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788B1 - 청소구 - Google Patents

청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788B1
KR102053788B1 KR1020167010396A KR20167010396A KR102053788B1 KR 102053788 B1 KR102053788 B1 KR 102053788B1 KR 1020167010396 A KR1020167010396 A KR 1020167010396A KR 20167010396 A KR20167010396 A KR 20167010396A KR 102053788 B1 KR102053788 B1 KR 102053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ain body
convex
cleaning tool
en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0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8800A (ko
Inventor
요시히로 하시즈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Publication of KR20160068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1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14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 A47L11/18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the tools being roll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38Other dusting implemen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청소구에서는, 심체(1)의 일단부(10)는, 상기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하여 심체(1)를 본체부(2)에 대하여 가동 가능하도록, 본체부(2)의 일단 지지부(20)에 연결되어 있고, 심체(1)의 타단부(11)는,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걸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타단부(11)가 타단 지지부(21)에 걸린 상태에서는,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한 심체(1)의 상기 가동은 규제되어 있고, 상기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일단부(10)가 기점으로 되고, 타단부(11)가 타단 지지부(21)로부터 개방된 자유단으로 되어, 심체(1)가 본체부(2)에 대하여 가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청소구{CLEANING TOOL}
본 발명은, 적어도 한쪽 면이 점착면(粘着面)으로 되어 있는 테이프형 기재(基材)를, 중심선 상에 통형(筒形)으로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粘着) 테이프 롤을 장착시켜 사용하기 위한 청소구(淸掃具; cleaning tool)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청소구로서, 점착 롤러의 통공(筒孔)에 삽통(揷通)되는 심축(芯軸)과, 심축의 양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지지체와, 사용자가 유지하기 위한 지지 통부를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점착 롤러를 장착할 때는, 심축의 양 단부를 롤러 지지체로부터 분리하여, 심축에 점착 롤러를 장착한 후, 심축의 양 단부를 롤러 지지체에 장착하고 있다. 한편, 청소구로부터 점착 롤러를 분리할 때는, 심축의 양 단부를 롤러 지지체로부터 분리하여, 심축으로부터 점착 롤러를 분리(detach)해 내고, 심축의 양 단부를 롤러 지지체에 장착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3―190066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청소구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점착 롤러의 착탈(着脫)에 있어서, 롤러 지지체로부터 심축의 양 단부를 일단 분리하여, 심축에 대하여 점착 롤러를 착탈한 후, 심축의 양 단부를 롤러 지지체에 다시 장착한다는 일련의 행위를 요하므로, 점착 롤러의 착탈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점착 테이프 롤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청소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청소구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적어도 한쪽 면이 점착면으로 되어 있는 테이프형 기재를, 중심선 상에 통형으로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테이프 롤의 통공에 삽통되는 심체(芯體 core)와, 상기 심체가 설치되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본체부는, 심체의 삽통 방향에서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한 일단 지지부와 타단 지지부를 가지는 청소구로서, 심체의 일단부는, 상기 일단부를 기점(起点)으로 하여 심체를 본체부에 대하여 가동(可動) 가능하도록, 본체부의 일단 지지부에 연결되어 있고, 심체의 타단부는,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에 걸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타단부가 타단 지지부에 걸린 상태에서는, 일단부를 기점으로 한 심체의 상기 가동은 규제되어 있고, 상기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일단부가 기점으로 되고, 타단부가 타단 지지부로부터 개방된 자유단으로 되어, 심체가 본체부에 대하여 가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청소구에 의하면, 심체의 타단부와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와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심체의 타단부가 자유단으로 되고, 일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심체가 본체부에 대하여 가동 가능하므로, 청소구에 점착 테이프 롤을 착탈할 때, 심체의 타단부와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와의 걸림을 해제하고, 일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심체를 본체부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심체의 타단부와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를 충분히 이격시킴으로써, 심체에 대하여 타단부 측으로부터 일단부 측을 향해 또는 그 역방향으로 점착 테이프 롤을 그 통공을 통하여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심체의 타단부가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에 걸린 상태에서는, 일단부를 기점으로 한 심체의 상기 가동은 규제되므로, 점착 테이프 롤을 사용할 때는, 점착 테이프 롤이 장착된 심체의 타단부를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에 걸고, 일단부를 기점으로 한 심체의 가동을 규제함으로써, 심체에 장착된 점착 테이프 롤을 적절히 회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심체의 타단부와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 중 어느 한쪽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상기 오목부에 끼워맞추어지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와 타단 지지부와의 상기 걸림은, 오목부와 볼록부에 의한 요철(凹凸) 끼워맞춤 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심체의 타단부는, 요철 끼워맞춤에 의해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에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걸 수 있으므로, 일단부를 기점으로 한 심체의 상기 가동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심체의 타단부와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상기 걸림 시에 볼록부를 오목부를 향해 또는 오목부를 볼록부를 향해 유도하고, 상기 걸림의 해제 시에 볼록부를 오목부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또는 오목부를 볼록부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가이드부에 의한 유도에 의해, 심체의 타단부를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에 용이하게 걸 수 있는 동시에, 상기 걸림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이러한 청소구에 의하면, 심체의 타단부와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와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심체의 타단부가 자유단으로 되고, 일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심체가 본체부에 대하여 가동 가능하므로, 청소구에 점착 테이프 롤을 착탈할 때, 심체의 타단부와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와의 걸림을 해제하고, 일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심체를 본체부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심체의 타단부와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를 충분히 이격시킴으로써, 심체에 대하여 타단부 측으로부터 일단부 측을 향해 또는 그 역방향으로 점착 테이프 롤을 그 통공을 통하여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구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동 청소구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동 청소구의 우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동 청소구의 좌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斷面圖)를 나타낸다.
도 6은 동 청소구의 심체를 일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가동시킨 상태의 도면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이러한 청소구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이러한 청소구는, 적어도 한쪽 면이 점착면으로 되어 있는 테이프형 기재를, 중심선 상에 통형으로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청소용의 점착 테이프 롤을 장착시켜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세하게는, 점착 테이프 롤은, 중심선 상을 따라 축공(軸孔)이 형성되도록, 테이프형 기재를 점착면일뿐인 면을 외측으로 하여 중심선의 주위에 권취하여 이루어진다.
청소구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 롤(도시하지 않음)의 축공(통공)에 삽통되는 심체(1)와, 상기 심체(1)가 설치되는 본체부(2)를 구비한다.
심체(1)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방향으로 장척(長尺)의 형상을 이룬다. 심체(1)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기둥형의 심체 본체부(1a)로 구성된다. 이 심체(1)에서는, 심체 본체부(1a)의 길이 방향, 또는 점착 테이프 롤의 축공에 삽통되는 삽통 방향의 일단측을 일단부(10)로 하고, 타단측을 타단부(11)로 한다(도 1 참조).
일단부(10)는, 심체 본체부(1a)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베이스부(12a)와, 상기 베이스부(12a)의 길이 방향 단부(端部)에 일체로 설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안길이 방향을 따른 축부(軸部)(12b)(본 실시형태에서는, 원기둥체)로 이루어지는 연결부(12)를 가진다(도 1, 도 3 참조). 이러한 연결부(12)는, 심체 본체부(1a)를 길이 방향을 따라 투영한 투영폭 내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타단부(11)는, 심체 본체부(1a)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부(13a)와, 상기 수평부(13a)의 길이 방향 단부로부터 세워 형성되는 입설부(立設部; erected portion)(13b)로 이루어지는 걸림부(13)를 가진다(도 1, 도 4, 도 5, 도 6 참조). 걸림부(13)는, 입설부(13b)의 내면측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내측 방향[타단부(11)로부터 일단부(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형을 이루는 볼록부(13c)를 가진다(도 5, 도 6 참조). 또한, 걸림부(13)의 입설부(13b)에서의 선단부는, 입설 방향이면서 길이 방향의 외측 방향[일단부(10)로부터 타단부(11)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부(13d)로서 구성된다(도 4, 도 5, 도 6 참조). 이러한 걸림부(13)는, 심체 본체부(1a)를 길이 방향을 따라 투영한 투영폭 내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본체부(2)는, 심체(1)의 일단부(10)와 타단부(11)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 본체부(2)는, 일방향으로 장척의 벽부인 본체 지지부(2a)를 가진다(도 1 참조). 본체 지지부(2a)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는, 심체(1)의 길이 방향(삽통 방향)에서의 일단부(10)와 타단부(11)를 각각 지지하기 위한 일단 지지부(20)와 타단 지지부(21)가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지지부(2a)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파지(把持) 가능한 손잡이(3)가 설치되어 있다.
일단 지지부(20)는, 본체 지지부(2a)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수직 형성되는 측벽부이며, 심체(1)의 일단부(10)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일단 지지부(20)는, 일단부(10)의 연결부(12)에 연결하기 위해, 축부(12b)를 안길이 방향을 따른 중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20a)를 가진다(도 1, 도 3, 도 5, 도 6 참조). 베어링부(20a)는, 축부(12b)의 양 단부를 삽통시키는 관통공, 또는 축부(12b)의 양 단부를 끼워맞추는 끼워맞춤 오목부를 가지고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베어링부(20a)는, 안길이 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벽부에 의해 구성되며, 한 쌍의 벽부에는 각각, 축부(12b)의 단부를 삽통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타단 지지부(21)는, 본체 지지부(2a)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로부터 수직 형성되는 측벽부이며, 심체(1)의 타단부(11)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타단 지지부(21)는, 일단 지지부(20)에 대향하는 내면의 반대면인 외면에, 심체(1)의 타단부(11)의 볼록부(13c)가 끼워맞추어지기 위한 오목형의 오목부(21a)를 가진다(도 5, 도 6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21a)는, 심체(1)의 볼록부(13c)의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부로 구성되지만, 심체(1)의 볼록부(13c) 형상에 대응하는 관통공이라도 된다. 또한, 타단 지지부(21)의 외면에는, 타단부(11)의 입설부(13b)의 안길이 방향의 치수보다 약간 큰 치수만큼 안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에지 벽부(21b, 21b)가 길이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도 1, 도 4 참조).
손잡이(3)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봉형(棒形)을 이룬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3)는, 본체 지지부(2a)의 길이 방향으로 교차(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척의 앞벽부(30)를 가진다. 앞벽부(30)의 안길이 방향 전면(前面)(30a)은, 폭 방향의 중앙부에 안길이 방향 전방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 형상을 이루고 있고, 이 전면(30a)에는, 길이 방향의 선단[본체 지지부(2a)에 설치되는 기단(基端)과는 반대측의 단부] 측에 안길이 방향을 따른 관통공(P)이 천설(穿設)되어 있다(도 1, 도 3 참조). 또한, 앞벽부(30)의 안길이 방향 이면(裏面)(30b)에서의 폭 방향의 양 단부에는, 안길이 방향 이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부(31, 31)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앞벽부(30)의 길이 방향의 선단측에는, 안길이 방향 이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상벽부(32)가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앞벽부(30)의 안길이 방향 이면(30b)에서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는, 한 쌍의 측벽부(31, 31)보다 높고 안길이 방향 이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중앙 벽부(33)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도 2, 도 3 참조).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청소구에서는, 심체(1)의 일단부(10)는, 상기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하여 심체(1)를 본체부(2)에 대하여 가동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본체부(2)의 일단 지지부(20)에 연결되어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단부(10)의 축부(12b)의 양 단부는, 축부(12b)의 중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일단 지지부(20)의 베어링부(20a)에 연결됨으로써, 본체부(2)의 일단 지지부(20)는, 심체(1)의 일단부(10)를 지지하고 있다. 즉, 심체(1)는,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하여 본체부(2)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심체(1)의 타단부(11)는,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걸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걸린다. 구체적으로는, 심체(1)를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하여 회동(回動)시켜, 타단부(11)에서의 걸림부(13)의 내면측과 타단 지지부(21)의 외면측이 대향하도록, 타단부(11)와 타단 지지부(21)를 서로 근접시킨다. 이 때, 타단부(11)의 걸림부(13)[입설부(13b)]에서의 내면측의 볼록부(13c)를, 타단 지지부(21)의 외면측의 오목부(21a)를 향해 또는 오목부(21a)를 볼록부(13c)를 향해, 타단부(11)의 가이드부(13d)를 타단 지지부(21)의 한 쌍의 에지 벽부(21b, 21b) 사이를 따라 이동(또는 슬라이딩)시킨다. 그리고, 타단부(11)의 볼록부(13c)가, 타단 지지부(21)의 오목부(21a)에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심체(1)의 타단부(11)는,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걸린다. 이와 같이, 타단부(11)가 타단 지지부(21)에 걸린 상태에서는, 타단부(11)는 지지단(支持端)으로서 타단 지지부(21)에 지지되고,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한 심체(1)의 회동은 규제된다(도 1, 도 5 참조).
한편, 타단부(11)의 걸림부(13)에서의 볼록부(13c)를 타단 지지부(21)의 오목부(21a)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또는 오목부(21a)를 볼록부(13c)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타단부(11)의 가이드부(13d)를 타단 지지부(21)의 한 쌍의 에지 벽부(21b, 21b) 사이를 따라 이동(또는 슬라이딩)시킨다. 그리고, 타단부(11)의 볼록부(13c)와 타단 지지부(21)의 오목부(21a)와의 끼워맞춤이 해제되면, 심체(1)의 타단부(11)와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와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양자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타단 지지부(21)에 의한 지지가 해제된 타단부(11)는 자유단으로서 타단 지지부(21)로부터 개방되고,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하여 심체(1)가 본체부(2)에 대하여 회동한다. 이와 같은 본체부(2)에 대한 심체(1)의 회동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하여 심체(1)를 본체부(2)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심체(1)의 타단부(11)와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이러한 청소구에 의하면, 심체(1)의 타단부(11)와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와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심체(1)의 타단부(11)가 자유단으로 되고,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하여 심체(1)가 본체부(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므로, 청소구에 점착 테이프 롤을 착탈할 때, 심체(1)의 타단부(11)와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와의 걸림을 해제하고,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하여 심체(1)를 본체부(2)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심체(1)의 타단부(11)와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를 충분히 이격시킴으로써, 심체(1)에 대하여 타단부(11) 측으로부터 일단부(10) 측을 향해 또는 그 역방향으로 점착 테이프 롤을 그 축공을 통하여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심체(1)의 타단부(11)가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걸린 상태에서는,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한 심체(1)의 회동은 규제되므로, 점착 테이프 롤을 사용할 때는, 점착 테이프 롤이 장착된 심체(1)의 타단부(11)를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걸고,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한 심체(1)의 회동을 규제함으로써, 심체(1)에 장착된 점착 테이프 롤을 적절히 회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심체(1)의 타단부(11)는, 요철 끼워맞춤에 의해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걸 수 있으므로,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한 심체(1)의 회동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타단부(11)의 가이드부(13d)가 타단 지지부(21)의 한 쌍의 에지 벽부(21b, 21b)의 사이를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타단부(11)와 타단 지지부(21)와의 걸림 시에는, 타단부(11)의 볼록부(13c)가 타단 지지부(21)의 오목부(21a)를 향해 또는 오목부(21a)가 볼록부(13c)를 향해 유도되어 심체(1)의 타단부(11)를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용이하게 걸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타단부(11)와 타단 지지부(21)와의 걸림을 해제할 때는, 가이드부(13d)가 한 쌍의 에지 벽부(21b, 21b)의 사이를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볼록부(13c)가 오목부(21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또는 오목부(21a)가 볼록부(13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되어, 타단부(11)와 타단 지지부(21)와의 걸림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가이드부(13d)에 손가락을 거는 것에 의해, 타단부(11)를 타단 지지부(21)에 대하여 용이하게 이동시켜, 타단부(11)와 타단 지지부(21)와의 걸림 또는 상기 걸림의 해제를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심체(1)의 연결부(12) 및 걸림부(13)는, 심체 본체부(1a)를 길이 방향을 따라 투영한 투영폭 내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으므로, 심체 본체부(1a)에 점착 테이프 롤의 축공을 삽통시킬 때, 또는 심체 본체부(1a)로부터 점착 테이프 롤을 분리해 낼 때, 연결부(12) 및 걸림부(13)가 점착 테이프 롤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아, 점착 테이프 롤을 심체(1)에 대하여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파지 가능한 손잡이(3)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청소구에 장착한 점착 테이프 롤을 회전 사용할 때나, 점착 테이프 롤을 착탈할 때, 손잡이(3)를 파지하여 작업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손잡이(3)에 관통공(P)이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청소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 등에, 벽으로부터 현수(懸垂)된 훅 등의 갈고리형 클로우부(claw portion)에 관통공(P)을 통하여 당겨 거는 것에 의해, 바닥면 등에 탑재시키는 것을 요하는, 정리 정돈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손잡이(3)의 전면(30a)에서의 폭 방향의 중앙부는, 안길이 방향 전방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 형상을 이루고, 또한 손잡이(3)의 이면(30b)에서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는, 양단 측의 한 쌍의 측벽부(31, 31)보다 높고 안길이 방향 이면(30b)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중앙 벽부(33)가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손잡이(3)를 파지했을 때, 잡은 손바닥의 만곡면을 손잡이(3)의 전면(30a) 또는 이면(30b) 측의 형상을 따르기 쉽고, 또는 손가락의 휨 기점인 관절부를 손잡이(3)의 폭 방향을 따르는 주위 방향의 코너부를 따르기 쉽기 때문에, 손잡이(3)를 파지하기 쉽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이러한 청소구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심체(1)는, 원기둥형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심체(1)는, 다각 기둥형이나, 길이 방향의 일단부 측으로부터 타단부 측을 향해 좁아지는 형상 등 각종 형상도 가능하며, 또한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중공부(中空部) 또는 관통공이 형성된 형상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심체(1)의 연결부(12)는, 베이스부(12a)와 축부(12b)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부(12)는,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와 일체적 또는 별체로 힌지로 연결되고, 힌지를 기점으로 하여 심체(1)를 본체부(2)에 회동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12)는, 연결부(12)를 기점으로 하여 다축(多軸) 회전(예를 들면, 2축이나 3축 주위) 가능하게 타단 지지부(21)에 연결되는 것이나, 또는 연결부(12)는, 볼 조인트를 통하여 타단 지지부(21)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에, 연결부(12)는, 타단 지지부(2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부(12)는, 타단 지지부(21)에 직동(直動)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연결부(12)와 타단 지지부(21) 중 어느 한쪽은, 레일부를 가지고, 다른 쪽은, 레일부에 걸어맞추어져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를 가지고, 연결부(12)가 타단 지지부(21)에 대하여 직선 운동(또는 직선적으로 가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심체(1)의 타단부(11)와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와의 걸림에 있어서, 타단부(11)의 걸림부(13)를 타단 지지부(21)의 외면측으로 하여, 걸림부(13)의 내면의 볼록부(13c)를, 타단 지지부(21)의 외면의 오목부(21a)에 끼워맞추어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심체(1)의 타단부(11)와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와의 걸림에 있어서, 타단부(11)의 걸림부(13)를 타단 지지부(21)의 내면측으로 하여, 걸림부(13)의 외면의 볼록부(13c)를, 타단 지지부(21)의 내면의 오목부(21a)에 끼워맞추어지도록 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걸림부(13)[입설부(13b)]의 외면에 볼록부(13c)가 형성되고, 타단 지지부(21)의 내면에 오목부(21a)가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심체(1)의 걸림부(13)에 볼록부(13c)가 형성되고,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오목부(21a)가 형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심체(1)의 걸림부(13)에 오목부(구멍부도 포함함)가 형성되고,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걸림부(13)의 오목부에 끼워맞추어지는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걸림부(13)는, 수평부(13a)와 입설부(13b)를 가지고, 입설부(13b)가 볼록부(13c)를 가지고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걸림부(13)는, 심체 본체부(1a)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로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타단 지지부(21)는, 걸림부(13)(볼록부)에 끼워맞추어지는 오목부(구멍부도 포함함)를 가지고 구성된다. 심체(1)의 타단부(11)와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와의 걸림에서는, 타단부(11)의 걸림부(13)를 타단 지지부(21)의 내면측으로 하여, 타단 지지부(21)의 내면의 오목부에 걸림부(13)가 끼워맞추어진다. 또는, 걸림부(13)는, 심체 본체부(1a)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오목부(구멍부를 포함함)이며, 타단 지지부(21)는, 걸림부(13)(오목부)에 끼워맞추어지는 볼록부를 가지고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심체(1)의 타단부(11)와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와의 걸림에서는, 타단부(11)의 걸림부(13)를 타단 지지부(21)의 내면측으로 하여, 타단 지지부(21)의 내면의 볼록부에 걸림부(13)가 끼워맞추어진다.
그 외에, 걸림부(13)의 입설부(13b)는, 세워 형성 방향을 따른 양측 단부에 있어서, 안길이 방향을 따른 오목부를 가지고, 타단 지지부(21)의 내면 또는 외면에는, 오목부에 끼워맞추어지는 볼록부가 길이 방향으로 세워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그 외에, 걸림부(13)의 입설부(13b)는, 안길이 방향의 전방 및/또는 이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를 가지고, 타단 지지부(21)의 한 쌍의 에지 벽부(21b, 21b) 또는 타벽부에 걸림부(13)의 볼록부에 끼워맞추어지는 오목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걸림부(13)의 볼록부(13c)를 타단 지지부(21)의 오목부(21a)에 안내하도록, 타단 지지부(21)에는, 수직 형성 방향 단부(端部)로부터 오목부(21a)와 연통되는 유도부(길이 방향을 따른 오목형의 오목부 또는 관통공)가 수직 형성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유도부의 안길이 방향의 치수는, 볼록부(13c) 및 오목부(21a)의 안길이 방향의 치수보다 작게 구성함으로써, 오목부(21a)로부터 볼록부(13c)가 뜻하지 않게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타단부(11)와 타단 지지부(21)와의 걸림은, 볼록부(13c)와 오목부(21a)와의 요철 끼워맞춤에 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단부(11)는, 타단 지지부(21)를 당겨 걸어 거는 갈고리 클로우형의 훅부(hook member)를 가지고, 또는 타단 지지부(21)는, 타단부(11)를 당겨 걸어 거는 갈고리 클로우형의 훅부를 가지고, 훅부의 훅에 의해, 타단부(11)와 타단 지지부(21)를 걸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에, 타단부(11)는, 타단 지지부(21)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거나, 또는 타단 지지부(21)는, 타단부(11)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가지고,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타단부(11)와 타단 지지부(21)를 걸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점착 테이프 롤은, 중심선 상을 따라 축공이 형성되도록, 테이프형 기재를 점착면일뿐인 면을 외측으로 하여 중심선의 주위에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점착 테이프 롤은, 중심선 상을 따라 축공이 형성되도록, 테이프형 기재를 점착면일뿐인 면을 내측으로 하여 중심선의 주위에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라도 되고, 점착 테이프 롤은, 테이프형 기재의 한쪽 및 다른 쪽 면이 모두 점착면에 의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1: 심체, 1a: 심체 본체부, 10: 일단부, 11: 타단부, 12: 연결부, 12a: 베이스부, 12b: 축부, 13: 걸림부, 13a: 수평부, 13b: 입설부, 13c: 볼록부, 13d: 가이드부, 2: 본체부, 2a: 본체 지지부, 20: 일단 지지부, 20a: 베어링부, 21: 타단 지지부, 21a: 오목부, 21b, 21b: 한 쌍의 에지 벽부, 3: 손잡이, 30: 앞벽부, 30a: 앞벽부의 전면, 30b: 앞벽부의 이면, 31, 31: 한 쌍의 측벽부, 32: 상벽부, 33: 중앙 벽부

Claims (3)

  1. 적어도 한쪽 면이 점착면(粘着面)으로 되어 있는 테이프형 기재(基材)를, 중심선 상에 통형(筒形)으로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테이프 롤의 통공(筒孔)에 삽통(揷通)되는 심체(芯體; core)와, 상기 심체가 설치되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심체의 삽통 방향에서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한 일단 지지부와 타단 지지부를 포함하는 청소구(cleaning tool)로서,
    상기 심체의 일단부는, 상기 일단부를 기점(起点)으로 하여 상기 심체를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가동(可動)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단 지지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심체의 타단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에 걸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타단부가 상기 타단 지지부에 걸린 상태에서는, 상기 일단부를 기점으로 한 상기 심체의 상기 가동은 규제되어 있고, 상기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일단부가 기점으로 되고, 상기 타단부가 상기 타단 지지부로부터 개방된 자유단으로 되어, 상기 심체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가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심체의 타단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 중 어느 한쪽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상기 오목부에 끼워맞추어지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단부와 상기 타단 지지부와의 상기 걸림은,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에 의한 요철(凹凸) 끼워맞춤이며,
    상기 심체의 타단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상기 걸림 시에 상기 볼록부를 상기 오목부를 향해 또는 상기 오목부를 상기 볼록부를 향해 유도하고, 상기 걸림의 해제 시에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볼록부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또는 상기 볼록부로부터 상기 오목부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심체를 구성하는 심체 본체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투영한 투영폭 내에 수용되는, 청소구.
  2. 삭제
  3. 삭제
KR1020167010396A 2013-10-11 2013-10-11 청소구 KR1020537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77774 WO2015052835A1 (ja) 2013-10-11 2013-10-11 清掃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800A KR20160068800A (ko) 2016-06-15
KR102053788B1 true KR102053788B1 (ko) 2019-12-09

Family

ID=52812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0396A KR102053788B1 (ko) 2013-10-11 2013-10-11 청소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93162B2 (ko)
KR (1) KR102053788B1 (ko)
CN (1) CN105682527B (ko)
WO (1) WO20150528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6392A1 (en) 2018-10-24 2020-04-30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Floor clea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7602A (ja) * 2002-07-30 2004-02-26 Matsuura Plast Kk 粘着式クリーナ
JP2010221063A (ja) 2010-06-11 2010-10-07 Kao Corp 清掃具
JP5051734B2 (ja) 2010-06-11 2012-10-17 花王株式会社 清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28820A (ja) * 1985-04-02 1986-10-13 東郷 修 清掃具
JPS62137030A (ja) * 1985-12-09 1987-06-19 中島 義雄 ロ−ラ式粘着テ−プゴミ付着用容器
JPH07227375A (ja) * 1994-02-21 1995-08-29 Masayuki Hanabusa 掃除装置
JP3554726B2 (ja) 2001-12-27 2004-08-18 山崎産業株式会社 清掃具
JP2004237023A (ja) * 2002-02-28 2004-08-26 Kao Corp 粘着ロールクリーナ
JP4176784B2 (ja) * 2006-06-01 2008-11-05 勲 河野 携帯埃取り具
JP5349248B2 (ja) * 2009-10-21 2013-11-20 株式会社ニトムズ 粘着式クリーナ
JP3171809U (ja) * 2011-09-06 2011-11-17 赤門ウイレックス株式会社 粘着ローラーの保持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7602A (ja) * 2002-07-30 2004-02-26 Matsuura Plast Kk 粘着式クリーナ
JP2010221063A (ja) 2010-06-11 2010-10-07 Kao Corp 清掃具
JP5051734B2 (ja) 2010-06-11 2012-10-17 花王株式会社 清掃装置
JP5051733B2 (ja) * 2010-06-11 2012-10-17 花王株式会社 清掃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800A (ko) 2016-06-15
JPWO2015052835A1 (ja) 2017-03-09
JP6293162B2 (ja) 2018-03-14
CN105682527B (zh) 2018-10-16
CN105682527A (zh) 2016-06-15
WO2015052835A1 (ja)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3862B2 (en) Cable guide assembly
JP6755583B2 (ja) ピボットヒンジ
KR102053788B1 (ko) 청소구
WO2015145704A1 (ja) 清掃具用ケース
JP3216585U (ja) 補助具
JP2016041219A (ja) 粘着式清掃具
JP2010194647A (ja) スライドハンマ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5778213B2 (ja) 操作棒用フック装置
WO2015056310A1 (ja) 清掃具用ケース、ケース付清掃具
WO2010064215A3 (en) A universal tape machine (utm) head assembly for a carton sealing machine
TWI608817B (zh) 清掃具
KR200453874Y1 (ko) 국기대
JP2015034030A (ja) シート体保持具およびシート体保持方法
JP3199890U (ja) 折りたたみ式簡易傘立て
JP5093556B2 (ja) リング体保持具
JP6668092B2 (ja) 原反保管器具
JP2009012981A (ja) ロール物の支持装置
JP3183424U (ja) 巻回帯状物用ホルダー
JP2019154168A (ja) テープ巻き付け先端工具及びこれを用いたテープ巻き付け工具
JP6719720B2 (ja) 容器吊り具
EP3222572A1 (en) Winder and manipulator for such a winder
JPH0611565U (ja) 吊下げ具
CN202137746U (zh) 手工具握柄收纳结构
CN201362529Y (zh) 便携式卷绳器
KR200481020Y1 (ko) 의류 지지라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