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534B1 - 무게중심 인양형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무게중심 인양형 인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534B1
KR101432534B1 KR1020120042820A KR20120042820A KR101432534B1 KR 101432534 B1 KR101432534 B1 KR 101432534B1 KR 1020120042820 A KR1020120042820 A KR 1020120042820A KR 20120042820 A KR20120042820 A KR 20120042820A KR 101432534 B1 KR101432534 B1 KR 101432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frame
gravity
cent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9766A (ko
Inventor
최대근
황동기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20042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534B1/ko
Publication of KR20130119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과, 인양기구와 결합되어 인양력이 가해지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에 피인양물의 하중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피인양물의 무게중심을 받치는 인양부재를 포함하는 인양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게중심 인양형 인양장치{LIFTING APPARATUS FOR LIFTING THROUGH CENTER OF GRAVITY}
본 발명은 피인양물을 인양할 수 있는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양장치는 피인양물을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기계장치로, 크레인, 이동식 크레인, 데릭 등과 결합하여 피인양물을 인양 및 하역할 수 있다.
인양장치는 상대적으로 큰 중량의 피인양물을 안정적으로 인양하거나 이송하도록 보조한다. 인양장치는 인양력을 전달하는 인양기능, 인양물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및 피인양물이 인양장치로부터 우발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인양장치는 인양기능, 기울어짐 방지 기능 및 인양물 이탈 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품의 기능 분리가 모호하며, 기능이 효율적으로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장치의 무게가 과다해지고, 이로 인해 인양장치의 취급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피인양물의 무게중심에 인양력을 집중시키는 인양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부품의 기능이 효율적으로 분리되는 인양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양장치는 프레임과, 인양기구와 결합되어 인양력이 가해지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에 피인양물의 하중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피인양물의 무게중심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인양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피인양물이 피칭 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단들이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들은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인양장치는 상기 프레임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피인양물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피인양물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피인양물의 길이 방향에서 일정각도를 갖도록 돌출되어 상기 피인양물의 홈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연결용 볼트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피인양물을 인양하는 인양부재와 피인양물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부재가 서로 별개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인양장치의 각각의 기능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양부재가 피인양물의 무게중심을 받쳐서 프레임 및 연결부재에 피인양물의 하중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프레임 및 연결부재의 강성을 낮출 수 있다. 그 결과 인양장치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장치의 개념도.
도 3은 도 2의 인양장치 중 무게중심 이동부재를 확대한 개념도.
도 4는 도 2의 인양장치 중 인양부재를 확대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인양장치 중 이탈방지부재를 확대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이탈방지부재의 정면도.
도 7은 도 5의 이탈방지부재가 유도탄과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한 개념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인양시스템의 초기 상태를 표현한 개념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인양시스템에 유도탄이 장착된 것을 표현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인양장치(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인양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양 시스템은 본체(10), 붐(20), 로프(30), 조종대(40) 및 인양장치(10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지상에 배치되고, 상기 붐(20)은 상기 본체(10)에 설치된다. 상기 붐(20)은 상기 로프(30)로 상기 인양장치(100)를 인양한다. 상기 조종대(40)에서 상기 인양장치(100)를 인양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인양장치(100)의 구조는 아래에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피인양물이 유도탄(700)인 경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원발명의 인양장치(100) 및 인양시스템은 피인양물이 유도탄(700)인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양 가능한 물건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본원발명의 범위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장치(100)의 개념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인양장치(100)는 프레임(200)과, 결합부재(300)와, 연결부재(500) 및 인양부재(400) 등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200)은 유도탄(700)의 상면에 접하고 상기 유도탄(70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된다. 피인양물을 지지하는 인양부재(400)의 위치를 고정할 뿐 상기 피인양물의 하중을 직접 지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존 인양장치(100)의 프레임(200)에 비해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다.
상기 프레임(200)의 양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가 결합되는 돌출부(211,21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프레임(200)의 양단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으나, 반드시 양단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인양부재(4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프레임(200)의 서로 이격된 두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돌출부에는 고정링(221,222)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링에는 상기 연결부재(50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00)는 크레인과 같은 인양기구와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300)는 크레인 연결고리일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00)에는 크레인의 후크, 인양부재(400) 및 연결부재(500)가 연결된다. 상기 후크에 의해 크레인의 인양력이 상기 결합부재(300)에 전달되고, 상기 결합부재(300)로부터 상기 인양부재(400) 및 연결부재(500)에 상기 인양력이 전달된다.
상기 인양부재(400)는 인양줄(401)과 유도탄(700) 연결슬링(40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양줄(401)의 일단은 상기 결합부재(3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슬링(402)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500)의 구조는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연결부재(500)는 상기 결합부재(300)와 상기 프레임(200)을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재(500) 및 인양줄은 여러겹으로 꼬아서 만든 철사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00)는 유도탄(700)의 무게를 직접 지지하지 않는다. 상기 연결부재는 유도탄(700) 무게의 20%이내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연결부재(500)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고, 비중이 작은 재질로 제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인양장치(100) 전체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00)는 상기 프레임(20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501a) 및 제2 연결부재(50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501a)는 일단이 상기 프레임(200)에 형성된 제1 돌출부(21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결합부재(300)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연결부재(501b)는 일단이 상기 프레임(200)에 형성된 제2 돌출부(21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결합부재(300)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연결부재(500) 및 제2 연결부재(500)는 프레임(200)이 지면에 수평을 유지하고 있을 때 프레임(200)과 인양줄(401)이 이루는 삼각형의 두 빗변의 길이보다 각각 10% 이내로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인양장치(100)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재(501a,501b)의 여유 길이 범위 내에서 인양장치(100)가 유연하게 진동할 수 있도록 하며, 유도탄(700)에 일정한 충격량이 가해질 때 유도탄(700)에 가해지는 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재(501a) 및 제2 연결부재(501b)는 유도탄(700)이 피칭 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양부재(400)가 유도탄(700)의 무게중심을 직접 받쳐 들기 때문에, 크레인이 인양장치(100)에 결합되어 인양장치(100)를 이동시킬 때 관성 또는 외부의 힘에 의해 유도탄(700)이 기울어지거나 피칭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500) 및 제2 연결부재(500)는 상기 프레임(200)과 상기 인양부재(400)가 결합되는 지점을 축으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토크를 가할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211) 쪽이 아래로 기울어질 경우 제1 연결부재(501a)의 장력이 작용하여 프레임(200)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고, 제2 돌출부(212) 쪽이 아래로 기울어질 경우 제2 연결부재(501b)의 장력이 작용하여 프레임(200)의 임의 회전을 방지한다.
다시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장치(100)는 무게중심 이동부재(231)를 더 포함한다.
무게중심 이동부재(231)는 프레임(200)의 균형을 잡는 무게추 역할을 한다. 유도탄(700)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인양장치(100)를 들 경우, 프레임(200)이 연결부재(500)의 여유 길이만큼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무게중심 이동부재(231)는 인양장치(100)가 초기상태에서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프레임(200)의 균형을 맞춘다. 상기 무게중심 이동부재(231)는 철 종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나사 또는 볼트·너트 등의 체결구(232)를 이용하여 프레임(200)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장치(100)는 완충부재(241,24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재(241,242)는 유도탄(700)이 상기 프레임(200)과 부딪혀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킨다. 상기 완충부재(241,242)는 상기 프레임(200)과 상기 유도탄(700)이 접하는 면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완충부재(241) 및 제2 완충부재(2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241,242)는 크레인 운영자의 실수로 프레임(200)이 유도탄(700) 표면에 직접 부딪혀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한다. 상기 완충부재(241,242)는 상기 프레임(200)에 부착되며 실리콘 또는 스티로폼 종류의 탄성체 등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부재(231)를 확대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200)에는 홀(202a,202b,20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에는 상기 프레임(200)과 상기 무게중심 이동부재(231)를 연결하는 체결구(232)가 결합된다. 상기 홀은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무게중심 이동부재(231)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유도탄(700)이 본원발명의 인양장치(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인양장치(100)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진 경우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무게중심 이동부재(231)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인양부재(400)가 유도탄(700)의 무게중심 하부를 받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인양부재(400)를 분리하고 재결합시킬 필요없이 인양장치(100)의 수평을 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부재(40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인양부재(400)는 연결프레임(403)과, 유도탄(700) 연결슬링(402) 및 인양줄(40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403)은 인양줄(401)과 유도탄(700) 연결슬링(402)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며, 프레임(200)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404)가 상기 연결프레임(403)과 프레임(200)을 관통하여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403)은 유도탄(700) 및 프레임(200)의 무게를 인양줄(401)에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프레임(403)은 유도탄(700)의 무게 및 프레임(200)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강성에 안전율을 더한 강도로 제작된다.
상기 유도탄(700) 연결슬링(402)은 유도탄(700)의 하중을 지지한다. 상기 유도탄(700) 연결슬링(402)에는 유도탄(700)의 하중이 가해지므로, 상기 유도탄(700) 연결슬링(402)은 유도탄(700)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강성에 안전율을 더한 강도로 제작된다.
상기 유도탄(700) 연결슬링(402)은 유도탄(700)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유도탄(700)의 표면을 해치지 않도록 부드러운 섬유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섬유성 소재는 유도탄(700)을 들어올리는 수직항력과, 상기 유도탄(700)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길이방향 마찰력을 형성시킨다.
상기 연결슬링(402)은 상기 유도탄(700)을 받치는 부위(402b)가 상기 연결프레임(403)에 연결되는 부위(402a)보다 넓게 형성되거나, 상기 부위(402b)에 유도탄(700)이 안착될 수 있는 판이 장착될 수 있다. 그 결과, 수직항력이 가해지는 면적이 넓어지므로 유도탄(700)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일 수 있고, 길이방향 마찰력을 증가시켜 유도탄(7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도탄(700) 연결슬링(402)은 상기 연결프레임(403)에 고정핀(405)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핀(405)은 상기 연결슬링(402)을 쉽게 조립하고 분해할 수 있도록 누름핀 구조를 가지며, 유도탄(700)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강성에 안전율을 더한 강도로 제작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재(600)의 개념도이고, 도 6은 상기 이탈방지부재(600)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탈방지부재(600)는 멈춤판(601)과, 연결용 볼트(60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멈춤판(601)은 유도탄(7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인양점을 원하는 위치(예를 들어 무게중심의 위치)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멈춤판(601)은 볼트(603a,604a) 및 너트(603b,604b) 등의 체결구로 프레임(200)에 연결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0)이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프레임(200)과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0)과 멈춤판(601)이 서로 접하는 경우에는 상기 볼트 및 너트가 느슨하게 체결되어 상기 프레임(200) 및 멈춤판(601)이 함께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볼트 및 너트는 느슨하게 체결하며, 상기 볼트가 빠지지 않도록 상기 너트는 상기 볼트의 반대편에 멈춤 처리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200)이 좌우로 일정 범위에서 이동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유도탄(700)에 일정한 충격량이 가해질 때 유도탄(700)에 가해지는 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유도탄(700)에 불필요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용 볼트(602)는 유도탄(700)의 길이 방향에서 일정 각도를 갖도록 돌출되어 상기 유도탄(700)의 홈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는 나사산이 가공된 구멍을 지닌 연결자(602a)일 수 있다.
도 7은 상기 멈춤판(601)에 유도탄(700)을 밀착 고정시키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볼트와 상기 연결자(602a)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자(602a)는 유도탄 후미의 홈(701)에 끼워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자(602a)는 상기 유도탄의 홈(701)에 걸리게 된다. 상기 볼트(602)를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자(602a)는 멈춤판(601)에 가까워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유도탄(700)도 멈춤판(601)에 밀착시키는 힘을 받게 된다.
상기 인양장치(100)를 구비하는 유도탄 인양시스템은 크레인과, 인양장치(100)와 유도탄(7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양장치(100)는 프레임(200)과, 결합부재(300)와, 연결부재(500) 및 인양부재(400) 등을 포함하며,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크레인은 인양장치(100)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이동시키거나 인양 또는 하역시킬 수 있다. 상기 크레인은 이동식 크레인이나 데릭 등이 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유도탄(700)은 후미에 인양장치(100)와 고정되는 홈(701)을 구비할 수 있다. 인양장치(100)의 이탈방지부재(600)가 상기 홈에 결합되어 유도탄(700)이 인양장치(100)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인양시스템에 유도탄(700)이 장착되기 전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양시스템은 유도탄(700)이 장착되기 전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 무게중심 이동부재(2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무게중심 이동부재(231)는 프레임(200)의 균형을 잡는 무게추 역할을 한다. 유도탄(700)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인양장치(100)를 들 경우, 프레임(200)이 연결부재(500)의 여유 길이만큼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무게중심 이동부재(231)는 인양장치(100)가 초기상태에서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프레임(200)의 균형을 맞춘다. 상기 무게중심 이동부재(231)는 철 종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나사 또는 볼트·너트 등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프레임(200)에 결합된다.
상기 무게중심 이동부재(231)는 고정 위치를 변경될 수 있다. 유도탄(700)이 본원 발명의 인양시스템에 결합된 상태에서 인양장치(100)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진 경우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무게중심 이동부재(231)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인양부재(400)가 유도탄(700)의 무게중심 하부를 받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인양부재(400)를 분리하고 재결합시킬 필요없이 인양장치(100)의 수평을 조정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700) 인양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인양부재(400)가 유도탄(700)의 무게중심을 받치지 않을 경우 연결부재(500)에 유도탄(700)의 하중에 의한 장력(F2)이 가해진다. 상기 프레임(200)에는 인양부재(400) 복수개의 결합홀(201a,201b,201c)이 형성된다. 도 9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인양부재(400)가 결합되는 결합홀을 변경하여 상기 인양부재(400)가 유도탄(700)의 무게중심을 받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유도탄(700)의 하중이 상기 인양부재(400)에 집중되고(도 9b의 F1), 상기 연결부재(500)에 유도탄(700)의 하중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장치(100) 및 인양시스템은 1개의 인양줄(401)에 유도탄(700)의 하중이 집중되므로 제1 연결부재(501a) 또는 제2 연결부재(501b) 중 어느 하나가 망가지더라도 주된 기능을 수행하는데 지장이 없다. 또한 이탈방지부재(600)의 고정력에 의해 피인양물 이탈이 방지되고, 인양 부재(400)의 길이 방향의 일정한 위치(무게중심)에 유도탄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도탄(700)의 무게와 프레임(200)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견디는 1개의 인양줄(401)을 사용하여 유도탄(700)을 지지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프레임(200)과 연결부재(5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그 결과 인양장치(100)의 무게가 가벼워 지고 피인양물에 과도한 구속 요소를 부여하지 않고 취급이 단순해 진다. 또한 인양물의 원하지 않는 회전 또는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경량의 연결부재(500)를 별도로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피인양물의 회전 및 기울어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며, 인양장치(100) 및 인양시스템은 인양줄(401) 지지점(유도탄의 중심점 인근)이 미끌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멈춤판(60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찰 고정식으로 피인양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과 더불어 기구학적으로도 유도탄(700)을 고정할 수 있다. 유도탄(700) 연결슬링(402)이 유도탄(700)을 고정하지 않으므로 상기 유도탄(700) 연결슬링(402)은 부드러운 섬유 소재로 제작되어 피인양물인 유도탄(700) 표면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인양장치(100) 및 인양시스템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4)

  1. 피인양물의 무게중심 둘레를 감싸 상기 피인양물을 들어올리는 띠 형태의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무게중심에 인양력을 가하도록 상기 제1 부재와 크레인 연결고리를 연결하는 제2 부재;
    상기 피인양물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고, 상기 피인양물의 상면에 접하여 고정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피인양물이 무게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크레인 연결고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피인양물이 피칭 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단들이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들은 상기 크레인 연결고리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피인양물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피인양물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피인양물의 길이 방향에서 일정각도를 갖도록 돌출되어 피인양물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홈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연결용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장치.
KR1020120042820A 2012-04-24 2012-04-24 무게중심 인양형 인양장치 KR101432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820A KR101432534B1 (ko) 2012-04-24 2012-04-24 무게중심 인양형 인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820A KR101432534B1 (ko) 2012-04-24 2012-04-24 무게중심 인양형 인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766A KR20130119766A (ko) 2013-11-01
KR101432534B1 true KR101432534B1 (ko) 2014-08-25

Family

ID=49850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820A KR101432534B1 (ko) 2012-04-24 2012-04-24 무게중심 인양형 인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5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232B1 (ko) 2022-11-22 2023-11-0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의 캐스크 다단 인양장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2089A (ja) * 1990-10-10 1992-09-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We> 油冷却系の管束位置転換装置
JPH0530069U (ja) * 1991-09-27 1993-04-20 自動車鋳物株式会社 吊 具
JPH1149470A (ja) * 1997-08-04 1999-02-23 Mitsubishi Heavy Ind Ltd 吊上げ装置
JP2002179378A (ja) * 2000-12-13 2002-06-26 Central Japan Railway Co 輪軸吊り金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2089A (ja) * 1990-10-10 1992-09-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We> 油冷却系の管束位置転換装置
JPH0530069U (ja) * 1991-09-27 1993-04-20 自動車鋳物株式会社 吊 具
JPH1149470A (ja) * 1997-08-04 1999-02-23 Mitsubishi Heavy Ind Ltd 吊上げ装置
JP2002179378A (ja) * 2000-12-13 2002-06-26 Central Japan Railway Co 輪軸吊り金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232B1 (ko) 2022-11-22 2023-11-0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의 캐스크 다단 인양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766A (ko) 201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26957A1 (en) Cable-traversing trolley adapted for use with impact braking
EP2944569B1 (en) An external load mass rope of a rotorcraft
CN100482566C (zh) 起重架及其使用方法
US9132999B2 (en) Method of connecting crane suspension assembly sections together and frame mounted assembly used therefore
US3270895A (en) Aerial logging system
US10308489B2 (en) Industrial truck comprising means for suppressing and reducing vibrations
KR20140147392A (ko)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철강 코일 그립퍼
KR101800147B1 (ko) 안전수단이 마련된 타워 크레인
RU2608423C2 (ru) Букси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промышлен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с облегченной несущей конструкцией
KR101432534B1 (ko) 무게중심 인양형 인양장치
KR102302630B1 (ko) 장비 회수장치를 구비한 짚트랙 시스템
CN109808888B (zh) 一种超低空远程应急重装救援车辆系统
US8141725B2 (en) Jib crane
CN103010967B (zh) 定位导向装置、工程机械及其吊臂
US20020109393A1 (en) Mooring device for maintaining a dump body in a raised position
CN109996752B (zh) 用于提升机的坠落防护设备
CN115924748A (zh) 具有后发动机配置的铺管机
US11530116B2 (en) Seesaw hook apparatus
EP3728841B1 (en) Gripper for holding a wind turbine blade and method of holding a wind turbine blade
US20220073318A1 (en) Hoisting implement, hoisting implement system, and method for using hoisting implement system
CN210150577U (zh) 一种防撞伤的c型吊具
JP4319168B2 (ja) 荷役用ハンガー
RU2652761C1 (ru) Траверса с захватами за бугели
JP6669356B2 (ja) 岸壁クレーンおよび岸壁クレーンの制御方法
CN115667070A (zh) 能够悬停的飞行器和运送悬挂在该飞行器上的负载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