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840B1 - 전선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840B1
KR101056840B1 KR1020100049945A KR20100049945A KR101056840B1 KR 101056840 B1 KR101056840 B1 KR 101056840B1 KR 1020100049945 A KR1020100049945 A KR 1020100049945A KR 20100049945 A KR20100049945 A KR 20100049945A KR 101056840 B1 KR101056840 B1 KR 101056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ire
walls
pair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홍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100049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1Subjecting similar articles in turn to test, e.g. "go/no-go" tests in mass production; Testing objects at points as they pass through a testing s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전선 검사장치가 개시된다. 그러한 전선 검사장치는 전선이 안착되는 검사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서로 대응되며, 고정홀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벽체; 상기 한 쌍의 벽체에 각각 형성된 상기 고정홀에 각각 삽입되는 지지축; 상기 베이스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한 쌍의 벽체 사이에 배치되며,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이 관통함으로써 상기 지지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전선에 연결된 수커넥터가 삽입되는 암커넥터; 그리고
상기 지지축의 일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과 한 쌍의 벽체중 일측 벽체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축의 타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과 타측 벽체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선 검사장치{APPARATUS FOR TESTING WIRE}
본 발명은 전선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검사대상 전선의 수커넥터가 삽입되는 암커넥터가 이동가능한 구조를 갖음으로써 전선의 수커넥터 위치가 변경되어도 암커넥터에 원활하게 삽입되어 검사가 진행될 수 있는 전선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많은 전기 장치들이 구비되는바, 이러한 전기 장치들은 서로 다른 종류의 많은 전선들에 의해 통전가능하게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선들은 엔진룸이나 운전석 내부, 트렁크 등과 같은 차량의 각 부분에 배치된다.
그리고, 자동차 제조회사가 이러한 전선들을 자동차에 조립할 때, 조립라인에서 수많은 전선을 일일이 배선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별도의 공정 혹은 하청업체에서 수많은 전선을 미리 묶어서 패터닝한 상태에서 자동차 제조회사에 납품하게 되고, 자동차 회사에서는 이 패터닝화된 전선을 한 번에 자동차에 조립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때, 상기 패터닝된 전선은 검사장치에 의하여 전선들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게 된다.
이러한 전선의 검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 배선도가 부착된 판형상의 검사 플레이트(F)와, 이 검사 플레이트(F)에 배치되어 패터닝된 전선(W)의 수커넥터(9,11,13,15)가 삽입되어 전선(W)의 유무를 검사할 수 있는 암커넥터(17,19,21,23)가 구비된 복수개의 검사단자(1,3,5,7)가 구비된다.
따라서, 다수의 수커넥터(9,11,13,15)가 구비된 전선(W)을 검사 플레이트(F)에 올려놓고, 수커넥터(9,11,13,15)를 복수개의 검사단자(1,3,5,7)의 암커넥터(17,19,21,23)에 각각 삽입하였을 때, 검사단자(1,3,5,7)의 램프가 온(On)상태 혹은 오프(OFF)인지를 확인함으로써 전선(W)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패터닝 전선은 실제로 3차원 공간에 조립되나, 검사시에는 2차원 형상의 검사 플레이트 상에서 펼쳐서 검사를 실시하게 되므로, 전선에 연결된 다수의 수커넥터 위치가 실제 조립시 목표한 암커넥터와의 조립위치와 달라져서 검사를 원활하게 실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암커넥터가 구비된 검사단자를 이동가능한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전선에 연결된 수커넥터의 위치가 변동되어도 상기 검사단자의 암커넥터에 용이하게 삽입됨으로써 검사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는 전선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선이 안착되는 검사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서로 대응되며, 고정홀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벽체; 상기 한 쌍의 벽체에 각각 형성된 상기 고정홀에 각각 삽입되는 지지축; 상기 베이스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한 쌍의 벽체 사이에 배치되며,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이 관통함으로써 상기 지지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전선에 연결된 수커넥터가 삽입되는 암커넥터; 그리고 상기 지지축의 일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과 한 쌍의 벽체중 일측 벽체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축의 타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과 타측 벽체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전선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는 암커넥터가 구비된 하우징이 지지축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패터닝 전선의 수커넥터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상기 하우징을 수커넥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커넥터를 암커넥터에 원활하게 삽입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동가능한 구조를 갖는 하우징이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의 분리후에는 하우징이 원위치로 복귀됨으로써 다음 검사가 초기 상태에서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패터닝 전선의 검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터닝 전선의 검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검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검사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선의 검사장치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터닝 전선의 검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검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검사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전선(W)의 검사장치는 검사 플레이트(F)와, 상기 검사 플레이트(F)상에 배치되어 전선(W)의 수커넥터(40,42,44,48)가 삽입되어 전선(W)의 이상유무가 검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사단자(30,32,34,36)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전선의 검사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검사단자(30,32,34,36)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하나의 검사단자(30)에 의하여 설명한다.
상기 검사단자(30)는 검사 플레이트(F)상에 고정되는 베이스(56)와, 상기 베이스(56)의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벽체(58,60)와, 상기 한 쌍의 벽체(58,60) 사이에 배치되어 유동가능한 하우징(54)과, 상기 하우징(54)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전선(W)의 숫커넥터(48)가 삽입되는 암커넥터(46)와, 상기 하우징(54)을 한 쌍의 벽체(58,60) 사이에 정렬시키는 지지축(66)과, 상기 하우징(54)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62,64)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56)는 검사 플레이트(F)상에 볼트 등에 의하여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베이스(56)는 검사 플레이트(F)상에 적절한 형상, 바람직하게는 패터닝 전선(W)의 형상에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검사 대상 패터닝 전선(W)이 검사 플레이트(F)에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56)를 따라 배치된 검사단자(30)에 의하여 검사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벽체(58,60)는 베이스(56)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며, 서로 대응되어 마주보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벽체(58,60)에는 고정홀(h2,h3)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h2,h3)에는 상기 지지축(66)이 관통하여 고정된다.
이때, 상기 지지축(66)의 일단은 한 쌍의 벽체(58,60)중 일측 벽체(58)에 형성된 고정홀(h2)에 삽입되며, 지지축(66)의 타단은 타측 벽체(60)에 형성된 고정홀(h3)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지지축(66)은 상기 고정홀(h2,h3)에 억지끼움방식에 의하여 삽입됨으로써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지지축(66)의 일측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이 지지축(66)을 상기 고정홀(h2,h3)들을 관통한 후, 볼트 등에 의하여 체결함으로써 고정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54)은 일측에는 암커넥터(46)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수커넥터(48)가 삽입되며, 타측에는 램프 등의 구비됨으로써 전선(W)의 이상 유무를 알려주는 표시부(55)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수커넥터(48)가 상기 암커넥터(46)에 삽입된 후, 상기 패터닝 전선(W)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표시부(55)의 램프가 온 혹은 오프 상태가 되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전선(W)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4)에는 관통홀(h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축(66)이 이 관통홀(h1)을 관통한다. 이때, 상기 관통홀(h1)의 내직경은 지지축(66)의 외직경보다 큰 길이의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지지축(66)이 관통홀(h1)을 관통한 경우에도 상기 하우징(54)은 양측 측방향, 즉 한 쌍의 벽체(58,60) 방향으로 유동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4)의 관통홀(h1)의 입측 및 출측에는 수납홈(h4,h5)이 각각 형성된다. 이 수납홈(h4,h5)에는 상기 탄성부재(62,64)의 일단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하우징(54)은 상기 탄성부재(62,64)에 의하여 양 측면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62,64)는 바람직하게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며, 하우징(54)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 1스프링(62)과, 하우징(54)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 2스프링(64)을 포함한다.
상기 제 1스프링(62)은 상기 지지축(66)의 일측이 삽입되며, 일측은 상기 하우징(54)의 일측 수납홈(h4)에 지지되며, 타측은 한 쌍의 벽체(58,60)중 일측 벽체(58)의 내측면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 1스프링(62)은 상기 하우징(54)의 일측면과 일측 벽체(58)의 사이에 탄력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하우징(54)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스프링(64)은 상기 지지축(66)의 타측이 삽입되며, 일측은 상기 하우징(54)의 타측 수납홈(h5)에 지지되며, 타측은 한 쌍의 벽체중 타측 벽체(60)의 내측면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 2스프링(64)은 상기 하우징(54)의 타측면과 타측 벽체(60)의 사이에 탄력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하우징(54)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결국, 상기 하우징(54)은 상기 지지축(66)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일측은 제 1스프링(62)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타측은 제 2스프링(64)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54)은 지지축(66)을 따라 양측방으로 유동가능하며, 검사후에 수커넥터(48)를 암커넥터(46)로부터 분리한 후에는 상기 암커넥터(46)가 구비된 하우징(54)이 제 1 및 제 2스프링(62,64)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54)이 원위치로 복귀된 초기 상태에서, 다음 패터닝 전선 셋트에 대한 검사가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암커넥터(46)가 구비된 하우징(54)이 양 측방으로 일정 범위 이내에서 유동가능한 구조를 갖음으로써, 상기 패터닝 전선(W)의 수커넥터(48)가 검사단자(30)의 암커넥터(46)와 결합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하우징(54)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커넥터(48)가 암커넥터(46)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탄성부재(62,64)로서 스프링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력을 갖는 재질, 즉, 고무부재, 합성수지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검사장치의 작동과정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선(W) 검사장치에 의하여 패터닝 전선(W)의 이상유무를 검사하는 경우, 먼저 패터닝 전선(W)을 검사 플레이트(F)상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패터닝 전선(W)중 일측의 수커넥터(48)를 다수개의 검사단자(30,32,34,36)중 하나의 검사단자(30)의 암커넥터(46)에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하나의 수커넥터(48)를 일측 검사단자(30)에 삽입시킨 후, 다른 수커넥터(40,42,44)들을 순차적으로 암커넥터(48,50,52)에 결합시킨다.
이때, 수커넥터(40,42,44,48)의 위치가 목표했던 결합위치와 다른 경우, 이 수커넥터(40,42,44,48)에 해당하는 암커넥터(46,48,50,52)가 구비된 전극단자를 일측 방향으로 유동시킴으로써 수커넥터(40,42,44,48)가 암커넥터(46,48,50,52)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하나의 전극단자를 예로 설명하면, 상기 검사단자(30,32,34,36)중 하나의 검사단자(30)의 하우징(54)을 잡고 패터닝 전선(W)의 수커넥터(48)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54)은 지지축(66)에 의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이므로 수커넥터(48)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54)을 수커넥터(48)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수커넥터(48)를 암커넥터(46)에 삽입함으로써 전선(W)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른 검사단자(32,34,36)들에 대하여도 동일한 검사를 실시한다.
전선(W)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후, 다른 패터닝 전선 셋트의 검사를 위하여 상기 수커넥터((40,42,44,48)48)를 암커넥터(46,48,50,52)로부터 각각 분리하게 된다.
이때, 수커넥터(40,42,44,48)가 분리된 암커넥터(46,48,50,52)는 제 1 및 제 2스프링(64)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검사자는 검사단자(30,32,34,36)가 원위치로 복귀된 상태에서 다음 패터닝 전선(W)의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30: 검사단자 54: 하우징
56: 베이스 58,60: 한 쌍의 벽체

Claims (3)

  1. 전선이 안착되는 검사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서로 대응되며, 고정홀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벽체;
    상기 한 쌍의 벽체에 각각 형성된 상기 고정홀에 각각 삽입되는 지지축;
    상기 베이스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한 쌍의 벽체 사이에 배치되며,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이 관통함으로써 상기 지지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전선에 연결된 수커넥터가 삽입되는 암커넥터; 그리고
    상기 지지축의 일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과 한 쌍의 벽체중 일측 벽체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축의 타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과 타측 벽체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전선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관통홀은 입측 및 출측에 제 1 및 제 2수납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검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제 1 및 제 2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 1스프링은 일측은 상기 제 1수납홈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일측 벽체의 내측면에 지지되며, 상기 제 2스프링은 일측은 상기 제 2수납홈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타측 벽체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검사장치.
KR1020100049945A 2010-05-28 2010-05-28 전선 검사장치 KR101056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945A KR101056840B1 (ko) 2010-05-28 2010-05-28 전선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945A KR101056840B1 (ko) 2010-05-28 2010-05-28 전선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6840B1 true KR101056840B1 (ko) 2011-08-12

Family

ID=44933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945A KR101056840B1 (ko) 2010-05-28 2010-05-28 전선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8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2267B1 (ko) 2017-07-27 2017-11-28 주식회사 토마스엔지니어링 전선 이상 검사시스템 및 전선 이상 검사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9180B2 (ja) 1993-11-05 2000-03-13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端子用導通検査治具
KR200403513Y1 (ko) 2005-09-21 2005-12-09 성지산업 주식회사 전선 접속부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9180B2 (ja) 1993-11-05 2000-03-13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端子用導通検査治具
KR200403513Y1 (ko) 2005-09-21 2005-12-09 성지산업 주식회사 전선 접속부 검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2267B1 (ko) 2017-07-27 2017-11-28 주식회사 토마스엔지니어링 전선 이상 검사시스템 및 전선 이상 검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84220B (zh) 用于连接装置的连接栏
KR101874325B1 (ko) 검사장치용 소켓
KR101925385B1 (ko) 테스트 장치 및 커넥션 장치의 배치 구조, 그리고 커넥션 장치
KR101750243B1 (ko) 와이어링 하네스 커넥터 단자 검사장치
CN103855477A (zh) 联接装置的装配
KR20120017001A (ko) 테스트 접점을 구비한 정션 박스
JP6513491B2 (ja) 導通検査装置、電線の導通検査方法、及びワイヤハーネスの導通検査方法
JP2009128216A (ja) 導通検査治具、該導通検査治具を備えた導通検査装置、及び導通検査方法
CN106575554B (zh) 电连接器
KR101056840B1 (ko) 전선 검사장치
US9410991B2 (en) Attachment structure of current sensor and electric conductive member
WO2009084734A1 (en) Connector conduction check apparatus
JP6051921B2 (ja) コネクタ検査装置
US20170010303A1 (en) Adaptable Interface Assembly For Electronic Test And Control Systems
KR101264875B1 (ko) 차량용 케이블의 커넥터 검사를 위한 지그
KR102021084B1 (ko) 피검사체의 단자부 테스트 장치
US10411373B1 (en) Connector for establishing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erminal blocks
CN113252264A (zh) 试验工装
KR101230626B1 (ko) 전자모듈칩 검사용 소켓
JP2017003316A (ja) 導通検査方法及び導通検査装置
KR101388532B1 (ko) 자동차 와이어 하네스 테스트용 테스트 핀 접촉 상태 알람장치
CN109556488B (zh) 一种电连接器检验装置及方法
KR102320035B1 (ko) 커넥터용 복합 환경 내구성 시험 지그
JP5338651B2 (ja) 防水型コネクタ検査装置
KR200443255Y1 (ko) 연결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의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