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903B1 -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903B1
KR102221903B1 KR1020190127529A KR20190127529A KR102221903B1 KR 102221903 B1 KR102221903 B1 KR 102221903B1 KR 1020190127529 A KR1020190127529 A KR 1020190127529A KR 20190127529 A KR20190127529 A KR 20190127529A KR 102221903 B1 KR102221903 B1 KR 102221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driving
auxiliary line
auxiliary
line tro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건
Original Assignee
이종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건 filed Critical 이종건
Priority to KR1020190127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2Suspended slide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10Cable traction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짚라인 장비를 탑승자가 운반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탑승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여 탑승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 도착지점까지 주행본체를 자동견인할 수 있어 탑승자의 도착지점에 도달하지 못한 상황에 대한 불안감이 해결될 수 있으며,아울러, 탑승자가 취향에 따라 수직, 수평으로 비행할 수 있어 탑승자 스스로 온몸으로 자유롭게 비행하는 느낌을 만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Zipline driving aids}
본 발명은 짚라인 장비를 탑승자가 운반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탑승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여 탑승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 도착지점까지 주행본체를 자동견인할 수 있어 탑승자의 도착지점에 도달하지 못한 상황에 대한 불안감이 해결될 수 있으며,아울러, 탑승자가 취향에 따라 수직, 수평으로 비행할 수 있어 탑승자 스스로 온몸으로 자유롭게 비행하는 느낌을 만끽할 수 있는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짚라인은 높이가 다른 양편의 나무 또는 지주대 사이로 와이어를 설치하고, 탑승자의 신체에 연결되는 착탈식 트롤리를 와이어에 걸어 높이 차에 따른 무동력 중력하강에 의해 빠른 속도로 반대편으로 이동시키는 장치 또는 레포츠의 통칭이다.
짚라인은 플라잉폭스(Flying Fox), 짚와이어(Zip Wire), 짚트랙(Ziptrek), 에어리얼 런웨이(Aerial Runway), 티롤리언 크로싱(Tyrolean Crossing)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기도 하며, 최근에는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장소에 설치할 수 있으며, 지반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이 없이도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지지력을 견고히하여 보다 높은 높이에서 활강할 수 있는 이동식 짚라인 장치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73755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73755호 등으로 제안된 짚라인을 탑승하기 위해서는 아래쪽에서 표를 구매하고 짚라인 장비를 탑승자 스스로가 위로 운반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짚라인 출발지 부근에서 충동적으로 짚라인 경험을 해보고 싶어도 아래까지 내려가 표를 구매하고 짚라인 장비를 위로 가져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하부에 본선 와이어와 상부에 보조와이어가 설치되어 운행되어온 짚라인 운방방식이 있으나, 상부에 설치된 보조와이어는 단순히 하부에 설치된 본선 와이어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 비상용으로 탑승자의 추락예방을 위한 예비방편으로서의 역할만 할뿐 탑승자가 가속도의 부족으로 도착지점까지 도달하지 못하게 되었을 때 도착지점까지 견인하여 주는 역할을 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기존의 짚라인 주행방식은 출발전부터 도착때까지 탑승자가 앉아서 주행하거나 출발전부터 도착때까지 엎드린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주행하여야만 함으로서, 탑승자의 신체가 자유롭지 못하여 탑승자가 온몸으로 스스로 비행하는 느낌을 만끽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7375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짚라인 장비를 탑승자가 운반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탑승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여 탑승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 도착지점까지 주행본체를 자동견인할 수 있어 탑승자의 도착지점에 도달하지 못한 상황에 대한 불안감이 해결될 수 있으며,아울러, 탑승자가 취향에 따라 수직, 수평으로 비행할 수 있어 탑승자 스스로 온몸으로 자유롭게 비행하는 느낌을 만끽할 수 있는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조라인를 따라 주행하는 보조라인 트롤리와; 상기 보조라인의 하부에 배치되는 짚라인를 따라 주행하는 짚라인 트롤리와; 상기 짚라인 트롤리와 체결되고, 탑승자의 신체가 고정되며, 상기 짚라인 트롤리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본체와;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와 상기 짚라인 트롤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와 상기 짚라인 트롤리를 연결 및 상기 짚라인 트롤리가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를 따라 주행하도록 상기 짚라인 트롤리를 견인하는 주행보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짚라인 트롤리는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의 후측 하부방향과 전측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짚라인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후측짚라인 트롤리 및 전측짚라인 트롤리로 구성되고, 상기 주행보조부는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의 하부에 상부가 편심상태로 축결합되고,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와 상기 짚라인 트롤리의 주행속도차에 의해 하부가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부면과 상기 보조라인의 하부면이 접촉 및 접촉해제되는 주행보조몸체와; 상기 후측짚라인 트롤리의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되는 후측관체와; 상기 전측짚라인 트롤리의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되는 전측관체와; 상기 전측관체의 상부에 하부가 체결되고, 상부가 상기 주행보조몸체의 하부에 축결합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전측관체의 하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측관체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몸체와;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이동몸체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전측관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몸체를 상기 전측관체의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상부 내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체결부재의 상부와 함께 상기 주행보조몸체의 하부에 축결합되는 회전체와; 상기 후측관체의 내부로 후측이 인입된 상태로 후단부가 상기 후측관체의 하부에 연결되고, 중간부가 상기 회전체의 상부에 걸쳐지며, 전측이 상기 체결부재의 내부와 상기 탄성부재의 내측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전측관체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전단부가 이동몸체에 연결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의 하부와 상기 주행보조부의 상부 및 상기 짚라인 트롤리의 하부와 상기 주행본체의 상부를 각각 수평관통하는 체결핀과, 상기 체결핀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의 하부 및 상기 짚라인 트롤리의 하부에 부착고정되는 자력부재로 구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행보조부의 체결부재는 상기 전측관체의 상부가 하부 내측에 체결되는 체결관과; 상기 전측관체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체결관의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판과; 상기 체결관의 상부 내측에 하부가 체결되고, 상부가 상기 주행보조몸체의 하부에 축결합되는 체결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주행보조몸체의 후측 상부면에 상기 주행보조몸체의 후측에서 전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주행보조몸체의 경사면에 접지패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주행본체의 하부 전측에 상기 주행본체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전측에 탑승자의 신체가 고정되는 신체고정부와; 상기 신체고정부를 상기 주행본체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회전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신체고정부는 상기 주행본체의 하부 전측에 후측이 상기 주행본체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전측에 구비되어 탑승자의 신체를 고정하는 안전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이동부는 상기 신체고정부의 후측과 상기 주행본체의 하부 전측을 수평관통하여 상기 신체고정부의 후측과 상기 주행본체의 하부 전측을 연결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후측이 연결되고, 전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손잡이와; 상기 회전축에 전측이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후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섹터기어와; 상기 신체고정부의 후측에 호형상으로 돌출형성되고, 내측면에 상기 섹터기어의 후측과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기어치 및 상기 섹터기어의 후측과 치합된 상태로 상기 주행본체의 하부 후측에 축결합되고, 상기 섹터기어의 후측의 상하회전이동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바와 함께 상기 신체고정부를 상기 주행본체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신체고정부의 상부에 전측이 연결되고, 상기 주행본체의 후측 상부에 후측이 연결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이동부는 상기 가이드바와 접한 상태로 상기 주행본체의 후측에 축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바의 상하회전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회전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어의 상부방향에 위치 및 상기 가이드바의 기어치와 상기 섹터기어의 후측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주행본체의 하부 후측에 상기 가이드바의 기어치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기어의 상부방향에 위치 및 상기 가이드바의 기어치와 상기 섹터기어의 전측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주행본체의 하부 후측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상기 가이드바의 기어치 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바의 기어치와 맞물림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가이드바의 기어치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라인을 상기 보조라인의 전후방향으로 견인하는 리프트와; 상기 보조라인을 따라 주행하는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리프트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의 전측 상부와 후측 상부에 각각 완충패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장비운반용 리프트 와이어를 보조라인으로 사용하므로서 짚라인 장비를 탑승자가 운반해야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보조라인과 짚라인을 각각 이루는 와이어를 상하두줄로 설치하므로서 탑승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성을 확보하였고, 나아가, 주행보조부를 통해 짚라인 트롤리와 함께 주행본체를 도착지점까지 자동견인할 수 있어 탑승자가 가속도 부족으로 도착지점에 도달하지 못할 상황에 대한 탑승자의 불안감이 해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자가 수직으로 서서 걷거나 뛰는 자세로 출발한 후 취향에 따라 탑승자가 수동으로 수평으로 비행할 수 있어 탑승자 스스로 온몸으로 자유롭게 비행하는 느낌을 만끽할 수 있음은 물론 도착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탑승자가 수직으로서 서서 착지준비를 한 후 도착지점에 도달하여 최소한의 속도로 줄어들면 걷거나 뛰는 자세로 착지를 하므로서, 출발부터 도착까지 기구의 힘이 아닌 자신의 발과 자신의 의지로 스스로 뛰어올라 비행을 즐기다가 자신의 발로 착지까지 마무리 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보조라인 트롤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사시도이고,
도 3은 짚라인 트롤리와 주행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주행보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6은 주행보조부의 체결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분리측면도이고,
도 7은 주행보조몸체의 경사면에 접지패드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절개측면도이고,
도 8은 보조라인 트롤리의 하부와 주행보조부의 상부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배면도이고,
도 9는 짚라인 트롤리의 하부와 주행본체의 상부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배면도이고,
도 10은 주행본체로부터 신체고정부와 회전이동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탑승자의 신체가 고정되는 신체고정부의 상하회전이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3은 회전이동부의 가이드회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14는 밀림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15는 리프트 및 감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감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개측면도이고,
도 17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보조라인 트롤리(10), 짚라인 트롤리(20), 주행본체(30) 및 주행보조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보조라인 트롤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사시도이다.
먼저,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1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조라인(3)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상기 보조라인(3)을 따라 주행하게 된다.
상기 보조라인(3)은 일예로, 장비운반용 리프트 와이어 등 다양한 종류의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라인(3)은 후술할 리프트에 의해 상기 리프트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짚라인 트롤리(2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라인(3)의 하부에 배치되는 짚라인(5)을 따라 주행하게 된다.
상기 짚라인(5)은 일예로, 상기 보조라인(3)의 하부방향에 배치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짚라인 트롤리와 주행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주행본체(30)의 상부는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짚라인 트롤리(20)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짚라인 트롤리(20)를 따라 주행하게 된다.
상기 주행본체(30)의 하부 전측에 탑승자의 신체가 고정된다.
도 4 및 도 5는 주행보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6은 주행보조부의 체결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분리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주행보조부(40)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10)와 상기 짚라인 트롤리(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10)와 상기 짚라인 트롤리(20)를 연결 및 상기 짚라인 트롤리(20)가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10)를 따라 주행하도록 상기 짚라인 트롤리(20)를 견인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짚라인 트롤리(20)는 도 1, 도 3,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측짚라인 트롤리(210)와 전측짚라인 트롤리(2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짚라인 트롤리(210)는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10)의 후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짚라인(5)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측짚라인 트롤리(220)는 상기 후측짚라인 트롤리(2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10)의 전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짚라인(5)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행보조부(40)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주행보조몸체(410), 후측관체(420), 전측관체(430), 체결부재(440), 이동몸체(450), 탄성부재(460), 회전체(470) 및 연결라인(4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행보조몸체(410)의 상부가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10)의 하부에 편심상태로 축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주행보조몸체(410)의 상부 전측이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10)의 하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주행보조몸체(410)의 하부가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10)와 상기 짚라인 트롤리(20)의 주행속도차에 의해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1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주행보조몸체(410)의 후측 상부면과 상기 보조라인(3)의 하부면이 접촉 및 접촉해제될 수 있다.
상기 후측관체(420)의 하부는 상기 후측짚라인 트롤리(210)의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측관체(430)의 하부는 상기 전측짚라인 트롤리(220)의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440)의 하부는 상기 전측관체(430)의 상부에 하부가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440)의 상부는 상기 주행보조몸체(410)의 하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체결부재(44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체결관(441), 고정판(442) 및 체결몸체(4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관(441)의 하부 내측에 상기 전측관체(430)의 상부가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442)은 상기 전측관체(430)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체결관(44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몸체(443)의 하부는 상기 체결관(441)의 상부 내측에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몸체(443)의 상부는 상기 주행보조몸체(410)의 하부 내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몸체(450)는 상기 전측관체(430)의 하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측관체(43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60)는 상기 체결부재(440)의 고정판(442)과 상기 이동몸체(450)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전측관체(43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몸체(450)를 상기 전측관체(430)의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체(470)는 상기 체결부재(440)의 체결몸체(443)의 상부 내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체결부재(440)의 체결몸체(443)의 상부와 함께 상기 주행보조몸체(410)의 하부 내측에 축결합되는 도르래, 풀리, 롤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연결라인(480)의 후측이 상기 후측관체(42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연결라인(480)의 후단부는 상기 후측관체(420)의 하부를 상기 후측짚라인 트롤리(210)의 상부에 결합시키는 축(481)의 외면에 감김고정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라인(480)의 중간부는 상기 회전체(470)의 상부에 걸쳐질 수 있다.
상기 연결라인(480)의 전측이 상기 체결부재(440)의 내부와 상기 탄성부재(460)의 내측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전측관체(43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연결라인(480)의 전단부는 상기 이동몸체(45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짚라인 트롤리(20)의 주행속도가 상기 보조라인(3)의 이동속도보다 빠를 경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460)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주행보조몸체(410)의 하부가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10)의 전측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주행보조몸체(410)의 후측 상부면과 상기 보조라인(3)의 하부면의 접촉상태가 해제된 상태로 상기 짚라인 트롤리(20)는 정상주행이 가능하다.
반면에, 상기 짚라인 트롤리(20)의 가속도의 부족으로 상기 짚라인 트롤리(20)의 주행속도보다 상기 보조라인(3)의 이동속도가 빠를 경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라인(480)의 전측이 상기 전측관체(430)의 상부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탄성부재(460)가 수축됨과 더불어 상기 주행보조몸체(410)의 하부가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10)의 후측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주행보조몸체(410)의 후측 상부면과 상기 보조라인(3)의 하부면이 접촉된 상태로 상기 짚라인 트롤리(20)와 상기 주행본체(30)가 상기 보조라인(3)의 이동방향으로 자동견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조라인(3)과 짚라인(5)을 각각 이루는 와이어를 상하두줄로 설치하므로서 탑승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성을 확보하였고, 나아가, 상기 주행보조부(40)를 통해 상기 짚라인 트롤리(20)와 함께 상기 주행본체(30)를 도착지점까지 자동견인할 수 있어 탑승자가 가속도 부족으로 도착지점에 도달하지 못할 상황에 대한 탑승자의 불안감이 해결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주행보조몸체(410)의 후측 상부면과 상기 보조라인(3)의 하부면이 보다 넓은 면적으로 면접촉되어 상기 짚라인 트롤리(20)와 상기 주행본체(30)가 상기 보조라인(3)의 이동방향으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자동견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행보조몸체(410)의 후측 상부면에 경사면(4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411)은 상기 주행보조몸체(410)의 후측에서 전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도 7은 주행보조몸체의 경사면에 접지패드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절개측면도이다.
나아가, 상기 주행보조몸체(410)의 후측 상부면과 상기 보조라인(3)의 하부면의 접지력이 더욱 향상되어 상기 짚라인 트롤리(20)와 상기 주행본체(30)가 상기 보조라인(3)의 이동방향으로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자동견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행보조몸체(410)의 경사면(411)에 접지패드(49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보조라인 트롤리의 하부와 주행보조부의 상부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배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10)와 상기 주행보조부(40) 및 상기 짚라인 트롤리(20)와 상기 주행본체(30)를 분리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체결부(5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결핀(510)과 자력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핀(510)은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10)의 하부 중간부를 수평관통 및 상기 주행보조부(40)의 주행보조몸체(410)의 상부를 편심상태로 수평관통, 즉, 상기 주행보조몸체(410)의 상부 전측을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자력부재(520)의 내측에 상기 체결핀(5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자력부재(520)는 상기 체결핀(510)의 타측에 일체형성되어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하부 외주면에 자력에 의해 부착고정되는 자석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짚라인 트롤리의 하부와 주행본체의 상부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배면도이다.
또한, 상기 체결핀(510)은 상기 짚라인 트롤리(20)의 후측짚라인 트롤리(210)의 하부 중간부와 상기 주행본체(30)의 후측 상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핀(510)은 상기 짚라인 트롤리(20)의 전측짚라인 트롤리(220)이 하부 중간부와 상기 주행본체(30)의 전측 상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자력부재(520)는 상기 짚라인 트롤리(20)의 후측짚라인 트롤리(2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하부 외주면 및 전측짚라인 트롤리(22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하부에 자력에 의해 각각 부착고정될 수 있다.
도 10은 주행본체로부터 신체고정부와 회전이동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행본체(30)에는 신체고정부(60)와 회전이동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체고정부(60)는 상기 주행본체(30)의 하부 전측에 상기 주행본체(30)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신체고정부(60)의 전측에 탑승자의 신체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이동부(70)는 상기 신체고정부(60)를 상기 주행본체(3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신체고정부(60)는 일예로, 크게, 고정판(610)과 안전벨트(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610)의 후측 중간부에는 상기 고정판(6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2개의 가이드판(611)이 상기 고정판(6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610)이 상기 주행본체(3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판(610)의 후측에 형성된 2개의 상기 가이드판(611) 사이에 상기 주행본체(30)의 하부 전측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고정판(610)의 후측에 형성된 2개의 상기 가이드판(611)의 중간부와 상기 주행본체(30)의 하부 전측이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안전벨트(620)는 상기 고정판(610)의 전측에 구비되어 탑승자의 신체를 상기 고정판(61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회전이동부(70)는 일예로, 크게, 회전축(710), 손잡이(720), 섹터기어(730), 가이드바(740) 및 기어(7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710)의 일측은 상기 신체고정부(60)의 고정판(610)의 후측 중간부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판(611)의 중간부와 상기 주행본체(30)의 하부 전측을 수평관통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신체고정부(60)의 고정판(610)의 후측 중간부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판(611)과 상기 주행본체(30)의 하부 전측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720)의 후측은 상기 회전축(710)의 타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720)의 전측은 작업자에 의해 상기 고정판(61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회전축(7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섹터기어(730)의 전측은 상기 회전축(710)의 중간부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섹터기어(730)의 후측은 상기 회전축(7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판(61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740)는 상기 신체고정부(60)의 고정판(610)의 후측면 일측의 반대측인 후측면 타측에 상기 고정판(610)의 후측방향으로 호형상을 돌출된 상태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740)의 내측면에는 상기 섹터기어(730)의 후측에 형성된 기어치(731)와 치합되는 기어치(7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750)는 상기 가이드바(740)의 기어치(741) 및 상기 섹터기어(730)의 후측에 형성된 기어치(741)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주행본체(30)의 하부 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어(750)는 상기 섹터기어(730)의 후측의 상하회전이동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바(740)와 함께 상기 신체고정부(60)를 상기 주행본체(3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탑승자의 신체가 고정되는 신체고정부의 상하회전이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신체고정부(60)에 탑승자(2)의 신체가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탑승자(2)가 손을 이용하여 상기 손잡이(720)의 전측을 상기 손잡이(720)의 전측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경우,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섹터기어(730)의 후측이 상기 손잡이(720)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기어(7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가이드바(740) 및 상기 신체고정부(60)와 함께 탑승자(2)가 상기 주행본체(30)의 전측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탑승자(2)가 수평으로 눕혀질 수 있다.
수평으로 눕혀진 탑승자(2)가 상기 손잡이(720)의 전측을 상기 손잡이(720)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경우,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섹터기어(730)의 후측이 상기 손잡이(720)의 후측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기어(7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가이드바(740) 및 상기 신체고정부(60)와 함께 수평상태인 탑승자(2)가 상기 주행본체(30)의 전측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탑승자(2)가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다.
탑승자(2)가 수직으로 서서 걷거나 뛰는 자세로 출발한 후 취향에 따라 탑승자(2)가 수동으로 수평으로 비행할 수 있어 탑승자(2) 스스로 온몸으로 자유롭게 비행하는 느낌을 만끽할 수 있음은 물론 도착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탑승자(2)가 수직으로서 서서 착지준비를 한 후 도착지점에 도달하여 최소한의 속도로 줄어들면 걷거나 뛰는 자세로 착지를 하므로서, 출발부터 도착까지 기구의 힘이 아닌 자신의 발과 자신의 의지로 스스로 뛰어올라 비행을 즐기다가 자신의 발로 착지까지 마무리 할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3은 회전이동부의 가이드회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상기 가이드바(740) 및 상기 신체고정부(60)와 함께 수평상태인 탑승자(2)가 상기 주행본체(30)의 전측 상하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회전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회전이동부(70)는 가이드회전체(7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회전체(760)는 도 11 내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740)의 외측면과 접한 상태로 상기 주행본체(30)의 하부 후측에 상기 주행본체(3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바(740)의 상하회전이동을 안내하는 도르래, 풀리, 롤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행본체(30)와 상기 신체고정부(60)를 연결하는 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있는 탄성부(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80)의 전측은 상기 신체고정부(60)의 고정판(610)의 후측 상부에 형성된 고리(612)에 감김고정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80)의 후측은 상기 주행본체(30)의 후측 상부에 형성된 고리(301)에 감김고정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신체고정부(60)가 상기 주행본체(3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탄성부(80)는 수축 및 팽창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기 탄성부(80)의 탄성력을 통해 특히, 작업자가 작은 힘으로도 상기 신체고정부(60)를 상기 주행본체(30)의 상부방향으로 보다 더욱 원활히 회전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밀림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바(740)의 기어치(741)가 상기 기어치(741)의 상하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부(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림방지부(90)는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기어(750)의 상부방향에 위치 및 상기 가이드바(740)의 기어치(741)와 상기 섹터기어(730)의 후측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주행본체(30)의 하부 후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림방지부(90)는 일예로, 크게, 몸체(910), 결합부재(920) 및 탄성부재(9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910)는 상기 기어(750)의 상부방향에 위치 및 상기 가이드바(740)의 기어치(741)와 상기 섹터기어(730)의 전측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주행본체(30)의 하부 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몸체(910)의 전측은 폐쇄되고, 상기 몸체(910)의 후측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920)는 상기 몸체(910)의 내부에 상기 몸체(9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어 가이드바(740)의 기어치(741) 방향으로 승강운동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920)의 후측은 상기 가이드바(740)의 기어치(74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740)의 기어치(741) 사이에 맞물림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930)는 상기 결합부재(920)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910)의 내부에 상기 몸체(9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어 상기 결합부재(920)를 상기 가이드바(740)의 기어치(741)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5는 리프트 및 감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15서 보는 바와 같이 리프트(100)와 감지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100)는 일예로, 후측지주(101), 전측지주(102), 후측보조지주(103), 전측보조지주(104) 및 회전체(105)로 구성되어 상기 보조라인(3)을 상기 보조라인(3)의 전후방향으로 견인할 수 있다.
상기 후측지주(101)와 상기 전측지주(102)는 상기 짚라인(5)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짚라인(5)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방향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보조지주(103)와 상기 전측보조지주(104)는 상기 짚라인(5)의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짚라인(5)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105)는 상기 후측지주(101)의 상부와 상기 전측지주(102)의 상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되는 휠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측지주(101)의 상부와 상기 전측지주(102)의 상부에 수평구비된 상기 회전체(105) 중 어느 하나의 회전체(105)는 구동모터 등의 구동부재(106)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보조라인(3)의 후측과 전측은 상기 후측지주(101)의 상부와 상기 전측지주(102)의 상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되는 상기 회전체(105)에 각각 감겨질 수 있다.
상기 보조라인(3)의 일측에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200)는 상기 후측보조지주(103)의 내측면 상부 중간부와 상기 전측보조지주(104)의 내측면 상부 중간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보조라인(3)을 따라 주행하는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10)를 감지하는 후측감지부(201)와 전측감지부(20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측감지부(201)와 상기 전측감지부(202)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근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6은 감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개측면도이다.
또는, 상기 후측감지부(201)와 상기 전측감지부(202)로 구성되는 상기 감지부(200)는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203, 204)과 작동스위치(204, 205)로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측감지부(201)의 하우징(203)의 상부는 상기 후측보조지주(103)의 내측면 상부 중간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측감지부(201)의 하우징(203)의 하부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후측감지부(201)의 작동스위치(204)는 비전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크게, 수직부재(204a)와 수평부재(204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204a)의 상부는 상기 하우징(203)의 내부 하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재(204b)는 상기 수직부재(204a)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203)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재(204a)의 상부면에 전도체(204c)와 철판 등의 전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 부착판(204d)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감지부(202)의 하우징(204)의 상부는 상기 전측보조지주(103)의 내측면 상부 중간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측감지부(202)의 하우징(204)의 하부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전측감지부(202)의 작동스위치(205)는 비전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크게, 수직부재(205a)와 수평부재(205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205a)의 상부는 상기 하우징(204)의 내부 중간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재(205b)는 상기 수직부재(205a)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204)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205a)의 전측면의 반대측인 후측면에 전도체(205c)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7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그리고,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2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리프트(10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감지부(201)와 상기 전측감지부(202)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감지부(200)가 근접센서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후측감지부(201)를 이루는 근접센서가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100)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전원공급부(400)의 전원이 상기 리프트(100)의 구동모터 등의 구동부재(106)에 공급되어 상기 구동부재(106)에 의해 상기 리프트(100)의 상기 회전체(105)가 회전되어 상기 보조라인(3)의 일측이 상기 보조라인(3)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이동 및 상기 보조라인(3)의 타측이 상기 보조라인(3)이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전측감지부(201)를 이루는 근접센서가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100)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리프트(100)의 구동부재(106)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리프트(100)의 상기 회전체(105)의 회전이 중지될 수 있다.
상기 후측감지부(201)와 상기 전측감지부(202)로 이루어지는 상기 감지부(200)가 상기 하우징(203, 204)과 작동스위치(204, 205)로 각각 이루어질 경우,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10)는 상기 후측보조지주(103)를 통과하면서 상기 후측감지부(201)의 작동스위치(204)의 수직부재(204a)와 부딪쳐 상기 수직부재(204a)를 상기 하우징(203)의 전측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수평부재(204b)는 상기 하우징(203)의 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수평부재(204b)의 상부면에 구비된 전도체(204c)가 상기 하우징(203)의 내부를 경유하는 회로도(205e)의 단락구간(205f)을 연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리프트(100)의 구동부재(106)로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회전체(105)가 회전 및 상기 하우징(203)의 내부에 구비된 전자석(205e)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전자석(205e)에 상기 수평부재(204b)의 부착판(204d)이 상기 전자석(205e)의 자력에 의해 부착고정되어 상기 수직부재(204a)가 상기 하우징(203)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10)는 상기 전측보조지주(104)를 통과하면서 상기 전측감지부(202)의 작동스위치(205)의 수직부재(205a)와 부딪쳐 상기 수직부재(205a)를 상기 하우징(204)의 전측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205a)에 구비된 전도체(205c)와 상기 하우징(204)의 내부를 경유하는 회로도(205e)의 다른 단락구간(205g)과의 연결상태가 해제됨과 더불어 상기 전자석(205e)이 자력을 잃어 상기 후측감지부(201)의 수평부재(204b) 및 수직부재(204a)가 자중에 의해 상기 하우징(203)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강하여 원위치되면서 상기 하우징(203)의 내부를 경유하는 회로도(205e)의 단락구간(205f)의 연결상태 또한 해제되어 상기 리프트(100)의 구동부재(106)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10)가 상기 감지부(200)의 작동스위치(204, 205)의 수직부재(204a, 205a)와 부딪칠 시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10)에 발생되는 충격을 용이하게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패드(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완충패드(500)는 고무재질 등 탄성력을 지닌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10)의 전측면 상부와 후측면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탑승자가 직접 짚라인 장비를 출발지점으로 운반할 필요가 없이 상기 보조라인(3)의 일측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10)를 상기 보조라인(3)의 타측에 연결하여 짚라인 장비를 짚라인 출발지점으로 다시 운반할 수 있어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10; 보조라인 트롤리, 20; 짚라인 트롤리,
30; 주행본체, 40; 주행보조부.

Claims (15)

  1. 보조라인을 따라 주행하는 보조라인 트롤리와;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의 후측 하부방향과 전측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보조라인의 하부에 배치되는 짚라인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후측짚라인 트롤리 및 전측짚라인 트롤리로 구성되어 상기 짚라인을 따라 주행하는 짚라인 트롤리와;
    상기 짚라인 트롤리와 체결되고, 탑승자의 신체가 고정되며, 상기 짚라인 트롤리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본체와;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의 하부에 상부가 편심상태로 축결합되고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와 상기 짚라인 트롤리의 주행속도차에 의해 하부가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부면과 상기 보조라인의 하부면이 접촉 및 접촉해제되는 주행보조몸체와, 상기 후측짚라인 트롤리의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되는 후측관체와, 상기 전측짚라인 트롤리의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되는 전측관체와, 상기 전측관체의 상부에 하부가 체결되고 상부가 상기 주행보조몸체의 하부에 축결합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전측관체의 하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측관체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몸체와,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이동몸체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전측관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몸체를 상기 전측관체의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상부 내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체결부재의 상부와 함께 상기 주행보조몸체의 하부에 축결합되는 회전체와, 상기 후측관체의 내부로 후측이 인입된 상태로 후단부가 상기 후측관체의 하부에 연결되고 중간부가 상기 회전체의 상부에 걸쳐지며 전측이 상기 체결부재의 내부와 상기 탄성부재의 내측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전측관체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전단부가 이동몸체에 연결되는 연결라인으로 구성되어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와 상기 짚라인 트롤리를 연결 및 상기 짚라인 트롤리가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를 따라 주행하도록 상기 짚라인 트롤리를 견인하는 주행보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
  2. 보조라인을 따라 주행하는 보조라인 트롤리와;
    상기 보조라인의 하부에 배치되는 짚라인를 따라 주행하는 짚라인 트롤리와;
    상기 짚라인 트롤리와 체결되고, 탑승자의 신체가 고정되며, 상기 짚라인 트롤리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본체와;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와 상기 짚라인 트롤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와 상기 짚라인 트롤리를 연결 및 상기 짚라인 트롤리가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를 따라 주행하도록 상기 짚라인 트롤리를 견인하는 주행보조부와;
    상기 주행본체의 하부 전측에 상기 주행본체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전측에 탑승자의 신체가 고정되는 신체고정부와;
    상기 신체고정부를 상기 주행본체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회전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의 하부와 상기 주행보조부의 상부 및 상기 짚라인 트롤리의 하부와 상기 주행본체의 상부를 각각 수평관통하는 체결핀과, 상기 체결핀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의 하부 및 상기 짚라인 트롤리의 하부에 부착고정되는 자력부재로 구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보조부의 체결부재는 상기 전측관체의 상부가 하부 내측에 체결되는 체결관과;
    상기 전측관체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체결관의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판과;
    상기 체결관의 상부 내측에 하부가 체결되고, 상부가 상기 주행보조몸체의 하부에 축결합되는 체결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보조몸체의 후측 상부면에 상기 주행보조몸체의 후측에서 전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보조몸체의 경사면에 접지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고정부는 상기 주행본체의 하부 전측에 후측이 상기 주행본체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전측에 구비되어 탑승자의 신체를 고정하는 안전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이동부는 상기 신체고정부의 후측과 상기 주행본체의 하부 전측을 수평관통하여 상기 신체고정부의 후측과 상기 주행본체의 하부 전측을 연결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후측이 연결되고, 전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손잡이와;
    상기 회전축에 전측이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후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섹터기어와;
    상기 신체고정부의 후측에 호형상으로 돌출형성되고, 내측면에 상기 섹터기어의 후측과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기어치 및 상기 섹터기어의 후측과 치합된 상태로 상기 주행본체의 하부 후측에 축결합되고, 상기 섹터기어의 후측의 상하회전이동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바와 함께 상기 신체고정부를 상기 주행본체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고정부의 상부에 전측이 연결되고, 상기 주행본체의 후측 상부에 후측이 연결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이동부는 상기 가이드바와 접한 상태로 상기 주행본체의 후측에 축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바의 상하회전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회전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의 상부방향에 위치 및 상기 가이드바의 기어치와 상기 섹터기어의 후측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주행본체의 하부 후측에 상기 가이드바의 기어치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기어의 상부방향에 위치 및 상기 가이드바의 기어치와 상기 섹터기어의 전측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주행본체의 하부 후측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상기 가이드바의 기어치 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바의 기어치와 맞물림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가이드바의 기어치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라인을 상기 보조라인의 전후방향으로 견인하는 리프트와;
    상기 보조라인을 따라 주행하는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리프트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
  1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라인 트롤리의 전측 상부와 후측 상부에 각각 완충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
  15. 삭제
KR1020190127529A 2019-10-15 2019-10-15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 KR102221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529A KR102221903B1 (ko) 2019-10-15 2019-10-15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529A KR102221903B1 (ko) 2019-10-15 2019-10-15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903B1 true KR102221903B1 (ko) 2021-03-02

Family

ID=75169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529A KR102221903B1 (ko) 2019-10-15 2019-10-15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9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630B1 (ko) * 2021-05-26 2021-09-14 김정수 장비 회수장치를 구비한 짚트랙 시스템
CN115845286A (zh) * 2021-09-23 2023-03-28 北京机械设备研究所 一种单人运输用减振接口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4194A (ja) * 1999-06-03 2000-12-12 Takenaka Komuten Co Ltd 空中浮遊装置
US20070157432A1 (en) * 2006-01-11 2007-07-12 Glenn Weinstein Magnetic hinge
KR101096006B1 (ko) * 2011-05-12 2011-12-19 조웅현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및 그 이용방법
KR101473755B1 (ko) 2014-02-21 2014-12-19 (주)에스엘인더스트리 이동식 짚라인 장치
US20170157433A1 (en) * 2015-10-27 2017-06-08 Zipholdings, Llc Emergency-egress, zip-line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4194A (ja) * 1999-06-03 2000-12-12 Takenaka Komuten Co Ltd 空中浮遊装置
US20070157432A1 (en) * 2006-01-11 2007-07-12 Glenn Weinstein Magnetic hinge
KR101096006B1 (ko) * 2011-05-12 2011-12-19 조웅현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및 그 이용방법
KR101473755B1 (ko) 2014-02-21 2014-12-19 (주)에스엘인더스트리 이동식 짚라인 장치
US20170157433A1 (en) * 2015-10-27 2017-06-08 Zipholdings, Llc Emergency-egress, zip-line system and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630B1 (ko) * 2021-05-26 2021-09-14 김정수 장비 회수장치를 구비한 짚트랙 시스템
CN115845286A (zh) * 2021-09-23 2023-03-28 北京机械设备研究所 一种单人运输用减振接口装置及其使用方法
CN115845286B (zh) * 2021-09-23 2023-09-08 北京机械设备研究所 一种单人运输用减振接口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1903B1 (ko)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
US9586159B2 (en) Inflatable soap box derby
JP4750883B2 (ja) ローラーコースター型遊園地設備
US8960097B2 (en) Dynamic loading system for a ride vehicle
KR101942017B1 (ko) 익사이팅 사이클
JPH08500268A (ja) 娯楽用乗物
JP2006502795A (ja) 複数定員娯楽乗物
WO2013074996A1 (en) Free fall amusement ride
KR101473755B1 (ko) 이동식 짚라인 장치
CN107638255A (zh) 一种电动轮椅
KR100802422B1 (ko) 도로 터널용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진입 제한장치
CN105005321B (zh) 跳楼机及其动感乘骑运动系统
JP2008017886A (ja) 乗物遊戯設備
JP4071785B2 (ja) エスカレータカート
JPH09508836A (ja) 操舵可能なスイング装置
KR101854388B1 (ko)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KR102051565B1 (ko) 구조용 트롤리
KR102381643B1 (ko)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
JP4507299B2 (ja) 遊戯乗物および乗物遊戯設備
US1473813A (en) Elevator for stairways
JP4053029B2 (ja) 観覧車
JP3154591U (ja) 階段昇降装置
US2264919A (en) Parachute drop amusement device
KR102484613B1 (ko) 익스트림 라이더
US864245A (en) Recreation-wh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