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482B1 -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 Google Patents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482B1
KR100953482B1 KR1020090123681A KR20090123681A KR100953482B1 KR 100953482 B1 KR100953482 B1 KR 100953482B1 KR 1020090123681 A KR1020090123681 A KR 1020090123681A KR 20090123681 A KR20090123681 A KR 20090123681A KR 100953482 B1 KR100953482 B1 KR 100953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
emergency
gear
brake
protectiv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휘
Original Assignee
박주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휘 filed Critical 박주휘
Priority to KR1020090123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4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6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 B66B9/08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associated with stairways, e.g. for transporting disabled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6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 B66B9/08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associated with stairways, e.g. for transporting disabled persons
    • B66B9/0846Guide rail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층에 구성된 비상구와 연결된 비상계단실에 있어서, 상기 비상계단실에 급배기장치를 가지고, 상기 비상계단실의 윗층 계단과 아랫층 계단을 연결하는 계단난간의 상부면에 형성된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도록 보호케이스에 축으로 설치되고, 양측면에 플랜지가 형성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축으로 결합되어 보호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구동기어 직하부에 설치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축과 결합되어 보호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브레이크장치와, 상기 보호케이스의 일측면에 설치된 사각파이프와 경첩으로 설치되어, 대피자들이 탑승하여 좌석에 착석하도록 하는 좌판과, 상기 보호케이스의 일측면에 설치된 사각파이프와 경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좌판의 위치보다 낮게 설치되어 좌판과 연결봉으로 연결된 발받침대와, 상기 좌판의 후방에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등받이와, 상기 보호케이스 일측면에는 운행 중 탑승객을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안전벨트와, 상기 보호케이스의 계단난간 측 측면에는, 상기 계단난간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구르도록 설치되는 보조롤러가 구비된 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재, 비상, 카트

Description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A fire escape for an emergency staircase}
본 발명은 고층 또는 저층의 건물의 화재와 같은 비상발생시 건물에 있는 대피자를 비상계단을 이용하여 안전하고 신속하게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게 하는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화재발생시 대피자들이 이용하는 비상계단실의 유독가스를 건물의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비상계단실로 유입시켜 대피자들의 유해가스로부터 안전하도록 하였으며, 나아가 비상계단실에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임산부 및 장애인들이 탑승가능하게 설치된 카트(cart)를 설치하여 안전하고 신속하게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는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층건물이나 저층건물에는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로부터 건물의 화재를 진압되도록 소방설비가 갖춰져 있다.
이는 건물의 화재를 진압하는 목적으로 설비된 것으로, 건물내의 대피자들은 화염이 없는 건물의 옥상이나 아랫층의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일반적인 상식으로 화재시에는 엘리베이터는 사용하지 말고 비상계단을 이용하라는 다양한 매스컴을 통해 알려져 있다.
따라서 화재시에는 건물의 대피자들은 신속하게 비상구를 통해 비상계단을 이용하여 하는 것이다.
이때, 건물의 화재시 발생되는 화염이나 유독가스로부터 비상계단을 이용하려 하는 대피자를 보호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런 종래의 장치가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07-0001065호에 에어커튼기기를 이용한 제연방법 및 그 장치 명칭으로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개된 종래의 기술을 첨부된 도면 도 1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옥상 또는 지상에 급기용 외기취입구(61)를 가지며, 건물내측에 수직급기덕트(12) 및 수평급기덕트(12-1)를 가지며 고층건물의 각층에는 부속실(32)이 마련되고 제연구역경계(부속실출입문 내측 상단)에는 수평급기덕트(12-1)와 접속된 에어커트기기(41)를 설치하여 화재시 에어커튼기기(41)가 작동하면 외기취입구(61)에서 취입된 옥외의 신선한 공기가 수직급기덕트(12) 및 수평급기덕트(12-1)를 통하여 에어커튼기기 토출구로 토출되며 이때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압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커튼(공기막)으로 화재층의 거실또는 복도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부속실(32)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직접차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및 업무용건물등 고층건물의 제연방법과;
옥상 또는 옥상 및 지하층에 설치된 급기용 송풍기삭제하고 그 대신 각층 제연구역 중 제연구역 경계부(부속실출입문내측 상단)에 외기취입구(61), 수직급기덕트(12) 및 수평급기덕트(12-1)와 연결된 에어커튼기기(41)설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장치로 공개된 것으로, 건물 실내에 발생된 유독가스가 부속실이나 비상계단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커튼을 설치한 것으로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은 화재발생시 전원의 차단으로 각층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커튼의 전원공급이 어려운 문제와, 또한, 화재시 발생가능한 폭발로 인해 에어커튼에 화재가 발생되면 그 층의 비상계단을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와, 또한, 많은 대피자가 부속실이나 비상계단의 문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비좁지 않고 넓게 설치시켜야 하고, 그에 따라 발생되는 막대한 운용비가 소비되며, 나아가 노약자들이나 임산부 및 장애자와 같이 힘이 약한 분들이 에어커튼 전면에 설치된 방화문을 열고 통과하기가 곤란한 문제와 동시에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들은 구출대원이 화재장소에 도착하기 전까지는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건물의 화재와 같은 비상시 건물의 비상계단실에 건물의 실내나 복도에서 발생되는 유독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출시키고, 건물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켜 대피자의 호흡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며, 나아가 거동이 불편하거나 신체가 약한 노약자나 임산부 및 장애인들이 용이하게 대피가능 하도록 비상계단실에 탑승가능한 카트를 설치된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건물의 화재와 같은 비상시 대피자들이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도록 각층에 구성된 비상구와 연결된 비상계단실에 있어서, 상기 비상계단실에 유입된 유독가스를 건물외부로 배출시키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비상계단실로 유입되도록 옥상층 또는 지하층에 설치되는 급배기장치를 가지고,
상기 비상계단실의 윗층 계단과 아랫층 계단을 연결하는 동시에 이용자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설치되는 계단난간의 상부면에 형성된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도록 보호케이스에 축으로 설치되고, 상기 계단난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플랜지가 양측면에 형성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축으로 결합되어 보호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구동기어 직하부에 설치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축과 결합되어 보호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브레이크장치와, 상기 보호케이스의 일측면에 설치된 사각파이프와 경첩으로 설치되어, 대피자들이 탑승하여 좌석에 착석하도록 하는 좌판과, 상기 보호케이스의 일측면에 설치된 사각파이프와 경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좌판의 위치보다 낮게 설치되어 좌판과 연결봉으로 연결된 발받침대와, 상기 좌판의 후방에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등받이와, 상기 보호케이스 일측면에는 운행 중 탑승객을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안전벨트와, 상기 보호케이스의 계단난간 측 측면에는, 상기 계단난간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구르도록 설치되는 보조롤러가 구비된 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의 화재와 같은 비상발생시 대피자가 이용하는 비상계단실에 유입되는 유독가스를 각층에 설치된 흡기댐퍼를 통해 건물외부로 배출시키고, 급기댐퍼를 통해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는 대피자의 원할한 호흡을 도와 안전한 곳으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계단을 이용하기 어려운 노약자, 임산부 및 장애인들도 쉽게 이용하도록 하여 대피자들이 원할하게 건물을 빠져나올 수 있는 효과와, 또한, 비상계단에 설치되는 급기, 흡기덕트는 기존에 지은 건물에도 용이하게 장착이 가능하여 건물운용의 제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가 설치된 비상계단실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카트를 발췌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의 등받이가 분해된 상태의 분해사시도 및 발받침대가 접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카트를 단면한 정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브레이크장치를 간략 도시한 도 5의 A-A선 단면도로써, 핸드브레이크형태와 풋브레이크형태를 간략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브레이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브레이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으로 운행가능한 카트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자동으로 운행가능한 카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에 보호시트커버를 설치한 도면으로 써, 탑승도어의 개폐가능하도록 지퍼나, 벨크로파스너가 설치된 정면도이고, 도 17는 도 16의 보호시트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비상계단에 도 3의 카트를 접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에서와같이, 본 발명은 건물(10)의 화재와 같은 비상시 대피자들이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도록 각층에 구성된 비상구와 연결된 비상계단실(30)에 있어서,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상계단실(30)을 이용하는 대피자 중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나 임산부 및 장애인을 안전한 장소로 이동되도록 본 발명은, 상기 비상계단실(30)의 윗층 계단(302)과 아랫층 계단(302)을 연결하는 동시에 이용자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설치되는 계단난간(300)의 상부면에 형성된 랙기어(310)와; 상기 랙기어(310)와 치합되도록 보호케이스(230)에 축으로 설치되고, 상기 계단난간(3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플랜지(220)가 양측면에 형성된 피니언기어(210)와; 상기 피니언기어(210)와 축으로 결합되어 보호케이스(230)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기어(240)와, 상기 구동기어(240)와 치합되어 구동기어(240) 직하부에 설치되는 종동기어(241)와, 상기 종동기어(241)의 축과 결합되어 보호케이스(230) 내부에 설치되는 브레이크장치(400)와;
상기 보호케이스(230)의 일측면에 설치된 사각파이프(208)와 경첩(207)으로 설치되어, 대피자들이 탑승하여 좌석에 착석하도록 하는 좌판(203)과, 상기 보호케이스(230)의 일측면에 설치된 사각파이프(208)와 경첩(207)으로 설치되고, 상기 좌판(203)의 위치보다 낮게 설치되어 좌판(203)과 연결봉(206)으로 연결된 발받침대(205)와, 상기 좌판(203)의 후방에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등받이(201)와, 상기 보호케이스(230) 일측면에 형성된 고리(262)와 연결되도록 선단과 말단부에 후크(261)가 형성되어, 운행 중 탑승객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안전벨트(270)와, 상기 보호케이스(230) 계단난간(300) 측 측면에는, 상기 계단난간(300)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40)에 안착되어 구르도록 축으로 설치되는 보조롤러(250)가 구비된 카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트(200)는 다른 동력원이 없이 무동력으로 카트의 자중에 의해 건물(10) 하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계단난간(300) 중에는 회전구간이 있는데, 그 부분의 랙기어(310)는 계단난간(300) 넓이의 약 20%로 정도만 안쪽 상부면에 형성시켜 피니언기어(210)가 회전구간에서 랙기어(310)에 간섭없이 카트(200)가 회전되도록 형성시킬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회전구간의 시작부분과 중앙부분을 거쳐 끝부분에 이르는 곡선형태로 형성시키되, 상기 중앙부분의 랙기어(310)를 계단난간(300) 넓이의 약 20%로 정도만 형성되는 곡선 형태로 형성가능하다.
상기 카트(200)의 보호케이스와(230)와 경첩(207)으로 접어지는 좌판(203)에는 잠금장치(도시하지않음)를 설치하여 비사용시 접었을 때, 임의로 벌어지지 않도 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좌판(203)과 그 좌판(203)보다 낮게 설치된 발받침대(205)는 접었을 때, 그 차이로 접기가 곤란한 문제를 상기 높이 차만큼 굴곡지고, 상기 좌판(203)과 발받침대(20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봉(206)으로 해결하여 보호케이스(230)에 수직으로 접어질 수 있으며, 또한 보호케이스(230) 상부에 구동기어(240)와, 종동기어(241) 그리고 브레이크장치(400)가 내부에 설치되어 돌출된 부분에 간섭되어, 상기 좌판(203)과 발받침대(205)가 수직으로 설치되기 곤란한 문제를 두께를 상기 돌출된 부분에 해당하는 넓이만큼 형성시킨 사각파이프(208)를 설치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호케이스(230)에 설치되고, 상기 계단난간(300)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40)에 안착되어 구름동작되는 보조롤러(250)는, 상기 카트(200)의 무게와 탑승자의 무게가 상기 피니언기어(210)에 과중되는 문제와, 동시에 탑승자가 승차시 카트(200)는 수직하중과 계단난간(300) 측으로 기울어지는 수평하중을 동시에 받게 되는데, 그 문제를 해결하여 카트(200)를 원할하게 이동되게 하는 것으로, 보조롤러(250) 가이드레일(340)을 설치시키되, 상기 보조롤러(240)를 반구 형상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가이드레일(340)도 보조롤러(240)의 형상과 상응하도록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계단난간(30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랙기어(310)는, 계단난간(300)에 상부면에 형성시킬 수 있고, 이미 설치된 기존의 계단난간(300)에는 별도로 제작된 랙기어(310)를 용접 또는 볼트나 리벳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동형의 카트(200)에는 이용자가 적절하게 카트(200)의 하강속도를 제어해야 비상계단실을 이용하는 대피자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장치(400)는, 상기 종동기어(241)의 축과 결합되는 브레이크디스크(410)와, 상기 브레이크디스크(410)의 외주연에 권취되도록 선단부는 고정되고, 말단부에는 복귀스프링(440)이 설치된 탄성바(43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브레이크패드(420)와, 상기 복귀스프링(440)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손이나 발로 당겨지도록 하는 와이어(450)와, 상기 와이어(450) 말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H) 또는 발판(F)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당겼던 와이어(450)를 풀면 복귀스프링(440)에 의해 탄성바(430)가 브레이크디스크(410)의 외주연에서 벗어나는데 이때, 복귀스프링(440)의 힘을 제어하도록 보호케이스(230)에 스토퍼(232)를 설치하여 탄성바(430)의 외주연에 닿아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장치(400)는 다양한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할 수 있으며 그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브레이크장치(400)는, 상기 종동기어(241)의 축과 결합되는 브레이크디스크(410)와, 상기 브레이크디스크(410)의 전면과 후면에 밀착되도록 내측 상부에 브레이크패드(420)가 설치되고, 힌지축(46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회전바(432)와, 상기 한 쌍의 회전바(432) 하부 내측에 구비되어 회전바(432)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벌어졌다가 다시 원위치 되도록 하는 복귀스프링(440)과, 상기 회전바(43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손이나 발로 당겨지도록 하는 와이어(450)와, 상기 와이어(450) 말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H) 또는 발판(F)으로 구성되는 다른 실시예와,
또는, 상기 브레이크장치(400)는, 상기 종동기어(241)의 축과 결합되는 브레이크디스크(410)와;상기 브레이크디스크(410)의 전면과 맞닿도록 상부면에 힌지축(460)으로 설치되는 브레이크패드(420)와, 상기 브레이크패드(42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복귀스프링과(440), 상기 복귀스프링(440)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손이나 발로 당겨지도록 하는 와이어(450)와, 상기 와이어(450) 말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H) 또는 발판(F)으로 구성되는 또다른 실시예를 제공한다.
상기의 카트(200)는 자중에 의해 무동력으로 움직이는 수동형으로써, 윗층에서 아랫층으로 이동은 용이하나, 아랫층에서 윗층으로 이동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하부층에서 상부층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기어(240)에 치합되는 종동기어(241)와 축 결합되는 브레이크디스크(410)를 종동스프로켓(243)으로 대체하고, 상기 종동스프로켓(243)과 체인(244)으로 연결되된 구동스프로켓(242)과, 상기 구동스프로켓(242)을 회전시키는 배터리(B)의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기어드모터(M)와, 상기 기어드모터(M)를 제어하도록 설치된 스위치(SW)로 구성시킬 수도 있고, 또는, 상기 기어드모터(M)의 회전 력을 상기 피니언기어(210)에 직접 전달되도록 상기 피니언기어(210)의 축에 직접 결합되는 종동스프로켓(243)으로 구성시킨 것으로 상기 두 가지 실시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카트(200)에 적용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의 자동으로 구동되는 카트(200)는 스위치의 온/오프 작동으로 카트를 출발 또는 정지할 수 있어 별도의 브레이크장치(400)가 필요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 도 11a, 11b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트(200)를 이용하는 대피자를 화재시 발생되는 화염으로 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대피자가 탑승하는 카트(200)의 외부측에 감싸도록 설치되어 화기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하는 내연성이 우수한 보호시트커버(500)를 구성시키되, 상기 보호시트커버(500)의 전면에는 탑승자가 용이하게 카트에 탑승하도록 지퍼(512)나 암수로 이루어진 벨크로파스너(514)로 개폐되는 탑승도어(510)가 구성되며, 상기 탑승도어(510)의 상부측에는 탑승객이 외부상항을 파악할 수 있도록 투시창(520)이 구성되고, 또한, 상기 보호시트커버(500)에는, 카트(200)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상황에 대처하도록 탑승객의 손과 발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손보호구(530)와 발보호구(531)가 구성되며, 상기 보호시트커버(500) 외측 상부면에는 상기 카트(200)에 필요에 따라 장착되는 배터리(B)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경고음이 발생되는 비상램프(540)가 설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베어링(270)은 보호케이스(230)에 설치되는 피니언기어(210), 브레이크장치(400), 및 보조롤러(240)가 결합되어 축에 설치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는 첨부된 도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재발생시 대피자들은 화염과 유해가스로부터 안전하게 건물(10)에서 대피하기 위해서 비상구를 통해 비상계단실(30)로 모여들게 되고, 화재를 감지한 제어실이나 각층에 위치한 대피자는 제어반을 통해 신속하게 급기, 흡기덕트(112)(122)에 설치된 급기, 흡기댐퍼(114)(124)를 개방시키고, 제어실에서는 바로 급기, 흡기용송풍기(110)(120)를 가동시켜 비상계단실(30)의 유해가스를 건물(10)의 외부로 배출하고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켜 대피자의 혼란으로 발생되는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이때, 급기, 흡기댐퍼(114)(124)는 화재의 시발점이나 화염에 휩싸인 층에만 개방시켜 환기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렇게 비상계단실(30)의 공기가 환기되면 이상이 없는 건강한 대피자는 계단(302)을 통해 신속하게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고, 거동이 불편한 대피자는 각층에 접어서 보관되는 이동용 카트(200)를 보관함에서 꺼내서 좌판(203)과 발받침대(204)를 펼치고, 상기 좌판(203)에 등받이(201)를 설치한 후, 보호시트커버(500)를 카트에 덮어 카트를 완성하고, 상기 카트(200)의 피니언기어(210)를 계단난간(300)에 설치된 랙기어(310)와 치합시켜고, 카트(200)의 보조롤러(240)를 계단난간(300)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40)에 위치하여 이동가능한 상태로 준비하고, 탑승객은 주위를 살펴 안전유무를 확인한 후, 카트(200)의 보호시트커버(500)에 구성된 탑승도어(510)를 개방하여 탑승하고 카트(200)를 건물의 윗층에서 아랫층으로 하강시키거나, 카트를 아랫층에서 윗층으로 승강시킨다.
이때, 필요에 따라 경고음과 비상램프(540)를 작동시켜 다른 대피자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장치(400)로 외부상황에 적절히 대처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환기장치(100)와 카트(20)처럼 비상계단실(30)에 동시에 접목하여 두 가지의 목표를 동시에 도달할 수도 있고, 건물(10)의 제반이나 여러상황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제연설비가 설치된 건물을 간략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가 설치된 비상계단실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7의 카트의 설치를 발췌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의 등받이가 분해된 상태의 분해사시도 및 발받침대가 접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카트를 단면한 정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브레이크장치를 간략 도시한 도 4의 A-A선 단면도로써, 핸드브레이크형태와 풋브레이크형태를 간략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이 브레이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브레이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으로 운행가능한 카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는 도 14의 자동으로 운행가능한 카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에 보호시트커버를 설치한 도면으로 써, 탑승도어의 개폐가능하도록 지퍼나, 벨크로파스너가 설치된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보호시트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비상계단에 도 2의 카트를 접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건물...10 비상계단실...30
환기장치...100
급기용송풍기...110 급기덕트...112 급기댐퍼...114
흡기용송풍기...120 흡기덕트...122 흡기댐퍼...124
분할판...130
카트...200
등받이...201 걸림턱...202 좌판...203 결합공...204
발받침대...205 연결봉...206 경첩...207 사각파이프...208
피니언기어...210 플랜지...220 보호케이스...230
스토퍼...232 구동기어...240 종동기어...241
구동스프로켓...242 종동스프로켓...243 체인...244
보조롤러...250 안전벨트...260 베어링...270
계단난간...300
계단...302 천정면...304 공간부...306
랙기어...310
가이드레일...340
브레이크장치...400
브레이크디스크...410 브레이크패드...420 탄성바...430 회전바...432
복귀스프링...440 와이어...450 힌지축...460
보호시트커버...500
탑승도어...510 지퍼...512 벨크로파스너...514
투시창...520 손보호구...531 발보호구...532
비상램프...540

Claims (6)

  1. 비상계단실(30)의 윗층 계단(302)과 아랫층 계단(302)을 연결하는 동시에 이용자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설치되는 계단난간(300)의 상부면에 형성된 랙기어(310)와;
    상기 랙기어(310)와 치합되도록 보호케이스에 축으로 설치되고, 상기 계단난간(3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플랜지(220)가 양측면에 형성된 피니언기어(210)와;
    상기 피니언기어(210)와 축으로 결합되어 보호케이스(230)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기어(240)와,
    상기 구동기어(240)와 치합되어 구동기어(240) 직하부에 설치되는 종동기어(241)와,
    상기 종동기어(241)의 축과 결합되어 보호케이스(230) 내부에 설치되는 브레이크장치(400)와;
    상기 보호케이스(230)의 일측면에 설치된 사각파이프(208)와 경첩(207)으로 설치되어, 대피자들이 탑승하여 좌석에 착석하도록 하는 좌판(203)과,
    상기 보호케이스(230)의 일측면에 설치된 사각파이프(208)와 경첩(207)으로 설치되고, 상기 좌판(203)의 위치보다 낮게 설치되어 좌판(203)과 연결봉(206)으로 연결된 발받침대(205)와,
    상기 좌판(203)의 후방에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등받이(201)와,
    상기 보호케이스(230) 일측면에 형성된 고리(262)와 연결되도록 선단과 말단부에 후크(261)가 형성되어, 운행 중 탑승객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안전벨트(270)와,
    상기 보호케이스(230)의 계단난간(300) 측 측면에는, 상기 계단난간(300)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40)에 안착되어 구르도록 설치되는 보조롤러(250)가 구비된 카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장치(400)는, 상기 종동기어(241)의 축과 결합되는 브레이크디스크(410)와;
    상기 브레이크디스크(410)의 외주연에 권취되도록 선단부는 고정되고, 말단부에는 복귀스프링(440)이 설치된 탄성바(43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브레이크패드(420)와;
    상기 복귀스프링(440)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손이나 발로 당겨지도록 하는 와이어(450)와;
    상기 와이어(450) 말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H) 또는 발판(F)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장치(400)는, 상기 종동기어(241)의 축과 결합되는 브레이크디스크(410)와:
    상기 브레이크디스크(410)의 전면과 후면에 밀착되도록 내측 상부에 브레이크패드(420)가 설치되고, 힌지축(46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회전바(432)와,
    상기 한 쌍의 회전바(432) 하부 내측에 구비되어 회전바(432)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벌어졌다가 다시 원위치 되도록 하는 복귀스프링(440)과;
    상기 회전바(43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손이나 발로 당겨지도록 하는 와이어(450)와;
    상기 와이어(450) 말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H) 또는 발판(F)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장치(400)는, 상기 종동기어(241)의 축과 결합되는 브레이크디스크(410)와;
    상기 브레이크디스크(410)의 전면과 맞닿도록 상부면에 힌지축(460)으로 설치되는 브레이크패드(420)와;
    상기 브레이크패드(42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복귀스프링과(440);
    상기 복귀스프링(440)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손이나 발로 당겨지도록 하는 와이어(450)와;
    상기 와이어(450) 말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H) 또는 발판(F)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200)를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기어(240)에 치합되는 종동기어(241)와 축 결합되는 브레이크디스크(410)를 종동스프로켓(243)으로 대체하고, 상기 종동스프로켓(243)과 체인(244)으로 연결되된 구동스프로켓(242)과, 상기 구동스프로켓(242)을 회전시키는 배터리(B)의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기어드모터(M)와, 상기 기어드모터(M)를 제어하도록 설치된 스위치(SW)로 구성되거나,
    상기 기어드모터(M)의 회전력을 상기 피니언기어(210)에 직접 전달되도록 상기 피니언기어(210)의 축에 직접 결합되는 종동스프로켓(243)으로 구성된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포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자가 탑승하는 카트(200)의 외부측에 감싸도록 설치되어 화기로부 터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하는 내연성이 우수한 보호시트커버(500)를 구성시키되, 상기 보호시트커버(500)의 전면에는 탑승자가 용이하게 카트에 탑승하도록 지퍼(512)나 암수로 이루어진 벨크로파스너(514)로 개폐되는 탑승도어(510)가 구성되며, 상기 탑승도어(510)의 상부측에는 탑승객이 외부상항을 파악할 수 있도록 투시창(520)이 구비되고, 상기 보호시트커버(500)에는, 카트(200)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상황에 대처하도록 탑승객의 손과 발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손보호구(530)와 발보호구(531)가 구성되며, 상기 보호시트커버(500) 외측 상부면에는 상기 카트(200)에 장착되는 배터리(B)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경고음이 발생되는 비상램프(5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KR1020090123681A 2009-12-14 2009-12-14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KR100953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681A KR100953482B1 (ko) 2009-12-14 2009-12-14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681A KR100953482B1 (ko) 2009-12-14 2009-12-14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039 Division 2009-03-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482B1 true KR100953482B1 (ko) 2010-04-16

Family

ID=42220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681A KR100953482B1 (ko) 2009-12-14 2009-12-14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4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865A (ko) * 2017-01-25 2018-08-02 상하이 핸드레일 세이프티 컨트롤 이퀴프먼트 씨오., 엘티디 일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과 사용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9658A (ja) * 1996-08-19 1998-03-03 Syntex Kk 階段昇降座席装置
JP2006503776A (ja) * 2002-10-22 2006-02-02 ビーシー リフト エー/エス 階段リフト用ガイドレ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9658A (ja) * 1996-08-19 1998-03-03 Syntex Kk 階段昇降座席装置
JP2006503776A (ja) * 2002-10-22 2006-02-02 ビーシー リフト エー/エス 階段リフト用ガイドレー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865A (ko) * 2017-01-25 2018-08-02 상하이 핸드레일 세이프티 컨트롤 이퀴프먼트 씨오., 엘티디 일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과 사용방법
KR102007433B1 (ko) 2017-01-25 2019-10-01 상하이 핸드레일 세이프티 컨트롤 이퀴프먼트 씨오., 엘티디 일종의 비상 탈출 서스펜드 시스템과 사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220B1 (ko)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EP3730190A1 (en) Fire evacuation room
KR102005216B1 (ko) 고층 건물 화재 피난장치
CN106246085B (zh) 一种多功能防护窗
KR101035081B1 (ko)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KR101306151B1 (ko) 고층건물의 화재 대피공간용 화장실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0841211B1 (ko) 건물용 화재피난장치
US5497855A (en) Exterior fire fighting and evacuation system for high rise buildings
KR102189888B1 (ko) 포대 할강 방식의 대피장치
KR100953482B1 (ko)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US20170145732A1 (en) Emergency Escape System for Disabled Person to Escape a Building
CN107419878A (zh) 逃生通道及楼房
KR20050096025A (ko) 비상 탈출장치
KR100983680B1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구
KR101195437B1 (ko)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CN209933869U (zh) 一种消防快速逃生滑到系统设备及门窗开起设备
CN209154929U (zh) 一种庇佑仓以及壁掛式滑道火灾逃生装置
KR102073356B1 (ko)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KR102037262B1 (ko)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CN108939345A (zh) 庇佑仓以及壁掛式滑道火灾逃生装置
US7188705B1 (en) Emergency evacuation system for high-rise buildings
CN111803814A (zh) 一种高楼火灾地震逃生管道
CN111731969A (zh) 逃生平台及逃生平台系统
CN110451379B (zh) 一种高层建筑紧急逃生电梯
KR102512299B1 (ko) 고층 건축물의 대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