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630B1 - 장비 회수장치를 구비한 짚트랙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비 회수장치를 구비한 짚트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630B1
KR102302630B1 KR1020210067821A KR20210067821A KR102302630B1 KR 102302630 B1 KR102302630 B1 KR 102302630B1 KR 1020210067821 A KR1020210067821 A KR 1020210067821A KR 20210067821 A KR20210067821 A KR 20210067821A KR 102302630 B1 KR102302630 B1 KR 102302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estination
trolley
recovery
departur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김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수 filed Critical 김정수
Priority to KR1020210067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61B7/02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with separate haulage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2Suspended slide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2Suspension of the load; Guiding means, e.g. wheels; Attaching tractio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4Devices for damping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10Cable traction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9/00Brakes characterised by or modified for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railway systems or purposes
    • B61H9/02Brakes characterised by or modified for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railway systems or purposes for aerial, e.g. rope,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발지에서 도착지로 활강한 체험자의 하네스와 트롤리 및 기타 장비를 다시 출발지로 회수하기 위한 장비 회수장치가 구비되어 짚트랙 시설의 운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된 장비 회수장치가 구비된 짚트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출발지(100); 상기 출발지(100)보다 상대적으로 저지대에 위치하는 도착지(200); 상기 출발지(100)와 도착지(200)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로프(300); 체험자가 매달린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로프를 타고 출발지에서 도착지로 활강하는 활강 트롤리(400); 체험자가 사용한 트롤리와 하네스 및 안전모를 도착지(200)에서 출발지(100)로 운반하는 회수장치(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비 회수장치를 구비한 짚트랙 시스템{Ziptrek system with harness withdrawl device}
본 발명은 공중활강 체험시설의 일종인 짚 트랙(Zip-trek)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출발지에서 도착지로 활강한 체험자가 사용했던 하네스와 트롤리 및 기타 여러 장비를 다시 출발지로 공중 회수하기 위한 회수장치가 구비되어 짚트랙 시설의 운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장비 회수장치를 구비한 짚트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공중하강 체험시설은 일반적으로 "짚 라인(ZIP LINE)" 또는 "짚 트랙(ZIP TREK)" 등으로 불리고 있는데, 이는 산악이나 해안 등에서 와이어를 가설하고 체험자가 와이어를 타고 위에서 아래로 활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공중하강 체험시설은 래프팅이나 아이언웨이(암벽등반)와 같이 최근 각광받고 있는 야외 스포츠 체험놀이로서 플라잉 익스트림 스포츠(FLYING EXTREME SPORTS)라고도 불린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본 발명자가 개발한 특허문헌 1,2의 공중활강 체험시설 또는 짚 트랙시스템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체험자가 출발부에서 활강하여 착지부에 접근하게 되면 완충장치를 사용하여 속도를 줄이거나 미처 도달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견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특허문헌 2에는 착지부 측에 승강조절이 가능한 데크가 설치되어 착지시 보조자가 도와주지 않더라도 착지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체험자가 도착지에 도착하게 되면 사용된 트롤리와 하네스 및 기타 장비를 모두 출발지로 회수하여야만 다음 체험자가 다시 사용할 수 있는데, 별도의 회수설비 없이 차량을 이용하여 장비를 운반할 경우에는 도착지에서 차량으로 싣고 차량을 출발지로 운전하여야 하며, 출발지에 도착한 차량에서 장비를 꺼내어 출발지에 정리를 해주어야 했었으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는바,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3에는 화물을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에서 운반이 가능하도록 한 '짚라인 화물 이송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3은 화물 이송장치의 동작을 위한 구동부가 출발지에 배치되어 있어 구동 전력을 출발지로 공급하기 위한 송전선 등의 가설공사가 부가되어야 했고, 일반적으로 짚트랙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 제어는 도착지에서 하여야 하므로 도착지에서 출발지의 구동부를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화물운반구가 매달리는 고정 와이어가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고 이를 견인하기 위한 견인 와이어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의 중간 부분에서 화물운반구의 하중이 실리는 상부의 고정 와이어가 하방으로 많이 처지게 될 경우, 하부의 견인 와이어와 겹치게 되어 쓸리게 되면서 마찰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마찰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고정 및 견인 와이어의 마모를 유발하게 되며, 와이어가 끊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서 출발지 측에 설치된 브레이크부재는 제1,2,3 리미트스위치가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젖혀지도록 배치되어 있었으므로 이송 트롤리부재가 매달린 회전 와이어가 화물 운반구의 중량 및 바람의 영향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거나 측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하게 될 경우에는 제1,2,3 리미트스위치와 제대로 접촉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22520호(2012.02.24.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494103호(2015.02.10.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2205554호(2021.01.14.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짚트랙 시스템에서 도착지에서 출발지로의 장비 회수를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되 고정 와이어와 견인 와이어 간의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개선하고, 바람의 영향이나 회수장비의 중량에도 불구하고 회수장치의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며,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에 가설된 와이어 로프가 바람의 영향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와이어 로프의 단선 및 출발지와 도착지의 고정 프레임 쪽으로 전달되어 진동과 소음 및 진동부의 마찰로 인한 기계적인 피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짚트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출발지와 도착지의 준비상태를 상대방 측에서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출발지에서의 안전한 출발 제어가 가능한 짚트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고지대에 위치하는 출발지, 상대적으로 저지대에 위치하는 도착지, 상기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로프, 체험자가 매달린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로프를 타고 출발지에서 도착지로 활강하는 활강 트롤리, 체험자가 사용한 트롤리와 하네스 및 안전모 등의 장비를 도착지에서 출발지로 운반하는 회수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회수장치는 출발지와 도착지의 고정 프레임 사이에 연결되는 고정 와이어와, 상기 고정 와이어 상부에 위치하며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에 루프 상태로 연결되는 견인 와이어와, 상기 고정 와이어를 타고 출발지와 도착지를 왕복 이동하는 회수 트롤리와, 상기 회수 트롤리에 매달린 회수차와, 상기 회수 트롤리를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견인 와이어에 연결하기 위한 굴절 아암과, 상기 도착지에 설치되어 상기 견인 와이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도착지에 설치되어 상기 회수차의 도착지와 출발지의 도착시 구동부의 감속과 정지를 위한 제동부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 와이어와 견인 와이어 사이의 간격 변화에도 불구하고 굴절 아암이 굴절되면서 회수 트롤리의 견인이 이루어지도록 된 장비 회수장치를 구비한 짚트랙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활강용 와이어 로프와 회수장치의 고정 와이어 및 견인 와이어에는 바람에 의한 진동이 출발지와 도착지의 고정 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진동흡수댐퍼가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출발지와 도착지에는 출발 및 도착 준비 완료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신호등이 설치되어 상대방에서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동부는 견인 와이어에 부착된 감지구와, 상기 도착지 측에 견인 와이어와 평행하게 설치된 외팔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감지구와 다단계로 접촉하는 복수의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감지구가 리미트스위치에 접촉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리미트스위치가 단계적으로 동작하는 것에 의해 구동부의 구동속도를 감속시키고, 최종적으로 구동부를 정지시키며, 상기 복수의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감지구와의 접촉에 의해 각각 상하, 좌우, 전후 방향으로 젖혀지도록 도착지의 외팔보에 각기 다른 방향으로 부착되어 바람의 영향 및 회수차에 실린 회수물의 중량에 의해 견인 와이어가 외팔보와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어긋나더라도 안정적인 감지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출발지에는 활강 트롤리를 구속하기 위한 트리거가 구비되며, 상기 트리거는 공압 또는 전기적으로 동작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속이 해제되도록 하여 여러 체험자가 동시에 또는 시간차를 두고 출발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장비 회수장치에 의해 활강시 사용했던 트롤리와 하네스 및 헬멧 등의 장비를 도착지에서 출발지로 공중 회수하는 작업을 안전하면서도 신속·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출발지와 도착지에 설치된 신호등을 보면서 도착지에서는 출발지의 상황을 파악하고 출발지에서는 도착지의 상황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미처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출발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출발지에 설치된 트리거에 의해 안전한 동시 또는 시간차 출발이 가능하고, 와이어에 설치된 진동흡수댐퍼에 의해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에 가설된 와이어가 바람의 영향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의 거리가 멀거나 바람이 많이 부는 장소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며, 도착지에 구비된 제동부는 리미트스위치가 좌우,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젖혀지도록 배치되어 있음은 물론 가이드 아암에 의해 견인 와이어에 부착된 감지구를 바람의 영향이나 회수장비의 중량 변화에도 불구하고 확실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어 회수장치의 안정적인 감속 및 정지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짚트랙 시스템의 출발지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짚트랙 시스템의 도착지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짚트랙 시스템의 회수장치 중 출발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짚트랙 시스템의 회수장치 중 도착지의 구성도,
도 5는 도 4의 리미트스위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회수장치의 견인 와이어와 회수 트롤리 사이의 굴절 아암 굴절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출발지 고정 프레임에 고정 와이어가 결속된 상태를 보인 실물사진,
도 8은 와이어에 설치된 진동흡수댐퍼의 확대도,
도 9는 출발지의 트리거에 활강 트롤리가 구속된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에서 트리거가 해제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짚트랙 시스템의 전체 및 세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 의한 짚트랙 시스템은 산이나 빌딩과 같이 상대적으로 고지대에 위치하는 출발지(100), 상기 출발지(100)보다 상대적으로 저지대에 위치하는 도착지(200), 상기 출발지(100)와 도착지(200)의 고정 프레임(110,210)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로프(300), 체험자가 매달린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로프를 타고 출발지에서 도착지로 활강하는 활강 트롤리(400), 체험자가 사용한 활강 트롤리와 하네스 및 안전모를 도착지(200)에서 출발지(100)로 운반하는 회수장치(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와이어 로프(300)의 상부에는 맞바람의 영향 또는 체험자의 체중 미달로 인해 활강 트롤리(400)가 도착지(200)에 미달할 경우 이를 끌어오기 위한 견인 트롤리(600)를 설치하기 위한 보조 와이어(610)가 평행하게 가설되어 있고, 상기 견인 트롤리(600)는 활강 트롤리(400)와 도킹 후 도착지(200)의 구동부(620)가 루프형으로 가설된 견인 와이어(630)를 일방향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 도착지(200) 쪽으로 이동하고, 타방향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 출발지(100) 쪽으로 마중을 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700은 도착지 측에 설치된 완충기로, 본 실시 예에서는 압축코일스프링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의 완충기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견인 트롤리(600)와 완충기(700)의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출발지와 도착지가 도 1 및 도 2에 따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활강을 위한 와이어 로프(300)와 보조 와이어(610)가 각각 연속으로 연결된 것으로 이해하면 되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회수장치(500)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출발지와 도착지의 활강을 위한 와이어 로프(300)의 한 쪽에 배치되어 운용되는 것으로, 회수장치(500) 또한 출발자와 도착지 측의 고정 와이어(510)와 견인 와이어(520)가 각각 연속으로 연결된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먼저, 본 실시 예에서 체험자의 활강을 위한 시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출발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H-빔으로 제작된 견고한 고정 프레임(110)에 와이어 로프(300)와 보조 와이어(610)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와이어 로프(300)와 고정 와이어(510) 및 보조 와이어(610)는 H-빔에 바로 고정되지 않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H-빔에 원형 파이프(112)가 씌워져 용접되고, 상기 원형 파이프(112)의 외면에 고무패드(114)가 둘러진 상태에서 권취되어 고정됨으로써 와이어 로프(300)와 보조 와이어(610)가 H-빔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와이어가 큰 곡률반경으로 권취되어 급격한 꺾임이나 금속간 마찰 및 와이어의 진동이 고정 프레임(1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와이어 로프(300)와 보조 와이어(610)에는 진동흡수댐퍼(800)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는 바람에 의해 상기 와이어 로프(300)와 보조 와이어(610)에서 발생한 진동이 출발지와 도착지의 고정 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진동흡수댐퍼(8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추(810), 메신저 케이블(820) 및 바이스 클램프(830)로 이루어져 있으며, 와이어 로프(300) 및 보조 와이어(610)는 물론 회수장치의 고정 와이어(510)와 견인 와이어(520)의 출발지와 도착지 말단부에 매달리도록 체결되어 있다.
상기 진동흡수댐퍼(800)는 와이어가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전달받은 에너지를 금속 추(810)가 진동함으로써 진동에너지를 소산(흡수)하여 진동진폭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바람에 의한 와이어의 진동은 고주파의 주기적인 진동을 하고 있으므로 작은 진폭에도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진동흡수댐퍼(800)에 의해 진동과 진폭을 저감시킴으로써 와이어의 피로를 감소시키는 것은 물론, 와이어의 진동이 출발지(100)와 도착지(200)의 고정 프레임(110,210)에 전달되어 와이어 고정부에서의 반복적인 마모나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진동흡수댐퍼(800)는 금속 추(810)의 질량 조절 및 메신저 케이블(820)의 길이조절을 통하여 와이어에서 발생한 진동을 저감할 수 있으며, 짚트랙 시스템 설치장소의 바람 특성이나 짚트랙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와이어의 굵기와 길이(출발지와 도착지간의 거리 즉, 경간)에 따라서 진동흡수댐퍼(800)를 복수 개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본 실시 예에 의한 짚트랙 시스템은 출발지와 도착지간의 거리가 1km를 초과한 장 스팬(Span)이면서도 바람의 영향이 큰 산지나 해안에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상술한 진동흡수댐퍼의 설치가 필수적이다.
상기 출발지(100)에는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리프트(12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리프트(120)의 전방에는 평상시 상부로 들려 폐쇄되고 출발시 개방되는 게이트(130)가 설치되어 있어 체험자 및 체험보조자가 리프트(120) 위에서의 출발 준비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리프트(120)의 승강동작 및 게이트(130)의 개폐동작은 각각 모터와 공압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지는바, 이와 같은 기술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출발지(100)와 도착지(200)에는 상대측에서 잘 볼 수 있는 위치에 적색과 청색으로 전환되는 타입의 신호등(140,240)이 설치되어 있고, 이 신호등(140,240)는 출발지와 도착지의 관리자가 출발준비 및 도착대기의 완료여부에 따라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출발지와 도착지 간의 소통오류나 착오로 인한 실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출발지(100)에는 활강 트롤리(400)의 구속하기 위한 트리거(90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트리거(900)는 공압 또는 전기적으로 동작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속이 해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트리거(9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발지(100) 측의 와이어 로프(300)에 고정된 박스체(910)와, 상기 박스체(910) 내부에 후단이 힌지결합되고 선단에는 활강 트롤리(400)의 롤러 축(410)이 거치되는 트리거 아암(920)과, 상기 박스체(910)의 상부에 몸체가 고정되고 피스톤이 상기 트리거 아암의 중간부에 핀결합된 복동형 공압실린더(930)로 이루어져 상기 복동형 공압실린더(930)의 수축상태에서 활강 트롤리(400)가 구속되고(도 9 참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동형 공압실린더(930)의 신장에 의해 활강 트롤리(400)의 구속이 해제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출발지(100)에 트리거(90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체험자가 안전하게 정지된 상태에서 출발대기를 할 수 있으며, 게이트(130)의 개방과 리프트(120)의 하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출발지 관리자가 최종적으로 스위치를 눌러 트리거(900)를 해제하면 비로소 자동으로 출발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체험자가 임의로 출발하거나 불안감에 의해 출발을 지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트리거(900)는 각각의 와이어 로프에 설치되어 복수의 체험자가 동시에 출발하도록 하거나 시간차를 두고 출발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도착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강관으로 제작된 견고한 고정 프레임(210)에 와이어 로프(300)와 보조 와이어(610)의 타단이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와이어 로프(300)와 보조 와이어(610)는 원형 강관의 외면에 고무패드(214)가 둘러진 상태에서 권취되어 고정됨으로써 와이어 로프와 보조 와이어가 원형 강관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와이어의 급격한 꺾임이나 금속간 마찰 및 와이어의 진동이 고정 프레임(2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도착지(200)에도 와이어 로프(300)와 보조 와이어(610)의 말단부위에 진동흡수댐퍼(800)가 부착되어 있고, 신호등(240)도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도착지(200)에는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리프트(22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리프트(220)는 평상시 하강되어 있다가 체험자가 활강을 마치고 내려오면 상승하여 체험자가 발을 디딘 상태에서 하네스를 트롤리에서 분리할 수 있고, 와이어 로프(300)에서 트롤리를 탈거하게 되면 다시 하강하여 체험자가 지상으로 안전하게 걸어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리프트(220)의 승강동작은 공압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지는바, 이와 같은 리프트의 기술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 중 부호 '640'은 견인 트롤리(60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박스이다.
이하에서는 장비 회수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회수장치(5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발지(100)와 도착지(200)의 고정 프레임(110,210) 사이에 연결되는 고정 와이어(510)와, 상기 고정 와이어(510) 상부에 위치하며 출발지(100)와 도착지(200) 사이에 루프(loop) 상태로 연결되는 견인 와이어(520)와, 상기 고정 와이어를 타고 출발지와 도착지를 왕복 이동하는 회수 트롤리(530)와, 상기 회수 트롤리에 매달린 회수차(540)와, 상기 회수 트롤리(530)를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견인 와이어(520)에 연결하기 위한 굴절 아암(550)과, 상기 도착지에 설치되어 상기 견인 와이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560)와, 상기 도착지에 설치되어 상기 회수차의 도착지와 출발지의 도착시 구동부의 정지를 위한 제동부(570)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 와이어와 견인 와이어의 처짐에 따른 간격 변화에도 불구하고 회수 트롤리의 안정적인 견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562'는 구동부(560)의 구동모터이고, 부호 '564'는 구동풀리, 부호 '566'은 출발지에 설치되는 피동풀리이다.
상기 제동부(570)는 견인 와이어(520)에 부착된 감지구(572)와, 상기 도착지 측에 견인 와이어(520)와 평행하게 설치된 외팔보(212)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감지구(572)와 다단계로 접촉하는 복수의 리미트스위치(573,574,575)와, 상기 감지구(572)가 리미트스위치에 접촉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아암(576)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리미트스위치가 단계적으로 동작하는 것에 의해 구동부(560)의 구동속도를 감속시키고, 최종적으로 구동부(560)를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감지구(57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후단이 콘 형태로 이루어진 원통체이고, 상기 감지구(572)는 견인 와이어(520)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며, 상기 복수의 리미트스위치(573,574,575)는 상기 감지구(572)와의 접촉에 의해 각각 좌우, 전후, 상하 방향으로 젖혀지도록 도착지(200)의 외팔보(210)에 각기 다른 방향으로 부착되어 바람의 영향 및 회수차(540)에 실린 회수물의 중량에 의해 견인 와이어(520)가 외팔보(210)와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어긋나더라도 안정적인 감지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미트스위치(573)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구(572)와의 접촉에 의해 레버가 좌우방향으로 젖혀지면서 감지하도록 되어 있고, 제2 리미트스위치(574)는 레버가 전후방향으로 젖혀지면서 감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3 리미트스위치(575)는 레버가 상하방향으로 젖혀지면서 감지하도록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미트스위치의 레버가 젖혀지는 방향을 2방향 이상으로 다르게 하여 바람의 영향에 의해 견인 와이어(520)가 좌우방향으로 벗어나거나 회수물의 중량으로 인해 하방으로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감지구(572)가 리미트스위치(573,574,575)와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가이드 아암(576)은 외팔보(210)의 후단측에 구동부(560)의 정지를 위한 리미트스위치(575) 앞쪽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U자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감지구(572)와의 접촉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어 감지구(572)가 직접 리미트스위치(572)의 레버에 닿지 않더라도 감지구(572)가 가이드 아암(576)에 걸리게 되어 회동하면서 리미트스위치(575)의 레버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 구동부(560)를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동부(570)는 도면상으로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감지구(572)는 루프 형태로 연결된 견인 와이어(520)의 양쪽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제1,2,3 리미트스위치는 도착지의 견인 와이어가 풀리는 쪽과 당겨지는 쪽 두군데에 모두 설치되어 있어 도착지와 출발지에서의 정위치에 정지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굴절 아암(5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 트롤리(530)에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는 하부 아암(552)과, 견인 와이어(520)에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상부 아암(55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아암(552)과 상부 아암(554)은 핀(556)과 크레비스(558)에 의해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굴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견인 와이어(520)와 고정 와이어(510)이 처짐 발생에 따른 간격 변화에 따라 굴절되면서 회수 트롤리(530)를 안정적으로 견인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회수장치(500)를 위한 고정 와이어(510)의 양단이 각각 출발지(100)와 도착지(200)의 고정 프레임(110,210)에 활강용 와이어 로프(300)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 설치되며, 진동흡수댐퍼(800) 또한 활강용 와이어 포르(300)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 와이어(510)와 견인 와이어(52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짚트랙 시스템은 활강용 와이어 로프(300)를 타고 체험자가 출발지에서 도착지로 활강하면서 짜릿한 체험을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출발지(100)에서는 활강 트롤리(400)가 트리거(900)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출발준비를 하게 되므로 임의 출발이나 지연 출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체험자가 동시에 출발할 수 있도록 하거나 시간차를 두고 출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도착지(200)에서는 정풍과 역풍의 상태에 따른 체험자의 활강상태를 보면서 견인 트롤리(600)를 적정 위치로 이동시켜 마중을 나가서 대기를 하고 있다가 활강 트롤리(400)와 도킹이 이루어지게 되면 도착지까지 안전하게 견인하게 되며, 도착지(200)에서는 리프트(220)가 상승하여 체험자가 착지한 상태에서 체험자의 하네스를 활강 트롤리(400)에서 분리시킨 후 다시 하강하여 체험자가 지상으로 걸어나갈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출발지(100)와 도착지(200)에 신호등(140,24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대편에서의 준비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도착지에서 미처 체험자를 맞이할 준비가 완료되지 않은 상황, 예를 들면, 이전 체험자가 지상으로의 안전한 이동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견인 트롤리가 아직 제대로 마중을 나올 준비가 되지 않았거나, 기타 도착지에서 이런 저런 정리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출발지에서 미리 출발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반대로 도착지에서는 출발지의 신호등 색상 변화를 보면서 출발 준비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면서 체험자를 맞이할 작업을 신속히 할 수 있도록 해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체험자가 사용한 하네스와 트롤리 및 헬멧 등의 장비는 공중에 가설된 회수장치(500)를 이용하여 다시 도착지에서 출발지로 돌려보내게 되는데, 이들 장비는 회수장치(500)의 회수차(540)에 싣고 구동부(560)를 구동시키게 되면 견인 와이어(520)가 회수 트롤리(530)를 견인하여 출발지까지 공중으로 곧바로 운송하게 되므로 장비의 회수작업을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 예의 회수장치(500)는 도착지(200)에 구동부(560)와 제동부(57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의 제어가 용이함은 물론, 회수차(540)가 도착지에 도착하는 것과 출발지에 도착하는 것 또한 도착지에 구비된 제동부(570)의 제1,2,3 리미트스위치(573,574,575)에 의해 단계적인 감속과 정지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의 회수장치(500)는 고정 와이어(510)가 하부에 위치하고 견인 와이어(520)가 고정 와이어(510)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운용이 되므로 회수차(540)의 장비 하중이 무거워져서 고정 와이어(510)에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상부의 견인 와이어(520)와 중간에서 겹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부의 견인 와이어(520)와 하부의 고정 와이어(510) 사이에는 굴절 아암(550)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부 견인 와이어(520)와 하부 고정 와이어(51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아지더라도 굴절 아암(550)이 이를 따라서 굴절되게 되므로 견인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견인불량현상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 회수장치는 도착지에서 출발지로의 장비 회수는 물론 필요한 경우 출발지에서 도착지로 장비를 운송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활강용 와이어 로프(300)와 회수장치(500)의 고정 및 견인 와이어(510,520)에 진동흡수댐퍼(80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에 가설된 와이어가 바람의 영향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의 거리가 멀거나 바람이 많이 부는 장소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짚트랙의 운용이 가능하며, 출발지와 도착지의 고정 프레임으로 전해지는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기계적인 피로 누적으로 인한 와이어의 단선이나 고정 프레임 연결부위에서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어 시스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도착지(200)에 구비된 제동부(570)의 제1,2,3 리미트스위치(573,574,575)의 레버가 좌우,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각기 다른 방향으로 젖혀지도록 배치되어 있음은 물론, 가이드 아암(576)에 의해 견인 와이어(520)의 감지구(572)를 바람의 영향이나 회수장비의 중량 변화에도 불구하고 확실하게 접촉하여 감지할 수 있으므로 악조건적인 상황에서도 회수장치의 안정적인 단계적 감속 및 정지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불의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0 : 출발지 110 : 고정 프레임
112 : 원형 파이프 114 : 고무패드
120 : 리프트 130 : 게이트
140 : 신호등 200 : 도착지
210 : 고정 프레임 212 : 외팔보
220 : 리프트 240 : 신호등
300 : 와이어 로프 400 : 활강 트롤리
500 : 회수장치 510 : 고정 와이어
520 : 견인 와이어 530 : 회수 트롤리
540 : 회수차 550 : 굴절 아암
552 : 하부 아암 554 : 상부 아암
556 : 핀 558 : 크레비스
560 : 구동부 562 : 구동모터
564 : 구동풀리 566 : 피동풀리
570 : 제동부 572 : 감지구
573 : 제1 리미트스위치 574 : 제2 리미트스위치
575 : 제3 리미트스위치 576 : 가이드 아암
600 : 견인 트롤리 610 : 보조 와이어
620 : 구동부 630 : 견인 와이어
640 : 컨트롤박스 700 : 완충기
800 : 진동흡수댐퍼 810 : 금속 추
820 : 메신저 케이블 830 : 바이스 클램프
900 : 트리거 910 : 박스체
920 : 트리거 아암 930 : 복동형 공압실린더

Claims (11)

  1. 상대적으로 고지대에 위치하는 출발지(100), 상대적으로 저지대에 위치하는 도착지(200), 상기 출발지와 도착지의 고정 프레임(110,120)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활강용 와이어 로프(300), 체험자가 매달린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로프(300)를 타고 출발지에서 도착지로 활강하는 활강 트롤리(400), 체험자가 사용한 활강 트롤리와 하네스 및 안전모 등의 장비를 도착지(200)에서 출발지(100)로 공중 운반하는 회수장치(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회수장치(500)는 출발지와 도착지의 고정 프레임 사이에 연결되는 고정 와이어(510)와, 상기 고정 와이어 상부에 위치하며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에 루프 상태로 연결되는 견인 와이어(520)와, 상기 고정 와이어를 타고 출발지와 도착지를 왕복 이동하는 회수 트롤리(530)와, 상기 회수 트롤리에 매달린 회수차(540)와, 상기 회수 트롤리를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견인 와이어에 연결하기 위한 굴절 아암(550)과, 상기 도착지에 설치되어 상기 견인 와이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560)와, 상기 도착지에 설치되어 상기 회수차의 도착지와 출발지의 도착시 구동부의 정지를 위한 제동부(570)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 와이어와 견인 와이어 사이의 간격 변화에도 불구하고 굴절 아암(550)이 굴절되면서 회수 트롤리의 견인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동부(570)는 견인 와이어에 부착된 감지구(572)와, 상기 도착지의 고정 프레임에 견인 와이어와 평행하게 설치된 외팔보(212)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감지구와 다단계로 접촉하는 복수의 리미트스위치(573,574,575)와, 상기 감지구가 리미트스위치에 접촉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아암(576)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리미트스위치가 단계적으로 동작하는 것에 의해 구동부(560)의 구동속도를 감속시키고, 최종적으로 구동부(560)를 정지시키며, 상기 감지구(572)는 선후단이 콘 형태로 이루어진 원통체이고, 상기 감지구는 견인 와이어(520)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며, 상기 복수의 리미트스위치(573,574,575)는 상기 감지구(572)와의 접촉에 의해 레버가 각각 좌우, 전후, 상하 방향으로 젖혀지도록 외팔보(212)에 부착되어 바람 및 회수차(540)에 실린 장비의 중량에 의해 견인 와이어(520)가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어긋나더라도 안정적인 감지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회수장치를 구비한 짚트랙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팔보(212)에는 구동부(560)의 정지를 위한 리미트스위치(575) 앞쪽에 상기 감지구(572)에 의해 회동하는 U자형 가이드 아암(576)이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감지구(572)가 직접 리미트스위치(575)의 레버에 닿지 않더라도 감지구(572)에 의해 회동되면서 가이드 아암(576)이 리미트스위치(575)의 레버와 접촉하도록 하여 구동부(560)를 최종 정지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회수장치를 구비한 짚트랙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굴절 아암(550)은 회수 트롤리(530)에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는 하부 아암(552)과, 견인 와이어(520)에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상부 아암(55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아암(552)과 상부 아암(554)은 핀(556)과 크레비스(558)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굴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견인 와이어(520)와 고정 와이어(510) 사이의 간격 변화에 따라 굴절되면서 회수 트롤리(530)를 견인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회수장치를 구비한 짚트랙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활강용 와이어 로프(300)와 회수장치(500)의 고정 와이어(510) 및 견인 와이어(520)에는 바람에 의한 진동이 출발지(100)와 도착지(200)의 고정 프레임(110,2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진동흡수댐퍼(800)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회수장치를 구비한 짚트랙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발지(100)와 도착지(200)의 고정 프레임(110,210)은 원형 강관 또는 H-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활강용 와이어 로프(300)와 고정 와이어(510)는 원형 강관에는 고무패드(114)가 둘러진 상태로 권취되어 고정되며, H-빔에는 원형 파이프(112)가 씌워져 용접되고 상기 원형 파이프(112)의 외면에 고무패드(114)가 둘러진 상태로 권취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회수장치를 구비한 짚트랙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발지(100)와 도착지(200)에는 출발 및 도착 준비 완료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신호등(140,240)이 설치되어 상대방에서 시각으로 준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회수장치를 구비한 짚트랙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발지(100)에는 활강 트롤리(400)를 구속하기 위한 트리거(900)가 구비되고, 상기 트리거(900)는 공압 또는 전기적으로 동작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속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회수장치를 구비한 짚트랙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900)는 출발지(100)의 활강용 와이어 로프(300)에 고정된 박스체(910)와, 상기 박스체(910) 내부에 후단이 힌지결합되고 선단에는 활강 트롤리(400)의 롤러 축(410)이 거치되는 트리거 아암(920)과, 상기 박스체(910)의 상부에 몸체가 고정되고 피스톤이 상기 트리거 아암(920)의 중간부에 핀결합된 복동형 공압실린더(930)로 이루어져 상기 복동형 공압실린더(930)의 수축상태에서 활강 트롤리가 구속되고 복동형 공압실린더(930)의 신장에 의해 활강 트롤리(400)의 구속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회수장치를 구비한 짚트랙 시스템.
  11. 청구항 9 또는 10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900)는 각각의 활강용 와이어 로프(300)에 설치되어 복수의 체험자가 동시에 출발하도록 하거나 시간차를 두고 출발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회수장치를 구비한 짚트랙 시스템.
KR1020210067821A 2021-05-26 2021-05-26 장비 회수장치를 구비한 짚트랙 시스템 KR102302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821A KR102302630B1 (ko) 2021-05-26 2021-05-26 장비 회수장치를 구비한 짚트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821A KR102302630B1 (ko) 2021-05-26 2021-05-26 장비 회수장치를 구비한 짚트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630B1 true KR102302630B1 (ko) 2021-09-14

Family

ID=77774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821A KR102302630B1 (ko) 2021-05-26 2021-05-26 장비 회수장치를 구비한 짚트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6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016B1 (ko) * 2022-06-09 2022-07-21 유한회사 중원시스템 짚라인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17866B1 (ko) * 2022-07-01 2023-04-05 어드벤처 주식회사 공중이동용 탑승카트 입출고 주차시스템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4945A (ja) * 1995-12-19 1997-06-24 Kashiyama Kogyo Kk 搬器用制振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搬器
KR100840223B1 (ko) * 2007-07-05 2008-06-23 한국가스공사 유틸리티파이프 리프팅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도장방법
KR101122520B1 (ko) 2011-11-25 2012-03-19 짚트랙코리아 주식회사 짚 트렉 시스템
KR101446650B1 (ko) * 2014-03-10 2014-10-06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짚라인에 사용되는 발사장치 및 브레이크 유닛
KR101494103B1 (ko) 2013-11-04 2015-02-17 김정수 공중하강 체험시설
KR101627291B1 (ko) * 2015-01-07 2016-06-03 어드벤처닷케이알(주)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
KR101710700B1 (ko) * 2016-08-31 2017-02-27 주식회사 짚핑코리아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되는 주행트롤리
JP2017203336A (ja) * 2016-05-13 2017-11-16 三菱電機株式会社 ロック装置及びホーム柵
KR102205554B1 (ko) 2020-07-15 2021-01-20 장석만 짚라인 화물 이송장치
KR102221903B1 (ko) * 2019-10-15 2021-03-02 이종건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4945A (ja) * 1995-12-19 1997-06-24 Kashiyama Kogyo Kk 搬器用制振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搬器
KR100840223B1 (ko) * 2007-07-05 2008-06-23 한국가스공사 유틸리티파이프 리프팅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도장방법
KR101122520B1 (ko) 2011-11-25 2012-03-19 짚트랙코리아 주식회사 짚 트렉 시스템
KR101494103B1 (ko) 2013-11-04 2015-02-17 김정수 공중하강 체험시설
KR101446650B1 (ko) * 2014-03-10 2014-10-06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짚라인에 사용되는 발사장치 및 브레이크 유닛
KR101627291B1 (ko) * 2015-01-07 2016-06-03 어드벤처닷케이알(주)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
JP2017203336A (ja) * 2016-05-13 2017-11-16 三菱電機株式会社 ロック装置及びホーム柵
KR101710700B1 (ko) * 2016-08-31 2017-02-27 주식회사 짚핑코리아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되는 주행트롤리
KR102221903B1 (ko) * 2019-10-15 2021-03-02 이종건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
KR102205554B1 (ko) 2020-07-15 2021-01-20 장석만 짚라인 화물 이송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016B1 (ko) * 2022-06-09 2022-07-21 유한회사 중원시스템 짚라인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17866B1 (ko) * 2022-07-01 2023-04-05 어드벤처 주식회사 공중이동용 탑승카트 입출고 주차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2630B1 (ko) 장비 회수장치를 구비한 짚트랙 시스템
US20180326957A1 (en) Cable-traversing trolley adapted for use with impact braking
KR101710700B1 (ko)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되는 주행트롤리
KR101442314B1 (ko) 케이블 이동 시스템
KR101627291B1 (ko)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
EP3710331B1 (en) Trolley system and associated rails and tracks
US2854201A (en) Aircraft barrier
US20090014259A1 (en) Load-minimizing, trolley arrester apparatus and method
CN109625305B (zh) 一种无人机回收装置
CN111469865B (zh) 缆索运送系统
US5217091A (en) Mechanical overspeed safety device
KR101203069B1 (ko) 가공삭도
US4262811A (en) Log carrier
JP6804555B2 (ja) ケーブル輸送装置
CN211254901U (zh) 一种柔性轨道电梯
CN210027961U (zh) 一种无人机回收装置
JP6321900B2 (ja) 低高地用交通システム
JP6883844B2 (ja) 延線装置
EP1373043B1 (en) Method for detaching towable device from ski lift and detaching member
US4785739A (en) Tracked transportation system comprising emergency car braking system
CN111453584B (zh) 一种提篮式轿厢系统及其使用方法
US20230242162A1 (en) Cableway Vehicle Having Crossing Apparatus
KR101432534B1 (ko) 무게중심 인양형 인양장치
CN111463705B (zh) 一种无人机导引绳抛放系统及其使用方法
US20230264721A1 (en) Door Controller for a Cable Ca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