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682B1 -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682B1
KR102425682B1 KR1020200090167A KR20200090167A KR102425682B1 KR 102425682 B1 KR102425682 B1 KR 102425682B1 KR 1020200090167 A KR1020200090167 A KR 1020200090167A KR 20200090167 A KR20200090167 A KR 20200090167A KR 102425682 B1 KR102425682 B1 KR 102425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wall part
module
press
access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1366A (ko
Inventor
박광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Priority to KR1020200090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682B1/ko
Publication of KR20220011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로서, 투입로가 구비되어 피가공물이 투입받는 거치모듈; 상기 거치모듈에 투입되는 상기 피가공물을 푸시하여 상기 거치모듈의 배출로상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모듈; 상기 배출로상의 상기 피가공물 압입 가공하기 위한 가공모듈을 포함하는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멀티탭을 이루는 각 구성부품들을 조립하여 완제품으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각 구성부품들의 결합을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양질의 제품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Multiple-tap assembly processing apparatus and multiple-tap assembly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 및 조립체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탭을 이루는 각 구성부품들을 조립하여 완제품으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각 구성부품들의 결합을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양질의 제품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멀티탭은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다수로 꽂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전기 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 편리한 수단이다. 그런데 이러한 멀티탭은 내부에 다양한 구성부품들이 들어가 하나의 멀티탭을 이루는 것으로서 완제품을 획득하기 위한 일련의 제작과정이 수행된다. 각각의 구성부품들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취급하게 되면 작업자의 작업 효율이 일률적이지 못하고 숙련도에 따라 구성부품의 취급에 차이가 발생될 소지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구성부품들을 보다 신속하면서도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에는 수동으로 작업자에게만 의존하는 것이 한계가 있으며 기계적으로 최적화된 취급수단도 부재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66093호
본 발명은, 멀티탭을 이루는 각 구성부품들을 조립하여 완제품으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각 구성부품들의 결합을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양질의 제품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로서, 투입로(L1)가 구비되어 피가공물이 투입받는 거치모듈(110); 상기 거치모듈(110)에 투입 되는 상기 피가공물을 푸시하여 상기 거치모듈(110)의 배출로(L2)상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모듈(120); 상기 배출로(L2)상의 상기 피가공물 압입 가공하기 위한 가공모듈(130)을 포함하는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피가공물은 다수의 원통형 소켓(M2)이 다수 구비되는 하우징(M1)과, 상기 소켓(M2)들에 장착되는 판형상체인 부속품(M3)이 구비되며, 상기 부속품(M3)은 상기 돌기들에 대응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소켓(M2)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돌기들이 구비되며, 상기 소켓(M2)은 상기 돌기들을 매개로 상기 부속품(M3)과 삽입 장착되며, 상기 가공모듈(130)은 압입체(135)를 통해 상기 돌기들 중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부속품(M3)의 반대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T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를 압입하여 상기 부속품(M3)의 반대측 표면상에서 단면적을 외측으로 확장시켜 돌출된 상기 제1 돌기(T1)가 플랜지 형태로 상기 부속품(M3)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입체(135)는, 제1 블록(1351)과, 상기 제1 블록(135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블록(1352)과, 상기 제2 블록(1352)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블록(1351)에 고정형으로 설치되는 고정형의 제1 봉형상체(140)와, 상기 제2 블록(1352)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블록(1351)에 탄성부재(S)를 매개로 탄성복원력을 갖추도록 구비되는 제2 봉형상체(150)가 구비되며, 상기 압입체(135)는 상기 제1 봉형상체(140)를 매개로 상기 제1 돌기(T1)를 압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봉형상체(150)는, 상하유동 가능하도록 탄성복원력을 갖추어 상하로 진퇴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봉형상체(140)가 상기 돌기들 중 상기 제1 돌기(T1)를 압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부속품(M3)에 접촉되어 상기 부속품(M3)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가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피가공물은 다수로서 각각 순차적으로 상기 거치모듈(110)상의 상기 투입로(L1)상에 투입되며, 상기 피가공물이 특정 개수로 투입 적재되어 초기 투입된 상기 피가공물이 감지수단(140)에 이르러 접촉 감지되면, 초기 투입된 상기 피가공물은 상기 이송모듈(120)에 의하여 상기 배출로(L2)상에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모듈(110)은 사각형상의 플레이트 구조물이며 상부면에 직각의 격자부가 구비되어 일방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투입로(L1)와, 상기 투입로(L1)에서 직교방향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배출로(L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모듈(110)은, 좌측에 제1 격벽부(211)와, 상측에 제2 격벽부(212)와, 상기 제1 격벽부(211)와 마주하는 제1 가변벽체부(213)와 상기 제2 격벽부(212)와 마주하는 제2 가변벽체부(214)와, 상기 제1 가변벽체부(213)를 제1 피스톤부재(2131)로 진퇴 구동시키며, 상기 제2 가변벽체부(214)를 제2 피스톤부재(2141)로 진퇴 구동시키는 가변구동부(215)가 구비되며, 상기 피가공물은 상기 제1 격벽부(211)와 상기 제1 가변벽체부(213) 사이를 경유하여 투입되며, 상기 제1 가변벽체부(213)는 경유하는 상기 피가공물의 규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격벽부(211)로 전진되거나 상기 제1 격벽부(211)로부터 후진되며, 상기 피가공물은 상기 제2 격벽부(212)와 상기 제2 가벽벽체부 사이를 경유하여 배출되며, 상기 제2 가변벽체부(214)는 경유하는 상기 피가공물의 규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격벽부(212)로 전진되거나 상기 제2 격벽부(212)로부터 후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격벽부(211)에는 이격거리를 센싱하기 위한 다수의 제1 센싱부(SN1)가 구비되어 경유되는 상기 피가공물의 측면부에 대한 이격거리를 센싱하여 기 설정된 외관 스펙 충족여부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제1 센싱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2 격벽부(212)에는 이격거리를 센싱하기 위한 다수의 제2 센싱부(SN2)가 구비되어 경유되는 상기 피가공물의 측면부에 대한 이격거리를 센싱하여 기 설정된 외관 스펙 충족여부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제2 센싱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가변구동부(215)에는 상기 제1 센싱정보와 상기 제2 센싱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피가공물의 기설정 스펙 만족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15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모듈(110)은, 상기 제1 격벽부(211)와 상기 제1 가변벽체부(213) 사이의 투입로(L1)에 해당되는 영역상에 다수의 제1 무게감지센서(SW11~SW13)가 구비되어 투입되어 경유하는 상기 피가공물에 대한 제1 무게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2 격벽부(212)와 상기 제2 가변벽체부(214) 사이의 배출로(L2)에 해당되는 영역상에 다수의 제2 무게감지센서(SW21~23)가 구비되어 투입되어 경유하는 상기 피가공물에 대한 제2 무게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가변구동부(215)는 상기 제1 무게정보와 상기 제2 무게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피가공물의 기설정 스펙 만족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151)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멀티탭 조립체 가공방법으로서, 거치모듈(110)의 투입로(L1)상에 피가공물이 투입되는 단계; 상기 거치모듈(110)에 투입되는 상기 피가공물이 이송모듈(120)에 의하여 푸시되어 상기 거치모듈(110)의 배출로(L2)상에서 이송되는 단계; 및 상기 배출로(L2)상의 상기 피가공물이 가공모듈(130)에 의하여 압입 가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탭 조립체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피가공물은 다수의 원통형 소켓(M2)이 다수 구비되는 하우징(M1)과, 상기 소켓(M2)들에 장착되는 부속품(M3)이 구비되며, 상기 부속품(M3)은 상기 돌기들에 대응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소켓(M2)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돌기들이 구비되며, 상기 소켓(M2)은 상기 돌기들을 매개로 상기 부속품(M3)과 삽입 장착되며, 상기 가공모듈(130)은 압입체(135)를 통해 상기 돌기들 중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부속품(M3)의 반대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T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를 압입하여 상기 부속품(M3)의 반대측 표면상에서 단면적을 외측으로 확장시켜 돌출된 상기 제1 돌기(T1)가 플랜지 형태로 상기 부속품(M3)에 걸림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입체(135)는, 제1 블록(1351)과, 상기 제1 블록(135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블록(1352)과, 상기 제2 블록(1352)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블록(1351)에 고정형으로 설치되는 고정형의 제1 봉형상체(140)와, 기 제2 블록(1352)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블록(1351)에 탄성부재(S)를 매개로 탄성복원력을 갖추도록 구비되는 제2 봉형상체(150)가 구비되며, 기 압입체(135)는 상기 제1 봉형상체(140)를 매개로 상기 제1 돌기(T1)를 압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봉형상체(150)는, 상하유동 가능하도록 탄성복원력을 갖추어 상하로 진퇴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봉형상체(140)가 상기 돌기들 중 상기 제1 돌기(T1)를 압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부속품(M3)에 접촉되어 상기 부속품(M3)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가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피가공물이 투입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물은 다수로서 각각 순차적으로 상기 거치모듈(110)상의 상기 투입로(L1)상에 투입되며, 상기 피가공물이 특정 개수로 투입 적재되어 초기 투입된 상기 피가공물이 감지수단(140)에 이르러 접촉 감지되면, 초기 투입된 상기 피가공물은 상기 이송모듈(120)에 의하여 상기 배출로(L2)상에서 이송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거치모듈(110)은 사각형상의 플레이트 구조물이며 상부면에 직각의 격자부가 구비되어 일방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투입로(L1)와, 상기 투입로(L1)에서 직교방향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배출로(L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탭 완제품 제작과정에서 멀티탭 내부에 다양한 구성부품들이 작업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취급하게 되면서 작업자의 작업 효율이 일률적이지 못하고 작업자의 작업 숙련도에 따라 구성부품의 취급에 차이가 발생되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구성부품들을 보다 신속하면서도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최적화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조립체 가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에 의하여 취급되는 피가공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2에 따른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가 피가공물을 순차적으로 취급하도록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도 2에 따른 구성들 중 이송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2에 따른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의 구성들 중 가공모듈의 압입체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의 거치모듈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조립체 가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6에는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에 의하여 피가공물이 순차적으로 취급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1에는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의 구성들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멀티탭의 각 구성부품을 취급(예 : 압입 가공 등)하는 멀티탭 가공장치로서 기술하지만, 멀티탭 가공이 아니더라도 유사한 기술원리와 유사한 가공방식이 적용되는 대상물의 가공에도 응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멀티탭 조립체 가공방법은 거치모듈(110)의 투입로(L1)상에 피가공물이 투입된다(S110 및 도 2 참조). 그리고 거치모듈(110)에 투입되는 피가공물이 이송모듈(120)에 의하여 푸시되어 거치모듈(110)의 배출로(L2)상에서 이송된다(S120 및 도 3 참조).
이때 배출로(L2)상의 피가공물이 가공모듈(130)에 의하여 압입 가공된다(S130 및 도 4 참조) 여기서 피가공물은 다수의 원통형 소켓(M2)이 다수 구비되는 하우징(M1)과, 소켓(M2)들에 장착되는 부속품(M3)이 구비된다(도 2 참조).
부속품(M3)은 돌기들에 대응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소켓(M2)은 삽입공에 삽입되는 돌기들이 구비되며, 소켓(M2)은 돌기들을 매개로 부속품(M3)과 삽입 장착된다(도 2 참조).
여기서 가공모듈(130)은 압입체(135)를 통해 돌기들 중 관통공을 통과하여 부속품(M3)의 반대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T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를 압입하여 부속품(M3)의 반대측 표면상에서 단면적을 외측으로 확장시켜 돌출된 제1 돌기(T1)가 플랜지 형태로 부속품(M3)에 걸림 고정되도록 한다(S130, 도 2 내지 도 6, 도 8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돌기(T1)중 양측 외곽에 위치되는 제1-1 돌기(T11)와 제1-3 돌기(T13)는 압입체(135) 제1-1 봉형상체(141)와 제1-3 봉형상체(143)에 의하여 압입 가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1-1 봉형상체(141)에는 제1-2 봉형상체(142)가 이웃하여 구비될 수 있고, 제1-3 봉형상체(143)에는 제1-4 봉형상체(144)가 이웃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 봉형상체(140)와 제2 봉형상체(150)는 기본적으로 장착과 탈거가 가능한 구조로 구비된다. 따라서 피가공물의 규격과 타입 등에 따라 제1-1 봉형상체(141) 내지 제1-4 봉형상체(144)는 장착과 제거가 가능하며, 이외에도 추가적인 봉형상체들이 배열을 달리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봉형상체(140)는 대상부위를 압입함에 있어 기 돌출된 돌기 부분만을 압입하며 기 돌출된 돌기 주변의 표면에 이르지 않는 정도로 압입하여 가공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압입체(135)는 제1 블록(1351)과, 제1 블록(135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블록(1352)과, 제2 블록(1352)을 관통하여 제1 블록(1351)에 고정형으로 설치되는 고정형의 제1 봉형상체(140)와, 제2 블록(1352)을 관통하여 제1 블록(1351)에 탄성부재(S)를 매개로 탄성복원력을 갖추도록 구비되는 제2 봉형상(150)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2 봉형상체(150)는 제2-1 봉형상체(151) 내지 제2-6 봉형상체(156)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1 봉형상체(151)는 확관부(1511)와 확관부(1511)에서 축관되는 축관부(1512)로 구비되어 접촉되는 대상물에 대한 미세 접촉과 세밀 취급을 가능케 할 수 있따.(도 9 내지 도 11 참조).
여기서 압입체(135)는 제1 봉형상체(140)를 매개로 제1 돌기(T1)를 압입한다. 제2 봉형상체(150)는, 상하유동 가능하도록 탄성복원력을 갖추어 상하로 진퇴유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도 6, 도 9 내지 도 11 참조).
제1 봉형상체(140)가 돌기들 중 제1 돌기(T1)를 압입하는 과정에서 부속품(M3)에 접촉되어 부속품(M3)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가고정시킨다(도 6, 도 9 내지 도 11 참조).
아울러 피가공물이 투입되는 단계(S110 참조)에 있어서, 피가공물은 다수로서 각각 순차적으로 거치모듈(110)상의 투입로(L1)상에 투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피가공물이 4~5 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이러한 피가공물은 특정 개수로 투입 적재되어 초기 투입된 피가공물이 감지수단(140)에 이르러 접촉 감지되면, 초기 투입된 피가공물은 이송모듈(120)에 의하여 배출로(L2)상에서 이송될 수 있다(도 4 내지 도 6 참조).
한편 거치모듈(110)은 사각형상의 플레이트 구조물이며 상부면에 직각의 격자부가 구비되어 일방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투입로(L1)와, 투입로(L1)에서 직교방향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배출로(L2)가 구비될 수 있다(도 1 내지 6 참조).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는 거치모듈(110), 이송모듈(120) 및 가공모듈(130)을 포함한다.
거치모듈(110)은 상면부로 소정의 투입로(L1)가 구비되어 피가공물을 투입받는다(도 1 참조). 피가공물은 다수의 원통형 소켓(M2)이 다수 구비되는 하우징(M1)과, 소켓(M2)들에 장착되는 판형상체인 부속품(M3)이 구비될 수 있다.(도 2 참조)
여기서 부속품(M3)은 돌기들에 대응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소켓(M2)은 삽입공에 삽입되는 돌기들이 구비되며, 소켓(M2)은 돌기들을 매개로 부속품(M3)과 삽입 장착된다.
이때 가공모듈(130)은 압입체(135)를 통해 돌기들 중 관통공을 통과하여 부속품(M3)의 반대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T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를 압입하여 부속품(M3)의 반대측 표면상에서 단면적을 외측으로 확장시켜 돌출된 제1 돌기(T1)가 플랜지 형태로 부속품(M3)에 걸림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압입체(135)는 제1 블록(1351)과, 제1 블록(135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블록(1352)과, 제2 블록(1352)을 관통하여 제1 블록(1351)에 고정형으로 설치되는 고정형의 제1 봉형상체(140)와, 제2 블록(1352)을 관통하여 제1 블록(1351)에 탄성부재(S)를 매개로 탄성복원력을 갖추도록 구비되는 제2 봉형상체(150)가 구비될 수 있다(도 9 내지 도 11 참조).
압입체(135)는 제1 봉형상체(140)를 매개로 제1 돌기(T1)를 압입할 수 있다. 제2 봉형상체(150)는, 상하유동 가능하도록 탄성복원력을 갖추어 상하로 진퇴유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도 9 내지 도 11 참조).
한편 제1 봉형상체(140)가 돌기들 중 제1 돌기(T1)를 압입하는 과정에서 부속품(M3)에 접촉되어 부속품(M3)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가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도 3 및 도 6 참조).
피가공물은 다수로서 각각 순차적으로 거치모듈(110)상의 투입로(L1)상에 투입되며, 피가공물이 특정 개수로 투입 적재되어 초기 투입된 피가공물이 감지수단(140)에 이르러 접촉 감지되면, 초기 투입된 피가공물은 이송모듈(120)에 의하여 배출로(L2)상에서 이송될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이러한 거치모듈(110)은 사각형상의 플레이트 구조물이며 상부면에 직각의 격자부가 구비되어 일방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투입로(L1)와, 투입로(L1)에서 직교방향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배출로(L2)가 구비될 수 있다(도 1 참조).
도 1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의 거치모듈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일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되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며, 청구항 2에 있어서, 거치모듈(110)은, 좌측에 제1 격벽부(211)와, 상측에 제2 격벽부(212)와, 제1 격벽부(211)와 마주하는 제1 가변벽체부(213)와 제2 격벽부(212)와 마주하는 제2 가변벽체부(214)와, 제1 가변벽체부(213)를 제1 피스톤부재(2131)로 진퇴 구동시키며, 제2 가변벽체부(214)를 제2 피스톤부재(2141)로 진퇴 구동시키는 가변구동부(21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피가공물은 제1 격벽부(211)와 제1 가변벽체부(213) 사이를 경유하여 투입되며, 제1 가변벽체부(213)는 경유하는 피가공물의 규격에 대응하여 제1 격벽부(211)로 전진되거나 제1 격벽부(211)로부터 후진될 수 있다.
또한 피가공물은 제2 격벽부(212)와 제2 가벽벽체부 사이를 경유하여 배출되며, 제2 가변벽체부(214)는 경유하는 피가공물의 규격에 대응하여 제2 격벽부(212)로 전진되거나 제2 격벽부(212)로부터 후진될 수 있다.
제1 격벽부(211)에는 이격거리를 센싱하기 위한 다수의 제1 센싱부(SN1)가 구비되어 경유되는 피가공물의 측면부에 대한 이격거리를 센싱하여 기 설정된 외관 스펙 충족여부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제1 센싱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격벽부(212)에는 이격거리를 센싱하기 위한 다수의 제2 센싱부(SN2)가 구비되어 경유되는 피가공물의 측면부에 대한 이격거리를 센싱하여 기 설정된 외관 스펙 충족여부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제2 센싱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가변구동부(215)에는 제1 센싱정보와 제2 센싱정보를 기반으로 피가공물의 기설정 스펙 만족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151)가 구비될 수 있다.
거치모듈(110)은 제1 격벽부(211)와 제1 가변벽체부(213) 사이의 투입로(L1)에 해당되는 영역상에 다수의 제1 무게감지센서(SW11~SW13)가 구비되어 투입되어 경유하는 피가공물에 대한 제1 무게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격벽부(212)와 제2 가변벽체부(214) 사이의 배출로(L2)에 해당되는 영역상에 다수의 제2 무게감지센서(SW21~23)가 구비되어 투입되어 경유하는 피가공물에 대한 제2 무게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가변구동부(215)는 제1 무게정보와 제2 무게정보를 기반으로 피가공물의 기설정 스펙 만족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151)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부들의 진퇴 및 회전은 공지기술로서 모터와 실린더모듈 등 다양한 수단을 적용하여 가능하며 어느 특정수단으로만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거치모듈 120 : 이송모듈
130 : 가공모듈 135 : 압입체
140 : 감지수단 151 :
211 : 제1 격벽부 212 : 제2 격벽부 213 : 제1 가변벽체부 214 : 제2 가변벽체부 215 : 가변구동부 SC : 제1 스크류부재 SC2 : 제2 스크류부재 SC3 : 제3 스크류부재 S : 탄성부재

Claims (15)

  1.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로서,
    투입로가 구비되어 피가공물이 투입받는 거치모듈;
    상기 거치모듈에 투입되는 상기 피가공물을 푸시하여 상기 거치모듈의 배출로상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모듈; 및
    상기 배출로상의 상기 피가공물 압입 가공하기 위한 가공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피가공물은 다수의 원통형 소켓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소켓들에 장착되는 판형상체인 부속품이 구비되며,
    상기 부속품은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켓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돌기들이 구비되며,
    상기 소켓은 상기 돌기들을 매개로 상기 부속품과 삽입 장착되며,
    상기 가공모듈은 압입체를 통해 상기 돌기들 중 상기 부속품을 관통하여 반대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를 압입하여 상기 부속품의 반대측 표면상에서 단면적을 외측으로 확장시켜 돌출된 상기 제1 돌기가 플랜지 형태로 상기 부속품에 걸림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압입체는,
    제1 블록과,
    상기 제1 블록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블록에 고정형으로 설치되는 고정형의 제1 봉형상체와,
    상기 제2 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블록에 탄성부재를 매개로 탄성복원력을 갖추도록 구비되는 제2 봉형상체가 구비되며,
    상기 압입체는 상기 제1 봉형상체를 매개로 상기 제1 돌기를 압입하며,
    상기 제2 봉형상체는,
    상하 유동 가능하도록 탄성복원력을 갖추어 상하로 진퇴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봉형상체가 상기 돌기들 중 상기 제1 돌기를 압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부속품에 접촉되어 상기 부속품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가고정시키는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물은 다수로서 각각 순차적으로 상기 거치모듈상의 상기 투입로상에 투입되며,
    상기 피가공물이 특정 개수로 투입 적재되어 초기 투입된 상기 피가공물이 상기 배출로의 인입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에 이르러 접촉 감지되면, 초기 투입된 상기 피가공물은 상기 이송모듈에 의하여 상기 배출로상에서 이송되는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모듈은 사각형상의 플레이트 구조물이며 상부면에 직각의 격자부가 구비되어 일방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투입로와, 상기 투입로에서 직교방향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배출로가 구비되는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모듈은,
    좌측에 제1 격벽부와, 상측에 제2 격벽부와, 상기 제1 격벽부와 마주하는 제1 가변벽체부와 상기 제2 격벽부와 마주하는 제2 가변벽체부와, 상기 제1 가변벽체부를 제1 피스톤부재로 진퇴 구동시키며, 상기 제2 가변벽체부를 제2 피스톤부재로 진퇴 구동시키는 가변구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피가공물은 상기 제1 격벽부와 상기 제1 가변벽체부 사이를 경유하여 투입되며, 상기 제1 가변벽체부는 경유하는 상기 피가공물의 규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격벽부로 전진되거나 상기 제1 격벽부로부터 후진되며,
    상기 피가공물은 상기 제2 격벽부와 상기 제2 가벽벽체부 사이를 경유하여 배출되며, 상기 제2 가변벽체부는 경유하는 상기 피가공물의 규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격벽부로 전진되거나 상기 제2 격벽부로부터 후진되는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부에는 이격거리를 센싱하기 위한 다수의 제1 센싱부가 구비되어 경유되는 상기 피가공물의 측면부에 대한 이격거리를 센싱하여 기 설정된 외관 스펙 충족여부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제1 센싱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2 격벽부에는 이격거리를 센싱하기 위한 다수의 제2 센싱부가 구비되어 경유되는 상기 피가공물의 측면부에 대한 이격거리를 센싱하여 기 설정된 외관 스펙 충족여부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제2 센싱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가변구동부에는 상기 제1 센싱정보와 상기 제2 센싱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피가공물의 기설정 스펙 만족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모듈은,
    상기 제1 격벽부와 상기 제1 가변벽체부 사이의 투입로에 해당되는 영역상에 다수의 제1 무게감지센서가 구비되어 투입되어 경유하는 상기 피가공물에 대한 제1 무게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2 격벽부와 상기 제2 가변벽체부 사이의 배출로에 해당되는 영역상에 다수의 제2 무게감지센서가 구비되어 투입되어 경유하는 상기 피가공물에 대한 제2 무게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가변구동부는 상기 제1 무게정보와 상기 제2 무게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피가공물의 기설정 스펙 만족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
  10. 멀티탭 조립체 가공방법으로서,
    거치모듈의 투입로상에 피가공물이 투입되는 단계;
    상기 거치모듈에 투입되는 상기 피가공물이 이송모듈에 의하여 푸시되어 상기 거치모듈의 배출로상에서 이송되는 단계; 및
    상기 배출로상의 상기 피가공물이 가공모듈에 의하여 압입 가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피가공물은 다수의 원통형 소켓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소켓들에 장착되는 판형상체인 부속품이 구비되며,
    상기 부속품은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켓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돌기들이 구비되며,
    상기 소켓은 상기 돌기들을 매개로 상기 부속품과 삽입 장착되며,
    상기 가공모듈은 압입체를 통해 상기 돌기들 중 상기 부속품을 관통하여 반대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를 압입하여 상기 부속품의 반대측 표면상에서 단면적을 외측으로 확장시켜 돌출된 상기 제1 돌기가 플랜지 형태로 상기 부속품에 걸림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압입체는,
    제1 블록과,
    상기 제1 블록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블록에 고정형으로 설치되는 고정형의 제1 봉형상체와,
    상기 제2 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블록에 탄성부재를 매개로 탄성복원력을 갖추도록 구비되는 제2 봉형상체가 구비되며,
    상기 압입체는 상기 제1 봉형상체를 매개로 상기 제1 돌기를 압입하며,
    상기 제2 봉형상체는,
    상하유동 가능하도록 탄성복원력을 갖추어 상하로 진퇴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봉형상체가 상기 돌기들 중 상기 제1 돌기를 압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부속품에 접촉되어 상기 부속품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가고정시키는 멀티탭 조립체 가공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물이 투입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물은 다수로서 각각 순차적으로 상기 거치모듈상의 상기 투입로상에 투입되며,
    상기 피가공물이 특정 개수로 투입 적재되어 초기 투입된 상기 피가공물이 감지수단에 이르러 접촉 감지되면, 초기 투입된 상기 피가공물은 상기 이송모듈에 의하여 상기 배출로상에서 이송되는 멀티탭 조립체 가공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모듈은 사각형상의 플레이트 구조물이며 상부면에 직각의 격자부가 구비되어 일방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투입로와, 상기 투입로에서 직교방향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배출로가 구비되는 멀티탭 조립체 가공방법.
KR1020200090167A 2020-07-21 2020-07-21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KR102425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167A KR102425682B1 (ko) 2020-07-21 2020-07-21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167A KR102425682B1 (ko) 2020-07-21 2020-07-21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366A KR20220011366A (ko) 2022-01-28
KR102425682B1 true KR102425682B1 (ko) 2022-07-28

Family

ID=80051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167A KR102425682B1 (ko) 2020-07-21 2020-07-21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68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594B1 (ko) * 1994-09-30 1998-04-15 정태홍 2구 콘센트의 조립방법 및 스탬프장치
JPH11176523A (ja) * 1997-12-12 1999-07-02 Nitta Denzai Kk コンセント取付装置
KR102041672B1 (ko) * 2017-06-22 2019-11-27 김철재 커넥터 조립장치
KR20190066093A (ko) 2017-12-02 2019-06-13 오미래 문어다리 멀티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366A (ko) 202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425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conduit
KR102425682B1 (ko) 멀티탭 조립체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EP3477797B1 (en) Assembly system
KR101871935B1 (ko) 차량용 너트 가공 장치
WO2006107360A8 (en) Device and method for latching separable insulated connectors
JP2013157320A5 (ko)
JP2018508344A (ja) 非熱ソフトプラズマ洗浄
JP2020066067A (ja) ロボットハンドおよびロボットシステム
KR20210149894A (ko) 듀얼 주파수, 직접 구동 유도 결합 플라즈마 소스
CN101159357A (zh) 电连接器
JP4925843B2 (ja) プラズマ洗浄装置
CN109074921B (zh) 线束制造系统和线束制造方法
CN107225179B (zh) 模具快速固定装置
JP2013218966A (ja) 二次電池の拘束装置および二次電池の拘束方法
EP3309563B1 (e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test system with fixed and mobile ground planes
US7150350B2 (en) Processing apparatus with conveying unit for continuously conveying heat pipes
KR102041672B1 (ko) 커넥터 조립장치
KR101000329B1 (ko) 플라즈마 처리장치
WO2001074538A1 (en) Dense fluid spray cleaning process and apparatus
JP2019120595A (ja) 電子デバイスの検査治具
CN201279680Y (zh) 一种快速装夹的机床工作台
CN210125878U (zh) 工作站模块以及由工作站模块组成的自动生产线
US20200101556A1 (en) Computer chassis welding device
KR102573650B1 (ko) 냉각 수단이 마련된 고주파 압입툴 장치
KR101056840B1 (ko) 전선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