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083B1 -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083B1
KR101527083B1 KR1020140026068A KR20140026068A KR101527083B1 KR 101527083 B1 KR101527083 B1 KR 101527083B1 KR 1020140026068 A KR1020140026068 A KR 1020140026068A KR 20140026068 A KR20140026068 A KR 20140026068A KR 101527083 B1 KR101527083 B1 KR 101527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cooking
lid
valv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수
Original Assignee
박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수 filed Critical 박상수
Priority to KR1020140026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0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08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for draining liquids from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opening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용기의 뚜껑에 개폐밸브 및 배출호스를 설치하여 음식물의 조리 중에는 개폐밸브를 폐쇄한 상태로 음식물을 조리하고, 조리 후에는 개폐밸브를 개방하여 수증기와 열기 및 냄새가 배출호스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함으로서 뚜껑을 열지 않고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게 한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apparatus for discharging the smell in the lid of cooking receptacle}
본 발명은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조리용기의 뚜껑에 설치하여 냄새가 실내로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조리할 때는 냄비 또는 프라이팬 등 여러 종류의 조리용기를 주방에 설치되는 가스레인지와 같은 화기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와 열기 및 냄새는 주방의 화기 상방에 설치되는 후드의 배출팬에 의하여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와 같이 후드의 배출팬이 작동되어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기와 수증기 및 냄새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할 수는 있으나,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 등을 완전하게 제거하여 실내로 유입되거나 확산 되는 것과 더불어 프라이팬을 이용하여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비산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힘들게 된다.
한편, 실내로 확산 된 냄새가 장기간 반복되는 과정에서 냄새가 실내의 벽지, 옷 등에 흡착되어 환기를 시켜도 냄새가 실외로 배출되지 못하고, 방향제 등을 사용한다 하여도 원천적으로 냄새를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결국에는 조리로 야기된 냄새가 장시간 실내에 남아있게 되는 원인이 되므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 하는 것이 힘들게 된다.
물론,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조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가급적이면 냄새가 실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을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조리 과정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시로 뚜껑을 열고 닫는 것을 반복하기 때문에 뚜껑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냄새가 실내로 유입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10-0625830호,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용기의 뚜껑에 개폐밸브를 설치하여 음식물의 조리 중에는 개폐밸브를 폐쇄한 상태로 음식물을 조리하고, 조리 후에는 개폐밸브를 개방함과 아울러 배출호스를 설치하여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와 열기 및 냄새가 배출호스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함으로서 뚜껑을 열지 않고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게 한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뚜껑에 구비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밸브체가 설치되어 상기 밸브체를 음식물의 조리 중에는 폐쇄시키고, 음식물의 조리 완료후에는 개방시킬 수 있는 개폐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는 돌출부의 내부에 상하부가 개구되게 형성되는 관통공을 개폐시킬 수 있게 설치되는 밸브체; 상기 밸브체가 관통공에 지지되도록 상기 밸브체의 중앙 양측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밸브체가 회전될 수 있게 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부의 외부에서 상기 밸브체를 조작시킬 수 있게 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조리용기의 뚜껑에는 상기 개폐밸브를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연락되게 설치되어 음식물의 조리 후 발생하는 냄새와 증기 및 열기를 배출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배출호스와, 그리고 상기 배출호스를 통해 냄새를 강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호스의 단부에 설치된 배출팬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배출호스는 길이를 신축시킬 수 하도록 다수개의 분할호스들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할호스들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분할호스의 단부에 끼움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뚜껑에 개폐밸브 및 배출호스를 연락되게 설치하여 음식물을 조리 중에는 개폐밸브를 폐쇄하여 조리를 하고, 조리 후에는 뚜껑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폐밸브만을 개방하여 수증기와 열기 및 냄새가 배출호스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게 함으로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뚜껑을 열지 않고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음으로서 열기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조리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개폐밸브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B"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표시의 "C"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는 개폐밸브(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개폐밸브(110)는 조리용기(10)의 뚜껑(12)에 구비되는 관통공(14a)이 형성된 돌출부(14)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14)의 관통공(14a)을 개폐시킬 수 있게 밸브체(112)가 설치되어 상기 밸브체(112)를 음식물의 조리 중에는 폐쇄시키고, 음식물의 조리 완료 후에는 개방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개폐밸브(110)는 밸브체(112)와 회전축(114) 및 손잡이(1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체(112)는 돌출부(14)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14a)를 막도록 설치되며, 상기 밸브체(112)의 중앙 양측부로 상기 회전축(114)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114)에 의해 상기 밸브체(112)가 관통공(14a)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114)이 연장되어 상기 밸브체(112)를 돌출부(14)의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손잡이(116)가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116)를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밸브체(112)를 회전시켜 관통공(14a)을 개폐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는 덮개(12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덮개(121)는 상기 개폐밸브(110)를 덮을 수 있도록 조리용기의 뚜껑에 안착된다.
이러한 상기 덮개(121)는 하부의 폭이 넓은 형상, 즉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깔대기 모양이 뒤집어 진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덮개(121)를 뚜껑에 용이하게 안착되게 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는 배출호스(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출호스(120)는 상기 덮개(121)에 연락되게 설치되어 음식물의 조리 후 상기 개폐밸브(121)를 통해 발생하는 냄새와 증기 및 열기를 배출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배출호스(120)는 그 길이를 임의로 신축시킬 수 하도록 하기 위해 다수개의 분할호스(122a,122b..)들을 상호 연결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분할호스(122a,122b..)들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분할호스(122a,122b..)의 단부에는 끼움구(124)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구(124)를 이용하여 분할호스(122a,122b..)들을 원하는 길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는 배출팬(130)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배출팬(130)은 상기 배출호스(120)를 통해 냄새를 강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호스(120)의 단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배출팬(130)에 의해 조리용기(10)의 내부 공기를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또 상기 배출팬(130)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선 및 스위치 등이 구비되어야 하며, 이러한 전원선 및 스위치의 구성은 통상의 기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는, 조리용기의 뚜껑(12)에 개폐밸브(110)를 설치된 상태로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혹은 상기 개폐밸브(110)를 덮도록 덮개(121)를 뚜껑에 안착한 후 덮개(121)에 배출호스(120)를 연락되게 설치한 다음 상기 배출호스(120)의 단부에 설치되는 배출팬(130)이 실외로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밸브(110)는 손잡이(116)를 조작하여 밸브체(112)가 관통공(14a)을 막도록 한 상태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조리용기의 내부에 밀폐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음식물의 빠른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상기 개폐밸브(110)의 손잡이(116)를 조작하여 밸브체(112)가 관통공(14a)을 개방하도록 한 상태에서 배출팬(130)을 작동시켜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된 냄새와 증기 및 열기가 상기 배출팬(130)의 작동에 의해 배출호스(120)를 통해 배출되게 하여 냄새가 실내로 확산되지 않게 한다.
110 - 개폐밸브 112 - 밸브체
114 - 회전축 116 - 손잡이
120 - 배출호스 130 - 배출팬

Claims (3)

  1. 삭제
  2. 조리용기의 뚜껑에 구비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밸브체가 설치되어 상기 밸브체를 음식물의 조리 중에는 폐쇄시키고, 음식물의 조리 완료후에는 개방시킬 수 있는 개폐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는 돌출부의 내부에 상하부가 개구되게 형성되는 관통공을 개폐시킬 수 있게 설치되는 밸브체;
    상기 밸브체가 관통공에 지지되도록 상기 밸브체의 중앙 양측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밸브체가 회전될 수 있게 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부의 외부에서 상기 밸브체를 조작시킬 수 있게 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조리용기의 뚜껑에는, 상기 개폐밸브를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연락되게 설치되어 음식물의 조리 후 상기 개폐밸브를 통해 발생하는 냄새와 증기 및 열기를 배출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배출호스와, 그리고 상기 배출호스를 통해 냄새를 강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호스의 단부에 설치된 배출팬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호스는 길이를 신축시킬 수 하도록 다수개의 분할호스들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할호스들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분할호스의 단부에 끼움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
KR1020140026068A 2014-03-05 2014-03-05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 KR101527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068A KR101527083B1 (ko) 2014-03-05 2014-03-05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068A KR101527083B1 (ko) 2014-03-05 2014-03-05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083B1 true KR101527083B1 (ko) 2015-06-09

Family

ID=53504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068A KR101527083B1 (ko) 2014-03-05 2014-03-05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0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1645A (ko) 2021-10-10 2023-04-18 류운형 냄새 및 연기 방지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뚜껑
KR20230085781A (ko) 2021-12-07 2023-06-14 류운형 냄새 및 연기 방지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뚜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1492U (ko) * 1988-12-21 1990-07-02 박형권 가열용기의 손잡이
KR20110090459A (ko) * 2010-02-04 2011-08-10 주식회사 이너라이프 자동 취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1492U (ko) * 1988-12-21 1990-07-02 박형권 가열용기의 손잡이
KR20110090459A (ko) * 2010-02-04 2011-08-10 주식회사 이너라이프 자동 취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1645A (ko) 2021-10-10 2023-04-18 류운형 냄새 및 연기 방지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뚜껑
KR20230085781A (ko) 2021-12-07 2023-06-14 류운형 냄새 및 연기 방지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494B1 (ko) 냄새 제거용 프라이팬
KR101527083B1 (ko)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
KR101416533B1 (ko) 가스레인지용 후드
KR20130005637A (ko) 음식물이 조리될 때까지 실내로 유출되는 냄새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자가탈취필터 또는 자가구동형탈취기 및 자동회전용타이머가 구비된 주방기구
KR200445439Y1 (ko) 냄새를 연소하는 프라이팬
KR200467826Y1 (ko) 프라이팬 커버
KR101060025B1 (ko) 고기구이 불판
KR101303997B1 (ko) 에코 프라이팬 뚜껑
KR101430340B1 (ko) 냄새 저감형 양면 팬
KR101460638B1 (ko) 다기능을 가지는 프라이팬 커버
KR200459644Y1 (ko) 육류 구이기
KR100896198B1 (ko) 양면팬의 가스 밸브판
KR20130005492U (ko) 조리기용 덮개
KR101489691B1 (ko)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
CA2622530A1 (en) Vapor-guiding lid for cookware
JP5630762B2 (ja) 調理容器およびその蓋
KR101786969B1 (ko) 프라이팬 겸용 석쇠
KR100600003B1 (ko) 냄새확산과 기름유출이 방지되는 생선구이 양면팬
KR102515514B1 (ko) 흡입 유로를 구비한 전열식 조리기구
KR100433315B1 (ko) 조리기
KR101430346B1 (ko) 냄새 저감형 조리용기
KR200479654Y1 (ko) 로스터
KR200388451Y1 (ko) 냄새확산과 기름유출이 방지되는 생선구이 양면팬
KR200471850Y1 (ko) 냄새 저감형 조리용기
KR101781128B1 (ko) 후라이팬용 일회용 종이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