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259B1 - 태양광 발전용 전류센서 및 그 전류센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용 전류센서 및 그 전류센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259B1
KR101357259B1 KR1020120056266A KR20120056266A KR101357259B1 KR 101357259 B1 KR101357259 B1 KR 101357259B1 KR 1020120056266 A KR1020120056266 A KR 1020120056266A KR 20120056266 A KR20120056266 A KR 20120056266A KR 101357259 B1 KR101357259 B1 KR 101357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urrent
winding
current sensor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2127A (ko
Inventor
연교흠
손대락
김시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산업
Priority to KR1020120056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259B1/ko
Publication of KR20130132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02S50/10Testing of PV devices, e.g. of PV modules or single PV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0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 G01R15/202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using Hall-effec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52Manufacturing aspects; Manufacturing of single devices, i.e. of semiconductor magnetic sensor ch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Abstract

태양광 발전용 전류센서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는 갭이 형성된 코어, 그 코어의 갭에 위치하며 피측정 전류인 제1전류에 의한 유도자계에 비례하는 전압을 제공하는 홀소자, 홀소자에서 제공되는 전압을 증폭하고 제1전류를 제2전류로 변환하여 보상코일에 입력하는 연산증폭기 및 복수의 섹션으로 구획된 코어의 각 섹션에 권선되고, 연산증폭기로부터 입력되는 제2전류에 의해 유도자계를 상쇄하는 보상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비정질 자성 재료를 이용하여 코어를 제작하고, 그 코어를 복수의 섹션으로 구획하여 각 섹션별로 보상코일을 권선함으로써 인터 와인딩 커패시턴스(inter winding capacitance)에 의해 주파수 특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동(dynamic)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용 전류센서 및 그 전류센서 제조방법{CURRENT SENSOR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URRENT SENSOR THEREOF}
태양광 발전용 전류센서 및 그 전류센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류 센서는 일반적으로 전력장비로 취급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전기, 전자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모든 기계의 구동과 제어는 전기적 시스템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전류 센서는 산업 전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인버터, 정류기, UPS(무정전전원장치), 용접기, 엘리베이터, 무인반송차, 전동지게차, 전기자동차, 철도차량, FA 및 BA 시스템, 항공, 선박, 군수용품, 태양광 발전용 시스템 등 전류센서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전류 센서로써 전류변환기(CURRENT TRANSFORMER)(CT) 및 션트(SHUNT)(전류측정을 위한 저항체) 등을 사용하였으나 CT의 경우 전자유도방식이므로 일정 주파수대역의 교류전류 측정에 국한되어 있고 오차율이 2 - 5%대로 성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션트의 경우 대용량에서는 부피가 매우 커지고 가격이 비싸지며, 자체 발열로 인한 오차가 커진다는 점과 측정전류와 출력신호의 전기적 절연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에 치명적 손상이 미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03-002473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폐쇄 루프 타입 전류 센서가 이용되기도 하였는데 일반적인 폐쇄 루프 타입(CLOSED LOOP TYPE) 전류센서는 N-TURN의 보상코일에 피 측정전류와 비례하는 전류가 역으로 흐르게 하여 자성체(80)의 자속밀도가 발생하지 않는 제로 플럭스 포인트(ZERO FLUX POINT)에서 출력신호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폐쇄 루프 타입 전류센서의 경우 인접 코일 간의 inter winding capacitance에 의해 주파수 응답 특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비정질 자성 재료를 이용하여 코어를 제작하고, 그 코어를 복수의 섹션으로 구획하여 각 섹션별로 보상코일을 권선함으로써 인접 코일들 간의 인터 와인딩 커패시턴스(inter winding capacitance)에 의해 주파수 특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주파수 동(dynamic) 특성을 개선하는 전류센서 및 그 전류센서의 제조방법이 제시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전류센서는 갭이 형성된 코어, 코어의 갭에 위치하며 피측정 전류에 의한 유도자계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홀소자, 홀소자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증폭하고 피측정 전류를 보상전류로 변환하여 보상코일에 입력하는 연산증폭기 및 복수의 섹션으로 구획된 코어의 각 섹션에 권선되고, 연산증폭기로부터 입력되는 보상전류에 의해 유도자계를 상쇄하는 보상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상코일은 각 섹션들의 어느 한 섹션의 권선이 완료된 후 연속적으로 다음 섹션에 권선될 수 있다.
또한, 코어는 얇은 스트립(strip) 형태의 소정의 재료를 여러 겹으로 감은 후 몰딩 처리하여 복수의 섹션으로 구획된 보빈 형태로 생성되고, 갭은 코어의 소정 위치를 전기 방전 가공(Electric Discharge Machining) 방식으로 커팅(cutting)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재료는 비정질 자성재료(amorphous magnetic material)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전류센서 제조방법은 얇은 스트립(strip) 형태의 소정의 재료를 여러 겹으로 감는 단계, 여러 겹으로 감겨진 소정의 재료를 몰딩 처리하여 복수의 섹션으로 구획된 보빈 형태의 코어를 생성하는 단계, 코어의 소정의 위치를 전기 방전 가공(Electric Discharge Machining) 방식으로 커팅하여 갭을 형성하는 단계 및 구획된 코어의 각 섹션에 보상코일을 권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상코일을 권선하는 단계는 각 섹션들의 어느 한 섹션의 권선이 완료된 후 연속적으로 다음 섹션에 권선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재료는 비정질 자성재료(amorphous magnetic material)일 수 있다.
비정질 자성 재료를 이용하여 코어를 제작하고, 그 코어를 복수의 섹션으로 구획하여 각 섹션별로 보상코일을 권선함으로써 인접코일 간의 인터 와인딩 커패시턴스(inter winding capacitance)를 줄여 주파수 특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주파수 동(dynamic)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의 코어에 보상코일을 권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의 코어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센서 및 그 전류센서 제조방법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100)는 코어(110), 홀소자(130), 연산증폭기(140) 및 보상코일(150)을 포함한다.
코어(110)는 일단 및 타단이 갭(120)을 형성한다.
홀소자(130)는 코어(110)에 형성되는 갭(120)에 배치되며, 피측정 전류(I1)에 의해 코어에 유도되는 유도자계에 비례하는 전압을 제공한다. 즉, 피측정 전류(I1)가 흐를 때 코어에 유도되는 자속이 갭에 발생하면 그 자속에 상응하는 기전력을 발생하며, 발생된 기전력은 연산증폭기(140)에 입력된다.
연산증폭기(140)는 홀소자(13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받아 증폭하고 피측정 전류를 보상전류(I2)로 변환하여 보상코일(150)에 입력한다. 연산증폭기(140)의 이득(GAIN)은 무한대에 가까우며, 연산증폭기(140)로부터 출력된 전력증폭된 보상전류(I2)는 보상코일(150)에 입력되어 보상코일(150)을 통해 순간 흐르게 되고, 이는 피측정 전류(I1)와 역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코어(110)에 유도되는 유도자계를 상쇄한다.
즉, 코어(110)에 유도된 자속밀도를 '0'으로 유도하여 홀소자(130)에 의해 측정된 자속과 보상코일(150)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양이 항상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보상코일(150)을 통해 흐르는 보상전류(I2)가 피측정 전류(I1)와 동일한 형상과 비례한 값으로 되어 전류 측정 목적에 부합되는 출력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측정 전류(I1)가 흐르는 코일의 권선수가 N1 턴(turn)이고, 보상코일(150)의 권선수가 N2 턴이라면, 아래의 수식들이 성립한다.
Figure 112012042271283-pat00001

이때, 피측정 전류(I1)가 800A, N1이 1턴이고, N2가 2000턴이라면, 보상전류(I2)는 0.4A가 된다. 또한, 보상전류(I2)는 측정저항 RM을 통과하고 이때 측정저항 RM이 1Ω인 경우 측정전압 VM 은 0.4V가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보상코일(150)은 복수의 섹션(S1, S2)으로 구획된 코어(110)의 각 섹션(S1, S2)에 권선되고, 연산증폭기(140)로부터 입력되는 보상전류(I2)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유도자계를 상쇄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라 보상코일(150)의 권선방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의 코어에 보상코일을 권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일반적인 전류센서에서 코어에 권선된 보상코일을 나타낸 것이다. (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100)에서 코어(110)에 권선된 보상코일(150)을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어(110)에 보상코일(150)을 N-턴 권선할 때,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110)의 일단측에서 타단측까지 보상코일(150)을 감은 후 다시 타단측에서 일단측으로 겹쳐서 총 N-턴을 감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보상코일(150)을 감는 경우 코일 양단에 걸리는 전위차(V)가 존재할 때, 인접코일 간에 발생하는 인터 와인딩 커패시턴스(inter winding capacitance)에 의해 주파수의 동(dynamic) 특성이 떨어지게 된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상코일(150)은 복수의 섹션(S1, S2, S3, S4)으로 구획된 코어(110)의 각 섹션(S1, S2, S3, S4)마다 권선된다. 한편, 코어(110)는 복수의 섹션(S1, S2, S3, S4)으로 미리 구획되어 제작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N-턴 보상코일(150)의 경우 각 섹션마다 N/4 턴씩 권선될 수 있다. 코어(110)의 일단측에 형성된 섹션(S1)에 먼저 N-턴 보상코일(150)을 N/4 턴 감아 권선을 완료한 후, 연속적으로 다음 섹션(S2)에 N/4 턴 권선하는 방식으로 코어(110)의 타단측에 형성된 마지막 섹션(S4)까지 권선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권선 방식을 섹션 와이즈 와인딩(sectionwise winding) 방식이라 정의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섹션 와이즈 와인딩 방식에 의하면 인접 코일 간에 인터 와인딩 커패시턴스가 줄어들어 주파수 특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의 코어(110)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의 코어(110)는 얇은 스트립(strip) 형태로 이루어진 소정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 3의 (a)는 얇은 띠 모양의 소정의 재료(10)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소정의 재료(10)는 Co계열의 비정질 자성재료(amorphous magnetic material)일 수 있다. 또한, 두께는 25㎛ 정도의 매우 얇은 띠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어(110)를 두께 25㎛ 정도의 매우 얇은 Co 계열의 비정질 자성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면 와전류 특성이 개선되어 마그네틱 도메인(magnetic domain)의 이동이 쉬워진다. 이로 인해, 자기 이방성(magnetic anisotrophy)이 적어져 투자율(magnetic permeability)이 증가되고, 자기변형(magnetostriction)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주파수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투자율(magnetic permeability)은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자화할 때에 생기는 자기력선속밀도와 자기장의 진공 중에서의 세기의 비를 말하며 자기유도용량, 자기투과율이라고도 한다. 또한, 자기변형(magnetostriction)은 자기탄성의 한 현상으로 강자성 재료에 자기장을 인가할 경우 길이가 변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또한, 얇은 스트립(strip) 형태의 비정질 자성재료(10)를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겹으로 감아 비교적 단단한 보빈 형태로 만든다. 유연한 스트립 형태의 비정질 자성재료를 여러 번 감아 단단한 보빈 형태로 만들고, 보빈 형태의 비정질 자성재료(10)를 몰딩 처리하여 복수의 섹션으로 구획된 코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처럼, 표면이 거친 비정질 자성재료(10)를 여러 번 겹치게 되면 층간 절연에 효과적이다.
이렇게 생성된 코어에서 소정의 위치(20)를 커팅(cutting)하여 갭을 형성한다. 이때, 전기 방전 가공(Electric Discnarge Machining) 방식, 예컨대, 전기 방전 가공 방식 중의 하나인 와이어 커팅(wire cutting)을 통해 갭을 형성할 수 있다.
전기 방전 가공이란 전기절연성 액체(등유나 이온교환수 등)중에서 피가공재와 전극간에 펄스상 방전 전압을 주어 불꽃 방전을 반복하여, 피가공재를 전극에 맞게 제거하고, 목적한 형상으로 만드는 가공방법을 말한다. 피가공재에 도전성이 있다면, 재질, 경도, 취성에 관계없이 가공할 수 있으며, 피가공재에 압력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얇은 박과 같은 것도 변형되지 않고 가공할 수 있다. 전기 방전 가공은 특정한 형상의 전극(동이나 흑연 등)을 사용한 형조(型彫)방전 가공과 세선(細線)(동이나 텅스텐)을 전극으로 하고 그 세선을 컴퓨터로 정밀하게 제어하면서 목적한 형상을 가공하는 와이어 커트 방전 가공의 2종류가 있다.
이와 같은, 와이이 커팅 방식을 통해 갭을 형성하는 경우 매우 얇은 띠 형태의 비정질 자성재료에 압력이 걸리지 않아 변형이 발생할 염려 없이 가공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100)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얇은 스트립(strip) 형태의 소정의 재료를 여러 겹으로 감는다(단계 310).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110)를 제작하기 위해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얇은 띠 모양의 소정의 재료(10)를 이용할 수 있다. 소정의 재료(10)는 두께는 25㎛ 정도의 매우 얇은 띠 형태인 Co계열의 비정질 자성재료(amorphous magnetic material)일 수 있다.
매우 얇은 스트립(strip) 형태의 비정질 자성재료(10)를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겹으로 감아 비교적 단단한 보빈 형태로 만든다. 이처럼, 표면이 거친 비정질 자성재료(10)를 여러 번 겹치게 되면 층간 절연에 효과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어(110)를 두께 25㎛ 정도의 매우 얇은 Co 계열의 비정질 자성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면 와전류 특성이 개선되어 마그네틱 도메인(magnetic domain)의 이동이 쉬워진다. 이로 인해, 자기 이방성(magnetic anisotrophy)이 적어져 투자율(magnetic permeability)이 증가되고, 자기변형(magnetostriction)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주파수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 다음, 여러 겹으로 감겨진 보빈 형태의 소정의 재료를 몰딩 처리하여 복수의 섹션으로 구획된 보빈 형태의 코어(110)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320). 복수의 섹션으로 구획하여 몰딩하는 이유는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섹션 와이즈 와인딩 방식을 통해 보상코일(150)을 용이하게 권선하기 위함이다.
그 다음, 생성된 코어(110)의 소정 위치를 커팅하여 갭(120)을 형성할 수 있다(단계 330).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 방전 가공방식을 통해 매우 얇은 띠 형태의 비정질 자성재료를 커팅함으로써 변형을 발생하지 않고 갭을 형성할 수 있다.
그 다음, 갭(120)이 형성된 코어(110)에 구획된 각 섹션에 보상코일(150)을 권선할 수 있다(단계 340). 각 섹션에 보상코일(150)을 권선하는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섹션 와이즈 와인딩 방식에 의해 보상코일(150)을 코어(110)에 권선하면 인접 코일 간에 걸리는 인터 와인딩 커패시턴스가 줄어들어 주파수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전류센서 110: 코어
120: 갭 130: 홀소자
140: 연산증폭기 150: 보상코일

Claims (7)

  1. 갭이 형성된 코어, 상기 코어의 갭에 위치하며 피측정 전류에 의한 유도자계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홀소자, 상기 홀소자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증폭하고 상기 피측정 전류를 보상전류로 변환하여 보상코일에 입력하는 연산증폭기 및 복수의 섹션으로 구획된 코어의 각 섹션에 권선되고, 상기 연산증폭기로부터 입력되는 보상전류에 의해 상기 유도자계를 상쇄하는 보상코일을 포함하는 전류센서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얇은 스트립(strip) 형태의 소정의 재료를 여러 겹으로 감은 후 몰딩 처리하여 복수의 섹션으로 구획된 보빈 형태로 생성되고,
    상기 갭은 상기 코어의 소정 위치를 전기 방전 가공(Electric Discharge Machining) 방식으로 커팅(cutting)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코일은,
    상기 각 섹션들의 어느 한 섹션의 권선이 완료된 후 연속적으로 다음 섹션에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재료는
    비정질 자성재료(amorphous magnetic materi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
  5. 얇은 스트립(strip) 형태의 소정의 재료를 여러 겹으로 감는 단계;
    상기 여러 겹으로 감겨진 소정의 재료를 몰딩 처리하여 복수의 섹션으로 구획된 보빈 형태의 코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코어의 소정의 위치를 전기 방전 가공(Electric Discharge Machining) 방식으로 커팅하여 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획된 코어의 각 섹션에 보상코일을 권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류센서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코일을 권선하는 단계는,
    상기 각 섹션들의 어느 한 섹션의 권선이 완료된 후 연속적으로 다음 섹션에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 제조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재료는,
    비정질 자성재료(amorphous magnetic materi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 제조방법.
KR1020120056266A 2012-05-25 2012-05-25 태양광 발전용 전류센서 및 그 전류센서 제조방법 KR101357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266A KR101357259B1 (ko) 2012-05-25 2012-05-25 태양광 발전용 전류센서 및 그 전류센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266A KR101357259B1 (ko) 2012-05-25 2012-05-25 태양광 발전용 전류센서 및 그 전류센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127A KR20130132127A (ko) 2013-12-04
KR101357259B1 true KR101357259B1 (ko) 2014-02-03

Family

ID=49981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266A KR101357259B1 (ko) 2012-05-25 2012-05-25 태양광 발전용 전류센서 및 그 전류센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2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976A (ko) 2015-04-13 2016-10-21 김태용 홀 소자를 이용한 다중 출력 전류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349B1 (ko) * 2020-02-26 2021-09-07 제이앤디전자(주) 직류 전류측정 방법 및 그 장치
CN112147393B (zh) * 2020-09-07 2021-07-13 珠海多创科技有限公司 一种闭环电流传感器的设计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1395B1 (ko) 1993-12-29 1999-08-02 오카모토 유지 직류 전류 센서
KR20030024731A (ko) * 2003-02-18 2003-03-26 (주)한국센서 보상회로를 갖는 폐쇄 루프 타입 전류 센서
KR200356237Y1 (ko) 2004-04-26 2004-07-14 원규식 홀소자를 이용한 전류센서
JP2005108976A (ja) * 2003-09-29 2005-04-21 Tdk Corp トロイダル型コイル及び電流セン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1395B1 (ko) 1993-12-29 1999-08-02 오카모토 유지 직류 전류 센서
KR20030024731A (ko) * 2003-02-18 2003-03-26 (주)한국센서 보상회로를 갖는 폐쇄 루프 타입 전류 센서
JP2005108976A (ja) * 2003-09-29 2005-04-21 Tdk Corp トロイダル型コイル及び電流センサ
KR200356237Y1 (ko) 2004-04-26 2004-07-14 원규식 홀소자를 이용한 전류센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976A (ko) 2015-04-13 2016-10-21 김태용 홀 소자를 이용한 다중 출력 전류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127A (ko)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7105B2 (ja) 複合型巻線素子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変圧器、変圧システムおよびノイズカットフィルタ用複合型巻線素子
US9279836B2 (en) Device for measuring the direct component of alternating current
KR101357259B1 (ko) 태양광 발전용 전류센서 및 그 전류센서 제조방법
JP2012099739A (ja) コアセグメント、環状コイルコア及び環状コイル
US20180286550A1 (en) Soft magnetic ribbon for magnetic core, magnetic core, coil unit,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US10225967B2 (en) Noise suppression cable
EP2787515B1 (en) Inductor gap spacer
KR20160051531A (ko) 적층 자기코어를 이용한 전류센서
CN103747627A (zh) 利用印刷电路板制作电感器件的方法
US10605873B2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 magnetic core and method for detecting a saturation behavior of a magnetic core to be monitored
EP2838093B1 (en) Transformer core flux control for power management
WO2019056095A1 (en) HELICOIDAL ELECTROMAGNETIC FIELD CONCENTRATOR USING SOFT MAGNETIC MATERIALS
US20170093213A1 (en) Contactless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JP2015204406A (ja) リアクトル
JP6439594B2 (ja) ノイズ抑制ケーブル
US20220199302A1 (en) Transformer and Method of Engineering a Transformer to Incorporate a Leakage Inductance
US20140300439A1 (en) Wire rod for inductor, and inductor
JP5573447B2 (ja) ガス絶縁計器用変圧器
Gunes et al. Localized flux density distribution around a hole in non-oriented electrical steels
JP2015130540A (ja) 環状コイル
Eladawy et al. Performance Improvement of Different Resonant Inductive Couplers Used for Wireless Power Transfer
Kulkarni et al. Low loss thin film magnetics for high frequency power supplies
JP2015188029A (ja) 零相変流器
RU2393568C1 (ru) Трансформатор
KR20160150082A (ko) 적층 자기코어를 이용한 전류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