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405B1 - 활강속도를 조절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트롤리 - Google Patents

활강속도를 조절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트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405B1
KR101538405B1 KR1020150030574A KR20150030574A KR101538405B1 KR 101538405 B1 KR101538405 B1 KR 101538405B1 KR 1020150030574 A KR1020150030574 A KR 1020150030574A KR 20150030574 A KR20150030574 A KR 20150030574A KR 101538405 B1 KR101538405 B1 KR 101538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housing
trolley
connecting wire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옥근
Original Assignee
(주)신흥이앤지
주식회사 지에스웹
주식회사 신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흥이앤지, 주식회사 지에스웹, 주식회사 신흥 filed Critical (주)신흥이앤지
Priority to KR1020150030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02Chutes; Helter-skelters without rail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발대(12)가 마련되는 출발플랫폼(10)과, 착지대(22)가 마련되어 출발플랫폼(10)과 일정거리 떨어져 설치되되 출발플랫폼(10)과 일정 낙차를 이루며 도착플랫폼(20)과,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출발플랫폼(10) 및 도착플랫폼(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30)를 포함하는 활강 레포츠 시설물의 연결와이어(30)를 따라 활주하는 트롤리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연결와이어(30)를 따라 활주하는 하우징(110)과;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우징(110)의 내부수용공간 전방 및 후방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하우징(110)의 내부수용공간을 가로 지르는 연결와이어(30)와 접하는 제1, 2도로레(122, 126)와; 제1, 2도르레(122, 126) 사이 공간에 장착되어 하우징(110)의 활강속도를 조절하는 감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활강속도를 조절하는 감속수단이 구비되는 트롤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활강속도를 조절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트롤리{A trolley having speed reduction device}
본 발명은 출발플랫폼과 도착플랫폼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를 따라 활주하는 트롤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롤리 내부를 가로지르는 금속재질의 연결와이어에 상이한 크기의 자력을 작용시키거나 또는 연결와이어와 보조도르레 상호간에 상이한 마찰력을 작용시켜 연결와이어를 활주하는 트롤리의 활강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트롤리에 관한 것이다.
짚 라인(zip line)으로 알려진 활강 레포츠는 산악지역 등에서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를 연결와이어로 연결하고, 체험자가 트롤리에 의해 연결와이어를 따라 빠른 속도로 하강하면서 주변의 자연경관을 즐김과 동시에 짜릿한 스릴을 느낄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활강 레포츠는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의 고도차에 의한 중력을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산악지역의 높은 고도에 설치되는 출발지에서 연결와이어에 트롤리(trolley)를 체결한 상태로 1000m 이상의 연결와이어를 따라 활주한 다음 저지대의 도착지로 향하게 된다. 체험자가 연결와이어를 따라 활주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트롤리의 활강 속도이다. 트롤리의 활강 속도는 체험자의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미리 트롤리의 속도가 적절하게 조절되지 않으면 심각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트롤리의 활강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 중에 도 5와 같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46650호가 있다. 이 기술은, 연결와이어(200)를 따라 활주하는 트롤리(500)와는 별개로, 작동레버(420)의 단부에 마련되는 브레이크패드(423)가 체험자의 체중에 따라 브레이크케이블(100)을 마찰할 수 있도록 부가 구성함으로써 트롤리의 활강 속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음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럴 경우, 발생로프(440)를 제동력조절구멍(422) 중의 어느 하나와 연결하게 되면 체험자의 체중에 따라 자연스러운 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트롤리의 활강 속도를 어느 정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이 기술과 같이 체험자의 체중을 이용하여 브레이크패드를 브레이크케이블과 직접 맞닿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그 마찰력에 의해 활주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실효성이 상당히 떨어진다.
설사, 활주가 가능하다 하더라도 이 기술은 브레이크패드를 브레이크케이블과 직접 접하도록 하여 마찰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장시간 반복하용하여 브레이크패드의 일면이 마모되면 제동력이 상실되는 단점이 있다. 제동력이 상실된다는 것은 트롤리의 활강 속도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것으로서 이는 안전사고 발생과 직결되는 심각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9600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46650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발명의 목적은 장시간 반복사용하더라도 연결와이어를 따라 활주하는 활강 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있음은 물론 출발을 매우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트롤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출발대(12)가 마련되는 출발플랫폼(10)과, 착지대(22)가 마련되어 출발플랫폼(10)과 일정거리 떨어져 설치되되 출발플랫폼(10)과 일정 낙차를 이루며 도착플랫폼(20)과,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출발플랫폼(10) 및 도착플랫폼(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30)를 포함하는 활강 레포츠 시설물의 연결와이어(30)를 따라 활주하는 트롤리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110)과;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우징(110)의 내부수용공간 전방 및 후방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하우징(110)의 내부수용공간을 가로 지르는 연결와이어(30)와 접하는 제1, 2도로레(122, 126)와; 연결와이어(30)의 좌측부위 및 우측부위 각각과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한쌍의 가이드판(136)이 마련되는 ∩자 구조의 단면을 가지며 제1, 2도로레(122, 126) 사이에 설치되되 상부 타측부위가 제2회동축(135)에 의해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감속몸체(134)와, 일면부위는 감속몸체(134)의 각 가이드판(136) 내면에 결합되고 타면부위는 연결와이어(30)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의 영구자석(138)과, 일단부위는 감속몸체(134)의 상부 일측부위에 마련되는 제1회동축(133)과 연결되고 타단부위는 일정각도 경사져 연장되는 가동핀(131)과, 내면에 나사산이 마련되어 가동핀(131)의 타단부위와 결합되는 체결단(132)과, 제1도로레(122)와 인접한 하우징(110)의 상부 일측을 관통하여 체결단(132)과 나사치합되는 간격조절볼트(139)로 이루어지는 감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때, 상기 하우징(110)의 상단 일측에는 삽입단(112)가 마련되며, 상기 출발플랫폼(10)의 출발대(12) 개방측에는 안전바(14)가 마련되고, 상기 안전바(14)에는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안전스틱(16)이 마련되되, 상기 안전스틱(16)의 일단부위에는 하우징(110)의 삽입단(112)에 삽입되어 하우징(110)의 이동을 일시 지지할 수 있는 걸림고리(17)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결와이어와 영구자석 사이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하여 연결와이어에 작용하는 자력의 세기를 달리하거나 또는 연결와이어와 접하는 보조도르레에 의한 마찰력을 달리하는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장치의 오작동없이 안정적으로 트롤리의 활강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출발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안전스틱을 제안함으로써 별도의 복잡한 제어장치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체험자의 안전한 출발을 담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가 사용되는 활강 레포츠 시설물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2a 및 도 2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예로서 트롤리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 및 측면구성도.
도 3a 및 도 3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로서 트롤리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 및 측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와 안전스틱 상호간의 결합구성도.
도 5는 종래 활강 레포츠 시설물에 사용되는 트롤리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가 사용되는 활강 레포츠 시설물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로서, 통상적인 활강 레포츠 시설물은 출발플랫폼(10), 도착플랫폼(20), 그리고 연결와이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출발플랫폼(10)은 활강 레포츠 시설물의 출발지 시설로서, 체험자가 입장한 다음 활강을 시작하는 출발대(12)가 마련된다. 출발대(12) 개방측에는 안전스틱(16)의 장착을 위한 안전바(14)가 마련되는데, 이는 후술한다.
도착플랫폼(20)은 활강 레포츠 시설물의 도착지 시설로서, 활강을 마친 체험자가 착지하는 착지대(22)가 마련된다. 도착플랫폼(20)은 통상적으로 출발플랫폼(10)과 일정거리 떨어져 설치되며, 출발플랫폼(10)과는 일정 낙차를 이룬다. 출발플랫폼과 도착플랫폼 상호간의 낙차가 클수록 활강 속도가 커진다.
연결와이어(30)는 출발플랫폼(10) 및 도착플랫폼(20) 사이를 연결한다. 연결와이어(30)는 1000m 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연결와이어의 양단부위는 출발플랫폼 및 도착플랫폼에 긴밀하게 구속되어 일정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는 체험자의 체중을 이용하여 연결와이어(30)를 따라 활주하는 수단으로서, 하우징(110), 제1, 2도르레(122, 126), 그리고 감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 이들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a 및 도 2b 각각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트롤리의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 먼저, 하우징(110)은 트롤리의 본체로서 체험자의 체중을 이용하여 연결와이어(30)를 따라 활주한다. 하우징(110)의 하부는 개구되며, 그 내부에는 일정크기의 수용공간이 마련된다. 하우징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도르레(122)는 하우징(110)의 내부수용공간 전방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도르레(126)는 제1도르레(126)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우징(110)의 내부수용공간 후방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2도르레(122, 126) 각각은 하우징(110)의 내부수용공간을 가로 지르는 연결와이어(30)와 접하며 활주를 가이드한다.
감속수단은 하우징(110)의 활강속도를 조절하는 장치로서, 감속몸체(134), 영구자석(136), 간격조절볼트(1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감속몸체(134) 하우징(110)의 내부수용공간에서 제1, 2도르레(126) 사이에 마련되되, 상부 일측에는 체결단(132)이 형성되어 제1, 2도르레(126) 사이에 마련되되 상부 타측부위는 제2도르레(126)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일정각도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체결단(132)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도면부호 135는 감속몸체의 상부 타측부위에 마련되는 제2회동축이다.
또한, 감속몸체(134)의 하부에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가이드판(136)이 마련된다. 가이드판(136)은 일정폭을 가지며 연결와이어(30)의 좌측부위 및 우측부위를 감싼다. 한쌍의 가이드판(136)이 마련됨에 따라 감속몸체(134)의 단면은 하부가 개구된 ∩자 구조를 이루게 된다.
영구자석(138)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일면부위가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각 가이드판(136)의 내면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연결와이어(30)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는 영구자석(138)의 타면부위가 위치하게 되며, 영구자석(138)과 연결와이어(30) 상호간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위치한다.
간격조절볼트(139)는 제1도로레(122)와 인접한 하우징(110)의 상부 일측을 관통하여 체결단(132)에 삽입된다. 간격조절볼트(139)와 체결단(132) 상호간의 체결정도에 따라 감속몸체(134)는 제2회동축(135)을 기점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면서 영구자석(138)과 연결와이어(3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된다. 즉, 트롤리의 활강 속도를 최대한 억제할 필요가 있는 경우(활강 속도를 증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2a와 같이 간격조절볼트(139)를 실선방향으로 최대한 회전시켜(점선방향으로 회전시켜) 영구자석(138)과 연결와이어(30) 사이 간격을 최소화하는 것과 같이, 연결와이어(30)에 작용하는 자력의 세기를 임의로 조절함으로써 트롤리의 활강 속도를 적절하게 제어 가능하다.
한편, 체결단(132)은 가동핀(131)에 매개되어 감속몸체(134)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럴 경우, 가동핀(132)의 일단부위는 감속몸체(134)의 상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체결단(132)은 가동핀(132)의 타단부위에 고정결합된다. 도면부호 133은 가동핀의 제1회동축이다. 도면부호 114는 체험자가 착용하는 벨트(도면미도시)와 연결되는 안전로프(1)가 장착되는 연결공이다.
도 3a 및 도 3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트롤리의 다른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 감속수단은 감속몸체(142)와, 보조도르레(144)와, 간격조절핀(1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감속수단(142)은 중앙부위에 복수 개의 관통공(143)이 형성되고, 그 일측부위는 제1, 2도로레(122, 126) 사이로 삽입되며, 타측부위는 하우징(110)을 통해 하부로 노출되고, 하부로 노출되는 타측부위 단부에는 연결고리(141)가 마련된다. 연결고리(141)는 체험자가 착용하는 벨트(도면미도시)와 연결되는 안전로프(1)가 결합된다. 도면부호 114는 체험자가 착용하는 벨트와 연결되는 보조로프의 연결을 위한 보조연결공이다.
또한, 감속수단(142)에 있어 제1, 2도로레(122, 126) 사이로 삽입되는 일측부위 단부에는 보조도로레(144)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보조도로레(144)는 하우징(110)의 내부수용공간을 가로 지르는 연결와이어(30)와 접한다. 간격조절핀(146)은 하우징(110)의 하부 일측을 관통하여 감속몸체(142)에 형성되는 관통공(143) 중의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감속몸체(142)를 하우징(110)에 고정한다.
간격조절핀(146)을 관통공(143) 중의 어느 하나에 삽입하여 감속몸체(142)를 하우징(110)에 고정하고, 체험자가 안전로프(1)를 벨트에 착용한 상태에서 출발하면, 체험자의 체중에 의해 감속몸체(142)는 간격조절핀(146)을 기점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고, 감속몸체(142) 일측 단부에 장착되는 보조도르레(144)는 연결와이어(30)와 강하게 밀착된다.
이에 따라, 연결와이어(30)와 보조도르레(144) 사이에는 일정 정도의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고, 트롤리는 그 만큼 속도가 감속된 상태로 연결와이어(30)를 따라 활주하게 된다. 즉, 간격조절핀(146)을 어떤 관통공(143)을 통해 삽입하는지 여부에 따라 트롤리의 활강 속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하우징(110)의 상단 일측에 삽입단(112)가 마련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삽입단(112)은 안전스틱(16)과 연계되는 구성으로서 체험자의 출발을 안전하게 담보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위해, 도 1 및 도 4 각각에 개시된 것과 같이, 출발플랫폼(10)에는 안전바(14)가 설치된다. 안전바(14)는 출발플랫폼(10)의 출발대(12) 개방측에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안전바(14)는 연결와이어(30) 상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스틱(16)은 도면과 같이 별도의 힌지를 매개로 안전바(14)에 대해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안전스틱(16)의 일단부위에는 걸림고리(17)가 형성된다. 걸림고리(42)는 도 1과 같이, 하우징(110)의 삽입단(112)에 밀착되어 트롤리의 이동을 일시 저지하는 수단이다.
즉, 체험자가 출발대(14)에 위치하면, 안전요원(또는 체험자)은 안전스틱(16)의 걸림고리(17)를 하우징(110) 삽입단(112)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안전스틱(16)의 타단부위를 잡고 출발 신호가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 이후 출발 신호가 있으면, 안전요원이 걸림고리(17)를 하우징(110)로부터 분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체험자와 일체로 된 트롤리가 연결와이어(30)를 따라 자유롭게 활주하게 되는 것이다. 이럴 경우, 종래와 같이 전원을 인가하여 출발 여부를 제어하는 복잡한 장치가 없이도 체험자의 안전한 출발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출발플랫폼 16 : 안전스틱
17 : 걸림고리 30 : 연결와이어
110 : 하우징 112 : 삽입단
122, 126 : 제1, 2도르레 132 : 체결단
134, 142 : 감속몸체 138 : 영구자석
139 : 간격조절볼트 143 : 관통공
144 : 보조도르레 146 : 간격조절핀

Claims (5)

  1. 출발대(12)가 마련되는 출발플랫폼(10)과, 착지대(22)가 마련되어 출발플랫폼(10)과 일정거리 떨어져 설치되되 출발플랫폼(10)과 일정 낙차를 이루며 도착플랫폼(20)과,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출발플랫폼(10) 및 도착플랫폼(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30)를 포함하는 활강 레포츠 시설물의 연결와이어(30)를 따라 활주하는 트롤리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110)과;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우징(110)의 내부수용공간 전방 및 후방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하우징(110)의 내부수용공간을 가로 지르는 연결와이어(30)와 접하는 제1, 2도로레(122, 126)와;
    연결와이어(30)의 좌측부위 및 우측부위 각각과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한쌍의 가이드판(136)이 마련되는 ∩자 구조의 단면을 가지며 제1, 2도로레(122, 126) 사이에 설치되되 상부 타측부위가 제2회동축(135)에 의해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감속몸체(134)와, 일면부위는 감속몸체(134)의 각 가이드판(136) 내면에 결합되고 타면부위는 연결와이어(30)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의 영구자석(138)과, 일단부위는 감속몸체(134)의 상부 일측부위에 마련되는 제1회동축(133)과 연결되고 타단부위는 일정각도 경사져 연장되는 가동핀(131)과, 내면에 나사산이 마련되어 가동핀(131)의 타단부위와 결합되는 체결단(132)과, 제1도로레(122)와 인접한 하우징(110)의 상부 일측을 관통하여 체결단(132)과 나사치합되는 간격조절볼트(139)로 이루어지는 감속수단을;
    포함하는 활강속도를 조절하는 감속수단이 구비되는 트롤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상단 일측에는 삽입단(112)가 마련되며, 상기 출발플랫폼(10)의 출발대(12) 개방측에는 안전바(14)가 마련되고, 상기 안전바(14)에는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안전스틱(16)이 마련되되, 상기 안전스틱(16)의 일단부위에는 하우징(110)의 삽입단(112)에 삽입되어 하우징(110)의 이동을 일시 지지할 수 있는 걸림고리(1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강속도를 조절하는 감속수단이 구비되는 트롤리.
KR1020150030574A 2015-03-04 2015-03-04 활강속도를 조절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트롤리 KR101538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574A KR101538405B1 (ko) 2015-03-04 2015-03-04 활강속도를 조절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트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574A KR101538405B1 (ko) 2015-03-04 2015-03-04 활강속도를 조절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트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405B1 true KR101538405B1 (ko) 2015-07-22

Family

ID=53874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574A KR101538405B1 (ko) 2015-03-04 2015-03-04 활강속도를 조절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트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40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374Y1 (ko) 2016-07-29 2017-08-29 김정수 활강속도 조절이 가능한 레저용 활차
KR20180087865A (ko) * 2017-01-25 2018-08-02 상하이 핸드레일 세이프티 컨트롤 이퀴프먼트 씨오., 엘티디 일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과 사용방법
KR102045686B1 (ko) * 2018-10-19 2019-11-15 김정수 공중활강체험시설용 트롤리와 좌식 하네스 세트
KR102087556B1 (ko) 2019-09-04 2020-03-10 도태구 체중 및 바람상태에 따른 활강속도 조절기능을 갖는 짚라인용 도르래
KR20210017129A (ko) 2019-08-07 2021-02-17 김미선 하강레포츠용 트롤리
KR102327584B1 (ko) 2021-08-25 2021-11-16 도태구 짚라인 와이어 가설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490A (en) * 1904-11-29 1905-03-21 Wallie Hills Trolley mail-box.
EP1391227A1 (en) * 2002-08-22 2004-02-25 Eric Scott Cylvick Static tensioned cable ride
KR101096006B1 (ko) * 2011-05-12 2011-12-19 조웅현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및 그 이용방법
US20130327242A1 (en) * 2012-06-11 2013-12-12 Stephane Bernier High-speed magnetic trolle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490A (en) * 1904-11-29 1905-03-21 Wallie Hills Trolley mail-box.
EP1391227A1 (en) * 2002-08-22 2004-02-25 Eric Scott Cylvick Static tensioned cable ride
KR101096006B1 (ko) * 2011-05-12 2011-12-19 조웅현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및 그 이용방법
US20130327242A1 (en) * 2012-06-11 2013-12-12 Stephane Bernier High-speed magnetic trolley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374Y1 (ko) 2016-07-29 2017-08-29 김정수 활강속도 조절이 가능한 레저용 활차
KR20180087865A (ko) * 2017-01-25 2018-08-02 상하이 핸드레일 세이프티 컨트롤 이퀴프먼트 씨오., 엘티디 일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과 사용방법
KR102007433B1 (ko) * 2017-01-25 2019-10-01 상하이 핸드레일 세이프티 컨트롤 이퀴프먼트 씨오., 엘티디 일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과 사용방법
KR102045686B1 (ko) * 2018-10-19 2019-11-15 김정수 공중활강체험시설용 트롤리와 좌식 하네스 세트
KR20210017129A (ko) 2019-08-07 2021-02-17 김미선 하강레포츠용 트롤리
KR102087556B1 (ko) 2019-09-04 2020-03-10 도태구 체중 및 바람상태에 따른 활강속도 조절기능을 갖는 짚라인용 도르래
KR102327584B1 (ko) 2021-08-25 2021-11-16 도태구 짚라인 와이어 가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8405B1 (ko) 활강속도를 조절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트롤리
US8272476B2 (en) Descent control device
KR200484374Y1 (ko) 활강속도 조절이 가능한 레저용 활차
US9272166B2 (en) Movable cable loop descent system
US9004235B2 (en) Trolley brake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2075864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
US5660113A (en) Aerial cable support system for snow ski jumping
WO2001043830A1 (en) Descender with two-way locking lever
US3861318A (en) Safety ski harness cable system
US2581297A (en) Elevator safety device
US6817443B1 (en) High rise emergency escape apparatus
JPS5936529Y2 (ja) スキ−リフト
US4512259A (en) Automatic transport system comprising cable-drawn non-motorized vehicles
CN205683417U (zh) 一种轨道吊轮式逃生装置
KR101538404B1 (ko) 활강 레포츠 시설물
US3561366A (en) Starting installation for a ski towing device
EP0863827B1 (fr) Dispositif de trainage de skieurs
JPH06336162A (ja) 乗り込みコンベアを備えたチェアリフト
KR101551828B1 (ko) 낙하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334692B1 (ko) 와전류 제동기를 구비한 짚라인용 도르래
SE447563B (sv) Portabel drivanordning med en motordriven drivrulle eller liknande for samverkan med ett band, en lina, en vajer, en ketting eller liknande
KR20210073406A (ko) 병렬삭도를 이용한 다인승 활강놀이기구
CN201578770U (zh) 体育馆人员自动控速下降逃生器
CN217246690U (zh) 天空秋千可行走小车装置
US3838647A (en) Means and techniques for moving objects particularly useful in water ski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