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433B1 - 일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과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일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과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433B1
KR102007433B1 KR1020180008777A KR20180008777A KR102007433B1 KR 102007433 B1 KR102007433 B1 KR 102007433B1 KR 1020180008777 A KR1020180008777 A KR 1020180008777A KR 20180008777 A KR20180008777 A KR 20180008777A KR 102007433 B1 KR102007433 B1 KR 102007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way
slot
emergency escape
bar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7865A (ko
Inventor
퀴쩽 쳉
율리앙 카오
리앙꾸오 루오
Original Assignee
상하이 핸드레일 세이프티 컨트롤 이퀴프먼트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핸드레일 세이프티 컨트롤 이퀴프먼트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상하이 핸드레일 세이프티 컨트롤 이퀴프먼트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80087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sliding-ropes, sliding-poles or chutes, e.g. hoses, pipes, sliding-grooves, sliding-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으로 활강로는 비상계단에 설치되며; 활강로 상부 슬롯과 활강로가 매칭되고; 활강로 하부 슬롯과 활강로가 매칭되며; 케링바는 활강로 상하부 슬롯과 고정 연결되며 케링바에는 스피드 컨트롤 볼트가 설치되고 케링바의 스피드 컨트롤 볼트와 가까운 위치에는 슬롯이 설치되어 있으며 스피드 컨트롤 볼트의 볼트 구멍과 해당 슬롯은 관통되어 있고; 서스펜드 바의 상단과 활강로 상하부 슬롯의 상단면이 고정 연결되고 서스펜드 바와 케링바의 중간 부분이 서로 연결되고; 브레이크 로드는 상기 연결점에서 서스펜드 바와 연결되며; 서스펜드 장치는 버클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서스펜드 장치는 슬롯에 잠겨져 있으며; 비상 탈출 주머니의 상단은 서스펜드 장치의 하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으로 각종 건물에 화재 발생 등 비상 재난 상황에 적용되며 사용이 간편하여 신속히 대량 인원을 건물 고층에서 지면으로 피난 시킬수 있으며 방화와 스피드 컨트롤 기능을 겸비하여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각종 사용자에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일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과 사용방법{ESCAPE SUSPENSION SYSTEM AND U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서스펜드 시스템 기술영역의 일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이다.
사회의 발전과 인구의 부단한 증가과 더불어 아파트, 특히 고층 건물이 많은 사람들의 거주 및 근무하는 장소로 되고 있으며 이러한 건물에 재난 상황(화재, 지진등) 발생 시 엘리베이터 사용이 불가한 경우 비상계단을 이용하여 탈출을 하게 되는데 계단을 이용하여 탈출하면 탈출 속도가 느리며 시급한 상황에서 발을 헛디디거나 굴러 떨어지는 등 상황으로 인원 사상이 발생할 수 있기에 일종의 재난 발생 시 긴급 탈출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필요로 하고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일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 방안을 제공한다.
일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으로 활강로는 비상계단에 설치되며; 활강로 상부 슬롯의 하단면과 상기 활강로의 상단이 매칭되고 상기 활강로 상부 슬롯의 하단면에는 상행 슬라이드 패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행 슬라이드 패드와 상기 활강로의 상단이 서로 접촉되어 있으며; 활강로 하부 슬롯의 상단면과 상기 활강로의 하단이 매칭되고 상기 활강로 하부 슬롯의 상단면에는 하행 슬라이드 패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행 슬라이드 패드와 상기 활강로의 하단이 서로 접촉되어 있으며; 케링바의 한면은 상기 활강로 상하부 슬롯과 고정 연결되고 다른 한면에는 스피드 컨트롤 볼트가 설치되며 상기 스피드 컨트롤 볼트는 상기 케링바의 단면에 장착되고 상기 케링바와 상기 스피드 컨트롤 볼트와 가까운 위치에는 또 슬롯이 설치되어 있으며 스피드 컨트롤 볼트의 볼트 구멍과 해당 슬롯은 관통되어 있고 상기 케링바의 상단면은 중간부분 위치에서 윗부분으로 연장되어 접촉점을 형성하며; [C]형으로 되어 있는 서스펜드 바의 상단면은 활강로 상하부 슬롯의 상단면에 고정 연결되고 하단면은 상기 케링바의 측면 중간 부분에 연결되며; [V]형으로 되어 있는 브레이크 로드는 상기 연결점에서 중간 부분이 상기 서스펜드 바와 연결되며; 서스펜드 장치는 버클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슬롯에 잠겨져 있으며 해체가 가능하고; 비상 탈출 주머니는 상단이 서스펜드 장치의 하단에 고정 연결되어 성인 한명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에서 상기 활강로 상부 슬롯은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판상 구조의 하단면은 곡면으로 상기 판상 구조의 하단면과 상기 활강로의 상측이 이어져 있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에서 상기 활강로 하부 슬롯은 원판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원판형 구조의 하단면은 곡면으로 상기 원판형 구조의 상단면과 상기 활강로의 하측이 이어져 있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에서 상기 활강로 상하부 슬롯의 양측이 위로 연장되어 상기 활강로의 하측을 피복하는 두 개의 돌기를 형성하며 두 개의 상기 돌기는 위치 추적에 보조적 작용을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에서 상기 브레이크 로드는 상기 서스펜드 바의 [C]형 열림 부분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브레이크 로드는 상기 접촉점을 감싸면서 회전하고 상기 브레이크 로드는 브레이크 부분으로 상기 브레이크 부분의 상단면은 상기 활강로의 하측을 받치고 있고 상기 브레이크 로드의 다른 한면은 핸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에서 브레이크 부분은 상기 활강로 상하 슬롯의 하단면에 바로 마주하고 있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에서 상기 활강로의 횡단면은 원형의 관상 구조로 상기 활강로는 비상계단의 벽 혹은 상기 비상계단의 난간에 경사로 설치되며 상기 활강로의 측면은 구성 부품을 이용하여 비상계단의 벽 혹은 상기 비상계단의 난간에 설치되여 상기 활강로의 상층과 하층 사이의 코너 부분을 원활하게 과도시키며 상기 활강로의 직선 부분과 코너 부분은 동일한 경사율을 유지하며 상기 활강로의 말단에는 수평으로 된 완충 구간이 설치되고 상기 완충 구간의 말단에는 미끄러짐 방지용 리미트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에서 상기 슬롯은 긴 스틱 형태로 상기 슬롯은 상기 케링바의 길이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슬롯의 길이는 상기 스피드 컨트롤 볼트의 길이보다 길어야 하며 상기 버클 구조 상단의 상기 슬롯내에서 슬라이딩을 할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에서 상기 상행 슬라이드 패드와 상기 하행 슬라이드 패드의 재질은 폴리사불화에틸렌(PTFE)이다.
일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의 사용 방법으로 상기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 계단에 따라 상기 활강로를 설치하며 계단을 내려가는 방향이 시곗바늘 방향일 경우 상기 활강로는 상기 계단 우측의 벽 혹은 난간에 설치되며 계단을 내려가는 방향이 시곗바늘 반대 방향일 경우 상기 활강로는 상기 계단 좌측의 벽 혹은 난간에 설치되며 상기 활강로의 높이는 계단 올라가기 전으로 계산하여 0.9m이상이여야 하는 단계1;
비상 탈출 시, 상기 활강로 상부 슬롯과 상기 활강로 하부 슬롯은 상기 활강로에 설치되어야 하며 상기 활강로 상부 슬롯과 상기 활강로 하부 슬롯은 상기 활강로와 매칭되어야 하는 단계2;
상기 서스펜드 장치는 상기 슬롯에 걸려 있으며 상기 스피드 컨트롤 볼트는 상기 볼트 구멍에 조여주며 상기 스피드 컨트롤 볼트를 조인 면이 상기 서스펜드 장치의 상기 버클 구조를 받치도록 하며 상기 스피드 컨트롤 볼트의 조이는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서스펜드 장치와 상기 슬롯의 위치가 매칭 되도록 하며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활강 스피드를 조절하는 단계3;
사용자가 상기 비상 탈출 주머니에 들어가 앉아 두다리를 들고 상기 활강로를 따라 활강하는 단계4;
감속 혹은 정지가 필요할 경우, 상기 브레이크 로드의 핸들을 아래로 당겨 상기 브레이크 로드의 제동 부분이 상기 활강로의 하단면에 닿아 마찰을 통하여 비상 탈출 주머니를 감속시키거나 정지시키는 단계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으로 각종 건물에 화재 발생 등 비상 재난 상황에 적용되며 사용이 간편하여 신속히 대량 인원을 건물 고층에서 지면으로 피난 시킬수 있으며 방화와 스피드 컨트롤 기능을 겸비하여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각종 사용자에게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의 다른 각도의 예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의 설치 및 사용 예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의 도3의 확대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의 활강로 배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의 활강로 예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의 하중 분석도이다.
이하 도면과 결합하여 본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의 예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의 다른 각도의 예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의 설치 및 사용 예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의 도3의 확대도이다. 도1 내지 도4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일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으로 활강로(9); 활강로 상부 슬롯(1); 활강로 하부 슬롯(2); 활강로(9)가 비상계단에 설치 되는것을 포함한다. 활강로 상부 슬롯(1)의 하단면과 활강로(9)의 상단이 매칭되고 활강로 하부 슬롯(2)의 상단면과 활강로(9)의 하단이 매칭된다. 활강로(9)는 304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방화와 고온에 견디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내하중력이 높고 알카리성 용액과 대다수 유기산 및 무기산에 대한 내부식 성능이 높으며 별도의 도색 등 표면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의 케링바(3)의 한 면은 상기 활강로 하부 슬롯(2)과 고정 연결되고 다른 한 면에는 스피드 컨트롤 볼트(8)가 설치되며 스피드 컨트롤 볼트(8)는 케링바(3)의 단면에 장착되고 케링바(3)와 스피드 컨트롤 볼트(8)와 가까운 위치에는 또 슬롯(31)이 설치되어 있으며 스피드 컨트롤 볼트(8)의 볼트 구멍과 해당 슬롯(31)은 관통되어 있고 케링바(3)의 상단면은 중간부분 위치에서 윗부분으로 연장되어 접촉점(32)을 형성한다.
이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의 [C]형으로 되어 있는 서스펜드 바(4)의 상단면은 활강로 상하부 슬롯(1)의 상단면에 고정 연결되고 하단면은 케링바(3)의 측면 중간 부분에 연결된다.
이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의 [V]형으로 되어 있는 브레이크 로드(5)는 접촉점(32)에서 중간 부분이 케링바(3)와 연결된다.
이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도3내지 도4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은 서스펜드 장치(6)와 비상 탈출 주머니(7)을 포함하며 서스펜드 장치(6)는 버클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슬롯(31)에 잠겨져 있으며 해체가 가능하다. 비상 탈출 주머니(7)는 상단이 서스펜드 장치(6)의 하단에 고정 연결되어 성인 한 명을 수용할 수 있다. 서스펜드 장치(6)는 202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내하중력이 높고 쉽게 변형되지 않으며 보존이 간편하고 내부식 성능이 높으며 표면이 매끄럽다. 비상 탈출 주머니(7)는 불에 타지 않고 녹아내리지 않는 특수 방화 재질을 사용하며 화재현장등 긴급상황에 적용된다.
이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도1 내지 도2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의 활강로 상부 슬롯(1)은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판상 구조의 하단면은 곡면으로 판상 구조의 하단면과 활강로(9)의 상측이 이어져 있다.
이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활강로 하부 슬롯(2)의 양측이 위로 연장되어 활강로(9)의 하측을 피복하는 두 개의 돌기(21)를 형성하며 두 개의 돌기(21)는 위치 추적에 보조적 작용이 있어 활강로 하부 슬롯(2)이 활강하는 과정에서 활강로(9)에 따라 흔들리지 않는다.
이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활강로 하부 슬롯(2)은 원판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판형 구조의 하단면은 곡면으로 원판형 구조의 상단면과 활강로(9)의 하측이 이어져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이 설명되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1 내지 도4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로드(5)는 서스펜드 바(4)의 [C]형 열림 부분 내측에 위치하며 브레이크 로드(5)는 접촉점(32)을 감싸면서 회전하고 브레이크 로드(5)는 브레이크 부분(51)으로 브레이크 부분(51)의 상단면은 활강로(9)의 하측을 받치고 있고 브레이크 로드(5)의 다른 한면은 핸들(52)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브레이크 부분(51)은 활강로 상부 슬롯(1)의 하단면에 바로 마주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활강로 상부 슬롯(1)의 하단면과 활강로 하부 슬롯(2)의 상단면에는 모두 슬라이드 패드가 설치 되여 있다. 슬라이드 패드의 재질은 폴리사불화에틸렌 (PTFE)이며 쇼어 경도는 55~65이고 마찰계수는 0.12~0.17이며 고온 및 저온에 견디고 내부식성이 강하며 윤활성이 강하여 비상 탈출 주머니(7)에 중량이 가해지면 비상 탈출 주머니(7)와 연결된 활강로 상부 슬롯(1)과 하부 슬롯(2)의 슬라이드패드는 경사진 활강로(9)를 따라 활강한다.
도5는 본 발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의 활강로 배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의 활강로 예시도이다.
도5 내지 도6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활강로(9)의 횡단면은 원형의 관상 구조로 활강로(9)는 비상계단의 벽 혹은 비상계단의 난간에 경사로 설치되며 활강로(9)의 측면은 구성 부품(10)을 이용하여 비상계단의 벽 혹은 상기 비상계단의 난간에 설치되여 활강로(9)의 상층과 하층 사이의 코너 부분을 원활하게 과도시킴과 동시에 활강로(9)의 직선 부분과 코너 부분은 동일한 경사율을 유지하여 모퉁이에서 활강로 상부 슬롯(1)과 활강로 하부 슬롯(2)도 활강로(9)의 코너 부분에서 순리롭게 활강할수 있도록 하며 활강시 모퉁이 부분에서 감속하여 평온하게 과도 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심력의 영향으로 궤도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도4 내지 도5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도4는 구성 부품(10)을 설치한 벽 혹은 계단의 가시도로 구성 부품(10)과 활강로(9)의 연결부분과 서스펜드 바(4)의 [C]형 구조의 열림부분과 매칭되며 서스펜드 바(4)의 [C]형 구조의 열림부분과 활강로 상부 슬롯(1)과 활강로 하부 슬롯(2) 사이에도 열림부분을 형성하여 구성부품(10)이 서스펜드 바(4)의 걸림이 되지 않기에 비상 탈출 주머니(7)가 활강로(9)를 타고 순리롭게 활강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슬롯(31)은 긴 스틱 형태로 슬롯(31)은 케링바(3)의 길이 방향에 설치되며 슬롯(31)의 길이는 스피드 컨트롤 볼트(8)의 길이보다 길어야 하며 서스펜드 장치(6)의 버클 구조 상단의 슬롯(31)내에서 슬라이딩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비상 탈출 주머니(7)는 접을수 있는 구조로 양측과 가운데를 보따리 모양으로 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난간에 가까운 계단측 혹은 벽에 가까운 계단측에는 금속 가리개(도면에 표시 되지 않음)가 설치 되며 금속 가리개의 재질은 알루미늄 합금 혹은 스테인리스강으로 활강시 인체가 손잡이 난간에 걸리는 우환을 해결 하였으며 일정한 탄성을 갖고 있기에 인체가 벽 혹은 난간과 충돌시 완충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활강로(9)의 말단에는 수평으로 된 완충구간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활강로(9)의 말단에 도달할 시 완충 구간에서 스피드가 완충되며 정지되도록 한다. 완충 구간의 말단은 구체으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활강로(9)내에서 활강시 관성으로 인해 활강로(9)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케링바(4)의 양측 측면에는 보강재(41)가 설치되어 있으며 보강재(41)의 형태와 케링바(4)의 측면 형태가 서로 매칭된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본 발명의 실시 방법 및 보호범위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외 도1 내지 도6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의 사용방법을 개시하였다.
계단에 따라 활강로(9)를 설치하며 계단을 내려가는 방향이 시곗바늘 방향일 경우 활강로9는 계단 우측의 벽 혹은 난간에 설치되며 계단을 내려가는 방향이 시곗바늘 반대 방향일 경우 활강로9는 계단 좌측의 벽 혹은 난간에 설치되며 활강로(9)의 높이는 계단 올라가기 전으로 계산하여 0.9m 이상이여야 하는 단계1;
단계1에 있어서 활강로9의 계단통에 가까운 측의 수평 길이가 0.5m를 초과 할 경우 활강로의 높이는 계단 올라가기 전으로 계산하여 1.05m 이상이어야 한다.
비상 탈출 시 활강로 상부 슬롯(1)과 활강로 하부 슬롯(2)은 활강로(9)에 설치되어야 하며 활강로 상부 슬롯(1)과 활강로 하부 슬롯(2)은 활강로(9)와 매칭되어야 하는 단계2;
서스펜드 장치(6)는 슬롯(31)에 걸려 있으며 스피드 컨트롤 볼트(8)는 볼트 구멍에 조여주며 스피드 컨트롤 볼트(8)를 조인 면이 서스펜드 장치(6)의 버클 구조를 받치도록 하며 스피드 컨트롤 볼트(8)의 조이는 길이를 조절하여 서스펜드 장치(6)와 슬롯(31)의 위치가 매칭 되도록 하며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활강 스피드를 조절하는 단계3;
사용자가 비상 탈출 주머니(7)에 들어가 앉아 두다리를 들고 상기 활강로를 따라 활강하는 단계4;
감속 혹은 정지가 필요할 경우 브레이크 로드(5)의 핸들(52)을 아래로 당겨 브레이크 로드(5)의 제동 부분(51)이 활강로(9)의 하단면에 닿아 마찰을 통하여 비상 탈출 주머니(7)를 감속시키거나 정지 시키는 단계5를 포함한다.
도7은 본 발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의 하중 분석도이며 도7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1)활강
사용자가 비상탈출 서스펜드 장치에 탑승하였을 경우 서스펜드 장치(6)와 활강로(9)는 활강력 F를 평형시킬 충족한 마찰력 f를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균속으로 활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마찰계수가 μ이며 활강로의 경사각도가 θ이고 사용자와 서스펜드 장치의 중력 합계가 G이며 공기의 저항력이 0일 경우 활강력 F는 마찰력 f보다 크게 된다. 즉, F=Gsinθ>f=μFn=μGcosθ이다.
(2) 브레이크
지렛대 평형 법칙에 따르면 Fn·L1=G·L2로 된다. L1은 고정불변으로 중력도 변동이 없기에 평형 너트의 조절은 즉 파워 암 L2의 조절이다. L2가 변할 경우 Fn도 함께 변화되며 Fn의 변화로 마찰력 f도 변화가 이루어지며 따라서 활강력 F의 크기도 변동된다. 또한 가속도 a=F/m으로 활강력 F에 변화가 있을 경우 사용자가 서스펜드 장치에 앉아 활강하는 스피드도 따라서 변화하게 되며 활강 속도는 0.0m/s~1.5m/s 범위내로 컨드롤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활강로 상부 슬롯 2: 활강로 하부 슬롯
21: 돌기 3: 케링바
31: 슬롯 32: 연결점
4: 서스펜드 바 41: 보강재
51. 브레이크 부분 52: 핸들 부분
6: 서스펜드 장치 7: 비상 탈출 주머니
8: 스피드 컨트롤 볼트 9: 활강로
10: 구성 부품

Claims (10)

  1. 일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으로,
    활강로는 비상계단에 설치되며;
    활강로 상부 슬롯의 하단면과 상기 활강로의 상단이 매칭되고 상기 활강로 상부 슬롯의 하단면에는 상행 슬라이드 패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행 슬라이드 패드와 상기 활강로의 상단이 서로 접촉되어 있으며;
    활강로 하부 슬롯의 상단면과 상기 활강로의 하단이 매칭되고 상기 활강로 하부 슬롯의 상단면에는 하행 슬라이드 패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행 슬라이드 패드와 상기 활강로의 하단이 서로 접촉되어 있으며;
    케링바의 한면은 상기 활강로 하부 슬롯과 고정 연결되고 다른 한면에는 스피드 컨트롤 볼트가 설치되며 상기 스피드 컨트롤 볼트는 상기 케링바의 단면에 장착되고 상기 케링바에는 서스펜드 장치가 걸리는 슬롯이 설치되어 있으며 스피드 컨트롤 볼트의 볼트 구멍과 해당 슬롯은 관통되어 스피드 컨트롤 볼트를 조인 면에 서스펜드 장치의 걸려진 부분을 받치도록 되며, 스피드 컨트롤 볼트의 조이는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서스펜드 장치의 활강 스피드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케링바의 상단면은 중간부분 위치에서 윗부분으로 연장되어 접촉점을 형성하며;
    [C]형으로 되어 있는 서스펜드 바의 상단면은 활강로 상부 슬롯의 상단면에 고정 연결되고 하단면은 상기 케링바의 측면 중간 부분에 연결되며;
    [V]형으로 되어 있는 브레이크 로드는 상기 접촉점에서 중간 부분이 상기 케링바와 연결되며, 상기 브레이크 로드는 감속 또는 정지를 위한 핸들을 포함하여 운행 중 상기 핸들 조작에 의해 활강로와의 마찰력이 조절되고;
    서스펜드 장치는 버클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슬롯에 잠겨져 있으며 해체가 가능하고;
    비상 탈출 주머니는 상단이 서스펜드 장치의 하단에 고정 연결되어 성인 한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강로 상부 슬롯은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판상 구조의 하단면은 곡면으로 상기 판상 구조의 하단면과 상기 활강로의 상측이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강로 하부 슬롯은 원판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원판형 구조의 하단면은 곡면으로 상기 원판형 구조의 상단면과 상기 활강로의 하측이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강로 하부 슬롯의 양측이 위로 연장되어 상기 활강로의 하측을 피복하는 두 개의 돌기를 형성하며 두 개의 상기 돌기는 위치 추적의 보조적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로드는 상기 서스펜드 바의 [C]형 열림 부분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브레이크 로드는 상기 접촉점을 감싸면서 회전하고 상기 브레이크 로드는 브레이크 부분으로 상기 브레이크 부분의 상단면은 상기 활강로의 하측을 받치고 있고 상기 브레이크 로드의 다른 한면은 핸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부분은 상기 활강로 상부 슬롯의 하단면에 바로 마주하고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강로의 횡단면은 원형의 관상 구조로 상기 활강로는 비상계단의 벽 혹은 상기 비상계단의 난간에 경사로 설치되며 상기 활강로의 측면은 구성 부품을 이용하여 비상계단의 벽 혹은 상기 비상계단의 난간에 설치되여 상기 활강로의 상층과 하층 사이의 코너 부분을 원활하게 과도시키며 상기 활강로의 직선 부분과 코너 부분은 동일한 경사율을 유지하며 상기 활강로의 말단에는 수평으로 된 완충 구간이 설치되고 상기 완충 구간의 말단에는 미끄러짐 방지용 리미트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긴 스틱 형태로 상기 슬롯은 상기 케링바의 길이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슬롯의 길이는 상기 스피드 컨트롤 볼트의 길이보다 길어야 하며 상기 버클 구조 상단의 상기 슬롯내에서 슬라이딩을 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행 슬라이드 패드와 상기 하행 슬라이드 패드의 재질은 폴리사불화에틸렌(PTF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의 사용 방법으로서,
    상기 서스펜드 장치는 상기 슬롯에 걸려 있으며 상기 스피드 컨트롤 볼트는 상기 볼트 구멍에 조여주며 상기 스피드 컨트롤 볼트를 조인 면이 상기 서스펜드 장치의 상기 버클 구조를 받치도록 하며 상기 스피드 컨트롤 볼트의 조이는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서스펜드 장치와 상기 슬롯의 위치가 매칭 되도록 하며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활강 스피드를 조절하는 단계1;
    사용자가 상기 비상 탈출 주머니에 들어가 앉아 두 다리를 들고 상기 활강로를 따라 활강하는 단계2;
    감속 혹은 정지가 필요할 경우, 상기 브레이크 로드의 핸들을 아래로 당겨 상기 브레이크 로드의 제동 부분이 상기 활강로의 하단면에 닿아 마찰을 통하여 비상 탈출 주머니를 감속시키거나 정지시키는 단계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의 사용방법.
KR1020180008777A 2017-01-25 2018-01-24 일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과 사용방법 KR1020074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061180.8A CN106823171B (zh) 2017-01-25 2017-01-25 一种逃生悬挂系统及其使用方法
CN201710061180.8 2017-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865A KR20180087865A (ko) 2018-08-02
KR102007433B1 true KR102007433B1 (ko) 2019-10-01

Family

ID=59121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777A KR102007433B1 (ko) 2017-01-25 2018-01-24 일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과 사용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143083B2 (ko)
KR (1) KR102007433B1 (ko)
CN (1) CN1068231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8558A (zh) * 2018-05-17 2018-08-17 吕加富 一种扶梯逃生装置
CN109303985A (zh) * 2018-09-11 2019-02-05 无锡乐锡科技有限公司 一种轨道式缓降器
CN109939377A (zh) * 2019-04-16 2019-06-28 王友良 一种索道逃生器及其滑轨
CN112169208B (zh) * 2020-09-30 2022-05-27 萧县冠达新型墙体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人防快速疏散装置
CN114699665B (zh) * 2022-05-25 2023-04-25 李雷 一种高层建筑带排水功能的消防救援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3776A (ja) 2002-10-22 2006-02-02 ビーシー リフト エー/エス 階段リフト用ガイドレール
KR100953482B1 (ko) 2009-12-14 2010-04-16 박주휘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KR101538405B1 (ko) * 2015-03-04 2015-07-22 (주)신흥이앤지 활강속도를 조절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트롤리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6280B2 (ko) * 1973-01-26 1978-10-02
AT342977B (de) * 1974-08-27 1978-05-10 Esser Kg Klaus Leitvorrichtung zur rettung von menschen aus gebauden
JPS57147927U (ko) * 1981-03-14 1982-09-17
US4556123A (en) * 1984-07-05 1985-12-03 Hargest Iii Thomas S Patient evacuation system from a multistory structure
JPH1059658A (ja) * 1996-08-19 1998-03-03 Syntex Kk 階段昇降座席装置
CN2383536Y (zh) * 1999-03-23 2000-06-21 范立娟 缆绳式安全救生器
JP4287977B2 (ja) 2000-04-06 2009-07-01 株式会社竹中工務店 階段斜行スライダー
TWM279354U (en) * 2005-07-05 2005-11-01 Hung-Huei Chen Suspension type escape device
US8122999B2 (en) * 2005-12-19 2012-02-28 Guillermety Manuel Ivan Multistory building fast escape and rescue device
CN2894735Y (zh) * 2006-04-03 2007-05-02 郭小东 高楼逃生装置
CN101474459A (zh) * 2009-01-23 2009-07-08 李可峰 高层建筑紧急安全逃生器
CN201431713Y (zh) * 2009-04-27 2010-03-31 陈雨彤 高楼火灾逃生座椅
CN201710834U (zh) * 2010-03-30 2011-01-19 江苏天宇建设工程有限公司 带有断绳保护装置的高楼逃生器
CN201823176U (zh) * 2010-09-15 2011-05-11 焦瑞林 紧急逃生装置
CN102068767B (zh) * 2011-01-26 2012-08-01 金来兴 秋千健身多功能高楼逃生装置
CN202131786U (zh) * 2011-05-18 2012-02-01 周建华 高楼室内火灾逃生房及其高层楼房逃生器
JP2015085161A (ja) 2013-10-31 2015-05-07 宮川 晃 走行吊りバンド付き階段避難レール
CN203677765U (zh) * 2014-01-07 2014-07-02 马鞍山市力翔机械自动化科技有限公司 钢丝防松式高楼逃生自助缓降器调速机构
CN204626816U (zh) * 2015-05-11 2015-09-09 上海扶手安控设备有限公司 应用于圆管管件的载物滑行装置
CN204972730U (zh) * 2015-08-21 2016-01-20 上海扶手安控设备有限公司 基于楼梯扶手的逃生用滑行装置
CN105582618A (zh) * 2015-12-29 2016-05-18 杭州飞霞科技有限公司 两用高层建筑重力滑降逃生装置
CN105413072A (zh) * 2016-01-07 2016-03-23 崔贤民 高楼逃生轨道滑行装置
CN205516046U (zh) * 2016-01-07 2016-08-31 崔贤民 高楼逃生轨道滑行装置
CN205391477U (zh) * 2016-02-26 2016-07-27 黄国勤 双制动式应急逃生器
CN205683417U (zh) * 2016-06-13 2016-11-16 梁志强 一种轨道吊轮式逃生装置
CN206508405U (zh) * 2017-01-25 2017-09-22 上海扶手安控设备有限公司 一种逃生悬挂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3776A (ja) 2002-10-22 2006-02-02 ビーシー リフト エー/エス 階段リフト用ガイドレール
KR100953482B1 (ko) 2009-12-14 2010-04-16 박주휘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KR101538405B1 (ko) * 2015-03-04 2015-07-22 (주)신흥이앤지 활강속도를 조절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트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18051A (ja) 2018-08-02
CN106823171A (zh) 2017-06-13
KR20180087865A (ko) 2018-08-02
JP7143083B2 (ja) 2022-09-28
CN106823171B (zh) 202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7433B1 (ko) 일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과 사용방법
US6536544B1 (en) Walking aid apparatus
US4997060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escent of a passenger carrying body
US7766124B2 (en) High rise evacuation system
GB2118038A (en) Device to evacuate people from very high buildings in an emergency
US4556123A (en) Patient evacuation system from a multistory structure
US20040118635A1 (en) Apparatus for evacuating people from a high building in emergency
CN105582618A (zh) 两用高层建筑重力滑降逃生装置
CN205683417U (zh) 一种轨道吊轮式逃生装置
US6817443B1 (en) High rise emergency escape apparatus
CN107055261A (zh) 一种风电塔筒垂直升降装置
CN209933869U (zh) 一种消防快速逃生滑到系统设备及门窗开起设备
US20070278043A1 (en) System and device for descending stairs
CN206508405U (zh) 一种逃生悬挂系统
JP4287977B2 (ja) 階段斜行スライダー
KR100553151B1 (ko) 완강기
US853442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ly lowering user from structure
CN103706049A (zh) 新型高楼火灾防坠器
JPH0246373Y2 (ko)
KR101426413B1 (ko) 비상 탈출장치용 보조기구
CN210728453U (zh) 一种索道逃生器及其滑轨
CN109381810B (zh) 一种高层建筑逃生装置
JP2001328781A (ja) 斜行スライダー
CN219365208U (zh) 一种旧楼加装电梯的准平层楼道结构
CN213252660U (zh) 一种承重能力强的高楼逃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