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700B1 -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되는 주행트롤리 - Google Patents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되는 주행트롤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0700B1 KR101710700B1 KR1020160112231A KR20160112231A KR101710700B1 KR 101710700 B1 KR101710700 B1 KR 101710700B1 KR 1020160112231 A KR1020160112231 A KR 1020160112231A KR 20160112231 A KR20160112231 A KR 20160112231A KR 101710700 B1 KR101710700 B1 KR 1017107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e
- brake cylinder
- zip
- occupant
- brak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2—Suspended slide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9/00—Brakes characterised by or modified for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railway systems or purposes
- B61H9/02—Brakes characterised by or modified for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railway systems or purposes for aerial, e.g. rope,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작동 신뢰도 및 작동 안정성을 크게 개선한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되는 주행트롤리가 개시된다.
하사점으로부터 도착점까지 중력에 의한 자연감소 관성주행을 하는 경우 미도착 탑승자를 보다 확실하게 견인하기 위해 주행트롤리(15) 및 브레이크통(30)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짚라인(10)과 시스템보조라인(20)이 단일 수직면 내에 놓이는 한편 순환라인(40)이 그 굵기가 2~6mm인 강연선 으로 구성되고 이 순환라인을 순환구동하는 구동수단(50)이 짚라인(10)과 보조라인(20)의 수직 간격 사이에 장착되며, 순환라인(40)의 순환을 기계적으로 정지시키는 풋브레이크 수단이 구비된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가 개시된다.
하사점으로부터 도착점까지 중력에 의한 자연감소 관성주행을 하는 경우 미도착 탑승자를 보다 확실하게 견인하기 위해 주행트롤리(15) 및 브레이크통(30)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짚라인(10)과 시스템보조라인(20)이 단일 수직면 내에 놓이는 한편 순환라인(40)이 그 굵기가 2~6mm인 강연선 으로 구성되고 이 순환라인을 순환구동하는 구동수단(50)이 짚라인(10)과 보조라인(20)의 수직 간격 사이에 장착되며, 순환라인(40)의 순환을 기계적으로 정지시키는 풋브레이크 수단이 구비된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동 신뢰도, 작동 안전성 및 브레이크 성능이 크게 개선한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와 이 장치에 사용되는 주행트롤리에 관한 것이며, 특히 후술하는 선특허발명 및 본 발명자의 선출원발명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자연적인 높이차가 큰 두 지역, 예를 들어 산악 계곡을 따라 내려오는 두 지형이거나 높이 차가 큰 봉우리나 능선, 또는 계속 등에 짚라인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 특히 도착지점에서의 안전하고 부드러운 자연 감속과 정지가 가능한 짚라인 장치의 브레이킹 시스템을 국내 선특허출원 제10-2014-0128051호(이하, ‘선출원발명’이라 한다)으로 제시한 바 있다. 이 선출원발명은 본 출원인의 또 다른 직무발명자 고두정이 이 선출원발명에 앞서 2011. 08. 04일 국내 특허출원 제10-2011-0077635호로 출원하여 2013. 8. 21자로 특허받은 국내 특허 제10-1300582호(트롤리 락커 이동장치 이하 ‘선특허발명’)를 개량한 것이다.
위 선출원발명은 선특허발명의 이점을 그대로 살려 짚라인 탑승자가 최종 도착지점에 다다르기 이전에 하사점으로부터 최종 도착지점까지의 수십미터, 예를 들어 30~50m(미터) 구간을 상승구간(U구간)으로 구성하여 이 상승구간에서 중력에 의해 점차적인 감속주행을 하게 하는 자연브레이킹 시스템을 구성하되, 그 개량사항으로서 탑승자의 체중이나 바람, 기압 등의 영향에 의해 이 상승구간(U)에서 탑승자의 주행관성력이 부족하여 미처 최종 도착지점에 이르지 못하고 허공에 매달리게 되는 경우 이러한 미도착 탑승자를 사람의 인력을 들이지 않고 보다 더 안전하고 신속하게 또한 편리하게 자동으로 최종 도착점으로 끌어올 수 있도록 하는 미도착 탑승자 견인기술 및 빈 브레이크통을 다음번 탑승자를 맞이하기 위한 대기위치로 손쉽게 내보낼 수 있는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이 선출원발명은, 도 1 내지 도 7에 의해 잘 알 수 있는 것처럼, 짚라인(10)과; 이 짚라인(10)의 상부에 짚라인과 거리(d)를 두어 짚라인(10)과 대략 나란하게 현수상태로 설치된 브레이킹시스템 보조라인(20)과; 하사점(B)과 도착점(A) 사이의 상승구간(U)에서 내부에 짚라인(10) 위에 올려 놓여져 그 짚라인을 타고 활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르레(32)가 구비되고, 후방하단에 비틀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작동하는 상향 레버식 탄성후크(34)가 돌출되게 구비되며, 후방상단측 및 전방하단측에 각각 제1연결부(36)와 제2연결부(38)가 구비된 브레이크통(30)과; 일단(一端)은 브레이크통(30)의 후방상단측 제1연결부(36)에 연결되고 타단(他端)은 브레이크통(30)의 전방하단측 제2연결부(38)에 연결되며, 하사점(B) 부근의 브레이킹시스템 보조라인(20) 상의 제1방향전환 롤러포인트(TP1)와 도착점 위치에서의 브레이킹시스템 보조라인(20) 상의 제2방향전환 롤러포인트(TP2) 및 도착점 위치에서의 짚라인(10) 상의 제3방향전환 롤러포인트(TP3)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폐곡선으로 연결되어(30-TP1-TP2-TP3-30) 브레이크통(30)의 짚라인 상승구간(U) 상에서의 전후방향 활주에 따라 함께 전후방향으로 순환이동 가동하도록 구성된 짚라인탑승자 견인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40); 및 제2방향전환 롤러포인트(TP2)와 제3방향전환 롤러포인트(TP3) 사이에서 짚라인탑승자 견인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40)에 체결되어 상기 순환라인(40)에 대해 중립 또는 전후방향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순환라인 구동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선출원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에 있어서, 탑승자를 짚라인(10)에 매달아 그 짚라인(10)을 타고 활강하게 하는 탑승자 주행트롤리(15)는 짚라인(10)의 하사점(B) 근처에 이르러 전후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대기하고 있던 브레이크통(30)과 부딪혀 속도가 줄면서 브레이크통과 일체가 되어 함께 거동(진행)하는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브레이크통(30)의 후방 하단에 길이방향(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로드상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탄성후크(34)는 외부로부터 누름(힘)을 받을 경우 그 회동 힌지점에 장작된 비틀림스프링(35)에 의해 탄성적으로 눌려졌다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레버식 탄성후크로서,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주행트롤리(15)의 하단에 구비된 타원환형(圓環形) 걸림고리(16)가 브레이크통의 탄성후크(34)를 누르면서 타고 넘어가게 되는데, 이 걸림고리(16)가,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탄성후크(34)를 타고 넘어간 이후 다시 원상태(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은 우상향의 경사진 상태)로 복귀하게 되어 환형(環形) 걸림고리(16) 내에 탄성후크(34)가 걸리게 됨으로써 주행트롤리(15)가 브레이크통(30)과 일체로 된다. 이처럼 주행트롤리(15)가 브레이크통(30)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없게 일체로 된 상태에서 탑승자는 자신의 주행관성력으로 그 브레이크통(30)을 도 4의 우측 화살표(P) 방향으로 지속하여 밀면서 도착지점(A)을 향해 상향 감속주행을 하게 되고, 도 5는 바로 이러한 상승구간(U)에서의 탑승자의 주행트롤리(15)가 브레이크통(30)에 부딪혀 브레이크통과 일체가 된 후 그 브레이크통을 밀면서 도착지점(A)을 향하여 상향의 관성 감속주행 이동할 때의 짚라인탑승자 견인용 순환라인(40)의 반시계방향 이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이런 선출원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에 있어서, 상승 주행구간(U)의 설정에 따른 주행력 부족으로 탑승자(예를 들어 저체중 탑승자나 역풍(逆風)시의 탑승자)가 최종 도착지점에 이르지 못하고 도중에 멈춰버리는 경우의 탑승자 견인문제를 전술한 선특허발명에 비해 좀 더 개량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선출원발명이 채택한 수단은, 짚라인탑승자 견인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40)이 전력에 의해 가동하는 순환라인 구동수단(50)에 의해 순환구동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즉, 선출원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에 있어서, 순환라인 구동수단(50)은, 도 5 내지 도 7에 의해 잘 알 수 있듯이, 정역모터(52)와, 이 정역모터의 구동축(53)에 연결되어 이 정역모터(52)로부터 전달되는 정역방향 구동력을 단속(斷續)하는 동력단속 기어장치(54) 및 이 동력단속기어장치의 출력축(55)에 체결된 구동풀리(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짚라인탑승자 견인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40)은 제2방향전환 롤러포인트 (TP2)와 제3방향전환 롤러포인트 (TP3) 사이에서 구동풀리(56)에 감겨져 정역 모터(52)의 구동력을 동력단속 기어장치(54)의 동력 단속작동에 의해, 정역 모터(52)의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회전상태 및 정역모터(52)의 동력을 전달 받지 않는 공회전 상태를 갖게 구성된다. 여기서 동력단속기어장치(54)의 동력 단속작동에 의해, 정역모터(52)의 동력을 전달받지 않는 공회전 상태는, 브레이트통(30)이 탑승자를 맞이하기 위한 하사점(B) 근방의 원위치(대기위치)로부터 탑승자가 브레이크통(30)에 부딪혀 그 일체화된 브레이크통과 함께 도착지점(A)을 향해 자연적인 관성주행력에 의해 상승주행하는 동안 설정되는 평상시 상태로서, 이 때에는,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짚라인탑승자 견인용 순환라인(40)이 구동풀리(56)을 경유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그 순환라인(40)에 대하여 아무런 동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구동풀리(56)가 공회전하게 되며 오로지 탑승자의 관성주행력만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공회전 주행도중 탑승자의 관성주행력이 부족하여 목적지 도착 전에 공중에 멈추어 버리는 비상사고가 발생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립위치(OFF위치)에 있던 동력단속기어(54)의 조작레버작(58)를 동력전달 위치(ON위치)로 수동조작 함으로써 정역모터(52)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구동풀리(56)에 역방향(반시계방향) 으로 순환라인(40)에 인가함으로써 공중에 멈춰버린 탑승자를 손쉽고 신속하게 도착지점(A)으로 끌어올 수 있게 된다.
한편 선출원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의 전술한 전기 기계적 작동에 있어서, 동력단속기어(54)의 조작레버작(58)를 동력전달위치 (ON위치)로 조작함으로써 정역모터(52)로부터 전달받은 구동풀리(56)에 회전력을 순환라인(40)에 인가하는 또다른 경우는, 탑승자가 도착점이 도착하여 트롤리에서 내린 후 정역모터(52)를 정방향(시계방향) 구동시켜 빈 브레이크통(30)을 다음 탑승자를 마중나가 맞이하기 위해 하사점(B) 쪽으로 원위치 복귀시키는 경우로서, 이때에는 짚라인탑승자 견인용 순환라인(40)이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40)으로 역할을 바꾸어 기능하게 되며 그 순환라인(40)의 이동방향은,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도 5의 경우와는 반대로 시계방향의 순환이동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선출원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는 선특허 발명에 비해 짚라인 탑승자 견인용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40)의 구동을 전기 기계적 구동수단(50)에 의해 자동화함으로써 미도착(정지된) 탑승자를 사람의 인력을 들이지 않고 안전하고 신속하고 편리하게 최종 도착점으로 끌어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빈 브레이크통(30)을 다음번 탑승자를 맞이하기 위한 대기위치로 손쉽게 내보낼 수 있는 진보되고 개선된 작용효과를 갖는다.
그렇지만 본 출원인이 전술한 선특허발명 및 선출원발명을 실제 운용해 본 결과 선특허발명에서도 또한 그 개선된 전술한 바와 같은 선출원발명에서도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이 존재하여 이에 대한 종합적인 해결책을 강구한 것이 본 발명이다.
1. 주행트롤리가 브레이크통에 걸리지 않는 문제
미도착 탑승자 견인작동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작동을 인력을 사용하여 행하는 선특허발명에 있어서든 또는 이를 전기, 기계적 동력을 사용하여 행하는 선출원발명에 있어서든, 관성주행력이 부족하여 도중에 멈추어 버리는 미도착 탑승자를 도착지점으로 끌어올 수 있기 위한 전제조건은, 탑승자 주행트롤리(15)의 하단에 장착된 걸림고리(16)로 하여금 정확하게 브레이크통(30)의 탄성후크(34)를 누르면서 타고 넘어가게 하여 그 환형(環形) 걸림고리(16) 내에 탄성후크(34)가 걸려 주행트롤리(15)와 브레이크통(30)이 일체화되는 것이고, 이처럼 주행트롤리(15)가 브레이크통 (30)과 일체화되어야만 전술한 짚라인 탑승자 견인용 순환라인(40)의 순환구동에 의해 미도착 탑승자를 손쉽게 견인해 올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인력을 사용하는 선특허발명 뿐만 아니라 전기 기계적 적 동력을 사용하는 선출원발명 양자에 있어서 다같이 다음과 같은 이유로 탑승자 활강시 주행트롤리(15)가 브레이크통(30)에 부딪혔음에도 불구하고 간혹 이들이 서로 일체화되지 못하는 현상, 즉 탑승자 주행트롤리(15)의 하단에 장착된 걸림고리(16)가 탄성후크(34)를 그 내부로 인입시키지 못함으로써 주행트롤리(15)와 브레이크통(30)이 결합(일체화)되지 못하는 현상이 이따금 생기게 된다.
본 발명자가 이러한 문제를 주의깊게 살펴 그 원인을 조사연구한 결과 주행트롤리(15)와 브레이크통(30)이 일체화되지 못하는 현상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한 것임을 알게 되었다.
첫째,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어 대략 나란하게 설치되는 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 보조라인(20)은 양자 모두 강연선 와이어로서 이들이 시스템 전체 길이에 걸쳐 하나의 동일한 수직면 상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짚라인 탑승자 견인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40)이 설치되는 순환구간에 있어서 이들이 하나의 동일수직면 상에 놓이지 않고 엇갈리게 놓이게 배치되는데 그 까닭은 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 보조라인(20) 사이에서 정역방향으로 순환하도록 구성되는 짚라인 탑승자 견인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40)이 그 순환과정에서 짚라인(10)에 마찰 접촉됨으로 인하여 마모 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만약 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이 순환라인(40)의 설치구간에서 하나의 동일한 수직면 상에서 상하 간격을 두어 위치한다면 도착지 플랫폼 지면상에 놓인 구동풀리(56)를 매개로 하여 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 보조라인(20) 사이에서 정역방향으로 순환하도록 구성되는 섬유로우프 순환라인(40)은 강연선으로 된 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 보조라인(20)이 놓이는 수직면과 동일한 수직면상에 함께 동일하게 놓임으로써 그 정역 순환과정에서 강연선으로 된 짚라인(10)에 맞닿아 마찰하게 되어 크게 마모 훼손된다.
이런 이유로 선특허발명 및 선출원발명에 있어서 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 보조라인(20)은 적어도 순환라인(40)이 설치되는 구간에서 서로 동일한 하나의 수직면 상에 놓이지 않고 엇갈리게 놓임으로써 순환라인(40)의 순환 구동시 순환라인(40)이 짚라인(10)에 마찰접촉하지 않게 된다. 한편 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 보조라인(20의 이런 엇갈린 수직위상 상태에서 브레이크통(30)의 후방상단측에 구비된 제1연결부(36)가 순환라인(40)의 일단과 연결되고 브레이크통(30)의 전방하단측에 구비된 제2연결부(38)가 순환라인(40)의 타단과 연결되기 때문에 브레이크통(30)은 짚라인(10) 상에 수직하게 올려 놓여지지 않고 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 보조라인(20)이 서로 엇갈린 정도만큼 약간 비틀린 상태로 놓이게 되며, 이 때문에 브레이크통(30)의 후방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탄성후크(34)도 브레이크통(30)의 비틀린 정도만큼 비틀린 자세로 됨으로써 탑승자의 주행트롤리(15)가 브레이크통(30)에 부딪힐 때 그 걸림고리(16)의 내부로 탄성후크(34)를 제대로 인입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짚라인(10)의 시종(始終) 낙차폭의 정도, 그 현수(懸垂)의 늘어진 정도와 출렁거림의 정도, 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 보조라인(20)의 엇갈린 정도, 하사점의 위치, 탑승자의 자세와 하강도중의 탑승자의 신체 움직임 또는 바람의 영향 등에 따른 주행트롤리(15) 자체의 좌우방향 요동과 같은 부차적 이유도 함께 작용하여 전술한 주행트롤리 (15)와 브레이크통(30) 간의 접촉시 이들이 결합(일체화)되지 못하는 문제가 더 빈번하게 생기게 된다.
이처럼 주행트롤리(15)와 브레이크통(30)이 서로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탑승자가 도중에 멈춰서 버리면 그 탑승자를 견인해 올 방법이 없기 때문에 도착지점에 있던 시스템 운전자(관리자)가 스스로 짚라인(10)에 매달려 탑승자가 도중에 멈춰선 먼 위치까지 일일이 마중나가 끌어오지 않으면 안된다. 이는 탑승자를 상당 시간 동안 공중에 매달아 놓는 결과로 되어 불안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 운전자(관리자)에게도 위험하고 육체적으로 과중한 업무로 되며 그만큼 후속자 탑승이 지연될 수밖에 없어 전체 시스템 운전에 큰 악영양을 미친다.
따라서 주행트롤리가 브레이크통에 걸리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안된다.
2. 순환라인의 중량에 따른 거동지연 및 비균등 인장의 문제
선특허발명 및 선출원발명에서 채택되는 순환라인(40)은 나일론과 같은 화학섬유를 포함하는 섬유로우프로 만들어지며, 그 순환과정에서 순환라인(40)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최소 10mm 이상(보통 13mm~16mm)의 굵기의 고장력 섬유로우프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섬유로우프는 하사점과 도착점을 사이에서 복수개의 방향전환 롤러포인트(TP1)(TP2) (TP3)에 지지되어 순환되도록 구성되는데 이처럼 굵기 13mm~16mm의 섬유로우프로 된 순환라인은 그 전체 중량이 대단히 무겁고 강연선과 달리 비경성재(非硬性材)로서 휨과 인장량이 큰 유연재이기 때문에,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제1방향전환롤러(TP1)와 제2방향전환롤러 포인트(TP2) 사이 및 브레이크통(30)의 전방하단연결부(38)로부터 제3방향 전환롤러포인트(TP3)의 구간에 걸쳐진순환라인(40a)은 팽팽하지 않고 자중에 의한 처진 상태인 반면 제2방향전환롤러(TP2)와 구동풀리(56) 사이, 제3방향전환 롤러포인트(TP3)와 구동풀리(56) 사이 및 제1방향전환롤러 포인트(TP1)와 브레이크통의 후방상당연결부(36) 사이는 상대적으로 이보다 더 팽팽한 인장상태로 된다. 이러한 도 8의 상태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탑승자를 태운 주행트롤리가 브레이크통(30)과 충돌하면 브레이크통(30)은 곧바로 도면상 우측으로 부드럽게 밀려 나가는 것이 아니라 순환라인(40)의 무거운 자중 및 그 처짐에 의한 방향전환롤러들과의 마찰력에 의해 그 즉각적인 순환거동이 지연되어 제1방향전환롤러(TP1)과 브레이크통 (30)의 후방상단연결부(36) 사이에 큰 인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처럼 선출원발명에 순환라인(40)이 그 물리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회동지점(방향전환롤러)들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단 (移動端)으로 지지되지만 실제 거동에 있어서는 그 무거운 자중과 회동지점과의 마찰력 때문에 즉각적인 슬라이딩 순환구동이 이루어진 않는다는 것은 그만큼 탑승자로 하여금 브레이크통에 부딪히는 순간 급격한 변속(감속) 충격을 받는 결과로 되는 것이어서 탑승자에게 편안한 제동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나일론과 같은 화학섬유 등을 직조하여 만들어지는 전술한 순환라인(40)은 그 순환과정에서 특히 구동풀리(56)에 감겨진 부분에서 고열의 마찰열이 생겨 열해(熱害)를 입기 쉽기 때문에, 열해에 특히 취약한 순환라인(40) 전체를 자주(적어도 1년에 2번 이상) 교체해 주지 않으면 안되는 낮은 내구성 비경제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주행트롤리가 브레이크통에 부딪혔을 때 그 충돌충격을 즉각적으로 부드럽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내구성과 경제성을 높일 수 있도록 순환라인(40)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3. 비정상 고속진입 주행자에 대한 안전한
브레이킹
문제
본 발명은 짚라인(10)의 구성에서 도착점에 앞서 도착점보다 높이가 더 낮은 하사점을 두어 상승주행구간에서의 중력에 의한 자연감속을 유도하고 순환라인(40)의 자중에 의한 마찰력 제동을 함으로써 탑승자의 도착지에서의 안전한 정지를 꾀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체중이 많이 나가는 탑승자에게 강한 뒷바람이 작용하고 짚라인의 낙하폭이 큰 경우와 같은 특별한 경우에 탑승자가 도착지점에 비예측적으로 고속으로 진입해 들어오는 경우가 간혹 있다. 이런 경우 도착지에서 탑승자를 맞이하는 관리자는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불가피하게 제2방향전환롤러(TP2)와 구동풀리(56) 사이에 걸친 순환라인(40)을 두꺼운 장갑을 낀 손으로 직접 파지하여 순환라인의 순환을 정지시킴으로써 긴급제동을 걸지 않으면 안 되는데 이러한 긴급 수동제어는 섬유로우프로 이루어진 순환라인(40)의 재질 구성상 탑승자의 뒷부분에서는 그 인장이 지속하여 성장(成長)하는 한편 탑승자의 앞부분에서는 처짐이 증가하는 등과 같은 비균질 인장 현상을 수반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긴급제동이 완전하지 못해 탑승자가 자신의 전방부 순환라인의 처진 부분 또는 특히 방향전환롤러와 지상에 놓인 구동풀리(56) 사이에 감긴 순환라인(40)에 얼굴 등이 부딪쳐 찰과상, 열상(熱傷) 등을 입는 경우도 드물게 생긴다. 이러한 장갑을 낀 손에 의한 관리자의 수동제어는 그 일어나는 경우가 극히 드물지만 심각한 문제이므로 반드시 개선하지 않으며 안되는 비상상황이다.
따라서 비정상 고속진입 주행자에 대한 안전한 브레이킹 시스템을 제공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강연선 짚라인에 대해 일차적으로 도착점에 앞서 도중에 도착점의 높이보다 더 낮은 위치에 처짐부(하사점(下死點))를 두어 이 처짐부(하사점)로부터 도착점까지 저속의 감속 상승주행을 하게 하고, 이 상승구간에서의 관성에 의한 주행력이 부족하여 도착점에 도착하지 못하고 도중에 멈춰 버리고 마는 경우에 그 미도착 주행자를 전기 기계적 수단을 통해 손쉽고 안전하게 또한 관리자의 시스템 운영 노동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하는 본 발명자의 선출원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를 개량한 것으로서, 탑승자 활강시 주행트롤리(15)가 브레이크통(30)에 부딪혔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서로 결합(일체화)되지 못하는 현상, 즉 탑승자 주행트롤리(15)에 체결된 걸림고리(16)가 브레이크통의 탄성후크(34)를 그 내부로 인입시키지 못함으로써 주행트롤리(15)와 브레이크통(30)이 일체화되지 못하는 현상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승자 활강시 주행트롤리(15)가 브레이크통(30)에 부딪혔을 때의 충돌 충격을 부드럽게 흡수할 수 있도록 순환라인(40)이 개선된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순환라인(40)이 적은 힘으로도 순환구동될 수 있도록 순환라인(40)이 개선된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정상적인 도착지 고속진입 주행자에 대해서도 도착점에서 안전하고 확실하며 제어하기 쉬운 정지력을 보장할 수 있는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목적에 부합하게 작동하는 새로운 형태의 주행트롤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장치는 그 일 특징에 따라, 청구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1높이의 출발점과 제2높이의 하사점과 제3높이의 도착점을 현수(懸垂) 상태 단선(單線)으로 연결하며, 제1높이(h1), 제2높이(h2) 및 제3높이(h3)의 상대적 크기가 h1> h3> h2인 강연선 짚라인(10)과;
상기 짚라인(10)의 상부에 짚라인과 거리를 두어 설치된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과;
하사점과 도착점 사이의 상승구간에서 내부에 상기 짚라인 위에 올려 놓여져 그 짚라인을 타고 활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르레가 구비되고, 후방상단에 중력에 의해 원위치 복귀회동하는 중력레버식 걸림후크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후방상단측 및 전방상단측에 각각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구비된 브레이크통(30)과;
일단(一端)은 상기 브레이크통의 후방상단측 제1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他端)은 상기 브레이크통의 전방상단측 제2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사점 부근의 상기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 상의 제1방향전환 롤러포인트(TP1)와 상기 도착점 부근에서의 상기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 상의 제2방향전환롤러(TP2) 및 상기 도착점 부근에서의 상기 짚라인과 상기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의 상하 간격 사이에 놓여진 제3방향전환롤러(TP3) 사이에서 정역 회전가능하게 폐곡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통의 짚라인 상승구간에서의 전후방향 활주에 따라 함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동하도록 구성된 짚라인탑승자 견인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40); 및
상기 도착점 위치에서의 상기 짚라인(10)과 상기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의 상하 간격 사이에 상기 짚라인탑승자 견인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40)에 체결되어 그 순환라인에 대해 중립 또는 전후방향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순환라인 구동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짚라인(10),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 및 브레이크통(30)은 모두 동일한 수직평면 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브레이킹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장치는 그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청구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짚라인탑승자 견인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40)은 굵기 2mm~6mm의 강연선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브레이킹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장치는 그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청구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라인 구동수단(50)은 정역모터(52)와, 이 정역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이 정역모터로부터 전달되는 전후진 구동력을 중립상태로부터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선택하여 연결하는 전자클러치와, 이 전자클러치의 페이싱 피동축에 체결된 구동풀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 구동풀리가 상기 제3방향전환롤러(TP3)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브레이킹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장치는 그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청구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짚라인탑승자 견인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40)은 상기 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의 상하 간격 사이에 위치한 상기 구동풀리에 감겨져 상기 정역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지 않는 공회전 상태와 정역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회전 상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브레이킹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장치는 그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청구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정역모터는 그 정역모터 전진구동을 위한 전자클러치 전진 ON 스위치의 작동, 후진구동을 위한 전자클러치 후진 ON 스위치의 작동 및 중립 공회전(아이들) 구동을 위한 전자클러치 전원 OFF 작동을 제어하는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브레이킹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장치는 그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청구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풀리의 내측 또는 외측에 브레이크디스크가 고정 장착되고, 이 브레이크디스크는 유압에 의해 가압 구동되는 디스크패드에 의해 그 공회전 구동이 정지되며, 이 디스크패드의 가압작동은 도착지 플랫폼 지상에 놓인 풋브레이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브레이킹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장치는 그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청구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술한 구성의 짚라인 브레이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통의 후단에 수평방향 압축스프링이 더 구비되고 상기 탑승자 견인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40)의 폐곡선 구성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통의 후방상단 제1연결부에 연결되는 부분이 인장탄성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브레이킹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장치는 그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청구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하단 모서리부에 제1천공부가 형성되고 전방 모서리부에 제2천공부가 구비된 역삼각형 형태의 두 장의 마주보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두 장의 베이스플레이트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이들 두 장의 베이스플레이트 간에 소정의 간격을 두어 그 두 장의 베이스플레이트를 일체화하는 적어도 두 쌍의 볼트 및 너트와;
상기 두 장의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볼트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두 개의 도르레; 및
상기 두 장의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변 위로 간격을 두어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연결되어 이들 두 장의 베이스플레이트를 일체화하는 가로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용 주행트롤리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장치는 그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청구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짚라인용 주행트롤리에 있어서, 제1천공부에는 짚라인 탑승자의 체중이 실리는 메인 안전고리가 착탈식으로 체결되고, 상기 제2천공부에는 탑승자의 체중이 예비적으로 실리는 보조 안전고리가 고정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가로바에 전술한 브레이크통의 후방상단에 수평돌출한 중력레버식 걸림후크가 작동적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용 주행트롤리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장치는 그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청구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바의 폭방향 길이는 두 장의 베이스플레이트간의 폭방향 길이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용 주행트롤리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강연선 짚라인에 대해 일차적으로 도착점에 앞서 도중에 도착점의 높이보다 더 낮은 위치에 처짐부(하사점(下死點))를 두어 이 처짐부(하사점)로부터 도착점까지 저속의 감속 상승주행을 하게 하고, 상승구간에서의 관성에 의한 주행력이 부족하여 도착점에 도착하지 못하며, 도중에 멈춰 버리고 마는 경우에 그 미도착 주행자를 전기 기계적 수단을 통해 손쉽고 안전하게 또한 관리자의 시스템 운영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본 발명자의 선출원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에 있어서, 탑승자 활강시 주행트롤리가 브레이크통에 부딪혔을 때 이들이 보다 확실하게 일체화되도록 함으로써 미도착 탑승자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견인해 올 수 있게 하여 장치의 작동 신뢰도 및 작동 안정성을 크게 개선한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 및 구성에 의해 탑승자 활강시 주행트롤리(15)가 브레이크통(30)에 부딪혔을 때 거의 그 충돌 충격을 느낄 수 없을 정도로 부드럽게 감속 정지할 수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 및 구성에 의해 순환라인이 비인장재인 강연재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한편 구동풀리가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풋브레이크 의해 그 공회전 구동이 구속될 수 있음으로써 비정상적인 고속진입 주행자에 대해서도 도착지점에서 안전하고 확실하게 정지력을 보장할 수 있는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 및 구성에 적합하게 부합하는 새로운 형태의 주행트롤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선특허발명, 선출원발명 및 본원 발명 모두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로우프형 짚라인 장치의 브레이킹 시스템이 적용되는 개념도로서, 도착지점에 앞서 하사점이 존재하여 상승구간(U)이 설정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선특허발명 및 선출원발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짚라인과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 상승구간에 설치된 짚라인탑승자 견인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 및 도착지점의 플랫폼 바닥에 놓여진 순환라인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짚라인 장치의 브레이킹 시스템의 전체 개요도이다.
도 3은 선특허발명 및 선출원발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짚라인 장치의 브레이킹 시스템에 있어서 브레이크통의 후하단에 구비된 탄성후크에 탑승자 주행트롤리의 하단 걸림고리가 걸리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선특허발명 및 선출원발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짚라인 장치의 브레이킹 시스템에 있어서, 브레이크통 후하단에 구비된 탄성후크를 탑승자 주행트롤리가 타고 넘어가 그 걸림고리가 탄성후크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선출원발명에 있어서 상승구간에서의 탑승자의 주행트롤리가 브레이크통에 부딪힌 후 관성주행에 의해 브레이크통을 밀면서 도착지점으로 향하거나 또는 미도착 탑승자를 전기적 동력수단을 사용하여 도착지점으로 견인하여 이동할 때의 짚라인 탑승자 견인용 순환라인의 반시계방향 이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선출원발명에 있어서 탑승자가 트롤리에서 내린 후 정역모터를 역구동시켜 빈 브레이크통을 다음 탑승자를 맞이하기 위해 하사점 쪽으로 내보내는 경우의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의 시계방향 이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선출원발명에 개시된 짚라인탑승자 견인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의 일부 및 그 구동용 동력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선출원발명에 있어서 섬유로우프로 이루어진 순환라인의 처짐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선출원발명에 있어서 비정상 고속주행 진입자의 도착지 진입을 억제하기 위하여 구동허브에 감긴 순환라인을 손으로 붙잡을 경우의 순환라인의 인장과 처짐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에 있어서, 짚라인탑승자 견인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과 그 구동용 동력수단이 다같이 짚라인과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 사이의 위치에 놓이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A) 및 그 종단면 개념도(B)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에 사용되는 개선된 브레이크통의 시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에 사용되는 개선된 주행트롤리의 사시도(A) 및 단면도(B)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주행트롤리가 짚라인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트롤리의 가로바가 브레이통의 걸림후크를 밀어 넘은 후에 브레이크통의 압축스프링을 압축하는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주행트롤리의 가로바에 브레이크통이 걸려 주행트롤리와 브레이크통이 결합(일체화)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주행트롤리의 가로바가 브레이통의 걸림후크를 밀어 넘은 후 브레이크통의 압축스프링에 대하여 압축력을 작용하는 것 및 그와 동시에 브레이크통의 후방 상단측에 체결된 순환라인 탄성부에 대하여 인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브레이킹 장치에 있어서 최적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브레이킹 장치에 있어서, 순환라인 구동수단 및 풋브레이크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브레이킹 장치에 있어서, 도착지 공중에 장착되는 순환라인 구동수단 및 도착지 풀랫폼의 지상에 놓여지는 풋브레이크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선특허발명 및 선출원발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짚라인과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 상승구간에 설치된 짚라인탑승자 견인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 및 도착지점의 플랫폼 바닥에 놓여진 순환라인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짚라인 장치의 브레이킹 시스템의 전체 개요도이다.
도 3은 선특허발명 및 선출원발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짚라인 장치의 브레이킹 시스템에 있어서 브레이크통의 후하단에 구비된 탄성후크에 탑승자 주행트롤리의 하단 걸림고리가 걸리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선특허발명 및 선출원발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짚라인 장치의 브레이킹 시스템에 있어서, 브레이크통 후하단에 구비된 탄성후크를 탑승자 주행트롤리가 타고 넘어가 그 걸림고리가 탄성후크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선출원발명에 있어서 상승구간에서의 탑승자의 주행트롤리가 브레이크통에 부딪힌 후 관성주행에 의해 브레이크통을 밀면서 도착지점으로 향하거나 또는 미도착 탑승자를 전기적 동력수단을 사용하여 도착지점으로 견인하여 이동할 때의 짚라인 탑승자 견인용 순환라인의 반시계방향 이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선출원발명에 있어서 탑승자가 트롤리에서 내린 후 정역모터를 역구동시켜 빈 브레이크통을 다음 탑승자를 맞이하기 위해 하사점 쪽으로 내보내는 경우의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의 시계방향 이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선출원발명에 개시된 짚라인탑승자 견인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의 일부 및 그 구동용 동력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선출원발명에 있어서 섬유로우프로 이루어진 순환라인의 처짐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선출원발명에 있어서 비정상 고속주행 진입자의 도착지 진입을 억제하기 위하여 구동허브에 감긴 순환라인을 손으로 붙잡을 경우의 순환라인의 인장과 처짐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에 있어서, 짚라인탑승자 견인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과 그 구동용 동력수단이 다같이 짚라인과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 사이의 위치에 놓이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A) 및 그 종단면 개념도(B)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에 사용되는 개선된 브레이크통의 시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에 사용되는 개선된 주행트롤리의 사시도(A) 및 단면도(B)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주행트롤리가 짚라인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트롤리의 가로바가 브레이통의 걸림후크를 밀어 넘은 후에 브레이크통의 압축스프링을 압축하는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주행트롤리의 가로바에 브레이크통이 걸려 주행트롤리와 브레이크통이 결합(일체화)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주행트롤리의 가로바가 브레이통의 걸림후크를 밀어 넘은 후 브레이크통의 압축스프링에 대하여 압축력을 작용하는 것 및 그와 동시에 브레이크통의 후방 상단측에 체결된 순환라인 탄성부에 대하여 인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브레이킹 장치에 있어서 최적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브레이킹 장치에 있어서, 순환라인 구동수단 및 풋브레이크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브레이킹 장치에 있어서, 도착지 공중에 장착되는 순환라인 구동수단 및 도착지 풀랫폼의 지상에 놓여지는 풋브레이크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앞서 상세히 설명한 것처럼 특히 본 발명자의 선출원발명을 개량한 것으로서, 이하의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선출원발명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여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이더라도 편의상 그 기능의 개선이 이루어진 부분이거나 또는 선출원발명과 대비하여 그 특징을 강조하고자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새로운 부호를 붙여 표기하였음을 밝혀둔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에 있어서, 짚라인탑승자 견인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40)과 그 구동용 동력수단(50)이 다같이 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 사이의 위치에 놓이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B)는 10(A)에 도시한 짚라인(10),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 및 브레이크통(30) 모두 동일한 단일 수직평면(VPL) 내에 놓이는 것을 도시한 도 10(A)의 종단면 개념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가 도 1 내지 도 9로서 도시한 선출원발명 또는 선특허발명과 결정적으로 다른 점은 순환라인(40) 및 이 순환라인(40)을 구동하는 동력수단(50)이 모두 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의 상하 간격 사이에 위치하는 한편 짚라인(10),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 및 브레이크통(30) 모두 단일 수직평면(VPL) 내에 놓이는 점이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구성을 채택한 까닭은, 선출원발명 또는 선특허발명에 있어서 짚라인(10) 위에 올려 놓여진 브레이크통(30)의 후단상부에 연결된 순환라인(40)과 브레이크통의 전방하단에 연결된 순환라인(40)이 단일의 수직면 내에 존재하지 않고 어긋남으로 인해(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이 단일 수직면 내에 위치하지 않고 어긋나게 위치함으로 인해) 브레이크통(30) 자체가 비틀린 자세를 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브레이크통(30)이 비틀린 자세를 취하면 그 후방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탄성후크(34)도 브레이크통(30)의 비틀린 정도만큼 비틀린 자세로 됨으로써 탑승자의 주행트롤리(15)가 브레이크통(30)에 부딪힐 때 그 걸림고리(16)의 내부로 탄성후크(34)를 제대로 인입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위와 같은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첫째 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을 단일 수직면 내에 위치하도록 하고, 둘째 이들 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 사이에서 순환하는 순환라인(40)도 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과 동일한 단일 수직면 내에 위치하도록 하며, 셋째 순환라인(40)이 그 순환도중 짚라인(10)과 마찰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순환라인(40)을 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의 사이에서 순환하도록 하고 아울러 넷째, 이 순환라인(40)에 대하여 순환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50)도 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 상하 간격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을 단일 수직면(VPL) 내에 위치하도록 하면 짚라인(10) 상에 올려놓여져 그 후방 상부 및 전방 상부에서 순환라인(40)에 의해 견인되어지는 브레이크통(30)도, 도 10(B)에 의해 알 수 있듯이, 마찬가지로 동일한 수직면(VPL)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브레이크통(30)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전혀 비틀리지 않게 됨으로써 탑승자의 주행트롤리(15)가 브레이크통(30)에 부딪힐 때 그 걸림고리(16)의 내부로 걸림후크(34)를 제대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순환라인(40)의 정역방향 순환회전은 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의 사이에서 순환하도록 하고 아울러 이 순환라인(40)이 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의 상하 간격 사이에 위치하는 동력수단(50)을 개재하여 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 사이에서 순환되기 때문에 순환라인(40)은 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 어느 것과도 마찰 접촉될 염려가 없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의 상하 간격 사이에 위치하는 동력수단(50)은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자의 선출원방명에 개시된 것을 다시 개량한 것으로서, 그 주요 특징은 동력수단(50)의 설치위치가 짚라인(10)의 위쪽으로 옮겨진 것과, 후상술하는 도 18에 의해 알 수 있듯이 유압식 풋브레이크(97)에 의해 공회전 상태의 구동풀리(56)에 대해 기계적인 마찰정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에 사용되는 개량된 브레이크통의 시시도이다.
도 11에 의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통(30)이 선출원발명이나 선특허발명에 따른 브레이크통(30)과 다른 점은 순환라인(40)이 연결되는 전후방향 연결부 모두 브레이크통의 전후방향 상부에 구성되는 점이며, 걸림후크 체결봉(33), 걸림후크(34), 충돌충격 완화용 완충패드(37) 및 압축스프링(39)의 구성 모두 짚라인(10)의 상부에 놓이며 걸림후크(34)가 탄성후크가 아니라 중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중력레버식 걸림후크인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통(30)의 이와 같은 개량에 따라, 브레이크통(30)을 포함한 순환라인(40)의 폐곡선 구간 전부가 짚라인(10)의 상부로 올라가게 됨으로써 순환라인(40)은 그 전후방향 작동(순환)과정에서 단일 수직면 상에 놓인 강연선 짚라인(10)에 닿지 않게 됨으로써 그 마찰마모손상이 방지되고, 또한 짚라인(10)의 하부에는 아무런 시스템용 로우프(순환라인)가 존재하지 않는 빈공간(S)이 됨으로써 탑승자의 주행안전성이 크게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통(30)의 이와 같은 개량에 따라, 순환라인(40)이 브레이크통(30)의 전후방향 각 상부에서 그 브레이크통을 결합하여 그 전후방향 모두 상향으로 견인하기 때문에 순환라인(40)의 브레이크통(30)에 대한 단일 수직면상의 정렬성(整列性)이 선출원발명이나 선특허발명의 경우에서보다 훨씬 좋아져 그만큼 주행트롤리(15)의 브레이크통(30)에 대한 결합(일체화)를 확실하게 꾀할 수 있다. 이러한 주행트롤리(15)의 브레이크통(30)에 대한 결합(일체화) 강화 효과는 후술하는 개량된 주행트롤리와 함께 사용됨으로써 더 배가될 수 있다.
도 12(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에 사용되는 개량된 주행트롤리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주행트롤리가 짚라인(10) 위에 올려 놓여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 13에 도시한 주행트롤리(15)는, 본 발명자에 의해 순환라인(40)의 브레이크통(30)에 대한 단일 수직면 내에서의 일직선상의 정렬성(整列性) 효과를 더 배가시키기 위하여 개량된 것으로서, 이들 도면에 의해 알 수 있듯이, 하단 모서리부에 제1천공부(15b)가 형성되고 전방 모서리부에 제2천공부(15c)가 구비된 역삼각형 형태의 두 장의 마주보는 베이스플레이트(15a)(15a)와; 이 두 장의 베이스플레이트를 수평방향으로 수직 관통하여 이들 두 장의 베이스플레이트 간에 소정의 간격을 두어 그 두 장의 베이스플레이트를 일체화하는 적어도 두 쌍의 볼트(15e) 및 너트(15d)와; 두 장의 베이스플레이트(15a)(15a) 사이에 상기 볼트(15e)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르레(15f); 및 두 장의 베이스플레이트(15a)의 상변 위로 상하방향 공간(d)을 두어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연결되어 이들 두 장의 베이스플레이트를 일체화하는 가로바(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가로바(16)는 그 폭(w1)은 두 장의 베이스플레이트의 폭(w2)보다 더 크게 구성됨으로써 선출원발명에서 주행트롤리의 제1천공부에 체결되었던 비너타입(biner type)의 걸림후크(16)에 비해 훨씬 더 브레이크통(30)의 걸림후크(34)에 대한 결합가능 폭을 넓힌 효과를 갖는다.
한편 전술한 주행트롤리(15)의 구성에 있어서 도면상 가로바(16)가 베이스플레이트(15a)에 대하여 볼트, 너트로 체결된 조립식 구조를 도시하였지만, 가로바(16)와 베이스플레이트(15a)는 철제 플레이트를 기계가공 또는 용접한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가로바(16)와 베이스플레이트(15a) 간의 일체화는 베이스플레이트 내부에 장착된 도르레(15f)에 대한 일탈을 방지하는 효과를 더 강화함으로써 탑승자 주행트롤리(15)로서의 내구성과 안전성이 더욱 높이는 이점이 있다.
도 13에서 알 수 있듯이, 도면부호 B1은 탑승자의 체중이 직접 실리는 착탈식 메인 비너로서 전술한 제1천공부(15b)에 끼워져 체결되며, 도면부호 B2는 탑승자의 체중이 직접 실리지는 않지만 메인 비너(B1)가 파손되거나 이탈되는 것과 같은 비상사고 발생시 비로소 탑승자의 체중이 실리는 예비적인 보조 비너로서 항상 주행트롤리의 제2천공부(15c)에 고정식으로 체결된다. 선출원발명에서는 메인 비너(B1)가 주행트롤리의 제1천공부(15b)에 체결되었을 때 제1천공부(15b)에 걸쳐지는 메인 비너의 안쪽의 상단부가 브레이크통(30)의 걸림후크(34)에 대한 걸림부 역할을 하는 것이기에 그 걸림 영역이 두 장의 플레이트(15a)의 폭(w2)일 뿐이어서 매우 좁아 브레이크통(30)이 조금만 비틀릴 경우 제대로 그 걸림후크(34)와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메인 비너(B1)와는 전혀 무관하게 주행트롤리의 상단에 일체적으로 결합 형성된 넓은 폭(w1)의 가로바(16)가 별도로 독립 구성됨으로써 이 가로바의 브레이크통(30)의 걸림후크(34)에 대한 결합(일체화) 능력이 크게 개선된다.
도 14는 전술한 도 12, 13에 도시한 주행트롤리(15)가 짚라인(10) 상에서 주행하여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브레이크통(30)과 부딪히는 순간의 도면으로서, 주행트롤리의 가로바(16)는 걸림후크(34)를 밀어 상향으로 접으면서 지나쳐 넘어간 다음 걸림후크(34)가 중력에 의해 원상태로 펼쳐져 복귀하고 이어서 주행트롤리의 선단이 충돌패드(37)을 밀어 압축스프링(39)을 압축하는 것을 보여준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채택하는 개선된 주행트롤리에 있어서 걸림후크(34)가 선출원발명에서 개시한 것처럼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상향식 탄성후크가 아니라 중력에 의해 자중으로 원위치로 복귀하는 중력레버식 걸림후크인 점도 그 작동의 확실성 및 사용 내구성을 크게 높인 개선사항이다.
도 15는 도 14의 진행에 의해 주행트롤리의 가로바(16)에 걸려 주행트롤리와 브레이크통이 결합(일체화)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에서 주행트롤리(15)의 가로바(16)가 브레이통(30)의 걸림후크(34)를 밀어 넘은 후 그 브레이크통과 함께 계속 전진 주행하는 순간의 브레이크통의 압축스프링(39)에 대하여 압축력을 작용하는 것 및 그와 동시에 브레이크통(30)의 후방 상단측에 체결된 순환라인 탄성부(40c)에 대하여 인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본 발명에서 순환라인(40)은 선출원발명에서 섬유로우프로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굵기가 훨씬 얇은 직경 2mm-6mm의 강연선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섬유로우프에 비해 그 중량이 대단히 가볍고 섬유로우프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은 길이방향의 인장현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평상시 방향전환롤러(TP1, TP2... )에 거의 무부하(無負荷)로 걸려 정역방향으로 순환할 수 있는 구조의 강연선 순환라인(40)으로 인해 짚라인 탑승자를 태운 주행트롤리(15)가 브레이크통(30)에 부딪힐 때 선출원발명에서와 같은 급격한 감속 충격이 전혀 나타나지 않고 그 충돌 순간부터 부드럽게 주행방향(C1)으로 순환주행되어 나간다.
본 발명에서 채택하는 강연선 와이어로 된 순환라인(40)은 그 굵기가 가늘면 가늘수록 그 중량을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작은 추력이 가해지더라도 경쾌한 슬라이딩 주행을 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만 너무 가늘 경우에는 과체중 탑승자의 충돌 충격이 작용할 경우 끊어질 염려가 있고 피로파괴(疲勞破壞)와 같은 너무 짧은 내구기한을 드러낼 수 있는 한편, 너무 굵을 경우에는 목적하는 바의 경량성을 확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비경제적이며 구동풀리에 감기기가 어려워 폐곡선 형태의 방향전환라인을 구성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그 바람직한 범위로서 2mm-6mm의 범위의 것을 제시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것처럼 짚라인 탑승자를 태운 주행트롤리(15)가 브레이크통(30)에 부딪힐 때 선출원발명에서와 같은 급격한 감속충격이 나타나지 않고 부드럽게 주행방향으로 순환주행되어 나감에 따라 선출원발명에 비해 그만큼 감속성능은 줄어드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순환라인(40)의 구성 중 일부, 바람직하게는 브레이크통(30)의 후방 상단측 연결부(36)로부터 제1방향전환롤러(TP1) 사이의 위치에 소정 길이의 탄성인장재(예를 들어 수십개의 미세 굵기의 고장력 고무줄을 집속하여 만든 고무줄 밴드)(40c)를 체결할 수 있다. 이 탄성인장재(40c)의 적정 길이는 그 고무줄 소재에 따라, 짚라인 시스템 설치장소의 환경조건에 따라 또는 그 고무밴드의 굵기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브레이크통(30)의 후방 상단으로부터 1-10m 정도의 길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탑승자가 고정된 위치에 정지해 있는 브레이크통(30)에 부딪히는 것이 아니라 짚라인(10) 위에서 선출원발명에서보다 훨씬 민감하고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게 올려 놓여져 있는 강연선 순환라인(40) 상의 가동 브레이크통(30)에 대하여 부딪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의 완충 내지 감속 브레이킹 작동이 이루어지는 메카니즘은 다음과 같이 동시에 또는 시차들 두어 일어나는 다음 다섯가지 작동 메카니즘이다.
첫째, 하사점으로부터 도착점까지의 상승주행구간(U)을 둠으로써 중력에 의한 수행속도의 자연감소 메카니즘이다.
둘째 주행트롤리(15)가 브레이크통의 압축스프링(39)을 압축할 때 그 스프링압축력(압축탄성력)(F1)에 의한 충격흡수 메카니즘이다.
세째 순환라인(40)의 순환거동시 이루어지는 순환라인(40)의 슬라이딩지점에 대한 마찰력에 의한 감속 메카니즘이다.
네째, 주행트롤리(15)가 브레이크통의 압축스프링(39)을 압축하면서 순환라인(40)을 밀어나갈 때의 브레이크통의 후방상단에 연결된 순환라인(40)상의 탄성인장재(40c)에 의해 주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인장탄성력)(F2)에 의한 완충 메카니즘이다.
다섯째, 구동풀리(56)에 장착된 브레이크디스크(59)에 대해 유압식 풋브레이크 기구를 가동한 마찰제동 메카니즘이 그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높은 낙차의 먼 거리를 고속으로 활강 주행하는 짚라인에서조차도 그 도착지 부근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5가지 감속 내지 충력 흡수 작동메카니즘이 동시에 한꺼번에 또는 시차를 두어 누적적으로 부드럽게 작용함으로써 탑승자가 거의 브레이크의 작동 사실조차 느끼지 못할 정도로 대단히 부드럽고 쾌적하고 안전하게 정지하는 메카니즘을 구현할 수 있다.
종래 전 세계적으로 무수하게 개발된 짚라인 장치의 기술적 포인트의 대부분은 도착점에서의 안전한 브레이크시스템과 관련된 것으로서, 짚라인 장치에서의 도착지 브레이킹 기술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5가지 감속 내지 충력 흡수 작동 메카니즘이 브레이크통의 무부하(중립)가동 구조하에서 유기적으로 동시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구성된 사례는 전무하며, 본 발명은 이러한 동시적 중첩적인 감속 내지 완충 메카니즘에 의해 대단히 높은 낙차의 먼 거리를 고속으로 활강 주행할 수 있는 짚라인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에 있어서 채택하는 동력수단(50)은 선출원발명과 다르게 도착지의 플랫폼의 지면상에 놓이는 것이 아니라 공중(시스템 기둥(SP)에 결합된 브라켓(80) 위)에 위치함에 따라 관리자가 그 조작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것처럼, 도착지 플랫폼 지상(97)에 설치된 풋브레이크 수단이 더 구성된다. 도면부호 91은 풋프레이크 페달이고, 92는 유압라인, 93은 캘리퍼, 94는 브레이크액, 95는 피스톤, 96은 브레이크패드이다. 관리자가 진입해 들어오는 탑승자의 주행속도를 줄일 필요가 있는 경우 브레이크페달(91)을 밟으면 유압라인(92)을 통해 브레이크액(94)이 피스톤(95)을 가압함으로써 브레이크패드(96)가 구동풀리(56)에 결합된 브레이크디스크(59)을 마찰 협지함으로써 구동풀리(56)의 공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풋브레이크에 의한 기계적 마찰제동은 전술한 5가지 브레이킹 작동 메카니즘 중에서 비정상적인 고속진입 주행자가 생기는 특별한 경우에 유용한 것으로서, 평상시 대부분의 나머지 4가지 제어 메카니즘만으로 탑승자의 안전한 도착지 제어가 충분하기 때문에 굳이 필요 없지만, 무엇보다 도착지 안전이 최우선인 짚라인 장치에 있어서 드물지만 이런 고속진입 주행자와 같은 비정상적인 비상상태를 대비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구성이며, 이러한 예비적 브레이킹 수단에 의해 어떠한 경우에도 도착지에서 안전하고 확실하며 제어하기 쉬운 정지력을 보장할 수 있는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가 이루어진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브레이킹 장치에 있어서 최적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1) 처짐이 생기지 않고 또한 인장이 생기지 않게 얇고 경량의 강연선 와이어로 바뀐 개선된 순환라인(40b)과,
(2) 순환라인의 일부 구간에서만 길이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는 탄성인장재(40c)가 구비되는 순환라인의 혼합구조와,
(3) 전후방 상단 모두 순환라인 상향으로 연결되는 연결부(36)(38)를 구비하고 탄성이 아닌 중력에 의해 하향 절첩되게 구성된 중력레버식 걸림후크(34)를 구비한 브레이크통(30)의 수직정렬성 및 걸림후크의 작성신뢰성 개선과
(4) 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의 상하 간격 사이로 위치변경된 구동수단(50)과 그로 인해 선출원발명에서 도착지 플랫폼 지면상에 구비되었던 구동플리 및 그 구동풀이에 감긴 순환라인의 제거에 따른 도착지의 빈 공간(S) 확보와,
(5) 풋브레이크의 작동에 의한 기계적 마찰력에 의해 구동풀리(56)의 공회전 구동을 손쉽고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디스크(59) 수단이 모두 나타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선출원발명에서 도착지 플랫폼 지면상에 구비되었던 구동플리 및 그 구동풀리에 감긴 순환라인이 제거되어 아무런 장치 구성이 없는 빈 공간(S)이 확보됨으로써 선출원발명에서 비예측적 비정상적으로 고속진입 주행하는 탑승자들이 지상에 놓인 구동풀리로부터 상향으로 뻗도록 설치된 순환라인에 충돌하여 입는 찰과상이나 열상의 염려가 근본적으로 배제된다.
도 18은 도 17에서 순환라인(40)에 대한 장력조절롤러(TCR)가 더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장력조절롤러(TCR)는 순환라인(40)에 대하여 그 인장상태를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 롤러로서, 본 발명에서 순환라인(40)이 비(非) 인장재인 강연선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과 관련하여 이 순환라인이 방향전환롤러들 및 구동풀리(56)에 감겨져 순환되는 때의 기본적인 인장상태를 시스템의 정상적인 구동에 적합하도록 가변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에서 이 장력조절롤러(TCR)는 상하 승강하는 방식의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 외에도 공지의 다양한 예의 장력조절롤러가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의 초기 구동시나 또는 시스템의 장기간 구동에 의해 순환라인(40)이 다소 느슨해진 경우에 이 장력조절롤러(TCR)를 조절하여 순환라인의 인장상태(텐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 장력조절롤러(TCR)는 도시한 것처럼 그 조작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시스템기둥(SP) 가까이의 보조라인(20) 상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7, 도 18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순환라인(40)을 순환가능하게 지지하는 방향전환롤러들의 개수와 그 장착 위치, 장력조절롤러(TCR)의 장착위치 등은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그 개수와 장착위치의 차이가 본 발명 기술사상의 본질을 해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7, 도 18에서 도면부호 60은 도착지의 짚라인(10) 상에 체결된 압축스프링으로서 도착지에 도착하는 탑승자의 주행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최종적인 예비적 안전수단이며, 시스템 기둥(SP)으로부터 떨어지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브레이킹 장치에 있어서, 도착지 공중(짚라인 상부)에 설치되는 순환라인 구동수단(50) 및 도착지 플랫폼의 지상에 놓여지는 풋브레이크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에 의해 알 수 있듯이, 이 순환라인 구동수단(50)은 정역모터(52)와, 이 정역모터로부터 전달되는 전후진 구동력을 중립상태로부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선택하여 연결하는 전자클러치본체(54)와, 이 전자클러치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구동풀리(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구동풀리(56)는 선출원발명에서의 제3방향전환롤러(TP3)로 기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채택한 전자클러치는 코일에 전류를 흘려 요크가 여자되고 로터를 자화시켜 아마추어를 흡연하여 아마추어와 페이씽이 접촉하여 그 마찰력에 의하여 구동모터의 구동축으로부터 피동축으로 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는 공지의 클러치로서, 전류의 정역방향 전환 인가에 의해 정역방향으로의 동력변환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짚라인 브레이킹시스템의 평상적인 작동시, 즉 탑승자의 주행트롤리(15)가 브레이크통(30)에 부딪혀 도착지로 들어오는 동안에는 정역모터(52)의 동력을 전달받지 않는 공회전 상태로 설정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지만, 이를 다시 한 번 자세히 설명하면, 브레이트통(30)이 탑승자를 맞이하기 위한 하사점(B) 근방의 원위치(대기위치)로부터 탑승자가 브레이크통(30)에 부딪혀 그 일체화된 브레이크통과 함께 도착지점(A)을 향해 자연적인 관성주행력에 의해 상승주행하는 동안 설정되는 평상시 상태로서, 이 때에는 순환라인(40)에 대하여 아무런 전기적 동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구동풀리(56)가 공회전하게 되고 오로지 탑승자의 관성주행력만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공회전 주행도중 탑승자의 관성주행력이 부족하여 목적지 도착 전에 공중에 멈추어 버리고 마는 비상상태가 발생하면, 중립위치에 있던 전자클러치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정역모터(52)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구동풀리(56)에 역방향(반시계방향)으로 순환라인(40)에 인가함으로써 공중에 멈춰버린 탑승자를 손쉽고 신속하게 도착지점(A)으로 끌어올 수 있다.
도면부호 57은 정방향 전자클러치기구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58은 역방향 전자클러치기구로서, 미도착 주행자를 도착지로 견인해오기 위해서는 전자클러치에 정방향 전원을 인가하여 정방향 전자클러치기구(57)가 작동하며, 빈 브레이크통을 하사점으로 내보낼 때는 전자클러치에 역방향 전원을 인가하여 역방향 전자클러치기구(58)가 작동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브레이킹장치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도면과 그 설명에 한정되게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 균등범위에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짚라인 15: 주행 트롤리
20 :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 30 : 브레이크통
34 : 중력레버식 걸림후크
40 : 짚라인탑승자 견인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
40c: 탄성인장재(고무밴드)
50 : 구동수단 56: 구동풀리
59: 브레이크디스크 95: 풋브레이크 페달
S : 출발점 A: 도착점
B : 하사점 U : 상승구간
TP1, TP2 : 방향전환롤러 TCR :장력조절롤러
VPL: 수직면 S : 빈 공간
20 :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 30 : 브레이크통
34 : 중력레버식 걸림후크
40 : 짚라인탑승자 견인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
40c: 탄성인장재(고무밴드)
50 : 구동수단 56: 구동풀리
59: 브레이크디스크 95: 풋브레이크 페달
S : 출발점 A: 도착점
B : 하사점 U : 상승구간
TP1, TP2 : 방향전환롤러 TCR :장력조절롤러
VPL: 수직면 S : 빈 공간
Claims (11)
- 제1높이의 출발점(S)과 제2높이의 하사점(B)과 제3높이의 도착점(A)을 현수(懸垂) 상태 단선(單線)으로 연결하며, 제1높이(h1), 제2높이(h2) 및 제3높이(h3)의 상대적 크기가 h1> h3> h2인 강연선 짚라인(10)과;
상기 짚라인(10)의 상부에 짚라인과 거리를 두어 설치된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과;
하사점(B)과 도착점(A) 사이의 상승구간(U)에서 내부에 상기 짚라인(10) 위에 올려 놓여져 그 짚라인(10)을 타고 활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르레(32)가 구비되고, 후방상단에 중력에 의해 하향 원위치 복귀회동하는 중력레버식 걸림후크(34)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전후방 양단 모두 그 상단측에 제1연결부(36)와 제2연결부(38a)가 각각 구비된 브레이크통(30)과;
일단(一端)은 상기 브레이크통의 후방상단측 제1연결부(36)에 연결되고 타단(他端)은 상기 브레이크통의 전방상단측 제2연결부(38)에 연결되며, 상기 하사점(B) 부근의 상기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 상의 제1방향전환롤러(TP1)와 상기 도착점(A) 부근에서의 상기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 상의 제2방향전환롤러(TP2) 및 상기 도착점 부근에서의 상기 짚라인(10)과 상기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의 상하 간격 사이에 놓여진 제3방향전환롤러(TP3) 사이에서 정역 회전가능하게 폐곡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통(30)의 짚라인 상승구간(U)에서의 전후방향 활주에 따라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동하도록 구성된 짚라인탑승자 견인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40); 및
상기 도착점(A) 위치에서의 상기 짚라인(10)과 상기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의 상하 간격 사이에서 상기 짚라인탑승자 견인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40)에 체결되어 그 순환라인에 대해 중립 또는 전후방향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순환라인 구동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 및 브레이크통(30)은 모두 동일한 수직평면(VPL) 내에 놓이고;
상기 짚라인탑승자 견인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40)은 그 굵기가 2mm~6mm인 강연선 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브레이킹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짚라인탑승자 견인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40)의 일부 구간은 탄성인장재(40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브레이킹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일부 구간은 상기 브레이크통의 후방상단 연결부(36)로부터 제1방향전환롤러(TP1) 사이의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브레이킹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짚라인탑승자 견인 및 브레이크통 원위치 복귀용 순환라인(40)은 상기 짚라인(10)과 브레이킹시스템보조라인(20)의 상하 간격 사이에 위치한 구동풀리(56)에 감겨져 정역모터(52)의 정역방향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회전상태 및 정역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지 않는 공회전 상태가 중의 어느 하나의 상태이며, 상기 공회전 상태는 브레이트통(30)이 탑승자를 맞이하기 위한 하사점(B) 근방의 대기위치로부터 주행자가 브레이크통(30)에 부딪혀 브레이크통과 함께 도착지점(A)을 향해 자연적인 관성주행력에 의해 상승주행하는 동안 설정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브레이킹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50)은 정역모터(52)와, 이 정역모터로부터 전달되는 전후진 구동력을 중립상태로부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선택하여 연결하는 전자클러치(54)와, 이 전자클러치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구동풀리(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 구동풀리(56)에는 유압식 풋브레이크의 작동에 의해 마찰구동되는 브레이크디스크(59)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짚라인브레이킹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통(30)의 후단에 수평방향으로 뻗는 압축스프링(39)이 더 구비되며;
탑승자에 대한 브레이킹 작동이 이루어지는 제동메카니즘이, 주행풀리(15)의 브레이크통(30)에 대한 충돌이후 상향주행에 따른 중력에 의한 자연감속제동과; 주행트롤리(15)가 브레이크통의 압축스프링(39)을 압축할 때의 압축력(압축탄성력)(F1)에 의한 완충제동과; 순환라인(40)의 순환거동시 이루어지는 순환라인(40)의 슬라이딩지점에 대한 마찰력에 의한 감속제동과; 주행트롤리(15)가 브레이크통의 압축스프링(39)을 압축하면서 순환라인(40)을 밀어나갈 때의 브레이크통의 후방상단에 연결된 탄성인장재(40c)의 인장력(인장탄성력)(F2)에 의한 완충 및 유압식 풋브레이크에 의해 구동풀이에 결합된 브레이크디스크(59)에 작용하는 마찰제동이동시에 또는 시차를 두어 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브레이킹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동풀리(56)에 감긴 순환라인(40)의 인장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롤러(TCR)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브레이킹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2231A KR101710700B1 (ko) | 2016-08-31 | 2016-08-31 |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되는 주행트롤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2231A KR101710700B1 (ko) | 2016-08-31 | 2016-08-31 |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되는 주행트롤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10700B1 true KR101710700B1 (ko) | 2017-02-27 |
Family
ID=5831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2231A KR101710700B1 (ko) | 2016-08-31 | 2016-08-31 |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되는 주행트롤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0700B1 (ko) |
Cited B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3203B1 (ko) | 2017-05-11 | 2017-11-06 |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 활강 레포츠에 사용되는 트롤리 |
KR101879227B1 (ko) | 2018-03-23 | 2018-07-17 | 주식회사 짚핑코리아 | 짚라인용 주행 트롤리 견인 겸 브레이크장치 |
KR102053905B1 (ko) * | 2019-07-04 | 2019-12-09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
KR102171339B1 (ko) * | 2019-11-22 | 2020-11-09 | 주식회사 유경산업 | 짚라인 브레이크 작동방법 |
KR102205554B1 (ko) * | 2020-07-15 | 2021-01-20 | 장석만 | 짚라인 화물 이송장치 |
KR102216438B1 (ko) | 2019-09-10 | 2021-02-17 | 김미선 | 하강레포츠용 트롤리의 하강 동작에 적용되는 트롤리 완충장치 |
KR20210017129A (ko) | 2019-08-07 | 2021-02-17 | 김미선 | 하강레포츠용 트롤리 |
KR20210049249A (ko) * | 2019-10-24 | 2021-05-06 | 주식회사 우성이엔씨 | 짚라인 브레이크 작동방법 |
KR102302630B1 (ko) * | 2021-05-26 | 2021-09-14 | 김정수 | 장비 회수장치를 구비한 짚트랙 시스템 |
KR102303218B1 (ko) * | 2021-07-13 | 2021-09-15 | 도태구 | 공중활강 체험자 구조장치 |
KR102358956B1 (ko) | 2021-11-25 | 2022-02-08 | (주)신흥이앤지 | 활강 놀이기구 출도착 자동연동 브레이크 시스템 |
KR102423016B1 (ko) * | 2022-06-09 | 2022-07-21 | 유한회사 중원시스템 | 짚라인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102485931B1 (ko) | 2022-07-14 | 2023-01-09 | 주식회사 더챌린지 | 하강 레포츠용 트롤리 구조체 |
KR102494286B1 (ko) | 2022-08-17 | 2023-02-06 | 주식회사 더챌린지 | 스카이워크 레포츠 제공 시스템 |
KR102562477B1 (ko) | 2023-01-25 | 2023-08-02 | 주식회사 더챌린지 | 모터가 적용된 트롤리 구조체 |
WO2023153942A1 (en) * | 2022-02-11 | 2023-08-17 | Skysurfer International Limited | Amusement ride |
KR102616812B1 (ko) | 2023-05-31 | 2023-12-21 | 주식회사 더챌린지 | 수목 보호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 구조체 |
KR20240007633A (ko) | 2023-12-07 | 2024-01-16 | 주식회사 더챌린지 | 레일형 이동 구조체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027134A1 (en) * | 2004-07-02 | 2006-02-09 | Ziptrek Ecotours, Inc. | Zipline braking and motion-arrest system |
KR101300582B1 (ko) | 2011-08-04 | 2013-08-27 | 고두정 | 트롤리 락커 이동 장치 |
US20140196990A1 (en) * | 2007-06-26 | 2014-07-17 | Ziptrek Ecotours Inc. | Continuous assist zipline braking and control system |
KR20140128051A (ko) | 2013-04-26 | 2014-11-05 | 하재성 | 아크 용접기 |
US8960098B2 (en) * | 2012-03-13 | 2015-02-24 | Daniel Blair Boren | Trolley braking system |
KR20160036216A (ko) * | 2014-09-25 | 2016-04-04 | 도태구 |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 |
-
2016
- 2016-08-31 KR KR1020160112231A patent/KR10171070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027134A1 (en) * | 2004-07-02 | 2006-02-09 | Ziptrek Ecotours, Inc. | Zipline braking and motion-arrest system |
US20140196990A1 (en) * | 2007-06-26 | 2014-07-17 | Ziptrek Ecotours Inc. | Continuous assist zipline braking and control system |
KR101300582B1 (ko) | 2011-08-04 | 2013-08-27 | 고두정 | 트롤리 락커 이동 장치 |
US8960098B2 (en) * | 2012-03-13 | 2015-02-24 | Daniel Blair Boren | Trolley braking system |
KR20140128051A (ko) | 2013-04-26 | 2014-11-05 | 하재성 | 아크 용접기 |
KR20160036216A (ko) * | 2014-09-25 | 2016-04-04 | 도태구 |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 |
Cited B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3203B1 (ko) | 2017-05-11 | 2017-11-06 |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 활강 레포츠에 사용되는 트롤리 |
KR101879227B1 (ko) | 2018-03-23 | 2018-07-17 | 주식회사 짚핑코리아 | 짚라인용 주행 트롤리 견인 겸 브레이크장치 |
KR102053905B1 (ko) * | 2019-07-04 | 2019-12-09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
WO2021002716A1 (ko) * | 2019-07-04 | 2021-01-07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롤리 시스템 |
KR20210017129A (ko) | 2019-08-07 | 2021-02-17 | 김미선 | 하강레포츠용 트롤리 |
KR102216438B1 (ko) | 2019-09-10 | 2021-02-17 | 김미선 | 하강레포츠용 트롤리의 하강 동작에 적용되는 트롤리 완충장치 |
KR102311864B1 (ko) * | 2019-10-24 | 2021-10-14 | 주식회사 우성이엔씨 | 짚라인 브레이크 작동방법 |
KR20210049249A (ko) * | 2019-10-24 | 2021-05-06 | 주식회사 우성이엔씨 | 짚라인 브레이크 작동방법 |
KR102171339B1 (ko) * | 2019-11-22 | 2020-11-09 | 주식회사 유경산업 | 짚라인 브레이크 작동방법 |
KR102205554B1 (ko) * | 2020-07-15 | 2021-01-20 | 장석만 | 짚라인 화물 이송장치 |
KR102302630B1 (ko) * | 2021-05-26 | 2021-09-14 | 김정수 | 장비 회수장치를 구비한 짚트랙 시스템 |
KR102303218B1 (ko) * | 2021-07-13 | 2021-09-15 | 도태구 | 공중활강 체험자 구조장치 |
KR102358956B1 (ko) | 2021-11-25 | 2022-02-08 | (주)신흥이앤지 | 활강 놀이기구 출도착 자동연동 브레이크 시스템 |
WO2023153942A1 (en) * | 2022-02-11 | 2023-08-17 | Skysurfer International Limited | Amusement ride |
KR102423016B1 (ko) * | 2022-06-09 | 2022-07-21 | 유한회사 중원시스템 | 짚라인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102485931B1 (ko) | 2022-07-14 | 2023-01-09 | 주식회사 더챌린지 | 하강 레포츠용 트롤리 구조체 |
KR102494286B1 (ko) | 2022-08-17 | 2023-02-06 | 주식회사 더챌린지 | 스카이워크 레포츠 제공 시스템 |
KR102562477B1 (ko) | 2023-01-25 | 2023-08-02 | 주식회사 더챌린지 | 모터가 적용된 트롤리 구조체 |
KR102616812B1 (ko) | 2023-05-31 | 2023-12-21 | 주식회사 더챌린지 | 수목 보호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 구조체 |
KR20240007633A (ko) | 2023-12-07 | 2024-01-16 | 주식회사 더챌린지 | 레일형 이동 구조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10700B1 (ko) |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되는 주행트롤리 | |
US8807292B2 (en) | Braking system for a zip line | |
EP2297016B1 (en) |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in elevator maintenance | |
EP2651809A1 (de) | Betätigung einer fangvorrichtung | |
KR101879227B1 (ko) | 짚라인용 주행 트롤리 견인 겸 브레이크장치 | |
US20130239842A1 (en) | Trolley Braking System | |
AU2016231645B2 (en) | Braking system for a hoisted structure and method of controlling braking a hoisted structure | |
CN105246816B (zh) | 承载机构制动装置 | |
CN207737276U (zh) | 一种猴车运行装置 | |
CN100569620C (zh) | 电梯用绳索制动器装置 | |
KR102302630B1 (ko) | 장비 회수장치를 구비한 짚트랙 시스템 | |
KR101783323B1 (ko) | 리프트 낙하 방지장치 | |
CN103786694B (zh) | 一种无轨胶轮车用速度失控保护系统 | |
CN116427322A (zh) | 阻拦索支撑装置、阻拦系统及无轨胶轮车失速防护系统 | |
KR20160036216A (ko) |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 | |
JP3468316B2 (ja) | リフトカー | |
US11807283B2 (en) | Emergency arrest device for zip-lining | |
CN207390724U (zh) | 新型限速器棘轮组件 | |
DE112015004314B4 (de) | Aufzugvorrichtungen | |
CN202030411U (zh) | 渐进式防坠安全器 | |
CN113173183A (zh) | 具有震动吸收的运载工具和包括该运载工具的装置 | |
CN207390723U (zh) | 新型无机房双向限速器 | |
CN207390725U (zh) | 新型有机房双向限速器 | |
CA2974026C (en) | Aerial cable laying device | |
KR102421371B1 (ko) | 가선식 운반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