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670B1 - 차량중장물 이송용 호이스트에 조립되는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중장물 이송용 호이스트에 조립되는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670B1
KR101820670B1 KR1020160070077A KR20160070077A KR101820670B1 KR 101820670 B1 KR101820670 B1 KR 101820670B1 KR 1020160070077 A KR1020160070077 A KR 1020160070077A KR 20160070077 A KR20160070077 A KR 20160070077A KR 101820670 B1 KR101820670 B1 KR 101820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hook
hoist
assembl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8109A (ko
Inventor
김상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시스
Priority to KR1020160070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670B1/ko
Publication of KR20170138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 B66C2700/084Protection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중장물 이송용 호이스트에 조립되는 충격흡수장치로서, 차량중장물의 로딩지그가 걸리는 후크와, 상기 후크와 연결되어 권상되는 체인을 포함하는 차량중장물 이송용 호이스트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의 후크와 체인 사이에 조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체인과 상부가 조립되며, 하부가 개방된 제1바디와, 상기 후크와 하부가 조립되며, 상기 제1바디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양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유동장공이 형성된 제2바디와, 상기 유동장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1바디에 수평하게 조립되는 핀부재와, 상기 핀부재의 상면에 피스톤로드가 지지되면서 상기 제2바디의 상부에 조립 설치되며, 차량중장물의 로딩시 상기 피스톤로드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을 흡수하는 쇽업쇼바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호이스트에 간편하게 조립되어 중장물의 로딩시 발생하는 순간적인 충격하중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중장물 이송용 호이스트에 조립되는 충격흡수장치 {Shock absorption apparatus of hoist for transfering heavy weight}
본 발명은 차량중장물 이송용 호이스트에 간편하게 조립되어 중장물의 로딩시 발생하는 순간적인 충격하중을 흡수하는 차량 중장물 이송용 호이스트에 조립되는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립공정에서는 차체 내에 엔진, 트랜스미션, 현가장치 등 각종 부품들을 조립하게 된다.
이러한 차량의 부품들은 무게가 상당한 중량물이므로, 구동모터에 의해 권상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에 연결되어 중량물을 지지할 수 있는 후크로 구성된 호이스트를 통해 각각의 조립위치로 이송되어지며, 또한 후크에 중량물을 바로 지지시킬 수는 없으므로 중량물에 끼워지면서 후크에 걸릴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로딩지그(Loading Jig)가 중량물의 이송시 사용된다.
예컨대, 트랜스미션 조립의 경우, 로딩지그가 호이스트의 후크에 걸린 상태에서 트랜스미션에 로딩지그의 로케이션핀(location pin)을 끼워 무게중심을 잡은 후, 체인이 감겨 권상됨으로써 트랜스미션을 로딩시켜 이송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트랜스미션의 이송에 있어서는, 호이스트의 체인이 권상되면서 트랜스미션의 로딩이 시작될 때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충격하중이 그대로 로딩지그의 로케이션핀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면서 로케이션핀의 피로파괴가 진행되어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작업자가 육안으로는 로케이션핀의 크랙 여부를 판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사용하다 갑작스럽게 로케이션핀이 파손됨으로써 이송중에 로딩된 트랜스미션이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위험성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122650호 : 차량용 오토 미션의 호이스트 지그 등록특허 제10-1416379호 : 차량용 트랜스미션 로딩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호이스트를 통한 차량중장물의 로딩시 발생하는 충격하중을 흡수하여 로딩지그의 수명을 연장시키면서 이송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중장물 이송용 호이스트에 조립되는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되고 있는 기존 호이스트의 후크와 체인 사이에 간편하게 조립 설치될 수 있어 설치상의 편의성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 중장물 이송용 호이스트에 조립되는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차량중장물의 로딩지그가 걸리는 후크와, 상기 후크와 연결되어 권상되는 체인을 포함하되, 상기 후크의 헤드와 상기 체인을 지지하는 체인홀더가 각각 수납될 수 있는 수납홈이 내면 하측과 상측에 형성되면서 좌우로 분할되어 상호 체결되는 후크클램프를 통해 상기 후크와 체인이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차량중장물 이송용 호이스트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의 후크와 체인 사이에 조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체인과의 조립을 위한 체인연결편이 상단에 상향 돌출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제1바디와, 상기 호이스트의 후크클램프 상측 수납홈에 수납될 수 있는 후크연결편이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와 하부가 조립되며, 상기 제1바디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양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유동장공이 형성된 제2바디와, 상기 유동장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1바디에 수평하게 조립되는 핀부재와, 상기 핀부재의 상면에 피스톤로드가 지지되면서 제2바디의 상부에 조립 설치되며, 차량중장물의 로딩시 피스톤로드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을 흡수하는 쇽업쇼바와, 좌우로 분할되어 상호 체결될 수 있으며, 내면 하측과 상측에는 상기 체인연결편과 호이스트의 체인홀더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바디와 체인을 상호 조립시키는 체인클램프를 포함하는 차량 중장물 이송용 호이스트에 조립되는 충격흡수장치가 개시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중장물 이송용 호이스트에 조립되는 충격흡수장치에 의하면,
호이스트를 통한 차량중장물의 로딩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충격하중을 흡수하여 로딩지그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음과 함께 로딩지그의 파손에 따른 위험성을 해소하여 중량물 이송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사용중인 호이스트의 구조를 전혀 변경함이 없이 간편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고 교체할 수 있으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함과 함께, 설치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분해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구성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4와 도 5는 기존 차량중량물 이송용 호이스트의 후크와 체인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가 호이스트의 후크와 체인 사이에 조립되는 구성을 분해하여 예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가 호이스트의 후크와 체인 사이에 조립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단면구성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9는 차량중량물의 로딩시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작용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중장물 이송용 호이스트에 조립되는 충격흡수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설치되어”, “형성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설치, 형성,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중장물 이송용 호이스트에 조립되는 충격흡수장치(이하, “충격흡수장치(100)”라 약칭함.)는 기존에 사용중인 호이스트의 후크(10)와 체인(20) 사이에 조립되어 차량중장물의 로딩시 초기에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충격하중을 흡수하는 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100)가 예시되어 있는 바,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100)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와, 핀부재(130)와, 쇽업쇼바(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10)는 내부가 중공이면서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서,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기 제2바디(120)가 내부로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10)의 양 측면에는 핀공(111)이 형성된다.
상기 핀공(111)에는 후술하는 상기 핀부재(130)가 끼워져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120)는 상기 제1바디(1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제1바디(110)에 대하여 자유롭게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바디(120)의 양측면에는 유동장공(121)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장공(121)은 상기 핀공(111)에 비하여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후술하는 상기 핀부재(130)가 통과하게 된다.
상기 핀부재(130)는 상기 제2바디(120)가 제1바디(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핀공(111)에 끼워져 제1바디(110)에 수평하게 조립된다.
상기 핀부재(130)는 일측에 핀헤드(131)가 형성되면서 타측에는 핀부재(130)의 이탈방지를 위한‘C’자형의 유지링(132)이 끼워질 수 있게 형성된다.
이러한 핀부재(130)는 제1바디(110)에 조립시 제2바디(120)의 유동장공(121)을 통과하게 되며, 따라서 유동장공(121)의 범위 내에서 제2바디(120)는 제1바디(110)에 대하여 상대적인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쇽업쇼바(140)는 상기 제2바디(120)의 상부에 조립 설치되며, 이 때 외력을 받는 피스톤로드(141)는 상기 제1바디(110)에 조립된 핀부재(130)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쇽업쇼바(140)는 차량중량물의 로딩시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 사이에 상대적인 승강이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핀부재(130)를 통해 충격하중이 피스톤로드(141)에 가해지게 되는 바, 피스톤로드(141)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충격흡수 기능의 쇽업쇼바(140)와 관련해서는 다양한 구성의 쇽업쇼바가 공지되어 있는 바, 공지된 다양한 구성의 쇽업쇼바를 제한없이 채택하는 것이 가능한데, 나선형 오일홈이 형성된 피스톤구조를 통해 충격흡수 에너지가 증가되면서 경량화도 가능한 독일 ZIMMER사의 Power-Stop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충격흡수장치(100)는 제1바디(110)의 상부와 제2바디(120)의 하부가 차량중량물의 이송을 위해 설치된 호이스트의 체인(20)과 후크(10)에 각각 간편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기존의 호이스트를 살펴보면, 후크(10)와 체인(20)이 후크클램프(30)를 통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후크클램프(30)는 좌우로 분할되면서 상호 체결이 가능한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내면 하측과 상측에는 각각 수납홈(31, 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클램프(30)의 하측 수납홈(31)은 상기 후크(10)의 헤드(11)가 수납되는 부분이고, 상측 수납홈(32)은 체인(20)을 지지하는 체인홀더(40)가 수납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체인홀더(40)는 좌우 한쌍으로 분할되어 있으면서 내면에는 ‘U’자형의 체인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체인홀더(40)는 상호 밀착되면서 체인홈(41)에 끼워진 체인(20)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분할된 한쪽 후크클램프(30)의 하측 수납홈(31)에 후크(10)의 헤드(11)를 수납하고, 상측 수납홈(32)에는 체인(20)이 끼워진 체인홀더(40)를 수납시킨 상태에서 다른쪽 후크클램프(30)를 체결함으로써 후크(10)와 체인(20) 상호간에 견고한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충격흡수장치(100)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호이스트에 있어, 체결된 후크클램프(30)를 분리한 후 후크(10)와 체인(20) 사이에 간편하게 조립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바디(110)의 상단에는 체인연결편(112)이 형성되고, 제2바디(120)의 하단에는 후크연결편(122)이 형성된다.
또한, 제1바디(110)와 호이스트의 체인(20)을 상호 조립시키기 위한 체인클램프(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체인연결편(112)은 상기 제1바디(110)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체인클램프(150)에 수납이 된다.
상기 후크연결편(122)은 상기 제2바디(120)의 하단에서 하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후크연결편(122)은 상기 후크클램프(30)의 상측 수납홈(32)에 수납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6과 도 7에 예시되어 있는 것처럼, 호이스트의 상기 후크클램프(30)를 분리하여 상측 수납홈(32)에서 체인홀더(40)를 이탈시킨 후, 상측 수납홈(32)에 상기 후크연결편(122)을 대신 수납시켜 후크클램프(30)를 재 체결하게 되면, 제2바디(120)는 후크클램프(30)를 통해 호이스트의 후크(10)와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체인클램프(150)는 제1바디(110)와 호이스트의 체인(20)을 상호 조립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좌우로 분할되면서 상호 체결이 될 수 있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면서, 내면 하측과 상측에는 각각 수납홈(151, 15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측 수납홈(151)은 상기 제1바디(110)의 체인연결편(112)이 수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측 수납홈(152)은 호이스트의 상기 체인홀더(40)가 수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이 된다.
이에 따라, 하측 수납홈(151)에 상기 체인연결편(112)을 수납시킴과 함께, 상측 수납홈(152)에는 상기 후크클램프(30)에서 이탈시킨 체인홀더(40)를 수납시킨 상태에서 분할된 체인클램프(150)를 체결하면, 제1바디(110)는 체인클램프(150)를 통해 호이스트의 체인(20)과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100)의 설치과정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로 정리하여 살펴보면, 먼저 사용중인 호이스트에 있어 후크(10)와 체인(20)을 연결시키고 있는 후크클램프(30)의 체결을 해제하여 분리시킨다.
이어, 후크클램프(30)의 상측 수납홈(32)에 수납되어 있던 체인홀더(40)를 이탈시킨다. 이 때, 하측 수납홈(31)에 수납되어 있는 후크(10)의 헤드(11)는 그대로 수납상태를 유지시킨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100)의 후크연결편(122)을 후크클램프(30)의 비어있는 상측 수납홈(32)에 수납시킨다.
이렇게 상하측에 각각 후크(10)의 헤드(11)와 후크연결편(122)이 수납된 상태에서 후크클램프(30)를 다시 체결시킨다.
그러면, 후크클램프(30)를 통해 호이스트의 후크(10)와 본 발명의 충격흡수장치(100) 상호간에 견고한 조립이 완료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인클램프(150)의 체결을 해제하여 분리시킨다.
이 때, 체인클램프(150)의 하측 수납홈(151)에는 체인연결편(112)에 수납되어 있다.
이어, 상기 후크클램프(30)에서 이탈시킨 체인홀더(40)를 체인클램프(150)의 상측 수납홈(152)에 수납시킨다. 이 때, 체인홀더(40)에는 체인(20)을 다시 끼워줄 수 있다.
이렇게 상하측에 각각 체인홀더(40)와 체인연결편(112)이 수납된 상태에서 체인클램프(150)를 다시 체결시킨다.
그러면, 체인클램프(150)를 통해 호이스트의 체인(20)과 본 발명의 충격흡수장치(100) 상호간의 견고하게 조립이 완료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흡수장치(100)는 기존 사용중인 호이시트의 구성을 전혀 변경함이 없이 간편하게 호이스트의 후크(10)와 체인(20) 사이에 조립 설치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체 등 유지보수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후크클램프(30)와 체인클램프(150)의 체결만을 해제하여 간단히 충격흡수장치(100)를 호이스트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분리된 상태에서 핀부재(130)를 제1바디(110)로부터 이탈시키면 제2바디(120)를 제1바디(110)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고, 제2바디(120)에 조립된 쇽업쇼바(140)를 간단하게 교체한 후 재 조립하면 된다. 따라서, 설치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도 매우 편리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호이스트에 조립 설치된 본 발명의 충격흡수장치(100)의 작용을 이하에서 간단하게 살펴본다.
도 9에 일 예시된 것처럼, 차량중량물인 트랜스미션(T)을 이송하기 위하여, 후크(10)에 로딩지그(G)를 건 상태에서 로딩지그(G)의 로케이션핀(P)을 트랜스미션(T)에 끼워준 후, 체인(20)을 권상시켜 트랜스미션(T)을 로딩하게 된다.
여기서, 로딩시 체인(20)의 권상력과 후크(20)에 지지된 트랜스미션(T)의 부하로로 인해 충격하중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때, 체인(20)과 연결된 제1바디(110)와 후크(10)와 연결된 제2바디(120) 상호간에 상대적인 승강동작이 이루어지면서 핀부재(130)를 통해 발생된 충격하중이 피스톤로드(141)에 가해지게 되며, 쇽업쇼바(140)가 피스톤로드(141)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로딩지그(G)의 로케이션핀(P)에 충격하중이 집중되었던 기존의 호이스트와 달리, 본 발명의 충격흡수장치(100)가 조립된 호이스트에서는 로딩시 발생된 충격하중이 충격흡수장치(100)의 쇽업쇼바(140)에 흡수되어 로케이션핀(P)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로딩지그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고, 로케이션핀의 파손에 따른 트랜스미션의 추락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충격흡수장치(100)에는, 필요에 따라서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 상호간의 상대적인 승강동작을 감지하여 로딩횟수를 카운팅하는 수단과, 이러한 카운팅된 로딩횟수를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수단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0: 충격흡수장치
110: 제1바디 112: 체인연결편
120: 제2바디 121: 유동장공
122: 후크연결편 130: 핀부재
140: 쇽업쇼바 141: 피스톤로드
150: 체인클램프 10: 후크
20: 체인 30: 후크클램프
40: 체인홀더

Claims (2)

  1. 차량중장물의 로딩지그가 걸리는 후크와, 상기 후크와 연결되어 권상되는 체인을 포함하되, 상기 후크의 헤드와 상기 체인을 지지하는 체인홀더가 각각 수납될 수 있는 수납홈이 내면 하측과 상측에 형성되면서 좌우로 분할되어 상호 체결되는 후크클램프를 통해 상기 후크와 체인이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차량중장물 이송용 호이스트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의 후크와 체인 사이에 조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체인과의 조립을 위한 체인연결편이 상단에 상향 돌출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제1바디;
    상기 호이스트의 후크클램프 상측 수납홈에 수납될 수 있는 후크연결편이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와 하부가 조립되며, 상기 제1바디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양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유동장공이 형성된 제2바디;
    상기 유동장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1바디에 수평하게 조립되는 핀부재;
    상기 핀부재의 상면에 피스톤로드가 지지되면서 제2바디의 상부에 조립 설치되며, 차량중장물의 로딩시 피스톤로드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을 흡수하는 쇽업쇼바;
    좌우로 분할되어 상호 체결될 수 있으며, 내면 하측과 상측에는 상기 체인연결편과 호이스트의 체인홀더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바디와 체인을 상호 조립시키는 체인클램프;를 포함하는 차량 중장물 이송용 호이스트에 조립되는 충격흡수장치.
  2. 삭제
KR1020160070077A 2016-06-07 2016-06-07 차량중장물 이송용 호이스트에 조립되는 충격흡수장치 KR101820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077A KR101820670B1 (ko) 2016-06-07 2016-06-07 차량중장물 이송용 호이스트에 조립되는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077A KR101820670B1 (ko) 2016-06-07 2016-06-07 차량중장물 이송용 호이스트에 조립되는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109A KR20170138109A (ko) 2017-12-15
KR101820670B1 true KR101820670B1 (ko) 2018-01-22

Family

ID=60954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077A KR101820670B1 (ko) 2016-06-07 2016-06-07 차량중장물 이송용 호이스트에 조립되는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6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28265B (zh) * 2021-07-29 2023-01-10 湖北欧阳华俊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车底盘链式翻转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109A (ko) 2017-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6351B1 (en) Low-temperature container, low-temperature tank and low-temperature tank truck
KR101820670B1 (ko) 차량중장물 이송용 호이스트에 조립되는 충격흡수장치
US2705633A (en) Shock absorbing means for railroad car trucks
KR101083512B1 (ko) 철도차량의 대차 연결 장치
CN102941983A (zh) 一种用于带v形挂脚型柴油机运输的通用运输架
KR101808031B1 (ko) 컨테이너 잠금장치
CN210889872U (zh) 减震组件及搬运设备
CN105438283B (zh) 用于车辆的备胎安装机构及车辆
CN210212449U (zh) 一种滚筒式样台车
CN211441890U (zh) 一种悬挂机构及使用该悬挂机构的货箱自动运输车
CN212641068U (zh) 一种抗震耐压性矿山机械输送导轨
CN215155210U (zh) 一种三轮车用防震载物架
CN210599969U (zh) 一种高强度快吸收转动灵活的阻尼器
CN216684212U (zh) 一种自卸车后门自动开合机构缓冲件
CN113799876B (zh) 滑动式安装架和电传动矿用自卸车
US9555847B2 (en) Suspension assembly transport device
CN218198550U (zh) 驾驶室的侧翻结构
CN217920998U (zh) 安装减振器多兼容吊具
CN213595799U (zh) 一种电动叉车平衡重
CN215626162U (zh) 防磕碰工装装置
CN220116025U (zh) 空气包吊装工装
CN219668067U (zh) 一种防止惯性伤害器材运输装置
KR101432534B1 (ko) 무게중심 인양형 인양장치
CN211945880U (zh) 驾驶室安装用吊具
CN211282267U (zh) 一种具有高效减震性能的集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