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878B1 - 워크 취출 장치 및 트랜스퍼 프레스기 - Google Patents

워크 취출 장치 및 트랜스퍼 프레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878B1
KR102121878B1 KR1020200010825A KR20200010825A KR102121878B1 KR 102121878 B1 KR102121878 B1 KR 102121878B1 KR 1020200010825 A KR1020200010825 A KR 1020200010825A KR 20200010825 A KR20200010825 A KR 20200010825A KR 102121878 B1 KR102121878 B1 KR 102121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work
horizontal direction
movable
bel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히코 코자와
마나부 스기우라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세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세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세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10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2Ej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10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grippers
    • B21D43/105Manipulators, i.e. mechanical arms carrying a gripper element having several degrees of freed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4/00Special deep-drawing arrangements in, or in connection with, presses
    • B21D24/005Multi-stag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6Feeding elongated articles, such as tub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5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specially adapted for multi-stag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1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chain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0Storage arrangements; Piling or unp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2Discharging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과제] 종래부터 트랜스퍼 프레스기의 측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까지 통형 워크를 꺼내는 것이 가능한 워크 취출 장치 및 그러한 워크 취출 장치를 구비한 트랜스퍼 프레스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개시의 워크 취출 장치(40)에서는, 통형 워크(90)를 협지하는 1쌍의 암부(50)가 1쌍의 제2 가동 베이스(44)로부터 볼스터(16)측으로 뻗어 있다. 그리고, 그들 1쌍의 제2 가동 베이스(44)가 1쌍의 제1 가동 베이스(43)에 대하여 1쌍의 개폐 구동부(52)에 의해 제2 수평 방향(H2)으로 이동됨으로써, 1쌍의 암부(50)가 개폐한다. 또한 1쌍의 제1 가동 베이스(43)는 고정 베이스(41)에 대하여 볼 나사 기구(60)에 의해 이동되어, 통형 워크(90)를 반송한다. 즉, 본 개시의 워크 취출 장치(40)에서는, 1쌍의 암부(50)에, 개폐 동작과 반송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기구 부분이 1쌍의 암부(50)로부터 떨어뜨려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워크 취출 장치 및 트랜스퍼 프레스기{A WORKPIECE TAKING-OUT APPARATUS AND A TRANSFER PRESS MACHINE}
본 개시는 트랜스퍼 프레스기의 프레스된 통형 워크를 트랜스퍼 프레스기의 램 및 볼스터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외측으로 꺼내는 워크 취출 장치, 및 그러한 워크 취출 장치를 구비하는 트랜스퍼 프레스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종래의 워크 취출 장치로서 트랜스퍼 프레스기가 가지고 있는 트랜스퍼 장치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나, 트랜스퍼 프레스기의 최종 공정의 다이의 하방에 내장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
일본 특원 2015-088297(단락 [0035]∼[0038]) 일본 특원 2016-206683(도 2)
그런데, 최근, 트랜스퍼 프레스기의 측방에 트리밍 장치 등의 다음 공정의 기계를 배치하여 트랜스퍼 프레스기를 포함한 생산 라인을 구축하고 싶다고 하는 요망이 높아져 가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워크 취출 장치에서는, 트랜스퍼 프레스기 프레임의 외측면에 대단히 가까운 위치까지밖에 통형 워크를 꺼낼 수 없다. 또한 프레임의 외측면에는, 예를 들면, 플라이휠 등의 여러 부품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의 외측면에 다음 공정의 기계를 인접시키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많다. 그래서, 종래부터 트랜스퍼 프레스기의 측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까지 통형 워크를 꺼내는 것이 가능한 워크 취출 장치 및 그러한 워크 취출 장치를 구비한 트랜스퍼 프레스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해진 청구항 1의 발명은 트랜스퍼 프레스기의 복수의 펀치가 나열되는 제1 수평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펀치에 의한 프레스된 통형 워크를 이동하고, 상기 트랜스퍼 프레스기의 램 및 볼스터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외측으로 꺼내는 워크 취출 장치로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고정 베이스와,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 베이스에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수평 방향과 직교하는 제2 수평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는 1쌍의 제1 가동 베이스와,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1쌍의 제1 가동 베이스에 지지되는 1쌍의 제2 가동 베이스와, 상기 1쌍의 제2 가동 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상기 볼스터측으로 뻗은 1쌍의 암부와, 상기 제1 가동 베이스 및 상기 제2 가동 베이스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베이스에 지지되고,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뻗은 볼 나사 및 그것에 나사결합하는 볼 너트를 가지고 있는 볼 나사 기구와, 상기 1쌍의 제1 가동 베이스와 상기 볼 너트를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이동 연결 부재와, 상기 볼 나사를 회전 구동하고, 상기 1쌍의 암부를 상기 프레임 내의 상기 통형 워크의 양 옆이 되는 전진 위치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떨어진 후퇴 위치로 이동하는 전후 구동부와, 상기 1쌍의 제2 가동 베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1쌍의 암부를, 상기 통형 워크를 협지하는 닫힘 위치와 상기 통형 워크로부터 떨어진 열림 위치로 이동하는 1쌍의 개폐 구동부와, 상기 제1 수평 방향 또는 그것에 상하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1쌍의 암부로부터 상기 통형 워크를 받고, 상기 이동 연결 부재의 하방을 통하여 상기 볼스터로부터 이간하는 쪽으로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후퇴 위치의 상기 1쌍의 암부에 협지되어 있는 상기 통형 워크를 상방으로부터 상기 반송부에 내리누르고, 상기 1쌍의 암부가 상기 통형 워크를 벗어나면 상방으로 이동하는 워크 누름부를 가지고 있는 워크 누름 장치를 구비하는 워크 취출 장치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1 실시형태에 따른 트랜스퍼 프레스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트랜스퍼 프레스기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트랜스퍼 프레스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트랜스퍼 프레스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트랜스퍼 프레스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워크 취출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7은 워크 취출 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정단면도이다.
도 8은 워크 취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 절단면에 있어서의 워크 취출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개폐 구동부의 정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제1 실시형태]
이하, 도 1∼도 10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트랜스퍼 프레스기(10)의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는, 트랜스퍼 프레스기(10)와 워크 공급 장치(100)가 연결된 프레스 시스템(120)이 도시되어 있다. 트랜스퍼 프레스기(10)는 복수의 펀치(15)를 램(14)의 하단부에 일정 피치로 수평 일렬로 나열하여 구비하고 있다. 이하, 이들 복수의 펀치(15)의 나열 방향을「제1 수평 방향(H1)」이라 하고, 제1 수평 방향(H1)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제2 수평 방향(H2)」이라 한다.
트랜스퍼 프레스기(10)의 프레임(11)은 연직으로 기립하고 또한 제1 수평 방향(H1)에서 대향하는 1쌍의 측벽(11A, 11B) 사이에 램 지지벽(도시 생략), 볼스터 지지벽(12) 등이 건너 걸쳐진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램 지지벽에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 가이드를 통하여 램(14)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1쌍의 측벽(11A, 11B) 사이에는, 램 지지벽보다 상측에 캠 샤프트(17)가 건너 걸쳐지고, 그 캠 샤프트(17)의 캠(17A)에 램(14)이 걸어맞추어져 있다.
캠 샤프트(17)의 일단부는 일방의 벽(11B)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고, 그 돌출 부분에 풀리(18A)와 도시하지 않은 타이밍 벨트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서보 모터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서보 모터에 의해 캠 샤프트(17)가 회전 구동되어, 램(14)이 상하로 왕복 이동한다. 또한 캠 샤프트(17)의 일단부에는, 전술의 풀리(18A)와 함께 플라이휠(18B)이 부착되고, 그들 플라이휠(18B) 등이 측벽(11B)의 외측면에 고정된 사이드 커버(11C)로 씌워져 있다.
볼스터 지지벽(12)은 1쌍의 측벽(11A, 11B)의 하단부의 사이에 건너 걸쳐지고, 그 상면에는 볼스터(16)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볼스터(16)의 상면에는, 복수의 다이 홀더(13H)를 통하여 복수의 다이(13)(도 3 참조)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 복수의 다이(13)와 복수의 펀치(15)가 짝이 되어 복수의 가공 스테이지(ST)가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이 홀더(13H)의 상면에는, 트랜스퍼 장치(91)가 구비되어 있다. 트랜스퍼 장치(91)에는, 복수의 가공 스테이지(ST)에 걸쳐 제1 수평 방향(H1)으로 뻗은 1쌍의 레일(92)이 구비되고, 그들 1쌍의 레일(92)이 제2 수평 방향(H2)에서 대향하고 있다. 또한 1쌍의 레일(92)에는, 복수 쌍의 핑거(94)가 대향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쌍의 핑거(94)가 각각 에어 실린더(93)를 구동원으로 하여 서로 접근 및 이간한다.
또한, 레일(92)의 길이 방향에서 이웃하는 핑거(94) 사이의 간격은 펀치(15) 사이 및 다이(13)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일정 피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램(14)의 승강 동작에 동기하여 1쌍의 레일(92)이 제1 수평 방향(H1)으로 일정 피치의 왕복 동작을 반복함과 아울러, 각 쌍의 핑거(94)가 개폐 동작을 반복하여, 통형 워크(90)가 트랜스퍼 장치(91)에 의해 도 1 및 도 2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간헐적으로 반송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워크 공급 장치(100)는 트랜스퍼 프레스기(10)에 대한 워크 반송 방향의 상류측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워크 공급 장치(100)의 프레임(107)은, 트랜스퍼 프레스기(10)의 프레임(11)과 마찬가지로, 제1 수평 방향(H1)에서 대향하는 1쌍의 측벽(107A, 107B) 사이에 램 지지벽(108S) 및 볼스터 지지벽(109S) 등이 건너걸쳐진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램 지지벽(108S)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램(108)이 도시하지 않은 서보 모터로부터의 동력을 캠 샤프트(101)를 통하여 받아 상하로 이동한다. 또, 워크 공급 장치(100)의 캠 샤프트(101)의 일단부는 트랜스퍼 프레스기(10)와 반대측의 측벽(107A)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하고, 그곳에 풀리(101A) 및 플라이휠(101B)이 연결되고 사이드 커버(102)로 씌워져 있다.
또한 워크 공급 장치(100) 중 볼스터 지지벽(109S) 위에 볼스터(109)를 통하여 지지된 다이 홀더(103)는 2단 구조를 이루고, 그 하단부의 상면은 트랜스퍼 프레스기(10)의 다이 홀더(13H)의 상면과 면일치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워크 공급 장치(100)의 다이 홀더(103)의 상단부는 하단부의 상면의 상방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도시하지 않은 다이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램(108)에 지지된 도시하지 않은 펀치와 다이에 의해 판금으로부터 블랭크재를 펀칭하고, 그 블랭크재를 다이에 통과시켜 단면 타원형의 통형 워크(90)를 형성한다. 또한 통형 워크(90)는 다이 홀더(103)의 하단부의 상면까지 밀어 내려진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트랜스퍼 프레스기(10) 및 워크 공급 장치(100)의 프레임(11, 107)의 각 측벽(11A, 11B, 107A, 107B)에는, 제1 수평 방향(H1)에 통형 워크(90)를 반송하기 위한 관통구멍(10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트랜스퍼 프레스기(10)의 전술한 트랜스퍼 장치(91)는 관통구멍(104)을 관통하여 트랜스퍼 프레스기(10)와 워크 공급 장치(100)에 걸쳐 뻗어 있다. 그리고, 워크 공급 장치(100)가 성형한 통형 워크(90)가 트랜스퍼 장치(91)에 의해 일정 피치씩 간헐적으로 트랜스퍼 프레스기(10)에 반송된다. 그 때문에, 트랜스퍼 프레스기(10)와 워크 공급 장치(100) 사이에는, 통형 워크(90)의 가공을 행하지 않고 일시 정지시키는 복수의 더미 스테이지(DST)가 구비되어 있다. 또,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트랜스퍼 장치(91) 중 1쌍의 레일(92)을 구동하는 구동부(105)는 워크 공급 장치(100) 중 트랜스퍼 프레스기(10)와 반대측의 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형 워크(90)는 워크 공급 장치(100)로부터 트랜스퍼 프레스기(10)에 공급되었을 때에는 단면 타원형을 이루고, 그것이 트랜스퍼 프레스기(10)의 복수의 가공 스테이지(ST)에서 드로잉 성형 또는 아이어닝 성형되어, 최종적으로는 단면이 가늘고 긴 장방형의 통 형상이 된다. 또한 워크 공급 장치(100)로부터 가장 떨어진 최후의 가공 스테이지(ST) 이외의 각 가공 스테이지(ST)에서는, 통형 워크(90)는 다이(13)의 성형 구멍(13A)(도 3 참조)에 밀어넣어지고 나서 다이(13)의 상방으로 이동되고, 그 후, 트랜스퍼 장치(91)에 의해 옆의 가공 스테이지(ST)로 반송된다.
이에 대하여 최후의 가공 스테이지(ST)에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형 워크(90)는 다이(13)의 하방까지 밀어넣어지고, 그곳으로부터 제1 수평 방향(H1)으로 이동되어 프레임(1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그것을 위한 워크 취출 장치(40)가 트랜스퍼 프레스기(10)의 외측면(11E)에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트랜스퍼 프레스기(10)의 모든 다이(13)의 하방에는, 다이(13)의 성형 구멍(13A)의 연장선 위에 관통구멍(110)이 형성되어, 다이 홀더(13H), 볼스터(16) 및 볼스터 지지벽(12)을 상하로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각 관통구멍(110)에 녹아웃 핀(106)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또한 각 녹아웃 핀(106)의 하방에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압축 코일 스프링 또는 실린더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통형 워크(90)와 함께 녹아웃 핀(106)이 펀치(15)에 밀려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이 압축되고, 그 탄성 반발력에 의해 통형 워크(90)의 바닥벽을 녹아웃 핀(106)이 가압하여, 바닥벽의 하방으로의 팽출을 막는다.
또한, 펀치(15)가 상승하면, 그것에 추종하여 녹아웃 핀(106)도 상승한다. 또한 최후의 가공 스테이지(ST) 이외의 각 가공 스테이지(ST)의 각 펀치(15)에는, 도시하지 않은 통 형상의 스트리퍼가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통형 워크(90)가 가공을 마치고 성형 구멍(13A) 위까지 되돌아오면, 각 스트리퍼가 통형 워크(90)의 상단부에 맞닿는다. 그리고, 펀치(15)가 더 상승하여 통형 워크(90)로부터 이탈하고, 통형 워크(90)가 트랜스퍼 장치(91)로 넘겨진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최후의 가공 스테이지(ST)에는, 다이 홀더(13H)에 1쌍의 스트리퍼(97)가 구비되어 있다. 그들 1쌍의 스트리퍼(97)는 다이 홀더(13H) 중 다이(13)보다 하방에서 제2 수평 방향(H2)으로 나열되어 설치되고, 제2 수평 방향(H2)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1쌍의 스트리퍼(97)의 대향면은 단 부착 구조를 이루고, 단차면(97D)보다 상측 부분이 하측 부분보다 돌출해 있다. 또한, 1쌍의 스트리퍼(97)는 다이 홀더(13H)의 외면측에 구비한 1쌍의 에어 실린더(96)에 의해 서로 접근한 닫힘 위치와 서로 이간한 열림 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펀치(15)가 통형 워크(90)를 스트리퍼(97)의 단차면(97D)보다 하측의 취출 대기 위치까지 밀어 넣어지면, 1쌍의 스트리퍼(97)가 닫힘 위치로 이동하여 통형 워크(90)의 상면에 단차면(97D)을 대향시킨다. 이 상태에서 펀치(15)가 상승하여 통형 워크(90)로부터 이탈한다. 이 때, 녹아웃 핀(106)이 통형 워크(90)를 밀어 올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은 래치 기구가 최후의 가공 스테이지(ST)의 볼스터 지지벽(12)에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최후의 가공 스테이지(ST)의 녹아웃 핀(106)에는, 하단부로부터 측방으로 튀어나오는 도시하지 않은 걸음 플랜지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래치 기구에는, 걸음 플랜지에 거는 위치와, 그 걸음을 해제하는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래치 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래치 부재는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고, 그 동작에 대해서는, 1쌍의 암부(50)에 의한 통형 워크(90)의 협지 동작을 아울러 뒤에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취출 대기 위치의 통형 워크(90)는 다이 홀더(13H)와 볼스터(16)에 걸쳐져 배치된다. 또한 최후의 가공 스테이지(ST)의 관통구멍(110) 중 취출 대기 위치의 통형 워크(90)가 수용되는 공간(이하, 이것을 「하방 공간(111)」이라고 함)은 다이 홀더(13H) 및 볼스터(16)의 제1 수평 방향(H1)을 향한 일측면에 개구하고 또한 측벽(11B)의 관통구멍(104)을 통하여 프레임(11)의 외측에 면해 있다. 그리고, 하방 공간(111) 내의 통형 워크(90)를 프레임(11)의 외측으로 꺼내기 위해 워크 취출 장치(40)가 사용된다.
워크 취출 장치(40)는 1쌍의 암부(50)로 통형 워크(90)를 제2 수평 방향(H2)으로부터 협지하여 하방 공간(111)의 외측으로 꺼내고, 그 통형 워크(90)를 벨트 컨베이어(51)로 프레임(11)으로부터 떨어지는 측으로 반송한다. 또한, 1쌍의 암부(50)를 취출 대기 위치의 통형 워크(90)의 양쪽 옆으로 돌입시키기 위해, 하방 공간(111)의 하부는 상부보다 넓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워크 취출 장치(40)는 1쌍의 암부(50) 및 벨트 컨베이어(51)등을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11)에 고정된 고정 베이스(41)를 가지고 있다. 고정 베이스(41)는, 예를 들면, 측벽(11B)의 외측면(11E) 중 측벽(11B)의 관통구멍(104)의 상측과 하측에 볼트로 고정되고, 측벽(11B)의 외측면(11E)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함과 아울러, 고정 베이스(41)의 일부는 관통구멍(104)의 내부로 돌입해 있다.
또한, 고정 베이스(41)는 측벽(11B)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고정 베이스(41)의 프레임(11)에의 고정 장소는 프레임(11)의 내부(예를 들면, 측벽(11B)의 관통구멍(104)의 내면)이어도 된다.
벨트 컨베이어(51)는 고정 베이스(41)에 지지되어 제1 수평 방향(H1)으로 뻗고, 일단부가 볼스터(16)의 측면에 맞대어져 있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51)의 상면은 취출 대기 위치의 통형 워크(90)의 하면보다 약간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51)의 폭(제2 수평 방향(H2)의 폭)은 통형 워크(90)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51)의 상면은 제1 수평 방향(H1)에 대하여 상하로 경사져 있어도 되고, 길이 방향의 도중에서 굴곡되어 있어도 된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수평 방향(H2)에서의 벨트 컨베이어(51)의 양쪽 옆에는, 1쌍의 레일(42)이 설치되어 제1 수평 방향(H1)으로 뻗어 있다. 그들 레일(42)은 고정 베이스(41)로 하방에서 지지되고, 각 레일(42)에는, 각각 복수개씩의 슬라이더(42S)(도 9에는 1개씩의 슬라이더(42S)가 도시되어 있음)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제1 수평 방향(H1)으로 뻗은 띠판 형상의 1쌍의 제1 가동 베이스(43)가 1쌍의 레일(42)에 상방으로부터 포개져 슬라이더(42S)에 고정되어 있다.
도 8,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쌍의 제1 가동 베이스(43)의 상면에는, 제1 수평 방향(H1)의 복수 위치에, 제2 수평 방향(H2)으로 뻗은 레일(45)이 구비되고, 그들 레일(45)에 각각 슬라이더(45S)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제1 수평 방향(H1)으로 뻗은 띠판 형상의 1쌍의 제2 가동 베이스(44)가 1쌍의 제1 가동 베이스(43)에 상방으로부터 포개어져 슬라이더(45S)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1쌍의 암부(50)는 뒤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1쌍의 제2 가동 베이스(44)로부터 제1 수평 방향(H1)의 볼스터(16)측으로 튀어나와 있다.
1쌍의 제1 가동 베이스(43) 중 1쌍의 암부(50)로부터 떨어진 측의 단부는 1쌍의 제2 가동 베이스(44)보다 볼스터(16)로부터 떨어지는 측으로 돌출해 있고, 그들 단부에 이동 연결 부재(70)가 고정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 연결 부재(70)는 크랭크부(70A)와 너트 고정부(70B)와 1쌍의 슬라이더 고정부(70C)를 가지고 있다. 크랭크부(70A)는 제2 수평 방향(H2)으로 뻗고, 양단부가 하방에 단 부착 형상으로 굴곡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너트 고정부(70B)는 크랭크부(70A)의 상단 부분의 중앙에서 기립하고, 1쌍의 슬라이더 고정부(70C)는 너트 고정부(70B)의 상단쪽 위치로부터 제2 수평 방향(H2)의 양측으로 튀어나와 있다.
1쌍의 제1 가동 베이스(43)의 단부에는, 크랭크부(70A)의 양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크랭크부(70A)의 단차부끼리의 사이는 벨트 컨베이어(51)의 폭보다 넓어져 있고, 크랭크부(70A)와 벨트 컨베이어(51)와의 사이에는, 통형 워크(90)가 통과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 공간은 벨트 컨베이어(51) 위에 쓰러진 통형 워크(90)가 정확히 통과하고, 기립해 있는 통형 워크(90)는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51)의 상방에는, 볼 나사 기구(60)가 구비되어 있다. 볼 나사 기구(60)는 벨트 컨베이어(51) 중 제1 수평 방향(H1)의 도중 위치로부터 암부(50)로부터 떨어진 측의 단부쪽 위치에 걸치는 범위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볼 나사 기구(60)는 고정 베이스(41)에 고정된 천정 베이스부(69)를 갖고, 볼 나사 기구(60)의 볼 나사(61)는 벨트 컨베이어(51)의 폭 방향의 중앙의 바로 위에 배치되고, 양단부를 천정 베이스부(69)로부터 수직 하강한 1쌍의 베어링부(6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천정 베이스부(69) 중 암부(50)로부터 떨어진 측의 단부의 상방에는, 서보 모터(63)(특허청구범위의 「전후 구동부」에 해당함)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그 서보 모터(63)의 회전 출력축과 볼 나사(61)의 일단부가 1쌍의 풀리(61P)와 타이밍벨트(61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볼 나사(61)에 나사결합한 볼 너트(62)는 전술한 이동 연결 부재(70)의 너트 고정부(70B)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볼 나사(61)의 양쪽 옆에는, 제1 수평 방향(H1)으로 뻗은 1쌍의 레일(64)이 구비되어 천정 베이스부(69)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 1쌍의 레일(6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진 슬라이더(64S)에 이동 연결 부재(70)의 1쌍의 슬라이더 고정부(70C)가 고정되어 있다. 이것들에 의해, 1쌍의 제1 가동 베이스(43)가 서보 모터(63)를 구동원으로 하여, 제1 수평 방향(H1)에서 볼스터(16)측의 전진 위치와, 전진 위치보다 볼스터(16)로부터 떨어진 측의 후퇴 위치의 사이를 이동한다. 또한 1쌍의 제2 가동 베이스(44) 및 1쌍의 암부(50)도 1쌍의 제1 가동 베이스(43)와 함께 제1 수평 방향(H1)에서 전진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쌍의 제2 가동 베이스(44)보다 벨트 컨베이어(51)로부터 떨어진 양 측방에는, 1쌍의 제2 가동 베이스(44)를 제2 수평 방향(H2)으로 구동하기 위한 1쌍의 개폐 구동부(52)가 설치되어 있다. 각 개폐 구동부(52)는 볼 나사 기구(60)보다 볼스터(16)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개폐 구동부(52)는 고정 베이스(41)에 고정된 대좌부(52A)를 가지고 있다. 대좌부(52A)의 상면은 수평한 대좌면(52B)으로 되어 있고, 그 대좌면(52B)에는, 제2 수평 방향(H2)으로 뻗은 1쌍의 레일부(53)(도 8, 도 10 참조)가 제1 수평 방향(H1)으로 나열되어 고정됨과 아울러, 그들 1쌍의 레일부(53)의 사이에 에어 실린더(54)(특허청구범위의 「제1 액추에이터」에 해당함)의 본체부(54H)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1쌍의 레일부(5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진 1쌍의 슬라이더(53S)에 연결 부재(55)가 건너 걸쳐져 고정되고, 그 연결 부재(55)에 에어 실린더(54)의 출력부인 직동 로드(54R)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1쌍의 슬라이더(53S)의 상면에는 연결 부재(55)를 통하여 1쌍의 띠판(55P)이 고정되어 있다. 그들 1쌍의 띠판(55P)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가동 베이스(44)의 상방 위치까지 캔틸레버 형상으로 돌출하고, 그들 선단부의 하면에는, 1쌍씩의 롤러(56)가 부착되어 있다. 각 롤러(56)는 상하 방향을 향한 회전축을 갖고, 각 띠판(55P)의 1쌍의 롤러(56)는 제2 수평 방향(H2)에서 대향하고 있다. 또, 연결 부재(55), 띠판(55P) 및 롤러(56)에 의해 특허청구범위의 「슬라이드 연결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들 롤러(56)에 대하여, 각 제2 가동 베이스(44) 중 벨트 컨베이어(51)로부터 떨어진 측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벽(44T)이 기립하여 제1 수평 방향(H1)으로 뻗어 있다. 그리고, 돌출벽(44T)이 제2 수평 방향(H2)에서 롤러(56)에 끼워져 있어 있다. 이것들에 의해, 1쌍의 제2 가동 베이스(44)는 제1 수평 방향(H1)의 임의의 위치에서, 에어 실린더(54)로부터 동력을 받아, 제2 수평 방향(H2)에서 서로 접근한 닫힘 위치와, 닫힘 위치로부터 서로 이간한 열림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한다. 또한 1쌍의 암부(50)도 1쌍의 제2 가동 베이스(44)와 함께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한다.
또한, 개폐 구동부(52)는 제1 가동 베이스(43)에 탑재되어 제1 가동 베이스(43)에 대하여 제2 가동 베이스(44)를 제2 수평 방향(H2)으로 구동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2 가동 베이스(44)의 돌출벽(44T)을 설치하는 대신에, 예를 들면, 제2 가동 베이스(44)에 제1 수평 방향(H1)으로 뻗은 홈을 형성하고, 그 홈의 내부에 롤러(56) 또는 핀을 걸어 맞추어지게 해도 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쌍의 제2 가동 베이스(44)에 있어서의 볼스터(16)측의 단부에는, 평면 형상이 L자형의 1쌍의 접속 부재(46)가 고정되어 있다. 접속 부재(46)는 제1 띠판부(46A)와 제2 띠판부(46B)를 직교시킨 구조를 이루고, 1쌍의 접속 부재(46)의 제1 띠판부(46A)끼리가 제1 수평 방향(H1)과 직교하는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되어 1쌍의 제2 가동 베이스(44)의 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1쌍의 제1 띠판부(46A) 중 서로 접근한 측의 단부로부터 볼스터(16)측에 1쌍의 제2 띠판부(46B)가 돌출하여 제2 수평 방향(H2)에서 대향하고 있다.
1쌍의 제2 띠판부(46B)에는, 그것들의 대향면의 뒤쪽에, 1쌍의 연장판(47)이 포개어져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그들 1쌍의 연장판(47)은 제1 수평 방향(H1)으로 뻗은 띠판 형상을 이루고, 1쌍의 제2 띠판부(46B)보다 볼스터(16)측으로 돌출해 있다. 그리고, 연장판(47) 중 제2 띠판부(46B)로부터 돌출한 부분의 대향면에 가압 부재(48)가 포개지고, 도시하지 않은 1쌍의 볼트에 의해 연장판(47)에 대하여 접근 및 이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그들 볼트의 외측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49)이 통과시켜져 연장판(47)과 가압 부재(48) 사이에 끼워지고, 이것에 의해 가압 부재(48)가 연장판(47)으로부터 떨어지는 측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또한 가압 부재(48)끼리의 대향면에는, 발포 우레탄 시트 등의 간섭 부재(48A)가 첩부되어 있다. 그리고, 연장판(47), 가압 부재(48), 간섭 부재(48A) 및 그것들을 연결하는 부품 등으로 각 암부(5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1쌍의 암부(50)를 다른 1쌍의 암부(50)로 교환하고 제2 띠판부(46B)에 고정함으로써 통형 워크(90)의 형상 변경에 대응할 수 있다.
1쌍의 암부(50)는 통형 워크(90)가 하방 공간(111)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에, 열림 상태(1쌍의 암부(50)가 열림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후퇴 위치로부터 전진 위치로 이동하여,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방 공간(111)으로 돌입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쌍의 암부(50)의 사이에 통형 워크(90)가 강하하여 취출 대기 위치에 배치된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쌍의 암부(50)가 닫힘 상태(1쌍의 암부(50)가 닫힘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어 통형 워크(90)를 제2 수평 방향(H2)으로부터 협지한다.
상세하게는, 1쌍의 암부(50)가 열림 위치부터 닫힘 위치로 이동하면, 1쌍의 암부(50)의 가압 부재(48)에 구비한 간섭 부재(48A)가 통형 워크(90)에 밀어 붙여진다. 이 때, 간섭 부재(48A)가 휨과 아울러 압축 코일 스프링(49)이 압축 변형한다. 이것들에 의해, 통형 워크(90)에 과잉한 협지력이 부여되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통형 워크(90)에 상처나는 것이 방지된다.
1쌍의 암부(50)가 통형 워크(90)를 협지하는 동안에, 전술한 래치 부재가 녹아웃 핀(106)의 하단부의 걸음 플랜지에 걸어져 녹아웃 핀(106)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함과 아울러, 1쌍의 스트리퍼(97)가 전진하여 통형 워크(90)의 상면에 걸어지고, 통형 워크(90)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 상태에서, 펀치(15)가 상승하여 통형 워크(90)로부터 이탈한다.
펀치(15)가 통형 워크(90)로부터 이탈하면, 1쌍의 암부(50)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여 후퇴 위치로 이동하고, 통형 워크(90)를 하방 공간(111)으로부터 꺼낸다. 또한 통형 워크(90)가 녹아웃 핀(106) 위에 위치하지 않게 되면, 1쌍의 스트리퍼(97)가 외측으로 열린 후, 래치 부재에 의한 녹아웃 핀(106)의 걸음이 해제되어, 녹아웃 핀(106)이 성형 구멍(13A)의 상단부까지 상승한다.
1쌍의 암부(50)는, 통형 워크(90)를 협지한 상태에서 후퇴 위치까지 이동하면, 통형 워크(90)는 벨트 컨베이어(51)의 상방에 배치된다. 그곳에서 1쌍의 암부(50)가 열림 상태로 되어 통형 워크(90)가 벨트 컨베이어(51)에 넘겨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11)의 측벽(11B)의 관통구멍(104) 내 볼스터(16)측의 단부에서, 통형 워크(90)가 1쌍의 암부(50)로부터 벨트 컨베이어(51)에 넘겨진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트랜스퍼 프레스기(10)는 1쌍의 암부(50)로부터 벨트 컨베이어(51)에 통형 워크(90)를 안정하게 넘겨주기 위해, 워크 누름 장치(80)를 구비하고 있다. 워크 누름 장치(80)는 볼 나사 기구(60)의 천정 베이스부(69)에서의 볼스터(16)측의 단부로부터 기립하는 기립 베이스(81)와, 그 기립 베이스(81) 중 볼스터(16)측을 향한 면에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뻗은 1쌍의 레일부(82)(도 8 참조)와, 그들 1쌍의 레일부(8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1쌍의 슬라이더(82S)와, 그들 슬라이더(82S)에 고정된 승강 베이스(83)를 가지고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승강 베이스(83)의 하단부에서는 워크 누름부(84)가 볼스터(16)측을 향하여 캔틸레버 형상으로 뻗고, 그 워크 누름부(84)의 선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완충 부재로 구성되는 워크 맞닿음부(84T)가 돌출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워크 누름 장치(80)는 에어 실린더(85)를 구동원으로서 구비한다. 에어 실린더(85)의 본체부(85H)는 고정 베이스(41)에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뻗고, 그 하단부로부터 로드(85R)가 하방으로 뻗어 승강 베이스(83)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1쌍의 암부(50)가 통형 워크(90)를 협지하고 후단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 워크 누름부(84)가 강하하여 워크 맞닿음부(84T)를 통형 워크(90)에 맞닿게 하고, 통형 워크(90)를 벨트 컨베이어(51)에 내리누른다. 그 후, 1쌍의 암부(50)는 열림 위치로 이동하고, 또한, 그 후, 워크 맞닿음부(84T)가 상승한다. 그리고, 1쌍의 암부(50)가 전진 위치로 돌아가, 다음의 통형 워크(90)를 협지하고, 이하, 동일한 동작이 반복된다.
워크 맞닿음부(84T)가 통형 워크(90)를 벨트 컨베이어(51)에 내리 누르고 나서 통형 워크(90)로부터 상방으로 이간하는 동안, 벨트 컨베이어(51)는 통형 워크(90)의 하단부를 볼스터(16)로부터 떨어지는 측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통형 워크(90)는 쓰러뜨려져 벨트 컨베이어(51) 위에 눕혀진 상태로 된다. 그리고, 통형 워크(90)는 볼 나사 기구(60)의 하방을 통과하고, 볼 나사 기구(60)보다 볼스터(16)로부터 더욱 떨어진 위치에서 벨트 컨베이어(51)로부터 다음 공정으로 넘겨진다.
또한 워크 누름 장치(80)와 벨트 컨베이어(51)에 의해 통형 워크(90)를 쓰러뜨릴 수 없었을 경우에 대비하여,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51)에서의 볼 나사 기구(60)의 앞쪽 위치에는, 맞닿음 바(86)가 구비되어 있다. 맞닿음 바(86)는 고정 베이스(41)에 캔틸레버 형상으로 지지되고, 벨트 컨베이어(51)의 상방을 가로지르도록 제2 수평 방향(H2)으로 뻗어 있다. 상세하게는, 맞닿음 바(86)는 고정 베이스(41)가 고정되어 벨트 컨베이어(51)의 일측방에서 기립하는 도시하지 않은 스탠드에 일단부가 고정된 지지 샤프트(86A)에, 완충 부재로 형성된 롤러(86B)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맞닿음 바(86)는 벨트 컨베이어(51) 위에서 기립하고 있는 통형 워크(90)에 맞닿아 벨트 컨베이어(51) 위에 눕혀지게 한다. 또한 맞닿음 바(86)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51) 위에 눕혀지게 한 통형 워크(90)가 후속의 통형 워크(90)와 겹치지 않도록 맞닿음 바(86)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트랜스퍼 프레스기(10) 및 그 워크 취출 장치(40)에 관한 설명은 이상이다. 다음에 트랜스퍼 프레스기(10) 및 워크 취출 장치(40)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워크 취출 장치(40)에서는, 통형 워크(90)를 협지하는 1쌍의 암부(50)가 1쌍의 제2 가동 베이스(44)로부터 볼스터(16)측으로 뻗어 있다. 그리고, 그들 1쌍의 제2 가동 베이스(44)가 1쌍의 제1 가동 베이스(43)에 대하여 1쌍의 개폐 구동부(52)에 의해 제2 수평 방향(H2)으로 이동됨으로써, 1쌍의 암부(50)가 개폐한다. 또한, 1쌍의 제1 가동 베이스(43)는 고정 베이스(41)에 대하여 볼 나사 기구(60)에 의해 이동되어, 통형 워크(90)를 반송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워크 취출 장치(40)에서는, 1쌍의 암부(50)에, 개폐 동작과 반송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기구 부분이 1쌍의 암부(50)로부터 떨어져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워크 취출 장치(40)는 트랜스퍼 프레스기(10) 내에 상기 기구 부분을 구비한 종래의 것보다 좁은 공간에서, 통형 워크(90)를 협지할 수 있다. 또한 트랜스퍼 프레스기(10)의 외측에서 상기 기구 부분을 크게 또는 길게 하여, 종래보다 트랜스퍼 프레스기(10)의 측면에서 떨어진 위치까지 통형 워크(90)를 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워크 취출 장치(40)에는, 벨트 컨베이어(51)가 1쌍의 암부(50)로부터 통형 워크(90)를 받아, 볼 나사 기구(60)의 하방을 통하여 볼스터(16)로부터 이간하는 측으로 반송하므로, 통형 워크(90)에 대한 반송 거리를 더욱 길게 할 수 있다.
이것들에 의해, 통형 워크(90)의 개구 끝을 절제하는 트리밍 장치나, 통형 워크(90)를 도장 또는 세정하는 처리 장치 등을 트랜스퍼 프레스기(10)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어, 생산 라인을 용이하게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트랜스퍼 프레스기(10)와 그 후공정의 장치가 다른 메이커의 것인 경우에, 그것들의 접속이 곤란한 경우가 많지만, 본 실시형태의 트랜스퍼 프레스기(10)에 의하면 그러한 문제가 해소된다.
또한 이 워크 취출 장치(40)에서는, 암부(50)와 벨트 컨베이어(51)가 협동하여 통형 워크(90)를 반송하므로, 암부(50)만으로 통형 워크(90)를 반송하는 경우에 비해, 암부(50)의 반송 거리의 부담을 절감할 수 있어, 트랜스퍼 프레스기(10)의 고속운전에의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워크 취출 장치(40)에서는, 개폐 구동부(52)의 구동원을 제1 가동 베이스(43)에 고정해도 되는 곳을 고정 베이스(41)에 구동원인 에어 실린더(54)를 고정하고, 구동원인 출력부를 제2 가동 베이스(44)에 연결한 구성으로 했으므로, 제1 가동 베이스(43)와 함께 이동하는 부품의 중량이 억제되어, 고속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통형 워크(90)가 그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윤활유에 의해 1쌍의 암부(50)로부터 떨어지기 어려워도, 워크 누름부(84)가 통형 워크(90)를 벨트 컨베이어(51)에 내리누르므로, 통형 워크(90)로부터 암부(50)가 확실하게 떨어지게 되어, 1쌍의 암부(50)로부터 해방되었을 때의 통형 워크(90)의 위치가 안정된다. 그리고, 통형 워크(90)가 워크 누름부(84)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51) 위에 눕혀지므로, 안정한 반송이 가능하게 된다. 가령, 워크 누름부(84)에 의해 통형 워크(90)를 벨트 컨베이어(51) 위에 눕혀지게 하는 처리에 실패해도, 맞닿음 바(86)가 통형 워크(90)를 벨트 컨베이어(51) 위에 눕혀지게 하므로, 안정한 반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통형 워크(90)는 벨트 컨베이어(51) 위에 눕혀짐으로써 볼 나사 기구(60)의 하방을 통과시킬 수 있어, 볼 나사 기구(60)와 벨트 컨베이어(51)를 접근시킬 수 있으므로, 워크 취출 장치(40) 전체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워크 취출 장치(40)를 구비한 트랜스퍼 프레스기(10)에서는, 통형 워크(90)를 다이(13)의 하방의 하방 공간(111)까지 이동하고, 그 하방 공간(111)으로부터 통형 워크(90)를 프레임(11) 밖으로 꺼내므로, 통형 워크(90)를 다이(13) 위로 되돌려 프레임(11) 밖으로 꺼내는 경우에 비해 통형 워크(90)에 상처가 나기 어려워진다. 게다가, 상기한 워크 취출 장치(40)로 통형 워크(90)를 프레임(11) 밖으로 꺼내므로, 통형 워크(90)의 반송이 안정하여, 그 점에서도 통형 워크(90)에 상처가 나기 어려워진다.
[다른 실시형태]
(1) 상기 실시형태의 트랜스퍼 프레스기(10)의 워크 취출 장치(40)는 최후의 가공 스테이지(ST)의 다이(13)의 하방으로부터 통형 워크(90)를 꺼내고 있었지만, 워크 취출 장치(40)에서 최후의 가공 스테이지(ST)의 다이(13)의 상방으로부터 통형 워크(90)를 꺼내는 구조로 해도 된다.
(2) 상기 실시형태의 트랜스퍼 프레스기(10)의 워크 취출 장치(40)는 반송부로서 벨트 컨베이어(51)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반송부로서 제1 수평 방향(H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경사져, 통형 워크(90)가 자체 중량으로 이동하는 롤러 컨베이어나 슈트를 구비해도 된다.
(3) 상기 워크 취출 장치(40)가 꺼내는 통형 워크(90)는 각통 형상을 이루고 있었지만, 통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되며, 예를 들면, 원통 형상, 타원통 형상이어도 되고, 상기 실시형태의 통형 워크(90)와 한쪽 끝에 바닥이 있는 것이어도 되고, 양단이 개구되어 있어도 된다.
(4) 상기 실시형태의 워크 취출 장치(40)에서는, 제2 가동 베이스(44)가 제1 가동 베이스(43)에 대하여 제2 수평 방향(H2)으로 평행 이동하는 구조이었지만, 1쌍의 암부(50)가 개폐하도록 제2 가동 베이스(44)가 제1 가동 베이스(43)에 대하여 제2 수평 방향(H2)으로 회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5) 상기 실시형태의 워크 취출 장치(40)에서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맞닿음 바(86)가 벨트 컨베이어(51)의 상방을 가로지르도록 제2 수평 방향(H2)으로 뻗어 있었지만, 맞닿음 바(86)는 상방으로부터 내려뜨려진 구성이어도 된다.
10 트랜스퍼 프레스기
11 프레임
13 다이
14 램
15 펀치
16 볼스터
40 워크 취출 장치
41 고정 베이스
43 제1 가동 베이스
44 제2 가동 베이스
50 암부
51 벨트 컨베이어(반송부)
52 개폐 구동부
54 에어 실린더(제1 액추에이터)
54H 본체부
54R 직동 로드(출력부)
60 볼 나사 기구
61 볼 나사
62 볼 너트
70 이동 연결 부재
80 워크 누름 장치
84 워크 누름부
86 맞닿음 바
90 통형 워크
97 스트리퍼
111 하방 공간
H1 제1 수평 방향
H2 제2 수평 방향

Claims (8)

  1. 트랜스퍼 프레스기의 복수의 펀치가 나열되는 제1 수평 방향에, 상기 복수의 펀치에 의한 프레스된 통형 워크를 이동하여, 상기 트랜스퍼 프레스기의 램 및 볼스터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외측으로 꺼내는 워크 취출 장치로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고정 베이스와,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 베이스에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수평 방향과 직교하는 제2 수평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는 1쌍의 제1 가동 베이스와,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1쌍의 제1 가동 베이스에 지지되는 1쌍의 제2 가동 베이스와,
    상기 1쌍의 제2 가동 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상기 볼스터측으로 뻗은 1쌍의 암부와,
    상기 제1 가동 베이스 및 상기 제2 가동 베이스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베이스에 지지되고,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뻗은 볼 나사 및 그것에 나사결합하는 볼 너트를 가지고 있는 볼 나사 기구와,
    상기 1쌍의 제1 가동 베이스와 상기 볼 너트를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이동 연결 부재와,
    상기 볼 나사를 회전 구동하여, 상기 1쌍의 암부를, 상기 프레임 내의 상기 통형 워크의 양 옆이 되는 전진 위치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떨어진 후퇴 위치로 이동하는 전후 구동부와,
    상기 1쌍의 제2 가동 베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1쌍의 암부를, 상기 통형 워크를 협지하는 닫힘 위치와 상기 통형 워크로부터 벗어난 열림 위치로 이동하는 1쌍의 개폐 구동부와,
    상기 제1 수평 방향 또는 그곳에 상하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1쌍의 암부로부터 상기 통형 워크를 받고, 상기 이동 연결 부재의 하방을 통하여 상기 볼스터로부터 이간하는 측으로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후퇴 위치의 상기 1쌍의 암부에 협지되어 있는 상기 통형 워크를 상방으로부터 상기 반송부에 내리 누르고, 상기 1쌍의 암부가 상기 통형 워크를 벗어나면 상방으로 이동하는 워크 누름부를 가지고 있는 워크 누름 장치를 구비하는 워크 취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벨트 컨베이어이며,
    상기 워크 누름부에 의해 상기 통형 워크의 상부를 멈춘 상태에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통형 워크의 하부가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통형 워크가 상기 벨트 컨베이어 위에 눕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취출 장치.
  3. 트랜스퍼 프레스기의 복수의 펀치가 나열되는 제1 수평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펀치에 의한 프레스된 통형 워크를 이동하여, 상기 트랜스퍼 프레스기의 램 및 볼스터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외측으로 꺼내는 워크 취출 장치로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고정 베이스와,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 베이스에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수평 방향과 직교하는 제2 수평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는 1쌍의 제1 가동 베이스와,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1쌍의 제1 가동 베이스에 지지되는 1쌍의 제2 가동 베이스와,
    상기 1쌍의 제2 가동 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상기 볼스터측으로 뻗은 1쌍의 암부와,
    상기 제1 가동 베이스 및 상기 제2 가동 베이스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베이스에 지지되고,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뻗은 볼 나사 및 그것에 나사결합하는 볼 너트를 가지고 있는 볼 나사 기구와,
    상기 1쌍의 제1 가동 베이스와 상기 볼 너트를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이동 연결 부재와,
    상기 볼 나사를 회전 구동하여, 상기 1쌍의 암부를, 상기 프레임 내의 상기 통형 워크의 양 옆이 되는 전진 위치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떨어진 후퇴 위치로 이동하는 전후 구동부와,
    상기 1쌍의 제2 가동 베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1쌍의 암부를, 상기 통형 워크를 협지하는 닫힘 위치와 상기 통형 워크로부터 떨어진 열림 위치로 이동하는 1쌍의 개폐 구동부와,
    상기 제1 수평 방향 또는 그곳에 상하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1쌍의 암부로부터 상기 통형 워크를 받고, 상기 이동 연결 부재의 하방을 통하여 상기 볼스터로부터 이간하는 측으로 반송하는 반송부로서의 벨트 컨베이어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상방을 가로지르고, 상기 벨트 컨베이어 위에 기립하고 있는 상기 통형 워크에 맞닿아 상기 통형 워크를 상기 벨트 컨베이어 위에 눕혀지게 하는 맞닿음 바를 구비하는 워크 취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연결 부재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상하방의 간격은 상기 벨트 컨베이어 위에 눕혀져 있는 상기 통형 워크는 통과하고, 상기 벨트 컨베이어 위에서 기립해 있는 상기 통형 워크는 통과 불능한 크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취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연결 부재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상하방의 간격은 상기 벨트 컨베이어 위에 눕혀져 있는 상기 통형 워크는 통과하고, 상기 벨트 컨베이어 위에서 기립해 있는 상기 통형 워크는 통과 불능한 크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취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개폐 구동부는
    상기 고정 베이스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출력부를 가지고 있는 제1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1 액추에이터의 상기 출력부를, 상기 제2 가동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허용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드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취출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각 상기 개폐 구동부는
    상기 고정 베이스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출력부를 가지고 있는 제1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1 액추에이터의 상기 출력부를, 상기 제2 가동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허용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드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취출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워크 취출 장치를 구비하는 트랜스퍼 프레스기로서,
    상기 트랜스퍼 프레스기의 다이의 하방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 개구하고, 상기 다이를 통과한 상기 통형 워크가 배치되는 하방 공간과,
    상기 하방 공간 내에서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부터 상기 통형 워크에 접근하여 상기 통형 워크의 상면에 걸어지고, 상기 펀치로부터 상기 통형 워크를 이탈시키는 1쌍의 스트리퍼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프레스기.
KR1020200010825A 2019-06-28 2020-01-30 워크 취출 장치 및 트랜스퍼 프레스기 KR102121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21368A JP6626234B1 (ja) 2019-06-28 2019-06-28 ワーク取出装置及びトランスファプレス機
JPJP-P-2019-121368 2019-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878B1 true KR102121878B1 (ko) 2020-06-11

Family

ID=69101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825A KR102121878B1 (ko) 2019-06-28 2020-01-30 워크 취출 장치 및 트랜스퍼 프레스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756784B8 (ko)
JP (1) JP6626234B1 (ko)
KR (1) KR102121878B1 (ko)
CN (1) CN11153105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93502A (zh) * 2023-06-25 2023-07-28 成都宏明双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极柱冲压用柔性送料装置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700B1 (ko) * 2019-06-04 2023-05-26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워크 반송구, 열간 프레스 장치, 워크 반송 방법 및 열간 프레스 방법
CN111872263B (zh) * 2020-07-29 2022-05-27 芜湖市强一金工技术有限公司 一种轴承生产加工用冲压装置
JP7322079B2 (ja) 2021-01-28 2023-08-07 旭精機工業株式会社 トランスファプレス機
CN114226629B (zh) * 2021-12-14 2023-09-05 青岛东山集团有限公司 一种自动化母线槽铆接线
JP7252682B1 (ja) 2022-08-05 2023-04-05 冨士発條株式会社 プレスシステム、トランスファプレスシステム、トランスファ装置、及び金型
CN116213552B (zh) * 2023-05-09 2023-07-21 江苏双赢锻压机床有限公司 一种电池壳冲压机床上料装置及上料方法
CN117213991B (zh) * 2023-11-07 2024-01-23 常州工业及消费品检验有限公司 一种工件压力检测设备及检测方法
CN117774243B (zh) * 2024-02-28 2024-05-07 杭州中好电子有限公司 一种汽车充电枪壳体注塑成型后自动取出设备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2228A (ja) * 1991-09-30 1993-04-16 Kurimoto Ltd 鍛造プレスの自動搬送装置
JPH1190561A (ja) * 1997-09-16 1999-04-06 Komatsu Aatec Kk トランスファフィーダ
JP2015088297A (ja) 2013-10-30 2015-05-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1590589B1 (ko) * 2015-04-23 2016-02-01 아사히 세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트랜스퍼 프레스기
JP2016206683A (ja) 2016-08-12 2016-12-08 株式会社ジェイアイエヌ アイウエア
KR101729321B1 (ko) * 2016-10-21 2017-04-21 아사히 세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프레스기
JP2018144096A (ja) * 2017-03-09 2018-09-20 稲葉 美絵子 ワーク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52753B (sv) * 1983-05-31 1987-12-14 Komatsu Mfg Co Ltd Anordning for lastning och/eller urlastning av arbetsstycken i och/eller fran en press eller liknande bearbetningsmaskin
JPH1029034A (ja) * 1996-07-15 1998-02-03 Mazda Motor Corp 多工程鍛造プレス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7726166B2 (en) * 2007-03-07 2010-06-01 Gns Co., Ltd. Multi-step press system
CN201205706Y (zh) * 2008-05-28 2009-03-11 江苏省徐州锻压机床厂集团有限公司 多工位压力机上使用的工件搬运机构
CN102470420B (zh) * 2009-07-06 2014-05-07 株式会社小松制作所 压力机的工件搬送装置及工件搬送单元
CN206122561U (zh) * 2016-08-22 2017-04-26 苏州华源包装股份有限公司 一种三模卷冲线出料输送装置
CN207170665U (zh) * 2017-09-05 2018-04-03 东莞市中意人信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五金智能加工系统
CN109647975B (zh) * 2018-12-17 2020-05-22 山东时风(集团)有限责任公司 汽车零件全自动冲压生产线及用该生产线加工零件的方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2228A (ja) * 1991-09-30 1993-04-16 Kurimoto Ltd 鍛造プレスの自動搬送装置
JPH1190561A (ja) * 1997-09-16 1999-04-06 Komatsu Aatec Kk トランスファフィーダ
JP2015088297A (ja) 2013-10-30 2015-05-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1590589B1 (ko) * 2015-04-23 2016-02-01 아사히 세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트랜스퍼 프레스기
JP2016203212A (ja) * 2015-04-23 2016-12-08 旭精機工業株式会社 トランスファプレス機
JP2016206683A (ja) 2016-08-12 2016-12-08 株式会社ジェイアイエヌ アイウエア
KR101729321B1 (ko) * 2016-10-21 2017-04-21 아사히 세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프레스기
JP2018065187A (ja) * 2016-10-21 2018-04-26 旭精機工業株式会社 プレス機
JP2018144096A (ja) * 2017-03-09 2018-09-20 稲葉 美絵子 ワーク搬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93502A (zh) * 2023-06-25 2023-07-28 成都宏明双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极柱冲压用柔性送料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6784B8 (en) 2022-06-15
JP6626234B1 (ja) 2019-12-25
CN111531054B (zh) 2021-03-16
JP2021007952A (ja) 2021-01-28
EP3756784A1 (en) 2020-12-30
EP3756784B1 (en) 2022-05-11
CN111531054A (zh) 2020-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878B1 (ko) 워크 취출 장치 및 트랜스퍼 프레스기
KR101590589B1 (ko) 트랜스퍼 프레스기
US20200038938A1 (en) Toolpack for vertical bodymaker
CN113878021B (zh) 具有钣金冲切与模内铆合的自动化生产设备
KR100715422B1 (ko) 다공정 프레스 시스템
CN106736599B (zh) 一种冰箱增强架冲压焊接生产线
CN111659789B (zh) 冲压装置
JPH06219424A (ja) 包装容器を製造する装置
US6773252B2 (en) Press molding apparatus
KR102462242B1 (ko) 프레스기 및 프레스 성형 방법
CN109256347B (zh) 制造芯片的智能化生产流水线
CN108580718B (zh) 一种矩形管的冲孔折边一体机
KR100801113B1 (ko) 자동차 도어 웨더스트립 결합바의 펀칭 및 벤딩 동시성형기
CN206615756U (zh) 一种油缸整形送料机构
US8925363B2 (en) Split idle station assemblies for transfer press assemblies
CN206435987U (zh) 一种冰箱增强架冲压焊接生产线
CN209647522U (zh) 液压机铆接移动平台
US5182934A (en) Dual lane conversion system
CN113458269B (zh) 精冲机自动取料装置及其取料方法
US4904140A (en) Dual lane conversion system
CN213469306U (zh) 一种适用于冲压模具的模内移料机构
CN214488522U (zh) 一种整形模架及其精整机
CN214140193U (zh) 一种冲压件传送装置
CN211360597U (zh) 一种换轴用下压装置及转子压铸用换轴设备
CN116078942B (zh) 一种水冷机壳用便于出模的冲压模具及成型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