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887B1 - 수납 용기 - Google Patents

수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887B1
KR102085887B1 KR1020157010284A KR20157010284A KR102085887B1 KR 102085887 B1 KR102085887 B1 KR 102085887B1 KR 1020157010284 A KR1020157010284 A KR 1020157010284A KR 20157010284 A KR20157010284 A KR 20157010284A KR 102085887 B1 KR102085887 B1 KR 102085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wall
state
wall portion
container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0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3084A (ko
Inventor
기요시 와다
데루타카 이와사키
다케시 반도
다카히로 우에다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83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A47K10/42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means for urging the whole stack upwards towards the dispensing opening, e.g. a spring, a counterw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33Details of the housing, e.g. hinges, connection to the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305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수납되는 시트재의 수가 적어진 경우라도, 취출구로부터 용이하게 시트재를 취출하는 것이 가능한 수납 용기를 제공한다.
시트재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 용기(1)로서, 시트재를 취출하기 위한 취출구(4)가 설치된 천판부(3)와, 천판부(3)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2)와,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용기 본체(2)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용기 본체(2)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바닥 덮개(6)를 구비한다. 바닥 덮개(6)는, 평판부(55)와, 평판부(55)로부터 용기 본체(2)의 내방으로 제 1 높이까지 돌출한 제 1 상태에서, 평판부(55)로부터 용기 본체(2)의 내방으로 제 1 높이보다 높은 제 2 높이까지 돌출한 제 2 상태로 변형 가능한 신축부(58)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납 용기{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웨트 티슈 등의 시트재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웨트 티슈를 밀폐 상태로 수용하는 수납 용기로서, 시트재를 취출하기 위한 취출구와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천정 덮개를 구비한 수지제의 용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웨트 티슈를 사용할 때에는, 천정 덮개를 열어 취출구를 노출시키고, 취출구로부터 1매씩 웨트 티슈가 꺼내진다. 웨트 티슈를 취출한 후에는, 다시 천정 덮개를 닫아 취출구를 밀폐함으로써, 웨트 티슈의 건조를 억제할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11-79214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11-180460호 공보
수납 용기 내부의 웨트 티슈가 소비되어 남은 매수가 적어지면, 웨트 티슈의 취출시에, 취출구로부터 용기의 깊숙이까지 손가락을 넣을 필요가 있어, 사용이 편리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수납되는 시트재의 수가 적어진 경우라도, 취출구로부터 용이하게 시트재를 취출하는 것이 가능한 수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수납 용기는, 시트재를 취출하기 위한 취출구가 설치된 천판부(天板部)와, 천판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수지의 일체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용기 본체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바닥 덮개를 구비한다. 바닥 덮개는, 평판부와, 평판부로부터 용기 본체의 내방(內方)으로 제 1 높이까지 돌출한 제 1 상태에서, 평판부로부터 용기 본체의 내방으로 제 1 높이보다 높은 제 2 높이까지 돌출한 제 2 상태로 변형 가능한 신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판의 신축부의 높이를 높게 함으로써 바닥을 끌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수납되는 시트재의 수가 적어진 경우라도, 취출구로부터 용이하게 시트재를 취출하는 것이 가능한 수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납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납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Ⅲ-Ⅲ 라인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바닥 덮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Ⅴ-Ⅴ 라인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납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납 용기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납 용기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납 용기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낸 Ⅲ-Ⅲ 라인을 따른 단면도이다.
수납 용기(1)는, 용기 본체(2)와, 천정 덮개(5)와, 고무판(9)과, 누름 버튼 구조체(7)와, 바닥 덮개(6)를 구비한다. 수납 용기(1)는, 적층된 시트재를 밀폐 상태로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시트재는, 예를 들면, 웨트 티슈, 클렌징 티슈, 아기용 물티슈 등의 습윤(濕潤)한 시트재이지만, 반드시 습윤한 것일 필요는 없고, 티슈 페이퍼 등의 건조한 시트재여도 된다. 또, 시트재는, 도 3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에 취출용의 개구부를 가지는 파우치로 포장된 패키지(8)로서 수납되어 있어도 되고, 파우치 등으로 포장하지 않고 직접 수납되어 있어도 된다.
용기 본체(2)는, 시트재의 패키지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中空) 상자형 형상의 부재이며,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용기 본체(2)는, 천판부(3)와, 천판부(3)의 외주연(外周緣)에 접속되는 주벽부(周壁部)(10)를 가진다. 천판부(3)에는, 시트재를 취출하기 위한 취출구(4)가 설치되어 있다. 취출구(4)는, 임의 형상의 개구 또는 슬릿이며, 그 형상이나 크기는, 시트재를 취출하기 용이함이나 밀폐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용기 본체(2)에 있어서의 천판부(3)와 대향하는 부분, 즉, 용기 본체(2)의 바닥부는 개방되어 있다.
천정 덮개(5)는,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용기 본체(2)에 장착되고, 폐쇄 상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2)의 천판부(3)에 설치된 취출구(4)를 폐쇄하는 부재이다. 천정 덮개(5)는,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천정 덮개(5)는,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부(39)를 가지고, 장착부(39)를 통하여 용기 본체(2)에 장착되어 있다.
고무판(9)은, 천정 덮개(5)를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는 부재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판(9)의 일방의 단부(63a)가 천정 덮개(5)에 장착되고, 고무판(9)의 타방의 단부(63b)는, 용기 본체(2)의 천판부(3)에 설치된 오목부(61)에 수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무판(9)은, 천정 덮개(5)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고, 고무판(9)의 단부(63b)의 외면이 천판부(3)의 오목부(61)의 바닥면(62)에 맞닿아 있다. 천정 덮개(5)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고무판(9)이 U자 형상으로 탄성 변형하고 있음으로써 반발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천정 덮개(5)를 개방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고무판(9)의 재질은, 탄성 변형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를 이용할 수 있다. 또, 고무판(9) 대신, 금속제나 수지제의 판 스프링 등을 이용해도 된다.
누름 버튼 구조체(7)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 덮개(5)의 장착부(39)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천정 덮개(5)의 외주연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누름 버튼 구조체(7)는, 누름 버튼 부재(11)와, 누름 버튼 부재(11)에 감합(嵌合)하는 록 부재(12)로 구성된다. 누름 버튼 구조체(7)는, 천정 덮개(5)와 계합(係合;engaging)함으로써 천정 덮개(5)를 폐쇄 상태로 유지함과 함께, 천정 덮개(5)를 열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서의 가압력을 받음으로써 천정 덮개(5)와의 계합 상태를 해제한다.
바닥 덮개(6)는, 용기 본체(2)의 바닥부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천판부(3)와 대향하는 개구부를 폐쇄하는 부재이다. 바닥 덮개(6)는,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바닥 덮개(6)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름상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가압력을 받음으로써 높이가 가변인 신축부(58)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도 1∼6을 함께 참조하면서 바닥 덮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바닥 덮개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나타낸 Ⅴ-Ⅴ라인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5(a)는, 신축부의 제 1 상태를 나타내고, 도 5(b)는, 신축부의 제 2 상태를 나타낸다.
바닥 덮개(6)는, 평판부(55)와, 신축부(58)와, 감합부(56)와, 손잡이(57)를 구비한다. 바닥 덮개(6)는, 손으로 가한 가압력으로 변형 가능한 연질의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바닥 덮개(6)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할 수 있다. 바닥 덮개(6)에는, 틈이나 개구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용기 본체(2)의 개구부를 밀폐 상태로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2)에 웨트 티슈 등의 습윤한 시트재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천정 덮개(5)를 닫은 상태에서 시트재의 건조 등을 억제할 수 있다.
평판부(55)는, 신축부(58)의 주위에 설치되는 평탄 형상의 부분이다.
신축부(58)는, 평판부(55)의 대략 중앙에 설치되고, 용기 본체(2)의 내방으로 제 1 높이까지 돌출한 제 1 상태에서, 평판부(55)로부터 용기 본체(2)의 내방으로 제 1 높이보다 높은 제 2 높이까지 돌출한 제 2 상태로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부(58)는, 대략 원형의 저면부(50)와, 제 1 주벽부(51)와, 제 2 주벽부(52)와, 제 3 주벽부(53)와, 제 4 주벽부(54)로 구성되어 있다.
저면부(50)는, 용기 본체(2)의 외방(도 5에 있어서의 하방)으로 돌출한 곡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저면부(50)는, 신축부(58)를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형시킬 때에 손가락 등으로 가압하기 위한 부분이다.
제 1 주벽부(51)는, 저면부(50)의 외주연에 접속되고, 용기 본체(2)의 내방으로 상승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주벽부(52)는, 제 1 주벽부(51)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주벽부(52)는, 제 1 주벽부(51)에 있어서의 용기 본체(2)의 내방측의 주연부(周緣部)에 굴곡부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제 3 주벽부(53)는, 신축부(58)의 제 1 상태에 있어서, 제 2 주벽부(52)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3 주벽부(53)는, 제 2 주벽부(52)에 있어서의 용기 본체(2)의 외방측의 주연부에 굴곡부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 제 3 주벽부(53)는, 그 외경 및 내경이 용기 본체(2)의 내방측으로부터 외방측을 향하여 좁아지고, 또한, 용기 본체(2)의 외방측을 향하여 불룩한 곡면 형상을 가진다.
제 4 주벽부(54)는, 신축부(58)의 제 1 상태에 있어서, 제 3 주벽부(53)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4 주벽부(54)는, 제 3 주벽부(53)에 있어서의 용기 본체(2)의 내방측의 주연부에 굴곡부를 통하여 접속됨과 함께, 평판부(55)에 접속되어 있다.
감합부(56)는, 평판부(55)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감합부(56)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의 바닥부의 주연부를 감입할 수 있도록, 대략 C자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진다. 용기 본체(2)의 바닥부의 주연부와 감합부(56)를 감입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바닥 덮개(6)를 용기 본체(2)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할 수 있다.
손잡이(57)는, 감합부(56)의 일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손잡이(57)는, 용기 본체(2)에 시트재의 리필을 새로 채워 넣기 위해 바닥 덮개(6)를 분리할 때에, 바닥 덮개(6)를 잡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신축부(58)를 제 1 상태와 제 2 상태의 사이에서 변형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신축부(58)를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형시키는 경우에는, 바닥 덮개(6)를 용기 본체(2)에 장착한 상태에서 행해도 되고, 바닥 덮개(6)를 용기 본체(2)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행해도 된다. 신축부(58)를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변형시키는 경우에는, 바닥 덮개(6)를 용기 본체(2)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행한다.
먼저, 신축부(58)를 도 5(a)에 나타낸 제 1 상태에서 도 5(b)에 나타낸 제 2 상태로 변형시키는 경우, 바닥 덮개(6) 또는 용기 본체(2)의 주위를 유지하면서, 신축부(58)의 중앙에 위치하는 저면부(50)의 외면에 대하여, 손가락 등으로 도 5(a)에 도시한 화살표의 방향으로 가압력을 가한다. 저면부(50)에 가해진 가압력에 의해, 저면부(50)와, 제 1 주벽부(51)와, 제 2 주벽부(52)와, 제 3 주벽부(53)가, 용기 본체(2)의 내방측으로 밀어 올려지며,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주벽부(52) 및 제 3 주벽부(53)의 접속부와, 제 3 주벽부(53) 및 제 4 주벽부(54)의 접속부를 각각 지지점으로 하여, 제 3 주벽부(53)가 반전된 상태가 된다. 바꿔 말하면, 제 2 주벽부(52) 및 제 3 주벽부(53)의 접속부가, 용기 본체(2)의 내부측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저면부(50)를 용기 본체(2)의 내부측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부(58)를 신장시키고, 제 2 높이까지 돌출한 제 2 상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변형 후에 있어서는, 신축부(58)는, 저절로 제 1 상태로 복귀하지 않고, 제 2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신축부(58)가 제 2 상태로 변형하였을 때에, 제 2 주벽부(52)와 제 3 주벽부(53)의 접속부가 환상(環狀)의 평탄면(59)을 구성하도록, 제 2 주벽부(52) 및 제 3 주벽부(53)를 접속하는 굴곡부의 상면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제 2 상태에 있어서, 제 2 주벽부(52)와 제 3 주벽부(53)의 접속부에 환상의 평탄면(59)이 생김으로써, 신축부(58)의 신축을 반복하여 행한 경우라도, 당해 개소에 크랙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효과적으로 크랙을 억제할 수 있도록, 제 2 상태에서 구성되는 환상의 평탄면(59)의 폭은, 1.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신축부(58)를 도 5(b)에 나타낸 제 2 상태에서 도 5(a)에 나타낸 제 1 상태로 변형시키는 경우, 바닥 덮개(6)의 외면을 유지하면서, 제 1 주벽부(51)와 제 2 주벽부(52)의 접속부에 대하여, 손 등으로 도 5(b)에 도시한 화살표의 방향으로 가압력을 가한다. 제 1 주벽부(51) 및 제 2 주벽부(52)에 가해진 가압력에 의해, 저면부(50)와, 제 1 주벽부(51)와, 제 2 주벽부(52)와, 제 3 주벽부(53)가 눌러 내려지며,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주벽부(52) 및 제 3 주벽부(53)의 접속부와, 제 3 주벽부(53) 및 제 4 주벽부(54)의 접속부를 각각 지지점으로 하여, 제 3 주벽부(53)가 다시 반전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 1 주벽부(51)와 제 2 주벽부(52)의 접속부를 눌러 내림으로써,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부(58)를 수축시키고, 제 1 높이까지 돌출한 제 1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 제 3 주벽부(53)가, 상술한 바와 같은 용기 본체(2)의 외측을 향하여 불룩한 곡면 형상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제 1 상태에 있어서 제 3 신축부(53)에 주름 등이 잡히지 않아, 겉보기가 깨끗한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신축부(58)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 3 주벽부(53)는, 저면부(50) 및 제 1 주벽부(51)보다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저면부(50) 및 제 1 주벽부(51)의 두께는, 0.7∼1.0mm이며, 제 3 주벽부(53)의 두께는, 0.5∼0.8mm이다. 제 2 주벽부(52) 및 제 4 주벽부(54)의 두께는, 각각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납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에 대응하는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용기 본체(2)에 수용된 시트재가 소비되어 남은 매수가 적어지면, 손가락을 용기 본체(2)의 깊숙이까지 삽입하여 시트재를 잡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어, 시트재를 취출하기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납 용기(1)에 의하면, 바닥 덮개(6)에 설치된 신축부(58)를 제 2 상태로 신장시킴으로써,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을 끌어올릴 수 있다. 또, 용기 본체(2) 내의 시트재를 다 사용한 경우에는, 다시 신축부(58)를 제 1 상태로 수축시킴으로써, 매수가 많은 새로운 패키지(8)를 보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남은 매수가 적어진 경우라도 시트재를 취출하기 쉬운 수납 용기(1)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바닥 덮개(6)에는 틈이나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신축부(58)는, 바닥 덮개(6)의 밀폐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제 1 상태와 제 2 상태로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신축부(58)의 변형 상태에 관계없이, 용기 본체(2)의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저면부(50)의 외면이, 용기 본체(2)의 외방측으로 볼록한 곡면임으로써, 신축부(58)를 변형시킬 때에 누르기 쉬워져, 쓰기에 편리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바닥 덮개(6)에 있어서, 제 1 주벽부(51)와 제 2 주벽부(52)의 사이에, 양자를 잇는 복수의 리브를 더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제 1 주벽부(51) 및 제 2 주벽부(52)의 강성이 향상되므로, 신축부(58)의 신축시에 있어서의 제 1 주벽부(51) 및 제 2 주벽부(52)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축부(58)를 구성하는 저면부(50)를 대략 원형으로 하고, 제 1 주벽부(51)와, 제 2 주벽부(52)와, 제 3 주벽부(53)와, 제 4 주벽부(54)를 저면부(50)와 동심원 형상으로 하였으나, 저면부(50) 및 이것을 둘러싸는 주벽부의 형상은 동심원 이외여도 된다.
본 발명은, 시트재, 특히, 웨트 티슈 등의 습윤한 시트재를 밀폐 상태로 수용하는 수지제의 수납 용기로 이용할 수 있다.
1: 수납 용기 2: 용기 본체
3: 천판부 4: 취출구
5: 천정 덮개 6: 바닥 덮개
50: 저면부 51: 제 1 주벽부
52: 제 2 주벽부 53: 제 3 주벽부
54: 제 4 주벽부 55: 평판부
58: 신축부 59: 평탄면

Claims (8)

  1. 시트재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 용기로서,
    상기 시트재를 취출하기 위한 취출구가 설치된 천판부와, 상기 천판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수지의 일체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 본체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바닥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 덮개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내방으로 제 1 높이까지 돌출한 제 1 상태에서, 상기 평판부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내방으로 상기 제 1 높이보다 높은 제 2 높이까지 돌출한 제 2 상태로 변형 가능한 신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부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내방측으로 상승하는 제 1 주벽부와,
    상기 제 1 주벽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 1 주벽부에 있어서의 상기 용기 본체의 내방측의 주연부에 접속되는 제 2 주벽부와,
    상기 제 1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벽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 2 주벽부에 있어서의 상기 용기 본체의 외방측의 주연부에 접속되는 제 3 주벽부와,
    상기 제 1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3 주벽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 3 주벽부에 있어서의 상기 용기 본체의 내방측의 주연부와, 상기 평판부에 접속되는 제 4 주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면부에 대하여 가해지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방측으로의 가압력에 따라, 상기 제 3 주벽부가, 상기 제 3 주벽부와 상기 제 4 주벽부의 접속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반전함으로써, 상기 신축부가 상기 제 2 상태로 변형되며,
    상기 제 2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벽부 및 상기 제 3 주벽부의 접속부가, 상기 평판부와 평행한 환상의 평탄면을 구성하는 수납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덮개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부를 밀폐 상태로 폐쇄하는 수납 용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3 주벽부는, 상기 제 3 주벽부와 상기 제4 주벽부의 접속부로부터 상기 제 2 주벽부와 상기 제 3 주벽부의 접속부를 향함에 따라 상기 제 1 상태에 있어서의 내경 및 상기 제 1 상태에 있어서의 외경이 좁아지고,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외방측을 향하여 불룩한 곡면 형상을 가지는 수납 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주벽부의 두께가 0.5∼0.8mm인 수납 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의 폭이 1mm 이상인 수납 용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의 상기 용기 본체의 외방측의 면이 볼록면인 수납 용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벽부와 상기 제 2 주벽부를 접속하는 복수의 리브를 더 구비하는 수납 용기.
KR1020157010284A 2012-09-25 2013-09-25 수납 용기 KR102085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11558A JP6134115B2 (ja) 2012-09-25 2012-09-25 収納容器
JPJP-P-2012-211558 2012-09-25
PCT/JP2013/005684 WO2014050096A1 (ja) 2012-09-25 2013-09-25 収納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084A KR20150083084A (ko) 2015-07-16
KR102085887B1 true KR102085887B1 (ko) 2020-03-06

Family

ID=50387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284A KR102085887B1 (ko) 2012-09-25 2013-09-25 수납 용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676541B2 (ko)
EP (1) EP2902341B1 (ko)
JP (1) JP6134115B2 (ko)
KR (1) KR102085887B1 (ko)
CN (1) CN104661930B (ko)
AU (1) AU2013321880B2 (ko)
IN (1) IN2015DN03234A (ko)
MY (1) MY171679A (ko)
TW (1) TWI603900B (ko)
WO (1) WO20140500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31863A (ja) * 2014-06-10 2015-12-24 株式会社カーメイト ティシューケース
USD790364S1 (en) * 2014-08-19 2017-06-27 Rockline Industries, Inc. Container
JP6510887B2 (ja) * 2015-05-21 2019-05-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収納容器
JP6231139B2 (ja) * 2016-02-16 2017-11-15 勇治 篠原 ウエットシート包装体
KR101989151B1 (ko) * 2018-05-02 2019-06-17 주식회사 바니랜드 양이 줄어든 물티슈의 인출이 용이한 승강 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물티슈 케이스
USD912514S1 (en) * 2018-06-29 2021-03-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id with push-button
TWI668176B (zh) * 2018-08-01 2019-08-11 日月光半導體製造股份有限公司 導線收集容器
CN210227983U (zh) * 2019-03-08 2020-04-03 上海久连环保材料有限公司 一种湿巾翻转盖
JP7333237B2 (ja) * 2019-09-26 2023-08-24 大王製紙株式会社 掃除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3157A (ja) 2000-08-10 2002-02-19 Kamaya Kagaku Kogyo Co Ltd 密閉蓋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6395A (en) * 1967-09-12 1969-05-27 Gene Ballin Dispensing apparatus having a movable platform
JPS60150969U (ja) * 1984-03-21 1985-10-07 ユニ・チヤ−ム株式会社 濡れナプキン等の収納容器
JPS60150971U (ja) * 1984-03-21 1985-10-07 ユニ・チヤ−ム株式会社 濡れナプキン等の収納容器
JPS62260619A (ja) * 1986-05-06 1987-11-12 プリマハム株式会社 食品の盛上げ包装方法
JP2658222B2 (ja) 1988-04-22 1997-09-30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66214A (ja) 1989-08-05 1991-03-20 Mitsubishi Electric Corp 高周波電力増幅回路
JP2694375B2 (ja) 1990-04-14 1997-12-24 同和鉱業株式会社 防藻剤組成物および藻類付着防止方法
US5531325A (en) * 1992-03-13 1996-07-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oring and dispensing system for products packed in a sealed pouch
JP3669758B2 (ja) * 1995-06-15 2005-07-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蓋装置
JP4276709B2 (ja) 1997-09-08 2009-06-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蓋装置
CN1103721C (zh) 1997-09-08 2003-03-26 丝花公司 盖装置
JP3746901B2 (ja) 1997-10-15 2006-02-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閉自在容器
JPH11165777A (ja) * 1997-12-02 1999-06-22 Kao Corp 容 器
JP2001198516A (ja) * 2000-01-14 2001-07-24 Yutaka Michiwaki 流動体の分配用器具
JP4837881B2 (ja) * 2003-01-14 2011-12-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蓋付き容器
US20060027468A1 (en) * 2004-08-05 2006-02-09 Einav Berar Sliding cover for moist wipes dispenser
US7681725B2 (en) * 2007-02-23 2010-03-2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ntainer with ability to transfer a material to container content
JP2009125011A (ja) * 2007-11-26 2009-06-11 Tokai Tsukemono Kk 容器入り調味液漬の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773517B2 (ja) 2011-02-09 2015-09-02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5965584B2 (ja) 2011-02-28 2016-08-10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US20130153593A1 (en) * 2011-12-16 2013-06-20 Jeff Silag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pet training pa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3157A (ja) 2000-08-10 2002-02-19 Kamaya Kagaku Kogyo Co Ltd 密閉蓋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321880A1 (en) 2015-05-07
TW201420451A (zh) 2014-06-01
TWI603900B (zh) 2017-11-01
MY171679A (en) 2019-10-23
IN2015DN03234A (ko) 2015-10-02
US20150217931A1 (en) 2015-08-06
US9676541B2 (en) 2017-06-13
CN104661930B (zh) 2016-11-23
EP2902341A4 (en) 2016-06-08
WO2014050096A1 (ja) 2014-04-03
EP2902341B1 (en) 2017-11-08
JP2014065510A (ja) 2014-04-17
JP6134115B2 (ja) 2017-05-24
AU2013321880B2 (en) 2017-06-01
CN104661930A (zh) 2015-05-27
EP2902341A1 (en) 2015-08-05
KR20150083084A (ko) 201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5887B1 (ko) 수납 용기
TW309499B (ko)
JP6448471B2 (ja) 二重容器
JP6975693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US11261020B2 (en) Container for housing household tissue paper
US20210007560A1 (en) Container for housing household tissue paper
JP2012201391A (ja) 包装体用カバー
JP4131426B2 (ja) 開放押圧部を有する包装用容器
JP4769574B2 (ja) ウエットシート収容容器
JP2017013854A (ja) 構造体
JP5719061B1 (ja) ウエットシート包装体用の取出口蓋
JP7228288B2 (ja) 中皿付き食品用容器
JP3871409B2 (ja) 密閉容器
JP3154614U (ja) 合成樹脂容器の蓋着脱構造
JP4432075B2 (ja) 洗眼容器
JP2013249114A (ja) ティッシュ容器
JP2011020707A (ja) 容器
JP6053089B1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の収容容器
JP2017109769A (ja) 物品収納ケース
JP2017024802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の収容容器
JP2018076116A (ja) 組み立て式容器及び包装体
JP6459169B2 (ja) 化粧料用容器
KR200462177Y1 (ko) 화장용 기름종이 수납함
JP2007204131A (ja) シート収用容器
JP2009082398A (ja) 化粧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