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691A - 피엘에스 차량의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피엘에스 차량의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691A
KR20220138691A KR1020210044676A KR20210044676A KR20220138691A KR 20220138691 A KR20220138691 A KR 20220138691A KR 1020210044676 A KR1020210044676 A KR 1020210044676A KR 20210044676 A KR20210044676 A KR 20210044676A KR 20220138691 A KR20220138691 A KR 20220138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container
fixed
vehicle
chassi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하경
이형우
Original Assignee
한국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4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8691A/ko
Publication of KR20220138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pivoted arms raisable abov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8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pivoted arms raisable above load-transporting element using pivoted arms shifting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in a fore or aft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엘에스(PLS:Palletized Load System) 차량의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샤시프레임의 후단 좌우 양쪽에서 샤시프레임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설치되는 받침부재; 샤시프레임의 후단 좌우 양쪽에서 상기 받침부재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샤시프레임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 설치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일측 고정단이 축 고정되고, 타단의 상면이 샤시프레임의 상면보다 다소 높게 위치되면서 지면과 평행상태를 유지하면서 적재된 컨테이너의 좌우측단 저면이 그 상면에 안착되는 제1안착부가 구비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에 그 저면이 걸쳐지는 전방 회동받침부재; 일측 고정단이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와 일정부분 교차되어 상기 고정축에 축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축을 기준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되, 상향 회동되어 고정될 경우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의 제1안착부와 수평상태가 유지되어 적재된 컨테이너의 좌우측단 저면을 받쳐주는 제2안착부가 구비되는 후방 회동받침부재; 상기 후방 회동받침부재의 제2안착부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제2안착부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제2안착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제2안착부에 안착된 컨테이너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되어 컨테이너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록킹핀;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피엘에스 차량의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A container locking device of PLS vehicle}
본 발명은 피엘에스(PLS:Palletized Load System) 차량의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팔렛트화된 화물, 즉 필요에 따라 일반적재함 또는 컨테이너를 샤시프레임에 선택적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CHU가 구비된 피엘에스 차량에서 컨테이너 적재시 컨테이너의 후방의 좌우측단 및 저면을 고정하여안전한 화물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피엘에스 차량의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팔렛트화된 화물을 차량에 적재할 수 있도록 엔진과 운전석이 구비된 차량과, 차량에 리프트시스템(견인암)이 설치되고, 여기에 추가적으로 CHU(Container Handling Unit)장치가 더 구비된 피엘에스(PLS:Palletized Load System) 차량에 컨테이너 적재시 컨테이너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엘에스(PLS) 차량은 트럭과 트레일러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특수한 형태의 차량 화물 운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군사용과 같은 특수 목적용으로 주로 사용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화물(탄약재, 전술장비, 식료품, 차량, 전술지원장비 등)이 적재된 플랫 적재함(랙)이나, 암롤박스 등을 차량에 구비된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하여 샤시프레임(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 상면에 추가로 설치되는 보조프레임을 포함)에 적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이다.
이러한 피엘에스(PLS) 차량은 다양한 지역 및 환경에 관계없이 언제 어디서나 화물을 운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군사훈련과 전술수행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전술적 자산으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일반적인 피엘에스(PLS) 차량에 CHU를 설치할 경우, 플랫 적재함(랙)이나 암롤박스 및 컨테이너까지 적재 및 운송할 수 있는데, 피엘에스(PLS) 차량에 CHU(Container Handling Unit)를 갖출 경우 표준규격의 컨테이너를 적재 및 하역할 수도 있기 때문에, 야전에서 군사들의 숙소로 사용되는 막사나 취사실, 야전병원, 야전 지휘소, 화장실 등일정한 규모의 시설물을 적재, 운송하여 현장에서의 시설을 구축하는데 더욱 용이하도록 한다.
한편, 컨테이너는 산업활동에 필요한 다양한 원료나 제품, 상품을 운송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식 주택이나 간이형 주택, 농막, 임시 거주시설이나 임시 사무실 등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어서 컨테이너의 활용범위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종래의 피엘에스(PLS) 차량의 경우, 플랫 적재함(랙)이나 컨테이너를 샤시 프레임에 적재하여 운송하는 과정 중 플랫 적재함이나 컨테이너가 좌우로 유동되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차 후 작업자가 별도의 와이어로프나 체인을 결박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로 인해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컨테이너만을 전문으로 운송하도록 제작된 트레일러의 경우, 평판형의 적재함이 샤시프레임 상면에 구비되고, 그 적재함의 바닥면 모퉁이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록킹핀이나 록킹장치를 구비하여 컨테이너의 저면 모서리부에 마련된 고정구에 걸리도록 하여 컨테이너가 적재함 상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특수목적용으로 사용되는 피엘에스(PLS) 차량은 컨테이너만을 전문으로 운송하는 차량이 아니어서 샤시 프레임 상면에 별도의 적재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컨테이너를 운송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샤시프레임과 컨테이너 사이에 별도의 결박장치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 이외에는 특별히 차량 운행 중 컨테이너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여 본 발명을 안출하게 되었다.
- 특허등록 제10-0460466호(등록일: 2004.11.29) - 특허등록 제10-1016138호(등록일: 2011.02.11) - 특허등록 제10-1630149호(등록일: 2016.06.08)
본 발명의 CHU가 구비된 종래의 피엘에스 차량에 컨테이너를 적재 운송할 경우 그 결박이 용이하지 않고, 결박하더라도 많은 작업시간이 걸리며, 결박 후 차량 이동시 컨테이너와 차량이 개별적으로 유동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샤시프레임에 적재된 컨테이너의 고정작업이 용이하고, 차량 운송시 차량과 컨테이너가 개별적으로 유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피엘에스 차량의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피엘에스 차량의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는 샤시프레임의 후단 좌우 양쪽에서 샤시프레임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설치되는 받침부재; 샤시프레임의 후단 좌우 양쪽에서 상기 받침부재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샤시프레임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 설치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일측 고정단이 축 고정되고, 타단의 상면이 샤시프레임의 상면보다 다소 높게 위치되면서 지면과 평행상태를 유지하면서 적재된 컨테이너의 좌우측단 저면이 그 상면에 안착되는 제1안착부가 구비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에 그 저면이 걸쳐지는 전방 회동받침부재; 일측 고정단이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와 일정부분 교차되어 상기 고정축에 축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축을 기준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되, 상향 회동되어 고정될 경우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의 제1안착부와 수평상태가 유지되어 적재된 컨테이너의 좌우측단 저면을 받쳐주는 제2안착부가 구비되는 후방 회동받침부재; 상기 후방 회동받침부재의 제2안착부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제2안착부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제2안착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제2안착부에 안착된 컨테이너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되어 컨테이너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록킹핀;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의 제1안착부 외측면에는 제1안착부보다 다소 높게 돌출 형성되어 컨테이너 하단의 좌우측단이 외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컨테이너 측방 밀림방지부재가 더 설치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와 상기 후방 회동받침부재의 각 고정단에는 후방 회동받침부재의 상향 또는 하향 회동시 전방 회동받침부재에 후방 회동받침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유동방지핀을 끼워 고정할 수 있는 유동방지핀 끼움공이 좌우로 관통 형성된 구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와 상기 후방 회동받침부재가 상호 교차되게 결합되는 각 고정단의 상면은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경우 제1안착부 또는 제2안착부의 말단에서 일정 기울기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와 상기 후방 회동받침부재 중 어느 일측의 경사면에는 상향 회동된 후방 회동받침부재의 최대 회동변위를 제한하기 위한 회동방지구가 더 설치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의 저면은 그 상면의 제1안착부와 만나는 사잇각이 예각을 갖도록 경사부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와 받침부재 사이에는 제1안착부가 지면과 평행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전방 회동받침부재의 안정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경사형 받침부재가 더 설치된 특징적인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가 피엘에스 차량에 설치됨으로써 컨테이너 운반시 컨테이너가 차량의 흔들림에 의해 쉽게 유동되지 않아 차량의 안전운행은 물론 컨테이너를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는 컨테이너의 적재시나 하역시에 그 상면에 안착된 컨테이너의 기울기에 따라 기울어지면서 컨테이너를 차량측 샤시프레임 상면으로 안전하고 정확한 위치에 적재할 수 있도록 하고, 하역시에도 컨테이너가 바르게 하역되도록 하여 하역작업이 용이하고 하역 후 불필요한 추가 작업을 할 필요가 없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가 피엘에스 차량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및 후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가 피엘에스 차량에 설치되어 전방 회동받침부재와 후방 회동받침부재가 수평상태로 고정된 상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의 주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에서 전방 회동받침부재와 후방 회동받침부재의 분리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가 설치된 피엘에스 차량에 평판형 적재함이 적재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가 설치된 피엘에스 차량에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엘에스 차량의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이하,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로 약칭함)는 피엘에스(PLS) 차량, 즉 다양한 형태의 적재함이나 암롤박스 및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도록 샤시프레임이 구비된 다목적 화물 운송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차량의 샤시프레임 후단에 설치되어 샤시프레임 상면으로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운송하는 경우, 적재된 컨테이너의 후단부에서 차량의 좌우 유동이나 상하 진동발생시 컨테이너가 차량 외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함음 물론 샤시프레임 상면에서 들뜨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한 차량 운행 및 화물 수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는 피엘에스 차량의 샤시프레임 후단 좌우 양쪽에서 샤시프레임의 외측으로 고정 설치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샤시프레임의 후단 좌우 양쪽에서 상기 받침부재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샤시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일측 고정단이 축 고정되고 타단의 상면이 샤시프레임의 상면보다 다소 높게 위치되면서 지면과 평행상태를 유지하여 적재된 컨테이너의 저면이 그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는 제1안착부가 구비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에 그 저면이 걸쳐지게 설치되는 전방 회동받침부재와, 일측 고정단이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와 일정부분 교차 또는 중첩되어 상기 고정축에 축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축을 기준으로 상향 회동되어 고정될 경우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의 제1안착부와 수평상태가 유지되면서 적재된 컨테이너의 저면을 받쳐주는 제2안착부가 구비되는 후방 회동받침부재와, 상기 후방 회동받침부재의 제2안착부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제2안착부의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제2안착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제2안착부에 안착되는 컨테이너의 저면에 구비된 고정공에 삽입되어 컨테이너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록킹핀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의 제1안착부 외측면에는 제1안착부보다 다소 높게 돌출 형성되어 컨테이너 하단의 좌우측단이 차량 외측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측방 밀림방지부재가 더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와 상기 후방 회동받침부재의 각 고정단에는 후방 회동받침부재의 상향 또는 하향 회동시 전방 회동받침부재에 후방 회동받침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유동방지핀을 끼워 고정할 수 있는 유동방지핀 끼움공이 좌우로 각각 관통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와 상기 후방 회동받침부재가 교차 또는 중찹된 상태에서 일체로 결합되는 각 고정단의 상면은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경우 제1안착부 또는 제2안착부의 말단에서 일정 기울기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와 상기 후방 회동받침부재 중 어느 일측의 경사부에는 상향 회동된 후방 회동받침부재가 최대 회동변위 이상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회동방지구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방지구에 걸쳐지도록 대응하는 타측 경사부에는 걸림홈이 더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의 저면은 그 상면의 제1안착부와 만나는 사잇각이 예각을 갖도록 빗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와 받침부재 사이에는 제1안착부가 지면과 평행상태가 유지된 상태로 상기 빗면을 받쳐주면서 전방 회동받침부재를 안정되게 지지하는 경사형 받침부재가 더 설치된 구성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위주로 상세한 설명을 하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피엘에스(PLS) 차량의 일반적인 구성이나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은 기술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 및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를 사용했으며, 이 경우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전,후 좌, 우”의 방향성 용어는 차량을 기준으로 그 방향을 표시한 것이고, “내측, 외측”용어는 차량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차량의 길이 및 폭방향의 중심부를 향하는 쪽을 내측, 그 반대방향을 향하는 쪽을 외측으로 표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에서 “유동”은 차량의 운행상태에 따라 컨테이너가 샤시프레임 상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좌우 흔들림이나 상하 요동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또한,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샤시프레임”은 차량의 뼈대를 구성하는 메인프레임 및 특장장치의 탑재를 위해 메인프레임의 주변으로 추가적으로 더 설치되는 보조프레임이나 보강재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상세한 설명에서 어떤 부분(구성)이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는 중량물인 컨테이너를 받쳐주면서 컨테이너의 유동을 저지하기 위한 장치로, 일정한 강도와 내구성이 확보된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200)가 피엘에스 (PLS)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으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200) 중 주요 구성부인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와 후방 회동받침부재(240)의 조립상태 및 분리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200)는 CHU가 구비된 피엘에스(PLS) 차량(100)의 후단 좌우측에 상호 대칭되게 설치되어 차량에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후단부 좌우측단이 차량 외측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컨테이너의 저면에 구비된 고정공에 끼움 결합되어 컨테이너의 상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200)는 차량의 샤시프레임(110)의 좌우 외측에서 동일한 높이에 각각 설치되며,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와 후방 회동받침부재(240)가 상호 일정 부분 교차 또는 중첩되게 조립되어 하나의 고정축(215)에 각각의 일측 고정단이 고정되고 타측 자유단이 상하 또는 전후로 회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엘에스 차량(100)에 컨테이너 이외의 플랫 적재함이나 암롤박스 등을 적재할 경우 전방 회동받침부재(220)는 그 상면이 지면에 평행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샤시프레임(110)의 상방으로 일정 높이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고, 후방 회동받침부재(240)는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의 후단에서 직각으로 하향 회동되어 지면에 수직상태로 고정되어 샤시프레임(110)의 상방으로 화물(적재함, 암롤박스 등)을 적재하거나 하역하는 경우 지장이 없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엘에스 차량(100)에 컨테이너를 적재할 경우, 후방 회동받침부재(240)를 회동시켜 그 상면이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의 상면과 수평상태가 되도록 고정시킨 후에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와 후방 회동받침부재(240)가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220)는 샤시프레임(110)에 결합된 받침부재(210)의 상면에 걸쳐진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받침부재(210)와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의 저면 사이에는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의 안정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경사형 받침부재(230)가 더 설치되어 경사받침면의 상면에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의 저면이 안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특징부인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와 후방 회동받침부재(240)의 구성에 대해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와 후방 회동받침부재(240)는 각 일단이 일정 부분 상호 겹친 상태에서 고정축(215)에 고정되는 고정단(221,241)이 구비된다.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220)는 그 상면이 샤시프레임의 상면보다 다소 높게 위치되면서 지면과 평행상태를 유지하는 제1안착부(222)가 구비되어 적재된 컨테이너의 좌우측단 저면이 그 상면에 수평하게 안착될 수 잇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안착부(222)의 외측면에는 제1안착부(222)보다 다소 높게 돌출 형성되어 컨테이너 하단의 좌우측단이 외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컨테이너 측방 밀림방지부재(224)가 더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의 저면, 즉 차량 전방을 향하는 저면은 제1안착부(222)와 만나는 사잇각이 예각을 갖도록 빗면(227)으로 형성되고, 상기 빗면(227)이 받침부재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경사형 받침부재(230)의 경사받침면(232)에 접촉되어 상면의 제1안착부(222)가 지면에 평행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와 후방 회동받침부재(240)의 상호간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동되거나 지면을 향하도록 접혀진 후방 회동받침부재(240)가 임의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와 후방 회동받침부재(240)의 각 고정단(221,241)에 유동방지핀 끼움공(226,246)이 한 개 이상씩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핀 끼움공(226,246)에는 일정 길이의 유동방지핀(247)이 끼움 고정된다.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의 고정단(221)에 구비된 유동방지핀 끼움공(226)은 복수개가 직각구조로 형성되어 후방 회동받침부재(240)의 상하 회동시 후방 회동받침부재(240)의 고정단(241) 저면에 수평상태로 형성된 유동방지핀 끼움공(246)과 일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동방지핀(247)은 분실 위험이 없고 작업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전방 회동받침부재(220) 또는 후방 회동받침부재(240)의 고정단(221,241) 일측에 고정되어 일정길이의 연결고리(248)로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와 후방 회동받침부재(240)의 제1안착부(222)와 제2안착부(242)의 상면에는 일정 두께의 고탄성재로 이루어진 완충패드(225,245)가 더 설치되어 그 상면에 안착되는 컨테이너 저면과의 접촉력을 높이고, 차량 유동시 컨테이너 저면과 안착부 사이에 금속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단(241)이 고정축(215)에 결합되어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의 후방으로 설치되는 상기 후방 회동받침부재(240)는 상향 회동되어 고정될 경우 평탄한 상면을 유지하는 제2안착부(242)가 구비되어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의 제1안착부(222)와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후방 회동받침부재(240)는 컨테이너 이외의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회동되어 샤시프레임(110)의 상면으로 화물의 적재가 용이하도록 하고, 컨테이너 적재시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회동되어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안착부(242)가 지면과 평행상태가 되어 그 상면으로 컨테이너의 적재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후방 회동받침부재(240)의 제2안착부(242) 중앙부에는 일정 크기의 관통공(250)이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부(242)의 저면으로 관통공(250)을 통해 제2안착부(242)의 외측(상면)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록킹핀(280)가 설치되어 제2안착부(242)에 안착된 컨테이너의 저면에 구비된 고정공에 상기 록킹핀(280)의 상단부가 끼워져 컨테이너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록킹핀(280)은 종래의 컨테이너 운송용 트레일러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기술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7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200)가 설치된 피엘에스 차량(100)에 플랫 적재함(160)이 적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200)가 설치된 피엘에스 차량(100)에 컨테이너(180)가 적재된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2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컨테이너 이외의 적재함을 적재할 경우, 전방 회동받침부재(220)는 경사형 받침부재(230)에 그 저면이 안착되어 그 상면의 제1안착부가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되고, 후방 회동받침부재(240)는 지면을 향해 하향 회동되어 제2안착부가 차량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유동방지핀이 유동방지핀 끼움공에 끼움 결합되어 후방 회동받침부재를 고정하게 된다.
즉, 상기 후방 회동받침부재(240)를 하향 회동시키는 이유는, 차량측에 설치된 견인암(120)이 차량 중간부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차량 후방측 지면에 위치한 적재함을 견인고리(140)에 걸어 들어 올린 후에 전방으로 견인하여 샤시프레임(110)의 상면으로 적재시키게 되는데, 이때 후방 회동받침부재(240)가 상향 회동된 상태가 유지될 경우 견인되는 적재함이 차량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장애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하향 회동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은 차량의 샤시프레임(110) 상면으로 컨테이너(180)를 적재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발췌 도시하고 있다.
컨테이너(180)를 적재하기 위해, 먼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회동받침부재(240)를 상향 회동시켜 제2안착부(242)가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의 제1안착부(222)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시킨다.
그 다음에, 차량에 설치된 CHU(150,컨테이너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차량 후방측 지면에 놓인 컨테이너를 적재하기 위해, CHU(150)가 고정된 견인암(120)을 차량 후방측으로 회동시킨 후에, CHU(150)의 상하단을 컨테이너(180)의 전방측 상하부에 구비된 고정공(190)에 결합시킨 후 견인암(120)을 전방으로 회동시킨다.
견인암(120)의 전방 회동으로 CHU(150)에 고정된 컨테이너(180)는 일단이 지면에서 들리면서 일정한 기울기를 유지한 상태로 차량 전방으로 견인되다가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200)의 후방 회동받침부재(240)의 상면에 접촉되면서 후방 회동받침부재(240)의 상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로 인해, 후방 회동받침부재(240)가 차량 후방측으로 기울어지고, 후방 회동받침부재(240)에 결합된 전방 회동받침부재(220) 역시 동일한 기울기로 후방으로 기울어지면 제1안착부(222)와 제2안착부(242)의 상면으로 컨테이너(180)의 좌우측단 저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견인암(120)의 계속된 전방이동으로 컨테이너가 차량 전방쪽으로 계속 견인된다(도 8 (b)참조).
견인암(120)이 끝까지 회동되면, CHU에 고정된 컨테이너(180)는 차량의 샤시프레임(110)의 상면에 적재된 상태가 완료되며,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80)의 후단부가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200) 상면에 안착되면서 컨테이너(180)의 후단 저면 좌우측에 구비된 고정공(190)이 후방 회동받침부재(240)의 관통공(250)과 일치되고,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록킹핀(280)를 조작하여 컨테이너(180)의 고정공(190) 내측으로 록킹핀(280)의 상단부를 끼워 고정함으로써 고정공(190)에 록킹핀(280)를 결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200)는 피엘에스 차량에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후방 좌우측단이 그 상면에 안착된 후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의 외측면에 구비된 측방 밀림방지부재(224)에 의해 차량 외측으로 밀리는 것이 저지되고, 또한 컨테이너의 후단 저면에 구비된 고정공이 후방 회동받침부재(240)에 구비되는 록킹핀(280)에 고정됨으로써 차량의 요동시 컨테이너의 상하 요동이 방지되어 차량의 운행상태나 도로 조건에 따라 임의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차량의 안전한 주행은 물론 컨테이너 내부에 적재된 제품의 안전한 운반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면의 부호중 설명되지 않은 부호 260은 고정축(215)에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와 후방 회동받침부재(240)가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표시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를 설명하였으나, 당업자가 본 발명의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이내에서 일부구성을 변경하여 다양한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100 : 피엘에스 차량 110 : 샤시프레임
120 : 견인암 140 : 견인고리
150 : CHU 160 : 플랫적재함
180 : 컨테이너 190 : 고정공
200 :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 210 : 받침부재
215 : 고정축 220 : 전방 회동받침부재
221 : 고정단 222 : 제1안착부
223 : 경사부 224 : 측방 밀림방지부재
225 : 완충패드 226 : 유동방지핀 끼움공
227 : 빗면 228 : 회동방지구
230 : 경사형 받침부재 232 : 경사받침면
240 : 후방 회동받침부재
241 : 고정단 242 : 제2안착부
243 : 경사부 244 : 걸림홈
245 : 완충패드 246 : 유동방지핀 끼움공
247 : 유동방지핀 248 : 연결고리
249 : 걸림홈 250 : 관통공
260 : 체결부재 280 : 록킹핀

Claims (5)

  1. 샤시프레임(110)의 후단 좌우 양쪽에서 샤시프레임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설치되는 받침부재(210);
    샤시프레임(110)의 후단 좌우 양쪽에서 상기 받침부재(21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샤시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축(215);
    상기 고정축(215)에 일측 고정단이 축 고정되고, 타단의 상면이 샤시프레임의 상면보다 다소 높게 위치되어 지면과 평행상태를 유지하면서 적재된 컨테이너의 좌우측단 저면이 그 상면에 안착되는 제1안착부(222)가 구비되어 상기 받침부재(210)의 상면에 그 저면이 걸쳐지는 전방 회동받침부재(220);
    일측 고정단이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와 일정부분 교차되어 상기 고정축(215)에 축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축(215)을 기준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되, 상향 회동되어 고정될 경우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의 제1안착부(222)와 수평상태가 유지되어 적재된 컨테이너의 좌우측단 저면을 받쳐주는 제2안착부(242)가 구비되는 후방 회동받침부재(240);
    상기 후방 회동받침부재(240)의 제2안착부(242)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250)을 통해 제2안착부(242)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제2안착부(242)의 저면에 설치되어 제2안착부(242)에 안착된 컨테이너의 저면 고정공(190)에 삽입되어 컨테이너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록킹핀(28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엘에스 차량의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의 제1안착부(222) 외측면에는 제1안착부(222)보다 다소 높게 돌출 형성되어 컨테이너 하단의 좌우측단이 외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측방 밀림방지부재(224)가 더 설치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엘에스 차량의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와 상기 후방 회동받침부재(240)의 각 고정단에는 후방 회동받침부재(240)의 상향 또는 하향 회동시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에 후방 회동받침부재(240)를 고정하기 위한 유동방지핀(247)을 끼워 고정할 수 있는 유동방지핀 끼움공(226,246)이 좌우로 관통 형성된 구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엘에스 차량의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와 상기 후방 회동받침부재(240)가 상호 교차되게 결합되는 각 고정단(221,241)의 상면은 제1안착부(222)와 제2안착부(242)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경우 제1안착부(222) 또는 제2안착부(242)의 말단에서 일정 기울기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223,243)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와 상기 후방 회동받침부재(240) 중 어느 일측의 경사부에는 상향 회동된 후방 회동받침부재(240)가 최대 회동변위 이상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회동방지구(228)가 더 설치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엘에스 차량의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의 저면은 그 상면의 제1안착부(222)와 만나는 사잇각이 예각을 갖는 빗면(227)으로 형성되고,
    상기 빗면(227)과 받침부재(210) 사이에는 제1안착부(222)가 지면과 평행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전방 회동받침부재(220)의 안정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경사형 받침부재(230)가 더 설치된 구성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엘에스 차량의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
KR1020210044676A 2021-04-06 2021-04-06 피엘에스 차량의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 KR20220138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676A KR20220138691A (ko) 2021-04-06 2021-04-06 피엘에스 차량의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676A KR20220138691A (ko) 2021-04-06 2021-04-06 피엘에스 차량의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691A true KR20220138691A (ko) 2022-10-13

Family

ID=83599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676A KR20220138691A (ko) 2021-04-06 2021-04-06 피엘에스 차량의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869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466B1 (ko) 2002-06-25 2004-12-14 (주)파크랜드 트레일러 적재용 컨테이너의 자동 록킹장치
KR101016138B1 (ko) 2009-11-20 2011-02-17 조영래 컨테이너의 자동 잠금장치
KR101630149B1 (ko) 2015-05-26 2016-06-15 유건이엔지 주식회사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466B1 (ko) 2002-06-25 2004-12-14 (주)파크랜드 트레일러 적재용 컨테이너의 자동 록킹장치
KR101016138B1 (ko) 2009-11-20 2011-02-17 조영래 컨테이너의 자동 잠금장치
KR101630149B1 (ko) 2015-05-26 2016-06-15 유건이엔지 주식회사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52440A (en) Loading ramp
US4948326A (en) Load lifting attachment mounted on a truck frame
US20040247422A1 (en) Cargo roller system for cargo handling
US20060182580A1 (en) Truck container transport/storage system and method
FI129458B (en) LOADING SYSTEM FOR LOADING THE LOADING UNIT TO AND FROM THE VEHICLE
US11066257B2 (en) Container transport system
US7883305B2 (en) Removable twistlock
KR20200078552A (ko) 산업용 차량 레이오버 시스템
US7591626B2 (en) Loading mechanism for cargo containers
US6736585B2 (en) Container safety latch
US6120224A (en) Load lock rack
US5967736A (en) Equipment handling device
CA2844850C (en) Narrow aisle load handler for a vehicle
KR20220138691A (ko) 피엘에스 차량의 컨테이너 유동 방지장치
US3720335A (en) Snowmobile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for pickup trucks
JP2023121855A (ja) パネル保持アッセンブリ
US20170120794A1 (en) Dual Axis Tow Lift
US4023852A (en) Tiltable vehicle loading ramp
US20100226740A1 (en) Shipping container handling
JPH0924838A (ja) 薄形矩形物等搬送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642399U (ja) 貨物自動車における積荷の搬送装置
US6237976B1 (en) Hook assembly and method of extending reach
AU20082076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containers
AU2018201919B2 (en) Easy loading trailer
KR102411165B1 (ko) 피엘에스 차량의 컨테이너 흔들림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