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470B1 - 자동온도 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온도 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470B1
KR101402470B1 KR1020070109538A KR20070109538A KR101402470B1 KR 101402470 B1 KR101402470 B1 KR 101402470B1 KR 1020070109538 A KR1020070109538 A KR 1020070109538A KR 20070109538 A KR20070109538 A KR 20070109538A KR 101402470 B1 KR101402470 B1 KR 101402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cold
purifie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3785A (ko
Inventor
조민제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9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470B1/ko
Publication of KR20090043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9Temperatur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온도 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정화하는 필터부,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부에 의하여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제 1 정수탱크, 상기 제 1 정수탱크로부터 공급된 정수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생성한 온수, 냉수 또는 정수를 각각 저장하는 온수탱크, 냉수탱크 및 제 2 정수탱크, 상기 온수탱크, 냉수탱크 및 2 정수탱크 각 각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온수, 냉수, 정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부, 사용자가 필요한 온도의 물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가 원하는 물의 종류와 양에 대한 정보를 상기 밸브부에 송신하여 상기 밸브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조작부를 통해 입력한 물의 온도에 따라 간편하게 다양한 온도의 물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밸브를 직접적으로 작동하지 않아서 기계의 손상을 막을 수 있고, 사용자의 부주의에 따른 피해를 막을 수 있다.
필터, 온수, 냉수, 정수, 유량, 밸브, 조작부, 제어부, 표시부

Description

자동온도 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COOL AND HOT WATER HAVING AUTOMATIC TEMPERATURE ABSTRACTION ABILITY}
본 발명은 자동온도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소비자가 원하는 온도의 물을 추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온도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온수 공급장치란 공급된 물을 정화한 뒤 가열장치 또는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을 공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보통 냉온수 공급장치는 공급된 물을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시키는 다수의 필터부와 필터부에 의해 생성된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 냉수 생산을 위해 냉각장치가 구비된 냉수탱크와 온수를 얻을 수 있도록 소정의 가열장치가 구비된 온수탱크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냉수 또는 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물을 끓이거나 냉장고에 넣어 시원하게 한 후 사용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급수온도의 설정 및 제어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일정온도의 물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냉수와 온수를 혼합하여야 하였으므로 시간과 수고가 많이 들었다
또한, 자신이 원하는 적정온도의 물을 마시거나 사용하기가 곤란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냉온수기 또는 냉온정수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물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온수 또는 냉수 밸브를 작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밸브의 오작동으로 화상을 입거나, 밸브 작동의 반복으로 밸브 자체가 손상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불편함을 극복하기 위해 자동으로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가 개발되었다.
즉, 수도용 물을 설정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냉온 조절을 하여 적정 온도로 유지하고 이를 추출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에서도 온도 조절을 위해 조그셔틀 등을 이용하였으나 쉽게 손상되고, 조그셔틀 기능이 정수와 냉수 쪽에 있어서 정수와 냉수 중간 온도의 물만 추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장치의 손상을 막고 장치의 손상을 막고 사용자가 간편하게 다양한 온도의 물을 추출할 수 있는 자동온도 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온도 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정화하는 필터부;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부에 의하여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제 1 정수탱크; 상기 제 1 정수탱크로부터 공급된 정수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생성한 온수, 냉수 또는 정수를 각각 저장하는 온수탱크, 냉수탱크 및 제 2 정수탱크; 상기 온수탱크, 냉수탱크 및 제 2 정수탱크 각 각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온수, 냉수, 정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부; 사용자가 필요한 온도의 물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가 원하는 물의 종류와 양에 대한 정보를 상기 밸브부에 송신하여 상기 밸브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온도와 유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부는 2웨이밸브 또는 3웨이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부는 냉수, 약냉수, 정수, 미온수, 중온수, 온수의 물의 종류를 나타내는 버튼; 및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다이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조작부를 통해 입력한 물의 온도에 따라 간편하게 다양한 온도의 물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밸브를 직접적으로 작동하지 않아서 장치의 손상을 막을 수 있고, 사용자의 부주의에 따른 피해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온도 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정수기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온정수기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냉온수 공급장치의 구성요소가 동일한 경우 같은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먼저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온도 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는 입수부(5)를 통하여 공급된 물을 정화하는 필터부(10), 필터부(10)에서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제 1 정수탱크(20), 제 1 정수탱크(20)로부터 공급받은 정수를 냉각장치(35)에 의해 냉각하여 저장하는 냉수탱크(30), 제 1 정수탱크(20)로부터 공급받은 정수를 가열장치(55)에 의해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탱크(50), 제 1 정수탱크(20)로부터 공급받은 정수를 그대로 저장하는 제 2 정수탱크(40), 제어부(70)의 신호를 받아 냉수탱크(30), 제 2 정수탱크(40), 온수탱크(50)로부터 나오는 냉수, 정수, 온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부, 사용자가 원하는 유량과 온도를 입력할 수 있는 조작부(80)를 포함한다.
입수구(5)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호스에 의해 연결된다.
필터부(10)는 필터링 작용에 의해서 공급된 물의 불순물을 제거한다. 정수가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수로 형성되도록 하는 침전필터, 흡착작용에 의해 필터링 기능을 수행하는 프리 카본필터, 멤브레인 필터, 자외선 살균필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 1 정수탱크(20)는 필터부(10)로부터 공급받은 정수를 임시로 저장한다. 사용자가 장시간 정수를 추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어 정수가 오염되지 않도록 정수의 유입부와 유출부를 제외하고는 밀폐처리되고 내부는 코팅처리된다.
냉수탱크(30)는 제 1 정수탱크(20)로부터 공급받은 정수를 냉각장치(35)를 이용하여 냉각하고, 냉각된 정수를 저장한다. 냉각장치(35)로는 전기를 이용하는 아이스 쿨러 또는 냉각펌프와 냉매를 이용한 수냉식 쿨러를 이용할 수 있다.
제 2 정수탱크(40)는 제 1 정수탱크(20)로부터 공급받은 정수를 저장한다. 제 1 정수탱크(20)와 마찬가지로 밀폐처리되고 내부는 코팅처리된다.
제 1 정수탱크(20)의 정수를 직접 추출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제 2 정수탱크(40)가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온수탱크(50)는 제 1 정수탱크(20)로부터 공급받은 정수를 가열장치(55)를 이용하여 가열하고, 가열된 정수를 저장한다. 가열장치(55)는 주로 전기를 이용한 히터가 사용된다.
제 1 정수탱크(20)는 냉수탱크(30), 제 2 정수탱크(40), 온수탱크(50)에 관 또는 세퍼레이트 보드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70)는 사용자가 조작부(80)를 통하여 입력한 정보를 밸브부에 송신하여 밸브부를 제어한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물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원하는 물의 종류와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를 개폐한다. 유량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 유량측정센서(75)를 이용하고 유량측정센서(75)는 측정된 유량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로 송신한다.
밸브부는 유로에 따라 2웨이 밸브 또는 3웨이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2웨이 밸브 또는 3웨이 밸브는 전자 방식인 솔레노이드 밸브 형식이다.
2웨이 밸브는 유로가 전후 2방향인 경우 사용되고, 3웨이 밸브는 유로가 3 방향인 경우 사용된다. 유로가 여러 경로인 경우에는 다수의 2웨이 밸브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장치 내부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이 경우 3웨이 밸브 를 사용하면 장치 내부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표시부(90)는 현재 추출되고 있는 물의 상태(물의 양과 물의 온도)를 표시한다. 표시부(90)로는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조작부(8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4~10℃), 약냉수(냉수+정수)(10~20℃), 정수(20~30℃), 미온수(냉수+온수)(40~50℃), 중온수(정수+온수)(60~70℃), 온수(90℃)의 6개의 선택 버튼이 설치되어 있고,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다이얼 장치가 설치된다.
즉, 사용자는 6개의 버튼 중 필요한 온도의 물을 선택하고, 원하는 물의 양을 다이얼을 돌려서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를 통한 자동온도 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의 작동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면, 도 1의 냉수탱크(30)와 제 2정수탱크(40)를 갖춘 냉정수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냉수(4~10℃)를 선택하고 300ml를 추출하고자 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조작부(80)를 통하여 입력하면 제어부(70)는 2웨이밸브(60,62)를 개방하고, 유량측정센서(75)는 유출되는 유량을 측정한다. 유량측정센서(75)에 의해 측정된 유량이 300ml가 되었을 때 제어부는 2웨이 밸브(60,62)가 폐쇄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가 약냉수(10~20℃)를 선택하고 500ml를 추출하고자 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조작부(80)를 통하여 입력하면 제어부(70)는 2웨이 밸브(60,61)를 개방하고, 유량측정센서(75)에 의해 측정된 유량이 500ml가 되었을 때 제어부는 2웨이 밸브(60,61,62)가 폐쇄되도록 제어한다.
냉수탱크(30)의 냉수와 제 2 정수탱크(40)의 정수가 거의 같은 양이 배출되어 섞일 수 있도록 2웨이밸브(60,61)는 동시에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냉수탱크(30)와 온수탱크(50)를 갖춘 냉온수기는 밸브부로써 3웨이 밸브를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가 온수(90℃)를 선택하고 300ml를 추출하고자 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조작부(80)를 통하여 입력하면 제어부는 3웨이밸브(67)을 제어하여 온수 탱크(50)와 연결된 유로를 개방하고, 유량측정센서(75)에 의해 측정된 유량이 300ml가 되었을 때 제어부는 3웨이 밸브(67)가 폐쇄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가 미온수(40~50℃)를 선택하고 500ml를 추출하고자 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조작부(80)를 통하여 입력하면 제어부는 3웨이밸브(67)를 제어하여 냉수탱크(30),온수탱크(50)와 연결된 유로를 개방하고, 유량측정센서(75)에 의해 측정된 유량이 500ml가 되었을 때 제어부는 3웨이 밸브(67)가 폐쇄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3웨이밸브(67)의 각 유로는 동시에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냉수탱크(30), 제 2 정수탱크(40), 온수탱크(50)를 갖춘 냉온정수기는 밸브부로써 3웨이 밸브를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가 약냉수(10~20℃)를 선택하고 500ml를 추출하고자 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조작부(80)를 통해 입력하면 제어부는 3웨이 밸브(68)의 모든 방향의 유로를 개방하고, 유량측정센서(75)에 의해 측정된 유량이 500ml가 되었을 때 제어부는 3웨이 밸브(68)가 폐쇄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다른 3웨이밸브(69)는 온수탱크(50) 방향의 유로를 막고 있고 제 2 정수탱크(40)의 유로는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사용자가 미온수(40~50℃)를 선택하고 500ml를 추출하고자 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조작부(80)를 통해 입력하면 제어부는 3웨이 밸브(68)의 냉수탱크(30)방향의 유로를 개방하고, 다른 3웨이 밸브(69)의 온수탱크(50) 방향의 유로를 개방한다. 유량측정센서(75)에 의해 측정된 유량이 500ml가 되었을 때 제어부는 3웨이 밸브(68,69)가 폐쇄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3웨이 밸브(68,69)는 정수탱크(40)방향의 유로를 막고 있는 상태이다.
도 4는 도 3의 냉온정수기의 표시부를 나타낸 것이다. 냉수, 약냉수(냉수+정수), 정수, 미온수(냉수+온수), 중온수(정수+온수), 온수의 버튼 중 원하는 온도의 물을 선택하고, 다이얼을 돌려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물의 양을 나타내는 숫자의 단위는 ml이다.
도 1의 냉정수기, 도 2의 냉온수기, 도 3의 냉온정수기를 작동하는 경우 표시부에는 사용자가 입력하여 추출되는 물의 온도와 유량에 대한 정보가 나타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정수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온정수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온정수기의 표시부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입수구 10 : 필터부
20 : 제 1 정수탱크 30 : 냉수탱크
35 : 냉각장치 40 : 제 2 정수탱크
50 : 온수탱크 55 : 히터
60,61,62 : 2웨이 밸브 67,68,69 : 3웨이 밸브
70 : 제어부 75 : 유량측정센서
80 : 조작부 90 : 표시부
95 : 출수부

Claims (4)

  1.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정화하는 필터부;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부에 의하여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제 1 정수탱크;
    상기 제 1 정수탱크로부터 공급된 정수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생성한 온수, 냉수 또는 정수를 각각 저장하는 온수탱크, 냉수탱크 및 제 2 정수탱크;
    상기 온수탱크, 냉수탱크 및 제 2 정수탱크 각 각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온수, 냉수, 정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부;
    사용자가 필요한 온도의 물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가 원하는 물의 종류와 양에 대한 정보를 상기 밸브부에 송신하여 상기 밸브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상기 냉수탱크의 토출구와 상기 제 2 정수탱크의 토출구에 연결되는 제 1 밸브 및 상기 제 2 정수탱크의 토출구와 상기 온수탱크의 토출구에 연결되는 제 2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밸브는 상기 제 2 밸브의 전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온도 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온도와 유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온도 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의 상기 제 1 밸브 및 상기 제 2 밸브는, 각각, 2웨이밸브 또는 3웨이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온도 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냉수, 약냉수, 정수, 미온수, 중온수, 온수의 물의 종류를 나타내는 버튼; 및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다이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온도 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
KR1020070109538A 2007-10-30 2007-10-30 자동온도 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 KR101402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538A KR101402470B1 (ko) 2007-10-30 2007-10-30 자동온도 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538A KR101402470B1 (ko) 2007-10-30 2007-10-30 자동온도 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785A KR20090043785A (ko) 2009-05-07
KR101402470B1 true KR101402470B1 (ko) 2014-06-03

Family

ID=40854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538A KR101402470B1 (ko) 2007-10-30 2007-10-30 자동온도 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4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276A (ko) * 2019-05-08 2020-11-18 최현성 카본 전극 필터를 포함하는 가정용 정수기 및 정수기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452B1 (ko) * 2009-09-29 2012-05-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EP2440306B1 (en) * 2009-06-08 2021-03-24 Woongjin Coway Co., Ltd. Water purifier
KR101586329B1 (ko) * 2009-09-15 2016-01-19 코웨이 주식회사 미온수 배출이 가능한 밸브장치
KR101502651B1 (ko) * 2011-07-08 2015-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40055170A (ko) * 2012-10-30 2014-05-09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KR102207295B1 (ko) * 2014-02-12 2021-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냉장고의 온수공급시스템, 및 냉장고의 온수공급방법
KR102003804B1 (ko) * 2017-08-04 2019-07-25 오비맥주 주식회사 생맥주 냉각장치
EP3793933A4 (en) * 2018-05-18 2022-04-13 Tea Unwrapped LLC SYSTEM AND PROCESS FOR DISPENSING PRECISE TEMPERATURE CONTROLLED WATER
JP7085234B2 (ja) * 2020-09-28 2022-06-16 パーパス株式会社 ウォータサーバ、その給水方法、およびその給水処理プログラム
KR20220093863A (ko) 2020-12-28 2022-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463A (ko) * 2001-06-26 2002-07-2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연수기
KR100723349B1 (ko) 2006-03-21 2007-05-3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의 토출밸브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463A (ko) * 2001-06-26 2002-07-2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연수기
KR100723349B1 (ko) 2006-03-21 2007-05-3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의 토출밸브 제어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276A (ko) * 2019-05-08 2020-11-18 최현성 카본 전극 필터를 포함하는 가정용 정수기 및 정수기 제어 방법
KR102301795B1 (ko) * 2019-05-08 2021-09-13 최현성 카본 전극 필터를 포함하는 가정용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785A (ko)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470B1 (ko) 자동온도 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
US20100117843A1 (en) Heat pump type hot water supply apparatus
JP2010501824A (ja) 飲料作成器の流れ検出ロジック
US20150354854A1 (en) Water purifier
KR101176790B1 (ko) 순간 가열식 정수기
CN108577540A (zh) 大容量小功率储水式温开水饮水机
KR100775599B1 (ko) 순간가열 기능을 구비하는 온수기
US10082301B1 (en) Water heater appliance with a cold water bypass
KR102441652B1 (ko)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얼음 정수기
CN206430414U (zh) 一种热泵机组的水路控制系统
KR20120038142A (ko) 취수량 조절기능이 구비된 정수기
KR100692530B1 (ko)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
KR20060118654A (ko)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및 정수기 제어방법
KR20090043784A (ko) 정량추출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장치
CN114145644A (zh) 一种双加热体的饮水机
JP5469854B2 (ja) 飲料注出装置
KR101558426B1 (ko) 냉매의 순환방향 전환이 가능한 열교환기를 이용한 반도체 제조 설비의 온도제어시스템
KR100777434B1 (ko) 출수 온도 조절이 가능한 온수기
KR100315411B1 (ko) 냉수기부착정수기
KR100424091B1 (ko) 금형의 온도제어 장치
KR20170047851A (ko) 냉수 인출을 겸한 탄산믹서통 및 이를 포함한 물공급장치
JPH0997118A (ja) 混合水栓
JP2011226653A (ja) 給湯装置
CN201007561Y (zh) 燃气热水器停水温升控制装置
CN211621770U (zh) 水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6