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006B1 -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및 그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및 그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006B1
KR101096006B1 KR1020110044755A KR20110044755A KR101096006B1 KR 101096006 B1 KR101096006 B1 KR 101096006B1 KR 1020110044755 A KR1020110044755 A KR 1020110044755A KR 20110044755 A KR20110044755 A KR 20110044755A KR 101096006 B1 KR101096006 B1 KR 101096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cable
weight
zip line
zip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웅현
Original Assignee
조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웅현 filed Critical 조웅현
Priority to KR1020110044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0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4Devices for damping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강시 이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제동마찰력이 발생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브레이크장치의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제동 마찰력을 발생시켜 이용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및 그 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탑승자가 자신의 역량에 맞게 제동 마찰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에게 맞는 적절한 활강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스릴감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및 그 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완충수단을 이용한 브레이크 케이블의 높이 조절과 작동도르레의 와이어완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탑승자가 탑승하게 되는 작동도르레의 충격흡수를 통하여 보다 안전한 활강과 더불어서 착지가 가능하게 하여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및 그 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및 그 이용방법{ZIP LINE WITH A BREAK USING BODY WEIGHT AND THE U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용자의 체중을 이용하여 제동에 필요한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전하게 짚라인을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릴 정도를 이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즐길 수 있도록 한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소정의 높이차를 갖도록 짚 라인 케이블을 장착하고, 이 케이블을 작동도르레를 타고 내려오면서 속도감과 스릴을 느끼는 짚 라인(Zip Line)이 하나의 레저스포츠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짚 라인은 이용자가 외줄(한 줄의 케이블)을 따라 직접 바람을 가르면서 아래로 활강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 활강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활강하는 듯한 느낌이 든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짚 라인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1) 활강 후 착지를 하는 동작에서 착지 지점에 적어도 1명이 서 있다가 활강이 끝나게 되면 그 이용자를 손으로 잡아서 정지시켜야 했다.
2) 이에 활강자의 체중이 너무 많이 나가는 경우 활강 후 제대로 정지시키지 못하여 안전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많이 있었다.
3) 종래의 짚 라인 케이블에 브레이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이는 짚 라인 케이블의 마모로 이어지고 이는 곧 탑승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4) 이러한 브레이크는 탑승자의 체중에 따라 제동 마찰력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 제동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낮아져서 실제 제동력에 한계가 있었다.
5) 이용자의 안전을 위한 제동장치의 추가 설치로 인하여 짚 라인을 구축하는데 많은 비용이 추가로 들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활강시 이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제동마찰력이 발생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브레이크장치의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제동 마찰력을 발생시켜 이용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및 그 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탑승자가 자신의 역량에 맞게 제동 마찰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에게 맞는 적절한 활강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스릴감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및 그 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완충수단을 이용한 브레이크 케이블의 높이 조절과 작동도르레의 와이어완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탑승자가 탑승하게 되는 작동도르레의 충격흡수를 통하여 보다 안전한 활강과 더불어서 착지가 가능하게 하여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및 그 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은, 양단이 높이차를 갖도록 양단이 고정 설치된 브레이크 케이블; 브레이크 케이블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짚 라인 케이블; 짚 라인 케이블의 도착지점에 설치되는 라인완충수단; 및 브레이크 케이블을 따라 움직이면서 제동 마찰력을 발생시켜 주는 브레이크수단; 및 브레이크수단과 함께 연동하여 짚 라인 케이블을 따라 움직이도록 설치되고, 브레이크수단의 제동 마찰력을 조절해 주는 작동도르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브레이크 케이블에는 착지점의 높이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장력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상하완충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의 상하완충수단은, 탄성지지를 받아 브레이크 케이블을 위로 끌어올리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하완충수단은, 양단에 각각 에어밸브가 구비되어 착지지점에 상하로 설치된 하우징; 브레이크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하단부에 도르레가 구비되고 상단에는 하우징과 밀착되어 움직이는 안내가이드가 구비되어 하우징에 끼워져서 움직이는 작동로드;및 안내가이드와 하우징의 내부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작동로드가 항상 윗쪽을 향해 탄성지지되도록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안내가이드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전체 외주면에 걸쳐 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짚 라인 케이블은 출발지점에서의 브레이크 케이블과의 높이차(H)보다 도착지점에서의 브레이크 케이블과의 높이차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라인완충수단은, 짚 라인 케이블에 끼워져서 그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완충부재; 및 완충부재를 양쪽에서 와이어로 지지하여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와이어의 길이변화를 통해 충격을 흡수하는 한쌍의 와이어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의 완충부재는, 와이어가 양측으로 나란하게 장착되는 지지블럭; 및 지지블럭의 앞쪽에 설치되는 우레탄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완충부재에는, 지지블럭과 우레판 패널 사이에 에어튜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완충부재에는, 에어튜브 내부에 복원스프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와이어 완충수단은, 양단에 각각 에어밸브가 구비되고 일단에는 도르레가 구비되며, 상기 짚 라인 케이블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하우징; 일단이 완충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이 도르레의 안내를 받도록 하우징에 길이방향으로 끼움 설치된 와이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이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와이어를 복원시켜 주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와이어 완충수단에는 복원스프링이 빠지지 않도록 와이어의 단부에는 슬라이드체가 고정설치되고, 이 슬라이드체에는 하우징의 내벽을 따라 움직이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롤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브레이크수단은, 브레이크 케이블 위에서 움직이는 적어도 2개의 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플레이트; 플레이트에 힌지로 고정되며, 그 단부가 롤러 사이에서 브레이크 케이블 아래에서 가압할 수 있게 설치된 작동레버; 브레이크수단과 작동도르레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간격유지로프; 및 일단이 작동레버에 장착되고, 타단이 작동도르레에 장착된 지지로프에 고정된 탑승자고정로프에 장착되어 작동레버가 브레이크 케이블를 아래에서 눌러주게 하는 제동력 발생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작동레버에는 제동력 발생로프의 장착위치를 임의로 바꿀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제동력 조절구멍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플레이트에는 작동레버가 항상 브레이크 케이블의 하부와 밀착된 상태로 있게 하기 위하여 가압스프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의 이용방법은, 제동력 조절구멍으로부터 제동력 발생로프를 분리하여 제동 마찰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브레이크수단을 분리한 상태에서 작동도르레가 짚 라인 케이블의 각도변화에 따라 활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의 이용방법은, 제동력 발생로프를 가장 단부의 제동력 조절구멍에 걸어 최소 제동 마찰력을 갖게 하여 작동도르레가 활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의 이용방법은, 제동력 발생로프를 가장 안쪽의 제동력 조절구멍에 걸어 최대 제동 마찰력을 갖게 하여 작동도르레가 활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의 이용방법은, 느끼는 스릴의 정도를 달리하기 위하여 작동도르레의 활강속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제동력 발생로프를 가장 안쪽과 가장 바깥쪽의 제동력 조절구멍에 걸어 제동 마찰력을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작동도르레가 활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및 그 이용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제동장치의 구성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체중에 따라 제동 마찰력을 임의로 쉽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2) 활강시 이미 제동 마찰력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착지에서 탑승자를 잡아 주지 않더라도 제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만큼 안전하게 탑승자의 착지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3) 탑승자가 활강에 앞서 자신의 역량에 맞게 제동 마찰력을 정해 놓고 활강할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의 활강속도에 따른 스릴감을 더욱 크게 느낄 수 있게 된다.
4) 구조가 간단하면서 정확한 제동 마찰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5) 착지 지점에서 브레이크 케이블의 장력을 줄여줌으로써 제동력의 세기를 절감시켜 탑승자의 착지동작이 보다 안전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6) 이와 같이 제동력의 세기를 줄여줄 뿐만 아니라 작동도르레가 안전하게 착지위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완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착지시 탑승자의 충격흡수를 통하여 보다 안전하게 착지할 수 있게 해 준다.
7) 탑승자의 요구에 의하여 보다 높은 제동 마찰력을 제공하여 속도 조절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대로 보다 빠른 속도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8) 별도의 안전요원을 두지 않고서도 제동 조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만큼 설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지지점의 지지대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완충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완충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전후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 2에서의 B-B선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수단과 작동도르레의 출발지점에서의 구성과 연결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수단과 작동도르레의 구성과 연결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활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지지점의 지지대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완충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에서의 A-A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완충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전후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 2에서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수단과 작동도르레의 출발지점에서의 구성과 연결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수단과 작동도르레의 구성과 연결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활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짚 라인은, 상하로 설치된 브레이크 케이블(100)과 짚 라인 케이블(200), 착지시 작동도르레(500)의 충격흡수를 위하여 짚 라인 케이블(200)에 장착되는 라인완충수단(300),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100)을 따라 움직이면서 제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브레이크수단(400), 그리고 이 브레이크수단(400)과 함께 움직이면서 제동 마찰력을 조절해 주는 작동도르레(500)를 포함한다.
이하, 이들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브레이크 케이블(100)과 짚 라인 케이블(200)은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케이블을 이용하며, 브레이크 케이블(100)이 짚 라인 케이블(200) 위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특히, 브레이크 케이블(100)과 짚 라인 케이블(200)은 출발지점과 도착지점 사이에 높이차를 두고 설치함으로써, 작동도르레(500)이 짚 라인 케이블(200)을 따라 아래로 활강함에 따라 브레이크 케이블(100)의 장력이 점차 커지게 하여 제동 마찰력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이때, 출발지점에서의 브레이크 케이블(100)과 짚 라인 케이블(200)의 높이차(H)는 도착지점에서의 브레이크 케이블(100)과 짚 라인 케이블(200)의 높이차(h)보다 작게 설치한다. 특히, 출발지점의 높이차(H)는 후술하게 될 간격유지로프(430)보다 짧게 하고, 도착지점의 높이차(h)는 간격유지로프(430)보다 길게 형성하여 도착지점으로 갈수록 점차 제동 마찰력이 커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높이차에 대해서는 후술하게 될 브레이크수단(400)의 설명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도착지점에는 브레이크 케이블(100)과 짚 라인 케이블(200)을 지지하기 위하여, 도 2와 같이 지지대(120)가 설치된다. 지지대(120)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브레이크 케이블(100)과 수직인 형태가 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브레이크 케이블(100)과 짚 라인 케이블(200)은 이 지지대(120)를 통과하여 지면 등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브레이크 케이블(100)은 지지대(120)에 구비된 상하완충수단(110)의 의해 브레이크수단(400)이 점차 도착지점에 도달해 옴에 따라 짚 라인 케이블(200)과의 높이차(h)가 조절되게 설치된다.
상하완충수단(110)은, 도 3과 같이, 실린더와 같이 동작하게 하는 하우징(111)과 작동로드(112), 그리고 이 작동로드(112)가 항상 브레이크 케이블(100)이 위로 향하도록 탄성지지할 수 있게 하우징(111)에 장착되는 탄성스프링(113)을 포함한다.
하우징(111)은 양단에 각각 에어밸브(111a)가 구비되며, 작동로드(112)의 승하강 동작에 의해 하우징(111) 내로 외기를 유입 또는 유출시키면서 완충작용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한다.
작동로드(112)는 하우징(111) 내부에 설치되며, 그 하부로 돌출된 일단에는 도르레(112a)가 구비된다. 도르레(112a)는 브레이크 케이블(100)을 지지한다. 그리고, 작동로드(112)는 하우징(111)의 내부에 끼워진 단부에는 하우징(111)의 내벽과 밀착되어 움직이는 안내가이드(112c)가 구비된다. 특히, 이 안내가이드(112c)에는 복수의 롤러(112b)가 구비되어 안내가이드(112c)가 보다 원활하게 하우징(111) 내면을 따라 동작할 수 있게 유도한다.
탄성스프링(113)은 하우징(111) 내부에 설치되는데, 특히 하우징(111)의 저부와 안내가이드(112c)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탄성스프링(113)은 도 3의 (a)와 같이 항상 브레이크 케이블(100)을 위로 잡아당겨 브레이크 케이블(100)이 항상 일정한 장력을 갖게 한다. 그리고, 탄성스프링(113)은, 작동도르레(500)의 활강으로 브레이크 케이블(100)이 아래로 당겨져서 장력이 세지게 되는 경우, 도 3의 (b)와 같이 압축되면서 브레이크 케이블(100)이 항상 일정한 장력을 갖게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20)에는, 도 2와 도 4a 및 도 4b와 같이, 탑승자가 이용하게 되는 작동도르레(500)의 충격완화를 위하여 라인완충수단(300)이 구비된다. 이러한 라인완충수단(300)은, 짚 라인 케이블(200)에 끼워져서 실질적으로 작동도르레(500)의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부재(310)와, 이 완충부재(310)가 짚 라인 케이블(20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충격을 흡수시켜 주는 한쌍의 와이어 완충수단(320)을 포함한다.
완충부재(310)는 완충수단(320)을 장착하기 위한 지지블럭(311)과 실제 충격흡수가 이루어지도록 지지블럭(312)의 전면에 장착되는 우레탄 패널(312)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블럭(311)과 우레판 패널(312) 사이에는 충격흡수를 보완하기 위하여 에어튜브(31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에어튜브(313)의 내부에는 완충스프링(31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와이어 완충수단(320)은 짚 라인 케이블(200)과 수평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하우징(321), 일단이 완충부재(310)에 고정되고 타단이 하우징(321)에 끼워진 와이어(322), 그리고 완충부재(310)에 가해진 충격에 의하여 와이어(322)의 길이조절을 통해 충격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우징(321) 내부에 장착된 복원스프링(323)을 포함한다.
특히, 하우징(321)은 양단에 각각 양단에 각각 에어밸브(321a)가 구비되며, 일단에는 도르레(321b)가 구비된다. 이러한 하우징(321)은 도르레(321b)가 구비된 단부가 작동도르레(500) 쪽을 향하도록 지지대(120)에 장착된다.
또한, 와이어(322)는 일단이 완충부재(310), 특히 지지블럭(311)에 고정되며, 상기 도르레(321b)의 안내를 받아 하우징(321)의 안쪽으로 연장되게 끼워진다. 그리고, 하우징(321)의 안쪽으로 끼워진 와이어(322)의 단부에는 슬라이드체(322a)가 구비된다. 슬라이드체(322a)는 하우징(321)의 내부를 좌우로 구획하여 움직이게 되며,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우징(321)을 따라 구동되도록 복수의 롤러(322b)가 더 구성된다.
그리고, 탄성스프링(323)은 도르레(321b)가 구비된 하우징(321)의 단부와 슬라이드체(322a) 사이에 설치되어 와이어(322)가, 도 4a와 같이, 짚 라인 케이블(200)에 대하여 수직인 상태가 되게 장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와이어 완충수단(320)은, 작동도르레(500)가 완충부재(310)에 충격을 가함에 따라 일차적으로 완충부재(310)에서 충격을 흡수하고, 동시에 완충부재(310)가, 도 4b와 같이 위치가 변경되면서 와이어(322)를 통해서 충격을 흡수한 다음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브레이크수단(400)은, 도 5a 및 도 5b와 같이, 브레이크 케이블(100) 위에서 구름동작하는 롤러(411)가 구비된 한쌍의 플레이트(410), 이 플레이트(410)에 장착되어 브레이크 케이블(100)과 마찰 작용을 일으키는 작동레버(420), 플레이트(410)와 작동도르레(500)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켜 주는 간격유지로프(430), 탑승자가 착용한 지지로프(461)와 작동레버(42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제동력 발생로프(440)를 포함한다.
특히, 작동레버(420)는 브레이크 케이블(100)과 맞닿는 브레이크 패드(423)가 항상 2개의 롤러(411) 사이에 그 밑에서 브레이크 케이블(100)을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오도록 플레이트(410)에 힌지(421)로 고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작동레버(420)는 플레이트(410)에 가압스프링(450)을 더 구비하여 브레이크 패드(423)가 항상 브레이크 케이블(100)과 접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동레버(420)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제동력 조절구멍(422)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제동력 발생로프(440)의 고정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간격유지로프(430)는 작동도르레(500)가 짚 라인 케이블(200)을 따라 활강함에 따라 브레이크 케이블(100)과 짚 라인 케이블(200) 사이의 높이(L)에 의하여 팽팽해지는 길이로 형성한다. 즉, 간격유지로프(430)는 작동도르레(500)에 탑이용자가 있으면, 그 체중 때문에 브레이크 케이블(100)을 아래로 당겨 일정한 장력을 갖게 해 주는 것이다. 이때, 그 사이의 높이(L)는 상술한 출발지점의 높이차(H)와 도착지점의 높이차(h)에도 영향을 받는다. 즉, 이 높이(L)는 도착지점으로 갈수록 그 높이차(h)가 커지기 때문에 그 차이만큼 브레이크 케이블(100)은 아래로 당겨져서 더 강한 장력을 받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동력 발생로프(440)는 탑승자의 허리 등에 착용하는 탑승자 지지로프(460)에 연결된다. 이때, 이 탑승자 지지로프(460)는 작동도르레(500)와 지지로프(461)로 연결된다. 여기서, 탑승자 지지로프(460)는 작동 도르레(500)에 직접 고정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브레이크수단(400)은, 탑승자 지지로프(460)에 탑승자가 탑승하게 되면, 즉 도 5a와 같이 출발지점에서는 간격유지로프(430)와 제동력 발생로프(440)가 장력을 받지 않고 있기 때문에 작동도르레(500)가 빠른 속도로 하강하게 된다. 하지만, 작동도르레(500)가 하강을 시작하게 되면, 도 5b와 같이, 체중에 의하여 간격유지로프(430)와 제동력 발생로프(440) 그리고 지지로프(461)가 일정한 장력을 갖게 된다.
이때, 짚 라인 케이블(200)은 체중에 비례하여 장력을 받게 되며, 크레이크 케이블(100)은 작동도르레(500)가 아래로 내려갈수록 점차 장력이 세지게 된다. 즉, 브레이크 케이블(100)은 항상 짚 라인 케이블(200)과의 사이에서 일정한 거리(L)를 유지하게 되는데, 짚 라인 케이블(200)이 체중에 의하여 장력이 세어짐에 따라 간격유지로프(430)에 의해 당겨져서 장력이 세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브레이크 케이블(100)의 장력은 착지지점으로 갈수록 짚 라인 케이블(200)과 높이차(h)가 커지므로 그만큼 더 커지게 된다.
한편, 작동레버(420)는 제동력 발생로프(440)에 의해 항상 위치가 고정되어 있게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활강함에 따라 브레이크 케이블(100)의 장력이 커지기 결국 제동 마찰력이 커진다. 이에 따라 착지지점으로 갈수록 브레이크수단(400)이 멈춰지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처럼 착지지점에서 브레이크 케이블(100)의 장력이 커지게 되면 급격하게 멈춰버릴 수가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케이블(100)의 장력이 어느 정도 이상 커짐에 따라 그 장력에 의해 상하완충수단(110)이 작동하여 브레이크 케이블(100)의 길이변화를 통해 장력조절이 이루어진다.
작동도르레(500)는 통상적으로 짚 라인 등에서 이용자가 활강하게 하는데 사용되는 도르레를 이용한다.
(이용방법)
본 발명에 따른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 라인의 이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짚 라인에 대해서는 상술한 도면부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제1이용방법>
본 발명에 따른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은, 작동레버(420)로부터 제동력 발생로프(440)를 분리하고, 작동도르레(500)가 짚 라인 케이블(200)를 따라 활강하게 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작동도르레(500)가 아무런 제동 마찰 저항을 받지 않고 짚 라인 케이블(200)을 따라 활강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그 활강속도가 가장 빨라 속도감을 더욱 크게 느낄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작동도르레(500)는 착지지점에서 라인완충수단(300)에 의해 멈춰지게 된다.
<제2이용방법>
본 발명에 따른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은, 작동레버(420)에 제동력 발생로프(440)를 장착하되, 제동력 발생로프(440)를 작동레버(420)에 형성된 복수의 제동력 조절구멍(422) 중에서 가장 바깥에 형성된 것에 고정시킨 다음, 작동도르레(500)가 짚 라인 케이블(200)를 따라 활강하게 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제동력 발생로프(440)가 작동레버(420)를 당겨주는 길이가 가장 짧아 브레이크 패드(423)가 브레이크 케이블(100)과 맞닿는 제동 마찰력이 최소가 된다. 따라서, 작동도르레(500)는 제1이용방법에 비해서는 느린 속도이나 제동 마찰력을 가해주는 과정에서는 가장 빠른 속도로 활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3이용방법>
본 발명에 따른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은, 작동레버(420)에 제동력 발생로프(440)를 장착하되, 제동력 발생로프(440)를 작동레버(420)에 형성된 복수의 제동력 조절구멍(422) 중에서 가장 안쪽에 형성된 것에 고정시킨 다음, 작동도르레(500)가 짚 라인 케이블(200)를 따라 활강하게 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제동력 발생로프(440)가 작동레버(420)를 당겨주는 길이가 가장 길어 브레이크 패드(423)가 브레이크 케이블(100)과 맞닿는 제동 마찰력이 최대가 된다. 따라서, 작동도르레(500)는 가장 느린 속도로 활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4 및 제5이용방법>
본 발명에 따른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은, 탑승자의 하중에 비례하여 활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미리 체중에 따라 제동력을 염두해 두고 상술한 제1 내지 제3이용방법과 같이 제동력 발생로프(440)를 제동력 조절구멍(422)에 선택적으로 끼워서 사용함에 따라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이용방법의 경우, 탑승자의 체중에 상관없이 소정의 제동 마찰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체중이 많이 나가는 탑승자의 경우 체중이 덜 나가는 탑승자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더 빠른 활강속도를 느끼게 된다.
하지만, 제4 및 제5이용방법의 경우, 탑승자의 체중을 고려하여 제동 마찰력을 결정함으로써, 탑승자의 체중에 상관없이 거의 유사한 제동 마찰력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체중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착지할 수 있도록 제동 마찰력을 이용하여 착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탑승자의 요구에 의하여 보다 속도감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브레이크 케이블 110 : 상하완충수단
111 : 하우징 111a : 에어밸브
112 : 작동로드 112a : 도르레
112b : 롤러 112c : 안내가이드
113 : 탄성스프링 120 : 지지대
200 : 짚 라인 케이블 300 : 라인완충수단
310 : 완충부재 311 : 지지블럭
312 : 우레탄 패널 313 : 에어튜브
314 : 완충스프링 320 : 와이어 완충수단
321 : 하우징 321a : 에어밸브
321b : 도르레 322 : 와이어
322a : 슬라이드체 322b : 롤러
323 : 복원스프링 410 : 플레이트
411 : 롤러 420 : 작동레버
421 : 힌지 422 : 제동력 조절구멍
423 : 브레이크 패드 430 : 간격유지로프
440 : 제동력 발생로프 450 : 가압스프링
460 : 탑승자 고정로프 461 : 지지로프

Claims (20)

  1. 삭제
  2. 양단이 높이차를 갖도록 양단이 고정 설치된 브레이크 케이블(100);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100)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짚 라인 케이블(200);
    상기 짚 라인 케이블(200)의 도착지점에 설치되는 라인완충수단(300); 및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100)을 따라 움직이면서 제동 마찰력을 발생시켜 주는 브레이크수단(400); 및
    상기 브레이크수단(400)과 함께 연동하여 상기 짚 라인 케이블(200)을 따라 움직이도록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수단(400)의 제동 마찰력을 조절해 주는 작동도르레(500);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100)은 착지점의 높이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장력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상하완충수단(11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완충수단(110)은, 탄성지지를 받아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100)을 위로 끌어올리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완충수단(110)은,
    양단에 각각 에어밸브(111a)가 구비되어 착지지점에 설치된 지지대(120)에 상하로 설치된 하우징(111);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100)을 지지하도록 하단부에 도르레(112a)가 구비되고 상단에는 하우징(111)과 밀착되어 움직이는 안내가이드(112c)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11)에 끼워져서 움직이는 작동로드(112);및
    상기 안내가이드(112c)와 상기 하우징(111)의 내부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로드(112)가 항상 윗쪽을 향해 탄성지지되도록 하우징(111) 내부에 설치된 탄성스프링(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112c)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전체 외주면에 걸쳐 롤러(112b)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짚 라인 케이블(200)은 출발지점에서의 브레이크 케이블(100)과의 높이차(H)보다 도착지점에서의 브레이크 케이블(100)과의 높이차(h)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완충수단(300)은,
    상기 짚 라인 케이블(200)에 끼워져서 그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완충부재(310); 및
    상기 완충부재(310)를 양쪽에서 와이어(322)로 지지하여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와이어의 길이변화를 통해 충격을 흡수하는 한쌍의 와이어 완충수단(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10)는,
    상기 와이어(322)가 양측으로 나란하게 장착되는 지지블럭(311); 및
    상기 지지블럭(311)의 앞쪽에 설치되는 우레탄 패널(3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9. 제 8 항에 있어서,
    지지블럭(311)과 우레판 패널(312) 사이에 에어튜브(31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튜브(313)에는 내부에 완충스프링(314)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완충수단(320)은,
    양단에 각각 에어밸브(321a)가 구비되고 일단에는 도르레(321b)가 구비되며, 상기 짚 라인 케이블(200)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하우징(321);
    일단이 완충부재(3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도르레(321b)의 안내를 받도록 상기 하우징(321)에 길이방향으로 동작하도록 끼움 설치된 와이어(322);
    상기 하우징(321) 내부에 설치되며, 이 하우징(321)으로부터 인출된 와이어(322)를 복원시켜 주는 복원스프링(3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스프링(323)이 빠지지 않도록 와이어(322)의 단부에는 슬라이드체(322a)가 고정설치되고, 이 슬라이드체(322a)에는 상기 하우징(321)의 내벽을 따라 움직이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롤러(322b)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수단(400)은,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100) 위에서 움직이는 적어도 2개의 롤러(411)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플레이트(410);
    상기 플레이트(410)에 힌지(421)로 고정되며, 그 단부가 상기 롤러(411) 사이에서 브레이크 케이블(100) 아래에서 가압할 수 있게 설치된 작동레버(420);
    상기 브레이크수단(400)과 상기 작동도르레(500)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간격유지로프(430); 및
    일단이 상기 작동레버(420)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작동도르레(500)에 장착된 지지로프(461)에 고정된 탑승자고정로프(460)에 장착되어 작동레버(420)가 브레이크 케이블(100)를 아래에서 눌러주게 하는 제동력 발생로프(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420)에는 제동력 발생로프(440)의 장착위치를 임의로 바꿀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제동력 조절구멍(422)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410)에는 작동레버(420)가 항상 브레이크 케이블(100)의 하부와 밀착된 상태로 있게 하기 위하여 가압스프링(45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16. 제 14 항에 따른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을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동력 조절구멍(422)으로부터 제동력 발생로프(440)를 분리하여 제동 마찰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브레이크수단(400)을 분리한 상태에서 작동도르레(500)가 짚 라인 케이블(200)의 각도변화에 따라 활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방법.
  17. 제 14 항에 따른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을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동력 발생로프(440)를 가장 단부의 제동력 조절구멍(422)에 걸어 최소 제동 마찰력을 갖게 하여 작동도르레(500)가 활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방법.
  18. 제 14 항에 따른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을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동력 발생로프(440)를 가장 안쪽의 제동력 조절구멍(422)에 걸어 최대 제동 마찰력을 갖게 하여 작동도르레(500)가 활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방법.
  19. 삭제
  20. 제 14 항에 따른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을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릴의 정도를 달리하기 위하여 작동도르레(500)의 활강속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동력 발생로프(440)를 가장 안쪽과 가장 바깥쪽의 제동력 조절구멍(422)에 걸어 제동 마찰력을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작동도르레(500)가 활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방법.
KR1020110044755A 2011-05-12 2011-05-12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및 그 이용방법 KR101096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755A KR101096006B1 (ko) 2011-05-12 2011-05-12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및 그 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755A KR101096006B1 (ko) 2011-05-12 2011-05-12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및 그 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6006B1 true KR101096006B1 (ko) 2011-12-19

Family

ID=45506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755A KR101096006B1 (ko) 2011-05-12 2011-05-12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및 그 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006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553B1 (ko) 2012-05-21 2013-07-23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감속 트롤리
KR101452297B1 (ko) 2013-11-25 2014-10-22 와바다다 주식회사 공중하강 체험시설용 안전 멈춤 장치
CN104159645A (zh) * 2012-03-14 2014-11-19 瓦巴达达株式会社 可移动式悬吊溜索系统
KR101468667B1 (ko) * 2013-06-27 2014-12-04 자나라인 주식회사 레저 스포츠용 트롤리
KR101538405B1 (ko) * 2015-03-04 2015-07-22 (주)신흥이앤지 활강속도를 조절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트롤리
KR101627291B1 (ko) * 2015-01-07 2016-06-03 어드벤처닷케이알(주)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
KR200484374Y1 (ko) 2016-07-29 2017-08-29 김정수 활강속도 조절이 가능한 레저용 활차
KR101879227B1 (ko) * 2018-03-23 2018-07-17 주식회사 짚핑코리아 짚라인용 주행 트롤리 견인 겸 브레이크장치
KR20200094414A (ko) * 2019-01-30 2020-08-07 허동석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페달형 공중 놀이기구
KR102221903B1 (ko) * 2019-10-15 2021-03-02 이종건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
WO2021146821A1 (es) 2020-01-24 2021-07-29 Jorge Eduardo Prieto Dominguez Aparato y sistema para limitar el desplazamiento de un objeto que se desplaza a lo largo de una guí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0059A1 (en) * 2007-06-26 2008-12-31 Ziptrek Ecotours, Inc. Continuous assist zipline braking and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0059A1 (en) * 2007-06-26 2008-12-31 Ziptrek Ecotours, Inc. Continuous assist zipline braking and control system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59645B (zh) * 2012-03-14 2016-10-19 瓦巴达达株式会社 可移动式悬吊溜索系统
CN104159645A (zh) * 2012-03-14 2014-11-19 瓦巴达达株式会社 可移动式悬吊溜索系统
KR101285553B1 (ko) 2012-05-21 2013-07-23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감속 트롤리
KR101468667B1 (ko) * 2013-06-27 2014-12-04 자나라인 주식회사 레저 스포츠용 트롤리
KR101452297B1 (ko) 2013-11-25 2014-10-22 와바다다 주식회사 공중하강 체험시설용 안전 멈춤 장치
KR101627291B1 (ko) * 2015-01-07 2016-06-03 어드벤처닷케이알(주)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
KR101538405B1 (ko) * 2015-03-04 2015-07-22 (주)신흥이앤지 활강속도를 조절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트롤리
KR200484374Y1 (ko) 2016-07-29 2017-08-29 김정수 활강속도 조절이 가능한 레저용 활차
KR101879227B1 (ko) * 2018-03-23 2018-07-17 주식회사 짚핑코리아 짚라인용 주행 트롤리 견인 겸 브레이크장치
KR20200094414A (ko) * 2019-01-30 2020-08-07 허동석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페달형 공중 놀이기구
KR102191731B1 (ko) * 2019-01-30 2020-12-16 허동석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페달형 공중 놀이기구
KR102221903B1 (ko) * 2019-10-15 2021-03-02 이종건 짚라인 주행 보조장치
WO2021146821A1 (es) 2020-01-24 2021-07-29 Jorge Eduardo Prieto Dominguez Aparato y sistema para limitar el desplazamiento de un objeto que se desplaza a lo largo de una guí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006B1 (ko)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및 그 이용방법
US10669125B2 (en) Elevator rope guide system
US20130239842A1 (en) Trolley Braking System
CN205472122U (zh) 一种电梯钢丝绳张力自动调节装置
KR200455932Y1 (ko) 체중에 따른 하강속도를 자동 조절하는 완강기
JP2017095275A (ja) 補償索の案内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
CN104053622A (zh) 电梯
CN106542408A (zh) 一种新型乘客电梯
CN108996373A (zh) 紧凑型浅底坑无对重电梯
US11242223B2 (en) Constant deceleration progressive safety gear system
CN102381614B (zh) 双层电梯
CN202072404U (zh) 一种起重机吊具导向及防摇摆装置
CN104692212B (zh) 一种电梯涨紧装置
KR101442073B1 (ko) 공기압을 이용한 운동기구
CN205277283U (zh) 一种自动移动的人字梯
CN102039008A (zh) 一种高空缓降器
CN107970530B (zh) 一种新型高楼逃生器
CN101843960A (zh) 缓降凸轮紧绳器
JP6031414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CN113226487B (zh) 利用绞盘补偿牵引装置的减重支撑系统及其运行方法
CN108543240B (zh) 一种高楼层快速逃生设备
CN207346943U (zh) 一种高稳定性无机房电梯
GB2407611A (en) Fall arrest system including shock absorbing means
KR101357219B1 (ko) 모니터 승강장치
CN203724653U (zh) 便携式高楼缓降逃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4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