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743B1 -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 - Google Patents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743B1
KR102064743B1 KR1020180076507A KR20180076507A KR102064743B1 KR 102064743 B1 KR102064743 B1 KR 102064743B1 KR 1020180076507 A KR1020180076507 A KR 1020180076507A KR 20180076507 A KR20180076507 A KR 20180076507A KR 102064743 B1 KR102064743 B1 KR 102064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dy
cooking
cooking vessel
communication unit
pan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완수
Original Assignee
유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완수 filed Critical 유완수
Priority to KR1020180076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743B1/ko
Priority to PCT/KR2019/007625 priority patent/WO2020009358A1/ko
Priority to JP2020566246A priority patent/JP2021529006A/ja
Priority to CN201980034784.0A priority patent/CN112218564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에 따른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은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원형의 돔 형태로 형성되는 커버바디와, 상기 커버바디 하부에 배치되고 조리 용기의 상단에 지지되는 용기 받침부와, 상기 커버바디의 상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커버바디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연통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Multi-Purpose Fry-Pan Lid}
본 개시내용은 주방, 식당 등에서 음식 등의 조리에 사용되는 주방 도구인 후라이팬을 덮는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름의 비산을 방지하고, 조리 중 발생하기 쉬운 연기를 용이하게 배출하도록 하는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프라이팬 뚜껑(또는 덮개)는 전체적으로 막혀있고 따라서, 음식 재료를 넣거나 뒤집을 시에는 덮개를 열어야 하며, 이 때 내부의 기름 및 냄새가 외부로 빠져나와 실내 공기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경우 조리용기의 상부를 밀폐하는 것으로, 그 목적이 용기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 내부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조리중 발생하는 연기가 부엌이나 거실에 퍼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프라이팬 덮개가 용기를 완전히 밀폐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조리되는 음식의 특성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연통으로 원활하게 연기를 배출시킬 필요성이 있는데, 종래의 기술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KR 20-2002-0037209Y1
본 개시내용에 따른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주방용 조리 용기 등을 덮는 용도로 사용되는 후라이팬 뚜껑의 구조를 조리용기의 전체 영역을 덮을 수 있는 원형 형태의 커버바디 본체 구조를 구성하여 생선이나 고기 등의 재료를 조리할 경우 기름이 조리대 주변으로 비산하거나 튀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음식냄새 또는 연기가 사방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 환기통에 접근하여 배치시킬 수 있는 연통 구조를 커버바디 본체 구조와 일체로 결합하고 커버바디 본체 안쪽에 형성된 연기를 좀 더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해 커버바디 하단부에 조리용기 상단에 지지되는 용기 받침대를 추가로 구성하여 조리 용기와 커버바디 본체 사이에 일정한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추가적으로, 시중에 시판되고 있는 일정 범위의 직경을 가지는 프라이팬 용기에 대해서 그 직경에 관계없이 본 개시내용에 따른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이 적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은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원형의 돔 형태로 형성되는 커버바디와, 커버바디 하부에 배치되고 조리 용기의 상단에 지지되는 용기 받침부와, 상기 커버바디의 상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커버바디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연통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통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용기 받침부에 의해 상기 커버바디와 상기 조리 용기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버바디와 상기 조리 용기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부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커버바디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연통부를 통해 연기가 배출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통부는 상기 연통부 상부에 상기 커버바디 내부 공간에서 발생한 연기의 배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구현되는 방향전환 연통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별도의 추가적인 수단 없이도 고기나 생선 등을 조리할 경우 조리대 부근에 기름이 튀거나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라이팬 뚜껑 본체와 연결된 연통을 통해 조리 중 발생하는 연기나 냄새를 배출 시킬 수 있으며, 연기의 배출 작용에 있어서 뚜껑 본체 하단부에 조리 용기의 상단에 지지되는 복수 개의 용기 받침대를 구성함으로써 좀 더 용이하게 연기를 배출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내용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의 사시도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의 사용상태도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며, 본 개시내용에 따른 권리 범위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내용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진다. 본 개시내용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내용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성되는", "형성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편의상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1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10)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10)은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돔 형태로 형성되는 커버바디(20)를 포함한다. 도 2c를 참조하면, 커버바디(20)의 하부에는 용기 받침부(3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커버바디(20) 하부 면에 커버바디(2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용기 받침부(30)는 커버바디(20) 하부 면에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 될 수 있다. 용기 받침부(30)는 후라이팬 등 조리 용기(100)의 상단에 지지되어 커버바디(20)와 조리 용기(100) 간에 이격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a, 2b를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에 따른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10)의 커버바디(20)의 상부 면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통해 커버바디(20)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연통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통부(40)와 일체로 결합되는 손잡이(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10)에 부착된 손잡이(50)로 보다 편리하게 조리를 할 수 있다.
한편, 생선이나 고기 등 조리시 연기가 많이 발생하는 재료의 경우 연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필요성이 존재하는데, 도 2b를 참조하면 연통부(40)는 그 상부에 커버바디(20) 내부 공간에서 발생한 연기의 배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전환 연통부(6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방향전환 연통부(60)는 연통부와 일체형으로 결합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연기를 배출하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조리 중 발생하는 연기를 환기구 등이 위치하고 있는 곳으로 연통을 방향 전환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연통부(40)의 일정 위치에 조리중 발생하는 불순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는 필터부(70)가 형성될 수 있다. 생선이나 고기 등의 조리 중에는 음식냄새나 불완전 연소가스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연기가 연통부(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더라도 연통부 내부에는 연소로 인한 찌꺼기나 불순물 등이 남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연통 내부에 별도의 필터부(70)를 배치함으로써 불순물의 축적으로 인한 연통의 수명 감소 및 연기 배출 기능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버바디(20)는 후라이팬 등 조리 용기(100)의 상단부를 덮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 용기(100)는 커버바디(20) 하부 면에 구성되는 용기 받침부(30)가 조리 용기(100)의 상단에 지지되는 형태로 덮어지게 될 수 있다. 또한, 시중에 유통되는 일정 범위에 해당되는 직경의 후라이팬의 경우 그 직경에 관계없이 상기 용기 받침부(30)가 조리 용기(100)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도록 용기 받침부(3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름이 외부로 비산하기 쉬운 재료를 조리할 경우 외부로 기름이 튀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용기 받침부(30)에 의해 커버바디(20)와 조리 용기(100)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격된 공간으로부터 외부의 공기가 신속하게 커버바디(20)의 내부의 빈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커버바디(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조리 중 발생한 음식 냄새나 불완전 연소가스를 연통부(4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작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구성들을 통해 사용자는 별도의 추가적인 수단 없이도 고기나 생선 등을 조리할 경우 조리대 부근에 기름이 튀거나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라이팬 뚜껑 본체와 연결된 연통을 통해 조리 중 발생하는 연기나 냄새를 배출 시킬 수 있으며, 연기의 배출 작용에 있어서 뚜껑 본체 하단부에 조리 용기의 상단에 지지되는 복수 개의 용기 받침대를 구성함으로써 좀 더 용이하게 연기를 배출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내용의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 20 : 커버바디
30 : 용기 받침부 40 : 연통부
50 : 손잡이 60 : 방향전환 연통부
70 : 필터부 100 : 조리 용기

Claims (5)

  1.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원형의 돔 형태로 형성되는 커버바디;
    상기 커버바디 하부에 배치되고 조리 용기의 상단에 지지되는 용기 받침부; 및
    상기 커버바디의 상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커버바디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연통부;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 받침부는,
    상기 커버바디의 외측부로부터 중심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리 용기의 직경에 관계없이 상기 용기 받침부가 조리 용기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버바디 내에서 칸막이 역할을 하여 조리 중 발생하는 음식냄새가 좌,우 이동없이 상기 연통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장방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조리 용기의 상단에 지지되어 상기 커버바디에 의해 조리 중 기름이 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커버바디와 상기 조리 용기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바디와 상기 조리 용기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부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조리 중 발생한 음식 냄새나 불완전 연소가스를 상기 커버바디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연통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연통부 상부에 상기 커버바디 내부 공간에서 발생한 연기의 배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구현되는 방향전환 연통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





KR1020180076507A 2018-07-02 2018-07-02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 KR102064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507A KR102064743B1 (ko) 2018-07-02 2018-07-02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
PCT/KR2019/007625 WO2020009358A1 (ko) 2018-07-02 2019-06-25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
JP2020566246A JP2021529006A (ja) 2018-07-02 2019-06-25 多用途フライパン蓋
CN201980034784.0A CN112218564A (zh) 2018-07-02 2019-06-25 多用途煎锅盖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507A KR102064743B1 (ko) 2018-07-02 2018-07-02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743B1 true KR102064743B1 (ko) 2020-01-10

Family

ID=69060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507A KR102064743B1 (ko) 2018-07-02 2018-07-02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1529006A (ko)
KR (1) KR102064743B1 (ko)
CN (1) CN112218564A (ko)
WO (1) WO202000935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627Y1 (ko) * 2003-01-28 2003-08-14 정재만 음식물 넘침방지용 조리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317U (ko) * 1986-07-09 1988-01-27
CN2303177Y (zh) * 1997-04-23 1999-01-06 王连升 无油烟烹饪机
CN2337905Y (zh) * 1998-06-30 1999-09-15 吴晓明 无烟锅
US20040187702A1 (en) * 2003-03-25 2004-09-30 Zhaoxia Xu Forced Venting Fry Utensil
KR100625830B1 (ko) * 2005-03-30 2006-09-22 서선자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
EP2198758A1 (en) * 2005-11-07 2010-06-23 Rena Choi Cooker cover
US20080203095A1 (en) * 2007-02-22 2008-08-28 Francesco Magno Vapor-guiding lid for cookware
JP5630762B2 (ja) * 2010-05-21 2014-11-26 リンナイ株式会社 調理容器およびその蓋
KR20140108893A (ko) * 2013-03-04 2014-09-15 이헌 조리 용기용 기체 배출 장치
KR101519481B1 (ko) * 2014-08-02 2015-05-12 주식회사 에코제로 에코 쿠킹리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627Y1 (ko) * 2003-01-28 2003-08-14 정재만 음식물 넘침방지용 조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29006A (ja) 2021-10-28
CN112218564A (zh) 2021-01-12
WO2020009358A1 (ko) 2020-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0366A (ko) 빵 저장 용기
JP2009513295A (ja) 調理容器用蓋
US1672738A (en) Cooking utensil
KR102064743B1 (ko) 다용도 후라이팬 뚜껑
US20050263011A1 (en) Cookware apparatus
US20080203095A1 (en) Vapor-guiding lid for cookware
JP2014200628A (ja) 加熱調理容器
KR200232899Y1 (ko) 호환성을 갖는 기름 비산방지 뚜껑
KR101527083B1 (ko)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
ITMI20131645A1 (it) Dispositivo antispruzzo flessibile e sue applicazioni in qualsiasi tipo di copertura
KR102175625B1 (ko) 숯불장치
KR102171633B1 (ko) 기름유출 방지 양면팬
JP6548767B2 (ja) 油排出が簡単なバーナ
US3832990A (en) Portable broiler
JP3684923B2 (ja) シチリン
KR200316877Y1 (ko) 일회용 기름비산 방지 덮개
KR20180070040A (ko) 물배출 구조를 가지는 일회용 용기
KR100433315B1 (ko) 조리기
US20230064900A1 (en) Air fryer liner
CN106820952A (zh) 更具安全防喷溅及收集油水的高压锅
KR200475184Y1 (ko) 프라이팬
JP6805039B2 (ja) 調理容器
KR101814933B1 (ko) 바비큐 구이기용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바비큐 구이기
JPS6176830A (ja) ガステ−ブル用油よけカバ−
KR200214867Y1 (ko) 솥뚜껑식 고기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