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062B1 -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062B1
KR102082062B1 KR1020187016795A KR20187016795A KR102082062B1 KR 102082062 B1 KR102082062 B1 KR 102082062B1 KR 1020187016795 A KR1020187016795 A KR 1020187016795A KR 20187016795 A KR20187016795 A KR 20187016795A KR 102082062 B1 KR102082062 B1 KR 102082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layer
organic
moistur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2565A (ko
Inventor
고타로 기쿠치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82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가요성 기재 상에 설치된 제1 전극, 유기 EL층, 및, 제2 전극을 갖는 유기 EL 소자와, 가요성 기재 상에 있어서, 유기 EL 소자를 밀봉하는 제1 밀봉부와, 제1 밀봉부 상에 설치된 흡습제층과, 흡습제층, 및, 제1 밀봉부를 덮는 제2 밀봉부를 구비한, 신뢰성이 높은 유기 EL 발광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
본 발명은 밀봉 부재 내에 흡습제층을 갖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ectro Luminescence: EL) 소자를 구비하는 유기 EL 발광 장치는 평면 발광을 가능하게 하는 발광 장치로서 이미 실용화되어 있다. 유기 EL 발광 장치는, 디스플레이나 조명 기기에도 적용되어, 그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유기 EL 발광 장치는, 일정 기간 구동하면, 다크 스폿이라고 불리는 비발광부의 발생과 성장이 일어나, 발광 특성이 열화되어 간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다크 스폿이 발생되는 원인으로는, 수증기 등의 수분의 영향을 들 수 있다. 수분의 침입은, 매우 미량이어도 유기 EL 소자의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때문에, 유기 EL 발광 장치에 있어서, 수분에 의한 유기 EL 소자의 열화를 억제하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것이 요구되고 있다. 수분에 의한 유기 EL 소자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기 EL 소자를 배리어 필름을 포함하는 밀봉 부재로 덮고, 이 밀봉 부재의 내부에, 흡습제를 배치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참조).
특허문헌 1에는, 유기 EL 소자를 이중의 배리어 필름을 포함하는 투명 다층 배리어로 덮고, 내측의 배리어 필름 내와 외측의 배리어 필름 내에 각각 흡습제를 배치하는 구성의 유기 EL 발광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유기 EL 소자가 흡습제를 갖는 배리어 필름으로 이중으로 둘러싸이는 것에 의해 방습성이 향상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유기 EL 소자가 수지 밀봉층으로 밀봉되어, 수지 밀봉층 상에 금속박을 포함하는 보호층이 형성되고, 또한, 수지 밀봉층과 보호층 사이에, 발광층의 발광 영역을 둘러싸는 위치에 흡습층이 형성된 유기 EL 발광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흡습층이 발광 영역의 단부보다도 외측까지 형성되고, 수지 밀봉층이 흡습층의 외측까지 형성됨으로써, 수지 밀봉층 내에 침입하는 수분이 효율적으로 흡습층에 흡습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유기 EL 소자가 가스 배리어 막과 흡습막을 갖는 가스 배리어성 시트로 덮이고, 유기 EL 소자의 상면 및 측면을 덮는 위치에 흡습막이 형성된, 유기 EL 발광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유기 EL 소자의 측면이 흡습제층으로 덮임으로써, 수분에 의한 유기 EL 소자에 대한 영향이 억제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표 제2009-51412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5450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0335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수분에 의한 유기 EL 소자에 대한 영향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고, 유기 EL 발광 장치에 있어서 충분한 신뢰성이 얻어지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배리어 필름 내에서의 흡습제의 배치 위치에 대해 언급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침입한 수분의 이동을 흡습제의 방향에 한정할 수 없다. 또한, 흡습제와 유기 EL 소자가 밀착되어 있지 않고,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배리어 필름의 내부로 침입한 수분이 확산되어, 흡습제에 의해 포착되기 전에 용이하게 수분이 유기 EL층에 도달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유기 EL 소자에 대해 흡습제가 좁은 영역에서밖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흡습제의 흡습 속도가 느릴 경우에는, 유기 EL층에의 수분 도달은 빨라져 버린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밀봉 내부로 침입한 수분이 흡습층의 단부에 우선적으로 유도된다. 이 경우에는, 흡습층에 있어서 흡습하여 실활한 영역이 단부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진행되어 간다. 이 때문에, 끊임없이 내부로 침입해 오는 수분에 대해서는, 흡습층의 단부가 실활한 상태가 되기 쉽고, 수분이 흡습층의 미실활 부분에 포착되기 보다도 일찍 유기 EL 소자에 도달해버릴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가스 배리어성 시트가, 흡습제층보다도 외측의 영역에서 접착제를 통하여 소자 기판과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측면으로부터 침입한 수분이 접착제를 경유하여 밀봉체 내에 침입한다. 그러나, 흡습제층과 기판 사이에 공극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침입한 수분이, 흡습제층에 의한 작용을 받는 일 없이, 유기 EL 소자에 용이하게 도달되어 버린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제안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밀봉 부재 내에 배치된 흡습제가 충분히 능력을 발휘할 수 없고, 수분의 영향에 의한 유기 EL 소자의 열화가 충분히 억제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유기 EL 발광 장치의 신뢰성을 충분히 높일 수 없다.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수분에 의한 영향을 흡습제에 의해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신뢰성이 높은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는, 가요성 기재 상에 설치된 제1 전극, 유기 EL층 및 제2 전극을 갖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와, 가요성 기재 상에 있어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를 밀봉하는 제1 밀봉부와, 제1 밀봉부 상에 설치된 흡습제층과, 흡습제층 및 제1 밀봉부를 덮는 제2 밀봉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뢰성이 높은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유기 EL 발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2 실시 형태의 유기 EL 발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제3 실시 형태의 유기 EL 발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의 제1 실시 형태
2.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의 제2 실시 형태
3.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의 제3 실시 형태
4.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의 구성 요소
<1.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의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이하, 유기 EL 발광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본 실시 형태의 유기 EL 발광 장치의 개략 구성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유기 EL 발광 장치는, 발광을 기재측으로부터 취출하는 보텀에미션형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이하, 유기 EL 소자)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유기 EL 발광 장치(10)는, 가요성 기재(11) 상에 유기 EL 소자(12)를 구비한다. 그리고, 유기 EL 소자(12)를 밀봉하기 위한 제1 밀봉부(13)를 구비하고, 이 제1 밀봉부(13) 상에 흡습제층(16)을 구비한다. 또한, 가요성 기재(11), 유기 EL 소자(12), 제1 밀봉부(13), 및 흡습제층(16)을 밀봉하는, 제2 밀봉부(14)와, 제3 밀봉부(15)를 구비한다. 또한, 유기 EL 소자(12)의 각 전극을 제2 밀봉부(14) 및 제3 밀봉부(15)의 외부에 도출하기 위한, FPC(Flexible Printed Circuits)(17)를 구비한다.
유기 EL 소자(12)는, 예를 들어 가요성 기재(11) 상에 형성된 제1 전극(투명 전극), 제1 전극 상에 형성된 유기 EL층 및 유기 EL층을 제1 전극과 끼움 지지하는 제2 전극(대향 전극)을 구비한다. 제1 밀봉부(13)는, 제1 수지 밀봉층(21)과, 제1 밀봉 기판(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 밀봉부(14)는, 제2 수지 밀봉층(23)과, 제2 밀봉 기판(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3 밀봉부(15)는, 제3 수지 밀봉층(25)과, 제3 밀봉 기판(26)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기 EL 발광 장치(10)에 있어서, 유기 EL 소자(12)는 가요성 기재(11)의 한쪽 면(이하, 가요성 기재(11)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기 EL 소자(12)는, 가요성 기재(11)의 표면 상에 배치되고, 유기 EL 소자(12)의 주위에 있어서 가요성 기재(11)의 표면의 주연 부분이 노출되도록, 가요성 기재(11)의 가장자리보다도 중앙측에 배치된다.
유기 EL 소자(12)는, 가요성 기재(11) 상에 있어서 제1 밀봉부(13)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기 EL 소자(12)는, 유기 EL 소자(12)에 있어서의 가요성 기재(11)와 반대측의 면 상(이하, 유기 EL 소자(12) 상) 및 유기 EL 소자(12)에 있어서의 유기 EL층과 전극의 적층면측(이하, 유기 EL 소자(12)의 측면)이, 제1 수지 밀봉층(21)에 덮여 있다. 즉, 유기 EL 소자(12)는, 한쪽 주면이 가요성 기재(11)에 접하고, 가요성 기재(11)와 접하고 있지 않은 주면과 측면의 전체면이 제1 수지 밀봉층(21)에 덮여 있다. 따라서, 유기 EL 소자(12)는, 가요성 기재(11)와 제1 수지 밀봉층(21)에 의해, 주위가 덮여 있다.
제1 수지 밀봉층(21)은, 가요성 기재(11)의 표면 상에 있어서, 유기 EL 소자(12)의 주위에 노출되는 주연 부분 상에도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요성 기재(11)의 단부까지 제1 수지 밀봉층(21)이 설치되고, 가요성 기재(11)와 제1 수지 밀봉층(21)은, 거의 동일 위치가 단부 에지가 된다. 또한, 제1 수지 밀봉층(21)은, 유기 EL 소자(12)를 덮여 있으면 되고, 가요성 기재(11)의 주연 부분을 모두 덮지 않고 있어도 된다. 이 때문에, 제1 수지 밀봉층(21)의 주위로부터 가요성 기재(11)이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수지 밀봉층(21)이 유기 EL 소자(12)와 가요성 기재(11)에 밀착되고, 제1 수지 밀봉층(21)과 유기 EL 소자(12) 및 가요성 기재(11) 사이에 공극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밀봉 기판(22)이, 제1 수지 밀봉층(21)에 접합되어 있다. 제1 밀봉 기판(22)은, 제1 수지 밀봉층(21)에 비해 가요성 기재(11)와 반대측의 면 상(이하, 제1 수지 밀봉층(21) 상)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밀봉부(13)에 있어서, 제1 수지 밀봉층(21)은, 유기 EL 소자(12)를 덮음과 함께, 제1 밀봉 기판(22)을 접합하는 역할을 갖는다. 제1 밀봉 기판(22)은, 가요성 기재(11)와 동일한 형상이며, 가요성 기재(11)의 단부 에지와, 가요성 기재(11) 및 제1 수지 밀봉층(21)의 단부 에지가, 거의 동일 위치가 된다. 또한, 제1 밀봉 기판(22)은, 제1 수지 밀봉층(21) 상에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제1 수지 밀봉층(21)의 주위로부터 제1 밀봉 기판(22)이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가요성 기재(11) 상에는, 유기 EL 소자(12)의 각 전극의 인출 배선이 설치되고, 이 인출 배선에 FPC(17)가 접속되어 있다. FPC(17)에 대해서는, 가요성 기재(11) 상의 인출 배선과 접속하는 부분은, 유기 EL 소자(12)와 동일하게, 제1 수지 밀봉층(21)에 덮이고, 제1 밀봉부(13)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요성 기재(11)와 제1 밀봉 기판(22)에 의해 유기 EL 소자(12)가 끼움 지지된 구조에 의해, 유기 EL 소자(12)가 가요성 기재(11)와 제1 밀봉부(13)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이하, 이 구조의 가요성 기재(11), 유기 EL 소자(12), 및 제1 밀봉부(13)의 구성을, 제1 밀봉 유닛(19)이라고 칭한다. 또한, 유기 EL 소자(12)가 가요성 기재(11)와 제1 밀봉부(13)에 의해 밀봉되어 있으면, 제1 밀봉 유닛(19) 내에는, 이들 이외의 다른 구성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가요성 기재(11)와 유기 EL 소자(12) 사이에 설치되는 각종 층이나, 유기 EL 소자(12)를 밀봉하기 위한 무기 밀봉층 등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 밀봉 유닛(19) 상에는, 흡습제층(16)이 배치되어 있다. 흡습제층(16)은, 제1 밀봉 유닛(19)에 있어서의, 제1 밀봉 기판(22)의 제1 수지 밀봉층(21)과 반대측의 면 상(이하, 제1 밀봉 기판(22) 상)에 배치되어 있다. 유기 EL 발광 장치(10)는, 유기 EL 소자(12)의 발광을, 가요성 기재(11)측으로부터 취출하는 구성이다. 이 때문에, 가요성 기재(11)측의 주면에는, 충분한 면적으로 흡습제층(16)을 배치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충분한 양의 흡습제층(16)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제1 밀봉 유닛(19)에 있어서, 유기 EL 소자(12)로부터의 광을 취출하는 방향과는 반대측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흡습제층(16)은, 제1 밀봉 기판(22) 상에 배치되어 있으면, 형상 등은 특별히 상관없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습제층(16)과 제1 밀봉 기판(22)이 동일 형상이며, 흡습제층(16)과 제1 밀봉 기판(22)의 단부 에지가 동일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흡습제층(16)은, 제1 밀봉 기판(22)보다 작은 면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흡습제층(16)의 면적은, 제1 밀봉 기판(22)의 면적의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 EL 소자(12)의 유기 EL층보다 큰 면적이고, 유기 EL층보다도 넓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습제층(16)은, 제2 밀봉부(14)에 의한 밀봉이 가능한 범위에서, 제1 밀봉 기판(22)로부터 단부가 돌출되어 있어도 되고, 제1 밀봉 기판(22)보다도 면적이 커도 된다.
또한, 흡습제층(16)은, 제1 밀봉 기판(22) 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접착제층 등에 의해 제1 밀봉 기판(22) 상에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흡습제층(16)과 제1 밀봉 유닛(19) 사이에 다른 구성이 설치되어 있어도, 제1 밀봉 유닛(19)의 상방에 흡습제층(16)이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유기 EL 발광 장치(10)에 있어서, 제1 밀봉 유닛(19)과 흡습제층(16)이란, 제2 밀봉부(14)와 제3 밀봉부(15)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제2 밀봉부(14)는 흡습제층(16)의 상면과 흡습제층(16) 및 제1 밀봉 유닛(19)의 측면을 덮는 제2 수지 밀봉층(23)과, 이 제2 수지 밀봉층(23)에 의해 제1 밀봉 유닛(19)의 상면측에 접합된 제2 밀봉 기판(24)을 갖는다. 또한, 제3 밀봉부(15)는, 가요성 기재(11)의 유기 EL 소자(12)가 탑재되지 않은 측의 면(이하, 가요성 기재(11)의 이면)과, 제1 밀봉 유닛(19)의 측면을 덮는 제3 수지 밀봉층(25)과, 이 제3 수지 밀봉층(25)에 의해 제1 밀봉 유닛(19)의 하면측에 접합된 제3 밀봉 기판(26)을 갖는다.
제2 밀봉부(14)의 제2 수지 밀봉층(23)은 흡습제층(16)의 상면으로부터 제1 밀봉 유닛(19)의 측면 상면측의 도중까지를 덮는다. 그리고, 제3 밀봉부(15)의 제3 수지 밀봉층(25)은, 제1 밀봉 유닛(19)의 하면으로부터, 제1 밀봉 유닛(19)의 측면 하면측의 도중까지를 덮는다. 이에 따라, 제1 밀봉 유닛(19)과 흡습제층(16)이 제2 수지 밀봉층(23)과 제3 수지 밀봉층(25)에 의해 덮여 있다.
또한, 유기 EL 발광 장치(10)는, 제1 밀봉 유닛(19)의 주위에서는, 제2 밀봉부(14)와 제3 밀봉부(15)가 바로 접합된 주변 시일부(18)를 갖는다. 주변 시일부(18)는, 제2 수지 밀봉층(23)과 제3 수지 밀봉층(25)이, 제1 밀봉 유닛(19)을 통하지 않고, 바로 접하는 부분이다. 또한, 주변 시일부(18)는, 제1 밀봉 유닛(19)의 측면 방향의 전 주위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수지 밀봉층(23)과 제3 수지 밀봉층(25)이 제1 밀봉 유닛(19)과 흡습제층(16)에 밀착됨으로써, 제2 수지 밀봉층(23) 및 제3 수지 밀봉층(25)과, 제1 밀봉 유닛(19) 및 흡습제층(16) 사이에 공극이 마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변 시일부(18)에 있어서는, 제2 수지 밀봉층(23)과 제3 수지 밀봉층(25)이 밀착되어 일체화하고, 제2 수지 밀봉층(23)과 제3 수지 밀봉층(25) 사이에는 공극이 마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기 EL 발광 장치(10)는, 제2 밀봉부(14)와 제3 밀봉부(15)로 밀봉된 내부에, 공극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기 EL 발광 장치(10)는, 주변 시일부(18)에 있어서, 제2 수지 밀봉층(23) 및 제3 수지 밀봉층(25)을 통하여 제2 밀봉 기판(24)과 제3 밀봉 기판(26)이 바로 접합된다. 이에 의해, 제1 밀봉 유닛(19)의 측면 방향의 전체 주위가, 제2 밀봉부(14)와 제3 밀봉부(15)에 의해 밀폐된다. 이 결과, 제1 밀봉 유닛(19) 및 흡습제층(16)이, 제1 밀봉 유닛(19)의 측면 방향의 전 주위에 있어서 접합된 제2 밀봉부(14)와 제3 밀봉부(15)에 의해 밀봉된다.
또한, 제1 밀봉부(13)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있는 FPC(17)는, 제2 밀봉부(14)와 제3 밀봉부(15)에 의해 유기 EL 소자(12)의 접속측이 끼움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밀봉부(14)와 제3 밀봉부(15)의 사이에서, 주변 시일부(18)를 통하여 FPC(17)가 외부에 인출되어 있다.
유기 EL 발광 장치(10)에서는, 유기 EL 소자(12)를 갖는 제1 밀봉 유닛(19)과 흡습제층(16)의 적층체가 제2 수지 밀봉층(23)과 제3 수지 밀봉층(25)에 의해 완전히 덮여 있다. 그리고, 제1 밀봉 유닛(19)과 흡습제층(16)의 적층체는 주변 시일부(18)의 단부를 제외하고, 제2 수지 밀봉층(23) 및 제3 수지 밀봉층(25)을 통하여 제2 밀봉 기판(24)과 제3 밀봉 기판(26)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기 EL 발광 장치(10)에서는 제2 밀봉 기판(24)과 제3 밀봉 기판(26)이 주변 시일부(18)의 단부를 제외한 유기 EL 발광 장치(10)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주변 시일부(18)의 단부만으로 제2 밀봉 기판(24)과 제3 밀봉 기판(26)이 설치되지 않고, 제2 수지 밀봉층(23)과 제3 수지 밀봉층(25)이 유기 EL 발광 장치(10)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기 EL 발광 장치(10)는, 제1 밀봉부(13)를 포함하는 내측의 밀봉부와, 제2 밀봉부(14) 및 제3 밀봉부(15)를 포함하는 외측의 밀봉부에 의해, 유기 EL 소자(12)에 대해 이중의 밀봉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측의 밀봉부와, 외측의 밀봉부 사이에 흡습제층(16)이 설치되어 있다. 즉, 흡습제층(16)은 유기 EL 소자(12)가 배치되는 내측의 밀봉부 내가 아니라, 내측의 밀봉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흡습제층(16)이, 유기 EL 소자(12)를 갖는 제1 밀봉 유닛(19)과 함께 외측의 밀봉부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또한, 내측의 밀봉부의 외부에 흡습제층(16)이 설치되어 있으면, 흡습제층(16)과 함께 내측의 밀봉부 내에 다른 흡습제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들 이외의 위치에, 흡습제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내측의 밀봉부(제1 밀봉부(13))보다도 외측에 흡습제층(16)을 배치하고, 또한, 내측의 밀봉부(제1 밀봉부(13))와 함께 흡습제층(16)을 외측의 밀봉부(제2 밀봉부(14) 및 제3 밀봉부(15))로 밀봉함으로써, 유기 EL 발광 장치(10) 내에 침입하는 수분에 대해 흡습제층(16)을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유기 EL 소자(12)에의 수분의 영향을 억제하고, 유기 EL 발광 장치(1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흡습제층(16)에 의해, 유기 EL 소자(12)에의 수분의 영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상기 구성과 시험 결과 등에 기초하는 추측이며, 유기 EL 발광 장치(10)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메커니즘은 이하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유기 EL 발광 장치(10) 내에의 외부에서의 수분의 침입 경로와, 침입한 수분이 유기 EL 소자(12)에 도달할 때까지의 경로에 대해 고찰한다. 유기 EL 발광 장치(10) 내에의 외부에서의 수분의 침입은 주로, 사이드 누설, 배면 침입, 및, 발광면 침입의 3개의 경로가 생각된다. 사이드 누설이란, 주변 시일부(18)의 단부에 노출된 제2 수지 밀봉층(23)과 제3 수지 밀봉층(25)으로부터 유기 EL 발광 장치(10) 내에 대한 수분의 침입이다. 배면 침입이란, 제2 밀봉 기판(24)을 투과한 수분의 유기 EL 발광 장치(10) 내에 대한 침입이다. 발광면 침입이란, 제3 밀봉 기판(26)을 투과한 수분의 유기 EL 발광 장치(10) 내에 대한 침입이다.
사이드 누설, 배면 침입 및 발광면 침입에 의한 수분은, 제2 밀봉부(14) 및 제3 밀봉부(15) 내에 있어서, 주로 제2 수지 밀봉층(23) 및 제3 수지 밀봉층(25) 내에서 확산된다. 그리고, 제2 수지 밀봉층(23) 및 제3 수지 밀봉층(25) 내에서 확산 및 이동되고, 제1 밀봉 유닛(19)까지 도달한 수분이, 제1 밀봉 유닛(19) 내에 침입한다.
제1 밀봉 유닛(19) 내로의 수분의 침입 경로에 있어서도, 상술한 유기 EL 발광 장치(10) 내로의 수분의 침입과 동일하게, 3개의 경로가 생각된다. 구체적으로는, 가요성 기재(11)를 투과한 수분의 침입(발광면 침입), 제1 밀봉 기판(22)을 투과한 수분의 침입(배면 침입), 및, 제1 밀봉 유닛(19)의 측면에 노출된 제1 수지 밀봉층(21)으로부터의 수분의 침입(사이드 누설)이 생각된다.
제1 밀봉 유닛(19) 내에 침입한 수분은, 주로 제1 수지 밀봉층(21) 내에서 확산된다. 그리고, 제1 수지 밀봉층(21) 내에서 확산 및 이동된 수분이, 유기 EL 소자(12)에 도달함으로써, 유기 EL 소자(12)에 손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유기 EL 소자(12)에 영향을 주는 수분은, 유기 EL 발광 장치(10)의 외부로부터, 제2 밀봉부(14) 및 제3 밀봉부(15) 내에 침입하는 제1단계와, 제2 밀봉부(14) 및 제3 밀봉부(15)로부터, 가요성 기재(11) 및 제1 밀봉부(13) 내에 침입하는 제2단계를 갖는다고 생각된다.
즉,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배리어 필름과 유기 EL 소자와의 사이가 밀봉 수지 등으로 메워지지 않고, 유기 EL 소자가 공극으로 덮여 있다. 이 때문에, 배리어 필름 내에 침입한 수분은, 공극 내에서의 확산의 자유도가 높고, 흡습제층에 흡수되기 전에, 용이하게 유기 EL 소자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배리어 필름이 이중으로 되어 있어도, 이들 배리어 필름간이 메워져 있지 않기 때문에, 외측의 배리어 필름 내에 침입한 수분이 공극 내에서 자유롭게 확산되고, 흡습제에 흡수되기 전에 내측의 배리어 필름 내에 침입하기 쉽다. 이 결과, 흡습제층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유기 EL 소자까지 도달된 수분에 의한 유기 EL 소자에 대한 영향이 발생되어 버린다.
또한, 상술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수지 밀봉층 상에 흡습제층이 배치되고, 이 흡습제층을 덮어서 밀봉 기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흡습제층은, 유기 EL 소자와 동일 밀봉부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유기 EL 발광 장치에는, 이 흡습제층이 배치된 밀봉부만이 설치되고, 이 밀봉부 내로의 수분의 침입을 억제하는 구성을 외부에 갖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흡습제층이 형성된 밀봉부 내에의 수분의 침입은, 수지 밀봉층의 밀봉 능력에만 의존한다. 그래서, 수지 밀봉층의 밀봉 능력 이상으로 수분의 침입을 억제할 수 없다. 또한, 밀봉부 내에 침입한 수분의 이동 경로가 복잡화되지 않기 때문에, 밀봉부 내에 침입한 수분의 수지 밀봉층 내에서의 체류 시간을 길게 할 수 없고, 흡습제층에서 포획하기 전에, 수분이 용이하게 유기 EL 소자에 도달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흡습제층의 능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은 채, 수분이 유기 EL 소자에 도달되어 버린다.
상술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도, 상술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구성과 동일하게 흡습제층이, 유기 EL 소자와 같은 밀봉부 내에 배치되고, 이 밀봉부 내에의 수분의 침입을 억제하는 구성을 외부에 갖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흡습제층이 형성된 밀봉부 내에의 수분의 침입을, 수지 밀봉층의 밀봉 능력 이상으로 억제할 수 없다. 또한, 밀봉부 내에 침입한 수분의 이동 경로가 복잡화되지 않고, 밀봉부 내에 침입한 수분의 수지 밀봉층 내에서의 체류 시간을 길게 할 수 없다. 따라서, 밀봉부 내에 침입한 수분에 대해서는, 흡습제층의 능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흡습제층에서 포획하기 전에 수분이 용이하게 유기 EL 소자에 도달되어 버린다.
이에 반하여, 유기 EL 발광 장치(10)는, 제2 밀봉 기판(24) 및 제3 밀봉 기판(26)에 의해 높은 배리어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배면 침입 및 발광면 침입은, 매우 작다. 또한, 제1 밀봉 유닛(19)을 포함하는 내측의 밀봉부가 제2 밀봉부(14) 및 제3 밀봉부(15)를 포함하는 외측의 밀봉부로 밀봉되어, 2중으로 밀봉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외부로부터 유기 EL 발광 장치(10) 내에 침입하고, 유기 EL 소자(12)에 도달할 때까지의 수분 이동 경로가 복잡화하고 있다.
또한, 유기 EL 발광 장치(10)에 있어서, 제1 수지 밀봉층(21), 제2 수지 밀봉층(23) 및 제3 수지 밀봉층(25)은 수분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고, 이들 수지 밀봉층 내에서는 수분이 이동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상술한 사이드 누설, 배면 침입 및 발광면 침입에 의해 제2 수지 밀봉층(23), 및, 제3 수지 밀봉층(25) 내에 수분이 침입한 경우에도, 제2 수지 밀봉층(23) 및 제3 수지 밀봉층(25) 내에 있어서 수분의 진행이 대폭 느려지고, 제1 밀봉 유닛(19)에의 수분의 도달을 보다 늦출 수 있다. 또한, 제1 밀봉 유닛(19)에 수분이 도달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1 수지 밀봉층(21)에 의해 수분의 진행을 대폭 늦출 수 있다. 이와 같이, 유기 EL 발광 장치(10)의 구성에서는, 침입한 수분의 진행을 수지 밀봉층에 의해 대폭 늦출 수 있다. 따라서, 유기 EL 발광 장치(10)의 외부에서 침입하는 수분에 의한, 유기 EL 소자(12)에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기 EL 발광 장치(10)에서는 제1 밀봉부(13)의 외측에 흡습제층(16)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기 EL 발광 장치(10)의 외부에서, 제2 밀봉부(14) 및 제3 밀봉부(15) 내에 침입하는 수분을, 흡습제층(16)으로 흡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수지 밀봉층(23)이나 제3 수지 밀봉층(25) 내에 침입한 수분이 제1 밀봉 유닛(19)에 도달하기 전에, 제2 수지 밀봉층(23) 및 제3 수지 밀봉층(25) 내에서 확산되고 있는 수분을 흡습제층(16)에서 포획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기 EL 발광 장치(10)는 제2 수지 밀봉층(23) 및 제3 수지 밀봉층(25)과, 유기 EL 소자(12) 사이에, 흡습제층(16), 제1 밀봉부(13), 및, 가요성 기재(11)를 갖는다. 이 때문에, 제2 수지 밀봉층(23) 및 제3 수지 밀봉층(25) 내로부터, 제1 밀봉부(13)의 제1 밀봉 기판(22)을 통한 유기 EL 소자(12)에의 수분(배면 침입)은 흡습제층(16)의 전체면에서 포획되기 때문에, 침입이 저지된다.
또한, 제2 수지 밀봉층(23) 및 제3 수지 밀봉층(25) 내로부터 발광면측을 통한 유기 EL 소자(12)에의 수분의 침입(발광면 침입)은 가요성 기재(11)에 의해 저지된다. 마찬가지로, 제1 수지 밀봉층(21)의 측면으로부터 수분의 침입(사이드 누설)에 대해서도, 제1 수지 밀봉층(21)에의 경로가, 제2 수지 밀봉층(23) 및 제3 수지 밀봉층(25)에서 밀봉된 제1 밀봉 유닛(19)의 측면뿐이기 때문에, 수분의 이동 경로가 복잡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밀봉 유닛(19) 내에 침입하기 위한 수분 이동 경로가 복잡화됨으로써, 제2 수지 밀봉층(23) 및 제3 수지 밀봉층(25) 내에 있어서 수분의 체류 시간이 길어진다. 그리고, 체류 시간이 길어짐으로써, 제2 수지 밀봉층(23) 및 제3 수지 밀봉층(25) 내에 확산되어 있는 수분을, 제1 밀봉 유닛(19) 내에 침입하기 전에 흡습제층(16)에서 포획할 수 있다.
또한, FPC(17)를 통한 수분의 침입, 예를 들어 FPC(17) 내를 투과하는 수분이나, FPC(17)와 제2 밀봉부(14)와 제3 밀봉부(15)의 계면으로부터 침입하는 수분에 대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유기 EL 소자(12)를 밀봉하는 제1 밀봉부(13)와, 가요성 기재(11) 및 제1 밀봉부(13)를 밀봉하는 제2 밀봉부(14)와 제3 밀봉부(15)에 의해, 흡습제층(16)이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이 때문에, FPC(17)를 통한 수분에 의한 유기 EL 소자(12)에 대한 영향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유기 EL 발광 장치(10)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기 EL 발광 장치(10)는 흡습제층(16)을 내측의 밀봉부(제1 밀봉부(13))와 함께 외측의 밀봉부(제2 밀봉부(14) 및 제3 밀봉부(15))로 밀봉함으로써, 침입한 수분에 대해 흡습제층(16)을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구성에 의해, 유기 EL 소자(12)에의 수분의 영향을 억제하고, 유기 EL 발광 장치(1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의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유기 EL 발광 장치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제2 실시 형태의 유기 EL 발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하는 유기 EL 발광 장치(10A)는 가요성 기재(11) 상에 유기 EL 소자(12)를 구비한다. 그리고, 유기 EL 소자(12)를 밀봉하기 위한 제1 밀봉부(13)를 구비하고, 이 제1 밀봉부(13)의 상면과 측면을 덮는 흡습제층(16A)을 구비한다. 또한, 가요성 기재(11), 유기 EL 소자(12), 제1 밀봉부(13), 및, 흡습제층(16A)을 밀봉하는, 제2 밀봉부(14)와, 제3 밀봉부(15)를 구비한다. 또한, 유기 EL 소자(12)의 각 전극을 제2 밀봉부(14) 및 제3 밀봉부(15)의 외부에 도출하기 위한 FPC(Flexible Printed Circuits)(17)를 구비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유기 EL 발광 장치(10A)는 흡습제층(16A)에 관한 구성만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유기 EL 발광 장치와 상이하고, 그 밖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흡습제층(16A)에 관한 구성만을 설명하고,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유기 EL 발광 장치(10A)에 있어서, 흡습제층(16A)은, 제1 밀봉 유닛(19)의 상면으로부터 측면까지를 덮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밀봉 기판(22)의 제1 수지 밀봉층(21)과 반대측의 면 상(이하, 제1 밀봉 기판(22) 상, 또는 제1 밀봉부(13) 상)으로부터, 제1 수지 밀봉층(21)과 제1 밀봉 기판(22)의 적층면측(이하, 제1 밀봉부(13)의 측면)까지를 연속하여 덮도록 흡습제층(16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밀봉부(13)의 측면에 있어서는, 제1 밀봉부(13)의 측면의 전체면이 흡습제층(16A)으로 덮여있어도 되고, 제1 밀봉부(13) 상에서 제1 밀봉부(13)의 측면의 도중까지가 흡습제층(16A)으로 덮여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밀봉부(13)의 측면을 덮는 흡습제층(16A)은, 가요성 기재(11)와 접하고 있어도 되고, 접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제1 밀봉부(13) 상에 있어서는, 전체면이 흡습제층(16A)으로 덮여 있지 않아도 되지만, 전체면이 흡습제층(16A)으로 덮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밀봉부(13) 상과 제1 밀봉부(13)의 측면에 있어서, 흡습제층(16A)이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1 밀봉부(13) 상과 제1 밀봉부(13)의 측면에서 흡습제층(16A)이 불연속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밀봉부(13) 상을 덮는 흡습제층(16A)과, 제1 밀봉부(13)의 측면을 덮는 흡습제층(16A)이 따로따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흡습제층(16A)은, 제1 밀봉 유닛(19)과 직접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접착제층 등에 의해 제1 밀봉 유닛(19)에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흡습제층(16A)과 제1 밀봉 유닛(19) 사이에 다른 구성이 설치되어 있어도, 제1 밀봉 유닛(19)의 외부에 흡습제층(16)이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유기 EL 발광 장치(10A)에 있어서는, 흡습제층(16A)이 제1 밀봉부(13)의 측면까지를 덮음으로써, 사이드 누설에 의한 제1 밀봉 유닛(19)에의 수분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밀봉 유닛(19)에서는, 제1 밀봉 기판(22) 상이 흡습제층(16A)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제1 밀봉 기판(22)을 투과하는 수분의 침입(배면 침입)은 매우 적다고 생각된다. 또한, 가요성 기재(11)가 가스 배리어성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가요성 기재(11)를 투과하는 수분의 침입(발광면 침입)도 매우 적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제1 밀봉 유닛(19)의 측면에 노출된 제1 수지 밀봉층(21)으로부터의 수분의 침입(사이드 누설)이 제1 밀봉 유닛(19)의 주된 수분의 침입 경로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수분의 침입 경로가 되기 쉬운 제1 밀봉 유닛(19)의 측면까지를 흡습제층(16A)으로 덮음으로써, 제1 수지 밀봉층(21)의 측면으로부터 제1 밀봉부(13) 내로 이동하려고 하는 수분을, 흡습제층(16A)에서 포획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이드 누설에 의한 제1 밀봉부(13) 내에의 수분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고, 유기 EL 발광 장치(10A)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흡습제층(16A)이 제1 밀봉부(13)의 상면으로부터 측면까지를 덮음으로써, 제1 밀봉부(13)의 상면에만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흡습제층(16A)의 형성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즉, 허용되는 두께에 있어서, 흡습제층(16A)의 체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흡습제층(16A)의 흡습 용량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흡습제층(16A)의 흡습 용량의 확대는 흡습제층(16A)의 실활까지의 시간을 확대하는 것으로 연결된다. 또한, 유기 EL 발광 장치(10A)의 구성에서는 제1 밀봉 유닛(19)의 외부에 흡습제층(16A)을 배치하고, 제1 밀봉 유닛(19)과 흡습제층(16A)을 제2 밀봉부(14) 및 제3 밀봉부(15)로 밀봉함으로써, 흡습제층(16A)의 흡습 기능이 충분히 발휘된다. 이 때문에, 흡습제층(16A)의 용량의 증가는 유기 EL 소자(12)에의 수분에 의한 영향이 발생할 때까지의 시간에 대해 큰 영향을 주기 쉽다. 따라서, 흡습제층(16A)의 면적의 확대에 의해, 흡습제층(16A)의 실활까지의 시간의 확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유기 EL 발광 장치(10A)의 신뢰성 향상으로 연결된다.
<3.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의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유기 EL 발광 장치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제3 실시 형태의 유기 EL 발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하는 유기 EL 발광 장치(10B)는 가요성 기재(11B) 상에 유기 EL 소자(12)를 구비한다. 그리고, 유기 EL 소자(12)를 밀봉하기 위한 제1 밀봉부(13)를 구비한다. 또한, 제1 밀봉부(13)의 상면과 측면을 덮고, 가요성 기재(11B) 상까지를 덮는 접착제층(27)과, 이 접착제층(27)에 의해, 제1 밀봉부(13), 및, 가요성 기재(11B)에 접합된 흡습제층(16B)을 구비한다. 또한, 가요성 기재(11B), 유기 EL 소자(12), 제1 밀봉부(13), 접착제층(27), 및, 흡습제층(16B)을 밀봉하는 제2 밀봉부(14)와, 제3 밀봉부(15)를 구비한다. 또한, 유기 EL 소자(12)의 각 전극을 제2 밀봉부(14) 및 제3 밀봉부(15)의 외부에 도출하기 위한, FPC(Flexible Printed Circuits)(17)를 구비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유기 EL 발광 장치(10B)는 가요성 기재(11B), 접착제층(27), 및, 흡습제층(16B)에 관한 구성만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나 제2 실시 형태의 유기 EL 발광 장치와 상이하고, 그 밖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가요성 기재(11B), 접착제층(27), 및, 흡습제층(16B)에 관한 구성만을 설명하고,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유기 EL 발광 장치(10B)는, 가요성 기재(11B)의 유기 EL 소자(12)가 탑재되는 주면의 면적이, 제1 밀봉부(13)보다도 크다. 이 때문에, 가요성 기재(11B)의 표면에 있어서, 제1 밀봉부(13)의 주위에, 제1 수지 밀봉층(21)이 설치되지 않은 가장자리 영역(28)을 갖는다. 이 가장자리 영역(28)은 가요성 기재(11B)의 표면의 제1 밀봉부(13)의 전 주위에 걸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제1 밀봉부(13)의 주위의 일부에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접착제층(27)은 가요성 기재(11B) 상에 설치된 제1 밀봉부(13)의 상면과, 제1 밀봉부(13)의 측면과, 가요성 기재(11B)의 가장자리 영역(28)에,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흡습제층(16B)이 접착제층(27)을 통하여, 제1 밀봉부(13)의 상면으로부터 제1 밀봉부(13)의 측면 및 제1 밀봉부(13)의 주위의 가장자리 영역(28)의 가요성 기재(11B) 상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접착제층(27) 및 흡습제층(16B)은, 제1 밀봉부(13)의 상면 및 측면을 덮고, 가요성 기재(11B)의 가장자리 영역(28)에 도달하고 있으면, 가장자리 영역(28) 전체를 덮지 않아도 된다.
흡습제층(16B)에 의해, 제1 밀봉부(13)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와, 제1 밀봉부(13)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덮이고, 또한, 가요성 기재(11B)의 가장자리 영역(28)의 적어도 일부가 덮여 있으면 된다. 흡습제층(16B)의 탑재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하여, 제1 밀봉부(13)의 상면의 전체면에 흡습제층(16B)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하게, 측면의 전체면에 흡습제층(16B)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자리 영역(28)의 전체에 흡습제층(16B)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제층(27)은 제1 밀봉부(13)의 상면과 측면, 및, 가요성 기재(11B)의 가장자리 영역(28)에 있어서, 접착제층(27)이 불연속이어도 된다. 수분의 확산 자유도가 높은 공극을 갖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접착제층(27)은 제1 밀봉부(13) 상면으로부터 가요성 기재(11B)의 가장자리 영역(28)까지,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 EL 발광 장치(10B)에서는, 흡습제층(16B)의 접합에 접착제층(27)이 사용되고 있지만, 접착제층(27)을 사용하지 않고, 흡습제층(16B)이 제1 밀봉부(13)의 상면 및 측면과 가요성 기재(11B)의 가장자리 영역(28) 상에 직접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접착제층(27)은 흡습제층(16B)과 가요성 기재(11B) 및 제1 밀봉부(13) 사이의 일부만, 예를 들어 제1 밀봉 기판(22) 상에만, 혹은, 가장자리 영역(28)에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접착제층(27) 대신에 흡습제층(16B)을 접합하기 위한 다른 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유기 EL 발광 장치(10B)의 구성에서는, 제2 수지 밀봉층(23) 및 제3 수지 밀봉층(25)으로부터 제1 밀봉부로 이동하기 위한 수분 경로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보다도 더욱 복잡화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밀봉부(13)의 측면에 노출하는 제1 수지 밀봉층(21)이 접착제층(27)과 흡습제층(16B)에 의해 덮여 있다. 이 때문에, 제1 밀봉부(13)의 사이드 누설은 흡습제층(16B)과 가요성 기재(11B) 사이에 형성된 접착제층(27) 내가 수분의 주된 침입 경로가 된다. 이 때문에, 유기 EL 발광 장치(10B)의 구성에서는, 제2 수지 밀봉층(23) 및 제3 수지 밀봉층(25)으로부터 제1 수지 밀봉층(21)에의 수분의 이동 경로를 더욱 한정할 수 있고, 제1 밀봉부(13)에의 수분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층(27) 내에 침입한 수분은 접착제층(27) 내에서 확산됨으로써, 제1 밀봉부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접착제층(27)은, 수지 밀봉층과 동일하게, 공극 내보다도 수분이 이동하기 어렵기 때문에, 접착제층(27) 내에서의 수분의 체류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제층(27)에 있어서, 수분이 침입하는 흡습제층(16B)과 가요성 기재(11B) 사이에서 노출되는 단부로부터 가장자리 영역(28) 내까지는, 접착제층(27)이 흡습제층(16B)과 직접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접착제층(27) 내에 침입한 수분은 가장자리 영역(28)에 있어서 체류하는 사이에 흡습제층(16B)에 의해 포획되기 쉽다.
또한, 제1 밀봉 유닛(19)에 있어서의 사이드 누설은 제1 수지 밀봉층(21)으로부터의 수분의 침입과 함께, 가요성 기재(11B)와 제1 수지 밀봉층(21)의 계면에 있어서의 수분의 침입이 생각된다. 가요성 기재(11B)와 제1 수지 밀봉층(21)의 계면은, 미시적으로는 완전히 일체화되지 않고, 연속된 조성으로 형성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가요성 기재(11B)와 제1 수지 밀봉층(21)의 계면을 통하여 수분이 침입할 가능성이 있다.
유기 EL 발광 장치(10B)의 구성에서는, 가요성 기재(11B)와 제1 수지 밀봉층(21)의 계면이 접착제층(27)과 흡습제층(16B)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상술한 가요성 기재(11B)와 제1 수지 밀봉층(21)의 계면을 통하여 침입하는 수분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기 EL 발광 장치(10B)의 구성에서는 접착제층(27)과 가요성 기재(11B)의 계면에 침입한 수분은 가장자리 영역(28)에 있어서 흡습제층(16B)에 의해 포획되기 쉽다.
또한, 상술한 도 1에 도시하는 유기 EL 발광 장치(10)나 도 2에 도시하는 유기 EL 발광 장치(10A)의 구성에 있어서, 가요성 기재(11)와 제1 수지 밀봉층(21)의 계면으로부터 흡습제층(16)까지의 거리보다도, 도 3에 도시하는 유기 EL 발광 장치(10B)의 가장자리 영역(28)에 있어서의 접착제층(27)과 가요성 기재(11B)의 계면으로부터 흡습제층(16B)까지의 거리가 작다. 이 때문에, 제1 수지 밀봉층(21)과 가요성 기재(11)의 계면에 침입한 수분(도 1 및 도 2)에 비하여, 접착제층(27)과 가요성 기재(11B)의 계면에 침입한 수분(도 3)의 쪽이, 흡습제층(16B)에 의해 포획되기 쉽다.
특히, 가장자리 영역(28)에서의 수분의 체류 시간은, 가장자리 영역(28)의 길이에 영향을 받는다. 즉, 가장자리 영역(28)의 길이가 클수록, 가장자리 영역(28)의 접착제층(27)에서의 수분의 체류 시간이 길어진다. 이 때문에, 가장자리 영역(28)의 길이를 크게 함으로써, 수분의 체류 시간을 길게 하고, 흡습제층(16B)에 의한 수분의 포획 확률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장자리 영역(28)에 있어서의 접착제층(27)의 두께는, 접착제층(27)의 단부로부터의 수분 침입과, 흡습제층(16B)에 의한 수분의 포획 확률에 영향을 준다. 즉, 가장자리 영역(28)에 있어서의 접착제층(27)의 두께를 작게 함으로써, 접착제층(27)의 단부로부터 수분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층(27)의 두께를 작게 함으로써, 접착제층(27) 중 및 접착제층(27)과 가요성 기재(11B)의 계면에 있어서의 수분이, 가장자리 영역(28)에 있어서 흡습제층(16B)에 의해 용이하게 포획되기 쉽다.
따라서, 가장자리 영역(28)을 크게 하고, 또한, 가장자리 영역(28)에 있어서의 접착제층(27)을 얇게 함으로써, 제1 밀봉부(13)에의 수분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고, 유기 EL 소자(12)에의 수분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장자리 영역(28)을 크게 하고, 접착제층(27)을 얇게 함으로써, 유기 EL 발광 장치(10B)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4.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의 구성 요소>
이하, 상술한 제1 실시 형태로부터 제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유기 EL 발광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각 실시 형태의 유기 EL 발광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 요소의 일례이며, 상술한 유기 EL 발광 장치에 의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 다른 구성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요성 기재]
가요성 기재는 높은 광 투과성을 갖고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수지 기판, 수지 필름 등을 적합하게 들 수 있지만, 생산성의 관점이나 경량성과 유연성과 같은 성능의 관점에서 투명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 기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수지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변성 폴리에스테르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PE) 수지, 폴리프로필렌(PP)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환형 올레핀계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류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수지, 폴리술폰(PSF) 수지, 폴리에테르술폰(PES)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PC)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아크릴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를 병용해도 된다. 또한, 가요성 기재는 미연신 필름이어도 되고, 연신 필름이어도 된다.
가요성 기재는 투명성이 높으면, 투명 전극을 전자 디바이스의 투명 전극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투명성이 높다는 것은, JIS K7361-1:1997(플라스틱-투명 재료의 전체 광선 투과율의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한 가시광 파장 영역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가요성 기재는 가스 배리어층을 구비하는 가스 배리어성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 기재로서는, JIS K7129-1992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된 수증기 투과도(25±0.5℃, 상대 습도 90±2% RH)가 0.01g/(㎡·24h) 이하인 가스 배리어성 필름(가스 배리어 막 등이라고도 함)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JIS K7126-1987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된 산소 투과도가 1×10-3ml/(㎡·24h·atm) 이하이고, 또한 수증기 투과도가 1×10-5g/(㎡·24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 기재를 구성하는 가스 배리어층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가스 배리어성을 실현할 수 있으면, 공지된 가스 배리어층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기재가 가스 배리어성 필름이 아닌 경우에는, 가요성 기재의 어느 면에 상기 가스 배리어성을 실현할 수 있는 가스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EL 소자]
유기 EL 소자는, 투명 전극과, 대향 전극을 구비하고, 이 전극간에 유기 기능층으로서 유기 EL층이 형성되어 있다. 유기 EL층이란, 적어도 각종 유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기층을 포함하는, 발광 단위를 의미한다. 유기 EL층은, 양극과 음극을 포함하는 1쌍의 전극 사이에 끼움 지지되고, 공급되는 정공(홀)과 전자가 유기 EL층 내에서 재결합함으로써 발광한다. 또한, 유기 EL 소자는, 원하는 발광색에 따라, 복수의 유기 EL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유기 EL 소자의 층 구조가 한정되지는 않고, 일반적인 층 구조이면 된다. 예를 들어, [정공 주입층/정공 수송층/유기 EL층/전자 수송층/전자 주입층]의 구성을 예시할 수 있다.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은, 정공 수송 주입층으로서 설치되어도 된다.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은 전자 수송 주입층으로서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전자 주입층은 무기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유기 EL 소자는, 적어도 1층의 유기 EL층을 포함하는 유기 EL층을 복수 적층한, 소위 탠덤 구조의 소자여도 된다. 탠덤형 유기 EL 소자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337492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7420203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7473923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6872472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6107734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6337492호 명세서, 국제 공개 제2005/009087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2871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479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4939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4939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4939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9667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40187호 공보, 일본 특허 제4711424호 공보, 일본 특허 제3496681호 공보, 일본 특허 제3884564호 공보, 일본 특허 제421316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9271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07692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07841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05984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7286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045676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05/094130호 등에 기재된 소자 구성이나 구성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흡습제층]
흡습제층은 흡습성 화합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흡습성 화합물만에 의한 구성이나, 입자형의 흡습성 화합물이나 흡습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입자, 바인더 수지 중에 분산시킨 구성을 들 수 있다. 또한, 흡습제층으로는 시트형의 흡습제층을 사용할 수 있다. 지지체 상에 바인더 수지와 흡습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흡습제층이 형성된 시트형 흡습제층을 사용할 수도 있다.
흡습성 화합물은 수분의 흡착 기능을 갖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흡습성 화합물로는 화학적으로 수분을 흡착하는 것이 가능하고, 수분을 흡착한 후에도, 고체 상태를 유지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습제층에 사용되는 흡습성 화합물로는, 금속 산화물(예를 들어, 산화나트륨, 산화칼륨, 산화칼슘, 산화바륨,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등), 황산염(예를 들어, 황산리튬, 황산나트륨,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황산코발트, 황산갈륨, 황산티타늄, 황산니켈 등), 금속 할로겐화물(예를 들어,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불화세슘, 불화탄탈룸, 브롬화세륨, 브롬화마그네슘, 요오드화 바륨, 요오드화마그네슘 등), 과염소산류(예를 들어, 과염소산바륨, 과염소산마그네슘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황산염, 금속 할로겐화물 및 과염소산류에 있어서는 무수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흡습성을 갖는 실리카 분말, 몰리큘러시브 분말 등도 흡습성 화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흡습성 화합물로는, 알칼리 토류 금속,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의 산화물, 알칼리 금속의 산화물 및 무기 다공질 재료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흡습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흡습성 입자나,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흡습성 화합물의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습제층에 적용되는 바인더 수지로는, 흡습제 성분이 수분 흡착 작용을 저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체 투과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폴리아크릴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에폭시계, 폴리카르보네이트계, 불소계 등의 고분자 재료를 들 수 있다. 흡습제층이 흡습성 화합물과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흡습제층이 흡습성 화합물을 95 내지 60질량%, 바인더 수지를 5 내지 40질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 기판]
밀봉 기판은, 유기 EL 소자를 밀봉하는 각 밀봉부를 덮는 부재이며, 수지 밀봉층에 의해 가요성 기재 등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밀봉 기판은, 판형에 한정되지 않고 필름형 등의 형태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유기 EL 발광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제1 밀봉 기판, 제2 밀봉 기판, 및, 제3 밀봉 기판은, 각각 동일한 구성이 적용되어 있어도 되고, 각각 상이한 구성이 적용되어 있어도 된다. 단, 유기 EL 발광 장치에 있어서 광 취출측이 되는 제3 밀봉 기판은, 가요성 기재와 동일하게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 기판으로는, 종래 공지된 유기 EL 소자의 밀봉에 사용되는 기판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기판, 중합체 기판, 금속 기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재료를 박형화한, 필름형의 밀봉 기판을 사용해도 된다. 유리 기판으로는, 특히, 소다석회 유리, 바륨·스트론튬 함유 유리, 납 유리, 알루미노규산 유리, 붕규산 유리, 바륨 붕규산 유리, 석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중합체 기판으로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아크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술파이드, 폴리술폰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기판으로는, 스테인리스, 철, 구리, 알루미늄, 마그네슘, 니켈, 아연, 크롬, 티타늄, 몰리브덴, 실리콘, 게르마늄 및 탄탈룸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 또는 이들 금속을 포함하는 합금을 들 수 있다. 특히, 소자를 박막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밀봉 기판으로서 중합체 기판이나 금속 기판을 박형의 필름형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봉 기판을 오목판형으로 가공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밀봉 기판의 재료에 대해, 샌드블라스트 가공, 화학 에칭 가공 등의 가공을 실시하고, 밀봉 기판에 오목형의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밀봉 기판은, JIS K7126-1987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된 산소 투과도가 1×10-3ml/(㎡·24h·atm) 이하, JIS K7129-1992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된, 수증기 투과도(25±0.5℃, 상대 습도(90±2)% RH)가 1×10-3g/(㎡·24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밀봉층]
수지 밀봉층은 밀봉 기판을 가요성 기재 등에 고정함과 함께, 유기 EL 소자를 밀봉하기 위한 시일제로서 사용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유기 EL 발광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제1 수지 밀봉층, 제2 수지 밀봉층 및 제3 수지 밀봉층은, 각각 동일한 구성이 적용되어 있어도 되고, 각각 상이한 구성이 적용되어 있어도 된다. 단, 유기 EL 발광 장치에 있어서 광 취출측이 되는 제3 수지 밀봉층은 가요성 기재와 동일하게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밀봉층으로는, 종래 공지된 유기 EL 소자의 밀봉에 사용되는 수지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릴산계 올리고머, 메타크릴산계 올리고머의 반응성 비닐기를 갖는 광 경화 및 열경화형 접착제, 2-시아노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습기 경화형 등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지 밀봉층으로는, 에폭시계 등의 열 및 화학 경화형(2액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핫 멜트형의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이온 경화 타입의 자외선 경화형 에폭시 수지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수지 밀봉층의 도포는, 시판되고 있는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스크린 인쇄와 같이 밀봉 기판에 인쇄해도 된다. 또한,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는 유기 재료는, 열처리로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수지 밀봉층은 실온(25℃)으로부터 80℃로 접착 경화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밀봉층 중에 건조제를 분산시켜 두어도 된다.
[접착제층]
유기 EL 발광 장치에 있어서, 흡습제층의 접합에 접착제층을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층으로는 상술한 수지 밀봉층과 동일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층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흡습제층의 한쪽 면, 예를 들어 시트형 흡습제층의 지지체측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제를 도포한 흡습제층을 제1 밀봉 유닛 상에 접합한다. 혹은, 제1 밀봉 유닛의 흡습제층을 배치하는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 접착제 상에서 흡습제층을 접합한다. 이에 따라, 제1 밀봉 유닛과 흡습제층 사이에, 제1 밀봉 유닛과 흡습제층을 접합하는 접착제층이 형성된다.
[유기 EL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다음에, 상술한 유기 EL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유기 EL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의 일례로서, 도 1에 도시하는 유기 EL 발광 장치(10)의 제조 방법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유기 EL 발광 장치(10A, 10B)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유기 EL 발광 장치(10)의 제조 방법은, 유기 EL 소자(12)를 제작하는 공정, 제1 밀봉부(13)와 가요성 기재(11)로 유기 EL 소자(12)를 밀봉하는 공정(제1 밀봉 유닛(19)을 형성하는 공정), 제1 밀봉부(13) 상에 흡습제층(16)을 설치하는 공정, 및, 제2 밀봉부(14)와 제3 밀봉부(15)로 제1 밀봉 유닛(19)과 흡습제층(16)을 밀봉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유기 EL 발광 장치(10)의 제조 방법은, 필요에 따라 이들 이외의 공정을 포함해도 된다.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는 공정)
먼저, 가요성 기재(11) 상에 유기 EL 소자(12)를 제작한다. 유기 EL 소자(12)의 제작은, 예를 들어 준비한 가요성 기재(11) 상에 투명 전극을, 증착법이나 스퍼터법 등의 적당한 성막법에 의해 형성한다. 다음에,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의 순서대로 성막하여 유기 EL층을 형성한다. 이들 각 층의 성막 방법으로는, 스핀 코팅법, 캐스트법, 잉크젯법, 증착법, 인쇄법 등이 있지만, 균질한 막이 얻어지기 쉽고, 또한 핀 홀이 생성되기 어려운 등의 점에서, 진공 증착법 또는 스핀 코팅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각 층의 성막에는 각각 상이한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유기 EL층을 형성한 후, 이 상부에 대향 전극을, 증착법이나 스퍼터법 등의 적당한 성막법에 의해 형성한다. 또한, 투명 전극과 대향 전극은, 서로 절연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요성 기재(11)의 가장자리에 각각의 외부 접속 단자를 제작한다. 그리고, 이 외부 접속 단자에 FPC(17)를 접합한다.
(제1 밀봉 유닛을 형성하는 공정)
다음에, 가요성 기재(11) 상에 설치된 유기 EL 소자(12)를, 제1 밀봉부(13)로 밀봉한다. 먼저, 제1 밀봉 기판(22)의 한쪽 면에, 제1 수지 밀봉층(21)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층을 형성하고, 제1 밀봉부(13)를 형성하기 위한 제1 수지 부착 기판을 준비한다. 그리고, 제1 수지 부착 기판의 수지층측이 가요성 기재(11) 상과 유기 EL 소자(12)의 상면 및 측면을 덮도록, 제1 수지 부착 기판을 접합한다. 접합한 후, 가열 등에 의해 수지층을 경화한다. 이에 의해, 유기 EL 소자(12)가 제1 수지 밀봉층(21)으로 덮이고, 제1 밀봉부(13)와 가요성 기재(11)에 의해 밀봉된 제1 밀봉 유닛(19)을 형성한다.
(흡습제층을 형성하는 공정)
다음에, 제1 밀봉 유닛(19)의 제1 밀봉부 상에 흡습제층(16)을 형성한다. 흡습제층(16)은, 흡습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층을 제1 밀봉부(13)의 제1 밀봉 기판(22) 상에 설치한다. 예를 들어, 바인더 수지와 흡습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흡습제층(16)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수지 바인더와 흡습성 화합물을 혼합한 조성물을, 제1 밀봉 기판(22) 상에 필요한 두께로 도포한다.
또한, 상술한 도 2에 도시하는 유기 EL 발광 장치(10A)와 같이, 제1 밀봉 유닛(19)의 상면으로부터 측면까지 흡습제층(16A)이 설치되는 구성에서는, 수지 바인더와 흡습성 화합물을 혼합한 조성물을 제1 밀봉 유닛(19)의 상면으로부터 측면까지 필요한 두께로 도포한다. 혹은, 시트형의 흡습제층(16A)을, 제1 밀봉 유닛(19)의 상면으로부터 측면까지 설치한다. 이 때에는, 시트형의 흡습제층(16A)을 접합하기 위한 접착제층을 형성해도 된다.
도 3에 도시하는 유기 EL 발광 장치(10B)와 같이, 접착제층(27)을 통하여, 제1 밀봉부(13)의 상면 및 측면으로부터 가요성 기재(11B)의 가장자리 영역(28)까지 흡습제층(16B)이 설치되는 구성에서는, 시트형 흡습제층을 접착제층(27)으로 접합하여 흡습제층(16B)을 형성한다. 또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흡습제층(16B)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지 바인더와 흡습성 화합물을 혼합한 조성물을, 제1 밀봉부(13)의 상면 및 측면으로부터 가요성 기재(11B)의 가장자리 영역(28)까지의 영역에 필요한 두께로 도포하고, 흡습제층(16B)을 형성한다.
(제2 밀봉부와 제3 밀봉부로 제1 밀봉 유닛과 흡습제층을 밀봉하는 공정)
다음에, 제2 밀봉부(14)와 제3 밀봉부(15)로, 제1 밀봉 유닛(19)과 흡습제층(16)을 밀봉한다. 먼저, 제2 밀봉 기판(24)의 한쪽 면에, 제2 수지 밀봉층(23)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층을 형성하고, 제2 밀봉부(14)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수지 부착 기판을 준비한다. 마찬가지로, 제3 밀봉 기판(26)의 한쪽 면에, 제3 수지 밀봉층(25)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층을 형성하고, 제3 밀봉부(15)를 형성하기 위한 제3 수지 부착 기판을 준비한다.
그리고, 제2 수지 부착 기판의 수지층과, 제3 수지 부착 기판의 수지층을 대향시켜 배치하고, 제2 수지 부착 기판과 제3 수지 부착 기판 사이에 흡습제층(16)을 설치한 제1 밀봉 유닛(19)을 배치한다. 이 때, 제1 밀봉 유닛(19)의 주위에 제2 수지 부착 기판과 제3 수지 부착 기판의 가장자리부가 노출되도록 배치한다. 또한, 제2 수지 부착 기판과 제3 수지 부착 기판의 단부로부터 FPC(17)를 도출한다.
다음에, 흡습제층(16)을 설치한 제1 밀봉 유닛(19)을 끼움 지지하도록, 제2 수지 부착 기판과 제3 수지 부착 기판을 압착한다. 이에 따라, 흡습제층(16)과 제1 밀봉부(13)의 측면에, 제2 수지 부착 기판을 접합한다. 또한, 가요성 기재(11)의 이면과 제1 밀봉부(13)의 측면에 제3 수지 부착 기판을 접합한다. 마찬가지로, 주변 시일부(18)에 있어서, 제2 수지 부착 기판과 제3 수지 부착 기판을 접합한다.
또한, 제2 수지 부착 기판과 제3 수지 부착 기판을 접합한 후, 가열 등에 의해 각각의 수지층을 경화하여 제2 수지 밀봉층(23)과 제3 수지 밀봉층(25)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제1 밀봉 유닛(19)과 흡습제층(16)을 밀봉하는 제2 밀봉부(14)와 제3 밀봉부(15)를 제작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유기 EL 발광 장치(10)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EL 발광 장치(10)의 제작에 있어서는, 1회의 진공화로 일관하여 유기 EL 소자(12)의 형성으로부터 제2 밀봉부(14) 및 제3 밀봉부(15)에 의한 밀봉까지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중에 진공 분위기부터 취출할 때에도, 건조 불활성 가스 분위기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수지 부착 기판이나 시트형의 흡습제층의 제작은 유기 EL 발광 장치(10)의 제조에 관한 일련의 공정에 포함되지 않는 별도의 공정으로 행해도 된다.
[유기 EL 발광 장치의 변형예]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밀봉 유닛과 흡습제층을 제2 밀봉부와 제3 밀봉부를 포함하는 외측의 밀봉부로 밀봉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제1 밀봉 유닛과 흡습제층을 밀봉하는 외측의 밀봉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한쪽의 주변 시일부가 없고, 제1 밀봉 유닛 및 흡습제층의 발광면측으로부터 배면측까지를 제2 수지 밀봉층과 제2 밀봉 기판을 덮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2 밀봉부만에 의해, 제1 밀봉 유닛과 흡습제층의 전체가 밀봉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제2 밀봉부가 가요성 기재의 가장자리부에 직접 접속되어, 가요성 기재와 제2 밀봉부만에 의해, 유기 EL 소자, 제1 밀봉부 및 흡습제층이 밀봉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예에 있어서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밖의 본 발명의 구성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10, 10A, 10B: 유기 EL 발광 장치
11, 11B: 가요성 기재
12: 유기 EL 소자
13: 제1 밀봉부
14: 제2 밀봉부
15: 제3 밀봉부
16, 16A, 16B: 흡습제층
17: FPC
18: 주변 시일부
19: 제1 밀봉 유닛
21: 제1 수지 밀봉층
22: 제1 밀봉 기판
23: 제2 수지 밀봉층
24: 제2 밀봉 기판
25: 제3 수지 밀봉층
26: 제3 밀봉 기판
27: 접착제층
28: 가장자리 영역

Claims (12)

  1. 가요성 기재와,
    상기 가요성 기재 상에 설치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와,
    상기 가요성 기재 상에 있어서, 상기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를 밀봉하는 제1 밀봉부와,
    상기 제1 밀봉부 상에 설치된 흡습제층과,
    상기 흡습제층, 및, 상기 제1 밀봉부를 덮는 제2 밀봉부를 구비하고, FPC(Flexible Printed Circuits) 및 배선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밀봉부는 상기 제1 밀봉부 및 상기 흡습제층에 밀착되어 있고,
    상기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은 상기 가요성 기재 상에 설치되고 상기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의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FPC는 상기 배선에 접속되고 상기 가요성 기재 및 상기 제2 밀봉부와 접촉하고,
    상기 FPC는 상기 제2 밀봉부의 외부에 인출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 기재, 상기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상기 제1 밀봉부, 및 상기 흡습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제2 밀봉부와 접합하는 제3 밀봉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FPC가 상기 제2 밀봉부 및 상기 제3 밀봉부 사이에 제공된 주변 시일부를 통해 상기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의 전극을 외부로 인출하도록 구성된 것인,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부가, 상기 가요성 기재 상에서 상기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의 상면 및 측면의 전체면을 덮는 제1 수지 밀봉층과, 상기 제1 수지 밀봉층에 의해 상기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를 통하여 상기 가요성 기재에 접합된 제1 밀봉 기판을 갖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밀봉부가, 상기 제2 밀봉부, 및, 상기 가요성 기재에 접합하는 제3 수지 밀봉층과, 상기 제3 수지 밀봉층에 의해 상기 제2 밀봉부에 접합된 제3 밀봉 기판을 갖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층이, 상기 제1 밀봉 기판 상으로부터 상기 제1 수지 밀봉층의 측면까지를 덮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층과 상기 제1 밀봉부를 접합하는 접착제층을 갖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층이, 상기 제1 밀봉부와, 상기 가요성 기재를 덮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층과 상기 제1 밀봉부 및 상기 가요성 기재를 접합하는 접착제층을 갖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층이, 바인더 수지와, 흡습성 화합물을 갖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성 화합물이, 알칼리 토류 금속,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의 산화물, 알칼리 금속의 산화물, 및, 무기 다공질 재료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187016795A 2016-02-10 2016-09-01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 KR102082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23707 2016-02-10
JPJP-P-2016-023707 2016-02-10
PCT/JP2016/075624 WO2017138179A1 (ja) 2016-02-10 2016-09-01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発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565A KR20180082565A (ko) 2018-07-18
KR102082062B1 true KR102082062B1 (ko) 2020-02-26

Family

ID=59562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795A KR102082062B1 (ko) 2016-02-10 2016-09-01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24319B2 (ko)
EP (1) EP3416459B1 (ko)
JP (1) JP6899502B2 (ko)
KR (1) KR102082062B1 (ko)
CN (1) CN108605393B (ko)
WO (1) WO20171381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3567A1 (ja) * 2017-10-12 2019-04-18 シャープ株式会社 ベース層を備えた非可撓性基板、可撓性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411615B (zh) * 2018-10-30 2022-02-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发光装置及其制造方法
JP7290493B2 (ja) * 2019-07-16 2023-06-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装置
CN111584745A (zh) * 2020-05-13 2020-08-25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4946A (ja) * 2005-03-07 2006-09-14 Seiko Epson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機器及び光書き込みヘッド
JP5545301B2 (ja) * 2009-10-28 2014-07-0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の製造方法、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89830A (ko) 1968-12-10 1972-09-20
US6337492B1 (en) 1997-07-11 2002-01-08 Emagin Corporation Serially-connect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stack having conductors sandwiching each light emitting layer
JP3884564B2 (ja) 1998-05-20 2007-02-21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el発光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
JP4611578B2 (ja) 2001-07-26 2011-01-12 淳二 城戸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SG142163A1 (en) 2001-12-05 2008-05-28 Semiconductor Energy Lab Organic semiconductor element
US6872472B2 (en) 2002-02-15 2005-03-29 Eastman Kodak Company Providing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stacked electroluminescent units
JP3933591B2 (ja) 2002-03-26 2007-06-20 淳二 城戸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EP1651011B1 (en) 2003-07-02 2011-11-02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display using same
JP4961412B2 (ja) 2003-11-10 2012-06-27 淳二 城戸 有機素子、及び、有機素子の製造方法
EP2254390B1 (en) 2004-03-26 2012-07-04 Panasonic Corporatio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JP4610408B2 (ja) 2004-04-28 2011-01-1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素子およびその作製方法、並びに発光装置
JP4925569B2 (ja) 2004-07-08 2012-04-25 ローム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JP4315874B2 (ja) 2004-07-30 2009-08-19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表示装置
JP4565922B2 (ja) 2004-07-30 2010-10-20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表示装置
JP4565921B2 (ja) 2004-07-30 2010-10-20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表示装置
KR100637198B1 (ko) * 2004-11-25 2006-10-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939809B2 (ja) 2005-01-21 2012-05-3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
US7728517B2 (en) 2005-05-20 2010-06-01 Lg Display Co., Ltd. Intermediate electrodes for stacked OLEDs
JP4837958B2 (ja) 2005-08-26 2011-12-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CN101288343B (zh) 2005-09-22 2010-08-25 松下电工株式会社 有机发光元件及其制备方法
US7899864B2 (en) 2005-11-01 2011-03-01 Microsoft Corporation Multi-user terminal services accelerator
JP4776393B2 (ja) 2006-02-20 2011-09-21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有機el表示装置
JP4213169B2 (ja) 2006-04-21 2009-01-21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el発光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
JP5237541B2 (ja) 2006-09-21 2013-07-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4861206B2 (ja) * 2007-01-26 2012-01-2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発光装置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照明装置
JP2010192719A (ja) 2009-02-19 2010-09-02 Yamagata Promotional Organization For Industrial Technology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10150648A1 (ja) * 2009-06-25 2010-12-29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ニクス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63771B2 (ja) 2009-07-15 2014-04-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シート、ガスバリア性シートの製造方法、封止体、及び装置
KR101814769B1 (ko) 2010-07-07 2018-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37288B1 (ko) 2010-12-27 2013-02-27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흡습제 및 이를 활용한 유기전계 발광장치
CN102749770B (zh) * 2012-04-06 2015-02-04 信利工业(汕尾)有限公司 一种集成NFC天线的TP On/In Cell型薄膜晶体管显示器
KR102071330B1 (ko) 2012-12-27 2020-01-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48927B1 (ko) * 2013-02-07 2019-1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6160107B2 (ja) 2013-02-13 2017-07-12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発光装置、有機el表示装置及び有機el照明
US20150072116A1 (en) * 2013-09-12 2015-03-12 Geoffrey Charles Wills Sign
KR20150072116A (ko) 2013-12-19 2015-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제조방법
CN105098091A (zh) * 2015-06-15 2015-11-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器件的封装结构及其封装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4946A (ja) * 2005-03-07 2006-09-14 Seiko Epson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機器及び光書き込みヘッド
JP5545301B2 (ja) * 2009-10-28 2014-07-0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の製造方法、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16459A1 (en) 2018-12-19
US10524319B2 (en) 2019-12-31
CN108605393B (zh) 2021-10-08
EP3416459B1 (en) 2022-03-02
US20190150235A1 (en) 2019-05-16
JPWO2017138179A1 (ja) 2018-12-06
WO2017138179A1 (ja) 2017-08-17
CN108605393A (zh) 2018-09-28
JP6899502B2 (ja) 2021-07-07
EP3416459A4 (en) 2019-01-02
KR20180082565A (ko) 201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062B1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
TWI363576B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ive
KR2015008609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30250A (ko) 유기 일렉트로 루미너센스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21516413A (ja) 封止構造、表示デバイス及び表示装置
JP2013533587A (ja) 分離フォイルを有する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デバイス
JPWO2013051358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面状発光体、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製造方法
JP2011124219A (ja) 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84599A (ja) 有機el発光装置、及び有機el発光装置の製造方法
JP2017079137A (ja) 有機el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14399A (ja) 有機el素子
JP6654913B2 (ja) 有機el素子の製造方法及び有機el素子
KR2016014153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4335208A (ja) El素子およびel素子用封止フィルム
KR20060023652A (ko) 막 흡수제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봉지기술
JP2005079056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
KR102649238B1 (ko) 표시패널, 이를 포함하는 적층 기판, 및 표시패널 제조방법
JP2008130312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パネル用封止基板
JP2015204132A (ja) 有機el素子、照明装置及び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JP4434757B2 (ja) 半導体装置
JP2005347204A (ja) 有機el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00425B1 (ko) 유기 전계 발광소자의 플라스틱 기판
JP2008288057A (ja) 有機発光パネル
JP2004152664A (ja) 表示パネル及びその表示パネルを備えた電子機器並びに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2017195131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