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672B1 - 커넥터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672B1
KR102041672B1 KR1020170079098A KR20170079098A KR102041672B1 KR 102041672 B1 KR102041672 B1 KR 102041672B1 KR 1020170079098 A KR1020170079098 A KR 1020170079098A KR 20170079098 A KR20170079098 A KR 20170079098A KR 102041672 B1 KR102041672 B1 KR 102041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housing
conveyor belt
groov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145A (ko
Inventor
김철재
Original Assignee
김철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재 filed Critical 김철재
Priority to KR1020170079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67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하우징의 단자홈에 단자를 용이하게 안내하여 단자를 자동으로 삽입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장치는 커넥터하우징이송수단과, 거치수단과, 지지수단과, 단자이송수단과, 가압수단과, 배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이송수단은 커넥터하우징을 이송시킨다.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이송수단에서 이송된 상기 커넥터하우징이 낙하하여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대를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하우징이송수단의 단부에 위치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거치수단에 상기 커넥터하우징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딩하여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일측을 지지한다. 상기 단자이송수단은 컨베이어 벨트와 가이드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거치수단에 고정된 상기 커넥터하우징으로 단자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하우징이송수단과 직교한다.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단자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단자홈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가압수단은 센서부와, 가압부와, 상하이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단자홈으로 안내된 단자를 감지하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단부에 위치한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단자의 일단을 가압하여 압입시킨다.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센서부에 상기 단자가 감지되면 상기 가압부가 상기 단자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강시키고 상기 단자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단자홈에 압입되면 상기 가압부를 상승시킨다.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단자홈에 상기 단자가 압입되면 상기 커넥터하우징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가 상하로 이동하고 단자의 측면과 접촉하는 가이드롤러가 수평으로 이동한다. 그래서 커넥터하우징의 단자홈의 위치에 맞춰 단자를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하우징의 단자홈의 위치에 맞춰 단자를 안내하여 조립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커넥터하우징의 단자홈에 단자를 자동으로 삽입할 수 있다. 그래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장치{Apparatus for assembling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하우징의 단자홈에 단자를 용이하게 안내하여 단자를 자동으로 삽입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장치들 사이에 전기적 접속의 결합에 이용되는 커넥터는 플라스틱 소재의 하우징에 금속 소재의 단자를 하우징에 매트릭스 배열로 복수개 형성된 홈에 삽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하우징에 수십에서 수백개 형성된 홈에 작업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단자를 삽입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래서 작업자의 균일하지 않은 힘에 의해 억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단자의 끝부분이 미세하게 휘어지는 불량이 발생하고,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5287호(등록일 2002.07.30)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커넥터하우징의 단자홈에 단자를 용이하게 안내하고, 단자를 자동으로 삽입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장치는 커넥터하우징이송수단과, 거치수단과, 지지수단과, 단자이송수단과, 가압수단과, 배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이송수단은 커넥터하우징을 이송시킨다.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이송수단에서 이송된 상기 커넥터하우징이 낙하하여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대를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하우징이송수단의 단부에 위치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거치수단에 상기 커넥터하우징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딩하여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일측을 지지한다. 상기 단자이송수단은 컨베이어 벨트와 가이드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거치수단에 고정된 상기 커넥터하우징으로 단자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하우징이송수단과 직교한다.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단자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단자홈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가압수단은 센서부와, 가압부와, 상하이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단자홈으로 안내된 단자를 감지하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단부에 위치한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단자의 일단을 가압하여 압입시킨다.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센서부에 상기 단자가 감지되면 상기 가압부가 상기 단자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강시키고 상기 단자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단자홈에 압입되면 상기 가압부를 상승시킨다.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단자홈에 상기 단자가 압입되면 상기 커넥터하우징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의 커넥터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단자홈에 상기 단자가 압입될 때 상기 가압부에 의한 충격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흡음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커넥터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단자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이 다른 단자홈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수평이동할 수 있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단자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또 다른 단자홈으로 이송되도록 상하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커넥터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단자홈에 상기 단자가 압입되면 상기 배출수단으로 상기 커넥터하우징을 배출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가 상하로 이동하고 단자의 측면과 접촉하는 가이드롤러가 수평으로 이동한다. 그래서 커넥터하우징의 단자홈의 위치에 맞춰 단자를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하우징의 단자홈의 위치에 맞춰 단자를 안내하여 조립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커넥터하우징의 단자홈에 단자를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여 자동으로 삽입할 수 있다. 그래서 단자의 끝부분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하우징 조립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장치는 커넥터하우징이송수단(10)과, 거치수단(20)과, 지지수단(30)과, 단자이송수단(40)과, 가압수단(50) 및 배출수단(60)을 포함한다.
커넥터하우징이송수단(10)은 커넥터하우징(1)을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커넥터하우징이송수단(10)은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된다.
거치수단(20)은 커넥터하우징이송수단(10)에서 이송된 커넥터하우징(1)이 낙하하면 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거치수단(20)은 거치대(21)를 구비한다. 그리고 거치대(21)에 커넥터하우징(1)이 거치 되었을 때, 커넥터하우징(1)을 지지할 수 있도록 "ㄴ"자로 돌기된 단(22)이 형성된다. 여기서 거치대(21)는 커넥터하우징(1)의 단자홈(2)에 단자(5)의 압입이 완료되면 커넥터하우징(1)을 배출수단(60)으로 배출할 수 있게 일방향(9)으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지지수단(30)은 거치수단(20)에 커넥터하우징(1)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아래에서 설명하는 단자(5)가 커넥터하우징(1)에 삽입될 때, 커넥터하우징(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지지수단(30)은 커넥터하우징(1)의 뒷면을 지지하여 커넥터하우징(1)이 단(22)의 일측(22a)에 밀착될 수 있도록 화살표a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수단(30)은 커넥터하우징(1)의 단(22)의 타측(22b)에 밀착될 수 있도록 커넥터하우징(1)의 측면을 가압할 수 있는 지지대(32)가 돌기되며, 화살표b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또한 단자(5)가 삽입될 때 커넥터하우징(1)에 작용하는 하중을 흡수하고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지지수단(30)의 내부에는 흡음부재(31)가 구비된다. 커넥터하우징(1)이 거치대(21)에 거치되면 지지수단(30)이 화살표 a 및 b 방향으로 이동하여 커넥터하우징(1)을 거치수단(20)의 단(22)에 고정시킨다.
단자이송수단(40)은 거치수단(20)에 고정된 커넥터하우징(1)으로 단자(5)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단자이송수단(40)은 컨베이어 벨트(41)와 가이드롤러(43)를 구비한다. 컨베이어 벨트(41)는 커넥터하우징(1)으로 단자(5)를 공급할 수 있도록 커넥터하우징이송수단(10)과 직교한다. 여기서 컨베이어 벨트(41)는 단자(5)가 커넥터하우징(1)의 단자홈(2) 중 수직방향의 세로열의 단자홈(2)으로 이송될 수 있게 상하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롤러(43)는 단자(5)가 컨베이어 벨트(41)에서 커넥터하우징(1)의 단자홈(2)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롤러(43)는 단자(5)가 커넥터하우징(1)의 단자홈(2)에 맞춰 이송될 수 있게 기준선 역할을 하도록 컨베이어 벨트(41)의 일면에 일직선으로 배치된다. 그래서 단자(5)의 측면이 가이드롤러(43)에 접촉하도록 컨베이어 벨트(41)에 위치시키면 가이드롤러(43)를 따라 앞으로 진행되어 단자홈(2)에 이송된다. 여기서, 가이드롤러(43)는 단자(5)가 커넥터하우징(1)의 단자홈(2) 중 수평방향의 가로열의 단자홈(2)으로 이송될 수 있게 컨베이어 벨트(41)의 일면에서 수평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수단(50)은 단자이송수단(40)으로 커넥터하우징(1)의 단자홈(2)에 이송된 단자(5)를 압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가압수단(50)은 센서부(51)와, 가압부(53)와, 상하이동부(55)를 구비한다. 센서부(51)는 컨베이어 벨트(41)에 의해서 커넥터하우징(1)의 단자홈(2)으로 안내된 단자(5)를 감지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 벨트(41)의 단부에 위치한다. 가압부(53)는 단자(5)의 일단(6)을 가압하여 커넥터하우징(1)의 단자홈(2)에 압입시킨다. 이를 위하여 가압부(53)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다. 상하이동부(55)는 가압부(53)를 상하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하이동부(55)는 센서부(51)에 단자(5)가 감지되면 가압부(53)가 단자(5)의 일단(6)을 가압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 벨트(41)의 일면으로 하강시키고, 단자(5)가 커넥터하우징(1)의 단자홈(2)에 압입되면 새로운 단자(5)가 이송되도록 가압부(53)를 상승시킨다.
배출수단(60)은 커넥터하우징(1)의 단자홈(2)에 단자(5)가 압입되어 커넥터하우징(1)과 단자(5)의 조립이 완료되면 커넥터하우징(1)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배출수단(60)은 거치수단(20)의 하단에서 외부로 연결된 배출로(61)가 형성된다. 그래서 커넥터하우징(1)과 단자(5)의 조립이 완료되면 거치대(21)가 일방향(9)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커넥터하우징(1)은 배출로(61)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먼저, 본 실시예의 커넥터하우징(1)의 단자홈(2)은 2×6의 배열로 형성되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커넥터하우징이송수단(10)에서 이송된 커넥터하우징(1)이 낙하하면 커넥터하우징(1)은 거치대(21)에 거치된다. 이때, 커넥터하우징(1)의 단자홈(2)은 컨베이어 벨트(41)를 향해 위치하도록 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거치수단(20)의 단(22)에 커넥터하우징(1)이 밀착되도록 지지수단(30)을 화살표 a 및 b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커넥터하우징(1)은 거치수단(20)의 단(22)에 지지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커넥터하우징(1)의 (2,1)의 위치의 단자홈(2)으로 단자(5)가 안내되도록 가이드롤러(43)를 이동시킨 후 단자(5)를 가이드롤러(43)에 접촉하도록 컨베이어 벨트(41)에 올려놓는다. 그러면 단자(5)는 컨베이어 벨트(41)에서 커넥터하우징(1)의 (2,1)의 위치의 단자홈(2)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단자홈(2)으로 이송된 단자(5)가 센서부(51)에 감지되면 상하이동부(55)가 가압부(53)를 하강시켜 가압부(53)를 단자(5)의 후방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가압부(53)가 단자(5)의 일단(6)을 가압하면 단자(5)가 커넥터하우징(1)의 단자홈(2)에 압입된다. 이때, 커넥터하우징(1)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커넥터하우징(1)에는 충격이 가해지고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커넥터하우징(1)의 뒷면을 지지하는 지지수단(30)의 내부에 흡음부재(31)를 구비하므로 커넥터하우징(1)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커넥터하우징(1)의 (2,1)의 위치의 단자홈(2)에 단자(5)의 압입이 완료되면 상하이동부(55)가 가압부(53)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커넥터하우징(1)의 (2,2)의 위치의 단자홈(2)에 단자(5)가 안내되도록 가이드롤러(43)를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단자(5)를 가이드롤러(43)에 접촉하도록 컨베이어 벨트(43)에 올려놓는다. 그러면 단자(5)는 컨베이어 벨트(41)에서 커넥터하우징(1)의 (2,2)의 위치의 단자홈(2)으로 안내되고, 가압수단(50)에 의해 단자(5)가 커넥터하우징(1)의 단자홈(2)에 압입된다. 커넥터하우징(1)의 (2,2)의 위치의 단자홈(2)에 단자(5)의 압입이 완료되면 상하이동부(55)가 가압부(53)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커넥터하우징(1)의 (2,3)......(2,6)의 위치의 단자홈(2)에 순차적으로 단자(5)가 압입되도록 가이드롤러(43)를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의 공정을 반복한다.
이렇게 (2,1)에서 (2,6)에 위치하는 일렬의 단자홈(2)에 대하여 단자(5)를 압입하는 공정이 완료되면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였던 가이드롤러(43)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커넥터하우징(1)의 (1,1)의 위치의 단자홈(2)에 단자(5)가 안내되도록 컨베이어 벨트(41)를 상승시킨 후 단자(5)를 가이드롤러(43)에 접촉하도록 컨베이어 벨트(41)에 올려놓는다. 그러면 단자(5)는 컨베이어 벨트(41)에서 커넥터하우징(1)의 (1,1)의 위치의 단자홈(2)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가압수단(50)에 의해 단자(5)가 커넥터하우징(1)의 단자홈(2)에 압입된다. 커넥터하우징(1)의 (1,1)의 위치의 단자홈(2)에 단자(5)의 압입이 완료되면 상하이동부(55)가 가압부(53)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커넥터하우징(1)의 (1,2)(1.3)......(1,6)의 위치의 단자홈(2)에 순차적으로 단자(5)가 압입되도록 가이드롤러(43)를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의 공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커넥터하우징(1)의 단자홈(2)에 단자(5)가 모두 압입되면 지지수단(30)을 화살표 a 및 b방향으로 이동시켜 커넥터하우징(1)의 고정을 해제하고, 커넥터하우징(1)이 배출로(61)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거치대(21)를 일방향(9)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커넥터하우징(1)이 배출로(61)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어 다음 공정으로 옮겨지게 된다.
종래에는 하우징에 수십에서 수백개 형성된 홈에 작업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단자를 삽입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래서 작업자의 균일하지 않은 힘에 의해 억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단자의 끝부분이 미세하게 휘어지는 불량이 발생하고,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5)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41)가 상하이동하고, 단자(5)의 측면과 접촉하는 가이드롤러(43)가 수평이동한다. 그래서 커넥터하우징(1)의 매트릭스 배열된 단자홈(2)의 위치에 맞춰 단자(5)를 용이하게 안내하고,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여 자동으로 단자(5)를 커넥터하우징(1)의 단자홈(2)에 압입할 수 있다. 그래서 단자의 끝부분이 휘어지는 불량을 방지하고,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1 : 커넥터하우징 2 : 단자홈
5 : 단자 6 : 일단
9 : 일방향 10 : 커넥터하우징이송수단
20 : 거치수단 21 : 거치대
22 : 단 22a : 일측
22b : 타측 30 : 지지수단
31 : 흡음부재 32 : 지지대
40 : 단자이송수단 41 : 컨베이어 벨트
43 : 가이드롤러 50 : 가압수단
51 : 센서부 53 : 가압부
55 : 상하이동부 60 : 배출수단
61 : 배출로

Claims (4)

  1. 커넥터하우징을 이송시키는 커넥터하우징이송수단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이송수단에서 이송된 상기 커넥터하우징이 낙하하여 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된 커넥터하우징을 지지할 수 있게 모서리의 양변에서 돌기된 단이 형성된 거치대를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하우징이송수단의 단부에 위치한 거치수단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을 상기 거치대의 양변의 단에 밀착시켜 고정시키기 위하여 전후 및 좌우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커넥터하우징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거치수단에 고정된 상기 커넥터하우징으로 단자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하우징이송수단과 직교하며 상기 단자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다른 단자홈으로 이송되도록 상하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단자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단자홈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며 상기 단자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또 다른 단자홈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수평이동하는 가이드롤러를 구비하는 단자이송수단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단자홈으로 안내된 단자를 감지하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단부에 위치하는 센서부와, 상기 단자의 일단을 가압하여 압입시키는 가압부와, 상기 센서부에 상기 단자가 감지되면 상기 가압부가 상기 단자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강시키고 상기 단자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단자홈에 압입되면 상기 가압부를 상승시키는 상하이동부를 구비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단자홈에 상기 단자가 압입되면 상기 커넥터하우징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단자홈에 상기 단자가 압입될 때 상기 가압부에 의한 충격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흡음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단자홈에 상기 단자가 압입되면 상기 배출수단으로 상기 커넥터하우징을 배출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70079098A 2017-06-22 2017-06-22 커넥터 조립장치 KR102041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098A KR102041672B1 (ko) 2017-06-22 2017-06-22 커넥터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098A KR102041672B1 (ko) 2017-06-22 2017-06-22 커넥터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145A KR20190000145A (ko) 2019-01-02
KR102041672B1 true KR102041672B1 (ko) 2019-11-27

Family

ID=65021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098A KR102041672B1 (ko) 2017-06-22 2017-06-22 커넥터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6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682B1 (ko) * 2020-07-21 2022-07-28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KR20230015730A (ko) * 2021-07-23 2023-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조립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2724A (ja) * 2004-06-29 2006-01-1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線付端子の挿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5640A (ja) * 1995-10-20 1997-05-02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におけるコネクタ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85287Y1 (ko) 2002-05-14 2002-08-13 주식회사 엠솔루션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전자부품 조립용 스티칭 머신
JP5983563B2 (ja) * 2013-08-26 2016-08-31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2724A (ja) * 2004-06-29 2006-01-1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線付端子の挿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145A (ko) 2019-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1672B1 (ko) 커넥터 조립장치
TWI527748B (zh) 物料分離裝置
CN107959216B (zh) 一种rj45连接器自动组装设备
CN107186465B (zh) 手机天线馈点部位与后盖组装机构
CN105252142A (zh) 用于锂电池焊接的设备
CN211759333U (zh) 一种连接端铁壳及其自动组装焊接生产线
CN112959030B (zh) 装配装置及具有其的流水线
CN107098135B (zh) 手机彩盒上料机构
CN211219586U (zh) 一种合页半自动装配装置
KR101335352B1 (ko) 와이어 자동 압접기
CN107790997B (zh) 滚筒轴承装入机构
KR101731776B1 (ko) 전자부품 공급장치
US11214442B2 (en) Auxiliary carrier, carrier assembly and carrying apparatus
KR200435460Y1 (ko) 롤러 샤프트의 기어 압입 장치
CN210579916U (zh) 一种自动插件机
KR101188403B1 (ko) 반도체 부품 검사용 커넥터장치
CN111180976A (zh) 一种便于下料的二极插头的连续插针机
JPH0115199Y2 (ko)
CN112171232A (zh) 一种汽车变速箱壳体定位销自动压装装置
CN111307810A (zh) 一种计算机主板视觉检测设备
CN213181844U (zh) 一种电源线同步检测用流转架
US3051474A (en) Clamping device
CN215377934U (zh) 一种长度任意调节的接线端子自动组装装置
CN218259547U (zh) 一种机电设备搬运用输送装置
CN107186313B (zh) 一种电子元器件焊锡自动上下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