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886B1 -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의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의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886B1
KR102135886B1 KR1020180128268A KR20180128268A KR102135886B1 KR 102135886 B1 KR102135886 B1 KR 102135886B1 KR 1020180128268 A KR1020180128268 A KR 1020180128268A KR 20180128268 A KR20180128268 A KR 20180128268A KR 102135886 B1 KR102135886 B1 KR 102135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conductor layer
terminal
touch pane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9494A (ko
Inventor
아키토시 사카우에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9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8Cylinders
    • B41F13/193Transfer cylinders; Offset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006Patterns of chemical products used for a specific purpose, e.g. pesticides, perfumes, adhesive patterns; use of microencapsulated material; Printing on smoking art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7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other printing techniques, e.g. letterpress printing, intaglio printing, lithographic printing, offset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00/00Printing processes
    • B41P2200/10Relief printing
    • B41P2200/13Offset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5Patterning and lithography; Masks; Details of resist
    • H05K2203/0502Patterning and lithography
    • H05K2203/0534Offset printing, i.e. transfer of a pattern from a carrier onto the substrate by using an intermediat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터치 패널은 기재와, 상기 기재의 일면측에 정해진 센싱 영역에 형성되고, 제1의 경화한 도전 잉크로 이루어지는 제1 도체층과, 제2의 경화한 도전 잉크로 이루어지는 제2 도체층과, 그것들 사이에 배치된 절연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적층 구조와, 상기 기재의 상기 일면측의 상기 센싱 영역의 외측에 형성된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상기 제1의 경화한 도전 잉크로 이루어지는 제1 단자층과, 상기 제2의 경화한 도전 잉크로 이루어지는 제2 단자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단자층과 상기 제2 단자층은 서로 직접적으로 중첩되어 있다.

Description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의 생산 방법{TOUCH PANEL AND TOUCH PANEL PRODUCTION METHOD}
본 발명은 인쇄법을 사용하여 생산되는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a, 2b는 이 종류의 터치 패널의 종래예로서 일본 특허출원 공개 2017-103317호 공보(2017년 6월 8일 발행, 이하 문헌 1이라고 함)에 기재되어 있는 정전 용량식의 터치 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 터치 패널은 투명한 기재(기판)(10) 위에 제1 도체층, 절연층, 제2 도체층 및 보호막이 차례로, 적층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 중, 직사각형 테두리로 둘러싸인 부분은 센서 전극이 위치하는 센싱 영역(센서 영역)(20)이며, 도 1에서는 센서 전극의 상세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센서 전극은 제1 센서 전극과 제2 센서 전극으로 이루어지고, 제1 센서 전극은 제1 도체층에 의해 형성되고, 제2 센서 전극은 제2 도체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 센서 전극(30)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싱 영역(20)의 장변(21)과 평행한 X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섬 형상 전극(31)이 연결부(32)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전극열(33)이 센싱 영역(20)의 단변(22)과 평행한 Y 방향으로 복수, 병렬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2 센서 전극(40)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Y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섬 형상 전극(41)이 연결부(42)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전극열(43)이 X 방향으로 복수, 병렬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들 제1 센서 전극(30) 및 제2 센서 전극(40)은 각각 세선의 메시로 형성되어 있고, 전극열(33과 43)은 서로 절연된 상태에서 교차되고, 연결부(32와 42)는 서로 겹치는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제1 센서 전극(30)의 각 전극열(33)의 X 방향 양단으로부터는 인출 배선(51)이 각각 인출되어 있고, 제2 센서 전극(40)의 각 전극열(43)의 Y 방향 일단으로부터는 인출 배선(52)이 각각 인출되어 있다. 복수 배열되어 센싱 영역(20)으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인출 배선(51, 52)은 도 1에서는 배열의 양단에 위치하는 것 이외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기재(10)의 일방의 장변의 중앙 부분에는 단자(53)가 배열 형성되어 있고, 인출 배선(51, 52)은 단자(53)까지 연장되어 단자(53)에 접속되어 있다. 센싱 영역(20) 및 인출 배선(51, 52)을 둘러싸도록 기재(10)의 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는 그라운드 배선(54)도 단자(53)에 접속되어 있다.
인출 배선(51, 52) 및 단자(53)는 제1 도체층에 의해 형성되고, 그라운드 배선(54)은 제1 및 제2 도체층의 쌍방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1 및 제2 도체층은, 이 예에서는 은 등의 도전 입자를 포함하는 도전 잉크를 사용하여, 그라비아 옵셋 인쇄에 의해 인쇄 형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 3은 일본 특허출원 공개 2017-103318호 공보(2017년 6월 8일 발행, 이하 문헌 2라고 함)에 기재되어 있는 정전 용량식의 터치 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이 터치 패널은 도 1 및 도 2a, 2b에 도시한 터치 패널과 마찬가지로 투명한 기재 위에 제1 도체층, 절연층, 제2 도체층 및 보호막이 차례로, 적층 형성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a, 2b에 도시한 터치 패널의 구성요소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도 3에 도시한 터치 패널에서는, 제1 센서 전극(30)의 전극열(33)은 복수의 섬 형상 전극(31)이 점퍼선(34)에 의해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 점퍼선(34)만이 제2 도체층에 의해 형성되고, 제2 센서 전극(40), 인출 배선(51, 52), 단자(53) 및 제1 센서 전극(30)의 섬 형상 전극(31)은 제1 도체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점퍼선(34)의 양단은 각각 절연층에 설치된 관통구멍(35)을 통하여 섬 형상 전극(31)에 접속되어 있고, 점퍼선(34)과 제2 센서 전극(40)의 연결부(42)는 서로 겹치는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도 3에서는 상세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제2 센서 전극(40), 제1 센서 전극(30)의 섬 형상 전극(31) 및 단자(53)는 각각 세선의 메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1 및 제2 도체층은 도 1 및 도 2a, 2b에 도시한 터치 패널과 마찬가지로 도전 잉크를 사용하여, 그라비아 옵셋 인쇄에 의해 인쇄 형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은 외부 회로와의 접속용의 단자(외부 접속 단자)를 투명한 기재의 1변에 구비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외부 접속 단자는 상술한 문헌 1, 2의 어느 터치 패널에서도 그라비아 옵셋 인쇄에 의해 인쇄 형성되는 제1 도체층에 의해 형성되고, 문헌 2에는 세선의 메시로 외부 접속 단자를 형성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인쇄 형성되는 세선의 메시로 구성되는 외부 접속 단자는 베타막으로 구성되는 외부 접속 단자와 비교하여, 일반적으로 접촉 저항의 증대는 부정할 수 없으며, 그 점에서 양호하고 또한 안정한 전기적 접속 상태를 얻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접속 단자의 전기적 접속 품질을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한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의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 패널은 기재와, 상기 기재의 일면측에 정해진 센싱 영역에 형성되고, 제1의 경화한 도전 잉크로 이루어지는 제1 도체층과, 제2의 경화한 도전 잉크로 이루어지는 제2 도체층과, 그것들 사이에 배치된 절연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적층 구조와, 상기 기재의 상기 일면측의 상기 센싱 영역의 외측에 형성된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상기 제1의 경화한 도전 잉크로 이루어지는 제1 단자층과, 상기 제2의 경화한 도전 잉크로 이루어지는 제2 단자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단자층과 상기 제2 단자층은 서로 직접적으로 중첩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터치 패널을 생산하는 터치 패널의 생산 방법은 상기 기재의 상기 일면측에 제1 도전 잉크에 의해 상기 제1 도체층과 상기 제1 단자층을 동시에 인쇄하는 제1 인쇄 공정과, 절연성 잉크에 의해 상기 절연층을 인쇄하는 제2 인쇄 공정과, 제2 도전 잉크에 의해 상기 제2 도체층과 상기 제2 단자층을 동시에 인쇄하는 제3 인쇄 공정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접속 단자의 전기적 접속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 외부 회로와의 전기적 접속을 양호하고 또한 안정하게 행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널의 생산 방법에 의하면, 그러한 터치 패널을 양호하게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터치 패널의 종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에 나타낸 터치 패널의 제1 도체층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나타낸 터치 패널의 제2 도체층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터치 패널의 종래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널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 단자층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널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 단자층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a에 나타낸 제1 단자층과 도 4b에 나타낸 제2 단자층이 중첩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외부 회로의 FPC와 접속된 터치 패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의 센싱 영역의 제1 도체층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널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센싱 영역의 제2 도체층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낸 제1 도체층과 도 8에 나타낸 제2 도체층이 중첩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a, 4b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널의 하나의 실시예가 갖는 외부 접속 단자의 상세를 나타낸 것으로, 도 6은 외부 접속 단자에 외부 회로의 FPC가 접속된,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널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터치 패널은 이 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낸 종래예의 터치 패널과, 기재(10)의 일방의 장변의 중앙 부분에 배열 형성되는 외부 접속 단자의 구성 및 센싱 영역(20) 내의 구성이 상이한 것으로 되어 있고, 다른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구성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센싱 영역(20) 내의 구성의 상세 도시는 도 6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터치 패널은 투명한 기재(10)의 일면측에 정해진 센싱 영역(20)에, 제1의 경화한 도전 잉크로 이루어지는 제1 도체층, 절연층, 제2의 경화한 도전 잉크로 이루어지는 제2 도체층 및 보호막이 차례로, 적층 형성된 적층 구조를 갖는다. 절연층 및 보호막은 투명재로 이루어진다.
센싱 영역(20)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 접속 단자(60)는 제1의 경화한 도전 잉크로 이루어지는 제1 단자층(61)과, 제2의 경화한 도전 잉크로 이루어지는 제2 단자층(62)이 서로 직접적으로 중첩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1 단자층(61)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세선의 메시를 형성하고, 제2 단자층(62)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세선의 메시를 형성하고 있다.
제1 단자층(61)의 제1 세선의 메시와 제2 단자층(62)의 제2 세선의 메시는 각각 1쌍의 주기 방향과 그것들에 각 대응하는 1쌍의 격자 주기를 갖는 격자 패턴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제1 세선의 메시의 격자 패턴의 1쌍의 주기 방향과 제2 세선의 메시의 격자 패턴의 1쌍의 주기 방향은 상호 동일하게 되어 있고, 또한 제1 세선의 메시의 격자 패턴의 1쌍의 격자 주기와 제2 세선의 메시의 격자 패턴의 1쌍의 격자 주기는 상호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세선의 메시의 격자 패턴과 제2 세선의 메시의 격자 패턴은 모두 1변의 길이가 20㎛의 정방형을 단위격자로 하고, 1쌍의 주기 방향의 격자 주기가 모두 20㎛의 격자 패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메시를 구성하는 세선의 폭은 7㎛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세선의 메시로 이루어지는 제1 단자층(61)의 폭 및 길이를 도 4a 중에 도시한 바와 같이, W1, L1로 하고, 제2 단자층(62)의 폭 및 길이를 도 4b 중에 도시한 바와 같이 W2, L2로 할 때, 이 예에서는,
L1=L2, W1>W2
로 되고, 즉 제2 단자층(62)의 폭(W2)은 제1 단자층(61)의 폭(W1)보다 좁게 되어 있다.
제1 단자층(61)에 제2 단자층(62)이 직접적으로 중첩됨으로써 외부 접속 단자(6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된다. 이 예에서는 제1 단자층(61)과 제2 단자층(62)과는 격자 패턴의 1쌍의 주기 방향에 격자 주기의 1/2 주기씩 비켜서 중첩되고, 이것에 의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자 주기가 10㎛의 세밀한 메시가 형성된 구성으로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단자층(62)의 폭(W2)을 제1 단자층(61)의 폭(W1)보다 좁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제2 단자층(62)의 인쇄시에, 인쇄 벗어남에 의해 제2 단자층(62)이 중첩 대상의 제1 단자층(61)이 아닌 인접하는 제1 단자층(61)에 접촉하여 단락한다고 하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외부 접속 단자(60)는 이 예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방성 도전 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65)을 통하여 외부 회로의 FPC(66)의 전극과 접속된다. 또한, FPC(66)의 전극의 도시는 도 6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외부 접속 단자(60)와 FPC(66)의 전극과의 접속에 사용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65)은, 예를 들면, 수지 입자에 AU 도금이 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도전 입자를 함유하는 것으로, 이 예에서는 이방성 도전 필름(65)은 10㎛ 이상의 직경을 각각 갖는 복수의 도전 입자를 함유하는 것으로 된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널의 하나의 실시예가 갖는 외부 접속 단자(60)의 구성 및 외부 접속 단자(60)와 FPC(66)의 접속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 예에서는 외부 접속 단자(60)를 종래와 같이 제1 도체층만의 단층으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고, 제1 도체층으로 이루어지는 제1 단자층(61)과 제2 도체층으로 이루어지는 제2 단자층(62)을 절연층을 통하지 않고 겹쳐 인쇄하여 2층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또한 세선의 메시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단자층(61, 62)을 동일한 격자 패턴을 갖는 것으로 하여 격자 패턴의 1쌍의 주기 방향에 격자 주기의 1/2 주기씩 비켜서 중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예에서는 외부 접속 단자(60)를 구성하는 메시는 보다 세밀한 것으로 되고, 배선 밀도가 증대하여 이방성 도전 필름(65)의 도전 입자와의 접촉면적이 증대하기 때문에, 접촉 저항을 낮출 수 있어, 전기적 접속 품질을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격자 주기가 10㎛의 메시를 이루는 외부 접속 단자(60)에 대하여, 10㎛ 이상의 직경을 갖는 도전 입자를 함유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65)을 접속에 사용하면, 도전 입자가 메시의 세선에 접촉하는 확률을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어, 접촉저항을 더한층 낮추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예에서는 격자 패턴을 이루는 제1 단자층(61)의 세선의 메시와 제2 단자층(62)의 세선의 메시를 1쌍의 주기 방향의 양쪽의 각각에서, 당해 주기 방향에 대응한 격자 주기의 1/2 주기씩 비켜서 중첩하고 있지만, 격자 패턴의 벗어남은 반드시 1/2 주기가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면, 격자 패턴의 중첩에서의 벗어남은 1쌍의 주기 방향의 각 주기 방향마다 1/4 주기 이상 3/4 주기 이하여도 된다. 또한, 제1 단자층(61)의 격자 패턴과 제2 단자층(62)의 격자 패턴이 어긋나지 않고, 중첩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고, 어긋나지 않게 중첩되는 경우여도 세선의 단면적이 2배로 증대하기 때문에, 전기 저항이 반감하는 효과가 얻어지고, 또한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층(61) 및 제2 단자층(62)이 이루는 격자 패턴의 단위격자의 형상은 정방형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마름모꼴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다음에, 센싱 영역(20) 내의 구성에 대하여, 도 7-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9는 도 6에서의 좌상부의 상세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제1 도체층의 인쇄 배선의 상세를 도시한 것으로, 센싱 영역(20)에는 제1 센서 전극(70)과 제1 더미 배선(8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센서 전극(70)은 X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섬 형상 전극(71)이 연결부(72)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전극열(73)이 Y 방향으로 복수, 병렬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고, 제1 더미 배선(80)은 센싱 영역(20)에서 제1 센서 전극(70)이 설치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제1 센서 전극(70)과 절연되어 설치되어 있다.
제1 센서 전극(70)과 제1 더미 배선(80)은 모두 세선의 메시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제1 센서 전극(70)과 제1 더미 배선(80)은 상호의 경계에 세선의 단절된 간극(91)이 형성되어 배치되면서 단일의 연속한 주기적 메시 패턴인 제1 메시 패턴(90)을 공유하고 있다. 제1 메시 패턴(90)의 단위격자는 이 예에서는 1변의 길이가 400㎛의 마름모꼴로 되어 있고, 메시를 구성하는 세선의 선폭은 7㎛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센서 전극(70)과 제1 더미 배선(80)을 절연하는 간극(91)은 20㎛ 정도로 되어 있다. 도 7에서는 이 간극(91)은 상대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8은 제2 도체층의 인쇄 배선의 상세를 나타낸 것으로, 센싱 영역(20)에는 제2 센서 전극(100)과 제2 더미 배선(110)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센서 전극(100)은 Y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섬 형상 전극(101)이 연결부(102)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전극열(103)이 X 방향으로 복수, 병렬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고, 제2 더미 배선(110)은 센싱 영역(20)에서 제2 센서 전극(100)이 설치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제2 센서 전극(100)과 절연되어 설치되어 있다.
제2 센서 전극(100)과 제2 더미 배선(110)은 모두 세선의 메시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제2 센서 전극(100)과 제2 더미 배선(110)은 상호의 경계에 세선의 단절된 간극(121)이 형성되어 배치되면서 단일의 연속한 주기적 메시 패턴인 제2 메시 패턴(120)을 공유하고 있다. 제2 메시 패턴(120)은 이 예에서는 제1 메시 패턴(90)과 동일한 메시 패턴으로 되고, 메시를 구성하는 세선이 센싱 영역(20)의 장변(21)과 이루는 각도도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간극(121)은 상대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제1 도체층의 인쇄 배선과 도 8에 도시한 제2 도체층의 인쇄 배선이 절연층을 사이에 끼고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제1 도체층의 제1 메시 패턴(90)과 제2 도체층의 제2 메시 패턴(120)은 서로 단위격자의 마름모꼴의 변을 200㎛씩 2분하는 중점에서 교차하도록 중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1변의 길이가 200㎛의 마름모꼴의 격자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싱 영역(20)의 전체면에 극히 균일하게 형성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센서 전극(70)의 전극열(73)과 제2 센서 전극(100)의 전극열(103)은 연결부(72와 102)가 서로 겹치는 위치에 위치되어 교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예에서는 제1 센서 전극(70)이 형성되는 제1 도체층의 센싱 영역(20)에는 제1 메시 패턴(90)이 일률적으로 존재하고, 제2 센서 전극(100)이 형성되는 제2 도체층의 센싱 영역(20)에도 제2 메시 패턴(120)이 일률적으로 존재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도체층 및 제2 도체층에는 모두 세선의 메시의 유무에 기인하는 시각적인 콘트라스트는 발생하지 않고, 제1 도체층과 제2 도체층이 중첩된 상태에서도 당연히 시각적인 콘트라스트는 발생하지 않아, 센싱 영역(20)의 콘트라스트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터치 패널의 생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제1 인쇄 공정
기재(10)의 일면측에, 제1 도전 잉크에 의해 센싱 영역(20)의 제1 도체층(제1 메시 패턴(90))과 제1 단자층(61)을 동시에 인쇄한다. 이때, 인출 배선(51, 52) 및 그라운드 배선(54)도 동시에 인쇄한다.
2) 제2 인쇄 공정
절연성 잉크에 의해 센싱 영역(20)의 제1 도체층 위에 절연층을 인쇄한다.
3) 제3 인쇄 공정
제2 도전 잉크에 의해 센싱 영역(20)의 제2 도체층(제2 메시 패턴(120))과 제2 단자층(62)을 동시에 인쇄한다.
4) 제4 인쇄 공정
제1 및 제2 단자층(61, 62)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접속 단자(60)가 배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 기재(10)의 일면측 전체면에 절연성 잉크에 의해 보호막을 인쇄한다.
이러한 공정에 의해 터치 패널이 생산된다. 또한, 제1 인쇄 공정에서 사용하는 제1 도전 잉크와 제3 인쇄 공정에서 사용하는 제2 도전 잉크는 은 등의 도전 입자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동일한 잉크로 되어 있고, 이 예에서는 인쇄법으로서 그라비아 옵셋 인쇄를 사용한다. 그리고 그라비아 옵셋 인쇄에서 사용하는 블랭킷을 제1 인쇄 공정과 제3 인쇄 공정에서 변경하도록 하여, 2개의 블랭킷을 번갈아 사용하도록 한다. 이것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이유 때문이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세밀한 메시의 외부 접속 단자(60)를 한 번의 인쇄로 형성하면, 극히 배선 밀도가 높은 배선 재료의 인쇄에 의해 블랭킷이 급속하게 팽윤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제1 인쇄 공정과 제3 인쇄 공정에서 블랭킷을 변경하고, 2개의 블랭킷을 번갈아 사용하는 것은 이 문제에 대처하는 것으로, 외부 접속 단자(60)를 인쇄하는데 2개의 블랭킷을 번갈아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배선 밀도의 외부 접속 단자를 1개의 블랭킷으로 인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블랭킷의 팽윤을 충분히(거의 2배로) 느리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터치 패널의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의 생산 방법에 대해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생산에 있어서 도전 잉크의 인쇄 공정이 제1 센서 전극의 인쇄 공정, 제2 센서 전극의 인쇄 공정, 인출 배선(프레임 배선)의 인쇄 공정이라는 것과 같이 3공정이 있는 경우에는, 외부 접속 단자를 3번 겹쳐 인쇄하여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Claims (10)

  1. 기재와, 상기 기재의 일면측에 정해진 센싱 영역에 형성되고, 제1의 경화한 도전 잉크로 이루어지는 제1 도체층과, 제2의 경화한 도전 잉크로 이루어지는 제2 도체층과, 그것들 사이에 배치된 절연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적층 구조; 및
    상기 기재의 상기 일면측의 상기 센싱 영역의 외측에 형성된 외부 접속 단자;
    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상기 제1의 경화한 도전 잉크로 이루어지는 제1 단자층과, 상기 제2의 경화한 도전 잉크로 이루어지는 제2 단자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단자층과 상기 제2 단자층은 서로 직접적으로 중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층은 제1 세선의 메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단자층은 제2 세선의 메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선의 메시와 상기 제2 세선의 메시는 각각 1쌍의 주기 방향과 그것들에 각각 대응하는 1쌍의 격자 주기를 갖는 격자 패턴을 갖고, 상기 제1 세선의 메시의 상기 1쌍의 주기 방향과 상기 제2 세선의 메시의 상기 1쌍의 주기 방향은 상호 동일하게 되고, 또한 상기 제1 세선의 메시의 상기 1쌍의 격자 주기와 상기 제2 세선의 메시의 상기 1쌍의 격자 주기는 상호 동일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1 세선의 메시와 상기 제2 세선의 메시는 서로 중첩되어, 상기 제1 세선의 메시와 상기 제2 세선의 메시가, 상기 1쌍의 주기 방향의 양쪽의 각각에서, 당해 주기 방향에 대응한 상기 격자 주기의 1/4 주기 이상 3/4 주기 이하의 범위의 어긋남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결합된 이방성 도전 필름을 더 구비하고,
    상기 1쌍의 격자 주기는 상호 동일하게 되고,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은 상기 격자 주기의 1/2 이상의 치수의 직경을 각각 갖는 복수의 도전 입자를 함유하고 있고,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을 통하여 외부 회로의 전극과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체층과 상기 제2 도체층은 각각 세선의 메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체층과 상기 제2 도체층은 각각 세선의 메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체층과 상기 제2 도체층은 각각 세선의 메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체층과 상기 제2 도체층은 각각 세선의 메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의 터치 패널을 생산하는 터치 패널의 생산 방법으로서,
    상기 기재의 상기 일면측에, 제1 도전 잉크에 의해 상기 제1 도체층과 상기 제1 단자층을 동시에 인쇄하는 제1 인쇄 공정과,
    절연성 잉크에 의해 상기 절연층을 인쇄하는 제2 인쇄 공정과,
    제2 도전 잉크에 의해 상기 제2 도체층과 상기 제2 단자층을 동시에 인쇄하는 제3 인쇄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의 생산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 공정은 제1 블랭킷을 사용한 그라비아 옵셋 인쇄 공정이며,
    상기 제3 인쇄 공정은 제2 블랭킷을 사용한 그라비아 옵셋 인쇄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의 생산 방법.
KR1020180128268A 2017-10-31 2018-10-25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의 생산 방법 KR102135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10778 2017-10-31
JP2017210778A JP6886907B2 (ja) 2017-10-31 2017-10-31 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の生産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494A KR20190049494A (ko) 2019-05-09
KR102135886B1 true KR102135886B1 (ko) 2020-07-20

Family

ID=66242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268A KR102135886B1 (ko) 2017-10-31 2018-10-25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의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29791B2 (ko)
JP (1) JP6886907B2 (ko)
KR (1) KR102135886B1 (ko)
CN (1) CN109725762B (ko)
TW (1) TWI6908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79133A (ja) * 2017-10-20 2019-05-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3976A (ja) * 2007-03-16 2008-10-02 Sharp Corp 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9087118A (ja) * 2007-10-01 2009-04-23 Sharp Corp 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02984A (ja) * 2008-06-18 2010-01-07 Hitachi Displays Ltd 平坦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38567B2 (ja) * 2010-12-09 2014-07-02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並びに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US9215800B2 (en) * 2010-12-09 2015-12-15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ouch panel
TW201234247A (en) * 2010-12-28 2012-08-16 Sharp Kk Touch panel,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same, as well as manufacturing method for touch panel
EP2765490B1 (en) 2011-12-16 2017-06-07 FUJIFILM Corporation Conductive sheet and touch panel
JP5995227B2 (ja) * 2011-12-23 2016-09-21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US9632634B2 (en) * 2011-12-28 2017-04-25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KR101929812B1 (ko) * 2012-01-30 2018-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조 방법
JP6140970B2 (ja) * 2012-10-12 2017-06-07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85964B1 (ko) * 2012-11-30 2020-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TW201508568A (zh) 2013-08-16 2015-03-01 Wintek Corp 觸控顯示裝置
TWM479457U (zh) 2013-11-15 2014-06-01 Liyitec Inc 具視覺效果均勻化之線電阻觸控面板的感應電極結構
KR102191575B1 (ko) * 2014-01-13 2020-1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6133660B (zh) * 2014-05-16 2019-03-22 富士胶片株式会社 触摸面板及其制造方法
KR101867749B1 (ko) * 2014-05-16 2018-06-15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용 도전 시트 및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TWI564767B (zh) 2014-08-13 2017-01-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感測結構及其製作方法
JP6240789B2 (ja) * 2014-09-08 2017-11-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導電フィル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
CN105425992A (zh) 2014-09-17 2016-03-23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和触控显示模组
JP6275618B2 (ja) 2014-10-15 2018-02-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性フィルム、それを備える表示装置及び導電性フィルムの配線パターンの評価方法
CN105589585A (zh) * 2014-10-21 2016-05-18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装置及其制造方法
TWI637297B (zh) * 2015-02-27 2018-10-01 日商藤倉股份有限公司 Wiring body, wiring board, and touch detector
WO2016151900A1 (ja) * 2015-03-20 2016-09-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透明導電フィルム、透明導電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タッチパネル
CN106155395A (zh) 2015-04-12 2016-11-23 宝宸(厦门)光学科技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接合结构
JP5974147B1 (ja) * 2015-07-31 2016-08-23 株式会社フジクラ 配線体アセンブリ、導体層付き構造体、及びタッチセンサ
JP5957132B1 (ja) * 2015-09-30 2016-07-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CN108141953A (zh) * 2015-10-19 2018-06-08 株式会社藤仓 配线体、配线基板、触摸传感器以及配线体的制造方法
JP6537960B2 (ja) 2015-12-01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絶縁層の形成方法、電子デバイスの生産方法及び電子デバイス
JP6692634B2 (ja) 2015-12-01 2020-05-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KR102637068B1 (ko) * 2016-06-01 2024-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6020557B (zh) * 2016-06-20 2020-10-0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面板、驱动方法和触控显示装置
KR101908982B1 (ko) * 2016-08-31 2018-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18163565A1 (ja) * 2017-03-06 2018-09-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性部材およびタッ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29536A1 (en) 2019-05-02
TWI690834B (zh) 2020-04-11
CN109725762B (zh) 2022-03-08
KR20190049494A (ko) 2019-05-09
JP2019082926A (ja) 2019-05-30
CN109725762A (zh) 2019-05-07
JP6886907B2 (ja) 2021-06-16
TW201918845A (zh) 2019-05-16
US11029791B2 (en)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2952B1 (ko) 터치 컨트롤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터치 컨트롤 디스플레이 스크린
KR102122957B1 (ko) 터치패널
KR102163227B1 (ko) 터치 패널을 생산하는 방법
JP2010097536A (ja) タッチパネル
CN109643189B (zh) 印刷布线
US20190121466A1 (en) Touch panel
US9323295B2 (en) Touch panel
US917955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panel
TWI557621B (zh) 觸控面板
CN107678596B (zh) 触控基板母板、触控显示屏和触控显示面板的制作方法
KR102135886B1 (ko)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의 생산 방법
CN103713781A (zh) 触控面板
TWI681325B (zh) 觸控面板
TWI669649B (zh) 電容性感測元件及其製造方法
JP6678553B2 (ja) 電子デバイス及びタッチパネル
CN104484067A (zh)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JP6037816B2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る表示装置
TWI439916B (zh) 電容式觸控板結構及其製造方法
CN107211538A (zh) 配线板的制造方法和配线板
US20220391042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JP6498816B2 (ja) 印刷配線の製造方法
CN115933914B (zh) 一种基于激光蚀刻混合工艺加工单层多点式电容屏的方法
JP2022091297A (ja) 配線基板の生産方法及び配線基板
CN111026287A (zh) 触控面板
WO2023231137A1 (zh) 触控显示面板和电子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