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804B1 - 생맥주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생맥주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804B1
KR102003804B1 KR1020170099192A KR20170099192A KR102003804B1 KR 102003804 B1 KR102003804 B1 KR 102003804B1 KR 1020170099192 A KR1020170099192 A KR 1020170099192A KR 20170099192 A KR20170099192 A KR 20170099192A KR 102003804 B1 KR102003804 B1 KR 102003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ooling device
liquid
keg
devi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982A (ko
Inventor
나동혁
이민희
Original Assignee
오비맥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비맥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비맥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9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804B1/ko
Priority to PCT/IB2018/055841 priority patent/WO2019026034A2/ko
Priority to ARP180102209A priority patent/AR112968A1/es
Priority to BE2018/5554A priority patent/BE1025891B1/nl
Publication of KR20190014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6Mountings or arrangements of dispensing apparatus in or on shop or bar cou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62Squeezing collapsible or flexible beverage containers, e.g. bag-in-box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61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61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 B67D1/0865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by circulating a cooling fluid along beverage supply lines, e.g. pyth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69Cooling arrangements using solid state elements, e.g. Peltier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22Pressurised rigid containers, e.g. kegs, fig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27Bags in box
    • B67D2001/0828Bags in box in pressurised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4Ergonomics
    • B67D2210/00097Handling of storage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의 냉각장치는, 주로 생맥주를 냉각하는 것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일회용 생맥주 케그통을 가압하여 생맥주를 인출시키는 과정에서 생맥주를 급속 냉각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맥주 냉각장치{Draft Machine}
본 발명의 냉각장치는, 주로 생맥주를 냉각하는 것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일회용 생맥주 케그통을 가압하여 생맥주를 인출시키는 과정에서 생맥주를 급속 냉각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맥주는 크게 병맥주와 생맥주로 구분된다. 병맥주는 제조과정에서 가열, 살균과 같은 열처리가 이루어지며, 생맥주는 별도의 열처리 과정이 없다. 따라서 생맥주에는 효모와 같은 미생물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신선하고 독특한 고유의 맛과 향을 가지게 된다. 특히, 2 ~ 6℃ 온도조건으로 유지시키면 생맥주의 신선하고 독특한 고유의 맛과 향을 배가시킬 수 있다.
대부분의 주류 판매 업소에서는 카운터톱 드래프트 방식, 일명 '콕크'라고 하는 생맥주 인출장치를 설치하여 생맥주를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주로 거대한 냉장시스템을 구비하여 생맥주통을 저온상태로 유지시킨 후, 판매할 때는 생맥주통을 콕크주에 연결함으로써 생맥주를 인출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그런데 제한된 공간을 가진 주류 판매 업소의 환경에서는 거대한 냉장시스템을 구비하기 어려우므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생맥주를 급속으로 냉각하는 장치와 콕크를 직접 결합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생맥주 급속 냉각기를 이용한 생맥주 배출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일반적인 생맥주 제공시스템은, 음용에 적당한 2 ~ 6℃의 온도조건으로 생맥주 온도를 급속 냉각시켜 주는 냉각기(4)를 포함하고, 냉각기(4)에는 생맥주 배출을 위한 인출콕크(6)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냉각기는 호스(맥주 공급관, 5)를 매개로 내용물이 저장된 맥주저장용기(1)와 연결된다. 맥주저장용기(1)는 내부공간이 밀폐된 기밀 용기로 이루어지며, 맥주저장용기(1)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호스(5)의 단부에는, 상기 맥주저장용기(1) 폐쇄부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맥주 배출 장치(2)가 마련된다. 맥주 배출 장치(2)에는 압축가스 유입구(2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연결되는 압축가스관(7)을 매개로 상기 맥주 배출 장치(2)는 CO2와 같은 압축가스가 충진된 압축가스통(3)과 연결된다. 정리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생맥주 제공시스템은 맥주저장용기(1), 압축가스통(3), 냉각기(4)를 구비하되, 이들 구성은 각각 별개로 마련되어 있어서 밸브 맥주 배출 장치(2)와 같은 매개요소가 반드시 필요하다.
위와 같은 종래의 생맥주 제공시스템은 고압의 압축가스를 공급하는 장치를 이용하고 있어서, 항상 안전문제에 대한 대책이 수반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비의 물리적인 손상을 포함한 각종 원인으로 인해 폭발할 위험이 존재한다.
폭발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4314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003호 등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공개된 발명을 비롯하여 종래에 개시된 생맥주 냉각기와 관련 기술들은 압축가스 공급 장치를 그대로 사용할 수 밖에 없어 위험을 방지하고자 하는 근본적인 해결책으론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생맥주를 급속 냉각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위에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 개시된 생맥주 냉각 시스템의 구성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개념의 생맥주 냉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는 냉각장치 하우징; 적어도 일부 라인이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 내부를 관통하며, 액체가 저장되는 케그로부터 액체를 취출하도록 마련된 액체유동라인; 상기 액체유동라인 중의 적어도 일부 라인을 냉각하는 냉각수단; 액체가 저장되는 케그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수단; 적어도 일부 라인이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 내부를 관통하며, 상기 가압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을 액체가 저장되는 케그에 전달하는 가압라인; 및 상기 액체유동라인 및 상기 가압라인과 각각 연결되며, 액체가 저장되는 케그의 헤드에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체는 생맥주(Draft Beer)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그는 헤드와, 단단한 외관의 형태를 유지하는 외부용기와, 주위 압력에 의해 형상이 가변되는 내부용기로 구성되는 BIB(Bottle in Bottle) 케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수단은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공압컴프레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수단은 냉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수단은 열전소자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체유동라인 중 일부분은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의 일 면에 형성되어 상기 액체유동라인으로부터 공급된 액체를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콕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출콕크 측면에는 액체의 인출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레버로서, 일부는 냉각장치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냉각장치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형성된 것을 구비하되,상기 레버가 다이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장치는 액체의 냉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수단은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압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는 냉각장치 하우징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 내부에 액체가 저장되는 케그를 수용하도록 마련된 케그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케그수용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그수용부는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그수용부는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의 외부에서 케그를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그수용부는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케그수용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1아암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케그가 안착되는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2아암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아암을 통해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경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는 공압컴프레서를 구비하므로 종래 개시된 냉각장치에서 사용되었던 압축가스통, 압축가스 조절용 레귤레이터 등의 구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폭발의 위험으로부터 근본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종래 개시된 냉각장치에서 필수적으로 필요했던 구성요소들이 제거되거나 축소되므로, 전체 구성이 차지하는 체적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공간활용성이 증대되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는 BIB(Bottle In Bottle) 케그에 전용되는 것으로서, 케그의 내부 용기를 가압하여 케그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취출하기 때문에, 액체 취출과정에서 기체가 섞이지 않게 되므로 고객에게 제공되는 액체의 맛이 변질되지 않게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는 하우징 내에 케그를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상태에서, 액체유동라인, 냉각수단, 가압수단 등의 구성이 하나의 하우징 안에 올인원(All-In-One)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종래의 생맥주 냉각시스템 구성의 번잡스러움을 탈피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생맥주 급속 냉각기를 이용한 생맥주 배출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부를 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구성에서, 압축공기의 공급으로 인해 생맥주가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로서, 냉각수단으로 열전소자가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로서, 케그가 외부에 위치하여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 냉각장치로서, 받침판이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 냉각장치로서, 케그수용부가 냉각장치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냉각부, 냉각수단, 냉열제공부, 가압부, 가압수단, 케그수용부"라는 표현자체가 본 발명의 의미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동일한 기술적 사상으로 이해되는 한, 물리적인 형상을 가진 요소를 의미하거나, 또는 물리적인 형상을 가지지 않는 공간적 개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부를 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구성에서, 압축공기의 공급으로 인해 생맥주가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냉각장치는, 냉각장치 하우징(101); 적어도 일부 라인이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101) 내부를 관통하며, 액체가 저장되는 케그로부터 액체를 취출하도록 마련된 액체유동라인(112); 상기 액체유동라인(112) 중의 적어도 일부 라인을 냉각하는 냉각수단(123); 액체가 저장되는 케그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수단(142); 적어도 일부 라인이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101) 내부를 관통하며, 상기 가압수단(142)으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을 액체가 저장되는 케그에 전달하는 가압라인(146); 및 상기 액체유동라인(112) 및 상기 가압라인(146)과 각각 연결되며, 액체가 저장되는 케그의 헤드에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된 커넥터(131);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액체는, 사람이 마실 수 있는 액체를 통틀어 이르는 것이므로, 탄산음료, 에너지음료, 스포츠음료 등 각종 음료와, 각종 주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냉각장치가 사용되는 액체로는, 급속냉각을 필요로하는 생맥주(Draft Beer)가 가장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냉각수단(123)은 실질적으로 냉각이 이루어지는 영역인 냉각부(110)에 냉열을 제공하는 구성이고, 가압수단(142)은 케그 내부 용기를 가압하도록 소정의 압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위해, 본 발명의 냉각부(110), 냉열제공부(120), 케그수용부(130), 가압부(140)의 위치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냉각부(110)가 인출콕크(102)에 인접하게 배치(ex, 도 2의 좌표축을 기준으로 y축 상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음)되는 반면 발열이 심한 냉열제공부(120)는 인출콕크(102)에 인접하지 않게 배치(ex, 도 2의 좌표축을 기준으로 y축 상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음)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장치가 All-In-One 타입(또는 일체형)으로 사용되는 경우 케그수용부(130)는 냉각장치 하우징(101)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냉각부(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조는 급속 냉각성능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 하나일 뿐이므로, 첨부된 도면과 다른 배치양상도 얼마든지 가능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냉각장치가 All-In-One 타입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도 8 내지 도 10을 통해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냉각장치가 콤팩트(compact)한 구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액체유동라인(112)과 가압라인(146)이 연장된 길이를 최소로 하여야 한다. 냉각장치 내부에서 발열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키기 위해서는 각 구성요소의 위치관계가 첨부된 도 2 내지 도 5의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본 발명에서 핵심이 되는 기술적 사상은, 가압수단(142)으로서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공압 컴프레서를 이용함에 있다.
종래에 CO2 등의 가스가 고압 상태로 저장된 압축가스통을 이용하였던 것과 달리, 본 발명은 별도의 가스를 저장하는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필요한 때에 필요한 양만큼의 압축공기를 발생시켜 공급시키는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공기나 가스를 압축시켜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큰 체적의 용기가 필요치 않을 뿐만 아니라, 폭발의 위험이 완전히 제거된다는 기술적 이점을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압축공기를 저장상태에서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압축공기를 자가 발생시켜 생맥주를 배출시키는 원리를 취하므로, 이를 위하여 특별한 생맥주 저장용기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생맥주가 수용되는 용기로서 BIB(Bottle In Bottle) 방식의 케그(200)를 사용할 수 있다.
BIB 케그란, 헤드(202)와, 단단한 외관의 형태를 유지하는 외부용기와, 주위 압력에 의해 형상이 가변되는 내부용기(201)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202)는 케그 내부의 내용물이 유입, 유출되는 통로이면서, 상세히 후술할 커넥터(131)와 연결되는 구성이기도 하다. 외부용기는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단단한 외관의 형태를 유지하는 구성이며, 내부용기(201)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내용물을 보관하는 공간이 형성되되, 내부용기(201)와 외부용기 사이에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가압되면 그 형상이 변하여 내용물을 보관하는 공간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것이다. 내부용기(201)와 외부용기는 서로 분리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이 분리된 폐쇄공간에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연성 재질의 내부용기(201)가 가압되어 수축됨으로써 내용물이 헤드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다.
즉 BIB 케그란 2중으로 구성된 저장용기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용기와 내부용기(201)는 각각 헤드(202)와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헤드(202)는 마개와 같은 역할로서, 그 중앙에 액체가 유입, 유출되는 개구(203)가 형성되고, 중앙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는 외부용기와 내부용기(201) 사이에 압축공기가 유입, 유출될 수 있도록 압축공기용개구(20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케그(200)를 외부와 실질적으로 밀폐시킨 상태에서, 공압 컴프레서(142)로부터 발생된 압축공기를 내부용기(201)와 외부용기 사이에 주입하면, 액체가 배출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압축공기가 액체(ex, 생맥주)와 접촉하지 않게 되어 산화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의도치 않게 액체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냉각장치 하우징(101)의 외관은 직육면체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형 곡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우징(101)의 일면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출콕크(102)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1)에 케그수용부(130)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개폐도어(103)가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개폐도어(103)는 본 발명의 케그수용부(130)가 냉각장치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하단으로부터 힌지 고정되어 열릴 수 있다. 다만, 구성요소의 배치와 형성과 관련하여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도 얼마든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하우징(101)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그릴이 복수의 장소에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는 그릴로서, 제1그릴(121), 제3그릴(141a), 제4그릴(141b)가 형성된 것이 도시되며, 도 3에는 그릴로서 제2그릴(122)이 형성된 것이 도시된다. 제1그릴(121)과 제2그릴(122)은 냉열제공부(120), 냉각수단(123) 및 라디에이터(124)의 구성요소로부터 발열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기 위한 구성이고, 제3그릴(141a)은 교반기(M)로부터 발열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제4그릴(141b)은 제1그릴(121), 제2그릴(122)과 달리 본 고안에서 공압 컴프레서(142)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기 때문에 형성되는 요소로서, 공압 컴프레서(142)가 형성된 부근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4그릴(141b)은 제3그릴(141a)과 구분되는 구성으로서, 공압 컴프레서(142)의 발열을 위해 별도로 형성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부가적으로 냉각장치 하우징(101)에는 상태표시부(104)와 발광부(105)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표시부(104)는 인출되는 생맥주의 온도를 표시하고자 냉각부(110)에 위치하는 온도센서(S)의 정보를 읽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태표시부(104)도 빛을 발광하는 하나의 형태이긴 하지만, 발광부(105)는 상태표시부(104)와 구분되는 요소로서 생맥주 냉각 장치의 심미감을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에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의 아크릴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색감의 빛을 발광함으로써 종래의 기술과 차별화된 냉각장치 디자인을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냉각부(110) 및 냉열제공부(120)의 구성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부(110)는 냉각장치 하우징(101)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적으로는 하우징(101)의 재질과는 구분되는 단열재(W)가 냉각부(110) 주변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에는 냉각수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수단(123)은 냉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냉각부(110)에는 냉각수에 침지된 상태에서 냉열제공부(130)에 의한 압축, 응축, 팽창, 증발의 일련의 과정에 따라 얼게되는 냉매라인(111)을 포함할 수도 있다. 냉매라인(111)은 냉열제공부(120)와 연통하여 냉매가 순환하게 되는 구성이다.
또한 냉각부(110)에는 얼어있는 냉매라인(111)으로부터 냉열을 제공받아 관로를 흐르는 생맥주를 차갑게 하는 액체유동라인(112)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냉매라인(111)과 액체유동라인(112)은 서로 구분되는 구성이지만, 열교환 표면적을 증대시키는 취지에서는 두 구성 모두 매우 긴 파이프가 나선형태로 권취된 모습으로서 서로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냉각부(110)의 상단으로부터는 교반기(M)의 회전축이 관통연결되어, 교반용 팬이 냉각수를 교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액체유동라인(112)은 케그수용부(130) 또는 냉각장치 하우징(101)의 외부로부터, 상기 냉각부(110)를 연통하여 인출콕크(102)가 형성된 부분까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체유동라인(112) 중 일부분은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체유동라인(112)이 냉각부(110)를 벗어난 위치에서 상온에 노출되면, 생맥주를 인출하고 난 뒤 남아있는 잔존물이 부패되어 액체유동라인(112) 중 일부를 교체해주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액체유동라인(112) 중 냉각부(110) 내부에 포함된 구성은 대부분 상온보다 현저히 낮은 온도에서 운용되고 유지되므로, 이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교체가능 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구성요소의 배치관계에 따라 액체유동라인(112)이 상온에 노출되는 시간이 최소화되므로, 최적의 온도에서 사용자에게 액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냉각장치 하우징 내부에 케그수용부(130)가 마련된 경우를 가정한다. 케그(200)가 케그수용부(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케그(200)의 헤드부분이 인출콕크(102)가 형성된 하우징 일면을 대향하고, 케그(200)의 바닥이 내면(후면)을 향하도록 삽입되면, 내용물(액체)이 케그(200) 내부로부터 인출되어 냉각부(110)를 지나 인출콕크(102)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온에 노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를 예로 들면, 냉각부(110)에 유입되기 직전의 관로와, 냉각부(110)를 지나 인출콕크(102)에 연결되는 "ㄱ"자 형태의 관로(147) 두 곳으로 한정된다. 예컨대 "ㄱ"자 형태의 관로(147)의 길이는 대략 10cm 이하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상적인 배치를 통해 액체유동라인(112)이 상온에 노출되는 시간이 최소화되므로, 소비자가 액체(ex, 생맥주)를 가장 이상적인 온도를 가진 상태에서 음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냉열제공부(120)는 본 발명 냉각장치의 냉매의 상변화를 위해 필요한 구성이지만, 가동과정에서 발열 정도가 현저하므로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는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냉열제공부(120)를 단열재를 사용하여 냉각부(110)와 단열시키는 한편,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팬(125) 구성을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제1그릴(121)과 제2그릴(122)에 대한 설명은 앞서 다루었는바,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압부(140)의 구성에 대해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가압부(140) 내부에 구비되는 가압수단(142)으로서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공압 컴프레서(air compressor)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은 공압 컴프레서(142)에 연결되어 구동하는 실린더(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린더(143)는 공기를 압축시키기 위해 공압 컴프레서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경시키고자 마련되는 구성일 수 있다. 공압 컴프레서 또는 실린더(143)는 가압라인(146)과 연결되어 압축된 공기를 생맥주가 저장된 케그(200)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가압부(140)에는 추가적으로 역류방지수단(144)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압 컴프레서가 압축공기를 발생시키지 않을 때 케그측에 공급된 압축공기가 공압 컴프레서 측으로 역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압 컴프레서는 내부 공간에 유체를 저장하는 구성이 아니다. 공압 컴프레서 주위에 무제한 제공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압력을 생성한다. 따라서, 냉각수단(123)으로서 사용되는 냉매 컴프레서보다 공압 컴프레서(142)의 Capacity가 상대적으로 작고, Size 자체도 소형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140)는 냉각장치 하우징(101) 내부에서 매우 적은 체적을 차지할 수 있다.
또한, 공압 컴프레서는 냉매 컴프레서가 전원이 연결된 상태이면 항시 작동하는 것과 달리, 압축공기가 필요할 경우에만 작동하기 때문에 발열량 자체도 냉매 컴프레서에 비해 작다는 이점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가압부(140)에 상기 교반기(M)를 위치시킬 수 있고, 본 발명 냉각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145)를 이곳에 마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냉각수단(123)은 냉매를 이용한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열전소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열전소자란 펠티어(peltier) 효과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두 금속을 결합하고 전류를 흐르게 하였을 때, 서로 다른 금속의 양 단면에 발생하는 온도차를 이용하는 구성이다.
도 6에는 냉각수단으로 열전소자가 사용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냉각수단으로 열전소자가 사용되는 경우는 도면부호 123a, 123b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냉각수단이 열전소자로 이루어지는 경우, 열전소자는 냉각장치 하우징(101)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된 전원과 연결되고, 열전소자 내 전자의 이동에 의해 냉각수단의 일측은 냉각되고, 타측은 가열된다. 냉각수단에서 냉각되는 부분(123a)이 본 발명의 냉각부(110)를 대향하도록 하고, 반대로 가열되는 부분을 냉열제공부(120)를 대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가열되는 부분에는 복수 개의 방열핀(123b)이 형성된다.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효율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서는 팬(125)의 위치를 방열핀(123b)의 열이 방출되는 방향에 대응하도록 재배치할 수 있다. 또한, 대체로 열전소자는 냉매를 이용시 냉매를 저장하는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경우에 따라 냉열제공부(120)에는 더 큰 용량의 팬(125)과 라디에이터(124)를 구비할 수도 있다.
냉각수단(123)으로서 열전소자를 이용하는 경우, 냉각장치의 전체 체적은 냉매 컴프레서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더 콤팩트(compact)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냉각장치는 액체의 냉각을 제어하는 제어부(145)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수단(142)는 제어부(145)의 명령에 따라 압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5)는 냉매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맥주를 냉각시키는 데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는 한편, 각 구성요소들에 제어명령을 내리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교반기(M)를 작동케하고, 냉매 컴프레서(또는 열전소자) 및 공압 컴프레서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5)는 냉각부(110)에 위치한 온도센서(S)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케그수용부(130)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케그수용부(130) 하단에 위치한 웨이트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로써 전술한 상태표시부(104)에 냉각장치의 온도, 케그의 무게를 표시함으로써 생맥주가 설정된 냉각온도로 충분히 냉각되었는지 여부 및 냉각장치를 이용해 제공받을 수 있는 맥주의 양이 어느정도 되는지 여부 등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는 공압컴프레서를 구비하므로 종래 개시된 냉각장치에서 사용되었던 압축가스통, 압축가스 조절용 레귤레이터 등의 구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폭발의 위험으로부터 근본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종래 개시된 냉각장치에서 필수적으로 필요했던 구성요소들이 제거되거나 축소되므로, 전체 구성이 차지하는 체적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공간활용성이 증대되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는 BIB(Bottle In Bottle) 케그에 전용되는 것으로서, 케그의 내부 용기를 가압하여 케그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취출하기 때문에, 액체 취출과정에서 기체가 섞이지 않게 되므로 고객에게 제공되는 액체의 맛이 변질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냉각장치는, 콤팩트(compact)하면서도 맥주를 신속히 냉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바,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일회용 케그에 적합한 냉각장치로서 적극 활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냉각장치에 결합가능한 케그와, 케그와 연결되는 커넥터(131)의 위치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로서, 케그가 외부에 위치하여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그가 냉각장치 하우징(101) 외부에 위치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냉각장치 하우징(101) 내부에는 케그수용부(130)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냉각장치 하우징(101) 내부에 냉각부(110), 냉열제공부(130), 가압부(140)만이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 참조되는 바와 같이, 케그가 냉각장치 하우징(101) 외부에 위치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커넥터(131) 구성이 냉각장치 하우징(101)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131)는 액체유동라인(112)과 가압라인(146)과 각각 연결되는 구성이므로, 상기 액체유동라인(112)과 가압라인(146)의 일부가 냉각장치 하우징(101) 외부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액체유동라인(112) 중 일부를 교체 가능하게 형성한 경우에는, 액체유동라인(112)의 일부가 냉각장치 하우징(101) 외부에 연장형성되어 상온에 노출되는 부분을 교체 가능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달리, 케그수용부(130)를 구비하지 않으면, 케그(200)를 외부에 위치시킨 채로 사용하게 되므로, 케그(200)가 냉각장치와 일체를 이루지는 않게 된다. 대신 내용물이 소진된 케그(200)를 교체하는데 있어 개폐도어(101) 열어야 하는 불편함은 방지된다. 종래 기술에 비해서는 압축가스통을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매우 안전하고, 상대적으로 번잡하지 않는 이점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그리고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를 설명한다.
도 8과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 냉각장치로서, 받침판이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 냉각장치로서, 케그수용부가 냉각장치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냉각장치의 형상은 도 2 내지 도 10을 포함한 어느 특정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능적인 필요 이외에도, 사용자로 하여금 심미감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디자인적 요소가 결합되어 얼마든지 다양하고 새로운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의 일 면에 형성되어 상기 액체유동라인(112)으로부터 공급된 액체를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콕크(102);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인출콕크(102) 측면에는 액체의 인출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레버(102')로서, 일부는 냉각장치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냉각장치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형성된 것을 구비하되, 상기 레버(102')가 다이얼(dial)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가 생맥주인 경우 레버(102')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생맥주와 크림을 구분하여 인출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배수공(301)이 형성된 받침판(300)이 구비되고, 이것이 냉각장치 하우징(101)에 결착되어 사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8과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받침판(300)의 일단에는 끼움부(302)가 마련되어, 냉각장치 하우징(101)의 내면에 오목한 형상에 끼워 맞춰진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냉각장치는 냉각장치 하우징(101) 내부에 케그수용부(130)가 포함된 것을 그 대상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커넥터(131)는 상기 케그수용부(130) 내부에 배치된다.
나아가 상기 케그수용부(130)는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10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그수용부(130)는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101)의 외부에서 케그를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101)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냉각장치 하우징(101)의 개폐도어(103)는 힌지 열림방식이 아닌 슬라이딩 도어 열림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와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개폐도어(103) 하부의 개방홀(103')에 손을 집어넣어 앞으로 당기게 되면, 개폐도어(103)가 냉각장치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고, 케그수용부(130)는 냉각장치 하우징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는 케그를 교체하기 쉽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케그(200)가 뉘여진 상태에서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하면 사용자는 허리를 많이 구부리지 않으면서, 또한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케그와 커넥터 간의 결합 및, 케그의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냉각장치에서는 상기 케그수용부(130)가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안정성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냉각장치는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101)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아암(10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케그(200)는 제1아암(106)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케그수용부(130)에 수용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플레이트(108)에 안착된 상태에서 케그수용부(130)에 수용될 수도 있다.
더 바람직한 발명의 실시예로는, 일단부가 상기 제1아암(106)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케그(200)가 안착되는 플레이트(108)에 연결되는 제2아암(107)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아암(106)을 통해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경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아암(106)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레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라면 다른 방식의 돌출구조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ex, 랙앤피니언(rack and pinion)구조)
제2아암(107)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케그를 경사진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 이외의 다른 구조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ex, 다단 링크(rink)구조)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케그수용부(130)에 위치하는 액체유동라인(112)의 일부를 필요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케그(200) 자체의 교환뿐만 아니라 액체유동라인(112)의 일부의 교환도 쉽게 이행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액체유동라인(112)의 일부'란, 도 3의 케그수용부(130) 내부에 위치하는 액체유동라인(112)을 의미한다. 냉각장치의 장기간 사용시 이 부분에 맥주 찌꺼기와 같은 이물질이 쌓일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 부분 액체유동라인(112)을 손쉽게 교체해줌으로써 액체(ex, 생맥주) 맛의 변질의 가능성을 한층 더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종래의 생맥주 냉각시스템은 케그를 냉각기 외부에 배치하고, 이를 압축가스통과 상호 연결하는 구성을 취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케그를 냉각장치 내부에 포함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단순히 케그를 냉각장치 내부에 포함시키는 것이 아니라 종래에는 필요하지 않았던 가압부(140)와 유기적으로 연결시켜 사용한 것이다.
케그수용부(130)의 치수는 삽입되는 케그(20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형상 또한 케그(200)가 하우징(101) 내부에서 요동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개선될 수 있다.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서 케그수용부(130)는 냉각장치 하우징(101)의 하부에 위치함이 바람직하고, 개폐도어(103)를 통해 내용물이 소모된 케그(200)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케그(200)는 하우징 내부에 케그수용부(130)가 마련되는 경우 이곳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다. 케그(200)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생맥주의 배출이 완료되면, 속이 빈 케그(200)를 케그수용부(130)로부터 제거하고, 새로운 케그(200)로 교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그수용부(130)에 삽입될 때 케그(200)의 헤드는 인출콕크(102)가 형성된 하우징의 일면을 바라보도록 배치할 수 있다. 하우징(101)의 전면에 형성된 개폐도어(103)를 개방하여 케그(200)를 교체하는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케그(200)가 케그수용부(130)에 수용된 상태에서, 커넥터(131)를 이용하여 케그(200) 헤드를 덮고, 레버(132)를 조작해 클램프(133)를 헤드와 이탈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시킴으로써, 액체의 배출을 준비할 수 있다. 준비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압축공기 공급조절부(134)를 조절하면 압축공기를 공급(On), 또는 공급을 중단(Off)시킬 수 있다. 액체를 공급하고자 할 때는 압축공기 공급조절부(134)를 공급(On)상태에 두고, 인출콕크(102)의 레버를 당기면, 케그(200)로부터 냉각부(110)를 지나 차가워진 액체가 인출콕크(102)를 통해 인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는 하우징 내에 케그를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상태에서, 액체유동라인, 냉각수단, 가압수단 등의 구성이 하나의 하우징 안에 올인원(All-In-One)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종래의 생맥주 냉각시스템 구성의 번잡스러움을 탈피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냉각 장치 140 : 가압부
101 : 하우징 141a : 제3그릴
102 : 인출콕크 141b : 제4그릴
103 : 개폐도어 142 : 공압 컴프레서
104 : 상태표시부 143 : 실린더
105 : 발광부 144 : 역류방지구
110 : 냉각부 145 : 제어부
111 : 냉매라인 146 : 가압라인
112 : 액체유동라인 M : 교반기
120 : 냉매압축부 S : 온도센서
121 : 제1그릴
122 : 제2그릴
123 : 냉매 컴프레서
124 : 라디에이터
125 : 팬
130 : 케그수용부
131 : 인출헤드
132 : 레버
133 : 클램프
134 : 압축공기 공급조절부

Claims (16)

  1. 냉각장치 하우징;
    적어도 일부 라인이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 내부를 관통하며, 액체가 저장되는 케그로부터 액체를 취출하도록 마련된 액체유동라인;
    상기 액체유동라인 중의 적어도 일부 라인을 냉각하는 냉각수단;
    액체가 저장되는 케그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수단;
    적어도 일부 라인이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 내부를 관통하며, 상기 가압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을 액체가 저장되는 케그에 전달하는 가압라인; 및
    상기 액체유동라인 및 상기 가압라인과 각각 연결되며, 액체가 저장되는 케그의 헤드에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 내부에 액체가 저장되는 케그를 수용하도록 마련된 케그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케그수용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그수용부는,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아암과, 일단부가 상기 제1아암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케그가 안착되는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2아암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아암을 통해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경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는 생맥주(Draft Be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공압컴프레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그는 헤드와, 단단한 외관의 형태를 유지하는 외부용기와, 주위 압력에 의해 형상이 가변되는 내부용기로 구성되는 BIB(Bottle in Bottle) 케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은 냉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은 열전소자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유동라인 중 일부분은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의 일 면에 형성되어 상기 액체유동라인으로부터 공급된 액체를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콕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콕크 측면에는 액체의 인출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레버로서, 일부는 냉각장치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냉각장치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형성된 것을 구비하되,
    상기 레버가 다이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액체의 냉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수단은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압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냉각장치 하우징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그수용부는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그수용부는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의 외부에서 케그를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장치 하우징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15. 삭제
  16. 삭제
KR1020170099192A 2017-08-04 2017-08-04 생맥주 냉각장치 KR102003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192A KR102003804B1 (ko) 2017-08-04 2017-08-04 생맥주 냉각장치
PCT/IB2018/055841 WO2019026034A2 (ko) 2017-08-04 2018-08-03 생맥주 냉각장치
ARP180102209A AR112968A1 (es) 2017-08-04 2018-08-03 Máquina de servicio de bebida tirada de barril
BE2018/5554A BE1025891B1 (nl) 2017-08-04 2018-08-03 Taptoest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192A KR102003804B1 (ko) 2017-08-04 2017-08-04 생맥주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982A KR20190014982A (ko) 2019-02-13
KR102003804B1 true KR102003804B1 (ko) 2019-07-25

Family

ID=64082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192A KR102003804B1 (ko) 2017-08-04 2017-08-04 생맥주 냉각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003804B1 (ko)
AR (1) AR112968A1 (ko)
BE (1) BE1025891B1 (ko)
WO (1) WO2019026034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187B1 (ko) * 2006-12-29 2008-03-27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핀치롤 표면 오일 제거 장치
KR20220131593A (ko) * 2021-03-22 2022-09-29 노종재 휴대용 맥주 냉각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4118A (ja) * 2012-10-19 2014-05-12 Cosmo Life:Kk ウォーターサーバ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1283A (en) * 1958-02-17 1960-11-22 Tyler Refrigeration Corp Cabinet
US4437319A (en) * 1981-10-30 1984-03-20 Tannetics, Inc. Beverage dispensing device
KR960004674Y1 (ko) * 1993-04-03 1996-06-04 윤정모 생맥주판매 테이블
DE202006004758U1 (de) * 2006-03-24 2006-06-08 Heineken Supply Chain B.V. Getränkespendeeinrichtung und Behälter für ein Getränk und getränkespendende Leitung
WO2008010454A1 (fr) * 2006-07-20 2008-01-24 Hoshizak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 versement de boisson
NL2000339C2 (nl) * 2006-11-28 2009-02-18 Konink Grolsch N V Inrichting voor het koelen en in gekoelde toestand houden van een met drank gevulde houder.
KR101402470B1 (ko) * 2007-10-30 2014-06-03 코웨이 주식회사 자동온도 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
JP5529227B2 (ja) * 2012-09-18 2014-06-25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EP2923997A1 (en) * 2014-03-24 2015-09-30 Anheuser-Busch InBev S.A. Beverage dispensing appliance comprising a cooling unit
EP3165501A1 (en) * 2015-11-09 2017-05-10 Micro Matic A/S A beverage container handling unit
KR200484718Y1 (ko) * 2017-02-16 2017-10-18 오비맥주 주식회사 일체형 생맥주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4118A (ja) * 2012-10-19 2014-05-12 Cosmo Life:Kk ウォーターサーバ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187B1 (ko) * 2006-12-29 2008-03-27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핀치롤 표면 오일 제거 장치
KR20220131593A (ko) * 2021-03-22 2022-09-29 노종재 휴대용 맥주 냉각기
KR102542176B1 (ko) * 2021-03-22 2023-06-12 노종재 휴대용 맥주 냉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6034A2 (ko) 2019-02-07
BE1025891A1 (nl) 2019-08-01
BE1025891B1 (nl) 2019-10-31
KR20190014982A (ko) 2019-02-13
AR112968A1 (es) 2020-01-15
WO2019026034A3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6336B2 (ja) 冷凍ポストミックスディスペンサ
JP6632540B2 (ja) 冷却ユニットを備える飲料分配器具
CN110072801A (zh) 用于碳酸软饮料设备的单罐碳酸化
KR102003804B1 (ko) 생맥주 냉각장치
KR200484718Y1 (ko) 일체형 생맥주 냉각장치
EP083240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of liquids
WO2006092783A2 (en) Drinking water dispenser
JP2006225012A (ja) 飲料サーバー
JP3600807B2 (ja) ビール等の清涼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ー
KR100555216B1 (ko) 생맥주 판매 장치
EP1580503A1 (en)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use in a carbonator of a refrigerator
ES2221607T3 (es) Instalacion compacta de distribucion de cerveza.
EP4234478A1 (en) Cooling arrangement for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JP2001039497A (ja) 飲料注出装置
CN208883475U (zh) 计量型啤酒机
KR100629953B1 (ko) 냉온수기
KR20180077985A (ko) 음료 냉온 추출장치
JPH02139394A (ja) 飲料供給装置
JPH0620153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JP2001348094A (ja) 飲料注出装置
JPH04294788A (ja) 冷却飲料ディスペンサー用乾式冷却システム
JP2002068389A (ja) 飲料注出サーバ及びその洗浄方法
KR20020023834A (ko) 직접 삽입식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
JP2004131096A (ja) 飲料供給装置
JP2000234837A (ja) 生ビール冷却注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