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447B1 -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 Google Patents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447B1
KR102009447B1 KR1020180032058A KR20180032058A KR102009447B1 KR 102009447 B1 KR102009447 B1 KR 102009447B1 KR 1020180032058 A KR1020180032058 A KR 1020180032058A KR 20180032058 A KR20180032058 A KR 20180032058A KR 102009447 B1 KR102009447 B1 KR 102009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tube
shaft
friction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형
이재식
Original Assignee
(주) 율림에어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율림에어샤프트 filed Critical (주) 율림에어샤프트
Priority to KR1020180032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447B1/ko
Priority to JP2019044514A priority patent/JP6730561B2/ja
Priority to PCT/KR2019/002973 priority patent/WO2019182289A1/ko
Priority to EP19772533.6A priority patent/EP3770094A4/en
Priority to US16/355,334 priority patent/US10843886B2/en
Priority to CN201910203381.6A priority patent/CN11030447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3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actuated by use of a fluid
    • B65H75/2437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actuated by use of a fluid comprising a fluid-pressure-actuated elastic member, e.g. a diaphragm or a pneumatic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3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actuated by use of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2Supporting web roll
    • B65H18/021Multiple web rol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2Supporting web roll
    • B65H18/04Interior-sup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14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 roll, e.g. to effect continuous advancement of web
    • B65H18/16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 roll, e.g. to effect continuous advancement of web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1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weighted or spring-pressed mov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fluid action, e.g. to retard the running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8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expansion caused by actuator movable in axial direction
    • B65H75/2484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expansion caused by actuator movable in axial direction movable actuator including wedge-like or lobed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6Mounting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4Winding
    • B65H2301/4148Winding slitting
    • B65H2301/41485Winding slitting winding on one single shaft or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1Joints, e.g. riveted or magnetic joints
    • B65H2402/51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4Springs, e.g. helical or leaf springs
    • B65H2402/5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40Holders, supports for rolls
    • B65H2405/45Shafts for winding/unw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10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 B65H2406/13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pressure arrangement for compensating weight of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10Actuating means linear
    • B65H2555/11Actuating means linear pneumatic, e.g. inflatable elements

Landscapes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종이, 원단이나 필름과 같은 원소재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절단되어 형성되는 단위소재를, 롤 형태로 권취하기 위한 권취관이 외면에 설치되는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에 관한 것으로써,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공기공급부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제1회전축을 포함하며, 제1회전축은 제1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통로가 내부에 길게 형성되고,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제1,2공급구멍이 이동통로와 연결되도록 외면 한쪽에 형성되며, 제1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통로와 연결되는 이동구멍이 외면 반대편 한쪽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면서 제1회전축의 원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고, 제1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제1배출구멍이 외면 반대편 한쪽에 이동구멍보다 길게 형성되면서 제1회전축의 원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의 이동구멍의 사이에 형성되며, 제1배출구멍의 개방된 한쪽 끝에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이동통로와 제1배출구멍을 연결해주는 연결구멍이 내부에 형성되며, 제1배출구멍에 설치되고, 연결구멍과 연결되는 제3공급구멍을 가진 튜브를 포함하고, 제1배출구멍에 이웃하게 다수로 설치되고, 제1마찰부가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부가 제1마찰부 주변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토크용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하며,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고, 제2회전축은 제2공급구멍으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를 연결구멍으로 이동시켜주는 이동홈이 제2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원 형태로 길게 외면 한쪽에 형성되며, 제2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구멍을 향하는 제1체결구멍이 외면 반대편 한쪽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면서 제2회전축의 원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고, 제1체결구멍에 체결되어 이동구멍에서 노출되는 가압구를 포함하며, 제1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회전축의 외면에 다수로 이웃하게 설치되며, 권취관이 외면에 설치되는 제1회전관을 포함하고, 제1회전관은 제1마찰부에 마찰되는 제2마찰부가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면서 제2마찰부의 양쪽으로 제1,2끼움공간가 각각 형성되고, 제2끼움공간을 향하는 제2마찰부의 한쪽 면에 제1회전관의 원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끼움구멍이 형성되며, 제1회전관의 원주를 따라 제2끼움공간과 연결되는 제2배출구멍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외면에 형성되고, 제2끼움공간에 이동할 수 있게 끼워지면서 제1회전축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2회전관을 포함하며, 제2회전관은 제2배출구멍을 향하는 걸림구멍이 제2회전관의 원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외면에 형성되고, 걸림구멍에 제1경사면이 형성되며, 끼움구멍을 향하는 끼움구멍이 제2회전관의 원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외면에 형성되고, 끼움구멍에 근접한 내면 한쪽에서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면서 내면 반대편 한쪽에 제3끼움공간이 형성되며, 제2마찰부 및 걸림턱에 각각 걸리도록 제1,3끼움공간에 각각 끼워져서 제1회전축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1,2베어링을 포함하고, 끼움구멍에 끼워지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제2배출구멍에 설치되며, 제1경사면에 안내되는 제2경사면이 외면 한쪽에 형성되고, 외면 반대편 한쪽에 걸림구멍이 형성되며, 걸림구멍의 주변 외면에 제2체결구멍이 형성되는 안내구를 포함하고, 다수의 안내구의 걸림구멍에 동시에 끼워지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제2배출구멍에 설치되고, 제2체결구멍에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제3체결구멍을 가진 클램핑용 러그를 포함하고, 압축공기가 제1공급구멍을 통해 이동통로로 공급되면,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제2회전축이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가압구가 이동구멍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동하는 가압구에 순차적으로 제2베어링 및 제2회전관이 가압되면서 제1경사면에 제2경사면이 안내되어 제2배출구멍에서 클램핑용 러그가 배출되며, 배출된 클램핑용 러그는 권취관의 내면에 밀착되고, 압축공기가 순차적으로 제2공급구멍 및 이동홈 및 연결구멍을 지나 튜브의 제3공급구멍에 공급되면, 튜브가 팽창되면서 토크용 브레이크 패드의 제1마찰부가 제1배출구멍에서 배출되어 제1회전관의 제2마찰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Friction Shaft For Slitter}
본 발명은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슬리터에 의해 형성된 단위소재를 권취관이 안정적으로 권취할 수 있도록, 단위소재의 두께 및 중량에 대응할 수 있게 압축공기를 공급받아서 권취관의 권취 장력을 조절해주는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리터(Slitter)는 각종 종이, 원단이나 필름과 같은 원소재를 미리 정해딘 간격으로 절단하는 장치를 말한다. 그리고, 슬리터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단위소재를 롤 형태로 권취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관을 사용한다.
그래서, 지관에 각종 종이, 원단이나 필름과 같은 다수의 단위소재를 롤 형태로 권취하기 위해,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지관을 회전시켜주는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를 사용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1은 권취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봉형상의 권취축; 천공에 의해 권취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권취축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1홀; 권취축의 외주면에서 제1홀까지 통할 수 있도록 천공에 의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제1홀의 연장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복수 개의 제3홀; 단위소재를 권취하기 위한 지관의 내주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권취축의 외주에 차례로 끼워지는 단관의 형상이며, 제3홀이 마련된 위치마다 설치되는 다수의 홀더; 제1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홀더로 하여금 지관에 압력을 가하도록 하는 제1공압발생부를 포함하되; 홀더는, 단관 형태로서 외주를 따라 복수의 러그안착홈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3홀과 러그안착홈을 소통시키는 연결홀이 천공에 의해 마련되는 홀더베이스; 권취축의 반경방향을 따라 기동할 수 있도록 러그안착홈에 끼워지는 러그; 일단은 러그에 지지되고 타단은 러그안착홈에 지지됨으로써 러그로 하여금 권취축의 반경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돌출하려는 힘을 받도록 하는 스프링; 러그로 하여금 러그안착홈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러그의 외측면 가장자리를 압박하면서 홀더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커버; 제1홀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러그를 권취축의 중심부를 향해 압착되도록 유도하는 공기압가이드수단; 을 포함하는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1의 경우, 구조상 스프링의 사이즈나 강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스프링의 탄성력을 능가할 정도로 단위소재의 두께가 두껍고 중량이 무거우면 단위소재를 권취관이 제대로 권취하기가 어려웠었다.
즉, 특허문헌1은 압축공기를 공급받아서 러그의 권취 장력을 스프링의 탄성력 이상으로 조절하기가 어려웠었다.
특허문헌1 : 국내 공개특허 제10-2014-0083406호 (2014. 07. 04.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슬리터에 의해 형성된 단위소재를 권취관이 안정적으로 권취할 수 있도록, 단위소재의 두께 및 중량에 대응할 수 있게 압축공기를 공급받아서 권취관의 권취 장력을 조절해주는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종 종이, 원단이나 필름과 같은 원소재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절단되어 형성되는 단위소재를, 롤 형태로 권취하기 위한 권취관이 외면에 설치되는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에 있어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공기공급부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제1회전축을 포함하며, 제1회전축은 제1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통로가 내부에 길게 형성되고,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제1,2공급구멍이 이동통로와 연결되도록 외면 한쪽에 형성되며, 제1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통로와 연결되는 이동구멍이 외면 반대편 한쪽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면서 제1회전축의 원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고, 제1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제1배출구멍이 외면 반대편 한쪽에 이동구멍보다 길게 형성되면서 제1회전축의 원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의 이동구멍의 사이에 형성되며, 제1배출구멍의 개방된 한쪽 끝에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이동통로와 제1배출구멍을 연결해주는 연결구멍이 내부에 형성되며, 제1배출구멍에 설치되고, 연결구멍과 연결되는 제3공급구멍을 가진 튜브를 포함하고, 제1배출구멍에 이웃하게 다수로 설치되고, 제1마찰부가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부가 제1마찰부 주변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토크용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하며,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고, 제2회전축은 제2공급구멍으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를 연결구멍으로 이동시켜주는 이동홈이 제2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원 형태로 길게 외면 한쪽에 형성되며, 제2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구멍을 향하는 제1체결구멍이 외면 반대편 한쪽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면서 제2회전축의 원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고, 제1체결구멍에 체결되어 이동구멍에서 노출되는 가압구를 포함하며, 제1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회전축의 외면에 다수로 이웃하게 설치되며, 권취관이 외면에 설치되는 제1회전관을 포함하고, 제1회전관은 제1마찰부에 마찰되는 제2마찰부가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면서 제2마찰부의 양쪽으로 제1,2끼움공간가 각각 형성되고, 제2끼움공간을 향하는 제2마찰부의 한쪽 면에 제1회전관의 원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끼움구멍이 형성되며, 제1회전관의 원주를 따라 제2끼움공간과 연결되는 제2배출구멍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외면에 형성되고, 제2끼움공간에 이동할 수 있게 끼워지면서 제1회전축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2회전관을 포함하며, 제2회전관은 제2배출구멍을 향하는 걸림구멍이 제2회전관의 원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외면에 형성되고, 걸림구멍에 제1경사면이 형성되며, 끼움구멍을 향하는 끼움구멍이 제2회전관의 원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외면에 형성되고, 끼움구멍에 근접한 내면 한쪽에서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면서 내면 반대편 한쪽에 제3끼움공간이 형성되며, 제2마찰부 및 걸림턱에 각각 걸리도록 제1,3끼움공간에 각각 끼워져서 제1회전축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1,2베어링을 포함하고, 끼움구멍에 끼워지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제2배출구멍에 설치되며, 제1경사면에 안내되는 제2경사면이 외면 한쪽에 형성되고, 외면 반대편 한쪽에 걸림구멍이 형성되며, 걸림구멍의 주변 외면에 제2체결구멍이 형성되는 안내구를 포함하고, 다수의 안내구의 걸림구멍에 동시에 끼워지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제2배출구멍에 설치되고, 제2체결구멍에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제3체결구멍을 가진 클램핑용 러그를 포함하고, 압축공기가 제1공급구멍을 통해 이동통로로 공급되면,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제2회전축이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가압구가 이동구멍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동하는 가압구에 순차적으로 제2베어링 및 제2회전관이 가압되면서 제1경사면에 제2경사면이 안내되어 제2배출구멍에서 클램핑용 러그가 배출되며, 배출된 클램핑용 러그는 권취관의 내면에 밀착되고, 압축공기가 순차적으로 제2공급구멍 및 이동홈 및 연결구멍을 지나 튜브의 제3공급구멍에 공급되면, 튜브가 팽창되면서 토크용 브레이크 패드의 제1마찰부가 제1배출구멍에서 배출되어 제1회전관의 제2마찰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따라 권취관의 권취 장력을 낮게 하거나 높게 해서 단위소재를 권취관으로 권취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와 달리 단위소재의 두께 및 중량에 대응해서 권취관이 권취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와 달리 손상되기 쉬운 지관과 같은 권취관에, 클램핑용 러그의 압력을 알맞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와 달리 클램핑용 러그의 마찰력 부족에 따른 권취관의 슬립 현상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단위소재를 권취하는 권취관의 권취 장력이 제1,2회전축의 회전력보다 커지면, 제1,2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 권취관이 슬립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효과가 있다.
즉, 권취관의 슬립 현상을 발생시켜 주변에 위치한 권취관과 동일한 권취 장력을 가지게 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다수의 권취관의 권취 장력으로 인해 다수의 단위소재가 다수의 권취관에 어떤 것은 느슨하게 어떤 것은 빡빡하게 귄취되는 상품성 저하 현상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다수의 단위소재를 다수의 권취관에 일정한 권취 장력으로 정상적인 롤 형태로 권취되게 하여, 상품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압축공기의 공급이 없으면 권취관에 대한 클램핑용 러그의 가압이 해제되면서 제1회전관의 내부로 클램핑용 러그 다시 삽입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권취관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4,5체결구멍의 체결 및 체결 해제에 의해 제1회전관에 제3회전관을 설치 및 설치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에 필요한 토크용 브레이크 패드와의 마찰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권취관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회전관의 걸림홈에 제3회전관의 걸림부가 걸려서 고정되기 때문에, 제1회전관에 제3회전관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2,3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권취관의 권취 작업 및 작업 해제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2,3탄성부재가 탄성이 좋은 스프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권취관의 권취 작업 및 작업 해제가 더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2회전축의 걸림부가 이동통로의 한쪽 끝에 걸리면, 클램핑용 러그가 제1회전관의 제2배출구멍에서 과도하게 노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즉, 클램핑용 러그가 과도하게 권취관의 내면을 가압하여 손상시키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압축공기를 안내하는 노즐에 의해 튜브의 팽창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권취 작업 준비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압축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튜브의 개방된 양쪽을 밀폐부재로 밀폐하기 때문에, 토크용 브레이크 패드의 제1마찰부와 제1,3회전관의 제2,3마찰부와의 마찰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밀폐부재로 튜브를 강하게 가압하더라도 보호 필름이 튜브의 손상을 막아주기 때문에, 손상된 튜브로 인해 압축공기가 새어나가는 현상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의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10은 도 3의 부분 확대 단면도 및 상세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롤 형태로 권취된 각종 종이, 원단이나 필름과 같은 원소재(1)를 권취장치(6c)에 공급해주는 공급장치(6a)와, 상기 원소재(1)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절단하는 절단장치(6b)와, 상기 원소재(1)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단위소재(1a)를 권취관(2)으로 롤 형태로 권취하는 권취장치(6c)가 포함된 슬리터(6)에 설치된다.
즉,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슬리터(6)의 권취장치(6c)에 설치되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권취장치(6c)는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를 회전시켜주는 구동모터(3)와,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컴프레서 등과 같은 공기공급부(4)와,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에 다른 공기공급부(4)의 압축공기를 따로 공급되게 해주는 공기전달부(4a)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소재(1a)는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권취관(2)도 그에 맞게 다수로 구성되어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의 외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권취관(2)은 지관, FRP 코어 등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구동모터(3)에 의해 회전되고, 공기공급부(4)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제1회전축(1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축(10)은 상기 제1회전축(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통로(11)가 내부에 길게 형성되고, 상기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제1,2공급구멍(12)(13)이 이동통로(11)와 연결되도록 외면 한쪽에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통로(11)와 연결되는 이동구멍(14)이 외면 반대편 한쪽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1회전축(10)의 원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축(10)의 길이 방향으로 제1배출구멍(15)이 외면 반대편 한쪽에 이동구멍(14)보다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제1회전축(10)의 원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의 이동구멍(14)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배출구멍(15)의 개방된 한쪽 끝에 걸림턱(16)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통로(11)와 제1배출구멍(15)을 연결해주는 연결구멍(17)이 내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회전축(10)은 관 형태의 축들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제1배출구멍(15)에 설치되고, 연결구멍(17)과 연결되는 제3공급구멍(20a)을 가진 튜브(2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제1배출구멍(15)에 이웃하게 다수로 설치되고, 제1마찰부(31)가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16)에 걸리는 걸림부(32)가 제1마찰부(31) 주변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토크용 브레이크 패드(3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토크용 브레이크 패드(30)는 판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며, 내마모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이동통로(11)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제2회전축(4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회전축(40)은 제2공급구멍(13)으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를 연결구멍(17)으로 이동시켜주는 이동홈(41)이 상기 제2회전축(40)의 길이 방향으로 원 형태로 길게 외면 한쪽에 형성되며, 상기 제2회전축(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구멍(14)을 향하는 제1체결구멍(42)이 외면 반대편 한쪽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2회전축(40)의 원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제1체결구멍(42)에 체결되어 이동구멍(14)에서 노출되는 가압구(5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제1회전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회전축(10)의 외면에 다수로 이웃하게 설치되며, 권취관(2)이 외면에 설치되는 제1회전관(6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관(60)은 제1마찰부(31)에 마찰되는 제2마찰부(60a)가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제2마찰부(60a)의 양쪽으로 제1,2끼움공간(60b)(60c)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끼움공간(60c)을 향하는 제2마찰부(60a)의 한쪽 면에 제1회전관(60)의 원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끼움구멍(60d)이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관(60)의 원주를 따라 제2끼움공간(60c)과 연결되는 제2배출구멍(60e)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외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제2끼움공간(60c)에 이동할 수 있게 끼워지면서 제1회전축(10)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2회전관(61)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회전관(61)은 제2배출구멍(60e)을 향하는 걸림구멍(61a)이 상기 제2회전관(61)의 원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구멍(61a)에 제1경사면(61b)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구멍(60d)을 향하는 끼움구멍(61c)이 상기 제2회전관(61)의 원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멍(61c)에 근접한 내면 한쪽에서 걸림턱(61d)이 돌출 형성되면서 내면 반대편 한쪽에 제3끼움공간(61e)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제2마찰부(60a) 및 걸림턱(61d)에 각각 걸리도록 제1,3끼움공간(60b)(61e)에 각각 끼워져서 제1회전축(10)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1,2베어링(62)(63)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2베어링(62)(63)은 볼베어링 등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끼움구멍(60d)(61c)에 끼워지는 제1탄성부재(6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제2배출구멍(60e)에 설치되며, 제1경사면(61b)에 안내되는 제2경사면(65a)이 외면 한쪽에 형성되고, 외면 반대편 한쪽에 걸림구멍(65b)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구멍(65b)의 주변 외면에 제2체결구멍(65c)이 형성되는 안내구(65)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구(65)는 사다리꼴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다수의 안내구(65)의 걸림구멍(65b)에 동시에 끼워지는 제2탄성부재(66)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제2배출구멍(60e)에 설치되고, 제2체결구멍(65c)에 체결부재(5)로 체결되는 제3체결구멍(67a)을 가진 클램핑용 러그(67)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용 러그(67)는 내마모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배출구멍(60e)의 주변 외면에 제2끼움공간(60c)과 연결되는 제4체결구멍(60f)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제2끼움공간(60c)에 끼워져서 제1회전축(10)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3회전관(68)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3회전관(68)은 제4체결구멍(60f)과 체결부재(5)로 체결되는 제5체결구멍(68a)이 외면에 형성되고, 내면 한쪽에서 제1마찰부(31)에 마찰되는 제3마찰부(68b)가 돌출 형성되면서 내면 반대편 한쪽에 제4끼움공간(68c)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제3마찰부(68b)에 걸리도록 제4끼움공간(68c)에 끼워져서 제1회전축(10)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3베어링(69)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3베어링(69)은 볼베어링 등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관(60)은 제4체결구멍(60f)의 주변 내면에 걸림홈(60g)이 형성되고, 상기 제3회전관(68)은 걸림홈(60g)에 걸리는 걸림부(68d)가 제5체결구멍(68a)의 주변 외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이동통로(11)와 제2회전축(40)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한 상기 제2회전축(40)을 원상 복귀시켜주는 제3탄성부재(7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2탄성부재(66)는 탄성이 좋은 링과 유사한 형태의 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3탄성부재(64)(70)는 탄성이 좋은 코일과 유사한 형태의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축(40)은 스프링으로 형성된 제3탄성부재(70)의 안쪽으로 삽입되는 걸림부(43)가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제2회전축(40) 이동 시, 클램핑용 러그(67)가 제2배출구멍(60e)에서 배출되면 곧바로 걸림부(43)가 이동통로(11)에 걸리게 되도록 상기 제2회전축(40)에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튜브(20)에 한쪽이 삽입되고, 반대편 한쪽이 제3공급구멍(20a) 및 연결구멍(17)에 끼워지는 노즐(8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80)은 공급된 압축공기가 튜브(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속하게 이동하도록 'ㄱ' 형태의 안내공간(80a)이 내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다수의 상기 토크용 브레이크 패드(30)의 전체 길이는 튜브(20)보다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다수의 상기 토크용 브레이크 패드(30)의 양쪽으로 제1배출구멍(15)에 설치되어 튜브(20)의 개방된 양쪽을 가압하여 밀폐시켜주는 밀폐부재(81)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81)는 제1배출구멍(15)에 설치되어 튜브(20)에 밀착되는 제1이동판(81a)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81)는 제1배출구멍(15)에 설치되며, 걸림턱(16)에 걸리는 걸림부(81b')가 외면 양쪽에서 돌출 형성되고, 외면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제6체결구멍(81b'')이 형성된 제2이동판(81b)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81)는 제6체결구멍(81b'')에 체결되는 무두볼트(81c)가 포함된다.
즉, 상기 무두볼트(81c)를 제6체결구멍(81b'')에 체결하면서 제1이동판(81a)을 가압하면, 상기 제1이동판(81a)은 무투볼트(81c)의 가압에 의해 이동하여 튜브(20)의 개방된 한쪽을 가압하여 밀폐시키게 되고, 상기 제2이동판(81b)은 무두볼트(81c)와 제6체결구멍(81b'')의 체결에 의해 이동하여 걸림부(81b')가 걸림턱(16)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이동판(81a)은 외면 한쪽에 튜브(20)의 개방된 한쪽을 가압하는 가압부(81a')가 돌출 형성되어, 'ㄱ'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6체결구멍(81b'')으로 무두볼트(81c)를 체결 시, 제1이동판(81a)의 가압부(81a')는 튜브(20)의 개방된 한쪽을 가압하여 밀폐시키게 되면서 동시에, 상기 제1이동판(81a)의 외면 반대편 한쪽은 튜브(20)를 가압하여 노즐(80)에 밀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이동판(81a)에는 튜브(20)의 손상을 방지해주는 보호 필름(81d)이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제1,2공급구멍(12)(13)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거나 외부로 빠지는 것을 막아주는 밀폐링 등과 같은 밀폐부재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다수의 제1회전관(6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부재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제1회전축(10)의 외면에 설치되어 다수의 제1회전관(60)의 양쪽을 지지해주는 지지관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압축공기를 대신하여 스크류 방식 또는 실린더 등을 적용해 제2회전축(40)을 이동통로(11)를 따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각종 종이, 원단이나 필름과 같은 원소재(1)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절단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단위소재(1a)를, 롤 형태로 각각 권취할 수 있도록 다수의 권치관(2)을 제1회전축(10)의 외면에 끼운다.
그리고,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다수의 권취관(2)을 외면에 끼운 상태에서 공기전달부(4a) 및 공기공급부(4)을 통해 압축공기를 공급받는다.
여기서, 상기 공기공급부(4)는 원소재(1)의 단위소재(1a)가 두께가 얇고 중량이 가벼우면 권취관(2)의 권취 장력이 낮게 발휘되도록 그에 맞는 압축공기를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에 공급하게 되고, 상기 원소재(1)의 단위소재(1a)가 두께가 두껍고 중량이 무거우면 권취관(2)의 권취 장력이 높게 발휘되도록 그에 맞는 압축공기를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에 공급하게 된다.
즉,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권취관(2)의 권취 장력에 맞는 회전력을 얻도록 압축공기를 공급받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는 다수의 단위소재(1a)의 두께 및 중량에 대응할 수 있는 압축공기를 공기공급부(4)로부터 공급받게 된다.
그래서, 상기 공기공급부(4)의 압축공기를 제1공급구멍(12)을 통해 이동통로(11)로 공급하면, 상기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제2회전축(40)이 이동통로(11)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가압구(50)가 이동구멍(1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하는 상기 가압구(50)에 순차적으로 제2베어링(63) 및 제2회전관(61)이 가압되면서 제1경사면(61b)에 안내구(65)의 제2경사면(65a)이 안내되어 제1회전관(60)의 제2배출구멍(60e)에서 클램핑용 러그(67)가 배출되며, 배출된 상기 클램핑용 러그(67)는 권취관(2)의 내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2회전축(40)은 제3탄성부재(70)의 탄성에 의해 이동통로(11)에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걸림부(43)가 상기 이동통로(11)의 한쪽 끝에 걸리게 되면서 더욱 이동하지 못하게 되며, 가압구(50)는 제2베어링(63)의 내륜만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탄성부재(70)는 스프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압축된다.
또한, 상기 제2회전관(61)은 가압구(50)가 이동구멍(14)에 걸리면서 더 이상 제1회전관(60)의 제2끼움공간(60c)에서 이동하지 못하게 되며, 끼움구멍(60d)(61c)에 끼워진 제1탄성부재(64)에 의해 더욱 상기 제1회전관(60)의 제2끼움공간(60c)에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탄성부재(64)는 스프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압축된다.
또한, 다수의 상기 안내구(65)는 걸림구멍(65b)이 동시에 제2탄성부재(66)에 걸리게 되면서 더 이상 클램핑용 러그(67)와 함께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탄성부재(66)는 스프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다수의 안내구(65)는 상기 제2탄성부재(66)의 탄성에 의해 더욱 클램핑용 러그(67)와 함께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클램핑용 러그(67)는 제1회전관(60)의 제2배출구멍(60e)에서 과도하게 배출되지 않게 되면서, 권취관(2)은 상기 클램핑용 러그(67)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부(4)의 압축공기를 공기전달부(4a)를 통해 제2공급구멍(13)으로 따로 공급하면, 상기 압축공기가 순차적으로 제2공급구멍(13) 및 이동홈(41) 및 연결구멍(17)을 지나 튜브(20)의 제3공급구멍(20a)에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공기는 노즐(80)의 'ㄱ' 형태의 안내공간(80a)에 의해 안내되어 튜브(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튜브(20)의 내부로 신속하게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밀폐부재(81)는 튜브(20)의 개방된 양쪽을 가압하여 밀폐하기 때문에, 상기 튜브(2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압축공기가 튜브(20)의 개방된 양쪽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6체결구멍(81b'')에 체결된 무두볼트(81c)가 제1이동판(81a)을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제1이동판(81a)의 가압부(81a')가 튜브(20)의 개방된 한쪽을 가압하여 밀폐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81a')가 형성되지 않은 제1이동판(81a)의 외면 반대편 한쪽이 튜브(20)를 가압하여 노즐(80)에 밀착시키기 때문에, 상기 튜브(20)의 개방된 한쪽을 더 밀폐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이동판(81a)에는 보호 필름(81d)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튜브(20)에 대한 상기 제1이동판(81a)의 가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도 보호 필름(81d)에 의해 튜브(20)는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이동판(81b)은 무두볼트(81c)와 제6체결구멍(81b'')의 체결에 의해 이동하여 걸림부(81b')가 제1회전축(10)의 걸림턱(16)에 걸려서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튜브(20)의 개방된 한쪽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튜브(20)의 개방된 양쪽은 밀폐부재(81)에 의해 밀폐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20)가 팽창되면서 토크용 브레이크 패드(30)의 제1마찰부(31)가 제1배출구멍(15)에서 배출되어 제1회전관(60)의 제2마찰부(60a)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토크용 브레이크 패드(30)의 제1마찰부(31)는 제3회전관(68)의 제3마찰부(68b)에도 밀착된다.
즉, 상기 제1,3회전관(60)(68)은 토크용 브레이크 패드(30)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토크용 브레이크 패드(30)는 걸림부(32)가 제1회전축(10)의 걸림턱(16)에 걸리게 되면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슬리터(6)의 구동모터(3)를 구동시켜 다수의 권취관(2)이 고정된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회전축(10)은 구동모터(3)에 의해 회전을 하게 되고, 제2회전축(40)은 회전하는 상기 제1회전축(10)의 이동구멍(14)에 가압구(50)가 걸리게 되면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축(10)과 함께 회전하는 토크용 브레이크 패드(30)의 제1마찰부(31)와, 제1,3회전관(60)(68)의 제2,3마찰부(60a)(68b)에서 마찰이 발생되면서, 상기 제1,3회전관(60)(68)은 회전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3회전관(60)(68)은 제4체결구멍(60f)과 제5체결구멍(68a)이 체결부재(5)로 체결되었기 때문에, 같이 회전을 하게 된다.
또한, 회전하는 상기 제1회전관(60)의 제2배출구멍(60e)에 클램핑용 러그(67)가 걸리고, 회전하는 상기 클램핑용 러그(67)와 결합된 안내구(65)가 제2회전관(61)의 걸림구멍(61a)에 걸리며, 회전하는 상기 제1회전관(60)의 끼움구멍(60d)에 제2회전관(61)의 끼움구멍(61c)에 끼워진 제1탄성부재(64)가 걸리게 되면서, 상기 제2회전관(61)도 회전을 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권취관(2)은 클램핑용 러그(67)에 밀착된 상기 권취관(2)의 내면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에 의해 같이 회전을 하게 된다.
즉, 다수의 상기 권취관(2)은 일정한 권취 장력으로 다수의 단위소재(1a)를 각각 귄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원소재(1)에서 폭 방향으로 두께가 두꺼운 부분에 해당한 단위소재(1a)를 권취하는 권취관(2)은 주변에 위치한 권취관(2)의 권취 장력보다 더 큰 권취 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권취관(2)의 권취 장력은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의 제1,2회전축(10)(40)의 회전력보다 커지게 된다.
그래서, 상기 권취관(2)은 제1,2,3회전관(60)(61)(68)과 함께 제1,2,3베어링(62)(63)(69)에 의해서 회전을 하게 되면서, 제1,2회전축(10)(40)보다 느린 속도로 회전을 하게 된다.
즉, 상기 토크용 브레이크 패드(30)와 상관없이 권취관(2) 및 제1,2,3회전관(60)(61)(68)과, 제1,2회전축(10)(40)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고, 그로 인해 상기 권취관(2)은 주변의 권취관(2)보다 느린 속도로 회전을 하게 되면서 단위소재(1)를 귄취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권취관(2)의 귄취 장력은 주변에 위치한 권취관(2)의 권취 장력과 다시 동일해진다.
그리고,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에 고정된 다수의 권취관(2)에 다수의 단위소재(1a)가 롤 형태로 각각 다 권취되면, 상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에 대한 압축공기 공급을 중단하면서 구동모터(3)의 구동을 멈춘다.
그러면, 상기 제2회전축(40)은 제3탄성부재(70)의 탄성에 의해 이동통로(11)을 따라 원상 복귀된다.
또한, 상기 제1,2탄성부재(64)(66)의 탄성에 의해 안내구(65)의 제2경사면(65a)에 제2회전관(61)의 제1경사면(61b)이 안내되면서, 상기 클램핑용 러그(67)는 제1회전관(60)의 제2배출구멍(60e)으로 다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20)는 줄어든 압축공기에 의해 수축되고, 토크용 브레이크 패드(30)의 제1마찰부(31)는 제1배출구멍(15)으로 다시 삽입된다.
그래서, 상기 권취관(2)의 내면과 클램핑용 러그(67)의 밀착과, 제1,3회전관(60)(68)의 제2,3마찰부(60a)(68b)와 토크용 브레이크 패드(30)의 제1마찰부(31)의 밀착은 해제된다.
그리고, 다수의 상기 단위소재(1a)가 각각 권취된 다수의 권취관(2)을 본 발명의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100)의 외면에서 빼내면서 권취 작업을 마무리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제1회전축 11 : 이동통로
12 : 제1공급구멍 13 : 제2공급구멍
14 : 이동구멍 15 : 제1배출구멍
16 : 걸림턱 17 : 연결구멍
20 : 튜브 20a : 제3공급구멍
30 : 토크용 브레이크 패드 31 : 제1마찰부
32 : 걸림부 40 : 제2회전축
41 : 이동홈 42 : 제1체결구멍
43 : 걸림부 50 : 가압구
60 : 제1회전관 60a : 제2마찰부
60b : 제1끼움공간 60c : 제2끼움공간
60d : 끼움구멍 60e : 제2배출구멍
60f : 제4체결구멍 60g : 걸림홈
61 : 제2회전관 61a : 걸림구멍
61b : 제1경사면 61c : 끼움구멍
61d : 걸림턱 61e : 제3끼움공간
62 : 제1베어링 63 : 제2베어링
64 : 제1탄성부재 65 : 안내구
65a : 제2경사면 65b : 걸림구멍
65c : 제2체결구멍 66 : 제2탄성부재
67 : 클램핑용 러그 67a : 제3체결구멍
68 : 제3회전관 68a : 제5체결구멍
68b : 제3마찰부 68c : 제4끼움공간
68d : 걸림부 69 : 제3베어링
70 : 제3탄성부재 80 : 노즐
80a : 안내공간 81 : 밀폐부재
81a : 제1이동판 81a' : 가압부
81b : 제2이동판 81b' : 걸림부
81b'' : 제6체결구멍 81c : 무두볼트
100 :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Claims (13)

  1. 각종 종이, 원단이나 필름과 같은 원소재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절단되어 형성되는 단위소재를, 롤 형태로 권취하기 위한 권취관이 외면에 설치되는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에 있어서,
    구동모터(3)에 의해 회전되고, 공기공급부(4)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제1회전축(10)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10)은 상기 제1회전축(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통로(11)가 내부에 길게 형성되고, 상기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제1,2공급구멍(12)(13)이 이동통로(11)와 연결되도록 외면 한쪽에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통로(11)와 연결되는 이동구멍(14)이 외면 반대편 한쪽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1회전축(10)의 원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축(10)의 길이 방향으로 제1배출구멍(15)이 외면 반대편 한쪽에 이동구멍(14)보다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제1회전축(10)의 원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의 이동구멍(14)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배출구멍(15)의 개방된 한쪽 끝에 걸림턱(16)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통로(11)와 제1배출구멍(15)을 연결해주는 연결구멍(17)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배출구멍(15)에 설치되고, 연결구멍(17)과 연결되는 제3공급구멍(20a)을 가진 튜브(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출구멍(15)에 이웃하게 다수로 설치되고, 제1마찰부(31)가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16)에 걸리는 걸림부(32)가 제1마찰부(31) 주변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토크용 브레이크 패드(30)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로(11)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제2회전축(40)을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축(40)은 제2공급구멍(13)으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를 연결구멍(17)으로 이동시켜주는 이동홈(41)이 상기 제2회전축(40)의 길이 방향으로 원 형태로 길게 외면 한쪽에 형성되며, 상기 제2회전축(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구멍(14)을 향하는 제1체결구멍(42)이 외면 반대편 한쪽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2회전축(40)의 원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구멍(42)에 체결되어 이동구멍(14)에서 노출되는 가압구(50)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회전축(10)의 외면에 다수로 이웃하게 설치되며, 권취관(2)이 외면에 설치되는 제1회전관(60)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관(60)은 제1마찰부(31)에 마찰되는 제2마찰부(60a)가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제2마찰부(60a)의 양쪽으로 제1,2끼움공간(60b)(60c)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끼움공간(60c)을 향하는 제2마찰부(60a)의 한쪽 면에 제1회전관(60)의 원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끼움구멍(60d)이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관(60)의 원주를 따라 제2끼움공간(60c)과 연결되는 제2배출구멍(60e)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끼움공간(60c)에 이동할 수 있게 끼워지면서 제1회전축(10)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2회전관(61)을 포함하며,
    상기 제2회전관(61)은 제2배출구멍(60e)을 향하는 걸림구멍(61a)이 상기 제2회전관(61)의 원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구멍(61a)에 제1경사면(61b)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구멍(60d)을 향하는 끼움구멍(61c)이 상기 제2회전관(61)의 원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멍(61c)에 근접한 내면 한쪽에서 걸림턱(61d)이 돌출 형성되면서 내면 반대편 한쪽에 제3끼움공간(61e)이 형성되며,
    상기 제2마찰부(60a) 및 걸림턱(61d)에 각각 걸리도록 제1,3끼움공간(60b)(61e)에 각각 끼워져서 제1회전축(10)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1,2베어링(62)(63)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구멍(60d)(61c)에 끼워지는 제1탄성부재(64)를 포함하며,
    상기 제2배출구멍(60e)에 설치되며, 제1경사면(61b)에 안내되는 제2경사면(65a)이 외면 한쪽에 형성되고, 외면 반대편 한쪽에 걸림구멍(65b)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구멍(65b)의 주변 외면에 제2체결구멍(65c)이 형성되는 안내구(65)를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안내구(65)의 걸림구멍(65b)에 동시에 끼워지는 제2탄성부재(66)를 포함하며,
    상기 제2배출구멍(60e)에 설치되고, 제2체결구멍(65c)에 체결부재(5)로 체결되는 제3체결구멍(67a)을 가진 클램핑용 러그(67)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공기가 제1공급구멍(12)을 통해 이동통로(11)로 공급되면, 상기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제2회전축(40)이 이동통로(11)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가압구(50)가 이동구멍(14)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동하는 상기 가압구(50)에 순차적으로 제2베어링(63) 및 제2회전관(61)이 가압되면서 제1경사면(61b)에 제2경사면(65a)이 안내되어 제2배출구멍(60e)에서 클램핑용 러그(67)가 배출되며, 배출된 상기 클램핑용 러그(67)는 권취관(2)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압축공기가 순차적으로 제2공급구멍(13) 및 이동홈(41) 및 연결구멍(17)을 지나 튜브(20)의 제3공급구멍(20a)에 공급되면, 상기 튜브(20)가 팽창되면서 토크용 브레이크 패드(30)의 제1마찰부(31)가 제1배출구멍(15)에서 배출되어 제1회전관(60)의 제2마찰부(60a)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구멍(60e)의 주변 외면에 제2끼움공간(60c)과 연결되는 제4체결구멍(60f)을 형성하며,
    상기 제2끼움공간(60c)에 끼워져서 제1회전축(10)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3회전관(68)을 포함하고,
    상기 제3회전관(68)은 제4체결구멍(60f)과 체결부재(5)로 체결되는 제5체결구멍(68a)을 외면에 형성하고, 내면 한쪽에서 제1마찰부(31)에 마찰되는 제3마찰부(68b)를 돌출 형성하면서 내면 반대편 한쪽에 제4끼움공간(68c)을 형성하며,
    상기 제3마찰부(68b)에 걸리도록 제4끼움공간(68c)에 끼워져서 제1회전축(10)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3베어링(6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관(60)은 제4체결구멍(60f)의 주변 내면에 걸림홈(60g)을 형성하고,
    상기 제3회전관(68)은 걸림홈(60g)에 걸리는 걸림부(68d)를 제5체결구멍(68a)의 주변 외면에서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11)와 제2회전축(40)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한 상기 제2회전축(40)을 원상 복귀시켜주는 제3탄성부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66)는 링과 유사한 형태의 스프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탄성부재(70)는 코일과 유사한 형태의 스프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축(40)은 스프링으로 형성된 제3탄성부재(70)의 안쪽으로 삽입되는 걸림부(43)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제2회전축(40) 이동 시, 클램핑용 러그(67)가 제2배출구멍(60e)에서 배출되면 걸림부(43)가 이동통로(11)에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20)에 한쪽이 삽입되고, 반대편 한쪽이 제3공급구멍(20a) 및 연결구멍(17)에 끼워지는 노즐(80)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80)은 공급된 압축공기가 튜브(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속하게 이동하도록 'ㄱ' 형태의 안내공간(80a)을 내부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9. 제8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토크용 브레이크 패드(30)의 전체 길이를 튜브(20)보다 짧게 형성하고,
    다수의 상기 토크용 브레이크 패드(30)의 양쪽으로 제1배출구멍(15)에 설치되어 튜브(20)의 개방된 양쪽을 가압하여 밀폐시켜주는 밀폐부재(8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81)는 제1배출구멍(15)에 설치되어 튜브(20)에 밀착되는 제1이동판(81a)과,
    상기 제1배출구멍(15)에 설치되며, 걸림턱(16)에 걸리는 걸림부(81b')가 외면 양쪽에서 돌출 형성되고, 외면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제6체결구멍(81b'')이 형성된 제2이동판(81b)과,
    상기 제6체결구멍(81b'')에 체결되는 무두볼트(81c)를 포함하며,
    상기 무두볼트(81c)를 제6체결구멍(81b'')에 체결하면서 제1이동판(81a)을 가압하면, 상기 제1이동판(81a)은 무투볼트(81c)의 가압에 의해 이동하여 튜브(20)의 개방된 한쪽을 가압하여 밀폐시키게 되고, 상기 제2이동판(81b)은 무두볼트(81c)와 제6체결구멍(81b'')의 체결에 의해 이동하여 걸림부(81b')가 걸림턱(16)에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판(81a)은 외면 한쪽에 튜브(20)의 개방된 한쪽을 가압하는 가압부(81a')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제6체결구멍(81b'')으로 무두볼트(81c)를 체결 시, 제1이동판(81a)의 가압부(81a')는 튜브(20)의 개방된 한쪽을 가압하여 밀폐시키게 되면서 동시에, 상기 제1이동판(81a)의 외면 반대편 한쪽은 튜브(20)를 가압하여 노즐(80)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판(81a)에는 튜브(20)의 손상을 방지해주는 보호 필름(81d)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64)는 코일과 유사한 형태의 스프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KR1020180032058A 2018-03-20 2018-03-20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KR102009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058A KR102009447B1 (ko) 2018-03-20 2018-03-20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JP2019044514A JP6730561B2 (ja) 2018-03-20 2019-03-12 スリッター用フリクションシャフト
PCT/KR2019/002973 WO2019182289A1 (ko) 2018-03-20 2019-03-14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EP19772533.6A EP3770094A4 (en) 2018-03-20 2019-03-14 FRICTION SHAFT FOR SLITTER
US16/355,334 US10843886B2 (en) 2018-03-20 2019-03-15 Friction shaft for slitter
CN201910203381.6A CN110304477B (zh) 2018-03-20 2019-03-18 用于切割机的摩擦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058A KR102009447B1 (ko) 2018-03-20 2018-03-20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447B1 true KR102009447B1 (ko) 2019-08-12

Family

ID=6762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058A KR102009447B1 (ko) 2018-03-20 2018-03-20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43886B2 (ko)
EP (1) EP3770094A4 (ko)
JP (1) JP6730561B2 (ko)
KR (1) KR102009447B1 (ko)
CN (1) CN110304477B (ko)
WO (1) WO201918228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117B1 (ko) 2020-09-23 2021-05-04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프릭션 샤프트 구조체
KR20230029079A (ko) 2021-08-23 2023-03-03 이재식 프릭션 샤프트용 어댑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20700B (zh) * 2021-05-11 2021-10-26 浙江晶达建材科技有限公司 高分子改性沥青瓦送料流水线上的内轴自动支撑装置
WO2024085817A1 (en) * 2022-10-17 2024-04-25 Reymak Maki̇ne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Friction ring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881A (ja) * 1995-04-13 1996-10-29 Masaji Miyamoto フイルム等の巻取り装置
KR100709106B1 (ko) * 2006-03-17 2007-04-19 재 윤 김 저토크 슬리터용 에어샤프트
KR100824041B1 (ko) * 2007-03-23 2008-04-21 김병화 권취용 지관의 고정방법 및 장치
KR101373596B1 (ko) * 2013-01-16 2014-03-12 (주)율림에어샤프트 에어 샤프트 롤러 코어
KR20140083406A (ko) 2012-12-26 2014-07-04 정용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JP2015003822A (ja) * 2013-06-24 2015-01-08 株式会社不二鉄工所 巻取軸
JP2015145292A (ja) * 2014-02-03 2015-08-13 株式会社大井鉄工所 エアシャフ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3399A (en) * 1996-11-27 1998-09-08 Japan Development Consultants, Inc. Expandable shaft
JP4299915B2 (ja) * 1999-05-19 2009-07-22 萩原工業株式会社 シート巻取軸
JP2002003025A (ja) * 2000-06-15 2002-01-09 Fuji Iron Works Co Ltd 調芯性巻芯シャフト
KR101232728B1 (ko) * 2011-09-06 2013-02-13 (주)피엔티 프릭션 샤프트
ITFI20130249A1 (it) * 2013-10-18 2015-04-19 Celli Paper S P A A "asta di avvolgimento per bobine di materiale nastriforme e macchina ribobinatrice utilizzante detta asta"
ITUB20154260A1 (it) * 2015-10-09 2017-04-09 Renova S R L Attuatore lineare pneumatico telescopico, particolarmente per svolgitori a bracci mobili.
CN107381164A (zh) * 2017-08-09 2017-11-24 苏州雪原风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一种全自动绕卷机及其使用方法
JP3214223U (ja) * 2017-10-17 2017-12-28 株式会社不二鉄工所 巻芯支持シャフ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881A (ja) * 1995-04-13 1996-10-29 Masaji Miyamoto フイルム等の巻取り装置
KR100709106B1 (ko) * 2006-03-17 2007-04-19 재 윤 김 저토크 슬리터용 에어샤프트
KR100824041B1 (ko) * 2007-03-23 2008-04-21 김병화 권취용 지관의 고정방법 및 장치
KR20140083406A (ko) 2012-12-26 2014-07-04 정용기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KR101373596B1 (ko) * 2013-01-16 2014-03-12 (주)율림에어샤프트 에어 샤프트 롤러 코어
JP2015003822A (ja) * 2013-06-24 2015-01-08 株式会社不二鉄工所 巻取軸
JP2015145292A (ja) * 2014-02-03 2015-08-13 株式会社大井鉄工所 エアシャフ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117B1 (ko) 2020-09-23 2021-05-04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프릭션 샤프트 구조체
KR20230029079A (ko) 2021-08-23 2023-03-03 이재식 프릭션 샤프트용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04477B (zh) 2020-11-03
EP3770094A1 (en) 2021-01-27
CN110304477A (zh) 2019-10-08
JP2019163168A (ja) 2019-09-26
WO2019182289A1 (ko) 2019-09-26
JP6730561B2 (ja) 2020-07-29
US20190291996A1 (en) 2019-09-26
US10843886B2 (en) 2020-11-24
EP3770094A4 (en) 202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447B1 (ko)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KR101893514B1 (ko)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KR100547499B1 (ko) 기록지 롤 홀더 장치
US3817468A (en) Web tensioning device
KR100658498B1 (ko) 권취 장치
KR101949863B1 (ko)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WO1998016686A1 (en) Mechanical blanket clamp in rotating head assembly
KR20140083406A (ko)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JP4249261B2 (ja) 直接駆動型巻取機
KR102248117B1 (ko) 프릭션 샤프트 구조체
CA1042409A (en) Roll supporting mechanism
JP2961310B2 (ja) 自己拡縮シャフト式多条帯板巻取り装置
US6749147B2 (en) Friction winding shaft for reversible rotation
JPS6337020B2 (ko)
US5165620A (en) Expanding roll core spindle
JP4930843B2 (ja) フリクション巻軸
KR101949864B1 (ko)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KR102200891B1 (ko) 이중 유압 공급이 가능한 스트립 권취 장치
US5326113A (en) Single acting core chuck
JP2563020B2 (ja) 多条帯板の巻取り装置
JP7422200B2 (ja) 一つの空気圧供給チャンネルを利用して高強度クランプ及び幅広い可変トルクを同時に具現したスリッター用フリクションシャフト
KR102656335B1 (ko) 하나의 공기압 공급 채널을 이용하여 고강도 클램핑과 폭 넓은 가변 토크를 동시에 구현한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JP4423673B2 (ja) シート分割巻取装置
KR100845267B1 (ko) 벨트 지지용 롤
JP5950224B1 (ja) 帯状シート巻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