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044B1 - 전자 부품의 탈자 장치,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의 제조 장치, 전자 부품의 탈자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부품의 탈자 장치,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의 제조 장치, 전자 부품의 탈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044B1
KR102127044B1 KR1020180045168A KR20180045168A KR102127044B1 KR 102127044 B1 KR102127044 B1 KR 102127044B1 KR 1020180045168 A KR1020180045168 A KR 1020180045168A KR 20180045168 A KR20180045168 A KR 20180045168A KR 102127044 B1 KR102127044 B1 KR 102127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mponent
magnetic field
core
carrier tape
contin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8065A (ko
Inventor
다까노리 오사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8011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gnetising or demagnetising
    • H01F13/006Methods and devices for demagnetising of magnetic bodies, e.g. workpieces,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5/00Attaching articles to cards, sheets, strings, webs, or other carriers
    • B65B15/04Attaching a series of articles, e.g. small electrical components, to a continuous we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5Interconnecting of containers, e.g. splicing of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Package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반송하는 전자 부품의 자세에 구애되지 않고 그 전자 부품의 자기를 저감하는 것이다.
탈자 장치(13)는, 코어(81)와, 코어(81)에 권회된 코일(91)을 갖고, 코일(91)에는 교류 전류가 공급된다. 코어(81)는, 반송되는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33)(캐리어 테이프(31))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탈자 장치(13)는, 캐리어 테이프(31)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교번 자계(수직 자계, 제1 교번 자계)와, 캐리어 테이프(31)와 평행한 교번 자계(수평 자계, 제2 교번 자계)를 형성한다. 전자 부품(40)에 대하여 제1 교번 자계와, 그 제1 교번 자계와 직교하는 제2 교번 자계를 인가한다.

Description

전자 부품의 탈자 장치,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의 제조 장치, 전자 부품의 탈자 방법 {DEMAGNETIZING DEVICE OF ELECTRONIC COMPONENT, MANUFACTURING DEVICE OF TAPING ELECTRONIC COMPONENT CONTINUUM, DEMAGNETIZING METHOD OF ELECTRONIC COMPONENT}
본 발명은 전자 부품의 탈자 장치,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의 제조 장치, 전자 부품의 탈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칩 인덕터 등의 전자 부품의 제조 공정에서는, 저항값이나 임피던스값 등의 특성 검사를 실시하고,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양품으로 판정된 전자 부품을 예를 들어 캐리어 테이프에 수용한다. 이러한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전자 부품이 자기를 띠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자성체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에서는, 그 전자 부품의 검사 공정에 있어서, 전자 부품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전자 부품이 자기를 띠는 경우가 있다. 전자 부품에 있어서의 자기는, 그 전자 부품의 전기적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이 때문에, 환상의 솔레노이드를 통과시켜 전자 부품을 제거하는 방법이 각종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참조).
일본 특허 공개 평4-23910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8-67329호 공보
그러나, 상기와 같이 환상의 솔레노이드를 통과시키는 것에서는, 전자 부품의 자세가 안정되지 않기 때문에, 전자 부품의 자기가 저하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자세에 구애되지 않고 용이하게 자기를 저감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반송하는 전자 부품의 자세에 구애되지 않고 그 전자 부품의 자기를 저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전자 부품의 탈자 장치,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의 제조 장치, 전자 부품의 탈자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전자 부품의 탈자 장치는, 전자 부품을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전자 부품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에 권회되어 교류 전류가 공급되는 코일을 갖고, 상기 코어와 상기 코일에 의해, 상기 전자 부품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제1 교번 자계와, 상기 전자 부품의 반송 방향과 평행한 제2 교번 자계를 발생시킨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자 부품에 대하여 제1 교번 자계와, 그 제1 교번 자계와 직교하는 제2 교번 자계가 인가된다. 그리고, 전자 부품의 반송에 따라 제1 교번 자계와 제2 교번 자계의 자력이 서서히 저하된다. 이와 같이, 직교하는 2개의 방향의 교번 자계를 인가함과 함께 반송에 따라 교번 자계의 자력이 서서히 약해짐으로써, 잔류 자계나 통과하는 자계에 방향성을 갖는 전자 부품에 대하여, 그 전자 부품의 자기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부품의 탈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상기 전자 부품의 반송 방향을 따라 배열된 한 쌍의 자극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자극의 각각에 의해 상기 제1 교번 자계를 발생시키고, 상기 한 쌍의 자극의 사이에 상기 제2 교번 자계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자 부품의 반송로를 따라 배열된 한 쌍의 자극에 의해, 전자 부품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제1 교번 자계가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자극의 사이에, 전자 부품의 반송 방향과 평행한 제2 교번 자계가 형성된다.
상기 전자 부품의 탈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은, 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자성체부와, 도체 패턴을 적층한 코일 도체를 갖고, 상기 코일 도체가 상기 자성체부에 매설되어 부품 소체를 형성하는 적층 인덕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코일 도체를 구성하는 도체 패턴의 적층 방향에 따라, 통과하는 자계가 상이하다. 이와 같이, 코일 도체가 적층된 적층 인덕터에 대하여, 반송할 때의 자세에 구애되지 않고, 자기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부품의 탈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 수단은, 긴 변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전자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 구멍을 갖는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수용 구멍을 막는 커버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캐리어 테이프와 커버 테이프에 의해 수용된 전자 부품을, 탈자 장치에 대하여 용이하게 반송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의 제조 장치는, 긴 변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수용 구멍을 갖는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수용 구멍에 수용된 전자 부품과, 상기 수용 구멍을 막는 커버 테이프를 갖는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를 생성하는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의 제조 장치이며, 상기 전자 부품을 상기 캐리어 테이프로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자 부품의 반송 경로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 부품에 접촉시키는 한 쌍의 측정 단자의 사이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자 부품에 접촉시켜, 상기 전자 부품의 특성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를 권취하는 권취부와, 상기 반송부와 상기 권취부의 사이에 배치된 탈자 장치를 갖고, 상기 탈자 장치는, 상기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에 권회되어 교류 전류가 공급되는 코일을 갖고, 상기 코어와 상기 코일에 의해, 상기 전자 부품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제1 교번 자계와, 상기 전자 부품의 반송 방향과 평행한 제2 교번 자계를 발생시킨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자 부품의 특성 측정 시에 전자 부품에 접촉시키는 측정 단자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전자 부품이 자화된다. 특성 측정 후의 전자 부품을 캐리어 테이프에 수용하여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를 형성한 후, 이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에 대하여 탈자 장치에 의해 제1 교번 자계와 제2 교번 자계를 인가함으로써,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에 수용한 전자 부품의 자기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전자 부품의 탈자 방법은, 반송되는 전자 부품에 대하여, 상기 전자 부품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제1 교번 자계와, 상기 전자 부품의 반송 방향과 평행한 제2 교번 자계를 형성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자 부품에 대하여 제1 교번 자계와, 그 제1 교번 자계와 직교하는 제2 교번 자계가 인가된다. 그리고, 전자 부품의 반송에 따라 제1 교번 자계와 제2 교번 자계의 자력이 서서히 저하된다. 이와 같이, 직교하는 2개의 방향의 교번 자계를 인가함과 함께 반송에 따라 교번 자계의 자력이 서서히 약해짐으로써, 잔류 자계나 통과하는 자계에 방향성을 갖는 전자 부품에 대하여, 그 전자 부품의 자기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의 탈자 장치,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의 제조 장치, 전자 부품의 탈자 방법에 따르면, 반송하는 전자 부품의 자세에 구애되지 않고 그 전자 부품의 자기를 저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의 제조 장치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2는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의 제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의 (a)는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의 일부 평면도, (b)는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4의 (a), (b)는 테이핑의 설명도이다.
도 5는 탈자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의 (a), (b)는 적층 인덕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탈자 장치의 작용의 설명도이다.
도 8의 (a), (b)는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자계 강도의 설명도이다.
도 9는 테이핑된 적층 인덕터에 걸리는 자속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전자 부품의 특성 측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의 (a) 내지 (j)는 다른 탈자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첨부 도면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성 요소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구성 요소의 치수 비율은 실제의 것과, 또는 다른 도면 중의 것과 상이한 경우가 있다. 또한, 단면도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부의 구성 요소의 해칭을 생략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의 제조 장치(10)는, 반송 장치(11), 테이핑 장치(12), 탈자 장치(13), 제어 장치(14)를 갖고 있다. 제어 장치(14)는, 반송 장치(11), 테이핑 장치(12), 탈자 장치(13)를 구동 제어한다. 또한, 도 2에서는 하나의 제어 장치(14)를 도시하였지만, 각 장치에 제어 장치를 설치해도 된다.
반송 장치(11)는, 3개의 릴부(21, 22, 23)를 갖고 있다. 릴부(21)는, 캐리어 테이프(31)를 공급한다. 릴부(22)는, 커버 테이프(32)를 공급한다.
캐리어 테이프(31)는, 전자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 구멍을 갖고 있다. 테이핑 장치(12)는, 전자 부품을 캐리어 테이프(31)의 수용 구멍에 수용하고, 그 수용 구멍을 커버 테이프(32)로 폐색한다. 이에 의해, 수용 구멍에 전자 부품을 수용한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33)를 형성한다. 릴부(23)는,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33)를 권취한다. 릴부(23)는,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33)를 반송한다. 릴부(23)와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33)는 전자 부품을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구성한다. 그리고, 반송되는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33)에 의해, 전자 부품의 이동 경로를 구성한다.
탈자 장치(13)는, 테이핑 장치(12)와 릴부(2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탈자 장치(13)는, 릴부(23)에 의해 반송되는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33)에 수용된 전자 부품을 탈자 처리한다.
전자 부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부품(40)은 부품 소체(41)와 외부 전극(42, 43)을 갖고 있다. 부품 소체(41)는 대략 직육면체상이다. 예를 들어, 부품 소체(41)는 정사각기둥상이다. 또한, 「대략 직육면체」에는, 코너부나 능선부가 모따기된 직육면체나, 코너부나 능선부가 둥글게 된 직육면체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자 부품(40)은 적층 인덕터이다.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품 소체(41)는 자성체부(51)와 코일 도체(도체부)(52)를 갖고 있다. 코일 도체(52)는 자성체부(51)에 매설되어 있다. 코일 도체(52)의 양단에는 인출 전극(53, 54)이 형성되어 있다. 인출 전극(53, 54)은 외부 전극(42, 4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자성체부(51)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철(Fe), 니켈(Ni), 아연(Zn) 및 구리(Cu)의 각 성분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한 페라이트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코일 도체(52)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Cu를 주성분으로 한 도전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외부 전극(42, 43)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Ni, Cu, 은(Ag), 팔라듐(Pd), 금(Au), Ag-Pd 합금 등의 적당한 도전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부품 소체(41)는, 예를 들어 판상의 자성체를 적층하여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페라이트 등의 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시트(예를 들어, 그린 시트)를 작성하고, 시트의 소정 위치에 비아 홀을 형성한 후, 시트의 상면에, 구리(Cu) 등의 도전성 재료에 의해 코일 패턴(도체 패턴)(52a)을 형성한다. 소정의 코일 패턴(52a)을 형성한 시트와, 코일 도체를 형성하지 않은 시트를 적층하고, 소정의 압력으로 압착하고, 소정 사이즈로 커트하여 적층체를 얻는다. 이 적층체를 소정 온도(예를 들어, 900도)에서 소성하여 부품 소체(41)를 얻는다. 부품 소체(41)의 양 단부면에 도전 재료를 도포하고, 소정 온도(예를 들어 700도)에서 베이킹하여 외부 전극(42, 43)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한 전자 부품(40)에 있어서, 적층 방향(코일 도체(52)를 구성하는 복수의 코일 패턴(52a)이 적층된 방향)을 두께 방향 T라고 하고, 적층한 시트의 면과 평행한 짧은 변 방향을 폭 방향 W라고 한다. 그리고, 두께 방향 T 및 폭 방향 W와 직교하는 방향, 즉 대략 직육면체상의 전자 부품(40)의 긴 변 방향을 길이 방향 L이라고 한다.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3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33)는, 수용 구멍(31a)을 갖는 캐리어 테이프(31)와, 캐리어 테이프(31)의 상면에 배치된 커버 테이프(32)와, 각 수용 구멍(31a)에 수용된 전자 부품(40)을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의 캐리어 테이프(31)는, 수용 구멍(31a)이 관통되어 형성된 베이스 테이프(31b)와, 베이스 테이프(31b)의 하면에 설치된 보텀 테이프(31c)를 갖고 있다. 또한, 베이스 테이프(31b)와 보텀 테이프(31c)를 일체로 한 캐리어 테이프를 사용해도 된다.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 구멍(31a)은, 캐리어 테이프(31)의 긴 변 방향(도 3의 (a)의 좌우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수용 구멍(31a)은, 캐리어 테이프(31)의 폭 방향(도 3의 (a)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33)는, 긴 변 방향의 일방향(예를 들어, 도 3의 (a)의 좌측 방향)으로 반송된다. 수용 구멍(31a)은,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33)의 주면(상면)으로부터 보아,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33)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테이핑 장치(1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핑 장치(12)는 볼 피더(61), 리니어 피더(62), 반송 기구(63)를 갖고 있다.
볼 피더(61)에는, 복수의 전자 부품(40)이 수용된다. 볼 피더(61)는, 진동함으로써 리니어 피더(62)에 전자 부품(40)을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리니어 피더(62)는, 진동함으로써, 볼 피더(61)로부터 공급된 전자 부품(40)을 반송 기구(63)에 공급한다.
반송 기구(63)는,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반송 테이블(64)을 갖고 있다. 반송 기구(63)는, 반송 테이블(64)에 의해, 전자 부품(40)을 캐리어 테이프(31)로 반송한다.
반송 테이블(64)은, 복수의 오목부(65)를 갖고 있다. 반송 테이블(64)은 원판상이며, 복수의 오목부(65)는, 각각 반송 테이블(64)의 직경 방향 외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오목부(65)는, 반송 테이블(64)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오목부(65)는, 반송 테이블(64)의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각 오목부(65)는, 반송 테이블(64)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축(C)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각 오목부(65)는, 평면에서 보아(반송 테이블(64)의 중심축(C)의 방향으로부터 보아)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65)는, 전자 부품(40)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반송 테이블(64)의 오목부(65)에는, 포지션(P1)에 있어서, 리니어 피더(62)로부터 전자 부품(40)이 넣어진다. 포지션(P1)에 있어서, 오목부(65)에 넣어진 전자 부품(40)은, 반송 테이블(64)이 회전함으로써,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을 따라 반송된다. 전자 부품(40)은 포지션(P5)까지 반송된다. 전자 부품(40)은, 이 포지션(P5)에 있어서, 반송 테이블(64)로부터 캐리어 테이프(31)의 수용 구멍(31a)에 수용된다.
포지션(P1)부터 포지션(P5)까지의 반송 경로에 위치하는 포지션(P2)에는, 저항값 측정부(6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저항값 측정부(66)에 있어서, 오목부(65)에 수용되어 있는 전자 부품(40)의 저항값이 측정된다. 측정된 전자 부품(40)의 저항값은, 도 2에 도시하는 제어 장치(14)에 출력된다.
반송 경로에 있어서, 포지션(P2)과 포지션(P5)의 사이에 위치하는 포지션(P3)에는, 임피던스 측정부(6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임피던스 측정부(67)에 있어서, 오목부(65)에 수용되어 있는 전자 부품(40)의 임피던스값이 측정된다. 측정된 전자 부품(40)의 임피던스값은, 도 2에 도시하는 제어 장치(14)에 출력된다.
도 10은, 전자 부품(40)의 특성 측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부품(40)의 외부 전극(42, 43)에 측정 단자(T1, T2)를 소정의 압박력으로 접촉시켜, 전자 부품(40)의 특성값을 측정한다. 이때, 전기 클리닝 처리를 실시한다. 전기 클리닝 처리는, 측정 단자(T1, T2)와 전자 부품(40)의 외부 전극(42, 43)의 사이의 접촉성을 안정화하기 위한 처리이다. 측정 단자(T1, T2)의 표면이나 외부 전극(42, 43)의 표면에 이물의 부착이나 산화막 등의 피막이 있으면, 측정 단자(T1, T2)와 외부 전극(42, 43)의 접촉성이 불안정해진다. 이 때문에, 측정 단자(T1, T2)의 사이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외부 전극(42, 43)에 측정 단자(T1, T2)를 접촉시켜, 측정 단자(T1, T2)와 외부 전극(42, 43)의 사이에 방전 현상이 발생한다. 이 방전 현상에 의해, 피막(예를 들어, 주석 도금 산화막)이나 표면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한다. 이에 의해, 측정 단자(T1, T2)와 외부 전극(42, 43)의 사이의 접촉성이 안정화된다.
또한, 도 10에서는 2개의 측정 단자(T1, T2)를 도시하고 있지만, 측정 단자의 수는, 측정하는 특성에 따라 변경된다. 예를 들어, 저항값 측정부(66)에서는, 4개의 측정 단자를 사용한 4단자법에 의해 저항값을 측정한다. 또한, 임피던스 측정부(67)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측정 단자(T1, T2)를 사용하여 임피던스값을 측정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경로에 있어서, 포지션(P3)과 포지션(P5)의 사이에 위치하는 포지션(P5)에는, 선별부(68)가 설치되어 있다. 선별부(68)는, 도 2에 도시하는 제어 장치(14)에 접속되어 있다. 선별부(68)는, 제어 장치(14)의 지시에 기초하여, 전자 부품(40)을 선별한다.
제어 장치(14)는, 저항값 측정부(66)로부터 출력된 저항값과, 임피던스 측정부(67)로부터 출력된 임피던스값에 기초하여, 전자 부품(40)의 양부를 판정한다. 그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14)는, 양품으로 판정된 전자 부품(40)을 선별부(68)에 선별시켜, 그대로 반송을 계속시키고, 불량품으로 판정된 전자 부품(40)을 선별부(68)에 의해 반송 테이블(64)로부터 제거시킨다.
예를 들어, 선별부(68)는 도시하지 않은 흡인 펌프를 갖고 있다. 흡인 펌프는, 반송 테이블(64)에 형성된 흡인 구멍과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반송 테이블(64)은, 전자 부품(40)을 흡착 보유 지지한다. 선별부(68)는, 포지션(P4)에 있어서, 양품으로 판정된 전자 부품(40)의 흡착 보유 지지를 계속한다. 한편, 선별부(68)는, 포지션(P4)에 있어서, 불량품으로 판정된 전자 부품(40)의 흡착 보유 지지를 정지하고, 흡인 구멍에 정압을 부여한다. 이에 의해, 전자 부품이 오목부(65)로부터 배제된다. 따라서, 포지션(P4)을 통과하여 포지션(P5)으로 반송되는 전자 부품(40)은, 모두 양품으로 판정되게 된다.
반송 테이블(64)에 의해 반송된 전자 부품(40)은, 포지션(P5)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31)의 수용 구멍(31a)에 수용된다. 캐리어 테이프(31)에는, 긴 변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수용 구멍(31a)이 형성되어 있다. 캐리어 테이프(31)는, 반송 테이블(64)의 오목부(65)가 포지션(P5)에 위치하고 있을 때, 그 오목부(65)와 수용 구멍(31a)이 겹치도록 위치 결정된다. 그 상태에서, 전자 부품(40)이 반송 테이블(64)의 오목부(65)로부터 캐리어 테이프(31)의 수용 구멍(31a)에 수용된다.
그 후, 캐리어 테이프(31)가 긴 변 방향을 따라 도 1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전자 부품(40)이 수용되어 있지 않은 별도의 오목부(65)가 포지션(P5)에 위치하는 오목부(65)와 겹치도록 배치되고, 전자 부품(40)이 수용 구멍(31a)에 수용된다. 이들 공정이 반복하여 행해짐으로써, 캐리어 테이프(31)의 복수의 수용 구멍(31a)에 전자 부품(40)이 순차적으로 수용된다.
반송되는 캐리어 테이프(31)의 밑에는, 마그네트 레일(69)이 배치되어 있다. 마그네트 레일(69)은, 캐리어 테이프(31)의 수용 구멍(31a)에 수용된 전자 부품(40)을 자력에 의해 흡인한다.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부품(40)은, 마그네트 레일(69)에 의해 자기적으로 흡인되어, 수용 구멍(31a)의 저면에 밀착된다. 즉, 마그네트 레일(69)은, 수용 구멍(31a) 내에 있어서의 전자 부품(40)의 자세를 안정화한다. 도 4의 (a)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31)의 상방에는, 반송 커버(70)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부품(40)의 자세가 기울거나, 수용 구멍(31a)으로부터 튀어나와 반송 커버(70)에 접촉하거나 하지 않고, 캐리어 테이프(3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 레일(69)은, 수용 구멍(31a)에 있어서, 전자 부품(40)의 이동을 억제한다. 이에 의해, 전자 부품(40)이나 캐리어 테이프(31)의 데미지(손상)를 억제하고,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33)의 품질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그 후, 캐리어 테이프(31) 상에, 복수의 수용 구멍(31a)을 덮는 커버 테이프(32)가 배치된다. 또한, 도 1에서는, 캐리어 테이프(31)와 전자 부품(40)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커버 테이프(32)가 생략되어 있다. 커버 테이프(32)는, 예를 들어 가열 등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31)에 밀착된다. 이 결과, 캐리어 테이프(31)와, 커버 테이프(32)와, 수용 구멍(31a)에 수용된 전자 부품(40)을 갖는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33)가 생성된다.
반송되는 캐리어 테이프(31)는, 탈자 장치(13)의 상방을 통과하고, 도 2에 도시하는 릴부(23)에 의해 권취된다. 탈자 장치(13)는, 캐리어 테이프(31)의 수용 구멍(31a)에 수용된 전자 부품(40)을 탈자 처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부품(40)의 부품 소체(41)는, 자성체부(51)를 갖고 있다. 자성체부(51)는, 상술한 측정에 있어서의 전기 클리닝 처리에 의해 부품 소체(41)(도 6의 (b) 참조)에 흐르는 전류, 마그네트 레일(69)의 자력 등에 의해 자화된다. 자성체부(51)의 자화, 즉 자성체부(51)에 잔류하는 자계는, 전자 부품(40)의 특성(임피던스값)을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전자 부품(40)으로서 적층 인덕터에서는, 자성체부(51)의 자화에 의해 임피던스값이 낮아진다. 예를 들어, 출하 후에 어떠한 요인에 의해 자성체부(51)의 자계가 저하되면, 임피던스값이 높아진다. 즉, 전자 부품(40)에 있어서의 특성(임피던스값)의 변화를 초래한다. 이 때문에, 탈자 장치(13)에 의해 자성체부(51)의 자계를 저감하고, 특성(임피던스값)의 변화를 억제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탈자 장치(13)는 코어(81)와 코일(91)을 갖고 있다. 코어(81)는, 반송되는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33)(캐리어 테이프(31))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전자 부품(40)을 도시하기 위해, 커버 테이프를 생략하고 있다. 코어(81)는, 2개의 자극(82, 83)을 갖고, 예를 들어 U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코어(81)는,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자극부(84, 85)와, 한 쌍의 자극부(84, 85)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86)를 갖고 있다. 코일(91)은, 한 쌍의 자극부(84, 85) 중 한쪽의 자극부(85)에 권회되어 있다. 또한, 자극부(84)에 코일(91)을 권회해도 된다. 그리고, 한 쌍의 자극부(84, 85)의 선단면(상단부면)이 코어(81)의 자극(82, 83)으로 된다.
코어(81)는, 2개의 자극(82, 83)을, 캐리어 테이프(31)의 반송 방향을 따라 병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코어(81)는, 2개의 자극(82, 83)이 캐리어 테이프(31)의 주면(하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코어(81)의 자극(82, 83)과 캐리어 테이프(31)의 사이의 거리는, 예를 들어 5 내지 10mm의 범위로 할 수 있다. 2개의 자극(82, 83)의 사이의 거리(자극(82, 83)의 중심간 거리)는, 예를 들어 70mm로 할 수 있다.
코어(81)에는 코일(91)이 권취 장착되어 있다. 코일(91)은, 도시하지 않은 전원 장치에 접속되고, 그 전원 장치로부터 교류 전류가 공급된다. 교류 전류가 공급되는 코일(91)은, 코어(81)의 2개의 자극(82, 83)의 사이에 교번 자계를 발생시킨다. 전원 장치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하는 제어 장치(14)에 포함된다. 또한, 제어 장치(14)와 별도로 전원 장치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31)에 대응하여 배치된 2개의 자극(82, 83)은 각각, 캐리어 테이프(31)를 그 캐리어 테이프(31)의 두께 방향으로 통과하는 교번 자계(수직 자계, 제1 자계)를 형성한다. 또한, 캐리어 테이프(3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된 2개의 자극(82, 83)은, 캐리어 테이프(31)의 반송 방향과 평행한 교번 자계(수평 자계, 제2 자계)를 형성시킨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탈자 장치(13)는, 캐리어 테이프(31)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교번 자계(수직 자계)와, 캐리어 테이프(31)와 평행한 교번 자계(수평 자계)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전원 장치로서 단상 200V, 60Hz의 교류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교류 전원에 의해, 탈자 장치(13)는, 자속 밀도가 0 내지 90mT(밀리테슬라)의 자계를 발생시킨다. 또한, 캐리어 테이프(31)에 있어서, 30 내지 75mT의 범위의 자속 밀도의 자계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45mT 이상의 자속 밀도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60mT의 자속 밀도가 있으면 보다 바람직하다. 캐리어 테이프(31)의 반송 속도로서는, 예를 들어 40 내지 140mm/sec로 할 수 있다.
(작용)
탈자 장치(13)는, 캐리어 테이프(31)에 대하여 수직인 교번 자계와 수평인 교번 자계를 형성한다.
도 8의 (a) 및 도 8의 (b)는, 캐리어 테이프(31)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탈자 장치(13)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의 강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의 (a)는, 캐리어 테이프(31)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31)에 대하여 수평으로 형성되는 교번 자계의 강도를 도시한다. 교번 자계의 강도란, 교류를 인가하였을 때의 최대의 자계의 크기를 의미한다. 도 8의 (a)에 있어서, 실선은, 코일(91)이 권취 장착되어 있는 측의 코어(81)의 자극면으로부터 발생하고, 코일(91)이 권취 장착되어 있지 않은 코어(81)측의 자극면에 수렴되는 교번 자계의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a)에 있어서, 파선은, 코일(91)이 권취 장착되어 있지 않은 측의 코어(81)의 자극면으로부터 발생하고, 코일(91)이 권취 장착되어 있는 측의 코어(81)의 자극면에 수렴되는 교번 자계의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b)는, 캐리어 테이프(31)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31)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는 교번 자계의 강도를 도시한다. 도 8의 (b)에 있어서, 실선은, 코일(91)이 권취 장착되어 있는 측의 코어(81)의 자극면으로부터 발생하고, 코일(91)이 권취 장착되어 있지 않은 코어(81)측의 자극면에 수렴되는 교번 자계의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b)에 있어서, 파선은, 코일(91)이 권취 장착되어 있지 않은 측의 코어(81)의 자극면으로부터 발생하고, 코일(91)이 권취 장착되어 있는 측의 코어(81)의 자극면에 수렴되는 교번 자계의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a) 및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교번 자계의 강도는, 캐리어 테이프(31)에 반송 방향을 따라 탈자 장치(13)의 코어(81)의 2개의 자극(82, 83)(도면에 있어서 세로의 파선으로 나타냄)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약해진다. 이에 의해, 전자 부품(40)을 구성하는 자성체부(51)의 자기는, 교번 자계의 변화에 수반하여 반전을 반복하면서 감쇠된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전자 부품(40)과 같이, 적층된 복수의 도체 패턴을 포함하는 전자 부품에서는, 복수의 도체 패턴의 적층 방향에 따라, 전자 부품을 통과하는 자력이 상이하다. 이 때문에, 전자 부품을 환상의 코일에 통과시키는 탈자 장치의 경우, 전자 부품의 자세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자력이 상이하며, 자기가 감쇠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31)의 수용 구멍(31a)에는, 전자 부품(40)이 수용되어 있다. 전자 부품(40)은, 적층된 코일 패턴(52a)에 의한 코일 도체(52)를 갖고 있다. 도 9에서는, 코일 도체(52)(코일 패턴(52a))를 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있어서 좌측에 도시하는 전자 부품(40)은, 코일 도체(52)(코일 패턴(52a))가 캐리어 테이프(31)의 두께 방향(도 9의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수용 구멍(31a)에 수용되어 있다. 한편, 도 9에 있어서 우측에 도시하는 전자 부품(40)은, 코일 도체(52)(코일 패턴(52a))가 캐리어 테이프(31)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도 9의 좌우 방향)을 따르도록 수용 구멍(31a)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커버 테이프가 생략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정사각기둥상이나 정사각기둥상에 가까운(두께 방향 LT의 길이와 폭 방향 LW의 길이가 거의 동등한) 전자 부품(40)에서는, 두께 방향 LT와 폭 방향 LW의 판정이 어려우므로, 전자 부품(40)의 자세를 통일시켜 캐리어 테이프(31)에 수용하기는 어렵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탈자 장치(13)는, 캐리어 테이프(31)에 대하여 수직인 교번 자계와, 캐리어 테이프(31)에 대하여 평행한 교번 자계를 형성한다. 즉, 도 9에 도시하는 2개의 전자 부품(40)의 각각에 있어서, 코일 도체(52)와 평행한 자계와, 코일 도체(52)와 수직인 자계가 인가된다. 따라서, 캐리어 테이프(31)에 수용된 전자 부품(40)의 자세에 상관없이, 자기가 감쇠된다. 이 때문에, 자세에 따라 자기의 영향이 상이한 전자 부품(40)에 대하여, 자세를 정렬시키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캐리어 테이프(31)에 수용하는, 즉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33)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1)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의 제조 장치(10)는, 테이핑 장치(12)와 반송 장치(11)(릴부(23))의 사이에 배치된 탈자 장치(13)를 갖고 있다. 테이핑 장치(12)는, 캐리어 테이프(31)의 수용 구멍(31a)에 전자 부품(40)을 수용하고, 그 수용 구멍(31a)을 커버 테이프(32)로 막아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33)를 생성한다. 릴부(23)는,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33)를 반송한다.
탈자 장치(13)는, 코어(81)와, 코어(81)에 권회된 코일(91)을 갖고, 코일(91)에는 교류 전류가 공급된다. 코어(81)는, 반송되는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33)(캐리어 테이프(31))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탈자 장치(13)는, 캐리어 테이프(31)에 대하여 수직 방향인 교번 자계(수직 자계, 제1 교번 자계)와, 캐리어 테이프(31)와 평행한 교번 자계(수평 자계, 제2 교번 자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전자 부품(40)에 대하여 제1 교번 자계와, 그 제1 교번 자계와 직교하는 제2 교번 자계가 인가된다. 그리고, 전자 부품(40)의 반송에 따라 제1 교번 자계와 제2 교번 자계의 자력이 서서히 저하된다. 이와 같이, 직교하는 2개의 방향의 교번 자계를 인가함과 함께 반송에 따라 교번 자계의 자력이 서서히 약해짐으로써, 전자 부품(40)의 자세에 상관없이, 그 전자 부품(40)의 자기를 저감할 수 있다.
(2) 탈자 장치(13)의 코어(81)는 한 쌍의 자극(82, 83)을 갖고, 그들 한 쌍의 자극(82, 83)은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33)의 반송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91)에 교류 전류가 인가되면, 한 쌍의 자극(82, 83)의 각각의 위치에서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33)에 수직인 교번 자계를 발생시킴과 함께, 한 쌍의 자극(82, 83)의 사이에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33)와 평행한 교번 자계를 발생시킬 수 있다.
(3) 전자 부품(40)은, 복수의 코일 패턴(도체 패턴)(52a)을 적층하여 형성된 코일 도체(52)를 갖고 있다. 이 전자 부품(40)은, 코일 도체(52)(코일 패턴(52a))의 적층 방향에 따라, 통과하는 자력이 상이하다. 이 전자 부품(40)에 대하여 서로 직교하는 교번 자계(수직 자계와 수평 자계)를 인가한다. 이 결과, 잔류 자계나 통과하는 자계에 방향성을 갖는 전자 부품(40)에 대하여, 그 전자 부품(40)의 자기를 저감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이하의 형태로 실시해도 된다.
ㆍ상기 실시 형태에 대하여, 코어의 형상을 적절하게 변경해도 된다.
도 11의 (a)는 상기 실시 형태의 코어(81) 및 코일(91)의 개략을 도시한다. 이에 대해,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자극부(102, 103)와, 자극부(102, 103)를 연결하는 연결부(104)를 갖고, H자상으로 형성된 코어(101)를 사용해도 된다.
도 11의 (c) 및 도 11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86, 104)에 코일(91)을 권회해도 된다.
도 11의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자극부(112, 113)가 서로 접속되며, 연결부를 갖고 있지 않은, V자상의 코어(111)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도 11의 (f) 내지 도 11의 (j)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극으로 되는 단부면이 원형인 코어(121 내지 125)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자극으로 되는 단부면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이나 오각형 이상의 다각 형상으로 해도 된다.
ㆍ상기 실시 형태에 대하여, 코어에 권회하는 코일의 수를 2개 이상으로 해도 된다.
ㆍ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33)의 하방에 탈자 장치(13)를 배치하였지만,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33)의 상방에 탈자 장치(13)를 배치해도 된다.
10: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의 제조 장치
11: 반송 장치
12: 테이핑 장치
13: 탈자 장치
14: 제어 장치
33: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
40: 전자 부품
81: 코어
82, 83: 자극
91: 코일

Claims (7)

  1. 전자 부품을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전자 부품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에 권회되어 교류 전류가 공급되는 코일
    을 갖고,
    상기 반송 수단은, 긴 변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전자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 구멍을 갖는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수용 구멍을 막는 커버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하측(下側)이며, 상기 전자 부품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코어 및 상기 코일의 상류측(上流側)에 마그네트 레일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마그네트 레일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전자 부품을 자기적으로 흡인하여 수용 구멍 내의 저면에 밀착시키고,
    상기 코어와 상기 코일에 의해, 상기 전자 부품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제1 교번 자계와, 상기 전자 부품의 반송 방향과 평행한 제2 교번 자계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의 탈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상기 전자 부품의 반송 방향을 따라 배열된 한 쌍의 자극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자극의 각각에 의해 상기 제1 교번 자계를 발생시키고, 상기 한 쌍의 자극의 사이에 상기 제2 교번 자계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의 탈자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은, 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자성체부와, 도체 패턴을 적층한 코일 도체를 갖고, 상기 코일 도체가 상기 자성체부에 매설되어 부품 소체를 형성하는 적층 인덕터인, 전자 부품의 탈자 장치.
  4. 긴 변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수용 구멍을 갖는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수용 구멍에 수용된 전자 부품과, 상기 수용 구멍을 막는 커버 테이프를 갖는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를 생성하는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의 제조 장치이며,
    상기 전자 부품을 상기 캐리어 테이프로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자 부품의 반송 경로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 부품에 접촉시키는 한 쌍의 측정 단자의 사이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자 부품에 접촉시켜, 상기 전자 부품의 특성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를 권취하는 권취부와,
    상기 반송부와 상기 권취부의 사이에 배설된 탈자 장치를 갖고,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하측이며, 상기 전자 부품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탈자 장치의 상류측에 마그네트 레일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마그네트 레일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전자 부품을 자기적으로 흡인하여 수용 구멍 내의 저면에 밀착시키고,
    상기 탈자 장치는, 상기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에 권회되어 교류 전류가 공급되는 코일을 갖고, 상기 코어와 상기 코일에 의해, 상기 전자 부품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제1 교번 자계와, 상기 전자 부품의 반송 방향과 평행한 제2 교번 자계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의 제조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45168A 2017-04-20 2018-04-18 전자 부품의 탈자 장치,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의 제조 장치, 전자 부품의 탈자 방법 KR1021270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83858 2017-04-20
JP2017083858A JP6610605B2 (ja) 2017-04-20 2017-04-20 電子部品の脱磁装置、テーピング電子部品連の製造装置、電子部品の脱磁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065A KR20180118065A (ko) 2018-10-30
KR102127044B1 true KR102127044B1 (ko) 2020-06-25

Family

ID=63939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168A KR102127044B1 (ko) 2017-04-20 2018-04-18 전자 부품의 탈자 장치,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의 제조 장치, 전자 부품의 탈자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610605B2 (ko)
KR (1) KR102127044B1 (ko)
CN (1) CN10873542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85508B (zh) * 2020-05-25 2022-01-18 宁波保诚电气有限公司 一种绕线机
CN114162391A (zh) * 2022-02-11 2022-03-11 联钢精密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具有防空料、叠料功能的检测包装机
CN115535340A (zh) * 2022-09-23 2022-12-30 浙江骐盛电子有限公司 一种电阻包装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4069A (ja) * 2003-08-19 2005-03-10 Shimonishi Seisakusho:Kk 脱磁器及び脱磁器を具備する搬送装置
JP2016009802A (ja) * 2014-06-25 2016-01-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方向識別方法、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方向識別装置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63500U (ko) * 1976-06-10 1976-12-27
JPS6190406A (ja) * 1984-10-09 1986-05-08 Kanetsuu Kogyo Kk 脱磁器
JPH04239105A (ja) * 1991-01-12 1992-08-27 Taiyo Yuden Co Ltd 電子部品の消磁方法及びその装置   
JPH0867329A (ja) 1994-08-31 1996-03-12 Hyogo Nippon Denki Kk 電子部品の搬送装置
US7079345B1 (en) * 2002-01-17 2006-07-18 Maxtor Corporation Demagnetization of magnetic media for data storage device using gradually reduced magnetic field
KR101451499B1 (ko) * 2013-02-07 2014-10-17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부품 검사장치
JP6131933B2 (ja) * 2014-01-10 2017-05-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テーピング電子部品連の製造装置、テーピング電子部品連の製造方法、電子部品の搬送装置、電子部品の搬送方法及びテーピング電子部品連
US9714921B2 (en) * 2014-06-25 2017-07-25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ethod of identifying direction of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apparatus identifying direction of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JP6500880B2 (ja) * 2016-11-28 2019-04-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の選別方法、電子部品の選別装置、テーピング電子部品連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4069A (ja) * 2003-08-19 2005-03-10 Shimonishi Seisakusho:Kk 脱磁器及び脱磁器を具備する搬送装置
JP2016009802A (ja) * 2014-06-25 2016-01-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方向識別方法、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方向識別装置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82226A (ja) 2018-11-15
KR20180118065A (ko) 2018-10-30
JP6610605B2 (ja) 2019-11-27
CN108735422A (zh) 2018-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044B1 (ko) 전자 부품의 탈자 장치, 테이핑 전자 부품 연속체의 제조 장치, 전자 부품의 탈자 방법
JP5929401B2 (ja) 平面コイル素子
US891037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magnetic component
US20130249664A1 (en) Planar coil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TWI459414B (zh) 耦合電感
WO2011149523A1 (en) Planar inductor devices
US7564335B1 (en) Transformer hook mount
JP2015032761A (ja) 巻線型電子部品のコア、巻線型電子部品及び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WO2011149520A1 (en) Planar inductor devices
CN108114915B (zh) 电子部件筛选方法及装置、编带电子部件串列的制造装置
JP2013532375A (ja) 平面インダクタデバイス
US20140022042A1 (en) Chip device, multi-layered chip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EP1207540B1 (en) Inductor component having a permanent magnet in the vicinity of magnetic gap
US6633219B2 (en) Coil for automated mounting
JP6107752B2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方向識別方法、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方向識別装置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KR20160043796A (ko) 칩 전자부품
JP2002110428A (ja) 巻線型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KR20140102120A (ko) 적층 코일 부품
JP2020102491A (ja) 積層コイル部品
KR101187489B1 (ko) 멀티 트랜스포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357259B1 (ko) 태양광 발전용 전류센서 및 그 전류센서 제조방법
US20190214184A1 (en) Inductor with coil conductor formed by conductive material
KR102505437B1 (ko) 권선형 인덕터 및 이의 제작 방법
JP2003272922A (ja) コイル封入圧粉磁芯及びその製造方法
TWI624843B (zh) Inductive component assembly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