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167B1 -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167B1
KR101678167B1 KR1020150150114A KR20150150114A KR101678167B1 KR 101678167 B1 KR101678167 B1 KR 101678167B1 KR 1020150150114 A KR1020150150114 A KR 1020150150114A KR 20150150114 A KR20150150114 A KR 20150150114A KR 101678167 B1 KR101678167 B1 KR 101678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ire
wire unit
container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일
한광희
조재민
Original Assignee
조현일
한광희
조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일, 한광희, 조재민 filed Critical 조현일
Priority to KR1020150150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167B1/ko
Priority to PCT/KR2016/004495 priority patent/WO201707386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 B60P7/132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twist-locks for container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06Coupling devices between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65D90/0013Twist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008Coupling device between containers
    • B65D2590/0025Twist lock
    • B65D2590/0033Semi or fully automatic twist lock, i.e. semi or fully automatic locking/un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적재 또는 하역시 잠금 또는 풀림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복수개 배치되는 것으로, 상하 이동하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회전각에 따라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헤드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 일측에서 파지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잠금유닛을 서로 연동시켜 컨테이너를 상기 상부프레임 상에 결속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정 길이의 철사 형태로서 상기 상부프레임에 배치된 복수개의 잠금유닛 중 적어도 4개의 잠금유닛의 조작부에 각각 결속되는 와이어유닛; 및 상기 와이어유닛의 양단부를 서로 인접한 위치에서 고정시켜 상기 와이어유닛 전체에 텐션이 가해지도록 하고, 상기 고정된 와이어유닛의 양단부를 동시에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와이어유닛에 결속된 잠금유닛의 조작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Container locking apparatus of electric-type}
본 발명은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의 적재 또는 하역시 잠금 또는 풀림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라 함은 운반용기의 일종으로 육로수송 또는 선적수송을 위해 만들어진 대용량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일정 규격의 용기로서, 화물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송하기 위한 적재함을 일컫는다. 또한 대량화물의 규격화된 수용구이다.
이러한 컨테이너를 육상에서는 컨테이너 차량에 탑재하여 운송하고, 해상의 경우에는 컨테이너를 적재하기 위한 대형 컨테이너 선박을 이용하여 대량의 컨테이너를 운송하고 있다.
컨테이너를 육로로 운반하기 위한 운송수단으로 트레일러(Trailer)라는 차량에 이용되는데, 이 트레일러는 일반적으로 주행용 동력장치나 제어장치를 가지지 않고 트랙터에 편성되어 이끌리게 된다.
트레일러는 규격화된 컨테이너를 탑재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의 크기에 알맞게 설계되고, 또한 컨테이너에 화물을 적재한 상태의 중량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이렇게 설계된 트레일러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컨테이너를 탑재하게 되는데, 운송 중에 발생하는 급제동, 곡선도로, 경사도로, 기타 돌발상황에서 컨테이너가 트레일러에서 이탈되는 경우를 방지하고, 또한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트레일러의 상부에 컨테이너를 고정시키는 록킹장치가 설치된다.
도1A 및 도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수동방식의 록킹장치는,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에 구비된 상부프레임(1)의 다수곳에 레버(3)의 회전 및 승강 동작에 의해 잠금 또는 풀림 작용을 하는 록커(2)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의 정해진 위치에 컨테이너(4)를 탑재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상기 록커(2)의 레버(3)를 조작함에 따라, 록커(2)의 상단에 구비된 헤드부(2')가 컨테이너의 저면에 형성된 결속구멍(5)으로 삽입 및 체결된다.
즉, 상기 수동방식의 록킹장치는 트레일러와 이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일체로 결속되게 하여 운송 도중 안정성을 도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운전자는 컨테이너를 적재한 상태에서 록킹장치의 조작이 번거롭다는 이유로 잠금조작을 하지 않은 채 운행하는 사례가 보편화 되어 있으며, 특히 노면이 불량한 도로나 급커브에서 컨테이너의 록킹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운행할 경우 트레일러로부터 컨테이너가 이탈 또는 추락되는 등의 대형사고가 유발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6762호와 같은 자동방식의 록킹장치가 제안된 있다.
도2A 및 도2B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방식의 록킹장치는,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장착되는 통체로 된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스프링(22)의 탄력과 외부의 하중에 의해 상향으로 출몰되는 중공부(21)를 가진 작동구(20)와, 상기 작동구(20)의 중공부(21)에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컨테이너에 삽입 체결되는 헤드부(31)를 구비하되 작동구(20)의 몰입동작시 접촉되어 연동되는 걸림턱(32)을 구비한 록커(30)와, 상기 록커(30)의 내부에 그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소정의 깊이 만큼 관형홈(40)이 형성되어 있되 이관형홈(40)에 형성되어 록커(30)가 하강될 때 일정범위로 회전되게 유도하는 곡면을 가진 슬릿홈(41)과, 상기 관형홈(40)의 내부에 탄성스프링(52)을 매개로 자유로이 슬라이딩 되게 하우징(10)의 저면에 결합한 덮개(11)에 고정설치된 지지축(50)과, 상기 지지축(50)의 상단 외주연에 형성되어 슬릿홈(41)에 삽입된 지점을 고정축으로 슬릿홈(41)을 따라 승강되는 록커(30)의 방향을 변위되게 하는 핀(51)을 포함한다.
즉, 상기 자동방식의 록킹장치는 컨테이너를 적재 또는 하역하는 과정에서 그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잠금 및 풀림 작용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중량이 과중한 컨테이너를 안전하게 록킹한 상태에서 운송함은 물론 록커의 조작으로 인한 불편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트레일러의 규격에 따라 상부프레임에는 록킹장치가 일정 간격으로 4개에서 12개까지 설치되며, 6개이상의 록킹장치가 설치된 트레일러의 경우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크기에 따라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록킹장치가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다수개의 록킹장치를 잠금 및 풀림 작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길어져 작업 능률이 저하되고, 특히 작업이 번거로운 이유로 인해 잠금조작을 제대로 하지 않은 채 운행하여 대형사고가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자동방식의 록킹장치로 대체한다 하더라도 기존의 수동방식의 록킹장치를 모두 제거하고 자동방식의 록킹장치를 재설치해야 하므로 상당한 교체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덧붙여, 자동방식의 록킹장치는 잦은 고장으로 인해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여 상당한 영업 손실을 초래함은 물론 수리 비용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0-0056538 A KR 10-0182902 B1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다수개의 잠금유닛이 서로 연동되어 자동으로 잠금 및 풀림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기설치된 수동방식의 록킹장치를 재활용하여 자동화함으로써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방식의 록킹장치에서 발생되는 고장이나 파손 등으로 인한 작동 불가 상태를 미연에 방지하여 영업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복수개 배치되는 것으로, 상하 이동하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회전각에 따라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헤드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 일측에서 파지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잠금유닛을 서로 연동시켜 컨테이너를 상기 상부프레임 상에 결속시키는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에 있어서, 일정 길이의 철사 형태로서 상기 상부프레임에 배치된 복수개의 잠금유닛 중 적어도 4개의 잠금유닛의 조작부에 각각 결속되는 와이어유닛; 및 상기 와이어유닛의 양단부를 서로 인접한 위치에서 고정시켜 상기 와이어유닛 전체에 텐션이 가해지도록 하고, 상기 고정된 와이어유닛의 양단부를 동시에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와이어유닛에 결속된 잠금유닛의 조작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와이어유닛의 양단부를 동시에 고정시키는 구동블록과, 상기 구동블록에 관통 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구동블록을 일정 구간 왕복 이동시키는 스크류 샤프트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블록에는 상기 와이어유닛의 양단부를 서로 대향하도록 고정시키는 한 쌍의 텐션블록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텐션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와이어유닛의 텐션 조절을 위한 텐션조절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유닛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텐션블록의 대향면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양끝단에는 각각 고정클립이 결속되고, 상기 각각의 텐션블록 대향면과 상기 고정클립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와이어유닛에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텐션을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재와, 상기 기어부재의 구동기어와 연결되어 수동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핸들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유닛의 조작부와 상기 와이어유닛은 소정 형상의 클램프에 의해 서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램프의 일단부는 상기 조작부에 형성된 장홀에 탈착 가능하게 볼팅 체결되되, 상기 클램프의 절곡된 일단부가 상기 장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클램프의 타단부는 상기 와이어유닛의 지정된 위치에 결속되되, 상기 와이어유닛의 둘레방향으로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속되고 길이방향으로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복수개 배치되는 잠금유닛이 서로 연동되어 자동으로 잠금 및 풀림 작동되므로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이 매우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둘째, 잠금유닛과 구동유닛에 센서나 경보램프 등을 전기적으로 연동시켜 잠금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직접 위험신호를 알릴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기존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기설치된 수동방식의 잠금장치를 재활용하여 전동식으로 자동화할 수 있으므로 교체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a 및 도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2a 및 도2b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부가될 수 있는 일례를 도시하는 예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더 부가될 수 있는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는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10)에 복수개 배치되는 잠금유닛(20)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잠금유닛(20)는, 도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이동하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24)와, 상기 몸체부(24)의 상단에 형성되어 회전각에 따라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헤드부(22)와, 상기 몸체부(24)의 하단 일측에서 파지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22)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조작부(26)를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상기한 잠금유닛(20)는 통상의 잠금장치(록킹장치)에 대한 기본적인 구성에 해당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기존의 잠금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잠금유닛(20)의 구성을 전제로 하여 후술할 각 구성들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에 의해 결합되어 연동 작동하는 것으로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와이어유닛(200)과 구동유닛(400)을 포함한다.
먼저, 와이어유닛(200)은 일정 길이의 철사 형태로서 상기 상부프레임(10)에 배치된 복수개의 잠금유닛(20) 중 적어도 4개의 잠금유닛의 조작부에 각각 결속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잠금유닛(20)을 따라 둘레띠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유닛(200)이 절곡된 부분의 내측에는 가이드롤러(50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가이드롤러(500)는 상기 와이어유닛(200)의 절곡부 내측에 지지함과 동시에 와이어유닛(200)이 후술할 구동유닛(400)에 의해 구동될 때 보다 용이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구동유닛(400)은 상기 와이어유닛(200)의 양단부를 서로 인접한 위치에서 고정시켜 상기 와이어유닛(200) 전체에 텐션이 가해지도록 한다. 이러한 구동유닛(400)은 와이어유닛(200)에 텐션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유닛(200)의 양단부를 동시에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와이어유닛(200)에 결속된 잠금유닛(20)의 조작부(26)가 구동되도록 한다.
즉, 상기 조작부(26)의 위치를 이동하게 되면 이와 함께 잠금유닛(20)의 몸체부(24)가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잠금유닛(20)의 헤드부(22)가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잠금유닛(20)은 하나의 와이어유닛(200)에 의해 연동하여 동작하게 되므로 한 번의 조작으로 잠금유닛(20)의 잠금 및 풀림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동유닛(400)은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유닛(200)의 양단부를 동시에 고정시키는 구동블록(420)과, 상기 구동블록(420)에 관통 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구동블록(420)을 일정 구간 왕복 이동시키는 스크류 샤프트(440)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44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4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블록(420)을 기지정된 선로를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록(470)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블록(470)에는 가이드홈이나 레일 등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블록(420)의 하단부가 삽입 또는 안착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모터(460)를 제어모듈(미도시)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자동으로 작동하는 구동유닛(400)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패널(미도시) 등이 트레일러의 외측이나 차량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블록(420)에는 도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유닛(200)의 양단부를 서로 대향하도록 고정시키는 한 쌍의 텐션블록(4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텐션블록(43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와이어유닛(200)의 텐션 조절을 위한 텐션조절부재(432)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와이어유닛(200)의 텐션을 조절함으로써 구동유닛(400)의 구동블록(420)의 이동 간격에 따른 잠금유닛(20)의 헤드부(22) 회전각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유지관리 및 고장수리시에 텐션을 해제하여 보수개 용이하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와이어유닛(200)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텐션블록(430)의 대향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돌출된 상기 와이어유닛(200)의 양끝단에는 각각 고정클립(436)이 결속되어 상기 와이어유닛(200)이 상기 텐션블록(4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지지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각각의 텐션블록(430) 대향면과 상기 고정클립(436) 사이에는 탄성부재(434)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탄성부재(434)는 상기 와이어유닛(200)에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텐션을 완충시켜 충격으로부터 장치를 보호하고 상기 와이어유닛(200)에 결속된 잠금유닛(20)가 보다 유연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한 텐션블록(430)과 고정클립(436) 및 탄성부재(434)의 구성은 와이어유닛(200)의 임의의 지점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구동유닛(400)은 도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 샤프트(44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재(482)와, 상기 기어부재(482)의 구동기어와 연결되어 수동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핸들부재(4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모터(460)가 고장나 자동으로 스크류 샤프트(440)가 구동되지 않더라도 상기 핸들부재(484)를 이용해 수동으로 스크류 샤프트(440)를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모터(460) 고장으로 인해 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5에 예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잠금유닛(20)의 조작부(26)와 상기 와이어유닛(200)은 소정 형상의 클램프(300)에 의해 서로 결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300)의 일단부는 상기 조작부(26)에 형성된 장홀(26h)에 탈착 가능하게 볼팅 체결되는데, 이때 상기 클램프(300)의 절곡된 일단부는 잠금유닛(20)의 구동 상태에 따라 상기 장홀(26h)의 구간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잠금유닛(20)는 사용 여부에 따라 헤드부(22)가 상부프레임(10) 아래로 함몰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클램프(300)는 장홀(26h)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져 결속된 와이어유닛(200)에 무리한 텐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조작부(26)와 클램프(300)의 볼팅 체결은, 미사용이거나 작동 불가능한 잠금유닛(20)의 수동전환이 필요할 때 볼팅 체결을 해제함으로써 수동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300)의 타단부는 상기 와이어유닛(200)의 지정된 위치에 결속되는데, 상기 와이어유닛(200)의 둘레방향으로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속되고 길이방향으로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잠금유닛(20)의 헤드부(22)가 함몰되거나 조작부(26)가 이동할 때 결속된 와이어유닛(200)이 꼬이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상술한 구성들의 구동을 전기적으로 감지하여 연동하는 센서와 제어모듈 및 경고램프 등이 더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구동유닛(400)의 스크류 샤프트(440)와 인접한 위치에는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 샤프트(440)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여 구동유닛(400)이 작동 중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잠금유닛(20)의 헤드부(22)와 인접한 위치에도 센서가 구비되어 잠금(록킹) 또는 풀림(언록킹)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모듈로 전송되어 보다 확장된 신호 처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고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고램프는 스크류 샤프트(440)가 동작할 때 주의를 표시하는 색상이 점멸되고, 잠금유닛(20)의 잠금 또는 풀림 여부를 표시하는 색상이 서로 다르게 표시된다. 따라서, 운전자나 작업자들이 구동유닛의 작동 상태는 물론 컨테이너의 고정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전한 작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복수개 배치되는 잠금유닛이 서로 연동되어 자동으로 잠금 및 풀림 작동되므로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이 매우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둘째, 잠금유닛과 구동유닛에 센서나 경보램프 등을 전기적으로 연동시켜 잠금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직접 위험신호를 알릴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기존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기설치된 수동방식의 잠금장치를 재활용하여 전동식으로 자동화할 수 있으므로 교체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상부프레임
20: 잠금유닛
22: 헤드부
24: 몸체부
25: 하부걸림부
26: 조작부
26h: 장홀
200: 와이어유닛
300: 클램프
320: 볼팅부재
340: 고정지지부재
360: 회전지지부재
400: 구동유닛
420: 구동블록
430: 텐션블록
432: 텐션조절부재
434: 탄성부재
436: 고정클립
440: 스크류 샤프트
460: 모터
470: 가이드블록
482: 기어부재
484: 핸들부재
500: 가이들롤러

Claims (7)

  1. 삭제
  2.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복수개 배치되는 것으로, 상하 이동하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회전각에 따라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헤드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 일측에서 파지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잠금유닛을 서로 연동시켜 컨테이너를 상기 상부프레임 상에 결속시키는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에 있어서,
    일정 길이의 철사 형태로서 상기 상부프레임에 배치된 복수개의 잠금유닛 중 적어도 4개의 잠금유닛의 조작부에 각각 결속되는 와이어유닛; 및
    상기 와이어유닛의 양단부를 서로 인접한 위치에서 고정시켜 상기 와이어유닛 전체에 텐션이 가해지도록 하고, 상기 고정된 와이어유닛의 양단부를 동시에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와이어유닛에 결속된 잠금유닛의 조작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와이어유닛의 양단부를 동시에 고정시키는 구동블록과,
    상기 구동블록에 관통 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구동블록을 일정 구간 왕복 이동시키는 스크류 샤프트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블록에는 상기 와이어유닛의 양단부를 서로 대향하도록 고정시키는 한 쌍의 텐션블록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텐션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와이어유닛의 텐션 조절을 위한 텐션조절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유닛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텐션블록의 대향면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양끝단에는 각각 고정클립이 결속되고,
    상기 각각의 텐션블록 대향면과 상기 고정클립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와이어유닛에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텐션을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재와,
    상기 기어부재의 구동기어와 연결되어 수동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핸들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의 조작부와 상기 와이어유닛은 소정 형상의 클램프에 의해 서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일단부는 상기 조작부에 형성된 장홀에 탈착 가능하게 볼팅 체결되되, 상기 클램프의 절곡된 일단부가 상기 장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클램프의 타단부는 상기 와이어유닛의 지정된 위치에 결속되되, 상기 와이어유닛의 둘레방향으로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속되고 길이방향으로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
KR1020150150114A 2015-10-28 2015-10-28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 KR101678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114A KR101678167B1 (ko) 2015-10-28 2015-10-28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
PCT/KR2016/004495 WO2017073866A1 (ko) 2015-10-28 2016-04-29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114A KR101678167B1 (ko) 2015-10-28 2015-10-28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167B1 true KR101678167B1 (ko) 2016-11-22

Family

ID=57540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114A KR101678167B1 (ko) 2015-10-28 2015-10-28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78167B1 (ko)
WO (1) WO201707386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029A (ko) * 2017-11-10 2019-05-21 한광희 컨테이너 결속장치
KR20190054028A (ko) * 2017-11-10 2019-05-21 한광희 컨테이너 결속장치
CN110587651A (zh) * 2019-10-14 2019-12-20 李雪刚 一种集装箱锁钮拆装用夹具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8536A (en) * 1974-01-29 1975-06-10 Us Army Automatic {13 {0 self contained {13 {0 light weight spreader bar
KR0182902B1 (ko) 1996-08-22 1999-04-15 박병재 트레일러용 컨테이너 록킹장치
KR20100056538A (ko) 2007-08-23 2010-05-27 고트발트 포르트 테히놀로지 게엠베하 컨테이너를 운송차량의 플랫폼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1579A (ja) * 1992-12-10 1994-06-21 Hitachi Zosen Corp キャスク運搬船におけるキャスク位置決め固縛装置
KR19990024295U (ko) * 1997-12-12 1999-07-05 정몽규 트레일러의 콘테이너 잠금장치
JP4002098B2 (ja) * 2001-12-20 2007-10-31 株式会社浜名ワークス 被運搬車の固縛装置及び自動車運搬用車両
US7014234B2 (en) * 2002-05-14 2006-03-21 Peter Walker Walker Integrated corner casting locking mechanism for shipping contain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8536A (en) * 1974-01-29 1975-06-10 Us Army Automatic {13 {0 self contained {13 {0 light weight spreader bar
KR0182902B1 (ko) 1996-08-22 1999-04-15 박병재 트레일러용 컨테이너 록킹장치
KR20100056538A (ko) 2007-08-23 2010-05-27 고트발트 포르트 테히놀로지 게엠베하 컨테이너를 운송차량의 플랫폼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029A (ko) * 2017-11-10 2019-05-21 한광희 컨테이너 결속장치
KR20190054028A (ko) * 2017-11-10 2019-05-21 한광희 컨테이너 결속장치
KR102140090B1 (ko) * 2017-11-10 2020-08-03 한광희 컨테이너 결속장치
KR102140093B1 (ko) * 2017-11-10 2020-08-03 한광희 컨테이너 결속장치
CN110587651A (zh) * 2019-10-14 2019-12-20 李雪刚 一种集装箱锁钮拆装用夹具及其使用方法
CN110587651B (zh) * 2019-10-14 2023-12-01 九工机器(上海)有限公司 一种集装箱锁钮拆装用夹具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73866A1 (ko)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167B1 (ko)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
KR20190054029A (ko) 컨테이너 결속장치
CN110366503B (zh) 货物装载系统
CN202401858U (zh) 铁路漏斗车底门锁定装置
US8936410B2 (en) Remote hopper release
US20190061946A1 (en) Intelligent lock for cargo handling system
AU2017202128B2 (en) Shipping container twist-lock
CA3100293C (en) Cargo container
KR20220014817A (ko) 컨테이너 잠금장치
KR20040081207A (ko) 전동식 체결 기구를 구비한 컨테이너
KR102340301B1 (ko) 컨테이너 자동 잠금장치
US10486583B2 (en) Multifunctional locking device for container of trailer
KR102140090B1 (ko) 컨테이너 결속장치
KR101630149B1 (ko)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
KR101557644B1 (ko) 무인대차용 자동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인대차
KR20030074750A (ko) 기압 구동식 로킹 메카니즘을 갖춘 컨테이너
KR101516354B1 (ko) 차량의 적재함 도어 잠금장치
CN113715859B (zh) 对自动扭锁装置的改进
KR20170035311A (ko) 컨테이너 잠금장치
KR101622144B1 (ko) 트레일러용 컨테이너의 록킹장치
CN106184026A (zh) 一种汽车自动载货支架及汽车
CN205273466U (zh) 一种铁路粮食漏斗车底门防盗装置
KR19990024295U (ko) 트레일러의 콘테이너 잠금장치
CN110040373B (zh) 锁紧装置及具有其的集装箱
CN214030590U (zh) 一种装运货物的井下煤矿用运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