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291B1 - 새싹인삼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 - Google Patents

새싹인삼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291B1
KR102121291B1 KR1020190030885A KR20190030885A KR102121291B1 KR 102121291 B1 KR102121291 B1 KR 102121291B1 KR 1020190030885 A KR1020190030885 A KR 1020190030885A KR 20190030885 A KR20190030885 A KR 20190030885A KR 102121291 B1 KR102121291 B1 KR 102121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ginseng
sprout ginseng
jujube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연
Original Assignee
이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연 filed Critical 이미연
Priority to KR1020190030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2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싹인삼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새싹인삼을 수확하여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새싹인삼을 50~70℃에서 15~25시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새싹인삼을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절단된 새싹인삼을 부재료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재료는 대추, 대추잎, 귤피 및 현미 중 1종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싹인삼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에 의하면, 제조비용이 저렴하여 대중적으로 음용이 가능하고, 유효성분의 함량이 높아 음용자의 건강유지를 돕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맛과 향이 우수하여 차의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새싹인삼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METHOD FOR MANUFACTURING TEA USING GINSENG SPROUT AND TEA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새싹인삼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새싹인삼을 대추, 대추잎, 귤피 또는 현미와 혼합하여 기호성이 우수하고, 사포닌 등의 유효성분 함량이 높은 새싹인삼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에 관한 것이다.
차(茶, tea)는 차나무의 어린잎을 따서 만든 음료를 의미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곡류로 만든 율무차, 옥수수 차, 여러 식물의 잎으로 만든 두충차, 감잎차 등, 과실류로 만든 유자차, 모과차, 꽃이나 뿌리, 껍질 등으로 만든 국화차, 인삼차, 귤피차, 약재로 만든 쌍화차 등과 같이 기호음료 전체를 칭하기도 한다.
차는 주로 물이 맑지 않은 지역에서 물을 그냥 섭취하기 곤란하여 특정한 물질을 첨가하여 우려낸 물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나, 우려내는 재료에 따라 다양한 관능성과 영양성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19세기부터 하나의 음료로서 널리 이용되어왔고, 현재는 차의 다양한 성분과 제형, 제조방법에 대해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인삼은 피로해소, 면역력 증강 및 혈행개선의 효능이 있어 한국을 비롯한 동양권에서 수천 년간 보혈 강장제로 사용하였으며, 특히 고려인삼은 효과가 우수하여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특산품으로, 예로부터 차로서 가공되어 음용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의 인삼차는 인삼의 뿌리만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재배 기간이 길어 높은 제조비용이 요구되기 때문에 사람들이 대중적으로 음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6736호 및 제10-1829355호에서는 새싹인삼 또는 새싹인삼의 잎만을 가공하여 인삼차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인삼차의 제조비용을 낮추었다. 그러나 이러한 새싹인삼 또는 그 잎만을 이용한 차는 맛과 풍미가 좋지 못해 관능적 기호도가 좋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인삼차의 제조비용을 낮추면서도 그 유효성분의 함량을 높이며, 관능적 기호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KR 10-1766736 B1 KR 10-1829355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새싹인삼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용출시킬 수 있고, 맛과 향이 좋아 기호성과 상품가치가 높은 새싹인삼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인삼차에 비하여 제조비용이 낮아 대중적으로 음용이 가능하면서도, 더욱 우수한 약리기능 및 유효성분을 제공할 수 있는 새싹인삼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새싹인삼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은, 새싹인삼을 수확하여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새싹인삼을 50~70℃에서 15~25시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새싹인삼을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절단된 새싹인삼을 부재료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재료는 대추, 대추잎, 귤피 및 현미 중 1종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된 새싹인삼을 부재료와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절단된 새싹인삼 100중량부를 부재료 20~100중량부와 혼합하는 것이고, 상기 혼합된 재료를 티백으로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추는, 대추를 세척하고 씨를 제거한 후, 이를 건조하여 분쇄한 것이거나, 대추를 세척하고 씨를 제거한 후, 이를 80~100℃의 오븐에서 3~5시간 동안 가열하여 냉각하고, 분쇄한 것이고, 상기 대추잎은, 대추 생엽을 150~200℃에서 10~15분간 덖은 후, 60~100℃에서 20~40분간 건조하여 분쇄한 것이고, 상기 귤피는 귤의 껍질을 건조하여 분쇄한 것이며, 상기 현미는, 현미를 볶은 후, 분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된 새싹인삼을 부재료와 혼합하는 단계에서, 흰 강낭콩 분말 및 잣박 추출분말 중 1종 이상을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새싹인삼을 이용한 차는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싹인삼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에 의하면, 제조비용이 저렴하여 대중적으로 음용이 가능하고, 유효성분의 함량이 높아 음용자의 건강유지를 돕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맛과 향이 우수하여 차의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새싹인삼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재배기간이 긴 인삼 뿌리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새싹인삼, 즉 모종삼을 3~6주 내외로 재배하여서 수확한 새싹인삼의 뿌리, 줄기, 잎 모두 활용하여 차로서 제조한다는 데 있다. 아울러, 이러한 새싹인삼을 이용한 차의 관능적 기호도를 높이기 위하여 대추, 대추잎, 귤피 또는 현미를 부재료로 활용한다는 데 있다.
상기 새싹인삼의 사포닌 함량은 기존 수삼보다 월등히 높으며, 특히 새싹인삼의 잎은 뿌리보다 사포닌 함량이 8~9배 많다는 것이 많은 연구결과 밝혀졌다. 그러나 이러한 새싹인삼만을 단독으로 차로 가공할 경우 특유의 쓴맛과 이취로 인하여 관능적 기호도가 좋지 못하였는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포닌 함량이 우수하고, 재배비용이 저렴한 새싹인삼과 함께, 대추, 대추잎, 귤피 및 현미 중 1종 이상의 부재료를 배합함으로써, 관능적 기호도 역시 높이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새싹인삼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은, 새싹인삼을 수확하여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새싹인삼을 50~70℃에서 15~25시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새싹인삼을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절단된 새싹인삼을 부재료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재료는 대추, 대추잎, 귤피 및 현미 중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된 재료를 티백으로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새싹인삼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단계별로 설명한다.
새싹인삼을 수확하여 세척하는 단계
인삼 묘삼의 싹을 키워 새싹인삼을 수확한다. 상기 새싹인삼을 재배하여 수확하는 방법은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다양한 방법을 통해 상기 새싹인삼을 재배하여 수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수확한 새싹인삼을 물로 1~2회 세척한다.
여기서, 상기 새싹인삼은 뿌리, 줄기 및 잎이 모두 제거되지 않은 상태의 것을 의미한다.
상기 세척된 새싹인삼을 50~70℃에서 15~25시간 건조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새싹인삼을 건조한다.
상기 건조는 50~70℃ 온도의 건조기에서 15~25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의 건조기에서 2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건조시간이 15시간 미만일 경우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차의 쓴맛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저장성에 문제가 있어 부패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25시간을 초과할 경우 차의 맛이 저하되어 관능적 기호도를 떨어뜨릴 수 있으며, 건조온도가 50℃ 미만이거나 70℃를 초과할 경우 차의 이취가 강해지거나 풍미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건조된 새싹인삼을 절단하는 단계
다음으로, 건조된 새싹인삼을 절단한다.
이는 상기 건조된 새싹인삼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용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바, 그 크기를 제한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직경이 0.01~1cm의 크기일 수 있다.
상기 건조된 새싹인삼을 절단하는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알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절단된 새싹인삼을 부재료와 혼합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새싹인삼을 부재료와 혼합한다.
이때, 상기 부재료로는 대추, 대추잎, 귤피 및 현미 중 1종 이상의 것을 이용할 수 있는바, 이러한 부재료를 통해 새싹인삼 특유의 이취와 쓴맛을 제거하면서도, 부재료 특유의 풍미와 새싹인삼 특유의 풍미가 어우러져 차의 전체적인 풍미를 더욱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절단된 새싹인삼과 상기 부재료의 혼합비는, 전체적인 풍미를 고려할 때 상기 새싹인삼 100중량부에 대하여 부재료 20~100중량부를 혼합함이 바람직한바, 상기 부재료의 혼합비가 20중량부 미만이면 새싹인삼 특유의 쓴맛과 이취가 제거되지 않으며, 100중량부를 초과하면 부재료의 향이 오히려 강해져 전체적인 기호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부재료로 사용되는 대추는, 대추를 세척하고 씨를 제거한 후, 이를 건조하거나 분쇄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방법 및 분쇄방법은 제한하지 않는바, 예시적으로 실온건조 또는 40~60℃에서 2~10시간 건조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대추를 세척하고 씨를 제거한 후, 이를 80~100℃의 오븐에서 3~5시간 동안 가열하여 냉각하고, 분쇄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븐에서 가열하는 이유는 수분을 제거하는 것은 물론, 단맛을 내는 탄수화물의 당질, 비타민 등과 같은 유효성분들이 용융되어 섬유질 밖으로 배출됨으로써, 차로서 음용시 유효성분들이 쉽게 용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가열온도가 80℃ 미만이면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고 상기한 유효성분들이 섬유질 밖으로 잘 배출되지 않으며, 상기 가열온도가 100℃ 이상이면, 탄수화물의 당질, 비타민 등과 같은 유효성분들이 쉽게 타버리고 영양소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된 대추는 잘 분쇄될 수 있도록 25~27℃의 온도에서 3~5시간 동안 냉각한 후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대추잎은 대추 생엽을 세척한 후, 150~200℃로 가열된 팬에서 5~15분간 덖고, 60~100℃에서 20~40분간 건조하여 분쇄한 것일 수 있다. 이는 대추 생옆의 쓴맛을 제거하면서도, 고소한 풍미를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귤피는, 귤피를 준비하고 이를 건조하여 분쇄한 것일 수 있다. 이는 귤피의 풍미를 높이고 저장성을 높이기 위함인바, 그 건조방법을 제한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상온에서 5~10시간 건조할 수도 있고, 40~70℃에서 4~5시간 건조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동결건조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현미는, 현미를 준비하여 150~300℃로 가열된 팬에서 3~10분간 볶아 분쇄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현미를 볶는 온도가 너무 낮거나 볶는 시간이 너무 짧으면 현미의 고소한 풍미가 부족하게 되고, 온도가 너무 높거나 시간이 길어지면 현미가 탄화되어 오히려 풍미가 저하되므로 150~300℃로 가열한 팬에 3~10분간 볶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재료인 대추, 대추잎, 귤피 또는 현미의 분쇄 입도는 제한하지 않으나, 10~150mesh임이 바람직한데, 입도가 너무 작을 경우 티백 포장시 티백으로부터 새어나올 수 있고, 장기보관시 향의 발산이 많아지므로, 150mesh 보다 작게 분쇄하지는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새싹인삼과 함께 대추, 대추잎, 귤피 및 현미 중 1종 이상의 부재료, 더욱 바람직하게는 새싹인삼과 대추 및 대추잎을 혼합하거나, 새싹인삼과 현미를 혼합하거나, 새싹인삼과 귤피를 혼합하는 경우, 새싹인삼 특유의 이취와 쓴맛이 제거되고, 고소한 풍미가 높아져 관능적 기호도가 우수해지는 것은 물론, 새싹인삼이 갖는 사포닌 등의 유효성분과 함께, 부재료인 대추, 대추잎, 귤피 및 현미가 갖는 각종 유효성분들이 효과적으로 차에 용출되어 섭취자의 건강유지를 도울 수 있게 된다.
상기 혼합된 재료를 티백으로 포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혼합된 재료들을 티백으로 포장한다. 이때, 티백은 부직포 등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질의 백을 이용하는 것인바, 그 종류 및 형태를 제한하지 않으며, 그 포장용량 역시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차는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포장된 티백을 90~98℃의 물에 1~20분간 우려내서 음용할 수도 있고, 20~30℃의 냉수에 5~30분간 우려내서 음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차를 상기 티백으로 포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분말형태, 정제 형태 등으로 제조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절단된 새싹인삼을 부재료와 혼합하는 단계에서, 흰 강낭콩 분말 및 잣박 추출분말 중 1종 이상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상기 흰 강낭콩은 섭취시에 포만감을 주면서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전환되는 것을 막아주는 특수한 성분인 파세올라민이 함유되어 있고, 식물성 단백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비만 해소 및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다. 아울러, 흰 강낭콩을 새싹인삼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차의 풍미가 월등히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흰 강낭콩 분말은 40~60℃에서 2~10시간 건조하고, 150~200℃에서 5~15분간 볶아 10~150mesh로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절단된 새싹인삼 100중량부에 대하여 흰 강낭콩 분말 10~20중량부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잣박 추출분말은 잣박의 열수추출물을 건조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차의 풍미를 전체적으로 높여주고, 새싹인삼 고유의 쓴맛을 제거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잣박은 잣 알갱이로부터 잣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 즉, 탈지 잣박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잣박에 1~5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90~100℃에서 2~5시간 추출한 후, 여과, 농축 및 건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절단된 새싹인삼 100중량부에 대하여 잣박 추출분말 10~20중량부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먼저, 새싹인삼을 수확하여 물로 2회 세척하였다. 그리고 세척된 새싹인삼 100g을 열풍 건조기에 투입하고 60℃의 온도에서 20시간 동안 건조한 후, 건조된 새싹인삼을 0.1cm 정도의 크기로 절단하였다.
대추를 깨끗이 세척하고, 씨를 제거한 후, 50℃에서 2시간 건조하고, 50mesh로 분쇄하였다. 그리고 대추의 생엽을 깨끗이 세척한 후, 150℃의 팬에서 5분간 덖어 주고, 70℃에서 20분간 건조하여 50mesh로 분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절단된 새싹인삼 100g에 상기 분쇄한 대추 20g, 분쇄한 대추 잎 13g을 혼합하고, 이를 2.5g씩 티백으로 포장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건조 대추를 대신하여 대추를 깨끗이 세척하여 씨를 제거한 후, 85℃ 오븐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25℃ 온도에서 4시간 동안 냉각하여 50mesh로 분쇄한 대추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대추, 대추잎을 대신하여 깨끗이 세척한 현미를 200℃로 가열된 팬에서 5분간 볶아 50mesh로 분쇄한 현미 33g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대추, 대추잎의 혼합시 흰 강낭콩 분말 15g을 더 혼합하였다. 이때, 흰 강낭콩 분말은 흰 강낭콩을 50℃에서 5시간 건조하고, 150℃에서 5분간 볶아 50mesh로 분쇄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현미 분말의 혼합시 흰 강낭콩 분말 15g을 더 혼합하였다. 이때, 흰 강낭콩 분말은 흰 강낭콩을 50℃에서 5시간 건조하고, 150℃에서 5분간 볶아 50mesh로 분쇄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대추, 대추잎의 혼합시 잣박 추출분말 15g을 더 혼합하였다. 이때, 잣박 추출분말은 잣박에 4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95℃에서 4시간 추출하고, 여과,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현미 분말의 혼합시 잣박 추출분말 15g을 더 혼합하였다. 이때, 잣박 추출분말은 잣박에 4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95℃에서 4시간 추출하고, 여과,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대추, 대추잎을 대신하여 깨끗이 세척한 귤피를 동결건조하고 50mesh로 분쇄한 귤피 분말 33g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새싹인삼을 수확하여 물로 2회 세척하였다. 그리고 세척된 새싹인삼 100g을 열풍 건조기에 투입하여 45℃의 온도에서 20시간 동안 건조한 후, 건조된 새싹인삼을 0.1cm 정도의 크기로 절단하였다. 그리고 이를 2.5g씩 티백으로 포장하였다.
(비교예 2)
수삼의 뿌리를 준비하고, 이를 열풍 건조기에 투입하여 45℃의 온도에서 20시간 동안 건조한 후, 0.1cm 정도의 크기로 절단하였다. 그리고 이를 2.5g씩 티백으로 포장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상기 관능평가는 성인 남녀 각 20명씩 패널로 선정하여 맛, 향 및 전체 기호도에 대하여 9점 채점법(9: 매우 좋음, 7: 좋음, 5: 보통, 3: 나쁨, 1: 매우 나쁨)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평균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냈다.(그 결과는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나타내었다.)
실험예 1의 결과
구분 전체 기호도
실시예 1 7.1 7.5 7.3
실시예 2 7.5 7.7 7.6
실시예 3 7.3 7.5 7.4
실시예 4 7.3 7.7 7.5
실시예 5 7.5 7.7 7.6
실시예 6 7.4 7.5 7.5
실시예 7 7.5 7.8 7.7
실시예 8 7.2 7.5 7.4
비교예 1 4.2 4.9 4.7
비교예 2 6.1 7.2 6.6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8은 모두 맛, 향 및 전체 기호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비교예 1, 2는 맛, 향, 및 전체 기호도 등에서 실시예들에 비해 다소 낮은 평가를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새싹인삼을 수확하여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새싹인삼을 50~70℃에서 15~25시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새싹인삼을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절단된 새싹인삼을 부재료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재료는 대추, 대추잎, 귤피 및 현미 중 1종 이상의 것이며,
    상기 절단된 새싹인삼을 부재료와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절단된 새싹인삼을 부재료와 1:0.2~1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고,
    상기 절단된 새싹인삼을 부재료와 혼합하는 단계에서, 40~60℃에서 2~10시간 건조하고 150~200℃에서 5~15분간 볶아 10~150mesh로 분쇄된 흰 강낭콩 분말 및 잣박에 1~5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90~100℃에서 2~5시간 추출한 후 여과, 농축 및 건조한 잣박 추출분말 중 1종 이상을 더 혼합하며,
    상기 대추는, 대추를 세척하고 씨를 제거한 후 이를 건조하여 분쇄한 것이거나, 또는 대추를 세척하고 씨를 제거한 후 이를 80~100℃의 오븐에서 3~5시간 동안 가열하여 냉각하고 분쇄한 것이고,
    상기 대추잎은, 대추 생엽을 150~200℃에서 5~15분간 덖은 후, 60~100℃에서 20~40분간 건조하여 분쇄한 것이며,
    상기 귤피는, 귤피를 건조하여 분쇄한 것이고,
    상기 현미는, 현미를 볶은 후, 분쇄한 것이며,
    상기 절단된 새싹인삼을 부재료와 혼합하는 단계에서, 흰 강낭콩 분말 및 잣박 추출분말 중 1종 이상을 더 혼합할 때, 흰 강낭콩 분말 및 잣박 추출분말은 새싹인삼 100중량부에 대하여 10~20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인삼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30885A 2019-03-19 2019-03-19 새싹인삼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 KR102121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885A KR102121291B1 (ko) 2019-03-19 2019-03-19 새싹인삼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885A KR102121291B1 (ko) 2019-03-19 2019-03-19 새싹인삼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291B1 true KR102121291B1 (ko) 2020-06-10

Family

ID=71087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885A KR102121291B1 (ko) 2019-03-19 2019-03-19 새싹인삼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2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7205A (ko) 2021-09-09 2023-03-16 주식회사 선샤인그린팜 새싹인삼차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065B1 (ko) * 2010-04-02 2011-03-02 충청대학 산학협력단 대추를 사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음료
KR101332812B1 (ko) * 2010-05-20 2013-11-26 농업회사법인 자연드림 주식회사 인삼의 가공방법
KR101766736B1 (ko) 2016-02-25 2017-08-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새싹인삼 잎차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새싹인삼 잎차
KR20170105918A (ko) * 2016-03-11 2017-09-20 양승기 새싹 인삼을 이용한 인삼차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065B1 (ko) * 2010-04-02 2011-03-02 충청대학 산학협력단 대추를 사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음료
KR101332812B1 (ko) * 2010-05-20 2013-11-26 농업회사법인 자연드림 주식회사 인삼의 가공방법
KR101766736B1 (ko) 2016-02-25 2017-08-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새싹인삼 잎차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새싹인삼 잎차
KR20170105918A (ko) * 2016-03-11 2017-09-20 양승기 새싹 인삼을 이용한 인삼차 제조방법
KR101829355B1 (ko) 2016-03-11 2018-02-14 양승기 새싹 인삼을 이용한 인삼차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7205A (ko) 2021-09-09 2023-03-16 주식회사 선샤인그린팜 새싹인삼차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552B1 (ko) 한방 황국화차 제조방법
KR102501735B1 (ko) 새싹, 식물성 생약재 및 홍삼을 함유한 기능성 발효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3892179A (zh) 一种五仁花草面粉及其制备方法
KR102121291B1 (ko) 새싹인삼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
KR102340831B1 (ko) 마를 함유한 칡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2120463B1 (ko) 비타민나무가 첨가된 칼국수 면발의 제조 방법
CN103653080A (zh) 一种板栗休闲食品及其加工方法
CN1042189C (zh) 绿豆衣茶制作方法
KR101766288B1 (ko) 사과현미국수와 그 제조방법
KR101853848B1 (ko) 참외 주박 소금 제조방법 및 그 참외 주박 소금
KR101614142B1 (ko) 산방풍 앙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1516B1 (ko) 모링가 떡국떡과 이의 제조방법
KR101819686B1 (ko) 발효 여주 커피 제조방법
KR102326532B1 (ko) 올리브 고구마 양갱의 제조방법
KR101752571B1 (ko)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양, 숙성시킨 청국장 및 이를 이용한 갈화고추장 제조방법
KR102380679B1 (ko) 누룽지 가래떡 및 그 제조방법
KR101601013B1 (ko) 찬물에 우려먹는 냉침차 및 그 제조방법
CN104082514A (zh) 一种绿豆雪糕及其制备方法
KR102107424B1 (ko) 발효 호박차 및 그 제조방법
CN104543167A (zh) 一种秋葵鹧鸪茶及其生产工艺
JP2003289834A (ja) ノニ葉茶およびその抽出茶液
KR102140586B1 (ko) 땅콩 국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127671A (ko) 초고압을 이용한 유색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청국장 분말의 제조방법
KR101203790B1 (ko)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KR101885650B1 (ko) 침출식 유자잎차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