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027B1 - 조작 장치의 보유 지지 기구, x선 촬영 유닛 - Google Patents

조작 장치의 보유 지지 기구, x선 촬영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027B1
KR102051027B1 KR1020177034234A KR20177034234A KR102051027B1 KR 102051027 B1 KR102051027 B1 KR 102051027B1 KR 1020177034234 A KR1020177034234 A KR 1020177034234A KR 20177034234 A KR20177034234 A KR 20177034234A KR 102051027 B1 KR102051027 B1 KR 102051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ook
locked state
ray imaging
body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4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0365A (ko
Inventor
고키치 도비타
마사타카 기무라
고이치 후루사와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40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8Remote control of the apparatus o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홀더(100)는, X선 촬영 장치에 설치되고, 해당 X선 촬영 장치를 무선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장치를 착탈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홀더이며, X선 촬영 장치의 비가동 시에 있어서 조작 장치의 분리를 저지하고, X선 촬영 장치의 가동 시에 있어서 조작 장치의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 의해, 간단하게 취거 방지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조작 장치의 보유 지지 기구, X선 촬영 유닛
본 발명은 조작 장치의 보유 지지 기구, X선 촬영 유닛에 관한 것이다.
환자에게 X선을 조사하여, 환자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여 화상을 생성하는 X선 촬영 장치가 알려져 있다. 종래, X선 촬영 장치의 조작에는, 유선 타입의 조작 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X선 촬영 장치는, 무선 타입의 조작 장치도 생산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특허문헌 1과 같이, 전파나 적외선으로 조작하는 리모컨을 사용하여, X선 촬영 장치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206,894호 명세서
그러나, 이전에는, 촬영실에서 X선 촬영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기재한 바와 같은 무선 타입의 리모컨의 경우에 대하여, 촬영 기사가 조작 장치를 서랍에 넣고 시정하는 등의 대책으로 충분했지만, 최근에는 병원을 순회하며 촬영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기 때문에, 제3자에 의한 조작 장치의 취거의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X선 촬영 장치에 한하지 않고, 무선 타입의 리모컨을 가진 장치라면, 마찬가지의 대책이 필요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게 취거 방지가 가능한 조작 장치의 보유 지지 기구 및 X선 촬영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보유 지지 기구는, 본체 장치에 설치되고, 해당 본체 장치를 무선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장치를 착탈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기구이며, 상기 본체 장치의 비가동 시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의 분리를 저지하고, 상기 본체 장치의 가동 시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취거 방지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간단하게 취거 방지를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X선 촬영 유닛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체 장치를 조작하는 조작 장치를 홀더와 함께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장치의 조작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홀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홀더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조작 장치가 홀더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X선 촬영 유닛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체 장치를 조작하는 조작 장치를 홀더와 함께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선 촬영 유닛(300)은, 환자에게 X선을 조사하여, 환자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여 X선 화상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X선 촬영 장치(본체 장치)(1)와, 홀더(보유 지지 기구)(100)와, 조작 장치(200)를 구비한다. X선 촬영 장치(1)에는, 홀더(100)가 설치되고, 홀더(100)에 의해 조작 장치(200)를 착탈 가능하게 보유 지지한다.
도 3의 (a) 내지 (b) 및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조작 장치(200)는 X선 촬영 장치(1)에 대하여 무선으로 조작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이다.
도 3의 (a) 내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장치(200)는, 대략 원기둥 형상이며, 유저가 조작 장치(200)의 주위면을 쥐면서, 메인 스위치(210)를 엄지 손가락으로, 옵션 스위치(220)를 집게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 장치(200)의 상면에 설치된 메인 스위치(210)와, 주위면의 상부에 설치된 옵션 스위치(220)를 포함한다. 이하, 옵션 스위치(220)를 가진 측을 조작 장치(200)의 표면측, 그 반대측을 조작 장치(200)의 이면측으로서 설명한다.
조작 장치(200)는, 메인 스위치(210)의 누름에 의해, X선 촬영의 지시를 X선 촬영 장치(1)에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고, 옵션 스위치(220)의 누름에 의해, X선 촬영 장치(1)가 가진 조명 기구의 조명을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지시를 X선 촬영 장치(1)에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메인 스위치(210)는, 유저에 의해 눌리지 않는 원점 위치가 상이한 제1, 2 스위치 부재(201, 202)를 구비한 2단계로 동작하는 스위치이다. 제1 스위치 부재(201)는, 원점 위치로부터의 스트로크 거리가 제2 스위치 부재(202)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조작 장치(200)는, 유저에 의해 제1 스위치 부재(201)가 제2 스위치 부재(202)의 원점 위치까지 눌리면, X선 촬영 회로를 충전하는 지시를(홀더(100)를 통하여) X선 촬영 장치(1)에 출력한다(도 4의 (a) 내지 (c) 참조). 그 눌린 상태가 소정 시간 유지되면 X선 촬영 회로의 충전이 완료되어, 촬영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제1 스위치 부재(201)와 함께 제2 스위치 부재(202)가 압입되어, 풀 스트로크함으로써, X선 촬영하는 지시를(홀더(100)를 통해) X선 촬영 장치(1)에 출력한다(도 4의 (d) 참조).
또한, 조작 장치(200)는 X선 촬영 장치(1)에 설치된 홀더(100)에 수용 가능함과 함께, 홀더(100)에 의해 로크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조작 장치(200)는 걸림 결합 구멍(241, 242)과 홈부(231, 232)가 주위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표면측에 있어서, 옵션 스위치(220)보다 하방에 형성된 제1 걸림 결합 구멍(241)과, 이면측에 있어서, 제1 걸림 결합 구멍(241)에 대향하여 형성된 제2 걸림 결합 구멍(242)을 포함한다. 홈부(231, 232)는 표면측과 이면측의 경계선에 하나씩 형성되고, 측면의 중단 부근에 위치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홀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00)는 정면측 및 상면측이 개방된 상자형 형상의 홀더 본체(110)와, 로크 기구(취거 방지부)(130)(도 6, 7 참조)와, 홀더 본체(맞닿음 부재)(110)의 배면측에 설치되는 커버(140)를 구비한다. 홀더 본체(110)는 조작 장치(200)를 삽입 가능한 개구부(114)를 하면측에 갖고, 조작 장치(200)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부(111, 112)를 양측면측에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장치(200)의 하부측으로부터 개구부(114)를 향하여 조작 장치(200)가 삽입될 때에, 조작 장치(200)의 홈부(231, 232)가 가이드부(111, 112)에 슬라이드식으로 감입됨으로써, 조작 장치(200)가 홀더 본체(110)에 소정 위치에서 보유 지지된다.
이에 의해, 조작 장치(200)의 표면측(옵션 스위치(220) 및 제1 걸림 결합 구멍(241))이 정면측에 노출되고, 조작 장치(200)의 이면측을 배면측을 향한 상태에서 수용된다.
또한, 홀더(100)는 조작 장치(200)를 로크하기 위한 로크 기구(130)를 배면측에 갖고, X선 촬영 장치(1)의 비통전 시(비가동 시)에 로크 상태로 되고, 통전 시(가동 시)에 로크 해제 상태로 된다.
도 6은 홀더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a) 내지 (d)는, 조작 장치가 홀더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 7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00)는 로크 기구(130)로서, 솔레노이드(구동 장치)(131)와, 가동판(가동 부재)(132)과, 코일 스프링(탄성 부재)(133)을 배면측에 갖는다. 가동판(132)은, U자 형상의 양단(132a, 132b)이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으며, 일단(132b)의 절곡부(132c)가 플런저를 개재시켜 솔레노이드(131)와 접속된다.
또한, 가동판(132)에 있어서, 축지지되어 있는 부분(132a, 132b)과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홀더 본체(110)의 정면측을 향하여 돌출된 훅(132d)이 형성되어 있다. 훅(132d)은 조작 장치(200)의 삽입 방향측에 경사면을 갖고 있다.
또한, 홀더 본체(110)에는, 이 훅(132d)이 가동판(132)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출몰 가능한 구멍(1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113)은, 조작 장치(200)가 수용된 상태에서는, 조작 장치(200)의 제2 걸림 결합 구멍(242)과 대향하고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133)은, 커버(140)와 가동판(132) 사이에 설치되고, 가동판(132)을 홀더 본체(110)의 정면측으로 가압한다.
솔레노이드(131)는 통전 시에는 자력에 의해 플런저를 흡인함으로써, 가동판(132)을 가압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킨다(도 7의 (a), (b) 참조). 이에 의해, 가동판(132)은 솔레노이드(131)의 통전 시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훅(132d)이 구멍(113)에 빠지어, 조작 장치(200)의 제2 걸림 결합 구멍(242)과의 걸림 결합이 빠짐으로써, 로크를 해제할 수 있다.
한편, 비통전 시에는 솔레노이드(131)의 비자력에 의해 플런저의 흡인이 해소되어, 코일 스프링(133)에 의해 가압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시킨다(도 7의 (c), (d) 참조). 이에 의해, 가동판(132)은, 솔레노이드(131)의 비통전 시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훅(132d)이 구멍(113)으로부터 돌출되어, 조작 장치(200)의 제2 걸림 결합 구멍(242)과 걸림 결합됨으로써, 로크를 걸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홀더(100)는 조작 장치(200)의 분리를 저지하는 로크 상태와, 조작 장치(200)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비로크 상태로 전환하는 로크 기구(130)를 구비하고, 로크 기구(130)는 X선 촬영 장치(1)의 비가동 시에 로크 상태로 되고, X선 촬영 장치(1)의 가동 시에 비로크 상태로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비가동 시에 로크 상태로 하고, 가동 시에 비로크 상태로 하므로, X선 촬영 장치(1)의 전원 오프일 때에, 조작 장치(200)를 장착한 상태에서 로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X선 촬영 장치(1)와 함께 조작 장치(200)를 관리할 수 있고,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나 순회 중에 있어서 조작 장치(200)로부터 눈을 뗀 틈에 취거된다는 문제도 없다. 따라서, 간단하게 취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동판(132)은, 로크 상태에서 조작 장치(200)가 장착되는 경우, 훅(132d)의 경사면이 조작 장치(200)에 닿음으로써 해당 훅(132d)의 돌출이 되밀리고 있고, 훅(132d)이 제2 걸림 결합 구멍(242)에 대향했을 때에, 되밀려진 훅(132d)이 돌출되어, 훅(132d)이 제2 걸림 결합 구멍(242)에 걸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홀더(100)의 로크 기구(130)는 전원 오프의 타이밍이 X선 촬영 장치(1)보다 지연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X선 촬영 장치(1)가 전원 오프되었을 때에는, 로크 기구(130)에 전력 공급을 계속한 채 비로크 상태로 되고, 그 후 지연되어 로크 기구(13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여, 로크 상태로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솔레노이드(131) 대신에 모터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솔레노이드(131)의 비자성에 의해 가압 방향으로 회동하여 훅(132d)이 조작 장치(200)와 걸림 결합하고, 통전 시에는, 솔레노이드(131)가 자성에 의해 가압 방향으로 저항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훅(132d)이 조작 장치(200)와의 걸림 결합을 해제하는 구성으로 했는데,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훅(132d)에 자석을 설치하고, 조작 장치(200) 내에 철심을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비통전 시에는, 자석의 자성에 의해 철심과 흡인함으로써, 훅(132d)과 제2 걸림 결합 구멍(242)이 걸림 결합하여 로크 상태로 되고, 통전 시에는 솔레노이드(131)의 자성에 의해 훅(132d)이 철심과 이격됨으로써, 훅(132d)과 제2 걸림 결합 구멍(242)의 걸림 결합이 해소되어, 비로크 상태로 된다.
또한, 취거 방지부로서, 조작 장치(200)가 X선 촬영 장치(1)에 설치된 케이스의 내부에 격납되어 있고, 케이스가 구비하는 개폐 부재의 개폐가 제어됨으로써 취거 방지가 실현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조작 장치(200)의 표면측(옵션 스위치(220) 및 제1 걸림 결합 구멍(241))이 정면측에 노출되고, 조작 장치(200)의 이면측이 배면측을 향한 상태에서 수용 및 로크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조작 장치(200)의 이면측(제2 걸림 결합 구멍(242))이 홀더 본체(110)의 정면측에 노출되고, 조작 장치(200)의 표면측(옵션 스위치(220) 및 제1 걸림 결합 구멍(241))이 홀더 본체(110)의 배면측을 향한 상태에서 수용 및 로크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보유 지지 기구는, 본체 장치에 설치되고, 해당 본체 장치를 무선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장치를 착탈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기구이며, 상기 본체 장치의 비가동 시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의 분리를 저지하고, 상기 본체 장치의 가동 시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취거 방지부를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본체 장치의 비가동 시에 조작 장치의 분리를 저지하고, 가동 시에 조작 장치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므로, 본체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분리를 저지하고, 본체 장치를 사용할 때에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 의해,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본체 장치와 함께 조작 장치를 관리할 수 있고, 또한 이동 중에 있어서 조작 장치로부터 눈을 뗀 틈에 취거된다는 문제도 없다. 따라서, 간단하게 취거 방지가 가능한 조작 장치의 보유 지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기구는, 상기 취거 방지부로서, 상기 조작 장치의 분리를 저지하는 로크 상태와, 상기 조작 장치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비로크 상태로 전환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본체 장치의 비가동 시에 상기 로크 상태로 되고, 상기 본체 장치의 가동 시에 상기 비로크 상태로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본체 장치의 비가동 시에 조작 장치를 로크 상태로 하고, 가동 시에 조작 장치를 비로크 상태로 하므로, 본체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로크하고, 본체 장치를 사용할 때에 로크 해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본체 장치와 함께 조작 장치를 관리할 수 있고, 또한 이동 중에 있어서 조작 장치로부터 눈을 뗀 틈에 취거된다는 문제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기구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본체 장치의 비가동 시에, 당해 로크 기구에 대하여 전력 공급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로크 상태로 되고, 상기 본체 장치의 가동 시에, 당해 로크 기구에 대하여 전력 공급됨으로써 상기 비로크 상태로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전원 온 또는 전원 오프의 전환에 따라, 로크 상태 또는 비로크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기구는, 상기 조작 장치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 맞닿아, 해당 조작 장치를 보유 지지하는 맞닿음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맞닿음 부재에 마련된 구멍으로부터 출몰 가능한 훅을 가진 가동 부재와, 해당 가동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와, 상기 맞닿음 부재의 구멍으로부터 상기 훅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본체 장치의 비가동 시에는, 상기 구동 장치가 비구동임으로써 가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훅이 상기 조작 장치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상기 로크 상태로 되고, 상기 본체 장치의 가동 시에는, 상기 구동 장치가 구동함으로써 가압 방향으로 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훅이 상기 조작 장치와의 걸림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비로크 상태로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기구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솔레노이드와,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장치의 비가동 시에, 상기 솔레노이드에 대하여 전력 공급되지 않게 되어,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한 힘에 의해 상기 로크 상태로 되고, 상기 본체 장치의 가동 시에, 상기 솔레노이드에 대하여 전력 공급되어, 해당 솔레노이드에 의한 힘에 의해 상기 비로크 상태로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기구는, 상기 조작 장치의 외주에는, 상기 훅이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구멍을 갖고,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로크 상태에서 해당 조작 장치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훅이 상기 조작 장치에 맞닿음으로써 해당 훅의 돌출이 되밀리고, 상기 훅이 상기 걸림 결합 구멍에 대향했을 때에, 상기 되밀려진 상기 훅이 돌출되어, 상기 훅이 상기 걸림 결합 구멍에 걸림 결합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기구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조작 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로크 상태로 된 후에, 해당 조작 장치가 장착된 경우에도, 해당 조작 장치의 분리를 저지한 상태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로크 상태로 된 후에 조작 장치가 장착되어도, 해당 조작 장치의 로크를 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X선 촬영 유닛은, 상기 보유 지지 기구와, 상기 본체 장치로서, X선을 검출하여 X선 화상을 생성하는 X선 촬영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간단하게 취거 방지가 가능한 X선 촬영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1: X선 촬영 장치(본체 장치)
100: 홀더(보유 지지 기구)
110: 홀더 본체(맞닿음 부재)
130: 로크 기구(취거 방지부)
131: 솔레노이드(구동 장치)
132: 가동판(가동 부재)
132d: 훅
133: 코일 스프링(탄성 부재)
200: 조작 장치
241: 제1 걸림 결합 구멍
242: 제2 걸림 결합 구멍
300: X선 촬영 유닛

Claims (8)

  1. 본체 장치에 설치되고, 해당 본체 장치를 무선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장치를 착탈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기구이며,
    상기 본체 장치의 비가동 시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의 분리를 저지하고, 상기 본체 장치의 가동 시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취거 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취거 방지부로서, 상기 조작 장치의 분리를 저지하는 로크 상태와, 상기 조작 장치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비로크 상태로 전환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본체 장치의 비가동 시에, 당해 로크 기구에 대하여 전력 공급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로크 상태로 되고, 상기 본체 장치의 가동 시에, 당해 로크 기구에 대하여 전력 공급됨으로써 상기 비로크 상태로 되며,
    상기 조작 장치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 맞닿아, 해당 조작 장치를 보유 지지하는 맞닿음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맞닿음 부재에 마련된 구멍으로부터 출몰 가능한 훅을 가진 가동 부재와, 해당 가동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와, 상기 맞닿음 부재의 구멍으로부터 상기 훅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본체 장치의 비가동 시에는, 상기 구동 장치가 비구동임으로써 가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훅이 상기 조작 장치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상기 로크 상태로 되고, 상기 본체 장치의 가동 시에는, 상기 구동 장치가 구동함으로써 가압 방향으로 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훅이 상기 조작 장치와의 걸림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비로크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지지 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솔레노이드이고,
    상기 본체 장치의 비가동 시에, 상기 솔레노이드에 대하여 전력 공급되지 않게 되어,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한 힘에 의해 상기 로크 상태로 되고, 상기 본체 장치의 가동 시에, 상기 솔레노이드에 대하여 전력 공급되어, 해당 솔레노이드에 의한 힘에 의해 상기 비로크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지지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의 외주에는, 상기 훅이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구멍을 갖고,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로크 상태에서 해당 조작 장치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훅이 상기 조작 장치에 맞닿음으로써 해당 훅의 돌출이 되밀리고, 상기 훅이 상기 걸림 결합 구멍에 대향했을 때에, 상기 되밀려진 상기 훅이 돌출되어, 상기 훅이 상기 걸림 결합 구멍에 걸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지지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조작 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로크 상태로 된 후에, 해당 조작 장치가 장착된 경우에도, 해당 조작 장치의 분리를 저지한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지지 기구.
  8. 제1항 또는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유 지지 기구와,
    상기 본체 장치로서, X선을 검출하여 X선 화상을 생성하는 X선 촬영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 유닛.
KR1020177034234A 2015-08-06 2016-07-25 조작 장치의 보유 지지 기구, x선 촬영 유닛 KR102051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56474 2015-08-06
JP2015156474A JP6123852B2 (ja) 2015-08-06 2015-08-06 操作装置の保持機構、x線撮影ユニット
PCT/JP2016/071772 WO2017022549A1 (ja) 2015-08-06 2016-07-25 操作装置の保持機構、x線撮影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365A KR20170140365A (ko) 2017-12-20
KR102051027B1 true KR102051027B1 (ko) 2019-12-02

Family

ID=57943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234A KR102051027B1 (ko) 2015-08-06 2016-07-25 조작 장치의 보유 지지 기구, x선 촬영 유닛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524747B2 (ko)
JP (1) JP6123852B2 (ko)
KR (1) KR102051027B1 (ko)
CN (1) CN107613872B (ko)
AU (1) AU2016301522B2 (ko)
BR (1) BR112017024124B1 (ko)
DE (1) DE112016003584B4 (ko)
WO (1) WO201702254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178Y1 (ko) * 2000-03-24 2000-09-15 서숙종 차량 도난 방지용 조향축 잠금장치
WO2011132363A1 (ja) * 2010-04-19 2011-10-27 株式会社島津製作所 X線撮影用操作パネ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x線撮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6183B1 (en) 1991-04-04 1997-06-03 Sekure Controls Inc Security device for a hand-held remote control
US5206894A (en) 1992-04-16 1993-04-27 Remote Technologies, Inc., A Ct Corp. X-ray system accessory
JP2002186059A (ja) * 2000-12-12 2002-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ワイヤレスリモコン使用機器
JP2003210445A (ja) * 2002-01-24 2003-07-29 Shimadzu Corp 回診用x線撮影装置
JP2005038254A (ja) * 2003-07-16 2005-02-10 Sony Corp 車載情報処理装置
US7663602B2 (en) * 2004-04-14 2010-02-16 Microsoft Corporation Removable wireless keyboard with base
JP2006154260A (ja) * 2004-11-29 2006-06-15 Fuji Photo Film Co Ltd プロジェクタ
JP2009501995A (ja) * 2005-07-21 2009-01-2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携帯型の電子機器用のソフトウェア制御による機械式ロック
JP5080212B2 (ja) * 2007-11-14 2012-11-21 株式会社リコー 入力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8174358B2 (en) 2010-05-24 2012-05-08 General Electric Company Handheld X-ray system interface with tracking feature
US8929512B2 (en) * 2010-09-10 2015-01-06 Shimadzu Corporation Mobile type radiographic apparatus
US9584846B2 (en) * 2011-12-16 2017-02-28 Thales Avionics, Inc. In-flight entertainment system with wireless handheld controller and cradle having controlled locking and status reporting to crew
JP6315228B2 (ja) 2013-05-29 2018-04-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投影装置、支持板、及び、投影装置の投影方法
EP3097245B1 (en) 2014-01-22 2019-10-16 InVue Security Produc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controlling security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178Y1 (ko) * 2000-03-24 2000-09-15 서숙종 차량 도난 방지용 조향축 잠금장치
WO2011132363A1 (ja) * 2010-04-19 2011-10-27 株式会社島津製作所 X線撮影用操作パネ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x線撮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365A (ko) 2017-12-20
JP2017035135A (ja) 2017-02-16
US20180085074A1 (en) 2018-03-29
DE112016003584B4 (de) 2022-08-25
DE112016003584T5 (de) 2018-05-30
JP6123852B2 (ja) 2017-05-10
AU2016301522A1 (en) 2017-12-07
BR112017024124B1 (pt) 2023-03-28
CN107613872A (zh) 2018-01-19
BR112017024124A2 (pt) 2018-07-31
AU2016301522B2 (en) 2019-10-31
US10524747B2 (en) 2020-01-07
WO2017022549A1 (ja) 2017-02-09
CN107613872B (zh) 202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929473B (zh) 电子设备
US20230393615A1 (en) Stylus receiving apparatus,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2016507290A (ja) 薬物注射装置のロック
KR102051027B1 (ko) 조작 장치의 보유 지지 기구, x선 촬영 유닛
JP2015068905A (ja)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及びそれを備えたデジタルカメラ
CN208847847U (zh) 一种锁止到位检测结构、移动电源充电模组及移动电源
WO2018016329A1 (ja) 停電時における交換ユニットのロック解除を可能にする電子機器、及び監視システム
JP4925117B2 (ja) 金型落下防止付き型締装置
JP4518124B2 (ja) 引戸
JP5993145B2 (ja) 作動装置
JP2008174904A (ja) 収納庫の施解錠装置
JP6969257B2 (ja) リモコン装置
JP2004354897A (ja) 固体撮像装置
JPH07274269A (ja) リモコン用送信機収納装置
US20070018766A1 (en) Safety switch
JP2008174906A (ja) 収納庫の施解錠装置
JP2531384B2 (ja) 電源装置
JP2015040936A (ja) 撮像装置
CN117678228A (zh) 相机和云台
JP2024039843A (ja) レンズ鏡筒及びそれを備える撮像装置
KR101673429B1 (ko)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모듈용 필터 교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 모듈
CN113785376A (zh) 螺线管的驱动控制装置及具备该驱动控制装置的安全开关
JP2022182048A (ja) 容器
JP2015049452A (ja) 撮像装置
JP2011028124A (ja) プロジェ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