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467B1 - 가열 조리기 및 덮개 - Google Patents

가열 조리기 및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467B1
KR102018467B1 KR1020187002395A KR20187002395A KR102018467B1 KR 102018467 B1 KR102018467 B1 KR 102018467B1 KR 1020187002395 A KR1020187002395 A KR 1020187002395A KR 20187002395 A KR20187002395 A KR 20187002395A KR 102018467 B1 KR102018467 B1 KR 102018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oking vessel
steam
lid
steam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2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1845A (ko
Inventor
쿄코 이시하라
시게유키 나가타
치히로 이토
토모아키 코부세
히로시 코이케
츠요시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1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가열 조리기(1)는, 개구부(11a)를 갖는 조리용기(11)와, 개구부(11a)를 막는 덮개체로서의 속덮개(21)와, 속덮개(21)에 가동으로 구비되고,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에 응하여 변위하는 수압부(32)와, 속덮개(21)에 대해 가동으로 구비된 밸브체로서의 증기 배출밸브(31)를 구비하고, 속덮개(21)에 조리용기(11)의 내부(11e)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증기 배출구(21a)가 구비되어 있고, 증기 배출구(21a)의 개구면적은 증기 배출밸브(31)에 의해 조절되고,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감압 프로세스 중에서의 수압부(32)의 변 위에 응하여 증기 배출구(21a)의 개구면적이 서서히 증가한다.

Description

가열 조리기 및 덮개
본 발명은, 가열 조리기 및 그 덮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리용기의 내부의 감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압력 밥솥(炊飯器) 등과 같은 가열 조리기에서의 조리용기의 내부의 압력의 조절에 관한 여러 가지의 제안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조리용기인 밥솥 냄비(炊飯鍋)와, 그 덮개와, 밥솥 냄비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 및 제2의 배기 통로와, 제1의 배기 통로를 폐색하는 제1의 밸브체와, 제2의 배기 통로를 폐색한 제2의 밸브체와, 온 오프 제어에 의해 제1 및 제2의 밸브체를 각각 동작시키는 제1 및 제2의 구동 수단(솔레노이드)을 구비한 가열 조리기(압력 밥솥)를 제안하고 있다.
일본 특개2009-82755호 공보(예를 들면, 도 1, 요약, 청구항 1)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가열 조리기는, 배기 통로(제1 및 제2의 배기 통로)에 마련된 밸브체(제1 및 제2의 밸브체)를 온과 오프(열림상태와 닫힘상태의 2개의 상태)의 어느 하나로 전환하고 있기 때문에, 증기의 배출 속도(단위시간당의 배출량)를 일정하게 할 수가 없다. 따라서 조리용기의 내부의 압력이 높은 때에 배기 통로를 개방하면(밸브체를 열림상태로 전환하면), 개방 직후에 배기 통로로부터 증기가 강한 세력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유저에게 불쾌감(예를 들면, 놀람 또는 공포감)을 줄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저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배기 통로가, 작은 개구면적을 갖는 통로로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증기의 배출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조리용기의 내부를 단시간에 (즉, 신속하게) 감압할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유저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 없고, 단시간에 조리용기의 내부의 감압을 행할 수 있는 가열 조리기 및 그 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가열 조리기는, 개구부를 갖는 조리용기와, 상기 개구부를 막는 덮개체와, 상기 덮개체에 가동(可動)으로 구비되고,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의 압력에 응하여 변위하는 수압부(受壓部)와, 상기 덮개체에 대해 가동으로 구비된 밸브체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체 및 상기 수압부의 어느 하나에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증기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증기 배출구의 개구면적은 상기 밸브체에 의해 조절되고,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의 감압 프로세스 중에서의 상기 수압부의 변위에 응하여 상기 개구면적이 서서히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덮개는, 개구부를 갖는 조리용기의 상기 개구부를 막는 덮개체와, 상기 덮개체에 가동으로 구비되고,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의 압력에 응하여 변위하는 수압부와, 상기 덮개체에 대해 가동으로 구비된 밸브체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체 및 상기 수압부의 어느 하나에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증기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증기 배출구의 개구면적은 상기 밸브체에 의해 조절되고,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의 감압 프로세스 중에서의 상기 수압부의 변위에 응하여 상기 개구면적이 서서히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 없고, 단시간에 조리용기의 내부의 감압을 행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가열 조리기의 구조(증기 배출밸브의 로크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가열 조리기의 주요부의 구조(증기 배출밸브의 로크 해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되는 가열 조리기의 제어계의 구성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4(a) 및 (b)는, 도 1에 도시되는 가열 조리기의 증기 배출밸브, 수압부, 및 링크 기구의 동작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5(a)부터 (d)는, 도 1에 도시되는 가열 조리기의 감압 프로세스에서의 증기 배출 동작의 한 예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가열 조리기의 덮개체에 구비된 증기 배출부의 구조(조리용기의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과 동등한 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7(a) 및 (b)는,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가열 조리기의 가열 프로세스에서의 증기 배출부의 증기 배출 동작(조압(調壓)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8(a) 및 (b)는,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가열 조리기의 감압 프로세스에서의 증기 배출부의 증기 배출 동작(감압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9는 실시의 형태 2의 변형례에 관한 가열 조리기의 증기 배출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일부 노치 사시도.
도 10(a) 및 (b)는, 도 9에 도시되는 가열 조리기의 증기 배출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 및 단면도.
≪1≫ 실시의 형태 1
≪1-1≫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가열 조리기(1)의 구조(증기 배출밸브(31)의 로크(lock)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가열 조리기(1)의 주요부의 구조(증기 배출밸브(31)의 로크 해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가열 조리기(1)는, 예를 들면, 압력 밥솥, 압력 조리기, 압력 냄비, 및 가열 압력 조리기하고도 칭하여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열 조리기(1)는, 주요한 구성 요소로서, 개구부(11a)를 갖는 냄비형상(鍋狀) 용기인 조리용기(조리 냄비(調理鍋))(1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가열 조리기(1)는, 조리용기(11)의 내부(11e)(피가열물을 수용하는 공간)와 외부(대기 공간)를 연통시키는 증기 배출구(연통구멍(21a))를 가지며, 조리용기(11)의 개구부(11a)를 막는 덮개체로서의 속덮개(2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가열 조리기(1)는, 속덮개(21)에 가동으로 구비되고,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에 응하여 변위(이동)하는 수압부(32)와, 속덮개(21)에 대해 가동으로 구비되고, 증기 배출구(21a)의 개구면적을 조절하는 밸브체로서의 증기 배출밸브(31)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수압부(32)의 변위는, 예를 들면, 변형을 수반하지 않는 이동(병진(竝進)), 및, 변형을 수반하는 이동(신축)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수압부(32)는, 속덮개(21)에 형성된 연통구멍인 가이드구멍(21b) 내에서 변위하는 주름상자형상(사복상(蛇腹狀)의 부재(신축(伸縮)부재 또는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수압부(32)는, 가이드구멍(21b) 내에서 조리용기(11)의 내부(11e)와 외부를 격리하고 있고,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이 상승하면 수압부(32)를 구성하는 주름상자형상의 부재는 늘어나서, 가이드구멍(21b)의 내벽에 따라 수압부(32)의 정상부(頂部)를 상승시킨다. 또한, 가열 조리기(1)는,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감압 프로세스에서의 수압부(32)의 변위(가이드구멍(21b)의 내벽에 따른 이동)에 응하여, 증기 배출구(21a)의 개구면적이 서서히 증가하도록 증기 배출밸브(31)를 변위(도 2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링크 기구(33)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감압 프로세스는, 조리를 위한 가열 프로세스의 종료 후로서, 유저가 속덮개(21)를 열기(통상은, 후술하는 바깥덮개(24)와 함께 속덮개(21)를 열기) 전에 행하여진다. 또한, 증기 배출밸브(31)는, 예를 들면, 선단을 향하여 가늘어지는 니들(needle)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덮개는, 덮개체로서의 속덮개(21)와, 수압부(32)와, 밸브체로서의 증기 배출밸브(3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가열 조리기(1)는,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을 또한 구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열 조리기(1)는, 장치 본체(12)와, 장치 본체(12) 내에 고정된 용기 커버(13)를 구비하고 있다. 조리용기(11)는, 용기 커버(13) 내에 착탈 자유롭게 수용된다. 또한, 가열 조리기(1)는, 용기 커버(13)의 외측에 배치된 가열용의 가열부로서의 가열 코일(14)을 구비하여도 좋다. 가열 코일(14)은, 예를 들면, 스파이럴(spiral)형상으로 선회되어 있고, 가열 코일(14)에는 고주파 전류가 공급된다. 조리용기(11)는, 가열 코일(14)에 의한 전자유도에 의해 발생한 유도전류에 의해 발열한다.
가열 조리기(1)는, 용기 커버(13)의 바닥의 중앙 위치에 형성된 구멍부(13a)에 관통하여 마련된 냄비바닥 온도 센서(15)와, 냄비바닥 온도 센서(15)의 하면을 밀어올리는 압축 스프링(16)과, 장치 본체(12)의 외벽에 구비된 조작 표시부(17)를 구비하여도 좋다. 또한, 조리용기(11)의 측벽의 외측에는, 손잡이부(11c)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 커버(13)는, 조리용기(11)와 용기 커버(13)와의 사이에, 손가락(手指)이 들어가는 정도가 간격이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리용기(11)는, 그 상부의 연(緣)에 플랜지(11b)를 가져도 좋다. 플랜지(11b)에는, 예를 들면, 복수의 노치부가 마련되어 있다. 단, 장치 본체(12), 용기 커버(13), 가열 코일(14), 및 조리용기(11)의 형상 및 배치, 및 가열 코일(14)의 가열 방식은, 상기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부(예를 들면, 가열 코일(14))을 구비하고 있지 않는 장치(예를 들면, 압력 냄비)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조리용기(11)는, 가열 조리기(1)와는 별개의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압력 조리기(압력 냄비)의 덮개체(속덮개)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가열 조리기(1)의 속덮개(21)의 주연부에는, 예를 들면, 환형상(環狀)의 실재(seal材)로서의 덮개 패킹(22)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 패킹(22)에 의해, 조리용기(11)의 플랜지(11b) 및 측벽의 내면(11d)과 속덮개(21)와의 밀폐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열 조리기(1)에는, 속덮개(21)와 조리용기(11)의 플랜지(11b)를 끼우도록 로크링(lock ring)(23)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저는, 로크링(23)을 플랜지(11b)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을 행함에 의해, 조리용기(11)의 플랜지(11b)의 노치부(도시 생력)와 로크링(23)을 맞물리게 하여, 로크링(23)을 플랜지(11b)에 고정할 수 있다. 로크링(23)의 고정에 의해, 조리용기(11)의 개구부(11a)는, 속덮개(21)에 의해 강고하게 밀폐된다. 단, 조리용기(11)의 개구부(11a)를 속덮개(21)에 의해 강고하게 밀폐시키는 기구는, 플랜지(11b)와 로크링(23)과의 조합 이외의 기구라도 좋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가열 조리기(1)는, 속덮개(21) 및 로크링(23)을 덮고서, 장치 본체(12)에 개폐 자유롭게 계지된 바깥덮개(24)를 구비하고 있다. 바깥덮개(24)는, 바깥덮개(24)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으로서의 외부 증기구(24a)를 갖고 있다. 따라서 조리용기(11)의 내부(11e)는, 증기 배출구(21a) 또는 속덮개(21)에 형성된 연통구멍인 조압 증기구(21c)와, 외부 증기구(24a)를 통하여, 외부(대기 공간)와 연통할 수 있다.
조압(調壓) 증기구(21c)상에는, 조압 증기구(21c)를 막도록 추(錘)(35)가 구비되어 있다. 추(35)는, 예를 들면, 구체(球體)이지만, 추(35)의 형상은 조압 증기구(21c)의 개구를 폐색 가능한 형상이라면, 구체로 한정되지 않는다. 증기 배출구(21a)와 증기 배출밸브(31)와의 사이, 및, 조압 증기구(21c)와 추(35)와의 사이에는, 각각 밀폐성을 높이도록 하기 위해 패킹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조압 증기구(21c)로부터의 증기의 배출에 의한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의 조절은, 조리를 위한 가열 프로세스에서 행하여지고, 증기 배출구(21a)로부터의 증기의 배출은, 가열 프로세스 후의 감압 프로세스에서 행하여진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가열 조리기(1)는, 증기 배출구(21a)에 구비된 증기 배출밸브(31)를 폐색 상태에서 비가동으로 한 상태인 로크 상태, 또는, 증기 배출밸브(31)를 가동으로 한 상태인 로크 해제 상태의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전환부로서의 감압 시작부(開始部)(34)를 구비하고 있다. 로크 상태에서는, 솔레노이드 등으로 구성된 감압 시작부(34)의 당접(當接) 부재(34a)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증기 배출밸브(31)의 정상부에 당접하고, 증기 배출밸브(31)를 압하(押下)하여, 증기 배출밸브(31)가 증기 배출구(21a)를 폐색한다. 로크 해제 상태에서는, 감압 시작부(34)의 당접 부재(34a)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증기 배출밸브(31)의 정상부로부터 떨어져서, 증기 배출밸브(31)의 변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링크 기구(33)는,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의 저하에 수반하는 수압부(32)의 변위에 응하여, 증기 배출구(21a)의 개구면적이 서서히 증가하도록 증기 배출밸브(31)를 변위시킨다. 링크 기구(33)는,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감압 프로세스(감압 기간 중)에서의 수압부(32)의 변위에 응하여 증기 배출구(21a)의 개구면적을 서서히 증가시킨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링크 기구(33)는, 속덮개(21)에 구비된 지축(支軸)(지점)(33a)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링크부(봉형상(棒狀) 부재(33b))를 가지며, 링크부(33b)는, 증기 배출밸브(31)에 연결된 제1의 단부(端部)(작용점)와 수압부(32)에 연결된 제2의 단부(역점)를 갖고 있다. 단, 링크 기구(33)의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바깥덮개(24)에는, 조리용기(11) 내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로서의 덮개 온도 센서(36)가 구비되어도 좋다. 속덮개(21)의 관통구멍(21d)과 덮개 온도 센서(36)는, 예를 들면, 덮개 온도 센서(36)의 외주에 패킹을 구비함에 의해,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덮개 온도 센서(36)는, 속덮개(21)의 관통구멍(21d)을 통하여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피가열물(음식재료, 물 등)의 온도를 검지할 수 있다.
≪1-2≫ 동작
도 3은, 가열 조리기(1)의 제어계의 구성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4(a) 및 (b)는, 가열 조리기(1)의 증기 배출밸브(31), 수압부(32), 및 링크 기구(33)의 동작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5(a)부터 (d)는, 가열 조리기(1)의 감압 프로세스에서의 증기 배출 동작의 한 예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4(a) 및 (b)는, 도 2에 도시되는 로크 해제 상태에서, 증기 배출밸브(31)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도 4(a) 및 (b)에서, 도 2에 도시되는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도 2에 도시되는 부호와 같은 부호를 붙인다. 또한, 도 4(a) 및 (b)에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으로서, 증기 배출밸브(31)를 밀어올리는 방향의 힘을 증기 배출밸브(31)에 부여하는 탄성부재로서의 코일 스프링(37)이 도시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37)은, 임의의 구성이고, 조리용기(11)의 내부(11e)가 대기압일 때에, 수압부(32)가 자중(自重)에 의해 하강하는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37)을 구비할 필요는 없다.
가열 조리기(1)에 의해 조리를 시작할 때에, 유저는, 음식재료, 물 등의 피가열물을 조리용기(11) 내에 넣고, 조리용기(11)를 용기 커버(13) 내에 재치하고, 그 후, 바깥덮개(24)를 닫는다. 바깥덮개(24)가 닫히면, 속덮개(21)의 덮개 패킹(22)이 조리용기(11)의 플랜지(11b) 및 조리용기(11)의 내면에 압접되어,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공간은 밀폐 상태가 된다. 또한, 로크링(23)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저는, 로크링(23)을 회전시켜서고 속덮개(21)를 조리용기(11)의 플랜지(11b)에 고정하기 위한 조작을 행하여도 좋다. 유저가, 예를 들면, 조작 표시부(17)의 조리 시작 스위치를 온으로 하면, 가열 조리기(1)는 조리용기(11)의 가열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가열 프로세스의 시작 후, 예를 들면, 감압 시작부(34)의 당접 부재(34a)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증기 배출밸브(31)의 정상부를 압하하여, 증기 배출밸브(31)는 로크 상태가 된다. 가열 코일(14)에는, 인버터부(42)로부터 고주파 전류가 공급되고, 고주파 자계가 발생하고, 가열 코일(14)과 자기(磁氣) 결합한 조리용기(11)의 가열 코일(14)과의 대향면이 여자(勵磁)되고, 조리용기(11)의 바닥면에 와전류가 유기(誘起)된다. 이 와전류와, 조리용기(11)가 갖는 저항에 의해 줄 열이 발생하고, 조리용기(11)의 바닥면이 발열하여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피가열물이 가열된다. 조리용기(11)의 내부(11e)에서 비등이 생기기 시작한 시점에서는, 증기 배출밸브(31)는, 감압 시작부(34)에 로크 상태로 되어 있고, 조압 증기구(21c)를 자중에 의해 막는 추(35)에 의해, 조리용기(11)의 내부(11e)로부터의 증기의 배출이 방해되어 있고,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이 상승한다. 조압 증기구(21c)의 개구면적과 조압 증기구(21c)를 막는 추(35)의 중량에 의해,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의 상한치가 설정된다. 예를 들면, 조압 증기구(21c)의 직경(φ)이 1㎜이고, 추(35)의 중량이 10g이라면,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의 상한치는, 약 2.2기압(氣壓)(abs)이다.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이 설정된 상한치에 달하면,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증기가 추(35)를 밀어올리고, 증기가 조압 증기구(21c) 및 외부 증기구(24a)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 때문에,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은,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의 상한치의 부근에서 대강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 후, 가열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가열 프로세스의 종료 직후에,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은, 대기압보다도 높은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바깥덮개(24) 및 속덮개(21)를 개방하면, 압력 변화(급감)에 의해 돌비(突沸)가 일어나,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음식재료가 튀어나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바깥덮개(24)의 개방은,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을 대기압까지 내리는 감압 프로세스의 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감압 프로세스에 즈음하여, 증기 배출구(21a)를 단숨에 전개방(全開放)(개구면적을 최대)으로 한 경우에는,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으로 돌비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배출된 증기의 세력이 강하기 때문에, 유저에게 불쾌감(예를 들면, 놀람 또는 공포감)을 눌 우려가 있다. 또한, 감압 프로세스에 즈음하여, 증기 배출구(21a)의 개구면적이 너무 작으면, 배출되는 증기의 세력은 약한 것이지만, 감압을 단시간에(신속하게) 행할 수가 없다. 그래서, 가열 조리기(1)의 감압 프로세스에서는, 방출되는 증기의 세력을 억제하면서,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을 신속하게 대기압까지 감압하는 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가열 조리기(1)에서는, 가열 프로세스 후의 감압 프로세스에 있어서,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이 높은 때에는, 증기 배출구(21a)의 개구면적을 작게 하고,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의 저하에 응하여 증기 배출구(21a)의 개구면적을 서서히 증가시키는 링크 기구(33)를 채용하고 있다.
다음에, 도 4(a) 및 (b) 및 도 5(a)부터 (d)를 이용하여 감압 프로세스에서의 증기 배출 동작을 설명한다.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에 의해 수압부(32)가 변위하면, 수압부(32)에 접속된 수압 동작부(32a)가 링크부(33b)의 제2의 단부를 밀어올리고, 증기 배출밸브(31)와 수압 동작부(32a)는, 지축(33a)을 중심으로 하여 링크부(33b)를 (도 4(a) 및 (b)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요동시킨다. 도 4(a)는, 증기 배출밸브(31)가 개방되어,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이 대기압인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증기 배출밸브(31)가 증기 배출구(21a)를 막도록 감압 시작부(34)에 의해 유지되어,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이 상승하고 있는 상태이다.
감압 시작부(34)는, 증기 배출밸브(31)를 하방향으로 꽉눌러서, 증기 배출구(21a)를 막음으로써 증기 배출구(21a)를 폐색 상태로 함으로써, 조리용기(11)를 밀폐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가열 프로세스를 행함에 의해,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공간이 증기로 채워지고,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이 상승하고,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의 상승에 따라 수압부(32)에 압력이 가하여지고, 수압부(32)에 도 4(a) 및 (b)에서의 상방향으로의 힘이 부여된다. 감압 시작부(34)를 동작시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증기 배출밸브(31)를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을 해제하면,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 및 코일 스프링(37)에 상방향의 힘에 의해, 증기 배출밸브(31)는, 미리 설정된 위치(예를 들면, 도 5(b)에서의 개구면적(A1)의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때, 가령, 수압부(32)가 미리 설정된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의 상한치로 상승한 상태에서, 증기 배출밸브(31)가 정확하게 폐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다면(즉, 도 5(b)에 도시되는 개구면적(A1)이 제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다면), 감압 시작부(34)를 구동하여 증기 배출밸브(31)를 로크 해제 상태로 하여도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에 의해 증기 배출밸브(31)가 폐색한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면, 방냉(放冷)되어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이 저하될 때까지 증기 배출밸브(31)가 움직이지 않게 되고, 감압에 필요로 한 시간이 길어진다. 그래서, 감압 시작부(34)에 의해 로크 해제 상태가 된 증기 배출밸브(31)는, 로크 해제 상태가 된 직후에, 증기 배출구(21a)의 개구면적(예를 들면, 도 5(b)에서의 개구면적(A1))이 약 2㎟ 이하가 되는 위치로 변위하고, 배기를 시작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이하는,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이 2.2기압(abs)이 되었을 때에, 유저에게 불쾌감(예를 들면, 놀람 또는 공포감)를 주지 않는 증기 배출구(21a)의 개구면적이다.
증기 배출밸브(31)가 이동하고, 증기 배출구(21a)가 개방한 직후에는, 수압부(32)는, 상방향의 힘에 의해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링크 기구(33)에 의해 연결된 증기 배출밸브(31)에 의해 증기 배출구(21a)의 개구면적이 미리 결정된 상한치 이상이 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증기 배출구(21a)로부터 증기를 배출하고,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이 저하됨에 따라, 수압부(32)를 상승시키는 힘이 약해져서, 수압부(32)는, 서서히 하강한다. 수압부(32)가 하강하면 수압 동작부(32a)도 동시에 하강하고, 증기 배출밸브(31)는 서서히 상승한다. 증기 배출밸브(31)는, 선단이 가는 형상의 니들형상이고, 증기 배출구(21a)는, 통형상(筒狀)이기 때문에, 증기 배출밸브(31)가 상승함에 따라 증기 배출구(21a)의 개구면적은 서서히 커진다.
도 5(a)는, 감압 시작부(34)에 의한 증기 배출밸브(31)의 로크 상태를 시각(t0)에서 해제하고, 시각(t0) 이후는 로크 해제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5(b)는, 시각(t0)부터 시각(t1)까지의 감압 프로세스에서의 증기 배출구(21a)의 개구면적의 변화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c)는, 감압 프로세스에서의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의 변화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d)는, 감압 프로세스에서 배출되는 증기의 세력(증기 배출 속도)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부터 (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감압 시작부(34)에 의한 증기 배출밸브(31)의 로크 상태를 오프로 하면(로크 해제 상태로 하면), 증기 배출구(21a)가 개방되고, 미리 설정된 개구면적(A1)을 얻는다. 그에 수반하여, 조리용기(11)의 내부(11e)로부터 증기가 방출되고, 서서히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이 저하되고,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의 저하에 수반하여 수압부(32)가 변위(하강)하여, 증기 배출구(21a)의 개구면적이 서서히 증가한다. 이때, 도 5(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방출된 증기의 세력(B1)은, 유저가 허용하는 상한의 세력에 가까운, 거의 일정치가 되도록 증기 배출밸브(31) 및 수압부(32)를 설정하면, 가장 신속하게 감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감압 프로세스의 기간(t1-t0)을 단축할 수 있다.
수압부(32)는,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을 수압 동작부(32a)에 전달하면서, 조리용기(11)의 밀폐를 유지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수압부(32)가 주름상자형상의 부재로 구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수압부(32)가 주름상자형상의 부재를 이용하면, 주름상자형상의 부재를 속덮개(21)에 부착하는 형태로 설치함에 의해, 밀폐를 유지하면서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 상태로 수압 동작부(32a)를 변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증기 배출밸브(31)를 니들형상으로 한 경우에, 증기 배출 속도를 일정한 세력으로 유지하고, 재빠른 감압을 실현하려면, 증기 배출밸브(31)의 테이퍼 각도가 2패턴 이상의 각도의 조합이든지, 또는, 증기 배출밸브(31)의 테이퍼 각도가 곡면형상으로 연속적으로 최적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에 응하여 변위하는 수압부(32)와 이것에 링크한 상태에서 증기 배출밸브(31)를 변위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외기 온도에 의한 냉각 속도나, 내용량(內容量)에 의한 증기량의 차이를 고려하는 일 없이,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 변화에 응하여, 최적의 증기구의 개구면적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열 조리기(1)는, 로버스트성(robust性)에 우수하고, 외적 요인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렵다.
≪1-3≫ 변형례
상기 설명에서는, 수압부(32) 및 증기 배출밸브(31)가 상하 방향으로 변위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변위의 방향은 상하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을 이용하는 변위라면 수평 방향(도 1에서의 횡방향) 또는 기타의 방향으로 변위하는 구조라도 좋다.
상기 설명에서는, 조압 증기구(21c)를 막는 추(35)는 구형상으로 하였지만, 추(35)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스프링 등으로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이 일정 이상이 되었을 때에 증기를 놓아주는 기구라면, 추(35)에 대신하여 밸브와 이 밸브를 조압 증기구(21c)를 향하여 꽉 누르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기구 등과 같은, 다른 기구라도 좋다.
상기 설명에서는, 감압 시작부(34)는, 솔레노이드에 당접 부재(34a)를 이동시키는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감압 시작부(34)는 통전(通電) 오프에서 증기 배출구(21a)를 로크 해제 상태로 하고, 통전 온에서 증기 배출구(21a)를 로크 상태로 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이 높은 상태에서 정전(停電)이 일어난 경우에, 증기 배출구(21a)가 개방되고, 증기를 서서히 놓아주어 조리용기(11)의 내부(11e)를 대기압까지 저하시킬 수가 있어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증기 배출구(21a)와 조압 증기구(21c)를 제각기 마련한 구조를 설명하였지만, 증기 배출구(21a)를 막는 증기 배출밸브(31)를,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이 설정치를 초과한 때에 해방하도록 구성하면, 조압 증기구(21c) 및 추(35)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증기 배출밸브(31)와 감압 시작부(34)의 당접 부재(34a)와의 사이에 설정치 이상의 힘을 받아 휘는(수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조리용기(11)의 내부(11e)가 결정된 설정 압력 이상이 되었을 때에, 증기 배출밸브(31)가 이동하여,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증기를 놓아주어, 조리용기(11)의 내부(11e)를 일정 압력으로 유지하도록 하면 좋다. 이와 같은 기구의 한 예는, 실시의 형태 2로서 설명된다.
또한, 증기 배출밸브(31)의 형상은, 니들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증기 배출구의 개구면적을 서서히 변경 가능한 형상이라면,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
≪1-4≫ 효과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가열 조리기(1)에 의하면, 유저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 없이, 단시간에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감압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감압 프로세스에서 대강 일정한 세력으로 서서히 증기를 배출하기 때문에, 급격한 압력 변화에 의해 내용물이 외부로 분출하는 돌비가 일어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증기 그 자체 또는 음식재료가 분출이 생기는 일은 없다.
또한, 간소한 구조(지축(33a)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구조)에 의해, 압력의 저하에 수반하는 수압부(32)의 변위에 응하여, 증기 배출구(21a)의 개구면적이 서서히 증가하도록 증기 배출밸브(31)를 변위시키는 링크 기구(33)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증기 배출구(21a)를 폐색한 상태에서 증기 배출밸브(31)를 비가동 상태로 하는 로크 상태 또는 증기 배출밸브(31)를 가동 상태로 하는 로크 해제 상태의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전환부인 감압 시작부(34)로서, 솔레노이드 등의 간단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오프시에 솔레노이드를, 증기 배출밸브(31)를 로크 해제 상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정전 발생시에 신속하게 조리용기(11)의 내부(11e)를 감압할 수가 있어서, 유저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2≫ 실시의 형태 2
≪2-1≫ 구성
실시의 형태 1에서는, 가열 프로세스에서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압부(조압 증기구(21c) 및 추(35))와, 감압 프로세스에서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을 감압하기 위한 감압부(증기 배출구(21a) 및 증기 배출밸브(31))를, 별개의 구조로 한 경우를 주로 설명하였다. 이에 대해, 실시의 형태 2에서는, 가열 프로세스에서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압부와, 감압 프로세스에서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을 감압하기 위한 감압부를, 공통의 구조(증기 배출부)로 하고 있다. 이 점을 제외하고, 실시의 형태 2는,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따라서 실시의 형태 2의 설명에 즈음하여서는, 도 1도 부분적으로(증기 배출부 이외의 구조에 관해) 참조한다. 또한, 실시의 형태 2의 설명에 즈음하여서는, 실시의 형태 1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가열 조리기(2)의 덮개(50)에 구비된 증기 배출부의 구조(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이 대기압과 동등한 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7(a) 및 (b)는, 가열 조리기(2)에 구비된 증기 배출부의 가열 프로세스에서의 조압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8(a) 및 (b)는, 가열 조리기(2)에 구비된 증기 배출부의 감압 프로세스에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열 조리기(2)는, 주요한 구성 요소로서, 조리용기(11)(도 1에 도시된다)와, 조리용기(11)의 내부(11e)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조압구(연통구멍(50a))를 가지며, 조리용기(11)의 개구부(도 1에어서의 11a)를 막는 덮개체로서의 속덮개(5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가열 조리기(2)는, 속덮개(50)의 조압구(50a)에 가동(도 6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으로 구비되고,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에 응하여 변위(이동)하고, 조리용기(11)의 내부(11e)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가동형 증기구(증기 배출구)(51a)를 갖는 수압부로서의 가동 수압 부재(5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가열 조리기(2)는, 속덮개(50)에 대해 가동으로 구비되고, 증기 배출구인 가동형 증기구(51a)의 개구면적을 조절하는 밸브체로서의 증기 배출밸브(52)를 구비하고 있다. 증기 배출밸브(52)는, 로크부(53)에 마련된 구멍 부분(53a)에 따라 이동 가능하고, 조압부재로서의 조압 스프링(54)에 의해 도 6에서의 하향의 가세력을 받는다. 또한, 로크부(53)는, 대경의 가세 스프링(58)에 의해 도 6에서의 상향의 가세력을 받는다. 또한, 속덮개(50)는, 가동 수압 부재(51)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부(55)를 갖고 있다. 또한, 공간(59)은, 대기(大氣) 공간이다.
도 6의 예에서는, 가동 수압 부재(51)는, 속덮개(50)에 형성된 조압구(50a) 내에서 변위(도 6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 통형상의 가동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가열 조리기(2)는,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감압 프로세스에서의 가동 수압 부재(51)의 변위에 응하여, 가동형 증기구(51a)의 개구면적이 서서히 증가하도록 증기 배출밸브(52)를 변위(도 6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가동 수압 부재(51)는,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도 6에어서 상방향으로에 상승하고, 도 7(a) 및 (b) 및 도 8(a) 및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증기 배출밸브(52)는, 가동 수압 부재(51)의 가동형 증기구(51a)가 상승하는데 수반하여 가동형 증기구(51a)를 막은 채로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증기 배출밸브(52)는, 예를 들면, 조리용기(11)의 내부(11e)를 향하여 가늘어지는 니들 밸브이다. 증기 배출밸브(52)와 가동형 증기구(51a)와의 위치 관계에 의해, 증기 배출구(51a)의 개구면적이 변경된다. 증기 배출밸브(52)의 동작 스트로크(stroke)는, 감압 시작부(도 1에서의 34)의 당접 부재(34a)에 의해 로크(이동이 제한)되는 로크부(53)와 조압부재로서의 조압 스프링(54)에 의해 규제되고, 또한, 가동형 증기구(51a)의 스트로크는 규제부(55)에 의해 결정되어 있다. 조압 스프링(54)은, 미리 설정된 압력(도 6에서의 하향의 가세력)을 증기 배출밸브(52)에 주는 부재라면, 도 6에 도시되는 조압 스프링 이외의 부재라도 좋다.
≪2-2≫ 동작
도 7(a)는, 가열 프로세스에서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이 대기압으로부터 상승하고, 증기 배출밸브(52)에 가동형 증기구(51a)를 막은 상태인 채로 가동 수압 부재(51)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b)는, 도 7(a)의 상태보다도 더욱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이 상승하고, 증기 배출밸브(52)가 조압부재(54)의 하향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상승하고,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증기를 배출하는 상태(화살표(C1))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가동 수압 부재(51)는, 규제부(55)에 당접한 상태이기 때문에, 가동형 증기구(51a)의 내벽과 증기 배출밸브(52)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간극이 형성되면,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증기가 간극을 경유하여 공간(59)으로 방출되고, 조리용기(11)의 내부(11e)가, 대강 설정 압력에 유지된다.
도 8(a)는, 감압 프로세스에서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이 고압 상태인 경우를 도시하고, 도 8(b)는, 감압 프로세스에서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이 도 8(a)일 때 보다도 저하된 상태(대기압보다 높은 상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8(a) 및 (b)는, 감압 시작부(34)(도 1에 도시되는)의 동작에 의해 로크부(53)를 로크 해제 상태로 한 경우를 나타낸다. 로크부(53)가 상방으로 이동함에 의해 증기 배출밸브(52)는, 조압부재(54)와 동시에 약간 상승하고, 증기 배출에 의한 감압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감압 시작부(34)에 의한 감압 프로세스의 시작시에서의 증기 배출구(51a)의 개구면적은,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증기(D1, D2)의 세력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면적인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증기의 배출이 시작하면 증기 배출밸브(52)는, 도 8(a) 및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증기압에 의해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고, 그 후, 도 8(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동형 증기구(51a)를 갖는 가동 조압부재(51)는, 조리용기(11)의 내부(11e)의 압력이 내려감에 따라 서서히 하강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니들형상의 증기 배출밸브(52)와 가동형 증기구(51a)와의 거리가 넓어짐에 따라, 가동형 증기구(51a)의 개구면적이 확대하여, 증기(D1, D2)의 세력을 유저의 허용 범위 내로 하면서, 조리용기(11)의 내부(11e)를 신속하게 감압할 수 있다.
≪2-3≫ 변형례
도 9는, 실시의 형태 2의 변형례에 관한 가열 조리기(2a)의 증기 배출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일부 노치 사시도이다. 도 10(a) 및 (b)는, 도 9에 도시되는 가열 조리기(2a)의 증기 배출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상기 설명에서는, 도 8(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감압 프로세스의 시작 직후에 있어서, 증기 배출밸브(52)가 가장 상승한 위치를 유지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도 9 및 도 10(a) 및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덮개(50)에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하는 캠(cam)구멍(50b)을 형성하고, 로크부(53)에 캠구멍(50b)에 계합한 볼록부인 캠부(56)를 구비하고, 감압 프로세스의 시작과 동시에 로크부(53)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로크부(53)와 함께 회전한 증기 배출밸브(52)에 구비된 볼록부(57)가, 상승 위치에 속덮개(50)의 얹음부(50c)에 얹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감압 프로세스에서의 증기 배출밸브(52)의 동작(위치)을 안정시킬 수 있다. 그 후, 로크부(53)가 상방부터 하향으로 압입되면, 캠부(56)와 캠구멍(50b)과의 계합에 의한 로크부(53) 및 증기 배출밸브(52)의 회전에 의해, 증기 배출밸브(52)의 볼록부(57)와 얹음부(50c)와의 계합이 해제되고, 증기 배출밸브(52)를 상하동 가능하게 되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증기 배출밸브(52) 및 가동 조압부재(51)가 상하동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들의 동작 방향은 상하동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증기 배출밸브(52)의 형상은, 니들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증기 배출구의 개구면적을 서서히 변경 가능한 형상이라면,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
≪2-4≫ 효과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가열 조리기(2 및 2a)에 의하면, 상기 실시의 형태 1로 설명한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열 조리기(2 및 2a)에 의하면, 가열 프로세스에서의 조압과 감압 프로세스에서의 감압을, 공통의 기구에 의해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속덮개(50)상에서의 좁은 점유 면적에서 조압 및 감압을 위한 구조를 배치할 수 있다.
1, 2, 2a : 가열 조리기
11 : 조리용기
11a : 개구부
11b : 플랜지
11c : 손잡이부
11d : 내면
11e : 내부
12 : 장치 본체
13 : 용기 커버
14 : 가열 코일
15 : 냄비바닥 온도 센서(온도 센서)
16 : 압축 스프링
17 : 조작 표시부
21 : 속덮개(덮개체)
21a : 증기 배출구(연통구멍)
21b : 가이드구멍
21c : 조압 증기구(연통구멍)
22 : 덮개 패킹
23 : 로크링
24 : 바깥덮개
24a : 외부 증기구
31 : 증기 배출밸브(밸브체)
32 : 수압부
32a : 수압 동작부
33 : 링크 기구
33a : 지축(지점)
33b : 링크부
34 : 감압 시작부
34a : 당접 부재
35 : 추
36 : 덮개 온도 센서(온도 센서)
37 : 탄성부재(코일 스프링)
41 : 제어부
42 : 인버터부
50 : 속덮개(덮개체)
50a : 조압구(연통구멍)
50b : 캠구멍
50c : 얹음부
51 : 가동 수압 부재(조압부)
51a : 가동형 증기구(증기 배출구)
52 : 증기 배출밸브
53 : 로크부
54 : 조압 스프링(조압부재)
55 : 규제부
56 : 캠부
57 : 볼록부
58 : 가세 스프링
59 : 대기 공간

Claims (14)

  1. 개구부를 갖는 조리용기와,
    상기 개구부를 막는 덮개체와,
    상기 덮개체에 가동으로 구비되고,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의 압력에 응하여 변위하는 수압부와,
    상기 덮개체에 대해 가동으로 구비된 밸브체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체 및 상기 수압부의 어느 하나에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증기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증기 배출구의 개구면적은 상기 밸브체에 의해 조절되고,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의 감압 프로세스 중에서의 상기 수압부의 변위에 응하여 상기 개구면적이 서서히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구는, 상기 덮개체에 형성된 연통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의 저하에 수반하는 상기 수압부의 변위에 응하여, 상기 증기 배출구의 상기 개구면적이 서서히 증가하도록 상기 밸브체를 변위시키는 링크 기구를 또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덮개체에 구비된 지축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링크부를 가지며,
    상기 링크부는, 상기 밸브체에 연결된 제1의 단부와 상기 수압부에 연결된 제2의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구를 폐색한 상태에서 상기 밸브체를 비가동 상태로 하는 로크 상태 또는 상기 밸브체를 가동 상태로 하는 로크 해제 상태의 어느 하나로 상기 밸브체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또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에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조압 증기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열 조리기는, 상기 조압 증기구를 막는 추를 또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부는, 상기 덮개체에 구비된 조압구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가동 수압 부재이고,
    상기 증기 배출구는, 상기 가동 수압 부재에 형성된 연통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구를 향하는 가압력을 상기 밸브체에 부여하는 조압부재를 또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9. 삭제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이동을 규제하는 로크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덮개체는, 상기 로크부의 외벽에 대향하여 형성된 캠구멍을 가지며,
    상기 로크부는, 상기 캠구멍에 계합하는 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1. 제1항, 제2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또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2. 제1항, 제2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를 향하여 가늘어지는 테이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통전 오프시에 로크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4. 개구부를 갖는 조리용기의 상기 개구부를 막는 덮개체와,
    상기 덮개체에 가동으로 구비되고,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의 압력에 응하여 변위하는 수압부와,
    상기 덮개체에 대해 가동으로 구비된 밸브체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체 및 상기 수압부의 어느 하나에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증기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증기 배출구의 개구면적은 상기 밸브체에 의해 조절되고,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의 감압 프로세스 중에서의 상기 수압부의 변위에 응하여 상기 개구면적이 서서히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KR1020187002395A 2015-11-02 2015-11-02 가열 조리기 및 덮개 KR102018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80921 WO2017077571A1 (ja) 2015-11-02 2015-11-02 加熱調理器及び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845A KR20180021845A (ko) 2018-03-05
KR102018467B1 true KR102018467B1 (ko) 2019-09-04

Family

ID=58661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395A KR102018467B1 (ko) 2015-11-02 2015-11-02 가열 조리기 및 덮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410956B2 (ko)
KR (1) KR102018467B1 (ko)
CN (1) CN108135379B (ko)
TW (1) TWI611785B (ko)
WO (1) WO20170775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479B1 (ko) * 2017-07-10 2019-09-03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EP3689202A1 (en) 2017-08-09 2020-08-0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KR102297855B1 (ko) * 2017-09-07 2021-09-03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KR20190101630A (ko) 2018-02-23 2019-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D914447S1 (en) 2018-06-19 2021-03-30 Sharkninja Operating Llc Air diffuser
USD883015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and parts thereof
USD903413S1 (en) 2018-08-09 2020-12-01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basket
USD883014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D934027S1 (en) 2018-08-09 2021-10-26 Sharkninja Operating Llc Reversible cooking rack
EP3931493A1 (en) 2019-02-25 2022-01-0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system with guard
US11033146B2 (en) 2019-02-25 2021-06-1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D918654S1 (en) 2019-06-06 2021-05-11 Sharkninja Operating Llc Grill plate
USD982375S1 (en) 2019-06-06 2023-04-04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FR3097733B1 (fr) * 2019-06-27 2021-07-23 Seb Sa Appareil de cuisson électrique pourvu d’un dispositif de chauffage démontable.
CN110638319A (zh) * 2019-07-30 2020-01-03 李厚霖 一种蒸制器具
JP7420516B2 (ja) * 2019-09-20 2024-01-23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圧力炊飯器及び圧力炊飯方法
US11647861B2 (en) 2020-03-30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113080688B (zh) * 2021-05-19 2022-05-10 安徽西玛科电器有限公司 一种可控排汽的低糖电饭煲及蒸馏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2304A (ja) 2014-04-16 2015-11-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圧力式炊飯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5318A (ja) * 1983-08-19 1985-03-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調理器具の圧力調整装置
JPH0427445Y2 (ko) * 1985-04-18 1992-07-01
KR970050871U (ko) * 1996-02-24 1997-09-08 전기압력솥의 증기밸브 자동개폐장치
JP3403080B2 (ja) * 1998-07-21 2003-05-06 三洋電機株式会社 圧力調理器
TW469800U (en) * 2001-03-09 2001-12-21 Yu-Jiau Gau Two-stage purge valve for pressure cooker
CN2807996Y (zh) * 2005-06-06 2006-08-23 浙江苏泊尔炊具股份有限公司 压力锅调压限压阀
JP4728409B2 (ja) 2009-01-30 2011-07-20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圧力炊飯器
FR2947441B1 (fr) * 2009-07-03 2011-06-24 Seb Sa Autocuiseur avec soupape anti-emulsion
TWM380090U (en) * 2009-11-05 2010-05-11 Xi-He Chen Safe pressure cooker with dual valve
CN201683712U (zh) * 2010-04-09 2010-12-29 美的集团有限公司 可调式磁力限压排气阀
CN202665224U (zh) * 2012-05-15 2013-01-16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排气电压力锅
CN104172905B (zh) * 2014-08-21 2017-04-0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及其排汽降压的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2304A (ja) 2014-04-16 2015-11-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圧力式炊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7077571A1 (ja) 2018-02-22
TW201716018A (zh) 2017-05-16
KR20180021845A (ko) 2018-03-05
CN108135379B (zh) 2020-12-18
WO2017077571A1 (ja) 2017-05-11
TWI611785B (zh) 2018-01-21
JP6410956B2 (ja) 2018-10-24
CN108135379A (zh)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467B1 (ko) 가열 조리기 및 덮개
JP4235669B2 (ja) 減圧およびロック/アンロックのための単一の制御部材を有する圧力調理器具
JP7175665B2 (ja) 電気炊飯器
JP4190559B2 (ja) 加圧下で食品を調理するための器具
JP6372777B2 (ja) 圧力式炊飯器
CA2488375C (en) A pressure-cooking appliance including opening safety means
JP2008048766A (ja) 圧力式炊飯器及び圧力式炊飯方法
CN106983360A (zh) 具有控压结构的新型锅具
JP2009000319A (ja) 炊飯器
TW201442677A (zh) 電鍋
EP3934490B1 (en) Induction kettle
WO2018157409A1 (zh) 烹饪器具的压力控制方法
CN112674597A (zh) 具有压力释放机构的压力炊具
JP4021913B2 (ja) 炊飯器
JP2007044304A (ja) 圧力加熱調理器
JP6433333B2 (ja) 加熱調理器
JP4340643B2 (ja) 炊飯器
KR200391165Y1 (ko) 가열용기의 음식물 넘침 방지용 자동 압력조절 구조
JP2012249945A (ja) 圧力式炊飯器
TWM492128U (zh) 電鍋
CA3049563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a cooker lid status
JP2014171818A (ja) 炊飯器
JP5124156B2 (ja) 圧力式炊飯器
JP2007313084A (ja) 圧力炊飯器
JP2006280540A (ja) 圧力調理方法とそれを行う電気圧力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