연장부
630: 길이조절부
650: 레버
700: 지지부재
710: 레버 고정부재
9: 상부프레임
100: 외부하우징
200: 내부하우징
210,230: 관통홀
220: 유도홈
300: 자동작동구
310: 누름부
322: 관통홀
330: 제1걸림부
350a,b: 제2걸림부
356b: 완충돌기
370: 제2탄성부재
400: 록커
410: 몸체부
411,412,414,416,418: 유도부
419: 관통홀
430: 헤드부
450: 제1걸림돌기
460: 제2걸림돌기
470: 제1탄성부재
490: 수평밀림 방지턱
500: 가이드부재
520: 가이드부재 끝단부
600: 수동작동구
610: 록커연장부
630: 길이조절부
650: 레버
700: 지지부재
710: 레버 고정부재
Claims (12)
-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복수개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상기 상부프레임 상에 결속시키는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에 장착되며, 적어도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외부하우징(100);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내부에 이격 수용되는 중공관 형태의 내부하우징(200);
상기 내부하우징(200) 내부에 수용되어 제1탄성부재(470)와 상기 컨테이너의 하중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자동작동구(300);
상기 자동작동구(300)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410)와, 상기 몸체부(4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삽입되는 헤드부(430)와, 상기 몸체부(410)의 둘레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자동작동구(300)의 상하 이동시 연동하는 제1걸림돌기(450)와, 상기 몸체부(410)의 둘레면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자동작동구(300)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몸체부(410)의 회전을 유도하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록커(400);
끝단부(520)가 상기 유도부에 결속되도록 상기 내부하우징(200)의 외측에서 상기 자동작동구(300)의 내측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어 상기 자동작동구(3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록커(400)를 회전시키는 가이드부재(500); 및
상기 록커(400)의 몸체부(410)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내부하우징(200)의 중공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록커연장부(610)와, 상기 록커연장부(6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위치에 가변적으로 결합되는 길이조절부(630)와, 상기 길이조절부(630)의 일측에서 파지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레버(650)를 포함하는 수동작동구(600);를 포함하되,
상기 자동작동구(300)는,
상기 컨테이너와 이격 또는 접촉됨에 따라 상기 외부하우징(100) 및 내부하우징(200)의 중공부 위로 출몰하는 누름부(310)와, 상기 누름부(31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450)를 밀착 하강시키는 제1걸림부(330)와, 상기 제1걸림부(3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450)를 밀착 상승시키는 제2걸림부(350b)를 포함하며,
상기 제2걸림부(350b)는 상기 제1걸림돌기(45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2탄성부재(370)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상기 록커(400)의 몸체부(410)에는 상기 유도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걸림돌기(450)와 이격하는 제2걸림돌기(460)가 형성되어 상기 록커(400)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400)의 몸체부(410) 일부를 소정 간극 이격되게 감싸는 수평밀림 방지턱(4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부(350b)와 상기 제1걸림돌기(450)가 결합하는 대향면 중 어느 한 면에는 엠보싱 형상의 완충돌기(356b)가 형성되어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400)의 유도부(412)는 상기 몸체부(410)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 홈(412)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부재(500)의 끝단부(52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400)의 유도부(414)는 상기 몸체부(410)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 돌기(414)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부재(500)는 한 쌍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그 사이의 공간부에 상기 나선형 돌기(414)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400)의 유도부(416)는 상기 몸체부(410)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나선형 돌기(416a,416b)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나선형 돌기(416a,416b)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그 사이의 공간부에 상기 가이드부재(500)의 끝단부(520)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400)의 유도부(418)는 상기 몸체부(410)에 관통 형성된 나선형 홀(418)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부재(500)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 -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412,414,416,418)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몸체부(410)의 축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 -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복수개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상기 상부프레임 상에 결속시키는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에 장착되며, 적어도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외부하우징(100);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내부에 이격 수용되는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나선형으로 관통된 유도홈(220)이 형성되는 내부하우징(200);
상기 내부하우징(200) 내부에 수용되어 제1탄성부재(470)와 상기 컨테이너의 하중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컨테이너와 이격 또는 접촉됨에 따라 상기 외부하우징(100) 및 내부하우징(200)의 중공부 위로 출몰하는 누름부(310)와, 상기 누름부(31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450)를 밀착 하강시키는 제1걸림부(330)와, 상기 제1걸림부(3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450)를 밀착 상승시키는 제2걸림부(350b)를 포함하는 자동작동구(300);
상기 자동작동구(300)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410)와, 상기 몸체부(4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삽입되는 헤드부(430)와, 상기 몸체부(410)의 둘레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자동작동구(300)의 상하 이동시 연동하는 제1걸림돌기(450)를 포함하는 록커(400);
상기 록커(400)의 몸체부(410)에 형성된 관통홀(419)에 결속되도록 상기 내부하우징(200)의 유도홈(220)을 통과해 상기 자동작동구(300)구의 내측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어 상기 자동작동구(3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록커(400)를 회전시키는 가이드부재(500); 및
상기 록커(400)의 몸체부(410)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내부하우징(200)의 중공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록커연장부(610)와, 상기 록커연장부(6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위치에 가변적으로 결합되는 길이조절부(630)와, 상기 길이조절부(630)의 일측에서 파지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레버(650)를 포함하는 수동작동구(600);를 포함하며,
상기 제2걸림부(350b)는 상기 제1걸림돌기(45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2탄성부재(370)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상기 록커(400)의 몸체부(410)에는 상기 관통홀(419)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걸림돌기(450)와 이격하는 제2걸림돌기(460)가 형성되어 상기 록커(400)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3052A KR101630149B1 (ko) | 2015-05-26 | 2015-05-26 |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3052A KR101630149B1 (ko) | 2015-05-26 | 2015-05-26 |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30149B1 true KR101630149B1 (ko) | 2016-06-15 |
Family
ID=56135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3052A KR101630149B1 (ko) | 2015-05-26 | 2015-05-26 |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014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702454A (zh) * | 2020-07-31 | 2020-09-25 | 宁波伟隆港口机械有限公司 | 一种用于集装箱舱面锁的自动拆装用夹具 |
KR102411165B1 (ko) | 2021-02-16 | 2022-06-22 | 한국오텍 주식회사 | 피엘에스 차량의 컨테이너 흔들림 방지장치 |
KR20220138691A (ko) | 2021-04-06 | 2022-10-13 | 한국오텍 주식회사 | 피엘에스 차량의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82902B1 (ko) | 1996-08-22 | 1999-04-15 | 박병재 | 트레일러용 컨테이너 록킹장치 |
EP0771296B1 (en) * | 1994-07-18 | 2003-04-16 | Lövgren, Sten | A device comprising holding elements |
KR100460466B1 (ko) * | 2002-06-25 | 2004-12-14 | (주)파크랜드 | 트레일러 적재용 컨테이너의 자동 록킹장치 |
KR20100056538A (ko) | 2007-08-23 | 2010-05-27 | 고트발트 포르트 테히놀로지 게엠베하 | 컨테이너를 운송차량의 플랫폼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 |
-
2015
- 2015-05-26 KR KR1020150073052A patent/KR1016301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771296B1 (en) * | 1994-07-18 | 2003-04-16 | Lövgren, Sten | A device comprising holding elements |
KR0182902B1 (ko) | 1996-08-22 | 1999-04-15 | 박병재 | 트레일러용 컨테이너 록킹장치 |
KR100460466B1 (ko) * | 2002-06-25 | 2004-12-14 | (주)파크랜드 | 트레일러 적재용 컨테이너의 자동 록킹장치 |
KR20100056538A (ko) | 2007-08-23 | 2010-05-27 | 고트발트 포르트 테히놀로지 게엠베하 | 컨테이너를 운송차량의 플랫폼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702454A (zh) * | 2020-07-31 | 2020-09-25 | 宁波伟隆港口机械有限公司 | 一种用于集装箱舱面锁的自动拆装用夹具 |
KR102411165B1 (ko) | 2021-02-16 | 2022-06-22 | 한국오텍 주식회사 | 피엘에스 차량의 컨테이너 흔들림 방지장치 |
KR20220138691A (ko) | 2021-04-06 | 2022-10-13 | 한국오텍 주식회사 | 피엘에스 차량의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0149B1 (ko) |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 | |
KR101787427B1 (ko) |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다기능 록킹장치 | |
KR101258612B1 (ko) | 접이식 컨테이너 | |
US20160325928A1 (en) | A locking apparatus and a securing mechanism therein | |
US4266820A (en) | Variance compensating coupler for container-carrying trailer chassis | |
WO2018177150A1 (zh) | 锁具及具有其的托盘箱 | |
KR102140093B1 (ko) | 컨테이너 결속장치 | |
CN102470422B (zh) | 用于放置固定元件的装置 | |
US20170158110A1 (en) | Locking apparatus of container for trailer | |
US10315537B2 (en) | Foldable child car seat provided with a top tether strap | |
KR101622144B1 (ko) |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 | |
KR101808031B1 (ko) | 컨테이너 잠금장치 | |
JPWO2004108564A1 (ja) | コンテナ連結金具 | |
CN113661116B (zh) | 用于摩托车顶部箱的关闭和紧固设备 | |
JP4919924B2 (ja) | 反転式のコンテナ締結装置 | |
KR101516354B1 (ko) | 차량의 적재함 도어 잠금장치 | |
KR102140090B1 (ko) | 컨테이너 결속장치 | |
KR101394661B1 (ko) | 태엽에 의해 손잡이 수납이 용이한 대차 | |
KR101374869B1 (ko) | 컨테이너용 자동 잠금장치 | |
RU2707469C2 (ru) | Седельно-сцеп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ыполненное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замыкания с установкой части кожуха | |
CN107531404B (zh) | 集装箱固定装置 | |
US20150048630A1 (en) | Door locking device for truck | |
CN209852274U (zh) | 一种车辆支撑架以及厢式车 | |
CN113226847B (zh) | 用于车载货物运输系统的锁定系统及设置有该锁定系统的机动车辆 | |
JP4264669B1 (ja) | コンテナトレー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