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513Y1 - 전선 접속부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접속부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513Y1
KR200403513Y1 KR20-2005-0027184U KR20050027184U KR200403513Y1 KR 200403513 Y1 KR200403513 Y1 KR 200403513Y1 KR 20050027184 U KR20050027184 U KR 20050027184U KR 200403513 Y1 KR200403513 Y1 KR 2004035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nector
coupled
ba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옥
Original Assignee
성지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지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지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7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5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5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5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3Environmental or reliability tes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 접속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전기, 전자 기기용 전선과 접속대상물과의 접속된 결합력이 목적하는 검사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전용의 자동화 장치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여 검사 신뢰도 향상 및 신속한 검사작업이 수행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세워져 설치되며, 전방으로 컨넥터 전선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지그가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장착지그의 하측선상에 구비되어 전선을 홀딩하는 홀딩유닛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며, 홀딩유닛이 결합되어 홀딩유닛을 설정된 압력으로 하강 및 원위치 복귀시키는 승강유닛과; 상기 프레임 또는 승강유닛의 하강정도를 감지하기 위해 베이스와 고정결합된 구성의 지점에 설치된 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부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선 접속부 검사장치{Examination apparatus of wire connection part}
본 고안은 전선 접속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전기, 전자 기기용 전선과 접속대상물과의 접속된 결합력이 목적하는 검사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전용의 자동화 장치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여 검사 신뢰도 향상 및 신속한 검사작업이 수행되도록 한 것이다.
전기, 전자 기기용 전선은 여러 소자가 특정의 작동을 목적으로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또는 소자의 리드, 리드 프레임 등에 접속되어 전원공급 및 신호 전달의 용도로 사용되는 도선이다.
이와 같은 전선은 주로 도전체의 심선에 합성수지, 고무 재질의 피복이 쌓여져 구성되며, 접속되는 양단의 피복을 탈피한 후 목적하는 지점에 연결되어 접속되도록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전선을 전기, 전자 기기에 보다 편리하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피복이 탈피된 심선에는 전용의 터미널이 연결되고, 이와 같은 터미널에는 타 전선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컨넥터 등이 접속되어 결합된 구성(이하, 컨넥터 전선)을 채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터미널은 주로 탄성체의 금속으로 제작되어 컨넥터의 내부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므로써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전기, 전자 기기 내에서의 접속불량은 주로 터미널과 컨넥터의 접속부(이하, 접속부)가 상호 이탈되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부는 전선을 출하 또는 전기, 전자 기기의 제작공정에 공급되기 전에 그 결합이 안정적인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요구된다.
상기 접속부의 검사하기 위해 전선 또는 컨넥터를 고정시키고 타측의 전선 또는 컨넥터를 압력계에 걸어 일정한 압력으로 당겨 컨넥터와 전선이 이탈되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장비가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장비는 검사자의 순수 인력에 의해 수행되어 검사작업 시간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일정한 압력으로 컨넥터 또는 전선을 당기는 숙련도가 요구되어 검사자 또는 그에 상응하는 숙련도를 요구하여 전문인력에 대한 고가의 인건비를 지출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순수 인력에 의해 검사과정은 컨넥터 전선 구매업체로 하여금 신뢰도가 하락되는 요인이 되며, 검사작업이 정확하지 못하여 제품의 2차 불량률이 높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써, 전용의 자동화장치 구현에 따른 검사 작업시간의 단축과 전문인력의 과도한 인건비 지출해소 및 높은 검사신뢰도와 더불어 검사된 제품의 2차불량률을 대폭 낮출 수 있도록 한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고안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세워져 설치되며, 전방으로 컨넥터 전선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지그가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장착지그의 하측선상에 구비되어 전선을 홀딩하는 홀딩유닛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며, 홀딩유닛이 결합되어 홀딩유닛을 설정된 압력으로 하강 및 원위치 복귀시키는 승강유닛과; 상기 프레임 또는 승강유닛의 하강정도를 감지하기 위해 베이스와 고정결합된 구성의 지점에 설치된 센서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구성이 적용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검사장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검사장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검사장치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검사장치는 베이스(10), 프레임(20), 홀딩유닛(30), 승강유닛(40), 센서(46)로 이루어진 기본 구성을 갖는다.
상기 베이스(10)는 기본적으로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20)은 베이스(10) 상에 세워져 설치되며, 전방으로 컨넥터 전선(1)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지그(21)가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지그(21)는 컨넥터 전선(1)의 전선(1)이 2개 접속되므로 2개의 슬릿홈(22)이 형성되어 각 슬릿홈(22)에 각각의 전선(1)이 결합되도록 하며, 프레임(20)은 플레이트 형태의 베이스(10) 외에 작업테이블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홀딩유닛(30)은 장착지그(21)의 하측선상에 구비되어 전선(1)을 홀딩하도록 구성되며, 홀더(31), 구동기구(32)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31)는 일측의 것이 고정되고, 타측의 것이 승강유닛(40)의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가압력을 가지며 이동하여 전선(1)을 가압홀딩하도록 구성된 집게 형태의 클램프(clamp)로 적용된다.
상기 구동기구(32)는 홀더(31) 중 일측의 것이 고정결합되고, 타측의 것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홀딩가압력을 제공하며, 승강유닛(40)의 승강구동되는 지점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기구(32)는 홀더(31) 일측의 것을 이동시키는 유/공압 실린더 또는 모터, 링크 등에 의해 직선이동동력을 제공하는 등의 통상의 장치로 구현된다.
도면에서는 컨넥터 전선(C)의 전선(1)이 2개 접속되기 때문에 승강유닛(40)과 홀더(31), 구동기구(32)는 컨넥터(2)와 결합된 전선(1)의 개수에 대응되는 2개조 설치된 것이며, 전선(1)이 1 또는 3 이상일 경우 이와 대응되는 개수의 조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닛(40)은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며, 홀딩유닛(30)이 결합되어 홀딩유닛(30)을 설정된 압력으로 하강 및 원위치 복귀시키도록 구성되며, 고정블록(41), 이동블록(42), 구동기구(43)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블록(41)은 베이스(10) 상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이동블록(42)은 고정블록(41)과 승강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홀딩유닛(30)이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구동기구(43)는 고정블록(41) 또는 이동블록(42)에 설치되어 이동블록(42)이 승강되는 이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기구(43)는 이동블록(42)이 고정블록(41)에 대해 승강되도록 하기 위한 유/공압 실린더 또는 모터, 링크, 볼스크류 등의 결합에 의해 구현된 통상의 직선이동기구이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41)과 이동블록(42)의 결합된 지점에는 어느 일측의 대향면에 가이드 레일(44), 가이드 봉(45)이 장착되고, 타측의 대응지점에 가이드홈, 가이드통공 등이 형성되어 이동블록(42)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46)는 프레임(20) 또는 승강유닛(40)의 하강정도를 감지하기 위해 베이스(10)와 고정결합된 구성의 지점(도면에서는 프레임에 설치됨)에 설치되며, 이는 각 구동기구(43)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선택구성으로 상기 센서(46)에 의해 접속불량이 감지되면 장치자체가 정지되거나 부저 또는 발광소자(미도시) 등에 의해 외부로 표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면 중 부호 50은 선택되어 추가되는 구성으로 배출유닛을 나타내며, 이 배출유닛(50)은 구동기구(51)와 배출로드(52)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기구(51)는 검사완료된 컨넥터 전선(C)의 컨넥터(2)를 장착지그(21)의 외측으로 가압 또는 타격하여 이탈시키기 위해 프레임(20)에 고정결합된 실린더 등으로 적용되며, 상기 배출로드(52)는 구동기구(51)와 연결되어 컨넥터(2)를 가압 또는 타격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배출유닛(50)은 전술된 컨트롤러와 연동되는 풋스위치 등으로 검사자가 검사완료후 스위칭하여 컨넥터 전선(C)을 장착지그(21)에서 이탈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검사장치에 의해 접속부 검사가 수행되는 과정의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4a에서와 같이 작업자가 컨넥터 전선(C)의 전선(1)을 장착지그(21)의 슬릿홈(22)에 끼운후 홀더(31)에 위치시키면, 양측의 홀더(31)는 각각의 구동기구(32)에 의해 전선(1)을 가압홀딩하게 된다.
이 후, 도 4b에서와 같이 승강유닛(40)의 각 구동기구(43)가 구동되어 홀딩유닛(30)을 하강(구체적으로 이동블록을 하강)시키게 되는데, 이 때, 상기 하강되는 예압은 컨넥터(2)와 전선(1)이 결합되어야 하는 결합력과 대응되는 기준압력, 즉, 정상제품이 되기 위한 결합력에 대응하는 압력으로 하강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홀딩유닛(30)의 하강에 의해 전선(1)이 팽팽하게 인장되면, 홀딩유닛(30)은 더 이상 하강되지 않을 경우 정상의 결합력을 갖는 제품으로 판명하게 되며, 홀딩유닛(30) 즉, 이동블록(42)이 과도하게 하강되어 센서(50)에 감지되면 컨넥터(2)에서 전선(1)이 이탈되어 접속불량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접속불량이 발생될 경우, 장치가 정지되며 부저 또는 발광소자가 발광되어 이를 인지한 검사자가 정상 제품과 불량 제품을 구분하여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컨넥터 전선(1)의 배출은 검사가 완료되어 제품의 정상/불량 여부가 판단된 후, 검사자가 풋스위치 등을 조작하게 되면, 도 4c에서와 같이 배출유닛(50)의 구동기구(51)가 구동되어 배출로드(52)가 컨넥터(2)를 가압/타격함에 의해 수행된다.
<다른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정면도,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예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검사장치는 프레임(20)의 장착지그(21) 상면에 공급감지센서(60)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공급감지센서(60)는 컨넥터 전선(1)이 장착지그(21)에 장착되면, 컨넥터(2)의 존재유무를 판단하여 검사시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공급감지센서(60)는 전술된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전용의 자동화장치가 제공되어 전문인력의 과도한 인건비 지출해소에 따른 경제적 이익을 얻게 되며, 검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구매자의 검사신뢰도 향상 및 제품의 2차 불량률 감소에 따른 품질향상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검사장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검사장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검사장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검사장치에 의해 접속부 검사가 수행되는 과정의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정면도.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예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 20: 프레임
21: 장착지그 22: 슬릿홈
30: 홀딩유닛 31: 홀더
32, 43: 구동기구 40: 승강유닛
41: 고정블록 42: 이동블록
46: 센서 50: 배출유닛
60: 공급감지센서

Claims (5)

  1.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 상에 세워져 설치되며, 전방으로 컨넥터 전선(1)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지그(21)가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20)과;
    상기 장착지그(21)의 하측선상에 구비되어 전선(1)을 홀딩하는 홀딩유닛(30)과;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며, 홀딩유닛(30)이 결합되어 홀딩유닛(30)을 설정된 압력으로 하강 및 원위치 복귀시키는 승강유닛(40)과;
    상기 프레임(20) 또는 승강유닛(40)의 하강정도를 감지하기 위해 베이스(10)와 고정결합된 구성의 지점에 설치된 센서(4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부 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유닛(30)은
    일측의 것이 고정되고, 타측의 것이 승강유닛(40)의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가압력을 가지며 이동하여 전선(1)을 가압홀딩하는 홀더(31)와;
    상기 홀더(31) 중 일측의 것이 고정결합되고, 타측의 것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홀딩가압력을 제공하며, 승강유닛(40)의 승강구동되는 지점에 결합된 구동기구(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유닛(40)과 홀더(31), 구동기구(32)는 컨넥터(2)와 결합된 전선(1)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부 검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40)은
    베이스(10) 상에 고정설치된 고정블록(41)과;
    상기 고정블록(41)과 승강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홀딩유닛(30)이 결합된 이동블록(42)과;
    상기 고정블록(41) 또는 이동블록(42)에 설치되어 이동블록(42)이 승강되는 이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구(4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부 검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검사완료된 컨넥터 전선(C)의 컨넥터(2)를 장착지그(21)의 외측으로 가압 또는 타격하여 이탈시키기 위해 프레임(20)에 고정결합된 구동기구(51)와, 구동기구(51)와 연결되어 컨넥터(2)를 가압 또는 타격하는 배출로드(52)를 갖추어서 된 배출유닛(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부 검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의 장착지그(21)에 설치되어 컨넥터 전선(C)이 장착지그(21)에 장착되면, 컨넥터(2)의 존재유무를 판단하여 검사시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공급감지센서(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부 검사장치.
KR20-2005-0027184U 2005-09-21 2005-09-21 전선 접속부 검사장치 KR2004035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184U KR200403513Y1 (ko) 2005-09-21 2005-09-21 전선 접속부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184U KR200403513Y1 (ko) 2005-09-21 2005-09-21 전선 접속부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513Y1 true KR200403513Y1 (ko) 2005-12-09

Family

ID=43704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184U KR200403513Y1 (ko) 2005-09-21 2005-09-21 전선 접속부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5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840B1 (ko) 2010-05-28 2011-08-12 (주)티에이치엔 전선 검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840B1 (ko) 2010-05-28 2011-08-12 (주)티에이치엔 전선 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41142A1 (en) Device and method for planeness testing
CN208953657U (zh) 一种芯片自动连接测试设备
CN104614610A (zh) 一种测试pcba的模块化针床工装
CN112161558B (zh) 探针行程自动检测系统
CN111551841B (zh) 一种自动ict测试装置
KR200403513Y1 (ko) 전선 접속부 검사장치
KR101111443B1 (ko) 하이브리드 입력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KR20210035589A (ko) 디스플레이 패널 테스트 장치
CN204166077U (zh) 一种pcba板高效保质防错测试工装治具
JP2007278852A (ja) 基板検査装置及び基板検査方法
KR101372559B1 (ko)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
CN115041422A (zh) 一种电子元器件半自动检测分选设备
KR101392163B1 (ko) 스크린 프린터용 스퀴즈 블레이드의 평탄도 검사장치
CN203133221U (zh) 用于线束导通测试仪的测试治具
KR100905804B1 (ko) 프로브 카드용 피시비에 부착된 릴레이의 테스트 장치
CN111947557A (zh) 一种触控屏贴膜偏位的检测压头、检测设备及检测方法
CN220064164U (zh) 组合线产品测试工装
CN111370342A (zh) 一种集成电路板到位检测治具
CN201066376Y (zh) 空板柔性线路板的测试治具
CN216144911U (zh) 一种电路板测试装置
CN219122343U (zh) 一种带液晶显示的pcba板全自动批量检测装备
CN208537138U (zh) 一种led柔性高密度板灯色测试治具
CN219777822U (zh) 一种电动工具测试设备
CN212255661U (zh) 焊接金属片测试机构
CN220542609U (zh) 一种脚踏开关线束应力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