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780B1 - 엘리베이터용 완충기 및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완충기 및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780B1
KR102104780B1 KR1020187028908A KR20187028908A KR102104780B1 KR 102104780 B1 KR102104780 B1 KR 102104780B1 KR 1020187028908 A KR1020187028908 A KR 1020187028908A KR 20187028908 A KR20187028908 A KR 20187028908A KR 102104780 B1 KR102104780 B1 KR 102104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shock absorber
outer circumferential
elevator
circumferenti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0239A (ko
Inventor
유타로 하나와
히사시 후루자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0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66B5/282Stru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of foam-like material, i.e. microcellular material, e.g. sponge rub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F16F7/124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construction from fibre-reinforced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충격을 흡수하는 발포체의 변형을 억제하여, 승강체의 최대 감속도를 저감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완충기 및 엘리베이터를 얻는 것이다. 해결 수단으로서, 엘리베이터용 완충기(10)는, 승강체가 충돌하는 충돌면(11a)을 갖는 발포 우레탄(11)과, 발포 우레탄(11)의 측부의 면의 외측에 장착되며, 내측면(12a)이 외향으로 만곡된 외주 부재(12)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완충기로서, 발포 우레탄(11) 및 외주 부재(12)가 변형하는 것에 의해 승강체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충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완충기 및 엘리베이터
본 발명은, 카(car)나 평형추 등의 승강체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용 완충기 및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등의 승강기에 있어서는, 카나 평형추 등의 승강체를 안전하게 정지시키기 위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기가 승강로 하단부의 피트(pit)에 구비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용의 완충기로서는, 스프링 완충기나 유입 완충기가 자주 이용되지만, 최근, 완충기의 소형화나 피트의 축소화, 비용 저감 등의 요구에 따르기 위해, 발포 우레탄 등의 발포체를 이용한 완충기가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종래에, 이와 같은 완충기로서, 연질 혹은 반경질의 플라스틱 또는 고무 등에 의해 구성된 표피 내에 폴리우레탄 등의 발포체를 충전한 것이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 평10-141408 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완충기에 있어서, 충격을 흡수하는 폴리우레탄 폼 등의 발포체는, 충돌의 충격에 의한 변형이 진행됨에 따라서 반력이 증가되어 가고, 충돌체의 감속도도 증가시킨다. 그리고, 충돌체가 정지하는 완충 종료시에 반력 및 충돌체의 감속도가 최대가 된다. 폴리우레탄 폼 등의 발포체는 변형량이 작을 때는 반력의 상승이 완만한 것에 반하여, 변형량이 일정량을 초과하면 반력이 급격하게 증대한다는 완충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승강체의 충돌시, 발포체의 변형에 따른 반력의 급증에 의해 승강체의 감속도가 급증하여, 최대 감속도가 과대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충격을 완충하는 발포체의 변형을 억제하여, 승강체의 최대 감속도를 저감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완충기 및 엘리베이터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완충기는, 승강체가 충돌하는 충돌면을 상부에 갖는 발포체와, 발포체의 측부의 면의 외측에 장착되며, 이 측부의 면에 대향하는 측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의 중앙부가 상기 측부의 면에 대향하는 측에 있어서의 상기 상부측의 상단부, 및 상기 측부의 면에 대향하는 측에 있어서의 상기 상부와 반대측의 하단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외향으로 만곡된 외주 부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완충기로서, 발포체 및 외주 부재가 변형하는 것에 의해 승강체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체의 충돌시, 발포체 및 이 발포체의 측부의 면의 외측에 장착되며, 발포체의 측부의 면에 대향하는 측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의 중앙부가 상기 측부의 면에 대향하는 측에 있어서의 상기 상부측의 상단부, 및 상기 측부의 면에 대향하는 측에 있어서의 상기 상부와 반대측의 하단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외향으로 만곡된 외주 부재에 의해 충격을 완충하기 때문에, 발포체의 변형을 억제하여 승강체의 최대 감속도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기의 평면도 및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기의 완충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변형량과 반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5는 완충 종료까지의 변형량과 감속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6은 외주 부재의 내측면이 외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경우와 만곡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감속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기의 평면도 및 B-B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기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기의 평면도 및 C-C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기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기의 측면도이다.
[실시형태 1]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을 도 1 내지 도 7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100)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카(2) 및 평형추(3), 즉 승강체가 각각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카(2) 및 평형추(3)를 접속하여 매달려 있는 로프(5)는, 모터를 포함하는 권상기 본체(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된 구동 시브(4)와 디플렉터 시브(deflector sheave)(6)에 감겨져 있으며, 구동 시브(4)가 권상기 본체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로프(5)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카(2) 및 평형추(3)는 각각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승강로(1)의 하단부에는 피트(7)가 형성되어 있으며, 피트(7)의 저면에는 엘리베이터용 완충기(10)가 장착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용 완충기(10)는 카(2)의 하방 및 평형추(3)의 하방에 각각 배치되며, 카(2) 또는 평형추(3)가 어떠한 이상 등으로 최하층보다 더욱 하강하여 엘리베이터용 완충기(10)에 충돌한 경우에, 카(2) 또는 평형추(3)로부터의 충격을 완화시킨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기의 평면도 및 A-A 단면도이다. 엘리베이터용 완충기(10)는,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트 저면에 장착한 지지대(19)의 상면에 고정된 발포 우레탄(11), 즉 발포체의 주위에 중공의 원통 형상을 이룬 탄소 섬유 강화 수지제의 외주 부재(12)를 발포 우레탄(11)의 측부의 면의 주위에 장착한 것이며, 발포 우레탄(11) 및 외주 부재(12)는 몰드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발포 우레탄(11)은, 원기둥 형상을 이루며 상면에 충돌면(11a)을 갖고, 축방향을 완충 방향으로 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발포체로서 발포 우레탄을 이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충격을 흡수하는 연질 혹은 반경질의 발포체이면 좋다.
외주 부재(12)의 내측면(12a), 즉 발포 우레탄(11)의 측부의 면에 대향하는 측의 면은 높이 방향 중앙부가 엘리베이터용 완충기(10)의 외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한편, 외측면(12b)은 높이 방향을 따라서 발포 우레탄(11)의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가 일정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외주 부재(12)의 중앙부의 두께는 상단부 및 하단부의 두께보다 작게 되어 있다. 외주 부재(12)의 높이는 발포 우레탄(11)의 높이보다 낮고, 외주 부재(12)의 상단면(12c)은 발포 우레탄(11)에 덮여 있다. 또한, 외주 부재(12)의 높이는 발포 우레탄(11)의 높이의 50% 이상으로 되어 있다. 외주 부재(12)의 최대 두께(상단부 및 하단부의 두께)는 발포 우레탄(11)의 최대 압축시의 높이의 50% 이하로 하고 있다. 발포 우레탄(11)의 최대 압축시의 변형량은 50% 내지 95%의 범위에 있으며, 예를 들면 최대 압축량이 90%인 경우, 외주 부재(12)의 최대 두께는 발포 우레탄(11)의 높이의 5% 이하가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주 부재(12)로서 쉘 형상 부재(shell-like member)인 탄소 섬유 강화 수지제의 외피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유리 섬유 강화 수지 등의 섬유 강화 수지나 압연 강재(SS400), 스테인리스강(SUS631) 등의 금속 등, 50 내지 200GPa 정도의 종탄성률(섬유 강화 수지에 대해서는 압축 탄성률)을 갖는 것이면 좋다. 또한, 발포 우레탄(11)과 외주 부재(12)는 일체 성형되어 있지만, 접착제 등에 의해 외주 부재(12)를 발포 우레탄(11)에 고정하여 엘리베이터용 완충기(10)를 구성해도 좋다.
다음에, 엘리베이터용 완충기(10)의 완충 동작에 대하여 도 3 및 도 4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기의 완충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발포 우레탄제 완충기(종래예),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하는 외주 부재(12)만, 또한 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기(10)의 각각에 대하여, 카(2) 또는 평형추(3)가 충돌했을 때의 높이 방향의 변형량과 변형에 의한 반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 5는, 종래예 및 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기(10)의 각각에 대하여, 높이 방향의 변형량과 엘리베이터용 완충기(10)에 충돌한 카(2) 또는 평형추(3)의 감속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카(2)가 엘리베이터용 완충기(10)에 충돌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평형추(3)가 충돌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설명을 위해, 초기 상태(변형량 제로)로부터 변형량이 α1에 도달할 때까지를 「완충 초기」, 변형량이 α1을 초과하고 나서 α2에 도달할 때까지를 「완충 중기」, 변형량이 α2를 초과하고 나서 카(2)가 정지하고 완충 종료될 때까지를 「완충 후기」라 부른다.
카(2)가 도 3의 (a)에 도시하는 엘리베이터용 완충기(10)에 구비된 발포 우레탄(11)의 충돌면(11a)에 충돌하면, 외주 부재(12)는 상단면(12c) 상부의 발포 우레탄(11)을 거쳐서 카(2)로부터 압축 하중을 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주 부재(12)는 내측면(12a)이 외향으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상부로부터의 압축 하중에 대하여 좌굴 변형을 일으키기 쉽다. 이 때문에, 카(2)의 충돌 후의 초기 단계로부터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좌굴 변형되고, 이 좌굴 변형에 의한 변형 에너지의 부분만큼 충돌에 의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여 충격을 완충한다. 또한, 발포 우레탄(11)도 카(2)로부터 압축 하중을 받으므로, 외측으로 팽출하면서 압축 변형되고, 이 압축 변형에 의한 변형 에너지의 부분만큼 충격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충격을 완충하지만,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돌 직후에 변형량이 작은 완충 초기에서는 외주 부재(12)의 좌굴 변형에 의한 반력과 비교하여 발포 우레탄(11)의 압축 변형에 의한 반력은 작고, 발포 우레탄(11)의 압축 변형에 의한 변형 에너지는 외주 부재(12)의 좌굴 변형에 의한 변형 에너지와 비교하여 작다. 이 때문에, 완충 초기에는 외주 부재(12)의 좌굴 변형이 발포 우레탄의 압축 변형과 비교하여 충격 흡수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카(2)는 주로 외주 부재(12)의 좌굴 변형에 의해 감속되고, 충격이 완충되고 있다.
발포 우레탄(11)의 압축 변형 및 외주 부재(12)의 좌굴 변형이 진행되어 변형량이 α1에 도달하면, 외주 부재(12)의 반력은 극대가 된다. 외주 부재(12)는, 그 후의 완충 중기에서도 도 3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게 좌굴 변형되지만, 좌굴 변형에 의한 반력은 완만하게 감소하기 시작하여, 엘리베이터용 완충기(10) 전체의 반력 및 카(2)의 감속도도 감소하기 시작한다. 한편, 발포 우레탄(11)의 압축 변형에 의한 반력은 변형량의 증가에 따라서 크게 증가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변형량이 α2에 도달했을 때, 발포 우레탄(11)의 반력의 증가량이 외주 부재(12)의 반력의 감소량을 상회하고, 엘리베이터용 완충기(10) 전체의 반력 및 카(2)의 감속도가 다시 증가하기 시작한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발포 우레탄(11)의 반력과 비교하여, 외주 부재(12)의 반력은 충분히 작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3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포 우레탄(11)의 압축 변형 및 외주 부재(12)의 좌굴 변형이 더욱 커지는 완충 후기에서는, 발포 우레탄(11)의 압축 변형이 외주 부재(12)의 좌굴 변형과 비교하여 충격 흡수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카(2)는 주로 발포 우레탄(11)의 압축 변형에 의해 감속되고, 충격이 완충되고 있다. 변형량이 α3에 도달하면 카(2)는 정지하고, 완충 종료가 된다.
완충 후기에서, 반력 및 카(2)의 감속도는 변형량의 증가에 따라서 단조 증가하기 때문에, 변형량이 최대가 되는 완충 종료시에 반력 및 카(2)의 감속도는 최대가 된다. 완충 후기에 있어서의 발포 우레탄(11)의 변형량은, 변형량이 α2일 때의 카(2)의 속도의 크기에 의존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2)의 충돌에 의한 충격의 에너지가 완충 초기 및 완충 중기에 외주 부재(12)의 좌굴 변형에 의해 흡수되어 카(2)는 감속되고 있기 때문에, 발포 우레탄(11)은 외주 부재(12)의 좌굴 변형에 의해 감속된 카(2)를 감속·정지시키면 좋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완충 종료시의 변형량인 α3은 종래예에 있어서의 완충 종료시의 변형량인 α4보다 작아진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완충 종료시에 있어서의 카(2)의 감속도, 즉 최대 감속도가 종래예와 비교하여 작아진다.
또한, 발포 우레탄은 압축 변형할 때에 직경이 커져 단면적이 증가한다는 특성을 갖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외주 부재(12)는 외향으로 좌굴 변형하기 때문에, 발포 우레탄(11)의 단면적의 증가를 억제하여 압축 변형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여기서, 외주 부재(12)의 내측면(12a)의 만곡과 카(2)의 감속도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외주 부재(12)의 내측면(12a)을 본 실시형태와 같이 외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경우와, 만곡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감속도의 상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내측면(12a)이 만곡되어 있지 않은 경우, 외주 부재(12)는 카(2)로부터의 압축 하중에 의해 압축 방향으로 압궤되도록 변형되며, 충돌시에 상승된 반력 및 카(2)의 감속도가 계속 증대되어 버리므로, 최대 감속도가 저감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형태와 같이 내측면(12a)이 만곡되어 있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카(2)의 충돌 후의 초기 단계에서 좌굴 변형이 일어나기 때문에, 충돌시에 상승된 반력 및 카(2)의 감속도는, 내측면(12a)이 만곡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같이 계속 증대되는 일 없이, 최대 감속도가 저감된다.
실시형태 1에 의하면, 승강체의 충돌시, 발포 우레탄 및 이 발포 우레탄 측부의 면의 주위에 장착되며, 내측면이 외향으로 만곡된 외주 부재에 의해 충격을 완충시키므로, 충돌에 의한 충격의 에너지의 일부를 외주 부재의 좌굴 변형에 의해 흡수시킨다. 이 때문에, 발포 우레탄이 흡수하는 에너지가 작아지므로, 발포 우레탄의 변형을 억제하여 충돌한 승강체의 최대 감속도를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발포 우레탄제 완충기와 같은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에 있어서, 발포체의 재질이나 완충기 높이를 변경하는 일 없이 최대 감속도를 소정의 값(예를 들면 6G)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외주 부재의 내측면이 엘리베이터용 완충기의 외향으로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 하중을 받았을 때에 외향으로 좌굴 변형되기 쉬워, 압축 방향으로 압궤되도록 변형하는 일이 없다. 또한, 압축 변형시에 외측으로 팽출되는 발포 우레탄의 압축 변형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또한, 외주 부재의 높이는 발포 우레탄의 높이보다 낮고, 외주 부재의 상단면은 발포 우레탄에 덮여 있으므로, 모두 경질 재질로 이루어지는 승강체의 저면과 외주 부재가 직접 충돌하여 외주 부재가 좌굴 변형되기 전에 충격으로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강체의 저면이 손상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포 우레탄은 비선형적인 압축 특성을 갖고, 일반적으로 변형 전의 높이에 대한 변형량이 50%를 초과하면 반력이 급격하게 증가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주 부재의 높이가 발포 우레탄의 높이의 50% 이상이기 때문에, 발포 우레탄의 반력이 급격한 증가를 시작하기 전에 외주 부재의 좌굴 변형에 의한 완충이 개시된다. 이 때문에, 외주 부재의 좌굴 변형에 의한 완충 전에 발포 우레탄의 압축 변형에 의한 큰 반력이 생겨 승강체의 감속도가 과대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주 부재(12)의 좌굴 변형이 커지면, 외주 부재(12)의 상반분과 하반분이 절첩될 가능성이 있다. 절첩된 외주 부재(12)는 내측면끼리가 서로 가압하여, 완충 능력이 없다. 이 때문에, 절첩된 외주 부재(12)가 발포 우레탄(11)보다 높아져, 카(2)에 접촉한 경우, 반력 및 감속도가 과대하게 될 가능성이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락 [00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주 부재(12)의 최대 두께를 발포 우레탄(11)의 최대 압축시의 높이의 50% 이하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절첩된 외주 부재(12)와 카(2)가 접촉하여 반력 및 감속도가 과대하게 되는 일이 없다
이하에, 실시형태 1의 변형예를 도 7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용 완충기(101)는, 발포 우레탄(111)과 외주 부재(121)의 높이가 동일하고 외주 부재(121)의 상단면(121c)이 노출되어 있으며, 충돌면(111a)과 상단면(121c)이 면일하게 되어 있다. 그 이외의 점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며, 내측면(121a), 외측면(121b), 지지대(191)는, 각각 내측면(12a), 외측면(12b), 지지대(19)에 상당한다.
[실시형태 2]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2를 도 8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기의 측면도이다. 엘리베이터용 완충기(20)는,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트 저면에 장착한 지지대(29)의 상면에 고정된 발포 우레탄(21)의 측부의 면 주위에 외주 부재(22)를 장착한 것이다. 발포 우레탄(21)은 실시형태 1의 발포 우레탄(11)과 마찬가지로 원기둥 형상을 이루며 상면에 충돌면(21a)을 갖고 있다.
외주 부재(22)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접착 등에 의해 발포 우레탄(21)의 측부의 면에 고정된 4매의 탄소 섬유 강화 수지제의 판 형상 부재(22A 내지 22D)로 구성되어 있다. 판 형상 부재(22A 내지 22D)에 있어서, 내측면(22a)(발포 우레탄(21)에 대향하는 면)은 높이 방향 중앙부가 엘리베이터용 완충기(20)의 외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한편, 외측면(22b)(내측면(22a)과 반대측의 면)은, 높이 방향을 따라서 발포 우레탄(21)의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가 일정하기 때문에, 판 형상 부재(22A 내지 22D)의 중앙부의 두께는 상단부 및 하단부의 두께보다 작게 되어 있다. 또한, 판 형상 부재(22A 내지 22D)의 높이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발포 우레탄(21)의 높이보다 낮고, 발포 우레탄(21)의 높이의 50% 이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단면(22c)은 각각 노출되어 있다. 판 형상 부재(22A 내지 22D)의 최대 두께(각각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두께)에 대해서도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발포 우레탄(21)의 최대 압축시의 높이의 50% 이하로 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4매의 판 형상 부재(22A 내지 22D)에 의해 외주 부재(22)를 구성하고 있지만, 외주 부재(22)를 구성하는 판 형상 부재의 매수는 4매에 한정되지 않으며, 판 형상 부재의 폭이나 인접하는 판 형상 부재의 간격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판 형상 부재(22A 내지 22D)의 재질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탄소 섬유 강화 수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 상이한 재질의 판 형상 부재(22A 내지 22D)를 조합하여 외주 부재(22)를 구성해도 좋다.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2에 의하면, 실시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판 형상 부재를 조합하는 것에 의해 외주 부재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가 용이하다.
[실시형태 3]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을 도 9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기의 평면도 및 C-C 단면도이다. 엘리베이터용 완충기(30)는,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트 저면에 장착한 지지대(39)의 상면에 고정된 발포 우레탄(31)의 주위에 중공의 원통 형상을 이룬 탄소 섬유 강화 수지제의 외주 부재(32)를 입설한 것이며, 발포 우레탄(31) 및 외주 부재(32)는 몰드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발포 우레탄(31)은 실시형태 1의 발포 우레탄(11)과 마찬가지로 원기둥 형상을 이루며 상면에 충돌면(31a)을 갖고 있다.
외주 부재(32)의 내측면(32a)(발포 우레탄(31)에 대향하는 면) 및 외측면(32b)(내측면(32a)과 반대측의 면)은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엘리베이터용 완충기(30)의 외향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외주 부재(32)의 두께는 균일하게 되어 있다. 외주 부재(32)의 상단면(32c)은 발포 우레탄(31)의 측부의 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외주 부재(32)의 높이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발포 우레탄(31)의 높이보다 낮고, 발포 우레탄(31)의 높이의 50% 이상으로 되어 있다. 외주 부재(32)의 두께에 대해서도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발포 우레탄(31)의 최대 압축시의 높이의 50% 이하로 하고 있다. 또한, 외주 부재(32)의 재질도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탄소 섬유 강화 수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3에 의하면, 실시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외주 부재의 두께가 균일하므로 가공하기 쉬워서, 제조가 용이하다.
[실시형태 4]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4를 도 10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기의 측면도이다. 엘리베이터용 완충기(40)는,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트 저면에 장착한 지지대(49)의 상면에 고정된 발포 우레탄(41)의 주위에 외주 부재(42)를 장착한 것이다. 발포 우레탄(41)은 실시형태 1의 발포 우레탄(11)과 마찬가지로 원기둥 형상을 이루며 상면에 충돌면(41a)을 갖고 있다.
외주 부재(42)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접착 등에 의해 발포 우레탄(41)의 측부의 면에 고정된 4매의 탄소 섬유 강화 수지제의 판 형상 부재(42A 내지 42D)로 구성되어 있다. 판 형상 부재(42A 내지 42D)에 있어서, 내측면(42a)(발포 우레탄(41)에 대향하는 면) 및 외측면(42b)(내측면(42a)과 반대측의 면)은 높이 방향을 따라서 발포 우레탄(41)으로부터 외향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판 형상 부재(42A 내지 42D)의 두께는 균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판 형상 부재(42A 내지 42D)의 높이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발포 우레탄(41)의 높이보다 낮고, 발포 우레탄(41)의 높이의 50% 이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단면(42c)은 접착 등에 의해 각각 발포 우레탄(41)의 측부의 면에 고정되어 있다. 판 형상 부재(42A 내지 42D)의 두께에 대해서도,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발포 우레탄(41)의 최대 압축시의 높이의 50% 이하로 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4매의 판 형상 부재(42A 내지 42D)에 의해 외주 부재(42)를 구성하고 있지만, 외주 부재(42)를 구성하는 판 형상 부재의 매수는 4매에 한정되지 않으며, 판 형상 부재의 폭이나 인접하는 판 형상 부재와의 간격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판 형상 부재(42A 내지 42D)의 재질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탄소 섬유 강화 수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각각 상이한 재질의 판 형상 부재(42A 내지 42D)를 조합하여 외주 부재(42)를 구성해도 좋다.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4에 의하면, 실시형태 2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외주 부재의 두께가 균일하므로 가공하기 쉬워서, 제조가 더욱 용이하다.
[실시형태 5]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5를 도 11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기의 측면도이다. 엘리베이터용 완충기(50)는,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트 저면에 장착한 지지대(59)의 상면에 고정된 발포 우레탄(51)의 주위에 외주 부재(52)를 장착한 것이다. 발포 우레탄(51)은 실시형태 1의 발포 우레탄(11)과 마찬가지로 원기둥 형상을 이루며 상면에 충돌면(51a)을 갖고 있다.
외주 부재(52)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접착 등에 의해 발포 우레탄(51)의 측부의 면에 고정된 5개의 탄소 섬유 강화 수지제의 원기둥 부재(52A 내지 52E)로 구성되어 있다. 원기둥 부재(52A 내지 52E)에 있어서, 측면 내측(52a)(발포 우레탄(51)에 대향하는 측) 및 측면 외측(52b)(측면 내측(52a)의 반대측)은, 높이 방향을 따라서 발포 우레탄(51)으로부터 외향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원기둥 부재(52A 내지 52E)의 직경은 균일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원기둥 부재(52A 내지 52E)의 직경은 원기둥 부재(52A 내지 52E)에 의해 구성되는 외주 부재(52)의 두께에 상당한다. 원기둥 부재(52A 내지 52E)의 높이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발포 우레탄(51)의 높이보다 낮고, 발포 우레탄(51)의 높이의 50% 이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단면(52c)은 접착 등에 의해 각각 발포 우레탄(51)의 측부의 면에 고정되어 있다. 외주 부재(52)의 두께, 즉 원기둥 부재(52A 내지 52E)의 직경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발포 우레탄(51)의 최대 압축시의 높이의 50% 이하로 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5개의 원기둥 부재(52A 내지 52E)에 의해 외주 부재(52)를 구성하고 있지만, 외주 부재(52)를 구성하는 원기둥 부재의 개수는 5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인접하는 원기둥 부재의 간격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원기둥 부재(52A 내지 52E)의 재질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탄소 섬유 강화 수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각각 상이한 재질의 원기둥 부재(52A 내지 52E)를 조합하여 외주 부재(52)를 구성해도 좋다.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5에 의하면, 실시형태 2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외주 부재는 직경이 균일한 원기둥 부재에 의해 구성하므로 가공하기 쉬워서, 더욱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발포 우레탄을 원기둥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각기둥 형상의 발포 우레탄을 이용해도 좋다. 외주 부재는 발포 우레탄의 외주에 맞추어 적절한 형상이나 배치를 선택하고 발포 우레탄의 측부의 면의 주위에 장착하면 좋다.
또한, 승강체의 충돌시에 외주 부재가 외향으로 좌굴 변형하도록, 외주 부재의 내측면을 엘리베이터용 완충기의 외향으로 만곡시키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외주 부재의 외측면을 엘리베이터용 완충기의 내향으로 만곡시켜도 좋다. 이러한 경우, 승강체의 충돌시에 외주 부재는 내향으로 좌굴 변형하므로, 외주 부재와 발포체 사이에 소정 폭의 간격을 두고 외주 부재를 배치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각 실시형태를 자유롭게 조합하거나, 각 실시형태를 적절히 변형,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승강로
2 : 카(승강체)
3 : 평형추(승강체)
7 : 피트
10, 101, 20, 30, 4050 : 엘리베이터용 완충기
11, 111, 21, 31, 41, 51 : 발포 우레탄(발포체)
11a, 111a, 21a, 31a, 41a, 51a : 충돌면
12, 121, 22, 32, 42, 52 : 외주 부재
12a, 121a, 22a, 32a, 42a : 내측면
52a : 측면 내측
12b, 121b, 22b, 32b, 42b : 외측면
52b : 측면 외측
12c, 121c, 22c, 32c, 42c, 52c : 상단면
22A 내지 22D, 42A 내지 42D : 판 형상 부재
52A 내지 52E : 원기둥 부재
100 : 엘리베이터

Claims (10)

  1. 승강체가 충돌하는 충돌면을 상부에 갖는 발포체와, 상기 발포체의 측부의 면의 외측에 장착되며, 외측으로 향하는 방향의 두께가 상기 발포체의 최대 압축시의 높이의 50% 이하이고, 상기 측부의 면에 대향하는 측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의 중앙부가 상기 측부의 면에 대향하는 측에 있어서의 상기 상부측의 상단부, 및 상기 측부의 면에 대향하는 측에 있어서의 상기 상부와 반대측의 하단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외향으로 만곡된 외주 부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완충기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의 압축 변형 및 상기 외주 부재의 좌굴 변형에 의해, 상기 승강체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완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주 부재는 높이가 상기 발포체의 높이의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완충기.
  3. 승강체가 충돌하는 충돌면을 상부에 갖는 발포체와, 상기 발포체의 측부의 면의 외측에 장착되며, 외측으로 향하는 방향의 두께가 상기 발포체의 최대 압축시의 높이의 50% 이하이고, 상기 측부의 면에 대향하는 측이 외향으로 만곡된 외주 부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완충기에 있어서,
    상기 외주 부재는 높이가 상기 발포체의 높이 이하이고,
    상기 발포체의 압축 변형 및 상기 외주 부재의 좌굴 변형에 의해, 상기 승강체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충하는
    엘리베이터용 완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주 부재는 상단면이 상기 발포체에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완충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 부재는 외측으로 향하는 방향의 두께가 균일한
    엘리베이터용 완충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 부재는 중공의 원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완충기.
  7. 승강체가 충돌하는 충돌면을 상부에 갖는 발포체와, 상기 발포체의 측부의 면의 외측에 장착되며, 상기 측부의 면에 대향하는 측이 외향으로 만곡된 외주 부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완충기에 있어서,
    상기 외주 부재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판 형상 부재이고,
    상기 발포체 및 상기 외주 부재가 변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승강체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충하는
    엘리베이터용 완충기.
  8. 승강체가 충돌하는 충돌면을 상부에 갖는 발포체와, 상기 발포체의 측부의 면의 외측에 장착되며, 상기 측부의 면에 대향하는 측이 외향으로 만곡된 외주 부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완충기에 있어서,
    상기 외주 부재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원기둥 부재이고,
    상기 발포체 및 상기 외주 부재가 변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승강체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충하는
    엘리베이터용 완충기.
  9. 승강로를 승강 가능한 승강체와,
    상기 승강로의 하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체의 하방에 배치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청구항 7 및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용 완충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0. 삭제
KR1020187028908A 2016-04-14 2017-02-03 엘리베이터용 완충기 및 엘리베이터 KR102104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80818 2016-04-14
JP2016080818 2016-04-14
PCT/JP2017/003942 WO2017179270A1 (ja) 2016-04-14 2017-02-03 エレベータ用緩衝器及びエレベ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239A KR20180120239A (ko) 2018-11-05
KR102104780B1 true KR102104780B1 (ko) 2020-04-27

Family

ID=60042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908A KR102104780B1 (ko) 2016-04-14 2017-02-03 엘리베이터용 완충기 및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14300B2 (ko)
KR (1) KR102104780B1 (ko)
CN (1) CN108883896B (ko)
BR (1) BR112018070708B1 (ko)
DE (1) DE112017002006T5 (ko)
WO (1) WO20171792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923B1 (ko) 2018-11-27 2020-12-0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다단 복합재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3823A (ja) * 2009-09-30 2011-04-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緩衝器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62788A (fr) * 1955-12-08 1958-09-17 Lemforder Metallwarengesellsch élément élastique
US3081993A (en) * 1960-12-12 1963-03-19 Lord Mfg Co Resilient mounting
GB1058793A (en) * 1962-11-22 1967-02-15 Angus George Co Ltd Improvements in spring blocks
DE1238278B (de) * 1963-07-12 1967-04-06 Lemfoerder Kunststoff G M B H Federungskoerper aus offenzelligem elastischem Werkstoff
FR2122018A5 (ko) * 1971-01-14 1972-08-25 Kleber Colombes
DE2104636A1 (de) * 1971-02-02 1972-08-17 Wehmeier, Reinhard, 4803 Steinhagen Als Prallkörper ausgebildetes Zwischenstück zum Einbau zwischen Lenkrad und Lenksäule
JPS49109341U (ko) * 1973-01-17 1974-09-18
US4005858A (en) * 1973-08-31 1977-02-01 Kaspar Lochner Damping member
DE2354856A1 (de) * 1973-11-02 1975-05-07 Krupp Gmbh Aus puffer und gegenpuffer bestehende einrichtung
DE2400176A1 (de) * 1974-01-03 1975-07-17 Krupp Gmbh Puffer mit in einem rohr untergebrachten zellkunststoffkoerpern
DE2964907D1 (en) * 1978-09-27 1983-03-31 Robertson Co H H Blast-resistant barrier
DE3049425C2 (de) * 1980-12-30 1991-09-05 Messerschmitt-Bölkow-Blohm GmbH, 8000 München Aufprall-Schutz-Bauteil
JPS5863673A (ja) * 1981-10-08 1983-04-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用緩衝装置
DE3925821A1 (de) * 1989-08-04 1990-08-30 Daimler Benz Ag Mit einem energieabsorbierenden schaum angefuellter energieabsorber
DE4239460C2 (de) * 1992-11-24 1996-07-11 Austria Metall Stoßverzehrvorrichtung
JPH08296212A (ja) * 1995-04-25 1996-11-12 Polyurethan Kasei Kk 緩衝体
JPH10141408A (ja) * 1996-11-12 1998-05-29 Polyurethan Kasei Kk 緩衝体
JP3619110B2 (ja) 2000-03-01 2005-02-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昇降機用緩衝器
US7967118B2 (en) 2004-08-31 2011-06-28 Chen Dai-Heng Impact absorber device
DE102004046925A1 (de) * 2004-09-28 2006-04-13 Vibracoustic Gmbh & Co. Kg Federelement
WO2009075661A1 (en) * 2007-12-11 2009-06-18 Otis Elevator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cting degradation of a non-metallic, elastically deformable buffer
CN202186808U (zh) * 2011-07-27 2012-04-11 浙江诺比克电梯有限公司 电梯用缓冲器
US9669787B2 (en) * 2012-11-19 2017-06-06 Toyota Shatai Kabushiki Kaisha Shock-absorbing mechanism
WO2014136733A1 (ja) * 2013-03-04 2014-09-12 新日鐵住金株式会社 衝撃吸収部品
CN203411189U (zh) * 2013-07-11 2014-01-29 广东奥尔斯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聚氨酯缓冲器
JP6247471B2 (ja) * 2013-07-31 2017-12-1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用衝突エネルギー吸収装置および鉄道車両
EP3431808B1 (en) * 2016-03-14 2022-11-16 Nok Corporation Buffer stopp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3823A (ja) * 2009-09-30 2011-04-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緩衝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14300B2 (en) 2022-08-16
BR112018070708A2 (pt) 2019-02-12
DE112017002006T5 (de) 2019-01-24
KR20180120239A (ko) 2018-11-05
US20190084802A1 (en) 2019-03-21
CN108883896B (zh) 2020-08-18
BR112018070708B1 (pt) 2023-02-14
CN108883896A (zh) 2018-11-23
WO2017179270A1 (ja) 201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1837B2 (ja) エレベータの緩衝装置
KR102104780B1 (ko) 엘리베이터용 완충기 및 엘리베이터
JP2013056748A (ja) エレベータ用緩衝器
JP5920015B2 (ja) 移動体用空気ばねおよび、それを用いた移動体車両
CN107922155B (zh) 电梯缓冲系统
JP6190988B1 (ja) エレベータ用緩衝器及びエレベータ
JP2013241989A (ja) 空気ばね及びそれを用いた移動体車両
KR101933198B1 (ko) 승강기의 추락 완충장치
WO2006033135A1 (ja) エレベータ用緩衝装置
KR100883719B1 (ko) 완충기구 및 이를 갖는 구조물 지지장치
JP2008127125A (ja) エレベータ用の緩衝装置
CN211393450U (zh) 用于罐笼的驻车装置及罐道
CN210457071U (zh) 一种电梯缓冲器
KR102043277B1 (ko) 철도 차량용 완충장치
CN108842692B (zh) 一种能够卸力的桥梁桥墩的防撞装置
JP2003252546A (ja) エレベータ用緩衝器
CN212151240U (zh) 一种基于电梯坠落的缓冲装置
US9714072B2 (en) Damper system for boat docks
CN215753777U (zh) 一种具有减震的动车内饰件存储盒
KR20000009934A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CN213231092U (zh) 一种非金属复合材料制成的电梯缓冲装置
CN115217076A (zh) 一种自适应型桥墩防撞装置
JP4577087B2 (ja) エネルギー吸収体
CN115140628A (zh) 一种电梯下落缓冲装置
JP5436340B2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