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853B1 - 차량 추락 방지 장치를 구비한 주차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추락 방지 장치를 구비한 주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853B1
KR102047853B1 KR1020190062497A KR20190062497A KR102047853B1 KR 102047853 B1 KR102047853 B1 KR 102047853B1 KR 1020190062497 A KR1020190062497 A KR 1020190062497A KR 20190062497 A KR20190062497 A KR 20190062497A KR 102047853 B1 KR102047853 B1 KR 102047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system
platform
bind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성
조형기
이재원
Original Assignee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2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격납 공간과 차량을 반출입시킬 수 있는 승강장을 구비한 주차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격납 공간과 승강장을 이동하여 탑재되는 차량을 반입하거나 반출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운반기; 상기 승강장의 바닥의 상기 운반기가 배치되는 통공보다 큰 크기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저면 각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통공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지주, 및 상기 지주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기에는 상기 결속부가 결속되는 결속 파트가 상기 지주에 상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추락 방지 장치를 구비한 주차 시스템{MULTISTORY PARKING SYSTEM}
본 발명은 차량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대중적으로 보편화 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자동차 이용률 및 자동차 보급률이 매년마다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자동차 보급률의 증가와 함께 자동차 관련 시설에 대한 필요성도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이용의 증가로 인한 문제 중 하나는 주차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왕래가 많은 고층건물 등에서는 다량의 주차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한정된 공간 내에 다수의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기계식 주차설비 시스템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 시스템은 파레트(Pallet)라는 차량 받침대를 통하여 차량을 주차시키게 되는데, 즉 차량이 상기 주차설비가 구비된 주차장 입구에 진입함과 동시에 상기 기계식 주차장의 출입구의 문이 개방되고, 상기 출입문의 내측에 설치된 파레트의 상면까지 차량을 이동시킨 후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하차하면, 상기 파레트가 상승/하강 및 좌우로 이동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 시스템은 기계의 종류 및 공간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는데, 대략 수직순환 방식, 승강기 방식, 다층순환 방식, 평면왕복 방식,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 등으로 구분되며, 대부분의 방식에서 차량의 입출고를 위한 파레트가 사용된다.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는 주로 승강기식, 평면왕복식, 다층순환식으로 시설되게 되는데, 상기 주차설비는 차량이 주차되는 주차장 입구에 주차하고자 하는 차량이 위치하게 되면, 주차장 입구에 주차 요원 또는 센서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승강장 입구의 도어를 열어 차량을 승강장 내부에 위치한 파레트에 탑재하게 되고 상기 차량이 탑재된 파레트는 이동수단에 의해 승, 하강하면서 주차하고자 하는 주차실 위치로 이동하여 차량과 함께 주차하게 된다.
그런데 승강장에 주차 파레트가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차시설의 출입문이 개방되어 차량이 추락하는 등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주차대기 운전자의 부주의나 차량 오작동으로 인한 차량 추락 등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높아 주차장의 설비에 자동차 추락 차단 수단을 보완하여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778035호 (2017.09.14)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7-0067279호 (2017.06.16)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4-0003791호 (2014.01.10)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주차 시설의 승강장에 차량 추락 방지 수단을 구비하여 차량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주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격납 공간과 차량을 반출입시킬 수 있는 승강장을 구비한 주차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격납 공간과 승강장을 이동하여 탑재되는 차량을 반입하거나 반출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운반기; 상기 승강장의 바닥의 상기 운반기가 배치되는 통공보다 큰 크기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저면 각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통공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지주, 및 상기 지주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기에는 상기 결속부가 결속되는 결속 파트가 상기 지주에 상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장에 파레트가 배치되지 않는 경우 루프로 승강장 바닥 통공을 커버하여 어떠한 경우도 차량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의 주차 시스템의 루프 닫힘 상태를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의 주차 시스템의 운반기에 차량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4 는 도 1의 주차시스템의 루프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1의 주차시스템의 차량 하강 시작 단계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 는 도 1의 주차시스템의 차량이 하강되어 루프 닫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의 운반기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시스템의 루프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시스템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주차 시스템의 리프트 상승 중 루프와 리프트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주차 시스템의 리프트 하강 시 루프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 는 도 1의 주차 시스템의 루프 닫힘 상태를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이고, 도 3 은 도 1의 주차 시스템의 운반기에 차량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4 는 도 1의 주차시스템의 루프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5 는 도 1의 주차시스템의 차량 하강 시작 단계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6 는 도 1의 주차시스템의 차량이 하강되어 루프 닫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주차 시스템(1000)은 차량을 격납할 수 있는 공간과 차량을 반출입 시킬 수 있는 승강장(1100), 승강장(1100) 내로 반입하거나 반출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출입문(1300)이 설치된다. 승강장 바닥(1110)에는 차량이 격납 공간으로 들어가거나 격납공간에서 승강장으로 나올때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된다. 또한, 주차 시스템(1000)은 차량 격납 공간과 승강장을 이동하며 차량을 반입하거나 반출하는 운반기(200), 운반기(200)를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운반기 구동시설(410), 승강장 바닥(1110)의 통공을 커버하는 루프(100)를 포함한다.
루프(100)는 차량이 차량 격납 공간으로 반출입될 때 통과하는 승강장 바닥(1110)의 통공보다 큰 크기의 플레이트(110), 플레이트(110) 저면 각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통공 안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지주(120), 상기 지주(120) 하부에 형성되는 결속부(130)를 포함한다.
운반기(200)는 차량 반입시 승강장 바닥(1110)의 통공에 배치되어 차량을 승강장(1100)에서 승차한 후 격납 공간으로 옮겨져 차량을 주차시키고, 차량 반출 시 격납 공간에서 승강장으로 이동하여 차량이 반출되도록 한다. 운반기(200)는 승강구동부(410)에 의해 이동하는 승강순환레일(420)에 따라 이동한다. 운반기(200)는 통공을 통과하도록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몸체(210)와 지주(120)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결속부(130)와 결속하는 결속파트(210)가 각각 형성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130a)는 홈(131)이 형성된 하방이 개방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결속파트(210a)는 상기 고리 형상의 홈(131)에 삽입되는 돌출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속부(130a)의 높이(h)는 출입구 높이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주(120)에서 결속부(130a)의 높이(h)는 차량의 최고 층고 보다 커야 한다.
도 2는 승강장 바닥(1110)의 통공을 루프(100)의 플레이트가 막는 닫힘 상태이고, 차량 반출을 위해 운반기(200)가 상승하면, 운반기(200)의 결속파트(210a)가 루프(100)의 결속부(130a) 홈(131)에 끼워져 결속된다. 결속파트(210a)가 결속부(130a)에 결속되면, 운반기(200)의 상승에 따라 루프(100)가 함께 상승하게 되어 운반기(200)가 승강장 바닥(1110)의 통공에 위치하게 되면, 루프(100)는 도 1과 같은 상태가 되어 차량이 외부로 반출될 수 있게 된다.
도 5와 같이 차량이 격납 공간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운반기(200)가 하강하게 되면 루프(100)가 함께 하강하고, 결속부(130) 위치보다 운반기(200)가 하강하면 결속부(130)와 결속파트(210)의 결속이 해제되어 루프(100)가 도6 과 같이 통공을 막은 상태로 통공에 걸려 통공을 커버하게 된다. 즉, 루프(100)의 플레이트(110)는 승강장 바닥(1110) 통공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통공을 통과하지 못하고 통공에 걸리게 되므로 운반기(200)의 하강이 계속되면 결속부(130)와 결속파트(210)의 결속이 해제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시스템(1000')을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의 운반기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시스템의 루프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시스템의 종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1000')은 루프의 결속부(130b)가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고, 결속파트(210b)는 원추 형상의 결속부(130b)가 삽입될 수 있는 원추에 상응하는 홈(211)이 형성되고, 리프트(500)에 탑재된 운반기(200)에 결속파트(210b)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제2 실시예의 주차 시스템(1000')은 운반기(200)가 리프트(500)에 탑재 되어 이동하고, 리프트(500)가 상승하면 리프트(500)에 탑재된 운반기(200)가 함께 상승하며 결속부(130b)에 홈(211)에 삽입되어 운반기(200)의 상승에 따라 지주(120)와 플레이트(110)가 함께 상승하게 된다.
차량을 격납공간으로 이동시키도록 리프트(500)가 하강하면 결속부(130b)가 홈(211)에서 빠지고, 루프(100)는 승강장 바닥(1110)의 통공을 커버하게 된다.
제2 실시예의 주차 시스템(1000')에서 루프(100)의 상승과 하강 및 승강장 바닥(1110)의 통공을 커버하는 동작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의 부분 종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주차 시스템의 리프트 상승 중 루프와 리프트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주차 시스템의 리프트 하강 시 루프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주차시스템(1000")은 리프트(500)에 운반기(200c)가 배치되고, 리프트(500)의 본체(510)는 운반기(200c)가 탑재될 수 있도록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510)의 네 모서리에 리프트 지주(520)가 각각 형성되고, 리프트 지주(520)의 상단에 결속파트(530)가 형성된다.
루프(100)의 결속부(130c)가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고, 결속파트(530)는 원추 형상의 결속부(130c)가 삽입될 수 있는 원추에 상응하는 홈(531)이 형성된다.
리프트(500)가 상승하면 결속부(130c)는 결속파트(530)의 홈(531)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리프트(500)의 상승에 따라 루프(100)가 함께 상승되어 승강장 바닥(1110)에서 상승하게 된다.
도 13과 같이 차량을 격납공간으로 이동시키도록 리프트(500)가 하강하면 결속부(130c)가 홈(531)에서 빠지고, 루프(100)는 승강장 바닥(1110)의 통공을 커버하게 된다.
따라서, 파레트가 승강장 바닥에 배치되지 않을 때에는 루프(100)가 승강장 바닥의 통공을 커버하여 차량의 추락을 방지하게 되고, 차량을 반출할때에는 파레트의 상승에 따라 루프(100)가 함께 상승하여 차량이 출입문을 통해 반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전자적 제어 없이 기계적으로 파레트의 상승과 하강에 따라 루프가 상승하강하며 승강장 바닥을 커버할 수 있으므로 전자 제어적 에러로 인한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차량 격납 공간과 차량을 반출입시킬 수 있는 승강장을 구비한 주차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격납 공간과 승강장을 이동하여 탑재되는 차량을 반입하거나 반출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운반기;
    상기 승강장의 바닥의 상기 운반기가 배치되는 통공보다 큰 크기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저면 각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통공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지주, 및 상기 지주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기에는 상기 결속부가 결속되는 결속 파트가 상기 지주에 상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결속 파트는 상기 고리의 홈에 끼워지는 돌출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130a)는 홈(131)이 형성된 하방이 개방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파트(210a)는 상기 고리 형상의 상기 홈(131)에 삽입되는 돌출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주에 상기 결속부가 결합되는 높이(h)는 차량의 최고 층고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62497A 2019-05-28 2019-05-28 차량 추락 방지 장치를 구비한 주차 시스템 KR102047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497A KR102047853B1 (ko) 2019-05-28 2019-05-28 차량 추락 방지 장치를 구비한 주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497A KR102047853B1 (ko) 2019-05-28 2019-05-28 차량 추락 방지 장치를 구비한 주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853B1 true KR102047853B1 (ko) 2019-11-22

Family

ID=68731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497A KR102047853B1 (ko) 2019-05-28 2019-05-28 차량 추락 방지 장치를 구비한 주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8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3485A (ja) * 1992-12-07 1994-06-21 Nikken Sekkei Ltd 立体駐車設備
JPH08326342A (ja) * 1995-06-02 1996-12-10 Daiichi Giken Kk 多段式駐車装置
KR20140003791A (ko) 2012-06-28 2014-01-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차량 수직이송장치 및 방법
KR20170067279A (ko) 2015-12-08 2017-06-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파렛트 치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
KR101778035B1 (ko) 2016-09-26 2017-09-14 경인산기(주) 자동 주차시설에 구비되는 차량진입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3485A (ja) * 1992-12-07 1994-06-21 Nikken Sekkei Ltd 立体駐車設備
JPH08326342A (ja) * 1995-06-02 1996-12-10 Daiichi Giken Kk 多段式駐車装置
KR20140003791A (ko) 2012-06-28 2014-01-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차량 수직이송장치 및 방법
KR20170067279A (ko) 2015-12-08 2017-06-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파렛트 치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
KR101778035B1 (ko) 2016-09-26 2017-09-14 경인산기(주) 자동 주차시설에 구비되는 차량진입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853B1 (ko) 차량 추락 방지 장치를 구비한 주차 시스템
KR101860098B1 (ko) 이차종 통합 다층 주차 시스템
JP6821484B2 (ja) 機械式駐車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882852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2016180247A (ja) 昇降フェンス装置とそれを備えた駐車設備
JP5025516B2 (ja) 立体駐車装置
JPH04361977A (ja) 縦横走行エレベータ装置
JPH08184212A (ja) 駐車装置の車両入出庫口における安全装置
JP5469431B2 (ja) 機械式駐車設備及びその車両入出庫方法
JP2593561B2 (ja) 機械式駐車設備
JP6433417B2 (ja) 駐車装置
JP2728152B2 (ja) 立体駐車場
JP3312884B2 (ja) 多段式駐車設備
JP3426978B2 (ja) フォーク式立体駐車装置
JP2577487Y2 (ja) 地下式駐車装置の車両移送用エレベ−タの安全装置
JP2012122211A (ja) 地上式と地下式の混合型駐車装置とその入出庫方法
JPH0529300Y2 (ko)
JP3990628B2 (ja) トレー式機械式駐車装置の自動車の乗入部
JP2528905Y2 (ja) 下部乗入れ型機械式駐車装置
JPH06280410A (ja) 機械式駐車設備のデッキ昇降装置
JPH0754063B2 (ja) 多段式駐車装置
JPH06298472A (ja) 荷物かご併設エレベーター装置
JPH09137619A (ja) 駐車設備のゲート落下防止装置
JP6491573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H0714566Y2 (ja) 垂直循環式駐車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