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799B1 - 광학 부재 및 그 제조에 사용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 Google Patents

광학 부재 및 그 제조에 사용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799B1
KR102010799B1 KR1020147019371A KR20147019371A KR102010799B1 KR 102010799 B1 KR102010799 B1 KR 102010799B1 KR 1020147019371 A KR1020147019371 A KR 1020147019371A KR 20147019371 A KR20147019371 A KR 20147019371A KR 102010799 B1 KR102010799 B1 KR 102010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able adhesive
meth
ultraviolet curable
acrylat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9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1283A (ko
Inventor
하야토 모토하시
다이스케 코바야시
유이치로 마츠오
타카아키 쿠라타
마사히로 나이토우
Original Assignee
닛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1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1/00Adhesives based on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85Photosensitive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adhesion-promoting non-macromolecular additiv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G03F7/091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characterised by antireflection means or light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e.g. anti-halation, contrast enhan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2037/12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curabl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43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with heat sealable or heat releasable adhesive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기재 및 차광부를 표면에 갖는 광학 기재를 접합하기 위해 이용되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발광하고, 특정의 흡광 극대 파장 및 특정의 발광 극대 파장을 갖는 유기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그 접착제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얻어지는 경화물, 및 그 경화물을 갖는 터치 패널 등의 광학 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투명 보호판 등의 광학 기재에 차광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액정 표시 장치 등에 데미지를 부여하는 일 없이 일방향으로부터의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서 차광부의 존재에 의해 차광되는 차광 영역에 위치하는 접착제를 충분하게 경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 부재 및 그 제조에 사용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OPTICAL MEMBERS AND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USED IN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광학 기재의 접합에 유용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터치 입력 장치와 같은 위치 입력 장치를 표시 유닛에 장착한 터치 패널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터치 패널은 표시 유닛, 투명 전극이 형성된 유리판 또는 수지제 필름, 및 유리 또는 수지제의 투명 보호판을 이 순서로 적층하여 접합한 구조를 갖고 있다.
터치 패널에 있어서, 표시 유닛, 투명 전극이 형성된 유리판 또는 필름, 및 유리 또는 수지제의 투명 보호판 등의 광학 기재의 접합에 양면 점착 시트를 이용하는 기술이 있다. 그러나, 양면 점착 시트를 이용하면 기포가 들어가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양면 점착 시트를 대체하는 기술로서 유연성이 있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그것들을 접합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유닛과, 투명 전극이 형성된 유리판 등의 광학 기재에 유리제 또는 수지제의 투명 보호판을 접합한 터치 센서를 접합한 터치 패널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의 터치 패널의 투명 보호판에는 표시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해 가장 바깥의 가장자리에 띠 형상의 차광부가 형성되어 있다. 투명 보호판 또는 터치 센서 유닛을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접합한 경우에는, 그 차광부에 의해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중 그 차광부의 그늘로 되는 차광 영역에 충분한 자외선이 도달하지 않아 그 차광 영역의 수지의 경화가 불충분해진다. 수지의 경화가 불충분하면, 그 차광부 부근의 표시 화상에 있어서 표시 불균일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차광 영역에 있어서의 수지의 경화를 향상시키는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서는 유기 과산화물을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함유시키고, 자외선 조사 후에 가열해서 차광 영역의 수지를 경화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가열 공정은 액정 표시 장치 등에 데미지를 부여하는 것이 염려된다. 또한, 가열에 의해 수지를 충분하게 경화하기 위해서 60분 동안 이상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차광부의 형성면의 바깥쪽 측면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차광 영역의 수지를 경화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액정 표시 장치의 형상에 따라서는 측면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형상에 제한이 있었다.
그래서, 차광부를 갖는 광학 기재의 접합에 사용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있어서, 차광부에 의해서 자외선이 차광되는 차광 영역에 있어서도 일방향으로부터의 자외선에 의해 충분한 경화를 달성할 수 있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었다.
일본 특허 제4711354호 일본 특허 공개 2009-186954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이고,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투명 보호판 등의 광학 기재를 접합할 때, 그 광학 기재에 차광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액정 표시 장치 등에 데미지를 부여하는 일 없이 일방향으로부터의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서 차광부의 존재에 의해 차광되는 차광 영역에 위치하는 수지를 충분하게 경화시킬 수 있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 특정의 흡수 극대 파장과 특정의 발광 극대 파장을 갖는 광(특히, 자외선)을 흡수하여 발광하는 화합물을 공존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하기 (1)~(29)에 관한 것이다.
(1) 광학 기재 및 차광부를 표면에 갖는 광학 기재는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측정한 흡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 250~400㎚의 범위이고, 또한 발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 300~500㎚의 범위인 자외선을 흡수하여 발광하는 유기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함유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물층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2) (1)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200㎛ 막두께의 경화물로 했을 때의 파장 400㎚의 광의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3) (1) 또는 (2)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C)는 상기 유기 화합물(A)이 발하는 광의 파장에 흡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C)의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측정한 365㎚에 있어서의 단위 중량당 흡광계수는 85~10,000m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6) (5)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로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7) (5) 또는 (6)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로서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8)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유연화 성분(D)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9)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0)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측정한 흡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 250~400㎚의 범위이고, 또한 발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 300~500㎚의 범위인 자외선을 흡수하여 발광하는 유기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함유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차광부를 표면에 갖는 광학 기재를 적어도 포함하는 복수의 광학 기재를 접착한 광학 부재의 제작을 위한 사용.
(11)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측정한 흡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 250~400㎚의 범위이고, 또한 발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 300~500㎚의 범위인 자외선을 흡수하여 발광하는 유기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함유하고, 광학 기재 및 차광부를 표면에 갖는 광학 기재를 접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2) (11)에 있어서, 흡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 270~320㎚의 범위이고, 또한 발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 350~4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3) (11) 또는 (12)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200㎛ 막두께의 경화물로 했을 때의 파장 400㎚의 광의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4) (1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C)는 상기 유기 화합물(A)이 발하는 광의 파장에 흡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5) (14)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C)의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측정한 365㎚에 있어서의 단위 중량당 흡광계수는 85~10,000m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6) (15)에 있어서, 단위 중량당 흡광계수는 400~10,000m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7) (1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8) (17)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로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9) (17) 또는 (18)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로서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0) (1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유기 화합물(A)은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 용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1) (11)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i)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 및 (ii)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2) (11)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 이외의 기타 성분을 더 포함하고,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에 대하여 상기 유기 화합물(A)의 함량이 0.001~5중량%이고, 광중합 개시제(C)의 함량이 0.01~5중량%이고, 잔부가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기타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3) (22)에 있어서,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i)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 및 (ii)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를 포함하고,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 중에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의 함량이 5~90중량%이고,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의 함량이 5~7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4) (1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유연화 성분(D)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5) (24)에 있어서, 유연화 성분(D)의 함량은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 중에 10~8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6) (11)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광학 기재 및 차광부를 표면에 갖는 광학 기재는 터치 패널용 광학 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7) 상기 (11)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물.
(28) 광학 기재 및 그 차광부를 갖는 광학 기재를 상기 (11)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한 후, 활성 에너지선을 차광부를 갖는 광학 기재를 통해 그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의 제조방법.
(29)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측정한 흡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 250~400㎚의 범위이고, 또한 발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 300~500㎚의 범위인 자외선을 흡수하여 발광하는 유기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투명 보호판 등의 광학 기재를 접합할 때, 그 광학 기재에 차광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액정 표시 장치 등에 데미지를 부여하는 일 없이 일방향으로부터의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서 차광부의 존재에 의해 차광되는 차광 영역에 존재하는 그 접착제를 충분하게 경화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얻어지는 광학 부재를 표시 장치에 사용해도 차광부 부근의 표시 화상에 있어서 표시 불균일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도 1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할 때에 사용한 광학 기재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광학 부재를 얻는 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있어서 계측한 차광부 경화 거리의 측정 위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광학 기재와 차광부를 갖는 광학 기재를 접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이며, 상기 유기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메타)아크릴산」 및 「(메타)아크릴 폴리머」 등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상기 유기 화합물(A)(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단지 「유기 화합물(A)」이라고도 함)을 함유한다.
상기 유기 화합물(A)로서는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측정된 흡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하, 단지 흡광 극대 파장이라고도 함)이 250~400㎚의 범위이고, 또한 발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하, 단지 발광 극대 파장이라고도 함)이 300~500㎚의 범위인 유기 화합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일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그 유기 화합물(A)의 구체예로서는 안트라센 화합물, 쿠마린 화합물, 카르바졸 화합물, 벤조옥사졸 화합물, 나프탈렌 화합물, 스틸벤 화합물, 벤지딘 화합물, 옥사디아졸 화합물, 피렌 화합물, 페릴렌 화합물, 나프탈이미드 화합물 및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등이 예시된다.
또한, 상기 유기 화합물(A)로서는 흡광 극대 파장이 250~380㎚의 범위이고, 또한 발광 극대 파장이 330~430㎚의 범위인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흡광 극대 파장이 270~320㎚의 범위이고, 또한 발광 극대 파장이 350~400㎚의 범위인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화합물(A)을 이용함으로써 경화물이 외광을 흡수하여 시인될 정도로 착색될 우려가 없고, 또한 차광 영역에 있어서의 그 접착물의 경화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발광 극대 파장이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유기 화합물(A)의 발광이 시인될 우려도 없고, 또한 광중합 개시제, 특히 흡수 파장이 350㎚~400㎚의 범위인 광중합 개시제에 효율적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화 작용이 우수하여 적합이다.
상기 흡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 및 발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은, 예를 들면 유기 화합물(A)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농도 0.002wt%)을 조제하고, 얻어진 용액의 흡광 스펙트럼 및 발광 스펙트럼을 측정함으로써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흡수 스펙트럼은 분광광도계(예를 들면,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쿠쇼제 「UV-3150」등)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고, 발광 스펙트럼은 형광광도계(예를 들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하이테크놀로지스사제 「F-7000」등)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의 흡광 극대 파장 및 발광 극대 파장을 갖는 유기 화합물(A)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함유시킴으로써 일방향으로부터의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서는 직접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차광 영역에 있어서의 그 접착제의 충분한 경화를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유기 화합물(A)이 그 특정의 흡광 극대 파장을 흡수하면, 상기 화합물(A)로부터 방사 형상으로 상기 특정한 발광 극대 파장을 갖는 광이 나온다. 그 발광된 특정한 발광 극대 파장을 갖는 광이 상기 차광 영역에 도달하기 때문에, 차광 영역에 있어서도 광중합 개시제가 작용해 중합이 진행됨으로써 그 접착제의 충분한 경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유기 화합물(A)은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중에 상용해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용해서 존재함으로써 조성물에 있어서의 유기 화합물(A)의 분포가 균일해지기 때문에, 그 접착제를 불균일없이 경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차광 영역의 경화도 보다 촉진되기 때문이다.
상기 상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 유기 화합물(A)의 융점은 0~500℃가 바람직하고, 25~400℃가 보다 바람직하고, 25~300℃가 특히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유기 화합물(A)을 함유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상온(25℃)~80℃에서 상용 상태(유기 화합물(A)이 조성물 중에 녹아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 상기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그 유기 화합물(A)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용도에 따라 변화하지만, 시인성 향상의 관점에서 예를 들면 막두께 200㎛의 경화물로 했을 때의 400㎚의 광의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유기 화합물(A)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병용(병용의 비율은 임의)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 유기 화합물(A)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통상 0.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1중량%이다.
이하, 유기 화합물(A)로서 이용되는 안트라센 화합물, 쿠마린 화합물, 카르바졸 화합물, 벤조옥사졸 화합물, 스틸벤 화합물, 옥사디아졸 화합물 및 벤지딘 화합물에 대해서 바람직한 골격 및 화합물의 구체예 등을 예시한다.
유기 화합물(A)로서 이용되는 안트라센 화합물로서는 하기 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을 갖는 화합물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기의 구조식에 있어서 *표시는 각 주골격에 대한 결합을 나타내고 있다.
식(1):
Figure 112014065469784-pct00001
(식 중,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페닐기, 페닐메틸렌기, 페닐에틸렌기, 페닐프로필렌기 또는 페닐에티닐기를 나타내고, X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1)의 R1에 있어서의 페닐기는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12)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나타낸다.
식(12)(페닐기):
Figure 112014065469784-pct00002
(식 중,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개의 알킬기를, k1은 1~5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1)의 R1에 있어서의 페닐메틸렌기, 페닐에틸렌기, 페닐프로필렌기 및 페닐에티닐기의 구체예로서는 벤젠환이 치환기를 갖지 않는 페닐메틸렌기, 페닐에틸렌기, 페닐프로필렌기 및 페닐에티닐기 또는 치환기로서 탄소수 1~3개의 알킬기를 갖는 페닐메틸렌기, 페닐에틸렌기, 페닐프로필렌기 및 페닐에티닐기가 각각 예시된다. 또한, 상기 식(12)에 있어서의 R11은 모두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1)에 있어서의 R1은 식(12)으로 나타내어지는 페닐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식(1)에 있어서의 X는 모두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화합물(A)로서 이용되는 안트라센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할로겐화안트라센, 9,10-디페닐안트라센, 9,10-비스(페닐에티닐)안트라센 및 2-클로로-9,10-비스(페닐에티닐)안트라센이 예시된다. 안트라센 화합물로서는 9,10-디페닐안트라센 및 9,10-비스(페닐에티닐)안트라센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기 화합물(A)로서 이용되는 쿠마린 화합물로서는 하기 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을 갖는 화합물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기 구조식에 있어서 *표시는 각 주골격에 대한 결합을 나타내고 있다.
식(2):
Figure 112014065469784-pct00003
(식 중,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3개의 알킬기, 벤즈이미다졸릴기 또는 벤조티아졸릴기를 나타내고,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개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k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2)의 R2에 있어서의 벤즈이미다졸릴기 및 벤조티아졸릴기는 각각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21) 및 하기 식(22)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나타낸다.
식(21)(벤즈이미다졸릴기):
Figure 112014065469784-pct00004
(식 중, R2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개의 알킬기를, q1은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22)(벤조티아졸릴기):
Figure 112014065469784-pct00005
(식 중, R2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개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q2는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2)에 있어서의 R2 및 R3은 탄소수 1~3개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R2 중 벤젠환으로 치환되는 R2가 수소 원자이고, 다른쪽의 R2가 탄소수 1~3개의 알킬기이고, k가 모두 1이고, R3이 모두 탄소수 1~3개의 알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 화합물(A)로서 이용되는 쿠마린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3-(2-벤즈이미다졸릴)-7-(디에틸아미노)쿠마린, 3-(2-벤조티아졸릴)-7-(디에틸아미노)쿠마린 및 7-디에틸아미노-4-메틸쿠마린이 예시된다. 쿠마린 화합물로서는 7-디에틸아미노-4-메틸쿠마린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기 화합물(A)로서 이용되는 카르바졸 화합물로서는 하기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을 갖는 화합물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기 구조식에 있어서 *표시는 각 주골격에 대한 결합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14065469784-pct00006
(식 중, R4는 탄소수 1~3개의 알콕시기, 페닐기, 비페닐기, 비페닐디일기, 또는 하기 식(4)
Figure 112014065469784-pct00007
으로 나타내어지는 벤젠-1,3,5-트리일기를 나타내고,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개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l은 1~3의 정수를 나타내고, m은 각각 독립적으로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3)에 있어서, R4가 탄소수 1~3개의 알콕시기, 페닐기 또는 비페닐기일 때 l은 1이고, R4가 비페닐디일기일 때 l은 2이며, R4가 식(4)으로 나타내어지는 기일 때 l은 3이다.
식(3)의 R4에 있어서의 페닐기, 비페닐기 및 비페닐디일기는 각각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41), 식(42) 및 식(43)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나타낸다.
식(41)(페닐기):
Figure 112014065469784-pct00008
(식 중, R4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개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k41은 1~5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42)(비페닐기):
Figure 112014065469784-pct00009
(식 중, R4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개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k42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43)(비페닐디일기):
Figure 112014065469784-pct00010
(식 중, R4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개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k43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41)에 있어서의 R41, 식(42)에 있어서의 R42 및 식(43)에 있어서의 R43은 모두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카르바졸 화합물을 첨가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차광 영역의 경화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그 카르바졸 화합물은 유기 화합물(A)로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3)에 있어서의 R4는 식(41)으로 나타내어지는 페닐기 또는 식(43)으로 나타내어지는 비페닐디일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식(43)으로 나타내어지는 비페닐디일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3)에 있어서의 R5는 모두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화합물(A)로서 이용되는 카르바졸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1,3,5-트리(9H-카르바졸-9-일)벤젠, 4,4'-비스(9H-카르바졸-9-일)비페닐, 9,9'-(2,2'-디메틸비페닐-4,4'-디일)비스(9H-카르바졸) 및 9-페닐카르바졸이 예시된다. 그 카르바졸 화합물로서는 4,4'-비스(9H-카르바졸-9-일)비페닐 및 9-페닐카르바졸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르바졸 화합물은 가시광의 발광이 약하거나 또는 가시광의 흡광이 약하기 때문에 그 카르바졸 화합물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첨가해도 그 경화물은 매우 높은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고, 표시 화상의 시인성도 매우 높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 상기 카르바졸 화합물은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기 화합물(A)로서 이용되는 벤조옥사졸 화합물로서는 하기 식(5)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을 갖는 화합물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기 구조식에 있어서, *표시는 각 주골격에 대한 결합을 나타내고 있다.
식(5):
Figure 112014065469784-pct00011
(식 중,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개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7은 탄소수 1~3개의 알킬렌기 또는 하기 식(6)
Figure 112014065469784-pct00012
으로 나타내어지는 기를 나타내고, p는 1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5)에 있어서의 R6는 탄소수 1~6개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4~6개의 분기쇄를 갖는 알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tert-부틸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5)에 있어서의 R7은 상기 식(6)으로 나타내어지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5)에 있어서의 p는 1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화합물(A)로서 이용되는 벤조옥사졸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2,5-티오펜디일비스(5-tert-부틸-1,3-벤조옥사졸)가 예시된다.
유기 화합물(A)로서 이용되는 스틸벤 화합물로서는 하기 식(7)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을 갖는 화합물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식(7):
Figure 112014065469784-pct00013
(식 중,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개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7)에 있어서의 R8은 모두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화합물(A)로서 이용되는 스틸벤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trans-1,2-디페닐에틸렌이 예시된다.
또한, 상기 스틸벤 화합물은 가시광의 발광이 약하거나 또는 가시광의 흡광이 약하기 때문에 그 스틸벤 화합물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첨가해도 그 경화물은 매우 높은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고, 표시 화상의 시인성도 매우 높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 상기 스틸벤 화합물은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기 화합물(A)로서 이용되는 벤지딘 화합물로서는 하기 식(8)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을 갖는 화합물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단, 하기 구조식에 있어서 *표시는 각 주골격에 대한 결합을 나타내고 있다.
식(8):
Figure 112014065469784-pct00014
(식 중,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를 나타내고,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개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s는 각각 독립적으로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8)의 R9에 있어서의 페닐기 및 나프틸기는 각각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81) 및 식(82)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나타낸다.
식(81)(페닐기):
Figure 112014065469784-pct00015
(식 중, R10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개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k81은 1~5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82)(나프틸기):
Figure 112014065469784-pct00016
(식 중, R10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개의 알킬기를, k4는 각각 독립적으로 1~3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81)에 있어서의 R101 및 상기 식(82)에 있어서의 R102는 모두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8)에 있어서의 R9는 식(81)으로 나타내어지는 페닐기 또는 식(82)으로 나타내어지는 나프틸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식(8)으로 나타내어지는 벤지딘 화합물로서는 분자 중에 상기 페닐기 및 그 나프틸기 양쪽을 모두 갖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 화합물(A)로서 이용되는 벤지딘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N,N'-디(1-나프틸)-N,N'-디페닐벤지딘이 예시된다.
또한, 상기 벤지딘 화합물은 가시광의 발광이 약하거나 또는 가시광의 흡광이 약하기 때문에 그 벤지딘 화합물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첨가해도 그 경화물은 매우 높은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고, 표시 화상의 시인성도 매우 높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 상기 벤지딘 화합물은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기 화합물(A)로서 이용되는 옥사디아졸 화합물로서는 하기 식(9)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을 갖는 화합물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식(9):
Figure 112014065469784-pct00017
(식 중, R201은 탄소수 1~4개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W는 직접 결합 또는 하기 식(10)으로 나타내어지는 연결기를 나타내고, Y는 CH 또는 질소 원자를 나타낸다.)
식(10)
Figure 112014065469784-pct00018
상기 식(10)에 있어서, Z는 페닐렌기, 비피리딘 잔기 또는 플루오렌 잔기를 나타낸다.
상기 식(10)의 Z에 있어서의 「비피리딘 잔기」 및 「플루오렌 잔기」란 각각 비피리딘 및 플루오렌에 있어서의 수소 원자 2개를 제거한 2가의 잔기를 의미한다. 식(9)에 있어서의 t3 및 t4는 각각 0~2의 정수를 나타내고, t3과 t4가 모두 0이 되는 것은 아니다. 단, 식(9) 및 식(10)에 있어서의 *는 연결 부분을 나타낸다. 식(9)에 있어서의 연결 부분은 옥사디아졸 골격의 탄소 원자와 결합한다. 식(10)에 있어서의 연결 부분은 좌단이 옥사디아졸 골격에 결합하고, 우단이 벤젠 골격 또는 피리딘 골격[식(9)에 있어서의 4위치에 R201을 갖는 벤젠환 또는 Y 함유 6원환]에 결합한다.
여기서, 페닐렌기는 하기 식(90) 또는 식(91)으로 나타낼 수 있고, 비피리딘 잔기는 하기 식(92)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플루오렌 잔기는 하기 식(93)으로 나타낼 수 있다.
식(90)(페닐렌기):
Figure 112014065469784-pct00019
(식 중, R20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개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k50은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90)에 있어서의 R200은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91)(페닐렌기):
Figure 112014065469784-pct00020
(식 중, R20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개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k5는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91)에 있어서의 R202는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92)(비피리딘 잔기):
Figure 112014065469784-pct00021
(식 중, R20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개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k6은 각각 독립적으로 1~3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92)에 있어서의 R203은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93)(플루오렌 잔기):
Figure 112014065469784-pct00022
(식 중, R20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개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k7은 각각 독립적으로 1~3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93)에 있어서의 R204는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9)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에 있어서는 W가 직접 결합 또는 Z가 페닐렌기인 상기 식(10)의 연결기일 때, 상기 식(9)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용이하게 상온(25℃)~80℃에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용해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t3 및 t4에 대해서는 옥사디아졸 골격의 구조 및 t3과 t4가 모두 0이 되지 않은 것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t3과 t4의 합계는 1 또는 2의 정수이다. t3과 t4의 합계가 2인 것이 바람직하고, t3 및 t4가 모두 1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9)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이 W로서 상기 식(10)으로 나타내어지는 연결기를 갖는 경우에는 t3 또는 t4 중 어느 하나가 2이고, 다른쪽이 0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9)에 있어서의 Y에 대해서는 CH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9)에 있어서의 잔기의 개수가 t3으로 나타내어지고, W 및 2개의 Y 함유 6원환으로 이루어지는 잔기로서는 2개의 6원환이 모두 벤젠환이거나, 또는 모두 피리딘환인 잔기가 바람직하고, W와 4-비페닐기로 이루어지는 잔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R201에 있어서의 탄소수 1~4개의 알킬기의 구체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t-부틸기가 예시된다. R201로서는 분기쇄를 갖는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t-부틸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식(9)에 있어서의 W의 개수는 t3 및 t4의 합계수에 일치하고, 1 또는 2이다. t3 및 t4의 합계가 2일 때, W의 한쪽이 직접 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t3 또는 t4가 2일 때, W의 한쪽이 직접 결합이고, 다른쪽이 상기 식(10)으로 나타내어지는 연결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다른쪽이 Z가 페닐렌기인 상기 식(10)으로 나타내어지는 연결기일 때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식(9)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중에서도, 하기 식(11)으로 나타내어지는 2-(4-비페닐)-5-(4-tert-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을 특히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식(11):
Figure 112014065469784-pct00023
또한, 상기 옥사디아졸 화합물은 가시광의 발광이 약하거나 또는 가시광의 흡광이 약하기 때문에, 그 옥사디아졸 화합물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첨가해도 그 경화물은 매우 높은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어 표시 화상의 시인성도 매우 높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 상기 옥사디아졸 화합물은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는 유기 화합물(A)로서, 상기 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안트라센 화합물, 상기 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쿠마린 화합물, 상기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카르바졸 화합물, 상기 식(5)으로 나타내어지는 벤조옥사졸 화합물, 상기 식(7)으로 나타내어지는 스틸벤 화합물, 상기 식(8)으로 나타내어지는 벤지딘 화합물 및 상기 식(9)으로 나타내어지는 옥사디아졸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화합물(A)로서는 차광부 경화성의 관점에서, 상기 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안트라센 화합물, 상기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카르바졸 화합물, 상기 식(5)으로 나타내어지는 벤조옥사졸 화합물, 및 상기 식(9)으로 나타내어지는 옥사디아졸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투명성의 관점에서는 유기 화합물(A)로서는 상기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카르바졸 화합물, 상기 식(7)으로 나타내어지는 스틸벤 화합물, 상기 식(8)으로 나타내어지는 벤지딘 화합물 및 상기 식(9)으로 나타내어지는 옥사디아졸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 화합물(A)로서는 상기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카르바졸 화합물 및 상기 식(9)으로 나타내어지는 옥사디아졸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고, 4,4'-비스(9H-카르바졸-9-일)비페닐 또는 2-(4-비페닐)-5-(4-tert-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광중합성 화합물(B)을 함유한다.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는 자외선에 의해 중합하는 화합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일 없이 사용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 에폭시 화합물(B-2) 및 옥세탄 화합물(B-3)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서 사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가 예시된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는 이들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를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이들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를 사용함으로써 경화물의 유연성이 우수하고 경화 수축률이 낮은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의 평균 분자량은 경화물에 유연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 통상 2,000~100,000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5,000~50,000 정도이다.
그 중에서도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a)는 경화시의 유연 성을 확보하면서 차광 영역에 있어서의 수지의 경화 성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 중,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a)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사용 가능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a)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다가 알코올,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의 3자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네오펜틸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및 1,6-헥산디올 등의 탄소수 1~10개의 알킬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펜타에리스리톨 등의 트리올; 트리시클로데칸디메틸올 및 비스-[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 등의 환상 골격을 갖는 알코올 등; 이들 다가 알코올과 다염기산(예를 들면, 숙신산, 프탈산, 헥사히드로 무수 프탈산, 테레프탈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및 테트라히드로 무수 프탈산 등)의 반응에 의해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이들 다가 알코올과 ε-카프로락톤의 반응에 의해서 얻어지는 카프로락톤알코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예를 들면, 1,6-헥산디올과 디페닐카보네이트의 반응에 의해서 얻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디올 등); 및 폴리에테르 폴리올(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및 에틸렌옥시드 변성 비스페놀 A 등) 등이 예시된다. 기재로의 밀착성의 관점에서 분자량이 1,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5,000인 C2-C4 알킬렌글리콜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분자량 2,000 이상, 예를 들면 2,000~5,000 정도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보론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디시클로펜타닐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예시되고, 이소보론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 C2~C4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시클로헥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카프로락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해서 행한다. 즉, 상기 다가 알코올에 그 수산기 1당량당 상기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바람직하게는 1.1~2.0당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1~1.5당량이 되도록 상기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하고, 반응온도를 바람직하게는 70~90℃에서 반응시켜 우레탄 올리고머를 합성한다. 이어서, 얻어진 우레탄 올리고머의 이소시아네이트기 1당량당 상기 히드록시기를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에 있어서의 수산기가 바람직하게는 1~1.5당량이 되도록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혼합하고, 70~90℃에서 반응시켜 목적으로 하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a)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사용할 수 있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a)의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서는 7,000~25,000 정도가 바람직하고, 10,000~20,000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너무 작으면 접착제를 경화시켰을 때의 수축이 커지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너무 크면 접착제의 경화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는 이들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a)를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병용(병용의 비율은 임의)으로 사용할 수 있다.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a)를 함유할 때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통상 5~90중량%, 바람직하게는 20~8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5~50중량%이다.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 중,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b)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사용 가능한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b)(이하, 「상기 올리고머(B-1-1b)」라고도 함)로서는 폴리이소프렌 골격을 갖는 올리고머로서 말단 등에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공지의 올리고머, 폴리부타디엔 골격을 갖는 올리고머로서 말단 등에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공지의 올리고머, 및 폴리이소프렌 골격과 폴리부타디엔 골격 양쪽을 갖고, 말단 등에 (메타)아크로일기를 갖는 공지의 올리고머 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일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b)로서, 적합하게는 하기 제법(a) 또는 제법(b)에 의해 얻어지는 올리고머를 사용할 수 있다.
제법(a): 이소프렌 중합체, 부타디엔 중합체 또는 이것들의 공중합체를 우선 합성하고, 이어서 얻어진 중합체에 불포화 산 무수물을 반응시키고, 그 후 얻어진 폴리머 중의 일부 또는 전부에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방법.
제법(b): 수산기 말단 이소프렌 중합체, 수산기 말단 부타디엔 중합체 또는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이소프렌-부타디엔 공중합체에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를 반응시키는 방법.
상기 제법(a)(이소프렌 중합체, 부타디엔 중합체 또는 이것들의 공중합체를 우선 합성하고, 이어서 이들 중합체에 불포화 산 무수물을 반응시키고, 그 후에 얻어진 폴리머 중의 일부 또는 전부에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올리고머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법(a)에 있어서 최초로 합성되는 중합체로서는 이소프렌 또는 부타디엔 중 1종류를 단독으로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이소프렌 중합체 또는 부타디엔 중합체를 사용해도 좋고, 이소프렌 및 부타디엔의 혼합물을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이소프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이소프렌, 부타디엔 또는 양쪽의 혼합물을 중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이소프렌 및/또는 부타디엔을 메틸리튬, 에틸리튬, s-부틸리튬, n-부틸리튬 및 펜틸리튬 등의 알킬리튬 및 나트륨나프탈렌 착체 등을 개시제로서 사용하여 음이온 중합시키는 방법이 예시된다. 또한, 벤조일퍼옥시드 등의 과산화물 또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아조비스니트릴 화합물을 개시제로서 사용하여 이소프렌 및/또는 부타디엔을 라디칼 중합시키는 방법에 의해서 이들 중합체를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이것들의 중합 반응은 헥산, 헵탄,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용매의 존재 하에 -100℃~200℃에서 0.5~100시간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은 유연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통상 2,000~100,000의 범위이고, 5,000~50,0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0~50,000의 범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술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중합체에 불포화 산 무수물을 반응시킨다. 이 반응은, 예를 들면 상기 중합체와 불포화 산 무수물을 헥산, 헵탄,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반응에 불활성인 용매의 존재 하, 또는 무용매 조건 하에 있어서, 통상 상온~300℃의 반응온도에서 0.5~100시간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상기 반응에 있어서의 불포화 산 무수물로서는, 예를 들면 무수 말레산, 무수 프탈산, 헥사히드로 무수 프탈산, 메틸헥사히드로 무수 프탈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산 무수물의 사용량은 통상 상기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00중량부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1~100중량부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조건으로 반응시켰을 때의 상기 중합체에 대한 산 무수물 기의 부가수는 통상 1분자당 1~30개의 범위이고, 2~20개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중합체에 도입된 산 무수물 기의 일부 또는 전부에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반응은 헥산 및 헵탄 등의 용매의 존재 하 또는 무용매 조건 하에서, 통상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수산기가 상기 중합체에 있어서의 산 무수물 기 1당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1.5당량이 되도록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혼합하고, 20~200℃의 반응온도에서 0.1~100시간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 C2~C4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시클로헥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카프로락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법(b)(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이소프렌 중합체, 부타디엔 중합체 또는 이것들의 공중합체에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를 반응시키는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올리고머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산기 말단 이소프렌 중합체, 수산기 말단 부타디엔 중합체 또는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이소프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를 반응시킴으로써 폴리이소프렌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반응은 헥산 및 헵탄 등의 용매의 존재 하 또는 무용매 조건 하에서 통상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를 반응온도 20~200℃에서 0.1~100시간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α-에틸아크릴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및 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이것들의 산 할라이드, 아미드, 이미드, 무수물 및 에스테르 등의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B-1-1b)의 구체예로서는 가부시키가이샤 쿠라레이제 UC-203(제품명, 이소프렌 중합물의 무수 말레산 부가물과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에스테르화물 올리고머), 니폰소다 가부시키가이샤제 NISSO-PB TE-2000(양 말단 메타크릴레이트 변성 부타디엔계 올리고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는 그 올리고머(B-1-1b)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병용(병용의 비율은 임의)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 올리고머(B-1-1b)를 함유할 때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통상 5~90중량%, 바람직하게는 20~8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5~50중량%이다.
유연성이 우수하고 경화 수축률이 낮은 경화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는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이들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 즉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a) 및 상기 올리고머(B-1-1b) 중 적어도 한쪽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통상 5~90중량%, 바람직하게는 20~8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5~50중량%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로서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함유되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세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미리스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탄소수 5~20개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모르폴린, 페닐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1-아다만틸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아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아크릴레이트, 1-아다만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옥시드 변성 노닐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시클로펜타디엔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환상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5개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프로필렌옥시드 변성 노닐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옥시드 변성 페녹시화인산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부톡시화인산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옥시드 변성 옥틸옥시화인산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인산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탄소수 10~20개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카르비톨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모르폴린,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5개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프로필렌옥시드 변성 노닐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한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로서 예시된다.
특히, 경화물의 유연성의 관점에서 탄소수 10~20개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옥시드 변성 노닐 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이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로서 바람직하다.
한편, 유리로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5개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또는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를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함유되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로서는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는 이들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병용(병용의 비율은 임의)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통상 5~70중량%, 바람직하게는 5~50중량%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는 본 발명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 이외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예를 들면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3)(이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3)」라고도 함) 또는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4)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통상,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는 이들을 포함하지 않아도 좋고, 필요에 따라서 첨가하면 된다.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3)로서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2~6개 갖는 2~6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예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2관능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시클로데칸디메틸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옥산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렌옥시드 변성 비스페놀 A형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히드록시피발산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옥시드 변성 인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3관능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올옥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트리메틸올 C2~C10 알칸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에톡시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프로폭시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에톡시 폴리프로폭시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트리메틸올 C2~C10 알칸 폴리알콕시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프로필렌옥시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렌옥시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4관능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펜타에리스리톨 폴리에톡시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폴리프로폭시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3)를 병용하는 경우에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시의 경화 수축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2관능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3)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병용(병용의 비율은 임의)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3)를 함유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통상 5~70중량%, 바람직하게는 5~50중량%이다.
한편, 유연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관점에서는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3)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2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중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는 본 발명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B-1-4)를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B-1-4)는 얻어지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경화물의 경도나 경화 속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이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사용 가능한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B-1-4)로서는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화합물과 (메타)아크릴산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화합물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를 얻기 위한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비스페놀 A 또는 그 알킬렌옥시드 부가체의 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F 또는 그 알킬렌옥시드 부가체의 디글리시딜에테르, 수소첨가 비스페놀 A 또는 그 알킬렌옥시드 부가체의 디글리시딜에테르, 수소첨가 비스페놀 F 또는 그 알킬렌옥시드 부가체의 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시클로헥산디메탄올디글리시딜에테르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B-1-4)는 이들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화합물과 (메타)아크릴산을 하기와 같은 조건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화합물의 에폭시기 1당량에 대하여 (메타)아크릴산을 0.9~1.5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0.95~1.1몰의 비율로 반응시킨다. 반응온도는 80~120℃가 바람직하고, 반응시간은 10~35시간 정도이다. 이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트리페닐포스핀,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TAP), 트리에탄올아민 및 테트라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반응 중의 중합을 방지하기 위해 중합 금지제로서, 예를 들면 파라메톡시페놀 및 메틸히드로퀴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B-1-4)로서는 상기 비스페놀 A형 에폭시 화합물로부터 얻어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가 예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B-1-4)의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서는 500~10,000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는, 이들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B-1-4)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병용(병용의 비율은 임의)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B-1-4)를 함유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통상 5~90중량%, 바람직하게는 20~8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5~50중량%이다.
한편, 유연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관점에서 상기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B-1-4)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2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중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의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에폭시 화합물(B-2)을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B-2)의 구체예로서는 비스페놀류(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비스페놀 S, 비페놀 및 비스페놀 AD 등) 또는 페놀류(페놀, 알킬 치환 페놀, 방향족 치환 페놀, 나프톨, 알킬 치환 나프톨, 디히드록시벤젠, 알킬 치환 디히드록시벤젠 및 디히드록시나프탈렌 등)와 각종 알데히드(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알킬알데히드, 벤즈알데히드, 알킬 치환 벤즈알데히드, 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 나프트알데히드, 글루타르알데히드, 프탈알데히드, 크로톤알데히드 및 신남알데히드 등)의 중축합물; 상기 페놀류와 각종 디엔 화합물(디시클로펜타디엔, 테르펜류, 비닐시클로헥센, 노보나디엔, 비닐노보네인, 테트라히드로인덴, 디비닐벤젠, 디비닐비페닐, 디이소프로페닐비페닐, 부타디엔 및 이소프렌 등)의 중합물; 상기 페놀류와 케톤류(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등)의 중축합물; 상기 페놀류와 방향족 디메탄올류(벤젠디메탄올 및 비페닐디메탄올 등)의 중축합물; 상기 페놀류와 방향족 디클로로메틸류(α,α'-디클로로크실렌 및 비스클로로메틸비페닐 등)의 중축합물; 상기 페놀류와 방향족 비스알콕시메틸류(비스메톡시메틸벤젠, 비스메톡시메틸비페닐 및 비스페녹시메틸비페닐 등)의 중축합물; 상기 비스페놀류와 각종 알데히드의 중축합물; 또는 알코올류 등을 글리시딜화함으로써 얻어지는 글리시딜에테르계 에폭시 수지, 지환식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아민계 에폭시 수지 및 글리시딜에스테르계 에폭시 수지 등이 예시된다. 통상 이용되는 에폭시 수지라면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는 이들 에폭시 화합물(B-2)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병용(병용의 비율은 임의)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B-2)을 함유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통상 5~70중량%, 바람직하게는 5~50중량%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의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옥세탄 화합물(B-3)을 사용할 수 있다.
옥세탄 화합물(B-3)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4-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벤젠, 4-비스[(3-메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벤젠, 3-메틸-3-글리시딜옥세탄, 3-에틸-3-히드록시메틸옥세탄, 3-메틸-3-히드록시메틸옥세탄, 디[1-에틸(3-옥세타닐)]메틸에테르, 3-에틸-3-(페녹시메틸)옥세탄, 3-(시클로헥실옥시)메틸-3-에틸옥세탄, 크실렌비스옥세탄 및 페놀노볼락옥세탄 등이 예시된다. 통상 이용되는 옥세탄 화합물이라면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는 이들 옥세탄 화합물(B-3)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병용(병용의 비율은 임의)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옥세탄 화합물(B-3)을 함유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통상 5~70중량%, 바람직하게는 5~50중량%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의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는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 및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로서는 다가 알코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의 3자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이소프렌 중합체, 부타디엔 중합체 또는 이것들의 공중합체의 불포화 산 무수물 중 일부 또는 전부에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올리고머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의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로서는 탄소수 10~20개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카르비톨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모르폴린,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5개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프로필렌옥시드 변성 노닐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이소보론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3자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이소프렌 중합물의 무수 말레산 부가물과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에스테르화물 올리고머를 함유하고, 또한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로서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특히 바람직하다.
광중합성 화합물(B)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총량 중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 중에 있어서 그 총량으로부터 유기 화합물(A) 및 광중합 개시제(C) 양쪽의 함량을 뺀 잔부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 중에 있어서의 광중합성 화합물(B)의 함량(복수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합계 함량)은 통상 5~99.8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9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9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0~80중량%이다. 이들 중,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를 5~90중량%, 바람직하게는 20~8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5~50중량% 함유하고, 또한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를 5~70중량%, 바람직하게는 5~50중량% 함유하는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광중합 개시제(C)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함유되는 광중합 개시제(C)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고, 공지의 라디칼 중합 개시제 및 양이온 중합 개시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구체예 및 그 제품명으로서는, 예를 들면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일가큐어(등록상표, 이하 같음) 184; BASF사제), 2-히드록시-2-메틸-[4-(1-메틸비닐)페닐]프로판올 올리고머(에사큐어 ONE; 람발디사제),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일가큐어 2959; BASF사제), 2-히드록시-1-{4-[4-(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2-메틸프로판-1-온(일가큐어 127; BASF사제),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일가큐어 651; BASF사제),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다로큐어(등록상표) 1173; BASF사제),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일가큐어 907; BASF사제), 옥시페닐아세트산 2-[2-옥소-2-페닐아세톡시에톡시]에틸에스테르와 옥시페닐아세트산 2-[2-히드록시에톡시]에틸에스테르의 혼합물(일가큐어 754; BASF사제), 비스(η5-2,4-시클로펜타디엔-1-일)-비스(2,6-디플루오로-3-(1H-피롤-1-일)-페닐)티타늄(일가큐어 784; BASF사제),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2-클로로티옥산톤, 2,4-디메틸티옥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옥산톤, 이소프로필티옥산톤,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시드 및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시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양이온계 중합 개시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4-tert-부틸페닐) 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비스(4-tert-부틸페닐)요오드늄 트리플레이트, 2-(3,4-디메톡시스티릴)-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디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알세네이트, 디페닐요오드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2-[2-(푸란-2-일)비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트리페닐술포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트리-p-톨릴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트리-p-톨릴술포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4-이소프로필-4'-메틸디페닐요오드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함유되는 광중합 개시제(C)는 상기 유기 화합물(A)이 발하는 광의 파장에 흡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기 화합물(A)이 발하는 광의 파장에 흡수를 갖는」이란, 사용하는 유기 화합물(A)이 발광하는 광을 광중합 개시제(C)가 흡수하여 광중합 개시제(C)의 활성화가 보조되기만하면 된다. 상기 유기 화합물(A)은 상기 특정 범위의 발광 극대 파장을 갖는 광을 발광하기 때문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광중합 개시제(C)는 상기 특정 범위의 발광 극대 파장을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유기 화합물(A)의 발광 극대 파장에서의 광중합 개시제(C)의 단위 중량당 흡광계수가 50ml/(g·㎝)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00ml/(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ml/(g·㎝) 이상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사용하는 광중합 개시제(C)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하기 화합물이 예시된다.
투명성 및 경화성의 관점에서는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일가큐어 184; BASF사제) 및 2-히드록시-2-메틸-[4-(1-메틸비닐)페닐]프로판올 올리고머(에사큐어 KIP-150; 람발디사제)가 바람직한 광중합 개시제(C)로서 예시된다. 접착제 내부의 경화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스피드큐어 TPO; LAMBSON사제) 및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시드(일가큐어 819; BASF사제)가 바람직한 광중합 개시제(C)로서 예시된다. 접착제의 변색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스피드큐어 TPO; LAMBSON사제)가 바람직한 광중합 개시제(C)로서 예시된다.
또한, 옐로우 램프 등 특정의 환경 하에서의 취급이 불필요하고, 내부 경화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스피드큐어 TPO)가 특히 바람직한 광중합 개시제(C)로서 예시된다.
이들 광중합 개시제(C)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병용(병용의 비율은 임의)으로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C) 중에서도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측정한 365㎚에서의 단위 중량당 흡광계수가 85~10,000ml/(g·㎝)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10,000ml/(g·㎝)가 보다 바람직하고, 400~10,000ml/(g·㎝)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흡광계수의 측정은 분광광도계 등을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측정용 용매는 경우에 따라 메탄올 중에서 행해도 좋고, 그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흡광계수의 범위는 변하지 않는다.
또한, 광중합 개시제(C) 중,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측정한 405㎚에서의 단위 중량당 흡광계수가 5~3,000ml/(g·㎝)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3,000ml/(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3,000ml/(g·㎝)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중합 개시제(C)로서는 상기 흡광계수의 조건의 양쪽을 충족하는 광중합 개시제가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측정한 400㎚에 있어서의 몰흡광계수가 200~100,000M-1·㎝-1인 광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흡광계수가 상기 범위에 들어가고, 또한 상기 유기 화합물(A)이 발하는 광의 파장에 흡수가 있는 소정 광중합 개시제(C)를 사용함으로써 차광 영역에 있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경화가 보다 촉진된다. 왜냐하면, 350㎚~410㎚라고 한 장 파장의 자외선은 회절하는 성질이 커서 차광부의 이면측으로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자외선의 조사를 방해하는 차광부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라도 장파장의 자외선은 차광 영역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상기 범위의 흡광계수를 가짐으로써 장파장의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유기 화합물(A)이 발하는 광의 파장에 흡수가 있는 광중합 개시제(C)는 차광 영역에 존재했다고 해도 상기 유기 화합물(A)이 발하는 광을 흡수함과 아울러, 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 회절된 장파장의 광을 흡수할 수 있다. 이것들의 상승 효과에 의해 광중합 개시제(C)의 분해 반응이 촉진되기 때문에 차광 영역이 광범위하게 걸치는 경우라도, 차광 영역에 존재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충분하게 경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측정한 흡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 상기 적합한 범위에 있는 유기 화합물(A)과 함께 흡광계수가 상기 적합한 범위에 있는 광중합 개시제(C)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차광 영역에 있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가 보다 촉진되기 때문에, 상기 유기 화합물(A)과 광중합 개시제(C)의 조합은 특히 바람직하다.
365㎚에서의 단위 중량당 흡광계수가 특히 바람직한 400~10,000ml/(g·㎝)의 범위에 있는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시드(BASF사제: 일가큐어 819),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LAMBSON 사제: 스피드큐어 TPO) 및 비스(η5-2,4-시클로펜타디엔-1-일)-비스(2,6-디플루오로-3-(1H-피롤-1-일)-페닐)티타늄(BASF사제: 일가큐어 784)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광중합 개시제(C)로서는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일가큐어 184),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스피드큐어 TPO) 또는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시드(일가큐어 819)가 바람직하고,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스피드큐어 TPO) 또는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시드(일가큐어 819)가 보다 바람직하고,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스피드큐어 TPO)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는 이들 광중합 개시제(C)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병용(병용의 비율은 임의)으로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C)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통상 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2~3중량%이다. 또한, 광중합 개시제(C)의 함량을 100중량부로 했을 때, 상기 유기 화합물(A)의 함량은 통상 0.1~100중량부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0.5~5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중량부 정도이다. 2종 이상의 광중합 개시제(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것들의 총량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는 상기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 이외의 기타 성분으로서 하기하는 광중합 개시조제, 후술하는 유연화 성분(D) 및 후술하는 첨가제 등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기타 성분의 총량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 중에 있어서의 함량은 0~80중량%, 바람직하게는 5~70중량% 정도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는 상기 기타 성분의 하나로서 광중합 개시조제가 될 수 있는 아민류 등을 상기 광중합 개시제(C)와 병용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아민류 등으로서는 벤조산 2-디메틸아미노에틸에스테르, 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p-디메틸아미노벤조산 에틸에스테르 또는 p-디메틸아미노벤조산 이소아밀에스테르 등이 예시된다. 상기 아민류 등의 광중합 개시조제를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의 함유량은 통상 0.005~5중량%, 바람직하게는 0.01~3중량%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는 필요에 따라서 유연화 성분(D)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연화 성분(D)으로서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유연화 성분 및 가소제가 사용될 수 있다.
유연화 성분(D)의 구체예로서는 상기 (B)성분에 포함되지 않은 폴리머 및 올리고머, 및 가소제 등으로서 사용되는 화합물로서 프탈산 에스테르류, 인산 에스테르류, 글리콜에스테르류, 글리콜에테르류, 지방족 이염기산 에스테르류, 지방산 에스테르류, 구연산 에스테르류, 에폭시계 가소제, 피마자유류, 테르펜계 수 소 첨가 수지 등이 예시된다.
유연화 성분(D)으로서 사용되는 올리고머 및 폴리머의 예로서는 말단 등에 수산기를 함유해도 좋은 폴리이소프렌 골격 함유, 폴리부타디엔 골격 함유 또는 크실렌 골격 함유의 올리고머 및 폴리머 및 폴리에테르 화합물 등을 예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중에서 말단 등에 수산기를 함유한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함유 폴리머 및 폴리에테르 화합물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말단 등에 수산기를 함유하는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및 폴리부타디엔 골격 함유 폴리머, 및 폴리에테르 화합물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예시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알릴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알릴부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알릴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알릴부틸에테르 등의 폴리 C2-C4 알킬렌글리콜의 디(알릴 또는/및 C1-C4 알킬)에테르를 예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30,000 정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25,000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20,000 정도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15,000 정도이다.
기타 가소제 등으로 사용되는 화합물로서 프탈산 에스테르류, 인산 에스테르류, 글리콜에스테르류, 글리콜에테르류, 지방족 이염기산 에스테르류, 지방산 에스테르류, 구연산 에스테르류, 에폭시계 가소제, 피마자유류 및 테르펜계 수소첨가 수지 등이 예시된다.
이러한 유연화 성분(D)을 사용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통상 10~80중량%, 바람직하게는 10~70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는 유연화 성분(D)으로서 (메타)아크릴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메타)아크릴 폴리머로서는 아크릴계 또는 메타크릴계 모노머를 원료로서 중합시킨 폴리머, 또는 그 모노머 이외의 다른 중합성 모노머와 그 모노머의 공중합체가 예시된다. 이들 (메타)아크릴 폴리머는 용액 중합, 현탁 중합, 괴상 중합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제조방법으로서는 고온에서 연속적으로 라디칼 중합을 행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예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프로세스에 의해서 제조하는 것이다. 우선, 아크릴계 또는 메타크릴계 모노머에 대하여 미량의 중합 개시제와 미량의 용제를 혼합시킨다. 그리고, 150℃ 이상의 온도에 있어서 10분 이상, 고압 하에서 반응시킨다. 그 후, 분리기에 의해 미반응 성분과 반응에 의해 얻어진 (메타)아크릴 폴리머를 분리함으로써 (메타)아크릴 폴리머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얻어지는 (메타)아크릴 폴리머에 중합 개시제가 혼입되어 있으면 보존 안정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용제를 증류하면서 상기 반응을 행하거나, (메타)아크릴 폴리머를 분리한 후 용제를 증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 폴리머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아크릴계 또는 메타크릴계 모노머로서는 (메타)아크릴산, α-에틸아크릴산; 및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1,3-디메틸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3-에톡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에톡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α-(히드록시메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페닐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상기 아크릴계 또는 메타크릴계 모노머는 이들 화합물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또는 메타크릴계 모노머와 공중합시켜도 좋은 다른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공지의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티렌, 3-니트로스티렌, 4-메톡시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α-에틸스티렌, α-부틸스티렌 및 α-헥실스티렌 등의 알킬스티렌류; 4-클로로스티렌, 3-클로로스티렌 및 3-브로모스티렌 등의 할로겐화스티렌류; 크로톤산, α-메틸크로톤산, α-에틸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메사콘산 및 글루타콘산 등의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카르복실산류가 예시된다.
이들 중, 조성물의 다른 성분으로의 용해성, 경화물의 접착성의 면에서 아크릴계 또는 메타크릴계 모노머로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C1~C10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갖는 C1~C10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다른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스티렌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메타)아크릴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서는 1,500~30,000이고, 바람직하게는 3,000~2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0~15,000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0 미만인 경우에는 경화물의 접착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 30,0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른 모노머에 용해하기 어려워지거나, 백탁(白濁)되거나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메타)아크릴 폴리머는 시판품으로서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아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ARUFON 시리즈」가 예시되고, 제품명 UP-1170 또는 UH-2190으로서 입수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 폴리머를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메타)아크릴 폴리머의 함유 비율은 통상 20중량%~95중량%이고, 50중량%~95중량%가 바람직하고, 70중량%~95중량%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고, 70중량%~90중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유연화 성분(D)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연화 성분(D)으로서 폴리에테르 화합물 및 수산기 함유 폴리이소프렌계의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알릴부틸에테르 또는 수산기 함유 폴리이소프렌을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연화 성분(D)으로서 폴리에테르 화합물 및 수산기 함유 폴리이소프렌계의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 중 적어도 1종,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알릴부틸에테르 또는 수산기 함유 폴리이소프렌을 함유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통상 10~80중량%, 바람직하게는 10~7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70중량%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는 상기 성분에 추가하여 필요에 따라서 유기용제, 커플링제, 중합 금지제, 레벨링제, 대전 방지제, 표면 윤활제, 광안정 제(예를 들면, 힌더드아민 화합물 등) 등의 첨가제를 더 추가해도 좋다.
유기용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및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디메틸술폰, 디메틸술폭시드,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이 예시된다.
커플링제로서는 실란 커플링제, 티탄계 커플링제, 지르코늄계 커플링제, 알루미늄계 커플링제 등이 예시된다.
실란 커플링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N-(2-(비닐벤질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염산염,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및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이 예시된다.
티탄계 커플링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N-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티타네이트, 이소프로필트리스테아로일티타네이트, 티타늄디(디옥틸피로포스페이트)옥시아세테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디(디옥틸포스파이트)티타네이트 및 네오알콕시트리(p-N-(β-아미노에틸)아미노페닐)티타네이트 등이 예시된다.
지르코늄계 또는 알루미늄계 커플링제의 구체예로서는 Zr-아세틸아세토네이트, Zr-메타크릴레이트, Zr-프로피오네이트, 네오알콕시지르코네이트, 네오알콕시트리스네오데카노일지르코네이트, 네오알콕시트리스(도데카노일)벤젠술포닐지르코네이트, 네오알콕시트리스(에틸렌디아미노에틸)지르코네이트, 네오알콕시트리스(m-아미노페닐)지르코네이트, 암모늄지르코늄카보네이트, Al-아세틸아세토네이트, Al-메타크릴레이트 및 Al-프로피오네이트 등이 예시된다.
중합 금지제의 구체예로서는 파라메톡시페놀 및 메틸히드로퀴논 등이 예시된다.
광안정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알코올,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알코올,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메타)아크릴레이트(아데카가부시키가이샤제, 제품명 LA-82),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과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놀 및 3,9-비스(2-히드록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의 혼합 에스테르화물, 데칸이산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운데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카보네이트,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4-벤조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1-[2-[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4-[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3,5-비스(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페닐]메틸]부틸말로네이트, 데칸이산 비스(2,2,6,6-테트라메틸-1(옥틸옥시)-4-피페리디닐)에스테르, 1,1-디메틸에틸히드로퍼옥시드와 옥탄의 반응 생성물, N,N',N",N"'-테트라키스(4,6-비스(부틸(N-메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트리아진-2-일)-4,7-디아자데칸-1,10-디아민, 디부틸아민·1,3,5-트리아진·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6-헥사메틸렌디아민과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부틸아민의 중축합물,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 호박산 디메틸과 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딘에탄올의 중합물, 2,2,4,4-테트라메틸-20-(β-라우릴옥시카르보닐)에틸-7-옥사-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헤네이코산-21-온, β-알라닌,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도데실에스테르/테트라데실에스테르, N-아세틸-3-도데실-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피롤리딘-2,5-디온, 2,2,4,4-테트라메틸-7-옥사-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헤네이코산-21-온, 2,2,4,4-테트라메틸-21-옥사-3,20-디아자디시클로-[5,1,11,2]-헤네이코산-20-프로판산 도데실에스테르/테트라데실에스테르, 프로판디오산-[(4-메톡시페닐)메틸렌]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에스테르,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놀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1,3-벤젠디카르복시아미드-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 등의 힌더드아민계 화합물, 옥타벤존 등의 벤조페논계 화합물, 2-(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메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ert-펜틸페닐)벤조트리아졸, 메틸3-(3-(2H-벤조트리아졸-2-일)-5-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와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반응 생성물, 2-(2H-벤조트리아졸-2-일)-6-도데실-4-메틸페놀 등의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2,4-디-tert-부틸페닐-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등의 벤조에이트계,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등의 트리아진계 화합물 등이 예시된다. 특히 바람직한 광안정제는 힌더드아민계 화합물이다.
상기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각종 첨가제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 중에 있어서의 함량은 상기 첨가제의 총계로 0~3중량% 정도이다. 상기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의, 그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 중에 있어서의 그 첨가제의 함유 비율은 상기 첨가제의 총계로 0.01~3중량%, 바람직하게는 0.01~1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0.5중량%이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조성은 하기와 같다. 또한, 각 성분의 함유량에 있어서의 「중량%」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에 대한 함유 비율을 나타낸다.
유기 화합물(A): 0.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1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0.1중량%,
광중합성 화합물(B): 5~99.8중량%, 바람직하게는 10~9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9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0~80중량%,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와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 양쪽을 병용하는 경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 통상 5~90중량%, 바람직하게는 20~8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5~50중량%,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 통상 5~70중량%, 바람직하게는 5~50중량%,
바람직하게는, 양자의 합계는 상기 (B) 함량의 범위 내),
광중합 개시제(C): 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2~3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상기 경우, (A)성분 및 (C)성분의 합계는 적어도 0.2중량%일 때 바람직하고, 0.2~5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경우, 바람직한 것끼리의 조합에서 합계가 100중량%를 하회할 때에는 잔부로서 상기 이외의 성분(예를 들면, 상기 (D)성분 등) 또는 상기 각종 첨가제를 포함하는 경우이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가 유연화 성분 (D)를 10~80중량%, 바람직하게는 10~70중량%의 함유 비율로 더 함유하는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보다 바람직하다. 유연화 성분(D)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B)성분 100중량부에 대한 (D)성분의 비율은 통상 30~200중량부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50~150중량부 정도이다. 또한, (B)성분과 (D)성분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A)성분과 (C)성분의 합계는 통상 0.1~5중량부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0.2~2중량부 정도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중 몇개를 이하에 기재한다. 각 성분의 함유량에 있어서의 「중량%」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에 대한 함유 비율을 나타낸다.
(I) 유기 화합물(A)의 함량이 0.001~5중량%이고, 광중합 개시제(C)의 함량이 0.01~5중량%이고, 잔부가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기타 성분인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II) 광중합성 화합물(B)의 함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 화합물(A)과 광중합 개시제(C)의 합계는 0.1~5중량부인 상기 (I)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III) 유기 화합물(A)로서 안트라센 화합물, 쿠마린 화합물, 카르바졸 화합물, 벤조옥사졸 화합물, 스틸벤 화합물, 벤지딘 화합물 및 옥사디아졸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상기 발명의 내용의 항에 기재된 (11)~(26), 및 상기 (I) 및 (II)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IV) 유기 화합물(A)로서 상기 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안트라센 화합물, 상기 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쿠마린 화합물, 상기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카르바졸 화합물, 상기 식(5)으로 나타내어지는 벤조옥사졸 화합물, 상기 식(7)으로 나타내어지는 스틸벤 화합물, 상기 식(8)으로 나타내어지는 벤지딘 화합물 및 상기 식(9)으로 나타내어지는 옥사디아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상기 (III)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V) 유기 화합물(A)로서 상기 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안트라센 화합물, 상기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카르바졸 화합물, 상기 식(5)으로 나타내어지는 벤조옥사졸 화합물 및 상기 식(9)으로 나타내어지는 옥사디아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상기 (IV)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VI) 유기 화합물(A)로서 9,10-디페닐안트라센, 9,10-비스(페닐에티닐)안트라센, 4,4'-비스(9H-카르바졸-9-일)비페닐, 2,5-티오펜디일비스(5-tert-부틸-1,3-벤조옥사졸) 및 2-(4-비페닐)-5-(4-t-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상기 (V)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VII)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 및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의 양쪽을 함유하는 상기 (I)~(IV)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VIII)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로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이소프렌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폴리부타디엔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를 함유하는 상기 (VII)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IX)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이소보론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3자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이소프렌 중합물의 무수 말레산 부가물과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에스테르화물 올리고머를 함유하고,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로서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상기 (VII) 또는 (VIII)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X)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의 평균 분자량은 2,000~100,000인 상기 (VII)~(IX)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XI) 광중합 개시제(C)의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측정한 365㎚에서의 단위 중량당 흡광계수가 85~10,000ml/(g·㎝)이고, 또한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측정한 405㎚에서의 단위 중량당 흡광계수가 5~3,000ml/(g·㎝)인 상기 (I)~(X)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XII) 광중합 개시제(C)는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및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시드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상기 (I)~(XI)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XIII) 유연화 성분(D)을 10~80중량% 더 포함하는 상기 (I)~(XII)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XIV) 광중합성 화합물(B) 100중량부에 대한 유연화 성분(D)의 비율은 50~150중량부인 상기 (XIII)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XV) 광중합성 화합물(B)과 유연화 성분(D)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한 유기 화합물(A)과 광중합 개시제(C)의 합계는 0.1~5중량부인 상기 (XIII) 또는 (XIV)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XVI) 유연화 성분(D)으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0~30,000인 폴리머를 함유하는 상기 (XIII)~(XV)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XVII) 유연화 성분(D)으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알릴부틸에테르 또는 수산기 함유 폴리이소프렌을 함유하는 상기 (XVI)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XVIII) 유기 화합물(A)의 함유 비율이 0.001~5중량%이고,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의 함유 비율이 5~90중량%이고,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의 함유 비율이 5~70중량%이고,
광중합 개시제(C)의 함유 비율은 0.01~5중량%이고,
유연화 성분(D)을 10~80중량% 더 포함하는 상기 (VI)~(XVII)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XIX) 광중합 개시제(C) 100중량부에 대한 유기 화합물(A)의 함량은 0.1~100중량부인 상기 (I)~(XVIII)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발광하는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 또한 필요에 따라서 유연화 성분(D) 및 상기 임의의 첨가제를 상온(25℃)~80℃에서 혼합 용해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협잡물을 여과 등의 조작에 의해 제거해도 좋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도포성을 고려해, 25℃의 점도가 100mPa·s~100Pa·s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50,000mPa·s의 범위가 되도록 성분의 배합비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본 발명의 경화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상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합시킬 복수의 광학 기재 중 적어도 하나의 기재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도포하여 기재를 접합시킨 후, 투명 기재의 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높은 화상 시인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가 함유하는 불용성 고형 성분은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대하여 1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중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물의 경화 수축률은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가 경화할 때에 수지 경화물에 축적되는 내부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어 기재와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층의 계면에 변형이 생기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리 등의 기재가 얇은 경우에는 경화 수축률이 크면 경화시의 휨이 커지기 때문에 표시 성능에 큰 악영향을 미친다. 상기 관점에서도 경화 수축률은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투명성이 높고, 표시 화상 등의 시인성이 양호한 광학 부재를 얻을 필요성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물(용도에 따라 변화하지만, 예를 들면 막두께 200㎛의 경화물)은 그 400~800㎚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광의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400~800㎚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광의 투과율이 너무 낮은 경우 가시광이 투과하기 어려워지고, 그 경화물을 함유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화상의 시인성이 저하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경화물에 있어서의 400㎚의 광의 투과율이 높으면 화상 시인성의 향상을 한층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물(용도에 따라 변화하지만, 예를 들면 막두께 200㎛의 경화물)은 400㎚의 광의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광학 부재는 하기와 같이 해서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한쪽 기재에 슬릿 코터, 롤 코터, 스핀 코터 또는 스크린 인쇄법 등의 도공 장치를 이용하여 도포한 수지의 막두께가 10~300㎛가 되도록 도포하고, 그 도포면에 다른쪽의 광학 기재를 접합하여 투명 기재측으로부터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광학 기재끼리를 접착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광학 부재를 얻을 수 있다. 이때의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를 들면 자외~근자외(파장 200~400㎚ 부근)의 광선이 예시된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량은 약 100~4,000mJ/㎠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3,000mJ/㎠ 정도이다.
자외~근자외의 광선의 조사에 사용되는 광원으로서는 자외~근자외의 광선, 바람직하게는 파장 200~400㎚ 부근의 광선을 조사하는 램프이면 광원의 종류를 상관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저압, 고압 또는 초고압 수은등, 메탈할라이드 램프, (펄스)크세논 램프 또는 무전극 램프 등이 예시된다. 300㎚~400㎚의 파장의 출력이 높아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경화 속도가 빨라지는 것, 또한 화합물(A)의 여기가 일어나기 쉬워지기 때문에 광원으로서 메탈할라이드 램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기재 접합용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는 광학 기재로서는 투명판, 시트, 터치 패널 및 표시체를 예시할 수 있다.
투명판 또는 시트(바람직하게는 투명 시트) 등의 판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광학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통상은 5㎛ 정도에서 5㎝ 정도, 바람직하게는 10㎛ 정도에서 1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50㎛~3㎜ 정도의 두께이다.
특히,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투명판 또는 시트를 접합하는 접착제로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지 「광학 기재」라고 한 경우, 그 광학 기재는 표면에 차광부를 갖지 않는 광학 기재와, 표면에 차광부를 갖는 광학 기재 양쪽을 포함한다. 차광부를 표면에 갖는 광학 기재에 있어서는 차광부는 광학 기재의 양면 또는 편면에 형성되어도 좋고, 양면 또는 편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광학 기재를 접합했을 때에 자외선이 접착제에 조사되도록 적어도 접합된 광학 기재의 일부는 차광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자외선을 투과하는 노광부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중 하나는 접합하는 2장의 광학 기재 중 적어도 1장이 그 표면의 일부에 차광부를 갖는 광학 기재인 경우이다. 이 경우, 2장의 광학 기재를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한 후, 그 차광부를 갖는 광학 기재가 있는 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그 접착제를 경화시킴으로써 터치 패널 등의 본 발명의 광학 부재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지는 본 발명의 광학 부재는 일방향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했을 경우라도 자외선이 도달하지 않는 차광 영역에 있어서의 접착제가 충분하게 경화된다. 그 때문에, 그 광학 부재를 갖는 각종 표시 장치에 있어서 차광부 부근의 표시 불균일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표면의 일부에 차광부를 갖는 광학 기재에 있어서의 차광부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은 없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는 그 광학 기재의 주변부에 띠 형상으로 폭 0.05㎜~20㎜, 바람직하게는 0.05㎜~1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0.1㎜~8㎜, 더욱 바람직하게는 0.1㎜~6㎜ 정도의 차광부를 갖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가 이용되는 투명판 또는 시트로서는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 투명판 또는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MMA), PC와 PMMA 복합체, 유리,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COC),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아크릴 수지 등의 수지로 작성된 투명판 또는 시트, 또한 그것을 복수장 적층한 편광판 등의 기능성 투명 적층판 또는 시트, 무기 유리로 작성된 투명판(무기 유리판 및 그 가공품(예를 들면, 렌즈, 프리즘, ITO 유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판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광학 기재에는 상기한 편광판 등 외, 터치 패널, 또는 액정 표시판 또는 LED 등의 표시체 등과 같이 복수의 기능판 또는 시트의 적층체(이하, 기능성 적층체라고도 함)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학 기재로서는 판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광학 기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는 시트(예를 들면, 터치 패널 등에 접합하는 시트 등)로서는 아이콘 시트, 화장 시트 및 보호 시트가 예시된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는 판(투명판: 예를 들면 터치 패널 등에 접합하는 투명판 등)으로서는 화장판 및 보호판이 예시된다. 상기 시트 내지 그 판의 재질로서는 상기 투명판의 재질로서 열거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의 표면의 재질로서는 유리, PET, PC, PMMA, PC와 PMMA의 복합체, COC 및 COP가 예시된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바람직한 광학 부재의 하나로서 일부(바람직하게는 주변부)에 차광부를 갖는 판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투명 광학 기재가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물로 상기 기능성 적층체와 접합된 광학 부재를 예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바람직한 예로서는 터치 패널의 터치 센서측의 표면에 주변부에 띠 형상의 차광부를 갖는 상기 투명판 또는 시트가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물에 의해 접합된 터치 패널(또는 터치 패널 센서), 또는 일부(바람직하게는 주변부)에 차광부를 갖는 보호판 등의 판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투명 광학 기재가 표시체의 표시 화면 상에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물에 의해 접합된 표시 장치를 예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체와 광학 기능 재료(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학 기재)를 접합하여 얻어지는, 광학 기능 재료가 부착된 표시체(이하, 표시 패널이라고도 함)의 제조에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표시체로서는 편광판을 부착하고 있는 LCD, EL 디스플레이, EL 조명, 전자 페이퍼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가 예시된다. 또한, 상기 광학 기능 재료로서는 아크릴판, PC판, PET판 및 PEN(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판 등의 투명 플라스틱판, 강화 유리 및 터치 패널 입력 센서(터치 패널 센서)가 예시된다. 이들 기능성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일부(통상, 주변부)에 차광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 표시체와 투명판 또는 투명 시트를 접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시켜 얻어지는 경화물의 굴절률이 1.45~1.55이면 표시 화상의 시인성이 보다 개선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굴절률의 범위 내이면, 투명판으로서 사용되는 기재와의 굴절률차를 저감시킬 수 있고, 광의 난반사를 억제하여 광 손실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광학 부재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하기 (i)~(iv)의 실시형태를 예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i) 「발명의 내용」의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가 (11)~(26) 및 (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이거나, 또는 상기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기재된 (I)~(XIX)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인 광학 부재.
(ii) 차광부를 표면에 갖는 광학 부재는 일부(바람직하게는 주변부)에 차광부를 갖는 판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투명 광학 기재인 상기 (i)에 기재된 광학 부재.
(iii) 차광부를 표면에 갖는 광학 부재와 접합되는 또 한쪽의 광학 기재가 상기 기능성 적층체인 광학 부재.
(iv) 상기 기능성 적층체가 터치 패널 또는 표시체인 광학 부재.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광학 부재는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및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터치 패널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상기 표시 패널 등의 광학 부재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소형 게임기, 휴대 전화 및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표시용 전자 기기)에 장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조금도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실시예 13 및 비교예 1~비교예 3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조제했다. 또한, 유기 화합물(A)로서 사용하는 각 화합물의 융점은 모두 25~300℃의 범위에 있다.
Figure 112014065469784-pct00024
또한, 표 1 중에 약칭으로 나타낸 각 성분은 하기와 같다.
UC-203: 폴리이소프렌 중합물의 무수 말레산 부가물과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에스테르화물(평균 분자량 35,000), 가부시키가이샤 쿠라레이제
UA-1: 폴리프로필렌글리콜(분자량 3,000), 이소보론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의 3성분을 몰비 1:1.3:2로 반응시킨 반응 생성물
FA-513M: 디시클로펜타닐메타크릴레이트, 히타치카세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FA-512AS: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아크릴레이트, 히타치카세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일가큐어 184: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BASF사제
스피드큐어 TPO: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LAMBSON사제
일가큐어 819: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시드, BASF사제
Poly ip: 수산기 말단 액상 폴리이소프렌, 이데미쓰고산 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세프 PKA-5017: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알릴부틸에테르,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제
TINOPAL OB: 2,5-티오펜디일비스(5-tert-부틸-1,3-벤조옥사졸), BASF사제, 흡수 극대 파장 375㎚, 발광 극대 파장 438㎚, 「TINOPAL」은 등록상표이다.
트랜스스틸벤: trans-1,2-디페닐에틸렌, 도쿄카세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흡수 극대 파장 321㎚, 발광 극대 파장 353㎚
9,10-디페닐안트라센: 9,10-디페닐안트라센, 도쿄카세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흡수 극대 파장 279㎚, 발광 극대 파장 429㎚
CBP: 4,4'-비스(9H-카르바졸-9-일)비페닐, 도쿄카세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흡수 극대 파장 302㎚, 발광 극대 파장 369㎚
PBD: 2-(4-비페닐)-5-(4-t-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 와코쥰야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흡수 극대 파장 272㎚, 발광 극대 파장 364㎚
KAYALIGHT B: 7-디에틸아미노-4-메틸쿠마린, 니폰카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 흡수 극대 파장 332㎚, 발광 극대 파장 416㎚ 「KAYALIGHT」는 등록상표이다.
NPB: N,N'-디(1-나프틸)-N,N'-디페닐벤지딘, 가부시키가이샤 도진카가쿠켄큐쇼제, 흡수 극대 파장 339㎚, 발광 극대 파장 450㎚
얻어진 실시예 1~실시예 13 및 비교예 1~비교예 3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이하의 평가를 행했다.
(흡수 파장, 발광 파장 측정)
유기 화합물(A)로서 사용한 각 화합물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농도 0.002wt%)을 각각 조제하고, 각 화합물의 흡수 스펙트럼을 분광광도계 「UV-3150 」(제품명,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쿠쇼제)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실시예에 있어서 화합물(A)로서 사용한 각 화합물의 발광 스펙트럼을 형광광도계 「F-7000」(제품명,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하이테크놀로지스제)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차광부 경화성)
우선, 도 1(a)과 같이 두께 1㎜의 유리판의 한쪽 면의 전면에 흑색 인쇄 처리를 실시하여 자외선 차광부를 형성한 기판과, 도 1(b)과 같이 두께 1㎜의 유리 기판의 한쪽 면의 면적의 절반에 흑색 인쇄 처리를 실시하여 자외선 차광부를 형성한 기판을 준비했다. 유리 기판의 크기는 세로 42㎜, 가로 75㎜였다. 이들 기판의 자외선 차광부가 형성된 면에 실시예 1~실시예 13 및 비교예 1~비교예 3의 각각에서 얻어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 후의 막두께가 100㎛가 되도록 도포했다. 그 후, 각각의 기판에 있어서의 자외선 차광부가 형성된 면이 서로 마주 보도록 2장의 기판을 접합했다.
이어서, 도 2와 같이 한쪽 면의 면적의 절반에 흑색 인쇄 처리를 실시한 기판측으로부터 자외선을 그 접착제층에 조사했다. 실시예 1~실시예 12 및 비교예 1~비교예 3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얻어진 광학 부재에 대해서는 고압 수은등(80W/㎝, 오존레스)을 이용하여 적산광량 3,000mJ/㎠의 자외선을 조사했다. 실시예 13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얻어진 광학 부재에 대해서는 메탈할라이드 램프(SSR engineering사제, D형 광원(Hg+Fe) 메탈할라이드 램프, 조도 350mW/㎠)를 이용하여 적산광량 3,000mJ/㎠의 자외선을 조사했다. 그 후,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접착제층에 있어서 도 3과 같이 흑색 인쇄 처리부의 끝으로부터 접착제의 경화가 진행된 거리(차광부 경화 거리)를 측정했다.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차광부 경화 거리의 측정 결과 및 하기 평가 기준으로 행한 차광부 투과성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차광부 경화 거리가 1,000㎛ 이상
○···차광부 경화 거리가 400㎛ 이상, 1,000㎛ 미만
×···차광부 경화 거리가 400㎛ 미만
(투과율)
불소계 이형제를 도포한 두께 1㎜의 슬라이드 유리 2장을 준비하고, 그 중 1장의 이형제 도포면에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 얻어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 후의 막두께가 200㎛가 되도록 도포했다. 그 후, 2장의 슬라이드 유리를 각각의 이형제 도포면이 서로 마주 보도록 접합했다. 슬라이드 유리에 끼워진 접착제층에 유리 너머로 고압 수은등(80W/㎝, 오존레스)을 이용하여 적산광량 2,000mJ/㎠의 자외선을 조사했다. 그 후, 2장의 슬라이드 유리를 박리함으로써 투명성 측정용 경화물을 제작했다. 그 경화물의 투명성에 대해 분광광도계(제품명 U-3310,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하이테크놀로지스제)를 이용하여 400~800㎚의 범위의 투과율을 측정했다. 그 결과, 실시예 1~실시예 13의 어느 것에 있어서나 400~800㎚의 범위의 투과율은 80% 이상이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경화물에 대한 400㎚에서의 투과율의 측정 결과, 및 하기 평가 기준으로 행한 400㎚에서의 투과율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400㎚의 광의 투과율이 90% 이상
○···400㎚의 광의 투과율이 80% 이상 90% 미만
×···400㎚의 광의 투과율이 80% 미만
표 1의 결과로부터, 유기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포함하는 실시예 1~실시예 13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투명 보호판에 차광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일방향으로부터의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서 차광부에 의해서 자외선이 차광되는 차광 영역에 위치하는 그 접착제의 경화를 진행시킬 수 있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인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유기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물은 실용적이고 바람직한 투과율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실시예 13에서 얻어진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하의 성능 평가를 행했다.
(수축률)
불소계 이형제를 도포한 두께 1㎜의 슬라이드 유리 2장을 준비하고, 그 중 1장의 이형제 도포면에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 후의 막 두께가 200㎛가 되도록 도포했다. 그 후, 2장의 슬라이드 유리를 각각의 이형제 도포면이 서로 마주 보도록 접합했다. 슬라이드 유리에 끼워진 접착제층에 유리 너머로 고압 수은등(80W/㎝, 오존레스)를 이용하여 적산광량 2,000mJ/㎠의 자외선을 조사했다. 그 후, 2장의 슬라이드 유리를 박리함으로써 막비중 측정용 경화물을 제작했다.
JIS K7112 B법을 준거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경화물의 비중(DS)을 측정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량의 경화물을 피크노미터에 넣어 피크노미터의 중량을 측정한 후, 그것에 침지액을 첨가하여 피크노미터를 채우고 경화물 및 침지액을 포함하는 피크노미터의 중량을 측정했다. 또한, 침지액만으로 채운 피크노미터의 중량을 별도로 측정했다. 이것들의 측정 결과로부터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경화물의 비중을 산출했다. 또한, 각 실시예의 경화 전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대해 25℃에서의 액비중(DL)을 측정했다. DS 및 DL의 측정 결과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경화 수축률을 산출했다.
경화 수축률(%)=(DS-DL)/DS×100
그 결과, 실시예 1~실시예 13의 어느 것에 있어서나 경화 수축률은 1.5% 미만이었다.
(유연성)
얻어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충분히 경화시켜 JIS K7215에 준거하는 방법에 의해 듀로미터 경도계(타입 E)를 이용하여 듀로미터 E 경도를 측정하여 유연성을 평가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실시예 1~실시예 13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 후의 막두께가 1㎝가 되도록 원기둥 형상의 틀에 흘려 넣고, 이어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충분하게 경화시켜 얻어진 경화물의 경도를 듀로미터 경도계(타입 E)로 측정했다. 그 결과, 실시예 1~실시예 13에서 얻어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물은 모두 듀로미터 E 경도는 10 미만이며, 유연성이 우수했다.
(제거 성능)
크기가 3.5인치인 액정 표시 유닛의 수지제 필름 표면에 실시예 2~실시예 13에서 조제된 각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 후의 막두께가 250㎛가 되도록 도포했다. 이어서, 터치 센서를 갖는 유리 기판을 각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상에 놓고 액정 표시 유닛과 접합했다. 최후로, 터치 센서를 갖는 유리 기판측으로부터 초고압 수은 램프(TOSCURE(등록상표) 752, 해리슨도시바라이팅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이용하여 적산광량 20~1,500mJ/㎠의 범위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층을 경화하여 본 발명의 광학 부재를 제작했다.
그리고, 금속제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광학 부재를 절단하고, 액정 표시 유닛 및 터치 센서를 갖는 유리 기판으로부터 수지 경화물을 분리했다. 그 후,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적신 포백(布帛)으로 액정 표시 유닛의 수지제 필름 표면 및 유리 기판 표면을 닦아 냄으로써 수지제 필름 및 유리 기판에 부착되어 있는 수지 경화물의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 어느 실시예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수지제 필름 또는 유리 기판에 있어서의 수지 경화물의 부착은 확인되지 않았다.
1: 유리판 2: 흑색 인쇄(자외선 차광부)
3: 자외선 4: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5: 경화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6: 차광부 경화 거리

Claims (32)

  1. 광학 기재 및 차광부를 표면에 갖는 광학 기재는,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측정한 흡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 250~400㎚의 범위이고, 또한 발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 350~430㎚의 범위인 자외선을 흡수하여 발광하는 유기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함유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물층에 의해 접착되어 있고,
    상기 유기 화합물(A)은 상기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 용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 화합물(A)의 상기 발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 350~4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200㎛ 막두께의 경화물로 했을 때의 파장 400㎚의 광의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C)는 상기 유기 화합물(A)이 발하는 광의 파장에 흡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C)의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측정한 365㎚에 있어서의 단위 중량당 흡광계수는 85~10,000m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로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8. 제 6 항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로서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유연화 성분(D)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1.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서,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측정한 흡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 250~400㎚의 범위이고, 또한 발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 350~430㎚의 범위인 자외선을 흡수하여 발광하는 유기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함유하고,
    상기 유기 화합물(A)은 상기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 용해되어 있으며,
    적어도 차광부를 표면에 갖는 광학 기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광학 기재를 접착한 광학 부재를 제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유기 화합물(A)의 상기 발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 350~4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3.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서,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측정한 흡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 250~400㎚의 범위이고, 또한 발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 350~430㎚의 범위인 자외선을 흡수하여 발광하는 유기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함유하고,
    상기 유기 화합물(A)이 상기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 용해되어 있으며,
    광학 기재 및 차광부를 표면에 갖는 광학 기재를 접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유기 화합물(A)의 상기 발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 350~4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5. 제 13 항에 있어서,
    흡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 270~320㎚의 범위이고, 또한 발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 350~4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200㎛ 막두께의 경화물로 했을 때의 파장 400㎚의 광의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7. 제 13 항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C)는 상기 유기 화합물(A)이 발하는 광의 파장에 흡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8. 제 13 항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C)의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측정한 365㎚에 있어서의 단위 중량당 흡광계수는 85~10,000m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9. 제 18 항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C)의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측정한 365㎚에 있어서의 단위 중량당 흡광계수는 400~10,000m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0. 제 13 항에 있어서,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1. 제 20 항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로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2. 제 20 항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로서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3. 제 13 항에 있어서,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i)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 및 (ii)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4. 제 13 항에 있어서,
    유기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 이외의 기타 성분을 더 포함하고,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에 대하여 자외선을 흡수하여 발광하는 유기 화합물(A)의 함량이 0.001~5중량%이고, 광중합 개시제(C)의 함량이 0.01~5중량%이고, 잔부가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기타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5. 제 24 항에 있어서,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i)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 및 (ii)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를 포함하고,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 중에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의 함량이 5~90중량%이고,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의 함량이 5~7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6. 제 13 항에 있어서,
    유연화 성분(D)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7. 제 26 항에 있어서,
    유연화 성분(D)의 함량은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 중에 10~8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8. 제 13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학 기재 및 차광부를 표면에 갖는 광학 기재는 터치 패널용 광학 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9. 제 13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물.
  30. 광학 기재 및 차광부를 갖는 광학 기재를, 제 13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한 후, 활성 에너지선을 차광부를 갖는 광학 기재를 통해 그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의 제조방법.
  31.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서,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측정한 흡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 250~400㎚의 범위이고, 또한 발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 350~430㎚의 범위인 자외선을 흡수하여 발광하는 유기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함유하고,
    상기 유기 화합물(A)이 상기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 용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32. 제 31 항에 있어서,
    유기 화합물(A)의 상기 발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이 350~4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KR1020147019371A 2012-01-13 2012-10-25 광학 부재 및 그 제조에 사용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KR1020107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05251 2012-01-13
JPJP-P-2012-005251 2012-01-13
JP2012062990 2012-03-21
JPJP-P-2012-062990 2012-03-21
PCT/JP2012/006836 WO2013105163A1 (ja) 2012-01-13 2012-10-25 光学部材及びその製造に用いる紫外線硬化型接着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283A KR20140111283A (ko) 2014-09-18
KR102010799B1 true KR102010799B1 (ko) 2019-08-14

Family

ID=48781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9371A KR102010799B1 (ko) 2012-01-13 2012-10-25 광학 부재 및 그 제조에 사용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356591A1 (ko)
JP (1) JP5953319B2 (ko)
KR (1) KR102010799B1 (ko)
CN (1) CN104114359B (ko)
TW (1) TWI561604B (ko)
WO (1) WO20131051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1741B2 (ja) * 2012-03-21 2016-04-13 日本化薬株式会社 光学部材及びその製造に用いる紫外線硬化型接着剤
KR102213491B1 (ko) * 2013-09-09 2021-02-08 닛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이용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US10611932B2 (en) 2014-08-12 2020-04-07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Transparent adhesive sheet
KR101887430B1 (ko) * 2014-08-12 2018-08-10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적층체
KR101685303B1 (ko) 2014-09-30 2016-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WO2016098713A1 (ja) * 2014-12-16 2016-06-23 横浜ゴム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および積層体
WO2016117526A1 (ja) * 2015-01-19 2016-07-28 日本化薬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それに用いる硬化性樹脂組成物、タッチ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6145286A (ja) * 2015-02-06 2016-08-12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及び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JP6490999B2 (ja) * 2015-03-16 2019-03-27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接続構造体、及び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WO2016151908A1 (ja) * 2015-03-26 2016-09-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US10578785B2 (en) * 2015-08-18 2020-03-03 Corning Incorporated Blocking coating with adhesion layer for ultraviolet optics
US10459134B2 (en) * 2015-08-18 2019-10-29 Corning Incorporated UV-blocking coating with capping layer in optical assembly having UV light source
JP6823919B2 (ja) * 2015-09-08 2021-02-03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49795B2 (ja) * 2015-11-18 2020-09-0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バックライト装置、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およびバックライト装置の製造方法
KR102431689B1 (ko) * 2015-12-28 2022-08-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착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 방법
JP2017135065A (ja) * 2016-01-29 2017-08-03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異方性導電フィルム、接続方法、及び接合体
JP6643574B2 (ja) * 2016-02-16 2020-02-12 協立化学産業株式会社 光硬化性樹脂組成物
FR3061074B1 (fr) * 2016-12-23 2021-05-28 Saint Gobain Vitrage feuillete colore
US10283476B2 (en) * 2017-03-15 2019-05-07 Immunolight, Llc. Adhesive bonding composition and electronic components prepared from the same
JP6431968B2 (ja) * 2017-11-09 2018-11-28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用粘着剤層、粘着剤層付き透明導電性フィルム、及びタッチパネル
TWI809128B (zh) * 2018-07-03 2023-07-21 日商Dic股份有限公司 配向助劑、液晶組成物及液晶顯示元件
JP6592579B2 (ja) * 2018-11-05 2019-10-16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用粘着剤層、粘着剤層付き透明導電性フィルム、及びタッチパネル
JP6715378B2 (ja) * 2019-06-26 2020-07-01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及び構造体の製造方法
TW202128785A (zh) * 2019-07-31 2021-08-01 日商積水保力馬科技股份有限公司 光硬化性的樹脂組合物
US20240002603A1 (en) * 2020-11-24 2024-01-04 Toagosei Co., Ltd.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sition with dark part curabilit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6184A (ja) * 2005-12-06 2007-06-21 Sekisui Chem Co Ltd 液晶表示素子用シール剤、上下導通材料及び液晶表示素子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36410A1 (de) * 1979-09-08 1981-03-26 Agfa-Gevaert Ag, 51373 Leverkusen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farbphotographischer materialien sowie farbphotographisches material
JPS57189A (en) * 1980-06-04 1982-01-05 Teijin Ltd Molded body capable of converting light wave length
DE3162637D1 (en) * 1980-06-04 1984-04-19 Teijin Ltd Fluorescent composition having the ability to change wavelengths of light, shaped article of said composition as a light wavelength converting element, and device for converting optical energy to electrical energy using said element
TW330945B (en) * 1995-04-28 1998-05-01 Nippon Chemicals Pharmaceutical Co Ltd Ultraviolet-curable adhesive composition
JP4208187B2 (ja) * 2002-10-28 2009-01-1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粘着型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241452B2 (ja) * 2004-03-18 2009-03-18 三井化学株式会社 光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む液晶シール剤組成物
TW200900758A (en) * 2007-03-16 2009-01-01 Toagosei Co Ltd Optical film layered body,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09186954A (ja) 2007-04-04 2009-08-20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4711354B2 (ja) 2007-07-17 2011-06-29 ソニーケミカル&インフォメーションデバイス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7846541B2 (en) * 2007-11-02 2010-12-07 Seiko Epson Corporation Optical element having optical adhesive layer and polarizer
JP5058018B2 (ja) * 2008-02-14 2012-10-2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TWI485214B (zh) * 2008-09-05 2015-05-21 Kyoritsu Chemical Co Ltd And a photohardenable resin composition for bonding an optical functional material
JP5817354B2 (ja) * 2011-09-07 2015-11-18 Dic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粘着剤用樹脂組成物、粘着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6184A (ja) * 2005-12-06 2007-06-21 Sekisui Chem Co Ltd 液晶表示素子用シール剤、上下導通材料及び液晶表示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53319B2 (ja) 2016-07-20
CN104114359A (zh) 2014-10-22
JPWO2013105163A1 (ja) 2015-05-11
KR20140111283A (ko) 2014-09-18
WO2013105163A1 (ja) 2013-07-18
CN104114359B (zh) 2018-01-09
TW201329184A (zh) 2013-07-16
US20140356591A1 (en) 2014-12-04
TWI561604B (en) 2016-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799B1 (ko) 광학 부재 및 그 제조에 사용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JP5995876B2 (ja) 光学部材及びその製造に用いる紫外線硬化型接着剤
JP5901741B2 (ja) 光学部材及びその製造に用いる紫外線硬化型接着剤
JP6326390B2 (ja)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
JP5331271B1 (ja) 光学部材の製造方法及びそのための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の使用
KR101904791B1 (ko)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경화물 및 광학 부재
US20160342254A1 (en) Ultraviolet-Curable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Optical Member Producing Method Using Same, Cured Product, And Touch Panel
KR20140101344A (ko) 광학부재,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경화물
WO2014024471A1 (ja)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硬化物及び物品
KR102213491B1 (ko)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이용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